마카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카라는 산스크리트어로 "바다 동물, 악어"를 뜻하며, 힌두교와 불교에서 널리 사용되는 신화 속 동물이다. 일반적으로 앞부분은 육상 동물, 뒷부분은 수생 동물의 모습을 하고 있으며, 다양한 형태로 묘사된다. 인도 신화에서 바루나의 탈것, 비슈누의 귀걸이 등으로 등장하며, 사랑과 욕망의 신 카마데바의 상징이기도 하다. 마카라는 고대 메소포타미아의 스클-마르슈에서 유래되었으며, 동남아시아 전역의 사원 건축물과 조각상에서 널리 발견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도의 용 - 브리트라
브리트라는 베다 신화에 등장하는 물을 가두는 뱀족 존재로, 인드라에게 살해되어 물을 해방시키는 역할을 하며, 뇌우와 한발을 상징하는 것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 인도의 용 - 마호라가
마호라가는 불법을 수호하는 팔부신중 중 하나로, 거대한 지하 뱀의 형상으로 묘사되며 지구를 회전시키는 모습이나 지진을 일으키는 존재, 음악과 관련되어 나타나고, 사리불문경에서는 분노를 잘 내지만 보시를 행하는 사람이 환생하는 존재로 설명된다. - 티베트 불교 수행 - 대위덕명왕
대위덕명왕은 문수보살의 분노한 모습으로, 육도윤회에서 고통받는 중생을 구제하고 재앙을 물리치며 복을 가져다주는 불교의 신이다. - 티베트 불교 수행 - 대방광보살장문수사리근본의궤경
- 전설의 파충류 - 네스호의 괴물
네스호의 괴물은 스코틀랜드 네스호에 살고 있다고 전해지는 미확인 생물체로, 1933년 이름이 붙여진 후 대중적 관심을 받으며 '네시'라는 애칭으로도 불리지만, 수많은 목격담과 자료에도 불구하고 과학적인 증거는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 - 전설의 파충류 - 샐러맨더 (전설)
샐러맨더는 고대부터 현대까지 불을 견디거나 다루는 능력을 가진 전설적인 생물로, 시대와 문화에 따라 순결, 정열, 덕, 독성 등을 상징하며, 문장이나 요리 기구의 이름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마카라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마카라 |
다른 이름 | 마카라 |
지역 | 인도 |
최초 기록 | www.wisdomlib.org www.wisdomlib.org |
특징 | |
분류 | 신화 속 생물 |
기타 | |
유사 생물 | 첸나케샤바 사원 |
2. 어원
"마카라(Makara)"는 "바다 동물, 악어"를 뜻하는 산스크리트어 단어이다.[3] 뷔르츠부르크 대학교의 요제프 프리드리히 콜(Josef Friedrich Kohl)과 여러 독일 과학자들은 자이나교 경전인 수르야프라냐프티(Sūryaprajñapti)를 해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마카라가 듀공을 기반으로 한다고 주장했다.[4][5][6] 남아시아 강돌고래 또한 마카라 이미지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다. 티베트어로는 "추-스린(chu-srin)"이라고 불리며,[7] 혼종 생물을 가리키기도 한다.[8]
마카라는 일반적으로 앞부분은 육상 동물(사슴, 녹용, 또는 코끼리)의 모습을, 뒷부분은 수생 동물(보통 물고기, 돌고래 또는 뱀이지만, 때로는 공작이나 꽃으로 된 꼬리를 가지기도 함)의 모습을 한 반반 형태로 묘사된다. 힌두 문화 전반에 걸쳐 마카라의 형태는 다양하지만, 현대에는 항상 늪 악어 또는 물왕도마뱀과 관련된 형태를 띤다.
