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스티앙 드뒤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크리스티앙 드뒤브는 벨기에 출신의 생화학자이자 세포 생물학자로, 리소좀과 과산화소체를 발견한 공로로 1974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다. 그는 1920년 런던에서 태어나 루뱅 가톨릭 대학교에서 의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인슐린과 글루카곤 연구를 통해 당뇨병 연구에 기여했다. 또한, 세포 내 공생설을 지지하며 생명과학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2013년 95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벨기에의 불가지론자 - 르네 마그리트
르네 마그리트는 벨기에의 초현실주의 화가로, 데페이즈망 기법을 사용하여 이미지와 언어 사이의 관계에 대한 질문을 던지는 작품을 제작했으며, 팝 아트 등 현대 미술 전반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벨기에의 무신론자 - 훌리오 코르타사르
훌리오 코르타사르는 아르헨티나 출신으로 실험적인 형식과 초현실주의적 경향을 보이는 소설과 시를 창작하여 라틴 아메리카 문학에 큰 영향을 미친 작가이다. - 벨기에의 무신론자 - 엘리오 디 뤼포
엘리오 디 뤼포는 벨기에의 정치인으로, 몬스 시장, 왈롱 지역 장관, 벨기에 총리를 역임했으며, 공개적으로 동성애자임을 밝힌 중도좌파 성향의 인물이다.
크리스티앙 드뒤브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출생명 | Christian René Marie Joseph de Duve |
존칭 접미사 | ForMemRS, Viscount de Duve |
출생일 | 1917년 10월 2일 |
출생지 | 잉글랜드 서리 주 템스 디턴 |
사망일 | 2013년 5월 4일 |
사망지 | 벨기에 브라방왈롱 주 그레-두아소 |
국적 | 벨기에 |
자녀 | 티에리 포함 4명 |
연구 분야 | |
분야 | 의학 내분비학 생화학 세포생물학 |
근무 기관 | 루뱅 가톨릭 대학교 UC 루뱅 록펠러 대학교 워싱턴 대학교 의과대학 |
알려진 업적 | 세포 소기관 |
수상 | |
수상 내역 | 프랑키 상 (1960년) 가드너 국제상 (1967년) H.P. 하이네켄 생화학 및 생물물리학상 (1973년) 노벨 생리학·의학상 (1974년) ForMemRS (1988년) E.B. 윌슨 메달 (1989년) |
학력 | |
교육 | 안트베르펜 우리 레이디 칼리지 루뱅 가톨릭 대학교 |
2. 생애
크리스티앙 드뒤브는 제1차 세계 대전 중 벨기에를 떠나 영국 런던 근교 템스 디턴에서 태어났으며, 1920년 가족과 함께 벨기에로 돌아왔다. 앤트워프에서 예수회 교육을 받고 루뱅 가톨릭 대학교에서 의학을 공부하여 1941년 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인슐린 연구를 통해 글루카곤을 발견했으며, 1947년 루뱅 가톨릭 대학교 교수가 되었고, 1962년부터는 록펠러 대학교 교수를 겸임했다.
1988년 왕립 학회 외국인 회원으로 선출되었으며, 2013년 벨기에에서 안락사로 생을 마감했다.[73][74][75][76]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크리스티앙 드뒤브는 부동산 중개업자였던 아버지 알퐁스 드뒤브와 어머니 마들렌 퐁의 아들로, 런던 근교의 템스 디턴에서 태어났다. 그의 부모는 제1차 세계 대전 발발과 함께 벨기에를 탈출했다.[2] 1920년, 전쟁이 끝난 후 3살이 된 그는 가족과 함께 벨기에로 돌아갔다. 그는 조숙한 아이였고, 다른 학생들에게 기회를 주기 위해 "경쟁에서 제외"된 한 해를 제외하고는 항상 학교에서 가장 뛰어난 학생이었다 (그는 이를 "primus perpetuus"라고 회상했다).