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클라이맥스 시리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클라이맥스 시리즈는 일본 프로 야구의 포스트 시즌 토너먼트 제도로, 퍼시픽 리그에서 2004년부터 2006년까지, 센트럴 리그는 2007년부터 도입되었다. 각 리그 상위 팀들이 일본 시리즈 진출을 놓고 경쟁하며, 2020년에는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센트럴 리그는 취소되었고, 퍼시픽 리그는 경기 방식이 변경되었다. 클라이맥스 시리즈는 퍼스트 스테이지와 파이널 스테이지로 구성되며, 2010년 이후 명칭이 변경되었다. 경기 방식은 정규 시즌 순위에 따라 상위 팀에 어드밴티지가 주어지며, 승리 팀은 일본 시리즈에 진출한다. 이 제도는 흥행 성공을 거두었지만, 비판과 문제점도 존재하며, 규칙 수정 및 개선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MVP 시상과 함께, 팀 및 개인 상이 수여되며, 매년 타이틀 스폰서가 참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야구 대회 -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은 센트럴 리그와 퍼시픽 리그의 최고 선수들이 맞붙는 올스타전으로, 팬 투표, 선수간 투표, 감독 추천을 통해 선수를 선발하며, 12개 구단에게 차례로 개최권이 주어지는 2경기로 진행된다.
  • 일본의 야구 대회 - 일본 시리즈
    일본 시리즈는 일본 프로야구 챔피언을 가리는 7전 4선승제 포스트시즌 시리즈로, 센트럴 리그와 퍼시픽 리그 클라이맥스 시리즈 우승팀이 맞붙으며 연장전 이닝 제한 및 지명타자 제도 적용 여부가 시대에 따라 변동되고 요미우리 자이언츠가 최다 우승을 기록했다.
  • 일본 야구 기구 - 퍼시픽 리그
    퍼시픽 리그는 1949년 태평양 야구 연맹으로 출범하여 1980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6개 구단으로 구성되어 난카이, 니시테쓰, 한큐, 세이부 등의 강세 시대를 거쳐 스즈키 이치로, 마쓰자카 다이스케 같은 스타 선수들의 활약과 돔 구장 시대, 지역 밀착 정책, 리그 재편, 그리고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왕조 시대를 거쳐 1975년부터 지명 타자 제도를 운영하며 센트럴 리그와의 교류전 및 클라이맥스 시리즈를 통해 일본 시리즈 진출팀을 결정한다.
  • 일본 야구 기구 - 센트럴 리그
    센트럴 리그는 1949년 일본 프로야구 재편으로 출범하여 팀 합병과 해체를 거쳐 현재 6개 팀으로 구성되었으며, 클라이맥스 시리즈를 통해 일본 시리즈 진출팀을 결정하는 일본 프로야구의 핵심 리그이다.
  • 2007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타사 다 리가
    타사 다 리가는 포르투갈 프로 축구 컵 대회로, 클럽과 LPFP의 경기 수와 수익 증대를 목표로 창설되었으며 SL 벤피카가 최다 우승팀이고 파울리뉴가 최다 득점자이다.
  • 2007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아시안 피겨스케이팅 트로피
    아시안 피겨스케이팅 트로피는 아시아 스케이팅 연맹이 주최하는 국제 피겨 스케이팅 대회이며, 2007년부터 개최되어 시니어, 주니어, 노비스 등 다양한 클래스의 경기를 진행하고, 2018년부터는 ISU 챌린저 시리즈의 일부로 편입되었다.
클라이맥스 시리즈
개요
명칭클라이맥스 시리즈 (일본 프로 야구)
일본어 명칭클라이막스 시리즈 (Kuraimakkusu Shirīzu, クライマックスシリーズ)
설명일본 프로 야구의 플레이오프 시스템
대회 정보
스포츠프로 야구
참가 팀 수3
시작 연도2007년
클라이맥스 시리즈 - 센트럴 리그
현재 시즌2024년 센트럴 리그 클라이맥스 시리즈
최근 우승 팀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2회)
최다 우승 팀요미우리 자이언츠(5회)
클라이맥스 시리즈 - 퍼시픽 리그
현재 시즌2024년 퍼시픽 리그 클라이맥스 시리즈
최근 우승 팀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8회)
최다 우승 팀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8회)
관련 정보
관련 항목승률 1위·2위·3위에 의한 플레이오프 (2004년 - 2006년 퍼시픽 리그)
소니 뮤직 다이렉트에서 발매하고 있는 컴필레이션 앨범 시리즈
CLIMAX ~DRAMATIC SONGS
기타
비고#관련 기업 항목 참조

2. 도입 배경

2004년부터 2006년까지 3시즌 동안 퍼시픽 리그에서 플레이오프 제도를 시행하면서 흥행에 성공하고, 정규 시즌 1위가 아닌 팀이 일본 시리즈를 제패하는 경우가 생기자 센트럴 리그에서도 플레이오프 도입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었다.[103]

2006년 9월 4일, 프로 야구 실행 위원회는 2007년 시즌부터 센트럴 리그에도 플레이오프를 도입하기로 결정하고, 양대 리그의 플레이오프 방식과 명칭을 통일하기로 했다. 팬 공모를 통해 1,948건의 후보를 검토하여 2006년 11월 14일에 '클라이맥스 시리즈'(クライマックスシリーズ|클라이맥스 시리즈일본어)로 명칭을 확정했다.[104] 센트럴 리그는 '클라이맥스 세', 퍼시픽 리그는 '클라이맥스 파'로 리그별 호칭도 정했다.

2020년에는 코로나19 영향으로 센트럴 리그는 클라이맥스 시리즈를 취소했고, 퍼시픽 리그는 경기 수를 단축하여 진행했다.[105]

2. 1. 퍼시픽 리그 플레이오프 (2004-2006)

2004년부터 2006년까지 3시즌 동안 퍼시픽 리그에서는 정규 시즌 상위 3개 팀이 일본 시리즈 진출을 놓고 경쟁하는 플레이오프 제도를 시행했다.[103] 이 제도는 리그 우승팀과 일본 시리즈 진출팀이 결정된 후 남은 경기를 줄이기 위한 목적이었다.

이 플레이오프는 흥행에 크게 성공했고, 2004년과 2005년에는 정규 시즌 1위가 아닌 팀이 플레이오프에서 승리하여 일본 시리즈를 제패하는 이변을 연출했다. 2006년에는 정규 시즌 1위 팀인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가 플레이오프와 일본 시리즈에서 모두 우승했다.

플레이오프 도입 당시에는 리그 2위 팀과 3위 팀 간의 경기를 '제1 스테이지'(준결승 또는 3위 결정전), 리그 우승 팀과 제1 스테이지 승리 팀 간의 경기를 '제2 스테이지'(결승전)라고 불렀다. 그러나 2010년 시즌부터는 제1 스테이지를 '퍼스트 스테이지', 제2 스테이지를 '파이널 스테이지'로 명칭을 변경했다.

2003년 2월, 퍼시픽 리그 이사회는 2004년 NPB 시즌에 사용할 플레이오프 시스템을 재도입하는 데 동의했다.[4] 정규 시즌 말에 1위 팀이 상당한 승차로 앞서 나가면 리그 챔피언이 결정되어 일본 시리즈가 시작될 때까지 흥미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3] 이 문제를 해결하고 리그의 인기를 높이기 위해 플레이오프를 추가하기로 결정했다.[4]

새로운 포스트시즌 계획은 상위 3개 팀이 경쟁하는 2단계 플레이오프였다. 1단계에서는 정규 시즌(135경기) 2위와 3위 팀이 3전 2선승제 시리즈를 치렀다. 이 시리즈의 승자는 2단계 결승전에서 리그 1위 팀과 맞붙었다. 2단계 승자는 센트럴 리그 클라이맥스 시리즈 챔피언 팀과 일본 시리즈에서 경쟁했다.

원래 시즌 종료 시 리그 1위 팀은 2단계 전체에서 홈 구장 어드밴티지만 받는 것으로 되어 있었다. 그러나 2003년 8월, 퍼시픽 리그 관계자는 1위 팀이 정규 시즌 종료 시 2위 팀보다 5경기 이상 앞서면 2단계 5전 3선승제 시리즈에서 1승 어드밴티지를 받게 된다고 발표했다.[5] 2006년 태평양 리그 플레이오프의 경우, 1위 팀에게 1승 어드밴티지를 자동으로 부여하는 방식으로 5경기 리드 요구 사항을 제거했다. 이 변경으로 1위 팀은 더 이상 2단계 전체에서 홈 구장 어드밴티지를 갖지 못하게 되었고, 남은 4경기는 두 팀의 구장에서 균등하게 분배되었다.[6]

2. 2. 센트럴 리그의 도입과 통합 (2007-)

2004년부터 2006년까지 3시즌 동안 퍼시픽 리그에서는 리그 우승과 일본 시리즈 진출이 결정된 후 소화 경기를 줄이기 위해 시즌 상위 3개 구단이 참여하는 토너먼트 방식의 플레이오프 제도를 실시했다.[103] 이는 흥행 면에서 큰 성공을 거두었고, 2004년과 2005년에는 정규 시즌 1위가 아닌 팀이 플레이오프에서 승리하고 일본 시리즈를 제패하기도 했다. 2006년에는 정규 시즌 1위였던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가 플레이오프와 일본 시리즈에서 모두 우승했다.

이러한 성공에 힘입어 2006년 센트럴 리그에서도 플레이오프 도입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었고, 같은 해 9월 4일 프로 야구 실행 위원회는 2007년 시즌부터 센트럴 리그에도 플레이오프를 도입하기로 결정했다. 당시에는 '포스트시즌 게임'이라는 가칭으로 불렸다. 양대 리그는 실시 방식과 명칭을 통일하기로 했고, 팬들로부터 명칭을 공모하여 1,948건의 응모작 중 '클라이맥스 시리즈'(クライマックスシリーズ일본어)를 최종 명칭으로 선정했다.[104] 센트럴 리그는 '클라이맥스 세'(クライマックス セ일본어), 퍼시픽 리그는 '클라이맥스 파'(クライマックス パ일본어)라는 리그별 호칭도 함께 발표되었다.

2004년부터 2006년까지 적용되었던 페넌트레이스 최종 순위 결정 요소는 폐지되었고, 페넌트레이스 순위는 페넌트레이스만으로 결정되도록 변경되었다.

도입 초기에는 리그 2위 팀과 3위 팀 간의 경기를 '제1 스테이지'(준결승 혹은 3위 결정전), 리그 우승 팀과 제1 스테이지 승리 팀 간의 경기를 '제2 스테이지'(결승전)라고 불렀다. 그러나 2010년 시즌부터 제1 스테이지는 '퍼스트 스테이지'(ファーストステージ일본어), 제2 스테이지는 '파이널 스테이지'(ファイナルステージ일본어)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센트럴 리그가 2010년 8월 2일 프로 야구 실행 위원회에서 명칭 변경을 보고했고, 퍼시픽 리그도 이에 동조하여 8월 16일 명칭 변경을 발표했다.