3. 신체적 특징
미술사학자 존 보드먼에 따르면, 마카라와 중국 용의 묘사는 그리스 신화의 ''케토스''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있으며, 실크로드를 통해 전해진 ''케토스'' 이미지와의 접촉 이후일 가능성이 있다.[9]
싱할라 고대 예술 작품에서 마카라는 코끼리의 코, 악어의 턱, 쥐 또는 원숭이의 귀, 멧돼지의 튀어나온 이빨, 공작의 꼬리 깃털, 사자의 발 등 여섯 또는 일곱 마리 동물의 신체 부위로 구성되어 있다.[10]
4. 도상학
4. 1. 베다 시대
베다 시대에 인드라(Indra)가 하늘의 신이었던 시절, 바루나(Varuna, 베다 시대의 물의 신)는 바다의 신이 되어 마카라(Makara)를 타고 다녔는데, 이는 "물 괴물의 탈것"으로 불렸다.[11][12]
비슈누(Vishnu)의 귀걸이는 마카라 형태로 묘사되며,[8] 마카라쿤달라(makarakundala)는 시바(Shiva)의 귀를 장식하기도 한다.[13] 현대에는 속이 빈 은으로 만든 팔찌 장신구로 사용되며, 눈과 귀 부분에 보석을 박아 신부에게 결혼 선물로 준다. 일부 전통적인 기록에서는 마카라를 물왕도마뱀과 연관짓는데, 둘 다 최음제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신체 부위(예: 턱, 고기 등)를 가지고 있다.[25]
마카라는 일반적으로 절반은 포유류, 절반은 물고기의 형태로 묘사된다. 많은 사원에서 마카라는 절반은 물고기 또는 바다표범이고 머리는 코끼리인 형태로 묘사된다. 또한 추상적이고 키메라적인 형태로, 악어의 머리와 턱, 코끼리 코, 물고기 비늘, 공작 꼬리를 가지고 나타나기도 한다. 연꽃 위에 앉아 코끼리 모양의 마카라의 혀를 당기는 락슈미(Lakshmi)의 모습은 락슈미를 번영, 부, 행복의 여신으로 보여주는 것을 의미한다.[8][21][25] 마카라는 새로운 질서가 나타나기 전에 필요한 혼돈의 상태를 나타낸다.[8]
마카라는 사랑과 욕망의 신인 카마데바(Kamadeva)의 상징이기도 하다. 카마데바는 "마카라를 상징으로 가지고 있는"이라는 뜻의 '마카라-케투(Makara-Ketu)'로도 알려져 있다. 이는 산스크리트어로 라시(rāśi)라고 하는 황도대의 열 번째 별자리로, 서양의 염소자리(Capricorn) (염소 상징)에 해당한다.[11]
4. 2. 중세 왕국 시대
기원전 2세기부터 마카라는 바수데바 크리슈나의 아들인 프라듀므나의 상징이 된 것으로 보인다. 하리반샤 99편과 같은 문헌에서 프라듀므나의 칭호 중 하나는 "마카라드바자(Makaradhvaja)"로, "깃발이나 기준이 악어인 자"를 의미한다.[20] 바수데바에게 봉헌된 헬리오도루스 기둥 근처 베스나가르에서 발견된 마카라 악어 형상이 새겨진 기둥 머리 장식도 프라듀므나에게 귀속된다.[20] 마하바라타에서도 마카라는 크리슈나의 아들과 사랑의 신인 카마데바와 관련되어 있으며, 이들이 동일인임을 시사한다.[20]
4. 3. 후기 힌두 도상학
힌두교 상징학에서 마카라는 강의 여신인 갠지스(Ganges)의 바하나('탈 것')로 묘사된다. 마카라들이 힌두 사원 벽을 따라 줄지어 있거나, 계단의 난간 역할을 하거나, 문 위의 아치를 형성하기도 한다.[21]