[2]그는 앤트워프에 있는 온즈 리에브-브라우윈스티튜트에서 예수회 교육을 받은 후, 1934년 루뱅 가톨릭 대학교에서 공부했다.[14] 그는 내분비학을 전공하고 싶어 벨기에 생리학자 조제프 P. 부카르트의 연구실에 합류했는데, 부카르트의 주요 관심사는 인슐린이었다.[15] 1940년 의과대학 마지막 해에 독일군이 벨기에를 침공했다. 그는 벨기에군에 징병되어 남부 프랑스에 군의관으로 배치되었다. 그곳에서 그는 거의 즉시 독일군에 포로로 잡혔다. 유창한 독일어와 플라망어를 구사하는 능력은 그가 포로를 속이는 데 도움이 되었다. 그는 나중에 "영웅적이기보다는 코미디에 가까웠다"고 묘사한 모험을 통해 벨기에로 탈출했다.[10]
그는 즉시 의학 과정을 계속하여 1941년 루뱅에서 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졸업 후 드뒤브는 인슐린과 포도당 대사에서의 인슐린의 역할에 대한 주요 연구를 계속했다. 그는 (얼 서덜랜드와 함께) 인슐린의 상업적 제제가 또 다른 췌장 호르몬, 즉 인슐린 길항제인 글루카곤에 의해 오염되었다는 것을 처음 발견했다.[15] 그러나 루뱅의 실험실 물품이 부족했기 때문에 그는 암 연구소에서 화학 학위를 받기 위한 프로그램에 등록했다. 인슐린에 대한 그의 연구는 1945년 브뤼셀과 파리에서 동시에 출판된 400페이지 분량의 책 ''Glucose, Insuline et Diabète'' (포도당, 인슐린 및 당뇨병)에 요약되었다. 이 책은 1945년 그에게 대학교 수준에서 가장 높은 학위인 ''agrégation de l'enseignement supérieur'' (박사 학위에 해당, 그는 이를 "영광스러운 일종의 박사 학위"라고 불렀다)를 받게 한 기술 논문으로 요약되었다.[10] 그의 논문 후에는 많은 과학 출판물이 이어졌다.[16] 그는 이어서 1946년 석사 학위를 받았는데, 이 학위는 페니실린의 정제에 대한 연구였다.[17]
생화학 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해 그는 1946년에서 47년 사이 18개월 동안 스톡홀름의 노벨 의학 연구소에서 휴고 테오렐 (1955년 노벨 생리학·의학상 수상자)의 연구실에서 훈련을 받았다. 1947년, 그는 록펠러 재단 펠로우십으로 재정적 지원을 받아 세인트루이스 워싱턴 대학교에서 칼 코리와 거티 코리와 6개월 동안 함께 연구했다 (부부는 1947년 노벨 생리학·의학상 공동 수상자였다).[18]
2. 2. 학문적 경력
크리스티앙 드뒤브는 1941년 루뱅 가톨릭 대학교에서 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졸업 후 인슐린과 포도당 대사에서의 인슐린의 역할에 대한 연구를 계속했다. 그는 얼 서덜랜드와 함께 인슐린의 상업적 제제가 또 다른 췌장 호르몬, 즉 인슐린 길항제인 글루카곤에 의해 오염되었다는 것을 처음 발견했다.[15] 루뱅의 실험실 물품이 부족했기 때문에 암 연구소에서 화학 학위를 받기 위한 프로그램에 등록했다. 인슐린에 대한 그의 연구는 1945년 브뤼셀과 파리에서 동시에 출판된 400페이지 분량의 책 ''Glucose, Insuline et Diabète'' (포도당, 인슐린 및 당뇨병)에 요약되었다. 이 책은 1945년 그에게 대학교 수준에서 가장 높은 학위인 ''agrégation de l'enseignement supérieur'' (박사 학위에 해당)를 받게 한 기술 논문으로 요약되었다.[10] 이후 많은 과학 출판물이 이어졌다.[16] 1946년 페니실린의 정제에 대한 연구로 석사 학위를 받았다.[17]생화학 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해 1946년부터 1947년까지 18개월 동안 스톡홀름의 노벨 의학 연구소에서 휴고 테오렐(1955년 노벨 생리학·의학상 수상자)의 연구실에서 훈련을 받았다. 1947년, 록펠러 재단 펠로우십으로 재정적 지원을 받아 세인트루이스 워싱턴 대학교에서 칼 코리와 거티 코리와 6개월 동안 함께 연구했다(부부는 1947년 노벨 생리학·의학상 공동 수상자였다).[18]