2020년 시즌에는 코로나19 확산으로 정규 시즌 개막이 3개월 늦춰지면서 클라이맥스 시리즈 일정도 변경되었다. 센트럴 리그는 돔 구장을 연고지로 하는 구단이 요미우리 자이언츠주니치 드래건스 두 구단뿐이어서 우천 취소에 대비한 예비일을 확보하기 어렵다는 이유로 2007년 도입 이후 처음으로 클라이맥스 시리즈를 취소했다. 반면 퍼시픽 리그는 정규 시즌 1위 팀과 2위 팀만 출전하여 파이널 스테이지에 해당하는 경기만 개최하고, 어드밴티지를 포함한 4전 3선승제로 단축하여 진행했다.[105]

3. 실행 방식

2006년 9월, 센트럴 리그와 퍼시픽 리그는 통합된 포스트 시즌 시스템인 "클라이맥스 시리즈"에 합의했다.[3] 양 리그는 144경기의 정규 시즌을 치르고, 정규 시즌 챔피언에게는 클라이맥스 시리즈 최종전에서 1승 어드밴티지를 주지 않기로 합의했다.[12][13] 그러나 2008년부터는 최종전 챔피언에게 1승 어드밴티지를 자동으로 부여하고, 최종전을 5전 3선승제에서 7전 4선승제로 변경했다.[14]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120경기로 단축된 2020 시즌에는 수정된 클라이맥스 시리즈가 진행되었다. 퍼시픽 리그 클라이맥스 시리즈는 상위 두 팀이 5전 3선승제로 진행되었고, 센트럴 리그는 플레이오프 시리즈를 생략하고 리그 챔피언을 일본 시리즈에 직행시켰다.[15]

두 리그는 동일한 포스트시즌 형식을 사용하며, 각 리그 상위 3개 팀이 2단계 플레이오프에 참가한다. 순위는 승률로 결정되며, 동률일 경우 다음 기준이 적용된다.[16]

동률일 경우 순위 결정 기준
센트럴 리그퍼시픽 리그



1단계는 정규 시즌 2위와 3위 팀이 3전 2선승제로, 모든 경기는 2위 팀 홈 구장에서 진행된다. 승자는 리그 우승팀과 최종 단계에서 6전 4선승제로 맞붙는다. 리그 챔피언은 1승 어드밴티지와 홈 경기 이점을 얻는다. 승리 팀은 일본 시리즈에 진출한다. NPB 경기는 12이닝 이후에도 승자가 없으면 무승부로 끝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시리즈가 무승부로 끝나는 경우, 상위 시드 팀이 진출한다.[18]

3. 1. 경기 방식

클라이맥스 시리즈는 양대 리그 정규 시즌에서 최종 성적이 3위 이상을 기록한 팀들이 일본 시리즈 진출권을 두고 다투는 경기이다. 스텝-레더 방식(2스테이지 토너먼트 제도)으로 진행된다.

퍼시픽 리그는 모든 경기에 지명타자 제도를 적용하지만, 센트럴 리그는 이 제도를 사용하지 않고 9인제로 진행한다. 심판은 주심, 누심 등 4명 외에 우익수 쪽과 좌익수 쪽에 한 명씩 배치되는 6인제가 도입된다.

클라이맥스 시리즈에서의 성적은 팀과 개인 모두 정규 시즌 기록에 반영되지 않는다. 정규 시즌과는 별도로 시상이 이루어지며, 사실상 컵 대회의 요소도 있다. 리그 우승 구단이 클라이맥스 시리즈를 우승하는 것을 '완전 우승'이라고 부른다.
퍼스트 스테이지정규 시즌 2위 구단과 3위 구단이 2위 구단의 홈구장에서 3전 2선승제로 맞붙는다. 승수가 많은 구단이 승자가 되어 파이널 스테이지에 진출한다. 패배한 구단은 퍼스트 스테이지에서 탈락하여 시즌이 종료된다. 무승부가 발생하여 3차전 종료 시점에서 대전 성적이 '1승 1무 1패' 또는 '0승 3무 0패'와 같이 같은 승패 수가 되면 2위 구단이 승자가 된다. 2차전 종료 시점에서 승자가 결정된 경우('두 구단 중 한 팀의 2승' 또는 '2위 구단의 1승 1무') 3차전은 실시하지 않는다.

2020년 퍼시픽 리그는 2팀만 참가했기 때문에 퍼스트 스테이지에 해당하는 경기는 열리지 않았다. 2010년 이후에도 신문 등에서는 옛 명칭과 같이 제1 스테이지로 표기되는 경우가 있다.
파이널 스테이지리그 우승 팀과 퍼스트 스테이지에서 승리한 팀이 리그 우승 팀의 홈구장에서 6경기제로 경기를 치른다. 리그 우승 팀에게는 정규 시즌 성적에 대한 혜택으로 1승의 어드밴티지가 주어진다. 이 어드밴티지 1승을 포함해 먼저 4승을 거둔 팀에게는 '클라이맥스 시리즈 우승 구단'이라는 칭호가 주어지며 일본 시리즈 진출권을 얻는다. 패배한 구단은 파이널 스테이지에서 탈락하여 시즌이 종료된다. 퍼스트 스테이지와 마찬가지로 무승부로 인해 승수가 같아질 경우에는 리그 우승 구단이 클라이맥스 시리즈 우승이 된다.[106]

2020년 퍼시픽 리그는 2팀만이 참가했기 때문에 파이널 스테이지만 개최되었고(스테이지 명칭은 붙이지 않음[107]), 어드밴티지 1승을 포함하여 먼저 3승을 올린 구단이 클라이맥스 시리즈에서 우승하게 됐다.[108] 1위 구단의 무승부 또는 패배 횟수가 승리 횟수를 앞서는 것이 결정되는 시점에서 종료되고, 나머지 경기는 실행하지 않는다. 이 경우에는 어느 쪽도 4승을 올리지 않아도 경기 도중에 중지되는 경우가 있다.[109]

클라이맥스 시리즈 도입 첫 해인 2007년에는 1승 어드밴티지가 주어지지 않은 조건하에서 5경기제(3선승제)로 경기를 치렀다. 플레이오프 제도를 처음 도입했던 퍼시픽 리그는 어드밴티지 제도 도입을 제안했지만, 센트럴 리그는 흥행을 이유로 소극적인 자세를 보였기 때문에 도입은 보류됐다. 당초에 '당장은 어드밴티지를 채택하지 않는다'고 공언했지만, 그해 센트럴 리그 제2 스테이지에서 주니치 드래건스가 정규 시즌 우승 팀인 요미우리 자이언츠에게 3연승을 거둔 것을 계기로 어드밴티지가 '부활'(센트럴 리그의 경우에는 '신설')됐다는 사례가 있다.

클라이맥스 시리즈 우승 구단은 일본 시리즈 출전권을 얻는데, 퍼시픽 리그는 정규 시즌 순위에 관계없이 매년 우승이 결정되면 헹가래가 이뤄지고 있는 반면, 센트럴 리그는 과거에 정규 시즌 2·3위 구단이 우승한 경우(2007년·2014년·2017년)에는 어떠한 해에도 헹가래를 한 적이 없다.

개최 일정에는 예비일이 설정되어 있어 악천후 등의 이유로 경기 취소 또는 노 게임이 선언됐을 경우에는 그 다음날 이후로 경기가 순차 연기됨을 원칙으로 한다. 단, 예비일을 포함한 일정에 모든 경기를 개최하지 못했을 경우 예비일 이후의 순연은 진행되지 않고 경기 자체를 취소시키며, 그 시점에서의 승패로 스테이지 승자를 결정한다. 승수가 같을 경우에는 정규 시즌 상위 구단이 스테이지 승자가 된다. 경기 취소 여부가 스테이지의 승패와 관련되기 때문에 정규 시즌 막바지와 마찬가지로[111] 경기 시작 전까지는 각 리그 책임자가 취소 결정권을 갖는다. 경기 시작 후에는 다른 경기와 마찬가지로 심판단이 판단한다.

퍼시픽 리그에서는 2경기 이상의 경기가 취소 또는 순연되면서 예비일 마지막날 하루 전까지 승부를 내지 못할 경우에는 더블헤더를 실시하는 경우가 있다(단, 승패에 따라서는 한 경기만으로 끝난다). 2013년 파이널 스테이지[112]에서는 취소된 경기가 발생하여[113] 처음으로 개최 가능성이 점쳐졌지만, 취소된 경기가 한 경기에 그쳐 예비일 전에 스테이지 승리 팀이 결정됐다.[114]

한편 센트럴 리그는 더블헤더를 실시하지 않는다.[115] 태풍의 접근이 예측된 2014년 퍼스트 스테이지에서도 퍼시픽 리그에서는 더블헤더를 실시할 가능성이 있었지만[116] 센트럴 리그는 실시 예정이 없었다. 따라서 만약 2위 팀이 1차전에서 승리하여 이틀 동안 경기가 중지될 경우에는 예비일의 경기를 거치지 않고 곧바로 스테이지 승리가 결정될 가능성도 있었다.[117] 결과적으로는 태풍이 접근하기 전에 개최된 두 경기에서 스테이지 승리 팀이 정해졌기 때문에 경기를 소화하지 않고 중단되는 사태는 피할 수 있었다. 2017년에도 기상 상황이 좋지 않아 센트럴 리그 퍼스트 스테이지 개최 여부가 불투명한 상황에 직면한 적이 있었고, 같은 리그의 파이널 스테이지에서는 비가 내리면서 그라운드의 흙이 진흙탕으로 변해버릴 정도로 침수되는 와중에 그대로 경기가 진행되는 등 논란이 일었다.[118] 2017년의 사례를 계기로 2018년 일정 방식이 검토됐지만, 상위 팀의 우위성을 유지하는 등의 이유로 변경하지 않고 실시하게 됐다.[119][120]

3. 2. 경기 운영

클라이맥스 시리즈는 양대 리그(센트럴 리그, 퍼시픽 리그) 정규 시즌에서 최종 성적이 3위 이상인 팀들이 일본 시리즈 진출권을 놓고 벌이는 스탭-레더 방식(2스테이지 토너먼트 제도) 경기이다.

퍼시픽 리그는 모든 경기에 지명타자 제도를 적용하지만, 센트럴 리그는 이 제도를 사용하지 않고 9인제로 경기를 운영한다. 심판은 주심, 누심 등 4명 외에 우익수와 좌익수 쪽에 각각 한 명씩 배치되는 6인제를 도입한다.

클라이맥스 시리즈의 성적은 정규 시즌 기록에 반영되지 않으며, 별도로 시상한다. 퍼시픽 리그에서는 협찬사의 명칭이 들어가는 등 컵 대회의 요소도 있다. 리그 우승 구단이 클라이맥스 시리즈에서도 우승하면 '완전 우승'이라고 부른다.
경기 방식

  • 퍼스트 스테이지: 정규 시즌 2위 팀과 3위 팀이 2위 팀의 홈구장에서 3전 2선승제로 맞붙는다. 승수가 많은 팀이 파이널 스테이지에 진출한다. 무승부가 발생하여 3차전 종료 시점에 두 팀의 승패가 같으면(1승 1무 1패 또는 0승 3무 0패) 2위 팀이 승자가 된다. 2차전 종료 시점에서 승자가 결정되면(한 팀이 2승 또는 2위 팀이 1승 1무) 3차전은 열리지 않는다. 2020년 퍼시픽 리그는 2팀만 참가하여 퍼스트 스테이지를 개최하지 않았다.
  • 파이널 스테이지: 리그 우승 팀과 퍼스트 스테이지 승리 팀이 리그 우승 팀의 홈구장에서 6경기제로 경기를 치른다. 리그 우승 팀에게는 1승의 어드밴티지가 주어진다. 이 어드밴티지를 포함하여 먼저 4승을 거둔 팀이 클라이맥스 시리즈 우승 구단이 되어 일본 시리즈 진출권을 얻는다. 무승부로 인해 승수가 같아지면 리그 우승 구단이 클라이맥스 시리즈 우승이 된다.[106] 2020년 퍼시픽 리그는 2팀만 참가하여 파이널 스테이지만 개최했고(스테이지 명칭 없음[107]), 어드밴티지 1승을 포함하여 먼저 3승을 올린 구단이 우승했다.[108] 1위 구단의 무승부 또는 패배 횟수가 승리 횟수를 넘어서는 것이 결정되면 남은 경기는 진행하지 않는다.[109]


2007년에는 1승 어드밴티지 없이 5경기제(3선승제)로 진행되었다. 퍼시픽 리그는 어드밴티지 도입을 제안했지만, 센트럴 리그는 흥행을 이유로 소극적이어서 보류되었다. 그러나 그해 센트럴 리그 2스테이지에서 주니치 드래건스가 정규 시즌 우승 팀 요미우리 자이언츠에게 3연승을 거두면서 어드밴티지가 부활(센트럴 리그는 신설)되었다.