저명한 힌두교 사원 건축가이자 건설자인 가나파티 스타파티(Ganapati Sthapati)는 마카라를 물고기의 몸통, 코끼리의 코, 사자의 발, 원숭이의 눈, 돼지의 귀, 공작의 꼬리를 가진 신화 속 동물로 묘사한다.[21] 보다 간결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고대 신화적 상징인 이 잡종 생물은 여러 동물들의 형태를 결합하여 전체적으로 악어의 특징을 지닌다. 악어의 아랫턱, 코끼리의 코, 멧돼지의 엄니와 귀, 원숭이의 날카로운 눈, 물고기의 비늘과 유연한 몸, 공작의 꼬리깃털을 가지고 있다."[11]
전통적으로 마카라는 수생 신화 생물로 여겨진다. 마카라는 일반적으로 반은 포유류이고 반은 물고기로 묘사된다. 일부 전통적인 기록에서는 어원적 뿌리 때문에 악어, 특히 무거로 식별한다. 코끼리의 앞다리와 물고기 꼬리의 뒷다리를 가지고 묘사된다. 초기에는 인간의 몸을 가진 악어 형태로도 표현되었다.[21][22]
많은 사원에서 마카라는 코끼리 머리를 가진 반 물고기 또는 바다표범 형태로 묘사된다. 악어와 비슷한 머리와 턱, 물고기의 비늘과 공작의 꼬리를 가진 코끼리 코를 가진 모습으로도 나타난다.[8] 다른 기록에서는 주로 빅람실라 갠지스 돌고래 보호구역에서 발견되는 갠지스 돌고래와 놀라울 정도로 유사하다고 설명한다. 다른 묘사에서는 코끼리 머리를 가진 물고기 몸으로 표현된다. 전통적으로 마카라는 모든 존재와 풍요의 근원인 물과 관련이 있다.[21]
힌두 사원에서 마카라는 종종 신을 둘러싼 토라남 또는 아치의 구조적 책갈피 역할을 한다. 아치는 한 마카라의 턱에서 시작되어 정점인 키르티무카('영광의 얼굴')에 이르고, 다른 마카라의 벌어진 턱으로 내려온다. 바루나 또한 괴물 마카라 위에 앉은 백인 남성으로 묘사된다. 해양 괴물로서, 영양의 머리와 다리, 물고기의 몸통과 꼬리를 가진 모습으로도 나타난다.[23] 철로 만든 마카라는 반 사슴 반 물고기 형태의 괴물을 보여준다.[24] 이러한 요소들이 다양하게 결합되어 인도 사원 상징학에서 가장 흔하게 반복되는 주제 중 하나를 형성한다. 인도 예술에서 마카라는 많은 모티프 형태로 표현되며, 다양한 스타일로 묘사되어 왔다. 마카라 조각상은 세계 유산인 산치의 스투파를 포함한 여러 불교 유적의 입구(토라나)에 배치되어 있다. 왕좌의 입구를 지키는 역할을 한다(아래 분포 참조).[21]
4. 3. 1. 중세 남인도
중세 시대 남인도에서 마카라는 발전의 다섯 번째 단계를 상징하는 것으로 묘사되었는데, 코끼리 머리와 몸체에 정교하게 새겨진 물고기 꼬리를 가진 형태였다. 대부분의 신화는 생명 진화의 이 단계에 대한 이러한 상징성을 유지한다.[25] (오른쪽 사원 벽의 애니미즘 조각에서 다섯 번째 줄에 있는 마카라 참조.)
4. 3. 2. 인도네시아
고대 자바의 사원은 장식과 상징적 요소로 칼라마카라(kala-makara)를 사용한 점이 특징적이다. 칼라(kala)는 거대한 머리로, 종종 입구 상단에 위치하며, 칼라의 머리 양쪽에 마카라가 현관을 옆에서 감싸거나 상단 모서리에 기와장식(antefixes)으로 돌출되어 있다. 칼라마카라 주제는 계단 난간의 양쪽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계단 상단에서는 칼라의 입에서 마카라가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복잡한 석조 조각으로 된 쌍둥이 마카라가 하단 계단을 옆에서 감싸고 있으며, 그 몸체는 계단 난간을 형성한다. 이러한 유형의 계단 장식은 보로부두르와 프람바난 사원에서 관찰할 수 있다. 마카라의 코는 종종 금 장식을 쥐고 있거나 보석을 뿜는 것으로 묘사되며, 입에서는 가나(Gana) 난쟁이 인형이나 사자, 앵무새와 같은 동물이 돌출되어 있다.