1947년 3월, 드뒤브는 루뱅 가톨릭 대학교 의과대학 교수로 임용되어 생리 화학을 가르쳤다. 1951년에는 정교수가 되었다. 1960년, 당시 뉴욕 록펠러 연구소(현재의 록펠러 대학교) 소장이었던 데틀레프 브롱크는 브뤼셀에서 그를 만나 교수직과 연구실을 제안했다. 루뱅 총장은 드뒤브를 완전히 잃을까 두려워하여, 저녁 식사 자리에서 드뒤브가 강의 및 시험을 면제받고 파트타임으로 임명되는 타협안을 제시했다. 총장과 브롱크는 처음에 5년간 지속되는 합의를 했다. 공식적인 임명은 1962년에 이루어졌으며, 드뒤브는 루뱅과 록펠러 대학교의 연구소를 동시에 이끌며 뉴욕과 루뱅을 오가며 시간을 보냈다.[19]
1969년, 루뱅 가톨릭 대학교는 언어적 경계에 따라 두 개의 별도 대학교로 분리되었다. 드뒤브는 프랑스어 사용 측인 루뱅 가톨릭 대학교를 선택했다. 1985년 루뱅 가톨릭 대학교에서, 1988년 록펠러 대학교에서 명예 교수가 되었지만, 연구는 계속했다. 그는 속도 구역 원심 분리를 사용하여 쥐 간 세포 내 효소의 분포를 연구했다. 그의 세포 분획에 대한 연구는 세포 구조의 기능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했다. 그는 세포 내 생화학 및 세포 생물학을 전공했으며 새로운 세포 소기관을 발견했다.[20][21][22][23][24][25][26][27][28][29][30][31][32][33]
2. 3. 개인사
크리스티앙 드뒤브는 부동산 중개업자였던 아버지 알퐁스 드뒤브와 어머니 마들렌 퐁의 아들로, 런던 근교의 템스 디턴에서 태어났다. 그의 부모는 제1차 세계 대전 발발과 함께 벨기에를 탈출했다. 1920년, 전쟁이 끝난 후 3살이 된 그는 가족과 함께 벨기에로 돌아갔다.[2] 그는 앤트워프에 있는 온즈 리에브-브라우윈스티튜트에서 예수회 교육을 받았다.[14]1943년 9월 30일 자닌 헤르만과 결혼하여 두 아들(그 중 한 명은 저명한 미술 교수인 티에리 드 뒤브)과 두 딸을 두었다. 자닌은 2008년 86세의 나이로 사망했다.[17]
드뒤브는 로마 가톨릭교 신자로 자랐으나, 말년에는 엄격한 무신론이라기보다는 불가지론에 기울었다.[67][68] 그는 죽기 불과 한 달 전 벨기에 신문 ''르 수아르''에 "죽음이 두렵지 않다고 말하는 것은 과장이겠지만, 나는 믿는 사람이 아니기 때문에 죽음 이후에 대해 두려워하지 않는다"고 명시적으로 말했다.[70][71]
2013년 5월 4일 벨기에 네텐 자택에서 95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그는 오랫동안 암과 심방 세동으로 고통받았으며, 최근 자택에서 넘어진 사고로 건강 문제가 악화되어 두 명의 의사가 지켜보는 가운데, 네 자녀가 참석한 가운데 합법적인 안락사로 생을 마감하기로 결정했다.[73][74][75][76] 그는 유언에 따라 화장되었으며, 그의 유해는 가족과 친구들에게 나누어졌다.
3. 연구 업적
크리스티앙 드뒤브는 침강 속도법을 사용하여 쥐의 간세포 효소 분포를 연구했고, 세포 분획 연구를 통해 세포 구조와 기능에 대한 새로운 지식을 얻었다. 그는 세포 내 생화학과 세포 생물학을 전문으로 연구하여 리소좀과 페록시솜 등의 새로운 세포 소기관을 발견했다.[89] 1963년에는 자가포식이라는 용어를 만들었다.
드뒤브는 만년에 생명의 기원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여, 티오에스터가 생명의 기원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티오에스터 월드' 가설을 제안했다. 그의 연구는 진핵생물 세포의 미토콘드리아와 엽록체가 원래 진정세균이 진핵생물 세포 내에 공생하게 된 것이라는 세포 내 공생설이 정설로 받아들여지는 데 기여했다. 드뒤브는 과산화소체가 최초의 세포 내 공생체였을 것이라고 주장했지만, DNA를 가지고 있지 않아 미토콘드리아나 엽록체의 공생에 비해 근거가 희박하다고 여겨진다.
