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키릴로스 루카리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키릴로스 루카리스는 1572년 칸디아에서 태어난 동방 정교회의 종교 지도자이다. 베네치아, 파도바, 제네바 등지에서 유학하며 개신교의 영향을 받았고,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와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를 역임했다. 그는 정교회의 개혁을 시도하며 칼뱅주의 교리를 수용하려 했고, 이로 인해 논란에 휩싸였다. 오스만 제국과 가톨릭 세력의 반대에 직면하여 여러 번 파면과 추방을 겪었으며, 1638년 살해당했다. 사후 성인으로 추대되었으며, 동방 정교회와 서방 교회의 관계에서 중요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 - 알렉산드리아의 키릴로스
    알렉산드리아의 키릴로스는 412년부터 444년까지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를 지낸 기독교 신학자이자 교부로, 네스토리우스와의 논쟁에서 테오토코스 칭호를 옹호하며 에페소스 공의회를 주도했으나 이교도와 유대인 탄압, 히파티아 피살 사건 연루 의혹 등 논란이 있었다.
  •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 -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 테오도로스 2세
    그리스 크레타 섬 출신인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 테오도로스 2세(1954년~)는 2004년부터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를 맡아 아프리카 지역의 선교, 교육, 의료 지원에 힘쓰고 있으며, 2019년 우크라이나 정교회 자동 수장권 인정으로 러시아 정교회와 관계 변화를 겪었다.
  • 그리스의 신학자 - 소티리오스 트람바스
    그리스 출신 동방 정교회 성직자 소티리오스 트람바스는 아테네 대학교 신학부 졸업 후 그리스 군종 신부와 아테네 대교구 총장을 역임하고 한국 정교회에서 봉사하며 교세 확장에 기여, 2004년 한국 대교구 독립 시 초대 대주교로 착좌하여 아시아 지역 선교에 헌신했다.
  • 그리스의 신학자 - 그리고리오스 팔라마스
    그레고리오스 팔라마스는 14세기 비잔틴 제국의 정교회 신학자이자 아토스 산의 수도사, 테살로니키의 대주교로서 헤시카즘을 옹호하고 바를람과의 논쟁에서 승리하며 헤시카즘의 정통성을 확립하는 데 기여, 그의 신학은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에서 인정받고 동방 정교회의 주요 교부로 시성되었다.
  •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는 동방 정교회의 총대주교로서 역사적으로 특별한 지위를 가지며, 공의회를 통해 로마 주교 다음가는 지위를 확보하고 세계 총대주교 칭호를 사용했으나, 오스만 제국 시대 룸 밀레트의 지도자 역할을 수행한 후 권한이 축소되었고, 현재 튀르키예 정부의 제한과 정교회 내부의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
  •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포티오스 1세
    9세기 비잔티움 제국의 학자이자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였던 포티오스 1세는 명문가 출신으로 뛰어난 학식을 자랑하며 '포티오스 분열'을 야기하는 등 파란만장한 생애를 살았고 사후 동방 정교회에서 성인으로 추앙받는다.
키릴로스 루카리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632년 제네바에서 그려진 키릴로스 루카리스 초상
이름키릴로스 루카리스
존칭성인
직함
직함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
기타 직함신품 순교자
소속 교회콘스탄티노폴리스 교회
이전 직책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 키릴로스 3세
재임 기간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대리1612년 10월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1620년 11월 4일 – 1623년 4월 12일
1623년 9월 22일 – 1633년 10월 4일
1633년 10월 11일 – 1634년 2월 25일
1634년 4월 – 1635년 3월
1637년 3월 – 1638년 6월 20일
출생 및 사망
출생일1572년 11월 13일
출생지이라클리오, 칸디아 왕국 (현재의 그리스)
사망일1638년 6월 27일 (65세)
사망지보스포루스 해협 (현재의 이스탄불, 튀르키예)
성인
시성일2009년 10월 6일
시성 장소알렉산드리아의 성 사바스 축복 수도원 총대주교 교회
시성 주관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청 성 시노드
주요 성지할키의 파나기아 카마리오티사 수도원
축일6월 27일
상징동방 주교 예복, 복음서 또는 지팡이를 들고 있음. 큰 흰 수염을 가진 모습으로 묘사됨.