4. 3. 3. 크메르
마카라는 캄보디아 앙코르 지역의 종교적인 크메르 건축에서 특징적인 문양으로, 이곳은 크메르 제국의 수도였다. 마카라는 보통 문인방, tympanum(고딕 건축에서 아치 위의 반원형 장식), 또는 벽의 장식 조각의 일부이다. 마카라는 보통 입을 크게 벌리고 사자, 나가 또는 뱀과 같은 다른 상징적인 동물을 토해내는 모습으로 묘사된다. 마카라는 롤루오스 사원 군: 프레아코(Preah Ko), 바콩(Bakong), 그리고 롤레이(Lolei)의 아름다운 문인방에서 중심적인 디자인 모티프이다. 반테아이 스레이(Banteay Srei)에서는 다른 괴물을 토해내는 마카라 조각들이 많은 건물의 모서리에 설치되었다.[26]
4. 3. 4. 네팔
네와르족의 네팔 예술에서는 마카라 묘사가 광범위하게 사용된다.[11] 네와르 건축에서 마카라는 "문의 수호자"로 묘사되며, 2차원 만다라의 네 문을 감싸는 거대한 십자바즈라의 곡선형 갈고리에 나타난다.[11] 3차원 만다라에서는 이 십자바즈라가 만다라 궁전 전체 구조를 지탱하며, 그것이 서 있는 바즈라 지반의 흔들리지 않는 안정성을 상징한다.[11]
대부분의 오래된 네팔식 음수대(dhunge dhara라 불림)의 주둥이는 마카라 모양을 하고 있다.[27]
4. 3. 5. 스리랑카
'''마카라'''는 스리랑카의 싱할라 불교 문화에서 중요한 존재인 용을 의미하는 싱할라어 용어이다. 사찰 건축물의 토라나나 카스타네와 같은 귀중품에 묘사되어 있다.
마카라는 스리랑카 불교 건축에서 널리 사용되며, 종종 토라나(torana)에 묘사된다.[28] 고대부터 동양인들은 마카라가 수중 생물 중 하나라고 믿었으며, 불교 미술 분야의 초기 시대부터 문학 작품과 석조 조각 모두에서 묘사되었다. 마카라는 싱할라 불교 문화에서 독특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는데, 이는 다른 국가의 불교 미술 작품에서는 볼 수 없는 특별한 위치이다.
마카라갈라(Makaragala)(용 난간)는 마카라(용)를 묘사한 또 다른 종류의 석조 조각이다. 이러한 예술 작품은 불교 탑(stupa), 사찰(temple), 보리수(Bo tree)의 입구를 장식하는 데 사용되었다. 캔디에 있는 란카틸라카 비하라야의 정문에는 두 개의 난간이 있으며, 거기에 있는 마카라의 모양 때문에 가자신하(Gajasinha) 난간이라고 부르기도 한다.[29][30]
무라갈라(Muragala)(수호석)는 마카라에게 가장 높은 자리를 부여했다. 거기에 새겨진 문지기의 머리 위에는 마카라의 모습을 볼 수 있다.
1344년 캔디 지구 디갈라에 세워진 가달라데니야 사원의 사찰 열쇠 손잡이에는 마카라의 모습이 새겨져 있다.[32]
마카라는 또한 비슷한 기원을 공유하고 쿠루쿨람으로 총칭되었던 스리랑카의 카라바족과 카라이야르족의 씨족 상징으로도 사용되었다.[33][34] 적어도 14세기 이후로 그들은 의식에서 마카라 깃발을 사용해왔다.[35] 아디티야와 바루나쿨라수리얀과 같은 씨족 칭호는 고대 힌두교 신 바루나와의 연관성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었다.[36]
4. 3. 6. 티베트 불교
티베트 불교 양식에서 마카라(Makara)는 인도 형태에서 진화했다. 그러나 사자의 앞발, 말의 갈기, 물고기의 아가미와 덩굴손, 사슴이나 용의 뿔 등 몇 가지 면에서 다르다. 한때 단순한 물고기 꼬리(때로는 깃털이 달린)에서 이제는 마카라 꼬리 디자인(산스크리트어 ''makaraketu'')으로 알려진 복잡한 나선형 꽃 무늬로 발전했다.[11]
티베트 조각상에서 마카라는 힘과 끈기를 상징하는 무기로 묘사된다. 마카라 상징이 있는 밀교(바즈라야나) 무기에는 도끼, 철 낚싯바늘, 곡선형 칼, 금강저(vajra), 의식용 단검 등이 있으며, 모두 마카라의 입에서 칼날이 나오는 주제를 가지고 있다.[11]