3. 1. 글루카곤 재발견
글루카곤은 1923년 킴벌과 멀린이 췌장 추출물에서 고혈당증(혈당 상승)을 유발하는 물질로 처음 발견했다.[34] 그러나 글루카곤의 생물학적 중요성은 알려지지 않았고, 그 이름 자체도 잊혀졌다. 드뒤브가 루뱅 대학교에서 인슐린 연구를 시작했을 때도 글루카곤의 역할은 여전히 수수께끼였다.1921년부터 일라이 릴리 앤드 컴퍼니는 최초로 상업용 인슐린을 생산했지만, 추출 과정에서 불순물이 섞여 가벼운 고혈당증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었다. 1944년 5월, 드뒤브는 결정화 과정을 통해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음을 발견했다. 그는 릴리의 인슐린에 불순물이 포함되어 있음을 증명했고, 쥐 실험을 통해 릴리 인슐린은 초기 고혈당증을 유발했지만 덴마크 노보 인슐린은 그렇지 않다는 것을 밝혀냈다. 1947년 드뒤브의 연구 결과가 발표된 후, 릴리는 생산 방식을 개선했다.[35]
그 무렵 드뒤브는 세인트루이스 워싱턴 대학교의 칼 코리와 거티 코리 부부의 연구실에 합류했고, 얼 윌버 서덜랜드 주니어와 함께 연구했다. 서덜랜드는 인슐린 속 불순물의 정체를 밝히기 위해 노력하고 있었으며, 이 물질을 고혈당-글리코겐 분해(HG) 인자라고 불렀다.[15]
드뒤브와 서덜랜드는 HG 인자가 췌장뿐만 아니라 위 점막 등 소화관의 다른 부분에서도 만들어진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또한, 이 호르몬이 랑게르한스섬에서 인슐린을 생성하는 베타 세포와는 다른 알파 세포에서 생성된다는 것을 알아냈다. 드뒤브는 서덜랜드가 연구하던 HG 인자가 사실 글루카곤과 동일하다는 것을 깨달았다. 1951년 드뒤브는 글루카곤이라는 이름을 다시 사용하기 시작했고, 이들의 연구를 통해 글루카곤이 간에서 글리코겐 분해를 촉진하여 혈당을 높이는 주요 호르몬이라는 것이 밝혀졌다.[36]
드뒤브는 췌장의 알파 세포가 글루카곤을 생성한다는 가설을 세웠고, 코발트를 이용해 알파 세포를 선택적으로 손상시킨 기니피그에서 글루카곤 생성이 중단되는 것을 확인하여 자신의 가설을 입증했다.[37] 1953년, 드뒤브는 마침내 글루카곤을 정제하는 데 성공했다.[38] 여기에는 새에서 추출한 호르몬도 포함되었다.[39][40][41][42]
드뒤브는 인슐린이 간에서 포도당 흡수를 촉진한다고 처음으로 주장했다. 또한 그는 정상 혈당 유지를 위해 인슐린과 글루카곤이 균형을 이루는 메커니즘(항상성)이 있다고 제안했다. 당시 이 아이디어는 논란이 많았지만, 글루카곤의 재발견으로 그의 주장은 힘을 얻었다. 1953년, 그는 글루카곤이 포도당 생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실험적으로 증명했다.[43][44]
3. 2. 리소좀 발견
크리스티앙 드뒤브와 그의 연구진은 간세포에서 인슐린 작용 기전을 연구하면서, 당 대사(당분해)의 핵심 효소이자 인슐린의 표적인 효소인 포도당 6-인산가수분해효소에 집중했다. 그들은 G6P가 혈당 조절의 주요 효소임을 발견했지만,[45][46] 반복적인 실험에도 불구하고 세포 추출물에서 이 효소를 정제하고 분리할 수 없었다. 그래서 그들은 효소 활성을 감지하기 위해 더 힘든 과정인 세포 분획을 시도했다.[47]이것은 우연한 발견의 순간이었다. 정확한 효소 활성을 추정하기 위해 연구진은 표준화된 효소인 산성 인산가수분해효소를 사용하는 절차를 채택했다. 그러나 예상보다 낮은, 즉 예상치의 약 10%에 불과한 활성을 발견했다. 그러던 어느 날, 그들은 5일 동안 보관해 둔 정제된 세포 분획의 효소 활성을 측정했다. 놀랍게도 효소 활성이 신선한 시료와 동일한 수준으로 증가했고, 이 과정을 반복할 때마다 유사한 결과가 나타났다. 이는 일종의 장벽이 효소가 기질에 빠르게 접근하는 것을 제한하여 효소가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야 확산될 수 있다는 가설로 이어졌다. 그들은 이 장벽을 "막으로 둘러싸인 주머니 모양의 구조로 산성 인산가수분해효소를 포함하고 있는" 막과 유사하다고 묘사했다.[48][49]
세포 분획 절차와 관련이 없는 효소는 세포 소기관으로 알려진 막성 분획에서 나왔다. 1955년, 드뒤브는 소화 특성을 반영하여 이들을 리소좀이라고 명명했다.[50] 같은 해, 버몬트 대학교의 알렉스 B. 노비코프가 드뒤브의 실험실을 방문하여 전자 현미경을 사용하여 리소좀 소기관의 첫 번째 시각적 증거를 성공적으로 제시했다. 산성 인산가수분해효소에 대한 염색 방법을 사용하여 드뒤브와 노비코프는 리소좀의 가수분해 효소(산성 가수분해 효소)의 위치를 더욱 확인했다.[21][51]