클라이맥스 시리즈 우승 구단은 일본 시리즈 출전권을 얻는다. 퍼시픽 리그는 정규 시즌 순위에 관계없이 매년 우승이 결정되면 헹가래를 하지만, 센트럴 리그는 정규 시즌 2, 3위 구단이 우승한 경우(2007년, 2014년, 2017년) 헹가래를 하지 않았다.
경기 중계 및 티켓일본 야구 기구가 주최하는 일본 시리즈와 달리, 클라이맥스 시리즈는 정규 시즌처럼 홈팀이 주최한다. TV 중계는 정규 시즌을 중계했던 방송국(BS, CS 방송 등)이 담당하며, BS 등에서 무료 방송을 하는 경우도 있다(특히 퍼시픽 리그는 NHK BS1에서 방송하는 경우가 많다). 지역에 따라 지상파 중계도 한다.

티켓은 홈팀이 발매하며, 경기 중단 시 티켓 처리 방식은 두 가지가 있다. 정규 시즌처럼 '개최일에만 유효'한 경우와 일본 시리즈처럼 '○차전에 유효'한 경우가 있다. 우천 등으로 취소될 경우 전자는 환불, 후자는 유효일 뒤로 연기된다. 2019년 파이널 스테이지에서는 리그에 따라 티켓 취급이 달라 주의가 필요했다.[110] 리그에 따라 통일되지 않은 점에 주의해야 한다(예: 2022년 퍼스트 스테이지 주최 DeNA는 '제〇차전 유효', 같은 해 파이널 스테이지 주최 야쿠르트는 '개최일 유효'). 티켓 가격은 구단에 따라 다르지만, 정규 시즌보다 비싼 경우가 많다. 세이부는 저렴하게 책정하는 경우가 많다.

경기 시작 전 취소 결정권은 주최 구단에 없다(후술).
경기 일정 및 취소개최 일정에는 예비일이 있어 악천후 등으로 경기 취소 또는 노 게임이 선언되면 다음 날 이후로 순차 연기된다. 단, 예비일을 포함한 일정에 모든 경기를 개최하지 못하면 예비일 이후 순연은 없고, 그 시점의 승패로 스테이지 승자를 결정한다. 승수가 같으면 정규 시즌 상위 구단이 승자가 된다. 경기 취소 여부가 스테이지 승패와 관련되기 때문에 정규 시즌 막바지처럼[111] 경기 시작 전까지 각 리그 책임자가 취소 결정권을 갖는다. 경기 시작 후에는 심판단이 판단한다.

퍼시픽 리그는 2경기 이상 취소 또는 순연되어 예비일 마지막 날 하루 전까지 승부가 나지 않으면 더블헤더를 실시할 수 있다(단, 승패에 따라 한 경기만으로 끝날 수 있다). 2013년 파이널 스테이지[112]에서 취소 경기가 발생하여[113] 처음으로 더블헤더 개최 가능성이 있었지만, 취소 경기가 한 경기에 그쳐 예비일 전에 스테이지 승리 팀이 결정되었다.[114]

센트럴 리그는 더블헤더를 실시하지 않는다.[115] 2014년 퍼스트 스테이지에서 태풍 접근이 예측되었을 때, 퍼시픽 리그는 더블헤더 실시 가능성이 있었지만[116] 센트럴 리그는 예정이 없었다. 따라서 2위 팀이 1차전에서 승리하고 이틀 동안 경기가 중지되면 예비일 경기를 거치지 않고 스테이지 승리가 결정될 가능성도 있었다.[117] 결과적으로 태풍 접근 전 개최된 두 경기에서 스테이지 승리 팀이 결정되어 중단 사태는 피했다. 2017년에는 악천후로 센트럴 리그 퍼스트 스테이지 개최가 불투명했고, 파이널 스테이지에서는 비로 인해 그라운드가 진흙탕이 되는 상황에서 경기가 진행되어 논란이 되었다.[118] 2018년 일정 방식이 검토되었지만, 상위 팀의 우위성 유지 등을 이유로 변경 없이 실시되었다.[119][120]

3. 3. 선수 등록

출장할 수 있는 선수는 해당 시즌의 8월 31일 시점에서 출장 구단에 지배하 선수 등록되어 있고, 또한 클라이맥스 시리즈(CS) 개최 시점에도 계속해서 출장 구단에 지배하 등록되어 있는 것이 조건이다. 정규 시즌과 마찬가지로, 29명 이내[61]의 출장 선수 등록된 선수 중에서 25명 이내[62]의 벤치 엔트리 선수가 출장할 수 있으며, 등록 말소된 선수는 10일간 재등록할 수 없다. 또한, 이 규정은 정규 시즌부터 계속 적용된다. 기간 전에 다시 백지에서 등록되는 것이 아니라, 정규 시즌 종료부터 CS 개막까지 사이에 출장 선수 등록이 말소된 경우, CS가 개막해도 말소일로부터 10일이 지나지 않으면 재등록할 수 없다. 2017년부터 도입된 은퇴 경기 특례 제도를 사용하여 출장 선수 등록을 하고 말소된 선수는 본 시리즈에 출장할 수 없다.

2011년부터 정규 시즌의 모든 일정이 종료된 후, 클라이맥스 시리즈(CS)의 첫 경기까지 10일 이상 공백이 있을 경우, 자동으로 모든 선수의 출장 선수 등록이 말소된다. 단, 재등록 시 선수 전원에게 그 기간 동안의 FA권 관련 등록 일수와 추가 참사 보수(1군 최저 연봉 1500만에 미치지 못할 경우, 등록 일수에 따라 1500만을 상한으로 가산하는 금액)가 인정된다. 이는 2010년 정규 시즌의 모든 일정이 종료된 후 주니치 드래건스가 모든 선수의 출장 선수 등록을 말소한 것을 계기로 2011년에 규칙으로 명문화된 것으로, 이 주니치의 사례에 대해서도 소급 적용된다[63]

전 선수 출장 선수 등록이 말소된 예
연도구단리그순위종료일말소일참가 스테이지CS 첫 경기
2010년주니치센트럴110월 2일10월 3일파이널10월 20일
2011년닛폰햄퍼시픽210월 18일10월 19일퍼스트10월 29일
세이부퍼시픽3
주니치센트럴110월 20일10월 21일파이널11월 2일
소프트뱅크퍼시픽110월 22일10월 23일파이널11월 3일
2014년소프트뱅크퍼시픽110월 2일10월 3일파이널10월 15일
2016년닛폰햄퍼시픽19월 30일10월 1일파이널10월 12일
히로시마센트럴110월 1일10월 2일파이널10월 12일
2017년히로시마센트럴110월 1일10월 2일파이널10월 18일
2018년세이부퍼시픽110월 6일10월 7일파이널10월 17일
2019년세이부퍼시픽19월 26일9월 27일파이널10월 9일
요미우리센트럴19월 28일9월 29일파이널10월 9일
2021년요미우리센트럴310월 24일10월 25일퍼스트11월 6일
한신센트럴210월 26일10월 27일퍼스트11월 6일
오릭스퍼시픽110월 25일10월 26일파이널11월 10일
2023년히로시마센트럴210월 1일10월 2일퍼스트10월 14일
한신센트럴110월 4일10월 5일파이널10월 18일
2024년요미우리센트럴110월 2일10월 3일파이널10월 16일
소프트뱅크퍼시픽110월 4일10월 5일파이널10월 16일


  • 2021년의 오릭스는 모든 일정 종료 시점에도 순위가 확정되지 않았지만, 2위로 퍼스트 스테이지(11월 6일)부터 시작하는 경우에도 10일 이상 공백이 발생하므로 규정이 적용되었다.

3. 4. 예고 선발

2007년부터 2017년까지는 퍼시픽 리그에서만 예고 선발을 실시했고, 센트럴 리그에서는 실시하지 않았다. 2018년부터 양대 리그 모두 예고 선발을 실시했다.[124]

다만 퍼시픽 리그에서는 2차전 이후의 예고 선발 발표는 정규 시즌과 달리 '''당일 경기 종료 후'''에 이루어진다(다음 날에도 경기가 열리는 경우에 한해서). 이 때문에 다음 날 선발 후보 투수를 여러 명 준비해 뒀다가 당일 승패에 따라 다음 날 선발을 결정하는 전략도 가능하다.

한편, 센트럴 리그에서는 2차전 이후의 예고 선발 발표는 정규 시즌과 마찬가지로 당일 경기 시작 전까지 이미 이루어진다. 이는 당일 경기 결과에 따라 중단되어 열리지 않을 가능성이 있는 경기라도 발표된다(실제로 2023년 센트럴 리그 퍼스트 스테이지에서는 2차전이 종료되면서 중단되었지만, 경기 시작 전 시점에서는 이미 3차전 예고 선발을 발표했다[64]).

3. 5. 연장전 및 무승부

센트럴·퍼시픽 리그 모두 정규 시즌과 동일하게 연장전은 12회까지로 제한된다. 12회가 종료되어도 동점인 경우에는 무승부로 처리되지만, 재경기는 실시하지 않는다. 무승부를 포함하여 스테이지 승자가 결정된 경우에는 남은 경기를 진행하지 않는다.[65]

2013년부터 센트럴 리그, 2015년부터 퍼시픽 리그는 상위 팀의 스테이지 승리가 확정되는 경기에서 12회초 종료 또는 12회말 도중에[66] 동점이 되면 콜드게임으로 경기를 중단하는 규칙을 도입했다.[67][68] 2014년 센트럴 리그 퍼스트 스테이지에서 이 규칙이 처음 적용되었고, 2021년 퍼시픽 리그 파이널 스테이지에서는 9회말 공격 중 동점이 되면서 콜드게임이 적용된 첫 사례가 나왔다.

2011년과 2012년 정규 시즌에는 경기 시작 3시간 30분 후 새로운 이닝에 들어가지 않는 특별 규칙이 있었지만, 클라이맥스 시리즈에서는 적용되지 않고 시간 제한 없이 최대 12회까지 진행되었다.[69] 2020년에는 정규 시즌과 마찬가지로 클라이맥스 시리즈(퍼시픽 리그만 개최)도 10회 종료 시점에서 동점이면 무승부로 처리하는 규칙이 적용되었으나, 해당 사례는 발생하지 않았다. 2021년에는 정규 시즌과 동일하게 연장전 없이 9회 종료 시점에서 동점일 경우 무승부로 처리했다.

4. 리그 순위 결정 방식

센트럴 리그와 퍼시픽 리그는 모두 정규 시즌 성적에 따라 리그 순위를 결정한다. 클라이맥스 시리즈로 인한 순위 변동은 없으며, 프로 야구 드래프트 회의 지명 순서도 정규 시즌 최종 순위를 따른다.

정규 시즌 순위는 클라이맥스 시리즈 개막 예정일 이틀 전까지의 경기 결과를 기준으로 확정되며, 클라이맥스 시리즈 진출 팀도 이 순위를 바탕으로 결정된다.
클라이맥스 시리즈와 병행하여 개최된 경기 및 일정 문제 사례


  • 2013년: 퍼스트 스테이지 개최일에 라쿠텐(우승) 대 오릭스(B클래스 확정) 경기 개최.[130] 2~4위 팀 간의 순위 경쟁이 치열하여 10월 8일까지 대부분의 경기가 종료되었다.
  • 2014년: 센트럴 리그에서 우천 취소로 인한 일정 소화 문제 발생. 퍼스트 스테이지 개막 이틀 전인 10월 9일 종료 시점의 순위로 클라이맥스 시리즈 진출 팀 결정. 잔여 경기는 최대한 10월 20일까지 소화하여 최종 순위 결정.[131]
  • 2018년: 센트럴·퍼시픽 양대 리그 모두 퍼스트 스테이지 개최일에 정규 시즌 경기 개최 (주니치 대 한신, 지바 롯데 대 라쿠텐).[132] 우천 취소, 호우, 지진, 태풍 등 천재지변으로 인한 경기 취소가 속출하여, 특히 센트럴 리그에서 일정 소화에 어려움 발생. 2014년과 같은 대책 확인.[132] 더블헤더 검토. 10월 10일까지 대부분의 경기 종료. 2019년부터 센트럴 리그에서도 월요일 등 경기가 없는 날에 예비일 설정.[133][134]
  • 2021년: 악천후와 코로나19 집단 감염으로 인한 경기 순연으로 클라이맥스 시리즈 개막을 1주일 연기 (11월 6일 개막).[135] 퍼시픽 리그는 10월 30일, 센트럴 리그는 11월 1일에 모든 일정 종료.