사원 지붕 모서리에 마카라 머리 형태로 상징적으로 표현되는 것은 물의 요소이며, "빗물 배수구" 또는 가고일(gargoyle) 역할도 한다. 또한 샘의 원천에서 물을 뿜는 곳으로도 볼 수 있다. 돌로 조각된 예술 작품은 가루다(Garuda)의 왕관과 함께 두 나가(Nāga, 뱀 신)에 둘러싸인 똑같은 한 쌍의 마카라 형태를 하고 있으며, 이는 키르티무카(kirtimukha) 얼굴이라고 불린다. 이러한 묘사는 나무로 된 문의 입구 상단 아치와 부처(Buddha)상 뒤의 토라나(torana)에서도 볼 수 있다.[11]
5. 마카라의 근원
메소포타미아 문명의 사상 체계에서는 담수 세계를 다스리는 신 엔키를 상징하는 동물로, 스클-마르슈(스클은 "큰 잉어", 마르슈는 염소의 의미)가 존재했다.[40] 바빌로니아 시대 메소포타미아 점성술에서 스클-마르슈는 황도 12궁의 염소자리에 배치되어 있으며, 이 이미지는 메소포타미아 점성술과 함께 인도로 전해져 환상의 동물 마카라로 변했다.[40]
동양에서 용이나 마카라의 디자인은 그리스 신화의 케토스의 영향을 받았다는 의견도 있다.[41]
6. 상징의 분포
신화 속 마카라의 석상과 힌두교 및 불교의 상징(이콘)에서 차지하는 고대 위치는 남아시아와 동남아시아 전역에 널리 퍼져 있다.
- 카우샴비(Kaushambi) 마카라 기둥 머리 장식은 기원전 2세기에 만들어졌다.
- 미얀마(Burma) 바간(Bagan)의 난파야 사원(Nanpaya Temple)에는 마카라 조각이 있다.
- 캄보디아(Cambodia) 캄퐁톰(Kampong Thom City) 삼보르 프레이 쿡(Sambor Prei Kuk) 사원 문인방(lintel)에는 마카라가 새겨져 있다.
- 중국(China)에서는 북제(Northern Qi Dynasty)(서기 550-577년) 시대의 마카라를 볼 수 있다.
- 인도(India) 벨루르(Belur, Karnataka) 벨루르의 체나케샤바 사원(Chennakeshava Temple, Belur) 문에는 마카라와 키르티무카(Kirtimukha)가 보호하고 있다.
- 인도네시아(Indonesia) 부브라(Bubrah) 사원에는 마카라 계단 장식이 있다.
- 인도네시아 칼라산 사원(Candi Kalasan)에는 마카라 조각상이 있다.
- 라오스(Laos) 비엔티안(Vientiane) 탓푼 사원(Wat ThatPhun)에는 마카라 입에서 나오는 나가(Naga)가 있다.
- 말레이시아(Malaysia) 쿠알라룸푸르(Kuala Lumpur) 말레이시아 국립박물관(National Museum (Malaysia))에는 7세기 마카라가 있다.
- 네팔(Nepal) 카트만두(Kathmandu)의 힌두 사원에는 마카라와 키르티무카가 있다.
카트만두, 네팔의 힌두 사원에 있는 마카라와 키르티무카 - 네팔 발라주(Balaju) 정원의 히티 망가(Hiti Manga)와 네팔의 거의 모든 석수도는 이 마카라를 묘사하고 있다.
- 네팔(Nepal) 바크타푸르(Bhaktapur)에도 히티 망가가 있다.
- 태국(Thailand) 방콕(Bangkok) 수탓 사원(Wat Suthat)에는 나가를 곁에 둔 마카라가 있다.
- 베트남 역사 박물관(National Museum of Vietnamese History)에는 참파 신 나가(Nāga)가 마카라 입에서 나오는 모습이 있다.
- 스리랑카(Sri Lanka) 담불라 석굴 사원(Dambulla cave temple)에는 부처님상 위에 마카라 판돌(Makara pandol)이 있다.
- 일본(Japan) 에도 시대(Edo period) 19세기에 제작된 사사시마 요(Sasashima ware) 사각 그릇에는 마카라 디자인이 있다.
- 네팔 파탄(Patan) 아쇼카 스투파(Ashok Stupa)에는 바즈라(vajra)의 갈비뼈 중 하나가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Makara, Makāra, Mākara, Mākāra: 44 definitions
https://www.wisdomli[...]