3. 3. 퍼옥시좀 발견
드뒤브는 리소좀이 확인된 후, 쥐 간 세포 분획에 요산 산화효소가 존재한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그는 그것이 리소좀 효소의 전형적인 산성 가수분해효소가 아니기 때문에 리소좀이 아니라고 생각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것은 효소 산성 인산가수분해효소와 비슷한 분포를 보였다. 1960년에 그는 세포 분획에 비슷하게 분포된 다른 효소 (예: 카탈라아제 및 D-아미노산 산화효소)를 발견했고, 당시에는 이것이 미토콘드리아 효소라고 생각했다.[52] 베른하르트 교수와 륄리에 교수는 이러한 미토콘드리아 외부 소기관을 미세소체라고 설명했으며, 이것이 미토콘드리아의 전구체라고 믿었다.[53] 드뒤브는 세 가지 효소가 유사한 화학적 특성을 보였으며, 다른 과산화물 생성 산화효소와 유사하다고 언급했다.[54]드뒤브는 새로 발견된 효소를 미세소체라고 부르는 것에 회의적이었다. 그는 "효소 보완과 간세포 생리학에서의 역할에 대해 알려진 바가 너무 적어 현재로서는 제안을 입증할 수 없다"고 말했다.[55] 그는 이러한 효소가 동일한 세포 소기관에 속하지만 이전에 알려진 소기관과는 다르다고 제안했다.[21] 그러나 강력한 증거가 부족했기 때문에 그는 가설을 발표하지 않았다. 1955년에 그의 팀은 섬모 원생동물인 테트라히메나 피리포르미스에서 동일한 생화학적 특성을 가진 유사한 세포 분획을 입증했다. 따라서 이 입자는 미토콘드리아와 관련이 없는 미확인 세포 소기관으로 밝혀졌다. 그는 1955년 미국 세포 생물학회에서 자신의 발견을 발표했고,[56] 1966년에 공식적으로 출판하여 과산화효소 반응에 관여하는 소기관에 페록시솜이라는 이름을 붙였다.[57] 1968년에 그는 페록시솜의 첫 번째 대규모 제조를 달성하여 l-α 하이드록시산 산화효소, D-아미노산 산화효소, 카탈라아제가 모두 페록시솜의 고유한 효소임을 확인했다.[58][59]
드뒤브와 그의 팀은 페록시솜이 미토콘드리아와는 다른 경로로 매우 긴 사슬 지방산의 β-산화를 포함하여 중요한 대사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또한 페록시솜은 식물과 원생동물을 포함한 다양한 세포에 존재하는 진화적으로 관련된 소기관의 대규모 계열에 속하며, 이러한 세포에서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한다는 것도 밝혀냈다. (그리고 글리옥시솜 및 글리코솜과 같은 특정 이름이 지정되었다.)[15][60][61]
3. 4. 세포 내 공생설 기여
드뒤브는 세포 내 공생설을 받아들이는데 기여했다. 세포 내 공생설은 진핵생물 세포 내의 소기관이 원핵생물 세포가 진핵생물 세포 내에서 세포내 공생체로 살게 되면서 기원했다고 제안한다. 드뒤브의 주장에 따르면, 내포작용으로 음식을 포획하고 세포 내에서 소화하는 능력을 포함하여 구조와 특성을 가진 진핵생물 세포가 먼저 발달했다. 이후 원핵생물 세포가 통합되어 더 많은 소기관을 형성했다.[62]드뒤브는 초기 지구 대기에서 증가하는 자유 분자 산소에 세포가 견딜 수 있게 해준 과산화소체가 최초의 세포내 공생체였을 수 있다고 제안했다. 과산화소체는 자체 DNA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이 제안은 미토콘드리아와 엽록체에 대한 유사한 주장보다 증거가 훨씬 적다.[63][64] 그의 만년은 주로 생명의 기원 연구에 바쳐졌으며, 그는 여전히 추측이 많은 분야임을 인정했다(티오에스터 참조).[65][66]
3. 5. 기타 연구
그는 침강 속도법을 사용하여 쥐 간세포의 효소 분포를 연구했다. 세포 분획에 대한 그의 연구는 세포 구조의 기능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했다. 그는 세포 내 생화학과 세포 생물학을 전문으로 했고, 과산화소체, 리소좀 등의 새로운 세포 내 소기관을 발견했다.[89]또한 만년에는 생명의 기원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여, 티오에스터가 생명의 기원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티오에스터 월드」라는 가설을 세웠다.
그의 연구를 통해, 진핵생물 세포에 있는 미토콘드리아와 엽록체는 원래 진정세균이 진핵생물 (또는 그 조상) 세포 내에 살게 된 것이라는 세포 내 공생설이 정설이 되었다 (드 듀브 자신은 다른 몇몇 세포 내 소기관에 대해서도 세포 내 공생설을 제창했다).