리그 우승이 확정되지 않은 채 클라이맥스 시리즈에 진출하거나, 실제 순위와 클라이맥스 시리즈 출전 기준 순위가 달라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양대 리그 모두 정규 시즌 경기를 10월 20일까지 마치기로 되어 있어, 클라이맥스 시리즈 진출 팀의 잔여 경기가 미소화될 가능성도 있다.

정규 시즌 순위는 승률을 기준으로 하며, 다음 공식을 사용한다.

: 승률 = 승리 수 ÷ (경기 수 - 무승부 경기 수) = 승리 수 ÷ (승리 수 + 패전 수)

승률이 동률일 경우, 순위 결정 방식은 다음과 같다.

리그우선 순위내용
센트럴 리그1승수가 많은 구단
2직접 대결에서 상대팀보다 앞서는 구단 (3팀 이상 동률일 경우, 해당 팀들 간의 대전 성적 합산 비교)
3양대 리그 교류전 성적을 제외한 리그전 (총 125경기[136])에서의 승률
4작년 시즌 순위가 상위인 구단
퍼시픽 리그1승수가 많은 구단
2직접 대결에서 상대팀보다 앞서는 구단 (3팀 이상 동률일 경우, 해당 팀들 간의 대전 성적 합산 비교)
3양대 리그 교류전 성적을 제외한 리그전 (총 125경기)에서의 승률
4작년 시즌 순위가 상위인 구단



2022년부터 센트럴 리그도 3번 기준 도입.
예시:


  • (예1) 승률 3위로 동률인 A구단과 B구단 (143경기제)
  • A구단: 70승 3무 70패, B구단: 71승 1무 71패, A-B 상대 전적: A 13승, B 12승
  • 센트럴 리그: 승수가 많은 B구단이 상위
  • 퍼시픽 리그: 상대 전적이 앞서는 A구단이 상위
  • (예2) 센트럴 리그에서 승률은 동일하나 승수가 다른 경우 (143경기제)
  • 5할 이외의 특정 승률에서 발생 가능 (예: 승률 6할 - 84승 3무 56패, 81승 8무 54패)


2022년 퍼시픽 리그에서 오릭스와 소프트뱅크가 76승 2무 65패로 동률이었으나, 오릭스가 소프트뱅크 상대 전적에서 앞서 우승.

5. 클린치 넘버

2009년까지 시즌 종반에는 교도 통신사가 클라이맥스 시리즈 진출이 결정되는 3위 이내(소위 A클래스)가 확정될 때까지의 최소 승패수를 ‘클라이맥스 시리즈 진출 매직 넘버’라는 이름으로 전송했고, 각 언론에서는 이것을 양대 리그의 순위표 등과 함께 표시했다. 이것은 리그 우승이 확정될 때까지의 승수를 나타내는 ‘매직 넘버’에 준하는 것이지만, 3위 이내라는 조건이 되면 매직 넘버를 점등한 팀이나 매직 넘버가 대상이 되는 팀도 복수가 되는 데다가 최소 승수를 나타내려면 리그의 나머지 모든 경기의 승패 패턴을 시뮬레이션할 필요가 있는 등 계산 방법이 더욱 복잡해졌다. 또한 무승부 경기가 많이 발생했을 경우 등 특정 조건에서는 계산이 더욱 복잡해져서 최소 승패수에 도달하지 못할 가능성도 있는 등 산출이 시스템적으로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 특히 2009년 9월에는 교도 통신사의 계산 프로그램에 대한 문제가 발생하면서 진출 매직 넘버의 산출을 둘러싼 혼란이 생기자, “기준으로서는 별로 바람직하지 않으며, 적당한 것으로는 없다”라는 지적을 받았다.

이러한 이유로 2010년에 교도 통신사는 정보·시스템 연구 기구, 통계 수리 연구소와 공동으로 클라이맥스 시리즈 진출까지의 기준을 산출하는 방식인 ‘클라이맥스 시리즈·클린치 넘버’(クライマックスシリーズ・クリンチナンバー일본어)를 개발했다. 최적화 수법을 이용해서 계산할 필요가 없는 패턴을 배제함으로써 단시간에 최소수를 계산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클린치 넘버는 클라이맥스 시리즈 진출을 확정하기 위해서 필요한 최소의 승수이며, 제로가 되면 진출 결정이 되어 ‘☆’를 나타낸다. 반대로 클린치 넘버가 남은 경기 수를 넘었을 경우엔 자력으로의 진출 가능성이 없어지므로 이 경우에는 클린치 넘버도 소멸하여 ‘△’를 나타낸다. 게다가 진출 가능성이 완전히 소멸했을 경우에는 4위 이하(소위 B클래스)가 확정되면 ‘×’를 나타낸다.

‘클린치’(Clinch)에는 ‘승패를 겨룬다’라는 의미가 있어서 메이저 리그에서는 지구 우승이나 플레이오프 진출 결정까지의 목표 숫자를 ‘클린치 넘버’라고 부른다. 교도 통신사는 클린치 넘버를 개발하여 2010년 7월 28일에 특허 신청을 했고, 8월 10일부터 각 언론사로 전송을 시작했다.

6. 비판 및 문제점

클라이맥스 시리즈는 일본 프로 야구에서 정규 시즌 이후 상위 팀들이 펼치는 포스트시즌 경기이다. 하지만 이 제도에 대한 비판과 문제점도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도요다 야스미쓰, 히로오카 다쓰로[96] 등은 클라이맥스 시리즈 도입 자체를 반대했다. 히로사와 가쓰미[97]는 출전 조건에 대해 비판적인 의견을 제시했다.

주요 비판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일본 시리즈의 질 저하: 정규 시즌 1위 팀이 아닌 팀도 일본 시리즈에 진출할 수 있고, 심지어 승률 5할 미만의 팀도 일본 시리즈 우승을 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어 일본 시리즈의 권위와 질을 떨어뜨린다는 지적이 있다.[98]
  • 출전 팀 과다: 6개 팀 중 3개 팀이 클라이맥스 시리즈에 진출하는 것은 너무 많다는 비판이 있다.[99]


야구 팬들은 클라이맥스 시리즈 폐지 또는 양대 리그 3팀씩의 동서 2지구제 도입, 리그전 게임 차에 따른 어드밴티지 확대 등을 요구하는 의견을 제시하기도 했다.[100][101]

하지만 클라이맥스 시리즈는 관중 동원과 소화 경기 감소[102] 등 흥행 면에서 큰 효과를 거두고 있어, 운영 측에서는 제도 재검토에 대한 의견을 거의 내놓지 않고 있다.

클라이맥스 시리즈에 대한 엇갈린 평가도 존재한다. 로버트 와이팅은 일본 야구에 더 많은 관심을 불러일으킨다며 긍정적으로 평가했고,[31] 일본 야구 평론가 아사 사토시는 데드 러버 경기 수를 줄여준다고 평가했다.[32] 그러나 사토시는 리그 우승팀 결정 방식과 5할 미만 승률 팀의 진출 가능성에 대해서는 의문을 제기했다.[33][34] 히로사와 가쓰미는 정규 시즌의 의미를 훼손한다고 비판했다.[35]

클라이맥스 시리즈 규칙 및 형식에 대한 다양한 수정 제안도 있었다. 리그 챔피언에게 추가적인 경기 우위 부여, 5할 미만 팀의 포스트시즌 진출 제외 등이 제안되었다.[36] 리그 구조와 포스트시즌 형식 변경 제안도 있었는데, 와일드 카드 시리즈 도입, 4개 지구 신설 등이 거론되었다.[37]

클라이맥스 시리즈 도입 전후 포스트시즌을 비교했을 때, 관중 동원 면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도 있다.[37]

야구 분석가 오카다 유스케는 일본과 미국 야구 팬들의 포스트시즌 인식 차이를 지적하며, 클라이맥스 시리즈가 두 관점 사이의 균형을 제공한다고 평가했다.[38]

타이브레이커 방식에 대한 비판도 있었다. 현재는 전 시즌 리그 순위가 높은 팀에게 유리한 방식인데, 제프 리브시, 스콧 맥클레인 등은 이에 대해 비판적인 의견을 제시했다.[39] 《재팬 타임스》의 웨인 그라지크는 단판 플레이오프 도입을 제안했다.[39]

정규 시즌 챔피언에게 주어지는 1승 어드밴티지에 대한 비판도 많다. 많은 선수들이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고,[3] 《재팬 타임스》의 제이슨 코스크레이는 과도한 이점이라고 지적했다.[40][41] 사토시는 첫 10년간 리그 챔피언의 일본 시리즈 진출 비율(약 82%)이 적절한 균형이라고 평가했다.[34]

2017년 센트럴 리그 클라이맥스 시리즈에서는 날씨로 인한 경기 조기 종료 및 공식 경기 처리 문제로 시스템이 다시 비판받았다.[42] 야후 스포츠의 크레이그 칼카테라는 클라이맥스 시리즈를 "매우 불공정하다"고 비판했다.[43]

7. 수상

클라이맥스 시리즈 우승 팀에게는 센트럴 리그는 우승 접시(은색 접시), 퍼시픽 리그는 우승기를 액자에 담아 증정한다.[16] 각 리그 우승 팀에서 가장 뛰어난 활약을 보인 선수에게는 MVP(최우수 선수)를 시상하는데, 센트럴 리그는 2008년부터, 퍼시픽 리그는 2007년부터 시상했다.[16]

2007년 퍼시픽 리그 1단계 MVP는 사부로(롯데), 2단계 MVP는 다르빗슈 유(니혼햄)가 받았다. 2010년 퍼시픽 리그는 3위에서 올라온 롯데에서 1단계 MVP 사토자키 도모야, 최종 단계 MVP 나루세 요시히사를 배출했다.

역대 클라이맥스 시리즈 MVP
연도센트럴 리그퍼시픽 리그
선수명소속 구단선수명소속 구단
2007제정 없음사부로 (제1)롯데
다르빗슈 유 (제2)니혼햄
2008A. 라미레스요미우리와쿠이 히데아키세이부
2009와키야 료타요미우리T. 슬레지니혼햄
2010와다 가즈히로주니치사토자키 도모야 (퍼스트)롯데
나루세 요시히사 (파이널)
2011요시미 가즈키주니치우치카와 세이이치소프트뱅크
2012이시이 요시토요미우리이토이 요시오니혼햄
2013스기노 토모유키요미우리다나카 마사히로라쿠텐
2014오승환한신요시무라 유키소프트뱅크
2015가와바타 신고야쿠르트우치카와 세이이치소프트뱅크
2016다나카 고스케히로시마나카타 쇼니혼햄
2017J. 로페스DeNA우치카와 세이이치소프트뱅크
2018기쿠치 료스케히로시마야나기타 유키소프트뱅크
2019오카모토 가즈마요미우리이마미야 겐타소프트뱅크
2020CS 중단으로 인해 시상 없음나카무라 아키라소프트뱅크
2021오쿠가와 야스노부야쿠르트스기모토 유타로오릭스
2022J. 오스나야쿠르트요시다 마사타카오릭스
2023키나미 세이야한신스기모토 유타로오릭스
2024토바시 쿄타카DeNA야마카와 호타카소프트뱅크


7. 1. 팀 상

우승 팀에게는 주최 연맹에서 센트럴 리그는 우승 접시(은색 접시), 퍼시픽 리그는 우승기를 액자에 담아 증정한다.[16]