2009-04-12
[2]
논문
The Other Face of the Makara
1976
[3]
서적
The Practical Sanskrit–English dictionary
Prasad Prakashan
[4]
서적
The Mādhavanidāna and Its Chief Commentary, Chapters 1-10, Parts 1-10
https://books.google[...]
Brill Archive
[5]
서적
Animals in Stone:Indian Mammals Sculptured Through Time
https://books.google[...]
Brill
[6]
웹사이트
Jain Studies in Germany (Part 2) @ HereNow4U
http://www.herenow4u[...]
[7]
서적
A Sanskrit-English dictionary: etymologically and philologically arranged
Motilal Banarsidass Publications
2011-01-22
[8]
서적
The Mythical Creatures Bible: The Definitive Guide to Legendary Beings
https://books.google[...]
Sterling Publishing Company, Inc.
2009-03-03
[9]
서적
The Greeks in Asia
Thames and Hudson
2015
[10]
서적
Sinhalese English Dictionary
https://books.google[...]
Asian Educational Services
[11]
서적
The handbook of Tibetan Buddhist symbols
https://books.google[...]
Serindia Publications, Inc.
2003-09-10
[12]
서적
Handbook of Hindu mythology
https://archive.org/[...]
ABC-CLIO
2011-01-17
[13]
서적
The Asian Civilisations Museum A-Z Guide to its Collections
Editions Didier Millet
[14]
서적
Indian History
https://books.google[...]
Allied Publishers
1988
[15]
서적
Costumes and Ornaments as Depicted in the Sculptures of Gwalior Museum
https://books.google[...]
Mittal Publications
1987
[16]
논문
Vrishnis in Ancient Literature and Art
https://www.academia[...]
2019-01
[17]
서적
Pradyumna: Lover, Magician, and Scion of the Avatar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9
[18]
논문
Le Makara dans la Décoration des Monuments de l'Inde Ancienne : Positions et Fonctions
1958
[19]
웹사이트
Gujari Mahal State Archaeological Museum – Gwalior
https://kevinstandag[...]
2019-04-15
[20]
서적
Pradyumna: Lover, Magician, and Son of the Avatar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9
[21]
뉴스
My Husband and Other Animals - The beast within File:Makara Halebidu.jpg
http://www.thehindu.[...]
Kasturi & Sons Ltd
2011-01-14
[22]
서적
Mythical animals in Indian art
https://books.google[...]
Abhinav Publications
1985-10
[23]
서적
Hindu Mythology, Vedic and Puranic
https://books.google[...]
Kessinger Publishing
2004-03
[24]
문서
Wilkins (2004)
[25]
서적
Archaeology
https://books.google[...]
Archaeological Institute of America
2011-01-17
[26]
서적
Images of the gods: Khmer mythology in Cambodia, Thailand and Laos
River Books
[27]
간행물
Dhunge Dhara: A Case Study of the Three Cities of Kathmandu Valley
http://himalaya.soca[...]
[28]
서적
The Rough Guide to Sri Lanka
https://books.google[...]
Rough Guides Limited
2015-11-02
[29]
웹사이트
Lankatilaka Vihara: Magnificent edifice of Gampola era
http://archives1.sun[...]
Sunday Observer
2017-02-19
[30]
웹사이트
Discover Sri Lanka
http://discover.lank[...]
Lanka Nest
[31]
뉴스
Ridi Viharaya
https://www.angelfir[...]
[32]
웹사이트
Tom Allwood Photography
http://tomallwood.co[...]
Tom Allwood
[33]
서적
Kurukshetra
https://books.google[...]
Sri Lak-Indo Study Group
1976
[34]
서적
Kurukshetra
https://books.google[...]
Sri Lak-Indo Study Group
1976
[35]
서적
The Ceylon Antiquary and Literary Register
https://books.google[...]
1922
[36]
서적
Fisheries in Sri Lanka: anthropological and biological aspects
https://books.google[...]
Kumaran Book House
2009
[37]
저널
故地のクンビーラ:金毘羅由来説再考
智山勧学会
2019-10-13
[38]
서적
幻想の国に棲む
東洋書林
1997
[39]
서적
漢訳対照梵和大辞典 増補改訂版
講談社
1979
[40]
서적
魚と人の文明論
臨川書店
2017
[41]
서적
The Greeks in Asia
Thames and Hudson
2015
[42]
저널
The Other Face of the Makara
197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