드 듀브는 과산화소체가 최초의 세포 내 공생체이며, 이것 덕분에 지구 대기 중에 산소가 많아진 환경에서도 세포가 생존할 수 있게 되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과산화소체는 고유의 DNA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미토콘드리아나 엽록체의 공생에 비해 근거가 희박하다고 여겨진다.
4. 수상 및 서훈
크리스티앙 드뒤브는 1960년에 프랑키 상 (생물학 및 의학)을 수상했고,[77] 1974년에는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다. 1989년에는 보두앵 1세로부터 자작 작위를 받았다.[17] 또한 1967년에는 게르트너 국제상을 수상했으며,[78] 1973년에는 네덜란드 왕립 예술 과학 아카데미에서 H.P. 하이네켄 생화학 및 생물물리학상을 수상했다.[79]
1975년에는 미국 국립 과학 아카데미의 외국인 회원이 되었다.[80] 1978년에는 영국 생화학회의 하든 메달, 1981년에는 올버니 의과대학의 테오발드 스미스상, 1985년에는 히메네스 디아즈상, 1986년에는 버지니아 의과대학의 생화학 혁신가상, 1989년에는 E.B. 윌슨 메달을 수상했다.[81][82]
그는 벨기에 왕립 의학 아카데미 및 벨기에 왕립 과학 문학 아카데미, 바티칸의 교황청 과학 아카데미,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 프랑스 국립 의학 아카데미, 프랑스 과학 아카데미, 독일 과학 아카데미 레오폴디나, 미국 철학회의 회원이기도 했으며, 1988년에는 왕립학회 외국인 회원(ForMemRS)으로 선출되었다.[1] 그는 전 세계 18개 대학교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다.[18]
연도 | 상 |
---|---|
1960년 | 프랑키 상 (생명 과학·약학 부문) |
1967년 | 개드너 국제상 |
1973년 | 하이네켄 상 |
1974년 | 노벨 생리학·의학상 |
1989년 | E. B. 윌슨 메달 |
5. 저서
크리스티앙 드뒤브는 기술적인 저서와 대중적인 저서를 모두 포함하여 다작의 저술가였다. 주요 저서는 다음과 같다.
출판 연도 | 원제 | 한국어 번역 제목 |
---|---|---|
1984 | A Guided Tour of the Living Cell | A Guided Tour of the Living Cell|살아있는 세포 안내서영어 |
1987 | La cellule vivante, une visite guidée | La cellule vivante, une visite guidée|살아있는 세포, 안내 여행프랑스어 |
1990 | Construire une cellule | Construire une cellule|세포 만들기프랑스어 |
1991 | Blueprint for a Cell: the Nature and Origin of Life | Blueprint for a Cell: the Nature and Origin of Life|세포 설계도: 생명의 본질과 기원영어 |
1995 | Poussière de vie | Poussière de vie|생명의 먼지프랑스어 |
1996 | Vital Dust: Life as a Cosmic Imperative | Vital Dust: Life as a Cosmic Imperative|생명의 필수 요소: 우주적 당위로서의 생명영어 |
2002 | Life Evolving: Molecules, Mind, and Meaning | Life Evolving: Molecules, Mind, and Meaning|진화하는 생명: 분자, 마음, 의미영어 |
2002 | À l’écoute du vivant | À l’écoute du vivant|생명을 경청하며프랑스어 |
2005 | Singularities: Landmarks on the Pathways of Life | Singularities: Landmarks on the Pathways of Life|특이점: 생명의 길 위에 있는 랜드마크영어 |
2005 | Singularités: Jalons sur les chemins de la vie | Singularités: Jalons sur les chemins de la vie|특이점: 생명의 길에 있는 이정표프랑스어 |
2005 | Science et quête de sens | Science et quête de sens|과학과 의미 탐구프랑스어 |
2009 | Génétique du péché originel. Le poids du passé sur l’avenir de la vie | Génétique du péché originel. Le poids du passé sur l’avenir de la vie|원죄 유전자: 과거가 생명의 미래에 미치는 영향프랑스어 |
2010 | Genetics of Original Sin: The Impact of Natural Selection on the Future of Humanity | Genetics of Original Sin: The Impact of Natural Selection on the Future of Humanity|원죄의 유전학: 자연 선택이 인류의 미래에 미치는 영향영어 |
2011 | De Jesus a Jesus... en passant par Darwin | De Jesus a Jesus... en passant par Darwin|예수에서 예수로... 다윈을 거쳐프랑스어 |
참조
[1]
웹사이트
Fellowship of the Royal Society 1660–2015
https://docs.google.[...]
Royal Society
[2]
논문
Christian de Duve (1917–2013) Biologist who won a Nobel prize for insights into cell structure
[3]
웹사이트
The Nobel Prize in Physiology or Medicine 1974
https://www.nobelpri[...]