센트럴 리그 클라이맥스 시리즈 결과
연도단계홈 팀게임원정 팀경기장최우수 선수비고
20071차주니치 드래건스*2–0한신 타이거스나고야 돔[20]
2차요미우리 자이언츠0–3주니치 드래건스*도쿄 돔[21]
20081차한신 타이거스1–2주니치 드래건스*교세라 돔 오사카[22]
2차요미우리 자이언츠*3–1–1주니치 드래건스도쿄 돔{{sortname|알렉스|라미레스]][23]
20091차주니치 드래건스*2–1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나고야 돔[24]
2차요미우리 자이언츠*4–1주니치 드래건스도쿄 돔{{sortname|와키야|료타]][25]
20101차한신 타이거스0–2요미우리 자이언츠*고시엔 구장align="center"|
결승주니치 드래건스*4–1요미우리 자이언츠나고야 돔{{sortname|와다|가즈히로]]align="center"|
20111차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2–1요미우리 자이언츠메이지 진구 야구장align="center"|
결승주니치 드래건스*4–2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나고야 돔{{sortname|요시미|가즈키]]align="center"|
20121차주니치 드래건스*2–1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나고야 돔align="center"|
결승요미우리 자이언츠*4–3주니치 드래건스도쿄 돔{{sortname|이시이|요시히토]]align="center"|
20131차한신 타이거스0–2히로시마 도요 카프*고시엔 구장align="center"|
결승요미우리 자이언츠*4–0히로시마 도요 카프도쿄 돔{{sortname|스기노|토모유키]]align="center"|
20141차한신 타이거스*1–1–0히로시마 도요 카프고시엔 구장align="center"|
결승요미우리 자이언츠1–4한신 타이거스*도쿄 돔{{sortname|오|승환]]align="center"|
20151차요미우리 자이언츠*2–1한신 타이거스도쿄 돔align="center"|
결승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4–1요미우리 자이언츠메이지 진구 야구장{{sortname|가와바타|신고|가와바타 신고 (야구 선수)]]align="center"|
20161차요미우리 자이언츠1–2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도쿄 돔align="center"|
결승히로시마 도요 카프*4–1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마쓰다 스타디움{{sortname|다나카|고스케]]align="center"|
20171차한신 타이거스1–2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고시엔 구장align="center"|
결승히로시마 도요 카프2–4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마쓰다 스타디움{{sortname|호세|로페스|호세 로페스 (1루수)]]align="center"|
20181차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0–2요미우리 자이언츠*메이지 진구 야구장align="center"|
결승히로시마 도요 카프*4–0요미우리 자이언츠마쓰다 스타디움{{sortname|기쿠치|료스케]]align="center"|
20191차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1–2한신 타이거스*요코하마 스타디움align="center"|
결승요미우리 자이언츠*4–1한신 타이거스도쿄 돔{{sortname|오카모토|가즈마]]align="center"|
2020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센트럴 리그 클라이맥스 시리즈가 취소됨align="center"|
20211차한신 타이거스0–2요미우리 자이언츠*고시엔 구장align="center"|
결승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3–1–0요미우리 자이언츠메이지 진구 야구장{{sortname|오쿠가와|야스노부]]align="center"|
20221차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1–2한신 타이거스*요코하마 스타디움align="center"|
결승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4–0한신 타이거스메이지 진구 야구장호세 오수나align="center"|
20231차히로시마 도요 카프*2–0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마쓰다 스타디움align="center"|
결승한신 타이거스*4–0히로시마 도요 카프고시엔 구장세이야align="center"|
20241차한신 타이거스0–2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고시엔 구장align="center"|
결승요미우리 자이언츠3–4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도쿄 돔야스다카align="center"|



: 해당 팀이 스테이지에서 승리했습니다.

:'''굵게''': 해당 팀이 일본 시리즈에서 우승했습니다.[26]

:2007년 2차전은 리그 챔피언에게 1승 어드밴티지를 부여하지 않는 5전 3선승제로 치러졌습니다.[27]

:고시엔 구장의 오프 시즌 개보수 공사로 인해 2008년 1차전 경기는 교세라 돔 오사카에서 치러졌습니다.[28]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리그 챔피언이 2020년 일본 시리즈에 직행했습니다.[29]

{| class="wikitable sortable plainrowheaders"

|+ 퍼시픽 리그 클라이맥스 시리즈 결과

!scope="col"| 연도

!scope="col"| 단계

!scope="col"| 홈 팀

!scope="col" class="unsortable"| 게임

!scope="col"| 원정 팀

!scope="col"| 경기장

!scope="col"| 최우수 선수

!scope="col" class="unsortable"| 비고

|-

! scope="row" style="text-align:center" rowspan="2"|2007년

| style="text-align:center" |1차

| style="background: #cedff2"| 지바 롯데 마린스*

| align="center"|2–1

|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 지바 마린 스타디움

|

| align="center"|

|-

| style="text-align:center" |2차

| style="background: #cedff2"|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

| align="center"|3–2

| 지바 롯데 마린스

| 삿포로 돔

|

| align="center"|

|-

! scope="row" style="text-align:center" rowspan="2"|2008년

| style="text-align:center" |1차

| 오릭스 버팔로스

| align="center"|0–2

| style="background: #cedff2"|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

| 교세라 돔 오사카

|

| align="center"|

|-

| style="text-align:center" |2차

| style="background: #cedff2"|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 align="center"|4–2

|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

| 세이부 돔

|

| align="center"|

|-

! scope="row" style="text-align:center" rowspan="2"|2009년

| style="text-align:center" |1차

| style="background: #cedff2"|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 align="center"|2–0

|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 클리넥스 스타디움

|

| align="center"|

|-

| style="text-align:center" |2차

| style="background: #cedff2"|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

| align="center"|4–1

|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 삿포로 돔

|

| align="center"|

|-

! scope="row" style="text-align:center" rowspan="2"|2010년

| style="text-align:center" |1차

|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 align="center"|0–2

| style="background: #cedff2"| '''지바 롯데 마린스'''*

| 세이부 돔

|

| align="center"|

|-

| style="text-align:center" |최종

|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 align="center"|3–4

| style="background: #cedff2"| '''지바 롯데 마린스'''*

| 야후 돔

|

| align="center"|

|-

! scope="row" style="text-align:center" rowspan="2"|2011년

| style="text-align:center" |1차

|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

| align="center"|0–2

| style="background: #cedff2"|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 삿포로 돔

|

| align="center"|

|-

| style="text-align:center" |최종

| style="background: #cedff2"|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 align="center"|4–0

|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 야후 돔

|

| align="center"|

|-

! scope="row" style="text-align:center" rowspan="2"|2012년

| style="text-align:center" |1차

|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 align="center"|1–2

| style="background: #cedff2"|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 세이부 돔

|

| align="center"|

|-

| style="text-align:center" |최종

| style="background: #cedff2"|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

| align="center"|4–0

|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 삿포로 돔

|

| align="center"|

|-

! scope="row" style="text-align:center" rowspan="2"|2013년

| style="text-align:center" |1차

|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 align="center"|1–2

| style="background: #cedff2"| 지바 롯데 마린스*

| 세이부 돔

|

| align="center"|

|-

| style="text-align:center" |최종

| style="background: #cedff2"|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 align="center"|4–1

| 지바 롯데 마린스

| 클리넥스 스타디움

|

| align="center"|

|-

! scope="row" style="text-align:center" rowspan="2"|2014년

| style="text-align:center" |1차

| 오릭스 버팔로스

| align="center"|1–2

| style="background: #cedff2"|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

| 교세라 돔 오사카

|

| align="center"|

|-

| style="text-align:center" |최종

| style="background: #cedff2"|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 align="center"|4–3

|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

| 야후오쿠! 돔

|

| align="center"|

|-

! scope="row" style="text-align:center" rowspan="2"|2015년

| style="text-align:center" |1차

|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

| align="center"|1–2

| style="background: #cedff2"| 지바 롯데 마린스*

| 삿포로 돔

|

| align="center"|

|-

| style="text-align:center" |최종

| style="background: #cedff2"|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 align="center"|4–0

| 지바 롯데 마린스

| 야후오쿠! 돔

|

| align="center"|

|-

! scope="row" style="text-align:center" rowspan="2"|2016년

| style="text-align:center" |1차

| style="background: #cedff2"|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 align="center"|2–0

| 지바 롯데 마린스

| 야후오쿠! 돔

|

| align="center"|

|-

| style="text-align:center" |최종

| style="background: #cedff2"|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

| align="center"|4–2

|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 삿포로 돔

|

| align="center"|

|-

! scope="row" style="text-align:center" rowspan="2"|2017년

| style="text-align:center" |1차

|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 align="center"|1–2

| style="background: #cedff2"|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 메트라이프 돔

|

| align="center"|

|-

| style="text-align:center" |최종

| style="background: #cedff2"|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 align="center"|4–2

|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 야후오쿠! 돔

|

| align="center"|

|-

! scope="row" style="text-align:center" rowspan="2"|2018년

| style="text-align:center" |1차

| style="background: #cedff2"|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 align="center"|2–1

|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

| 야후오쿠! 돔

|

| align="center"|

|-

| style="text-align:center" |최종

|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 align="center"|2–4

| style="background: #cedff2"|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 메트라이프 돔

|

| align="center"|

|-

! scope="row" style="text-align:center" rowspan="2"|2019년

| style="text-align:center" |1차

| style="background: #cedff2"|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 align="center"|2–1

|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 야후오쿠! 돔

|

| align="center"|

|-

| style="text-align:center" |최종

|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 align="center"|1–4

| style="background: #cedff2"|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 메트라이프 돔

|

| align="center"|

|-

! scope="row" style="text-align:center" rowspan="2"|2020년

| style="text-align:center" |1차

| style="text-align:center" colspan=5|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퍼시픽 리그 클라이맥스 시리즈 1차전 취소

| align="center"|

|-

| style="text-align:center" |최종

| style="background: #cedff2"|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 align="center"|3–0

| 지바 롯데 마린스

| 페이페이 돔

|

| align="center"|

|-

! scope="row" style="text-align:center" rowspan="2"|2021년

| style="text-align:center" |1차

| style="background: #cedff2"| 지바 롯데 마린스

| align="center"|1–1–1

|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 ZOZO 마린 스타디움

|

| align="center"|

|-

| style="text-align:center" |최종

| style="background: #cedff2"| 오릭스 버팔로스

| align="center"|3–1–0

| 지바 롯데 마린스

| 교세라 돔 오사카

|

| align="center"|

|-

! scope="row" style="text-align:center" rowspan="2"|2022년

| style="text-align:center" |1차

| style="background: #cedff2"|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 align="center"|2–0

|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 페이페이 돔

|

| align="center"|

|-

| style="text-align:center" |최종

| style="background: #cedff2"| '''오릭스 버팔로스'''*

| align="center"|4–1

|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 교세라 돔 오사카

|

| align="center"|

|-

! scope="row" style="text-align:center" rowspan="2"|2023년

| style="text-align:center" |1차

| style="background: #cedff2"| 지바 롯데 마린스*

| align="center"|2–1

|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 ZOZO 마린 스타디움

|

| align="center"|

|-

| style="text-align:center" |최종

| style="background: #cedff2"| 오릭스 버팔로스*

| align="center"|4–1

| 지바 롯데 마린스

| 교세라 돔 오사카

|

| align="center"|

|-

! scope="row" style="text-align:center" rowspan="2"|2024년

| style="text-align:center" |1차

| style="background: #cedff2"|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

| align="center"|2–1

| 지바 롯데 마린스

| Es Con Field Hokkaido

|

| align="center"|

|-

| style="text-align:center" |최종

| style="background: #cedff2"|

7. 2. 개인 상

양대 리그 모두 우승 팀에서 가장 맹활약했던 선수에게 MVP(최우수 선수)를 시상하고 있다.[16] 단, 퍼시픽 리그는 클라이맥스 시리즈 도입 초기인 2007년부터이며 센트럴 리그는 퍼시픽 리그보다 1년 늦은 2008년에 도입했다. 2007년 퍼시픽 리그에서는 제1 스테이지에서도 MVP를 시상했다. 2010년 퍼시픽 리그에서는 3위에서 올라 온 롯데로부터 퍼스트 스테이지와 파이널 스테이지로 나누어 시상했다.

역대 클라이맥스 시리즈 MVP
연도센트럴 리그퍼시픽 리그
선수명소속 구단선수명소속 구단
2007제정 없음사부로 (제1)롯데
다르빗슈 유 (제2)니혼햄
2008A. 라미레스요미우리와쿠이 히데아키세이부
2009와키야 료타요미우리T. 슬레지니혼햄
2010와다 가즈히로주니치사토자키 도모야 (퍼스트)롯데
나루세 요시히사 (파이널)
2011요시미 가즈키주니치우치카와 세이이치소프트뱅크
2012이시이 요시토요미우리이토이 요시오니혼햄
2013스기노 토모유키요미우리다나카 마사히로라쿠텐
2014오승환한신요시무라 유키소프트뱅크
2015가와바타 신고야쿠르트우치카와 세이이치소프트뱅크
2016다나카 고스케히로시마나카타 쇼니혼햄
2017J. 로페스DeNA우치카와 세이이치소프트뱅크
2018기쿠치 료스케히로시마야나기타 유키소프트뱅크
2019오카모토 가즈마요미우리이마미야 겐타소프트뱅크
2020CS 중단으로 인해 시상 없음나카무라 아키라소프트뱅크
2021오쿠가와 야스노부야쿠르트스기모토 유타로오릭스
2022J. 오스나야쿠르트요시다 마사타카오릭스
2023키나미 세이야한신스기모토 유타로오릭스
2024토바시 쿄타카DeNA야마카와 호타카소프트뱅크



그 외, 2007년 퍼시픽 리그에서는 제2 스테이지에서 활약한 MVP 외의 선수에게 감투상을 시상하고, 2010년 이후의 퍼시픽 리그에서는 퍼스트 스테이지에서 가장 활약한 선수, 그리고 파이널 스테이지에서 활약한 MVP 외의 선수에 대해 각각 특별상을 시상하고 있다.

8. 역대 클라이맥스 시리즈 MVP

양대 리그 모두 우승 팀에서 가장 맹활약했던 선수에게 MVP(최우수 선수)를 시상하고 있다. 단, 퍼시픽 리그는 클라이맥스 시리즈 도입 초기인 2007년부터이며 센트럴 리그는 퍼시픽 리그보다 1년 늦은 2008년에 도입했다. 2007년 퍼시픽 리그에서는 제1 스테이지에서도 MVP를 시상했다. 2010년 퍼시픽 리그에서는 3위에서 올라온 롯데로부터 퍼스트 스테이지와 파이널 스테이지로 나누어 시상했다.

역대 클라이맥스 시리즈 MVP
연도센트럴 리그퍼시픽 리그
선수명소속 구단선수명소속 구단
2007제정 없음사부로 (제1)롯데
다르빗슈 유 (제2)니혼햄
2008A. 라미레스요미우리와쿠이 히데아키세이부
2009와키야 료타요미우리T. 슬레지니혼햄
2010와다 가즈히로주니치사토자키 도모야 (퍼스트)롯데
나루세 요시히사 (파이널)
2011요시미 가즈키주니치우치카와 세이이치소프트뱅크
2012이시이 요시토요미우리이토이 요시오니혼햄
2013스기노 도모유키요미우리다나카 마사히로라쿠텐
2014오승환한신요시무라 유키소프트뱅크
2015가와바타 신고야쿠르트우치카와 세이이치소프트뱅크
2016다나카 고스케히로시마나카타 쇼니혼햄
2017J. 로페스DeNA우치카와 세이이치소프트뱅크
2018기쿠치 료스케히로시마야나기타 유키소프트뱅크
2019오카모토 가즈마요미우리이마미야 겐타소프트뱅크
2020CS 중단으로 인해 시상 없음나카무라 아키라소프트뱅크
2021오쿠가와 야스노부야쿠르트스기모토 유타로오릭스
2022J. 오스나야쿠르트요시다 마사타카오릭스
2023키나미 세이야한신스기모토 유타로오릭스
2024도바시 쿄타카DeNA야마카와 호타카소프트뱅크



그 외, 2007년 퍼시픽 리그에서는 제2 스테이지에서 활약한 MVP 외의 선수에게 감투상을 시상하고, 2010년 이후의 퍼시픽 리그에서는 퍼스트 스테이지에서 가장 활약한 선수, 그리고 파이널 스테이지에서 활약한 MVP 외의 선수에 대해 각각 특별상을 시상하고 있다.

9. 타이틀 스폰서

퍼시픽 리그에서는 매년 전 구단 연명으로 타이틀 스폰서를 모집하고 있다. 센트럴 리그에서는 오랫동안 스테이지마다 주최 구단이 타이틀 스폰서를 모집해 왔으며, 대부분 구단의 공식 스폰서 기업·단체가 협찬사가 되는 경우가 많았다. 2007년부터 2009년까지는 협찬 기업은 있었지만 타이틀 스폰서는 없었다. 2010년부터 2012년까지 주니치 주관 경기에서는 타이틀 스폰서가 없었다. 2021년부터 센트럴 리그 공식전의 타이틀 스폰서인 JERA가 타이틀 스폰서를 맡아 양대 리그에서 각각 통일된 스폰서가 붙게 되었다.[82]

'''굵은 글씨'''는 타이틀 스폰서 기업·단체. 센트럴 리그 협찬 기업 옆에는 각 스테이지와 주관 구단. 1은 퍼스트 스테이지, F는 파이널 스테이지.

연도퍼시픽 리그센트럴 리그
협찬 기업타이틀협찬 기업타이틀
2007년요도바시 카메라
다이이치 생명
스카이퍼펙TV!
2007 요도바시 카메라 클라이맥스 퍼시픽[83]NTT 도코모(특별 협찬)
이토요카도
다이이치 생명
Joshin
피아
(없음)
2008년J 스포츠
세이부 철도
프린스 호텔
2008 J 스포츠 클라이맥스 퍼시픽[84]KDDI
이토요카도
일본 굿이어
2009년클릭 증권2009 클릭 증권 클라이맥스 퍼시픽[85]세븐&아이 홀딩스
2010년매뉴라이프 생명 보험2010 매뉴라이프 생명 클라이맥스 퍼시픽1(한신)댄디 하우스댄디 하우스 클라이맥스 센트럴 퍼스트 스테이지
F(주니치)(없음)
2011년2011 매뉴라이프 생명 클라이맥스 퍼시픽1(야쿠르트)모바프로(모브캐스트)모바프로 프레젠츠 클라이맥스 시리즈 퍼스트 스테이지 센트럴
F(주니치)(없음)
2012년2012 매뉴라이프 생명 클라이맥스 퍼시픽1(주니치)(없음)
F(요미우리)이토 햄
모브캐스트
2012 이토 햄 클라이맥스 시리즈 센트럴 파이널 스테이지
2013년모브캐스트2013 Mobcast 클라이맥스 시리즈 퍼시픽[86]1(한신)세븐일레븐2013 세븐일레븐 클라이맥스 시리즈 센트럴 퍼스트 스테이지
F(요미우리)앳홈2013 앳홈 클라이맥스 시리즈 센트럴 파이널 스테이지[87]
2014년로손2014 LAWSON 클라이맥스 시리즈 퍼시픽[88]1(한신)로손2014 LAWSON 클라이맥스 시리즈 센트럴 퍼스트 스테이지[89]
F(요미우리)앳홈2014 앳홈 클라이맥스 시리즈 센트럴 파이널 스테이지[90]
2015년SMBC 닛코 증권2015 SMBC 닛코 증권 클라이맥스 시리즈 퍼시픽[91]1(요미우리)앳홈2015 앳홈 클라이맥스 시리즈 센트럴 퍼스트 스테이지[92]
F(야쿠르트)마이나비2015 마이나비 클라이맥스 시리즈 센트럴 파이널 스테이지[93]
2016년일본통운2016 일본통운 클라이맥스 시리즈 퍼시픽[94]1(요미우리)앳홈2016 앳홈 클라이맥스 시리즈 센트럴 퍼스트 스테이지
F(히로시마)마쓰다2016 마쓰다 클라이맥스 시리즈 센트럴 파이널 스테이지[95]
2017년로손 HMVE 엔터테인먼트2017 로손 티켓 클라이맥스 시리즈 퍼시픽1(한신)군제2017 GUNZE 클라이맥스 시리즈 센트럴 퍼스트 스테이지
F(히로시마)마쓰다2017 마쓰다 클라이맥스 시리즈 센트럴 파이널 스테이지
2018년퍼솔 홀딩스2018 퍼솔 클라이맥스 시리즈 퍼시픽1(야쿠르트)마이나비2018 마이나비 클라이맥스 시리즈 센트럴 퍼스트 스테이지
F(히로시마)마쓰다2018 마쓰다 클라이맥스 시리즈 센트럴 파이널 스테이지
2019년2019 퍼솔 클라이맥스 시리즈 퍼시픽1(DeNA)노지마2019 노지마 클라이맥스 시리즈 센트럴 퍼스트 스테이지
F(요미우리)세논2019 세논 클라이맥스 시리즈 센트럴 파이널 스테이지
2020년2020 퍼솔 클라이맥스 시리즈 퍼시픽JERA가 스폰서를 맡을 예정이었으나, 코로나19의 영향으로 개최 중단
2021년2021 퍼솔 클라이맥스 시리즈 퍼시픽JERA2021 JERA 클라이맥스 시리즈 센트럴
2022년2022 퍼솔 클라이맥스 시리즈 퍼시픽2022 JERA 클라이맥스 시리즈 센트럴
2023년2023 퍼솔 클라이맥스 시리즈 퍼시픽2023 JERA 클라이맥스 시리즈 센트럴


10. 각주

를 제거했습니다.



센트럴 리그
순위우승 횟수연도팀명
1위132008년요미우리
2009년요미우리
2010년주니치
2011년주니치
2012년요미우리
2013년요미우리
2015년야쿠르트
2016년히로시마
2018년히로시마
2019년요미우리
2021년야쿠르트
2022년야쿠르트
2023년한신
2위22007년주니치
2014년한신
3위22017년DeNA
2024년DeNA