Nobel Foundation
2014-12-31
[4]
웹사이트
"{{PAGENAMEBASE}}"
[5]
웹사이트
A rather ordinary person
https://www.webofsto[...]
2017-05-04
[6]
Youtube
Free to view video interview with Christian de Duve provided by the Vega Science Trust
http://www.vega.org.[...]
[7]
뉴스
Biography
https://www.telegrap[...]
The Daily Telegraph
2018-02-11
[8]
웹사이트
Retrospective: Christian de Duve, 1917–2013
http://www.asbmb.org[...]
2018-02-11
[9]
뉴스
Christian de Duve, 95, Dies; Nobel-Winning Biochemist
https://www.nytimes.[...]
2013-11-18
[10]
논문
My love affair with insulin
[11]
웹사이트
Institut de Duve
https://www.deduvein[...]
2022-09-17
[12]
논문
Nobel prize winner Christian de Duve. From insulin to lysosomes
http://hormones.gr/p[...]
[13]
웹사이트
The Director-General Pays Tribute to the Memory of Professor Christian de Duve
http://www.unesco.or[...]
UNESCO
2013-06-30
[14]
간행물
Christian René de Duve
http://www.britannic[...]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2013-06-30
[15]
논문
Christian de Duve: Explorer of the cell who discovered new organelles by using a centrifuge
[16]
서적
Encyclopedia of Life Science, Volume 1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17]
뉴스
Christian de Duve: Authority on cell mechanisms
https://www.independ[...]
2013-10-31
[18]
논문
A Feeling for the Cell: Christian de Duve (1917–2013)
[19]
서적
Crucible of Science: The Story of the Cori Laborator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
논문
Special issue: Proteolysis 50 years after the discovery of lysosome in honor of Christian de Duve
[21]
논문
Autophagy revisited: A conversation with Christian de Duve
[22]
논문
Scientific work of Christian de Duve
[23]
논문
A tribute to Professor Christian de Duve on his 90th birthday
[24]
논문
A. Claude (1899-1983), C. De Duve (1917-) and G. E. Palade (1912-): Nobel Prize for discoveries in integrated cell physiology. Clarification of aetiology and pathogenesis of a great number of diseases
[25]
논문
Nobel prize winner Christian de Duve. From insulin to lysosomes
[26]
논문
The Nobel chronicles. 1974: Albert Claude (1899-1983), George Emil Palade (b 1912), and Christian Réne de Duve (b 1917)
[27]
논문
Christian de Duve and the discovery of lysosomes and peroxisomes
[28]
논문
Introduction of Professor Christian De Duve, Nobel Prize in Medicine and Physiology in 1974
[29]
논문
Profile of Dr. C. De Duve, the 1974 Nobel prize winner in medical physiology
[30]
논문
The Nobel Prize in Medicine for Claude, Palade and De Duve
[31]
논문
Nobel prize in medicine 1974 (Albert Claude, George Palade, Christian de Duve)
[32]
논문
Homage to Albert Claude and Christian de Duve, Nobel Prize laureates in medicine and physiology, 1974
https://dipot.ulb.ac[...]
[33]
논문
Quinquennial prizes of the medical sciences, period 1961-1965. Address by Prof. Chr. De Duve
[34]
논문
Aqueous extracts of pancreas III. Some precipitation reactions of insulin
http://www.jbc.org/c[...]
[35]
논문
The action of insulin
[36]
논문
Glucagon, the hyperglycemic factor of the pancreas
[37]
논문
New research on glucagon
[38]
논문
glycogenolytic factor of the pancreas
[39]
논문
Glucagon content of avian pancreas
[40]
논문
Nobel prize winner Christian de Duve. From insulin to lysosomes
http://www.hormones.[...]
[41]
논문
Unexpected Observations--A Tribute to Christian de Duve (1917-2013)
[42]
논문
Early milestones in glucagon research
[43]
논문
Influence of glucagon on the action of insulin
[44]
논문
Glucagon; the hyperglycaemic glycogenolytic factor of the pancreas
[45]
논문
Tissue fractionation studies. I. The existence of a mitochondria-linked, enzymically inactive form of acid phosphatase in rat-liver tissue
[46]
논문
Tissue fractionation studies. II. The nature of the linkage between acid phosphatase and mitochondria in rat-liver tissue
[47]
논문
The hexosephosphatase system. VI. Attempted fractionation of microsomes containing glucose-6-phosphatase
[48]
논문
Tissue fractionation studies. 5. The association of acid phosphatase with a special class of cytoplasmic granules in rat liver
1955
[49]
논문
The Discovery of Lysosomes and Autophagy
http://www.nature.co[...]