참조

[1] 뉴스 Central League to add playoffs https://www.japantim[...] 2006-03-08
[2] 뉴스 Giants' owner should be more understanding of P.L. http://search.japant[...] 2003-07-16
[3] 뉴스 Taking a look at the one-game advantage in the Climax Series https://www.japantim[...] 2008-10-26
[4] 뉴스 PL plans to bring back playoffs http://search.japant[...] 2003-02-20
[5] 뉴스 PL announces format change https://www.japantim[...] 2003-08-08
[6] 뉴스 Clearing up any confusion about the Pa League playoffs https://www.japantim[...] 2006-10-01
[7] 뉴스 Lotte Marines ready to tackle some unfinished business in Japan Series https://www.japantim[...] 2005-10-21
[8] 뉴스 Tigers learning a tough postseason lesson https://www.japantim[...] 2005-10-25
[9] 뉴스 Agreeing to disagree https://www.japantim[...] 2005-03-25
[10] 뉴스 CL to follow PL playoff model https://www.japantim[...] 2006-09-05
[11] 뉴스 PL officials frown at CL's playoff plan https://www.japantim[...] 2006-05-10
[12] 뉴스 Interleague, playoff plans agreed https://www.japantim[...] 2006-08-25
[13] 뉴스 CL, PL scupper one-game edge https://www.japantim[...] 2006-12-22
[14] 뉴스 Climax Series schedules announced https://www.japantim[...] 2008-03-19
[15] 뉴스 Central, Pacific Leagues announce schedules for remainder of season https://www.japantim[...] 2020-06-15
[16] 웹사이트 順位表 https://baseball.yah[...]
[17] 뉴스 プロ野球、開幕延期でCS中止へ…143試合維持を最優先「4月中目指す」 https://www.sanspo.c[...] 2020-03-10
[18] 뉴스 Giants, Dragons play to stalemate https://www.japantim[...] 2008-10-25
[19] 뉴스 【日本S記録室】DeNA桑原将志が66年長嶋茂雄&85年バースに並ぶ/日本一DeNAはレギュラーシーズン最低勝率 https://hochi.news/a[...] 2024-11-04
[20] 웹사이트 Woods: Dragons fire at perfect time http://search.japant[...] 2007-10-16
[21] 웹사이트 Dragons earn return trip to Japan Series http://search.japant[...] 2007-10-21
[22] 웹사이트 Late Woods homer gives Dragons win http://search.japant[...] 2008-10-21
[23] 웹사이트 Giants advance to Japan Series http://search.japant[...] 2008-10-26
[24] 웹사이트 Dragons advance to second stage http://search.japant[...] The Japan Times 2009-10-20
[25] 웹사이트 Giants crush Dragons in series finale http://search.japant[...] 2009-10-25
[26] 웹사이트 年度別日本シリーズ結果 https://www.nikkansp[...]
[27] 웹사이트 Taking a look at the one-game advantage in the Climax Series https://www.japantim[...] 2008-10-26
[28] 웹사이트 Stairs still slugging away 15 years after Japan stint https://www.japantim[...] 2008-09-21
[29] 뉴스 2020年度セ・パ公式戦 全試合日程発表 https://npb.jp/news/[...] Nippon Professional Baseball 2020-06-15
[30] 뉴스 Hot-hitting Lions crush Fighters in series opener https://www.japantim[...] 2008-10-18
[31] 웹사이트 NPB needs major reform, vision to prosper like MLB https://www.japantim[...] 2007-04-13
[32] 웹사이트 プロ野球におけるプレーオフの歴史。パ・リーグには幻の制度があった https://sportiva.shu[...] Shueisha 2018-10-05
[33] 웹사이트 プロ野球、ポストシーズンへ。毎年あり方が議論されるこの制度を考えるのに、他国事情を調べてみた (1) https://news.yahoo.c[...] Yahoo Japan 2019-09-27
[34] 웹사이트 プロ野球におけるプレーオフの歴史。パ・リーグには幻の制度があった https://sportiva.shu[...] Shueisha 2018-10-05
[35] 웹사이트 理不尽CS、巨人が負けたら変わるのか https://www.nikkei.c[...] 2013-10-13
[36] 웹사이트 クライマックスシリーズでぶっちぎり優勝チームに漂う不公平感と興行面での面白さを両立させる手段とは https://news.yahoo.c[...] Yahoo Japan 2023-10-10
[37] 웹사이트 「クライマックスシリーズ不要派」に欠けた視点 https://toyokeizai.n[...] 2023-10-21
[38] 웹사이트 理不尽CS、巨人が負けたら変わるのか https://www.nikkei.c[...] 2023-10-21
[39] 뉴스 Time for NPB to get its act together on regular-season schedule https://www.japantim[...] 2009-10-18
[40] 뉴스 Time for NPB to rethink senseless playoff format https://www.japantim[...] 2015-10-15
[41] 뉴스 Lower seeds face stacked deck during NPB's Climax Series https://www.japantim[...] 2013-10-21
[42] 뉴스 Farcical finish in Hiroshima robs BayStars of fair chance to compete https://www.japantim[...] 2017-10-19
[43] 웹사이트 The Japanese playoffs are super unfair https://sports.yahoo[...] Yahoo Sports 2017-10-19
[44] 문서 일본 시리즈 출전권은 물론 리그 우승을 건 플레이오프였으며, 1스테이지 승리 구단이 일본 시리즈에 진출한 경우 1스테이지 승리 구단이 리그 우승 구단으로 취급되었다.
[45] 웹사이트 ポストシーズンゲーム(PSG)ネーミングは「クライマックスシリーズ」に決定 https://web.archive.[...] 日本野球機構 2006-11-14
[46] 뉴스 セCS不開催も発表「環境の違い」ドーム本拠少なく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 2020-06-15
[47] 웹사이트 2011年度 「クライマックスシリーズ・セ」 開催概要 http://www.npb.or.jp[...] 日本野球機構
[48] 뉴스 セ2週間、パ最短中2日で実施 日本S日程に問題も https://www.nikkansp[...] 2020-06-15
[49] 웹사이트 2020年度クライマックスシリーズに関するパ・リーグ・アグリーメント(抜粋) https://npb.jp/games[...] 日本野球機構
[50] 뉴스 12日CSセ・パともに中止、入場券取り扱いは両リーグで異なり注意を…詳しい内容を解説 https://hochi.news/a[...] 2019-10-11
[51] 문서 연맹 관리절, 또는 연맹 특별 관리 시합이라고 불린다. 이전에는 홈 게임 측이 중지를 결정할 수 있었다. 시즌 중 연맹 관리절로 이행하는 일정은 일본 야구 기구가 공식 웹사이트 상 “NPB 뉴스”에서 매년 발표하고 있다. 경기 거행에 관한 결정권은 각 리그의 통괄부가 가지고 있다.
[52] 웹사이트 「モブキャスト クライマックスシリーズ パ」Kスタ宮城開催時の試合開始時間・チケット販売概要のお知らせ http://www.rakutenea[...] 東北楽天ゴールデンイーグルス 2013-09-27
[53] 웹사이트 10月20日(日)千葉ロッテマリーンズ戦(『mobcast クライマックスシリーズ パ』ファイナルステージ) 雨天中止のお知らせ http://www.rakutenea[...] 東北楽天ゴールデンイーグルス 2013-10-20
[54] 문서 동 스테이지는, 2004 - 2006년의 퍼시픽 리그의 플레이오프, 2007년 이후의 양 리그의 CS를 통해 최초의, 야외 구장 개최의 파이널(제2) 스테이지였다. 또, 경기가 중지되는 것도 2004년 이후의 플레이오프·양 리그의 CS를 통해 최초의 사례였다
[55] 웹사이트 2015年度「クライマックスシリーズ・セ」開催概要 https://web.archive.[...] 日本野球機構
[56] 웹사이트 「2014 ローソン クライマックスシリーズ パ」チケット販売要項決定 http://www.buffaloes[...] オリックス・バファローズ 2014-09-12
[57] 뉴스 台風影響 阪神 1勝でもOK!?試合なしで勝ち上がりの可能性も https://www.sponichi[...] Sponichi Annex 2014-10-11
[58] 뉴스 予備日1日、ダブルヘッダーなし…CS日程不備が招いた“泥試合” https://www.sponichi[...] Sponichi Annex 2017-10-16
[59] 뉴스 セ・リーグCS日程を発表 予備日は変わらず1日のみ https://www.sponichi[...] Sponichi Annex 2018-01-30
[60] 뉴스 セ・リーグがCS日程発表 昨季と同じ予備日1日だけ https://www.sanspo.c[...] SANSPO.COM 2018-01-30
[61] 문서 2018년까지는 28명 이내. 2020년, 2021년은 31명 이내
[62] 문서 2020년, 2021년은 26명 이내
[63] 웹사이트 パシフィック・リーグ略史 https://npb.jp/pl/hi[...] パシフィック・リーグ
[64] 웹사이트 実際に試合開始前に発表された予告先発 https://twitter.com/[...]
[65] 문서 생각할 수 있는 패턴으로서, 퍼스트 스테이지의 제2·3전, 파이널 스테이지의 제3 - 6전
[66] 문서 2020년은 10회, 2021년은 9회
[67] 웹사이트 2013年度「クライマックスシリーズ・セ」開催概要 https://web.archive.[...] 日本野球機構
[68] 웹사이트 2015年度クライマックスシリーズに関するパ・リーグ・アグリーメント(抜粋) https://web.archive.[...] 日本野球機構
[69] 문서 なお2011년의 클라이맥스 시리즈는 세・파 모두 무승부 경기는 없었고, 연장전은 파의 퍼스트 스테이지 제1전(연장 11회)과 동 파이널 스테이지 제3전(연장 12회)의 합계 2경기가 있었다.
[70] 웹사이트 【試合日程変更】10月12日(土)・13日(日)Kスタ宮城でオリックス戦 http://www.rakutenea[...] 東北楽天ゴールデンイーグルス 2013-10-02
[71] 뉴스 セ・リーグ、10月9日までの日程消化を最優先 https://web.archive.[...] 朝日新聞 2014-09-25
[72] 뉴스 【セ・リーグ】10月11日時点の順位でCS出場球団を決定 最終4位以下のチームが日本一の可能性も https://hochi.news/a[...] スポーツ報知 2018-09-20
[73] 뉴스 セ来季日程発表 9月に1週間の“予備日期間” https://www.sanspo.c[...] SUNSPO.COM 2018-11-07
[74] 뉴스 セ・リーグ日程発表、悪天候による中止に備え対策も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 2019-01-24
[75] 뉴스 プロ野球がCSと日本シリーズを1週間繰り下げへ シーズン143試合を完全消化のため https://hochi.news/a[...] スポーツ報知 2021-07-06
[76] 웹사이트 プロ野球順位表 https://baseball.yah[...]
[77] 문서 2007年 - 2014年は120試合
[78] 문서 2008年のセの第1ステージは、阪神の本拠地である甲子園球場が全面改修のため当初から10月以後使用できないという取り決めがあり、京セラドームでの振り替え開催を行った。
[79] 문서 もし2008年にオリックスが優勝、阪神が2位となった場合には、パの第2ステージとセの第1ステージの日程が重なり、本拠地のオリックスにドーム使用の優先権がある為、セの第1ステージをスカイマークスタジアムで開催する可能性があった。また、オリックス、阪神がともに優勝となった場合も、10月22日、10月23日においてパとセの第2ステージの日程が重なる可能性がある為、同様にこの2日間のみあるいは全日程において、セの第2ステージをスカイマークスタジアムで開催する可能性があった。これは、改修工事が始まった前年の2007年から両球団で取り決めがあり、オリックスまたは阪神が優勝した場合は、阪神の第1ステージ、第2ステージをスカイマークスタジアムを使用する事が予め決まっており、2008年も同様の扱いであるとされた。