[50]
논문
The lysosome turns fifty
[51]
논문
Electron microscopy of lysosomerich fractions from rat liver
[52]
논문
Intracellular localization of catalase and of some oxidases in rat liver
[53]
논문
Microbodies and the problem of mitochondrial regeneration in liver cells
[54]
서적
Advances in Enzymology and Related Areas of Molecular Biology
[55]
논문
Combined biochemical and morphological study of particulate fractions from rat liver. Analysis of preparations enriched in lysosomes or in particles containing urate oxidase, D-amino acid oxidase, and catalase
1965
[56]
논문
Seeing peroxisomes
2005
[57]
논문
Peroxisomes (microbodies and related particles)
[58]
논문
The large-scale separation of peroxisomes, mitochondria, and lysosomes from the livers of rats injected with triton WR-1339. Improved isolation procedures, automated analysis, biochemical and morphological properties of fractions
[59]
논문
The peroxisome: a new cytoplasmic organelle
[60]
논문
Peroxisomes and related particles in historical perspective
1982
[61]
논문
The Peroxisome in Retrospect
1996
[62]
논문
The origin of eukaryotes: a reappraisal
[63]
논문
Evolution of the peroxisome
[64]
논문
The birth of complex cells
[65]
논문
Constraints on the origin and evolution of life
[66]
논문
Reflections on the origin and evolution of life
[67]
웹사이트
Introductory Essay for ''Life Evolving: Molecules, Mind, and Meaning''
http://www.issrlibra[...]
International Society for Science & Religion
2013-11-18
[68]
뉴스
A Nobel Laureate And Proponent of Original Sin
https://www.forbes.c[...]
2013-11-18
[69]
웹사이트
Does the Universe Have a Purpose? No
http://www.templeton[...]
John Templeton Foundation
2013-11-18
[70]
뉴스
Nobel-winning cancer researcher ends his own life
http://www.abc.net.a[...]
2013-11-18
[71]
뉴스
Christian de Duve: Authority on cell mechanisms
https://www.independ[...]
The Independent
2013-11-18
[72]
웹사이트
Christian de Duve dies
http://ncse.com/news[...]
National Center for Science Education
2013-10-31
[73]
간행물
Christian de Duve
[74]
뉴스
Christian de Duve, 95, Dies; Nobel-Winning Biochemist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3-05-06
[75]
뉴스
Nobel winner Christian de Duve dies at 95
https://www.washingt[...]
2013-05-08
[76]
뉴스
Dr Christian de Duve dies at 95; Nobel-winning scientist
https://www.latimes.[...]
Los Angeles Times
2013-06-30
[77]
웹사이트
Lauréats
http://www.francquif[...]
2018-05-02
[78]
웹사이트
Index of Winners
https://gairdner.org[...]
2018-05-02
[79]
웹사이트
Dr H.P. Heineken Prize for Biochemistry and Biophysics
https://knaw.nl/en/a[...]
2018-05-02
[80]
웹사이트
Christian de Duve
http://www.nasonline[...]
2018-05-02
[81]
웹사이트
Nobel laureate Christian de Duve dies at 95
https://www.rockefel[...]
The Rockefeller University
2013-05-06
[82]
웹사이트
E.B. Wilson Medal
http://www.ascb.org/[...]
2018-05-02
[83]
웹사이트
de Duve Institute: History
http://www.deduveins[...]
deduveinstitute.be
2013-06-30
[84]
웹사이트
"Exploring Cells With a Centrifuge": The Discovery of the Lysosome
http://centennial.ru[...]
The Rockefeller University
2015-01-04
[85]
웹사이트
Belgian Society of Biochemistry and Molecular Biology: Short history of the Society
http://www.icp.ucl.a[...]
Belgian Society of Biochemistry and Molecular Biology
2013-10-30
[86]
간행물
Lysosomes revisited
[87]
웹사이트
Portrait of a Nobel Prize: Christian de Duve (Portrait de Nobel: Christian de Duve, 2012)
http://www.eurochann[...]
Eurochannel
2014-12-31
[88]
웹사이트
Christian de Duve, 95, Dies; Nobel-Winning Biochemist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3-05-26
[89]
간행물
Aminopeptidase I of Saccharomyces cerevisiae is localized to the vacuole independent of the secretory pathway.
1992-10
[90]
저널
Christian de Duve (1917–2013) Biologist who won a Nobel prize for insights into cell structure
[91]
웹인용
Dr Christian Renè Marie Joseph de Duve
http://www.findagrav[...]
Find A Grave
2013-11-27
[92]
웹인용
The Nobel Prize in Physiology or Medicine 1974
https://www.nobelpri[...]
Nobel Media AB
2014-12-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