[80] 문서 第4試合終了時点ではアドバンテージ込みで3勝(実勢2勝)だったが、第3試合での引き分けがあり、仮に残り2試合で中日が連勝してタイにもつれたとしても、規定により「上位球団の勝ち抜け」とする扱いから、第5試合以後は省略され、巨人が優勝・日本シリーズ出場権獲得となった。
[81] 문서 当球場は、2008年からの命名権を取得した日本製紙が同年に発覚した古紙配合率偽装問題を受け、2008年から2010年までは社名を外した「クリネックススタジアム宮城」が正式名称となった。2011年から2013年までは当初の予定であった社名を冠した「日本製紙クリネックススタジアム宮城」が正式名称であるが、上記の社名なしの旧称も引き続き用いられていた。
[82] 문서 本来は2020年からの予定だったが同年が開催中止となったため。
[83] 뉴스 冠協賛社にヨドバシカメラ https://web.archive.[...] 日刊スポーツ 2007-09-30
[84] 웹사이트 J SPORTSプレスリリース https://web.archive.[...]
[85] 웹사이트 プレスリリース(クリック証券・2009年8月25日) https://www.click-se[...] 2009-08-25
[86] 뉴스 モブキャストがパ・リーグCSスポンサー https://web.archive.[...] 日刊スポーツ 2013-09-12
[87] 웹사이트 アットホーム株式会社がCSセ ファイナルステージの冠協賛社に決定 https://www.giants.j[...] 2013-09-26
[88] 뉴스 クライマックスのスポンサーにローソン=プロ野球パ・リーグ https://web.archive.[...] 時事通信 2014-09-19
[89] 웹사이트 クライマックスシリーズ セ ファーストステージのスポンサーシップ契約締結について http://hanshintigers[...] 2014-10-02
[90] 웹사이트 アットホーム株式会社がCSセ ファイナルステージの冠協賛社に決定 https://www.giants.j[...] 2014-09-27
[91] 웹사이트 2015年度パシフィック・リーグ クライマックスシリーズに冠協賛 https://www.smbcnikk[...] 2015-09-11
[92] 웹사이트 クライマックスシリーズ セの冠協賛社にアットホーム株式会社 https://www.giants.j[...] 2015-09-29
[93] 웹사이트 株式会社マイナビがCSセ ファイナルステージ/ファーストステージの冠協賛社に決定 http://www.yakult-sw[...] 2015-10-01
[94] 웹사이트 日通が今年パ・リーグCSの冠スポンサーに ファーストSは10月8日開幕 http://full-count.jp[...] 2016-08-29
[95] 웹사이트 マツダがCSセ ファイナルステージの冠スポンサー http://response.jp/a[...] 2016-09-21
[96] 뉴스 広岡達朗氏 CSなんてバカらしい制度は即刻やめろ https://www.news-pos[...] 週刊ポスト 2016-08-05
[97] 웹사이트 理不尽CS、巨人が負けたら変わるのか http://www.nikkei.co[...] 日本経済新聞 2013-10-13
[98] 문서 2024年終了時点でレギュラーシーズン「借金」チームがクライマックスシリーズを突破して日本シリーズに進出したケースはない(但し現在は交流戦が存在するため、理論上はレギュラーシーズン1位同士でも一方が「借金」チームとなる可能性がある)。
[99] 웹사이트 緩すぎるCSに限界 前後期制も一案 http://www.nikkei.co[...] 日本経済新聞 2014-10-12
[100] 뉴스 読者の声 北海道新聞 2011-10-27
[101] 뉴스 読者の声 北海道新聞 2018-11-13
[102] 문서 順位決定のかかった2011年・2013年の西武のシーズン最終戦では平日ナイターで休日デーゲーム並みの動員を記録した。
[103] 문서 또한 이 시절의 플레이오프는 일본 시리즈 출전권은 물론이고 리그 우승까지 걸린 경기이며, 제1 스테이지 승리 구단이 일본 시리즈에 진출했을 경우에는 제1 스테이지 승리 구단을 리그 우승 구단으로 취급했다.
[104] 웹사이트 ポストシーズンゲーム(PSG)ネーミングは「クライマックスシリーズ」に決定 https://web.archive.[...] 2006-11-14
[105] 뉴스 セCS不開催も発表「環境の違い」ドーム本拠少なく https://www.nikkansp[...] 닛칸 스포츠 2020-06-15
[106] 웹사이트 2011年度 「クライマックスシリーズ・セ」 開催概要 http://www.npb.or.jp[...] 일본 야구 기구 2017-09-21
[107] 뉴스 セ2週間、パ最短中2日で実施 日本S日程に問題も https://www.nikkansp[...] 2020-06-15
[108] 웹사이트 2020年度クライマックスシリーズに関するパ・リーグ・アグリーメント(抜粋) https://npb.jp/games[...] 일본 야구 기구 2021-11-11
[109] 문서 2008년 센트럴 리그 제2 스테이지
[110] 뉴스 12日CSセ・パともに中止、入場券取り扱いは両リーグで異なり注意を…詳しい内容を解説 https://hochi.news/a[...] 스포츠 호치 2019-10-12
[111] 문서 연맹관리절 또는 연맹특별관리경기
[112] 웹사이트 「モブキャスト クライマックスシリーズ パ」Kスタ宮城開催時の試合開始時間・チケット販売概要のお知らせ http://www.rakutenea[...] 2013-09-27
[113] 웹사이트 10月20日(日)千葉ロッテマリーンズ戦(『mobcast クライマックスシリーズ パ』ファイナルステージ) 雨天中止のお知らせ http://www.rakutenea[...] 2013-10-20
[114] 문서 2004 ~ 2006년 퍼시픽 리그 플레이오프, 2007년 이후 양대 리그 클라이맥스 시리즈
[115] 웹사이트 2015年度「クライマックスシリーズ・セ」開催概要 https://web.archive.[...]
[116] 웹사이트 「2014 ローソン クライマックスシリーズ パ」チケット販売要項決定 http://www.buffaloes[...] 2014-09-12
[117] 뉴스 台風影響 阪神 1勝でもOK!?試合なしで勝ち上がりの可能性も http://www.sponichi.[...] 2014-10-11
[118] 뉴스 予備日1日、ダブルヘッダーなし…CS日程不備が招いた“泥試合” http://www.sponichi.[...] 2017-10-16
[119] 뉴스 セ・リーグCS日程を発表 予備日は変わらず1日のみ https://www.sponichi[...] 2018-01-30
[120] 뉴스 セ・リーグがCS日程発表 昨季と同じ予備日1日だけ https://www.sanspo.c[...] 2018-01-30
[121] 문서 2018년까지 28명 이내, 2020년과 2021년 31명 이내
[122] 문서 2020년과 2021년 26명 이내
[123] 웹사이트 퍼시픽 리그 약사(2001년 ~ ) https://web.archive.[...]
[124] 웹사이트 実際に試合開始前に発表された予告先発 https://twitter.com/[...] 2023-10-15
[125] 문서 퍼스트 스테이지 2·3차전, 파이널 스테이지 3 ~ 6차전
[126] 문서 2020년 10회, 2021년 9회
[127] 웹사이트 2013年度「クライマックスシリーズ・セ」開催概要 https://web.archive.[...]
[128] 웹사이트 2015年度クライマックスシリーズに関するパ・リーグ・アグリーメント(抜粋) https://web.archive.[...]
[129] 문서 2011년 클라이맥스 시리즈
[130] 웹사이트 【試合日程変更】10月12日(土)・13日(日)Kスタ宮城でオリックス戦 http://www.rakutenea[...] 2013-10-02
[131] 뉴스 セ・リーグ、10月9日までの日程消化を最優先 https://web.archive.[...] 2014-09-25
[132] 뉴스 【セ・リーグ】10月11日時点の順位でCS出場球団を決定 最終4位以下のチームが日本一の可能性も https://hochi.news/a[...] 2018-09-20
[133] 뉴스 セ来季日程発表 9月に1週間の“予備日期間” https://www.sanspo.c[...] 2018-11-07
[134] 뉴스 セ・リーグ日程発表、悪天候による中止に備え対策も https://www.nikkansp[...] 2019-01-24
[135] 뉴스 プロ野球がCSと日本シリーズを1週間繰り下げへ シーズン143試合を完全消化のため https://hochi.news/a[...] 2021-07-06
[136] 문서 2007년부터 2014년까지 120경기
[137] 웹사이트 広岡達朗氏 CSなんてバカらしい制度は即刻やめろ https://www.news-pos[...] 슈칸 포스트 2016-08-05
[138] 웹사이트 理不尽CS、巨人が負けたら変わるのか http://www.nikkei.co[...] 니혼케이자이 신문 2013-10-15
[139] 문서 정규 시즌 패전 수가 많은 팀의 클라이맥스 시리즈 돌파 및 일본 시리즈 진출 사례 없음
[140] 웹사이트 緩すぎるCSに限界 前後期制も一案 http://www.nikkei.co[...] 니혼케이자이 신문 2014-10-19
[141] 뉴스 「読者の声」 홋카이도 신문 2011-10-27
[142] 뉴스 「読者の声」 홋카이도 신문 2018-11-13
[143] 문서 순위를 결정짓는 2011년·2013년 세이부의 시즌 최종전에서는 평일 야간 경기에서 휴일 낮 경기 수준의 관중을 동원하는 기록을 세웠다.
[144] 문서 2008년 센트럴 리그 제1 스테이지는 한신의 홈구장인 한신 고시엔 구장에서 열릴 예정이었지만 구장 내부의 전면 개보수를 위해 당초부터 10월 이후에 사용할 수 없다는 결정이 내려짐에 따라 교세라 돔에서 임시로 개최됐다.
[145] 문서 만약 2008년에 오릭스가 우승하고 한신이 2위가 됐을 경우에는 퍼시픽 리그 제2 스테이지와 센트럴 리그 제1 스테이지의 일정이 겹치게 되는데 홈구장인 오릭스에 돔 구장 사용의 우선권이 있기 때문에 센트럴 리그 제1 스테이지를 고베 종합 운동 공원 야구장|스카이마크 스타디움에서 개최할 가능성이 있었다. 또, 오릭스와 한신이 모두 우승했을 경우에도 10월 22일과 10월 23일에 퍼시픽 리그와 센트럴 리그 제2 스테이지의 일정이 겹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이틀 간만, 또는 모든 일정에 있어서 센트럴 리그 제2 스테이지를 스카이마크 스타디움에서 개최할 가능성이 있었다. 이것은 개보수공사가 시작된 작년도인 2007년부터 양 구단에서 결정한 것으로, 오릭스 또는 한신이 우승했을 경우에는 한신이 제1 스테이지, 제2 스테이지를 스카이마크 스타디움에서 하도록 미리 정해져 있어 2008년에도 동일하게 취급하기로 돼있었다.
[146] 문서 4차전 종료 시점에는 어드밴티지를 포함한 3승(실제로는 2승)이었지만 3차전에서 무승부가 발생했는데 만일 남은 두 경기에서 주니치가 연승하여 타이 기록이 된다고 하더라도 규정에 따라 ‘상위 구단이 이긴 것’으로 취급하기 때문에 5차전 이후는 생략되고 요미우리가 클라이맥스 시리즈 우승을 차지함과 동시에 일본 시리즈 출전권을 따냈다.
[147] 문서 미야기 구장은 2008년부터 명명권을 가지게 된 일본제지가 그해에 발각된 ‘고지 배합률 위장 사건’으로 인해 2008년부터 2010년까지 회사명을 뺀 ‘클리넥스 스타디움 미야기’가 정식 명칭이 됐다. 2011년부터 2013년까지는 당초에 예정됐던 회사명이 들어간 ‘일본제지 클리넥스 스타디움 미야기’가 정식 명칭이지만 상기의 회사명을 넣지 않은 예전 명칭도 계속 사용했다.
[148] 웹사이트 冠協賛社にヨドバシカメラ https://web.archive.[...] 닛칸 스포츠 2007-09-30
[149] 웹사이트 관련 내용 http://www.jsports.c[...] 2008-10-12
[150] 웹사이트 관련 내용 https://www.click-se[...] 클릭 증권 2009-08-25
[151] 문서 리그로서의 타이틀 협찬은 설정되지 않았던(이하 센트럴 리그에 대해서는 동일하게) 것에 한신 타이거스가 주최권을 얻었을 경우에는 댄디 하우스가 협찬이 붙는다는 계약이 이루어져 한신이 리그 2위가 됐던 것에 의해 퍼스트 스테이지의 타이틀 스폰서로서 ‘댄디 하우스 클라이맥스 센트럴 퍼스트 스테이지’라는 이름으로 개최했다.
[152] 웹사이트 モブキャストがパ・リーグCSスポンサー https://web.archive.[...] 닛칸 스포츠 2013-09-12
[153] 문서 한신 타이거스가 주최권을 얻었을 경우에는 세븐일레븐이 협찬이 붙는다는 계약이 이루어지면서 한신이 리그 2위가 됐던 것에 의해 퍼스트 스테이지의 타이틀 스폰서가 됐다.
[154] 웹사이트 アットホーム株式会社がCSセ ファイナルステージの冠協賛社に決定 http://www.giants.jp[...] 요미우리 자이언츠 공식 홈페이지 2013-09-26
[155] 웹사이트 クライマックスのスポンサーにローソン=プロ野球パ・リーグ https://web.archive.[...] 지지 통신 2014-09-19
[156] 웹사이트 クライマックスシリーズ セ ファーストステージのスポンサーシップ契約締結について http://hanshintigers[...] 한신 타이거스 공식 홈페이지 2014-10-02
[157] 웹사이트 アットホーム株式会社がCSセ ファイナルステージの冠協賛社に決定 http://www.giants.jp[...] 요미우리 자이언츠 공식 홈페이지 2014-09-27
[158] 웹사이트 「2015年度パシフィック・リーグ クライマックスシリーズ」に冠協賛 https://www.smbcnikk[...] SMBC 닛코 증권 2015-09-11
[159] 웹사이트 「クライマックスシリーズ セ」の冠協賛社にアットホーム株式会社 http://www.giants.jp[...] 요미우리 자이언츠 공식 홈페이지 2015-09-29
[160] 웹사이트 株式会社マイナビがCSセ ファイナルステージ/ファーストステージの冠協賛社に決定 http://www.yakult-sw[...]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공식 홈페이지 2015-10-01
[161] 웹사이트 日通が今年パ・リーグCSの冠スポンサーに ファーストSは10月8日開幕 http://full-count.jp[...] Full-Count 2016-08-29
[162] 웹사이트 マツダ、プロ野球セCSファイナルステージ の冠スポンサーに http://response.jp/a[...] Response 2016-09-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