2. 생애

키릴로스 루카리스는 1572년 칸디아(헤라클리온)에서 태어나 베네치아, 파도바 대학교, 제네바 등 유럽 각지에서 공부하며 칼뱅주의와 개혁 신앙의 영향을 받았다. 그는 로마 가톨릭에 대한 반감을 키웠고,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서품을 받았다.[5]

1596년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 멜레티오스 페가스는 루카리스를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으로 보내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연합에 반대하는 정교회를 이끌게 했다. 1601년 루카리스는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로 임명되어 20년간 재임하며 프로테스탄트 종교 개혁 교리에 영향을 받은 신학을 수용했다. 그는 마르크 안토니오 데 도미니스에게 편지를 보내 자신의 신앙적 변화를 밝히기도 했다.

오스만 제국의 탄압과 예수회 선교사들의 활동으로 정교회 신앙과 그리스어 교육이 어려워지자, 루카리스는 아토스 산에 아토니아다 학교를 설립했다. 1627년에는 이스탄불에 최초의 그리스어 인쇄소를 설립했으나, 프랑스 정부의 항의로 1년 만에 폐쇄되었다.[7] 그는 갈리폴리의 막시모스가 그리스어로 된 신약 성경 번역본을 제작하도록 지원했다.[8]

2. 1. 초기 생애와 서유럽 유학

1572년 11월 13일, 키릴로스 루카리스는 베네치아 공화국 해상 제국의 일부였던 칸디아 왕국 칸디아 (이라클리온)에서 태어났다. 그는 젊은 시절 유럽을 여행하며 베네치아파도바 대학교에서 공부했고, 제네바에서 칼뱅주의와 개혁 신앙의 영향을 받았다. 루카리스는 베네치아, 파도바, 비텐베르크, 제네바에서 신학 공부를 계속하면서 로마 가톨릭 교회에 대한 반감을 키웠다. 이 시기에 그는 오스트로 아카데미 학장을 역임했을 것으로 추정된다.[21]

정확한 시기는 알려지지 않았으나, 루카리스는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서품을 받았다.[22]

2. 2.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연합 반대와 폴란드-리투아니아 활동

1596년,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 멜레티오스 피가스는 루카리스를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에 파견하여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연합에 반대하는 정교회 측을 이끌도록 하였다. 이 연합은 키예프를 로마와 통합하려는 시도였다. 루카리스는 6년 동안 빌뉴스(현재 리투아니아에 속함)에 있는 정교회 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했다.

1596년 브레스트 연합 당시,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 대리였던 젊은 루카리스는 동서 교회의 연합에 반대하는 현지 정교도들과 함께 연합 찬성파에 의해 회의장인 성당에서 완전히 쫓겨나는 강압적인 방식을 경험했다. 이를 통해 우크라이나 그리스 가톨릭 교회가 성립되는 것을 목격한 루카리스는 로마 가톨릭 교회와 폴란드 왕의 방식에 대해 강한 반감을 품게 되었다.[4]

2. 3.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 재임 (1601-1620)

1601년, 루카리스는 29세의 나이로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로 임명되었다. 그는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좌에 오를 때까지 20년 동안 이 직책을 계속 맡았다. 이 기간 동안 루카리스는 프로테스탄트 종교 개혁 교리의 영향을 많이 받은 신학을 받아들였다.

오스만 제국의 억압과 예수회 선교사들로 인한 정교회 신자들의 개종으로 인해, 정교회 신앙과 그리스어를 가르치는 학교가 부족했다. 로마 가톨릭 학교가 세워지고 정교회 옆에 가톨릭 교회가 세워졌으며, 정교회 사제들의 공급이 부족했기 때문에, 무엇인가를 해야 했다. 그의 첫 번째 행동은 아토스산에 신학교인 아토니아다 학교를 설립하는 것이었다.

2. 4.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재임 (1620-1638)과 개혁 노력

1620년, 키릴로스 루카리스는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로 착좌했다. 그는 칼뱅주의 노선에 따라 동방 정교회를 개혁하려는 목표를 가지고, 많은 젊은 그리스 신학자들을 스위스, 네덜란드 북부, 잉글랜드의 대학교로 유학 보냈다.

오스만 제국의 억압과 예수회 선교사들로 인한 정교회 신자들의 개종으로 인해, 정교회 신앙과 그리스어를 가르치는 학교가 부족했다. 로마 가톨릭 교회 학교가 세워지고 정교회 옆에 가톨릭 교회가 지어졌으며, 정교회 사제가 부족했기에 키릴로스는 아토스 산에 신학교인 아토니아다 학교를 설립하는 조치를 취했다.

1627년, 키릴로스는 이스탄불에 최초의 그리스어 인쇄소 설립을 허가받았다. 그러나 인쇄소에서 반가톨릭 논쟁을 출판하자, 프랑스 정부의 항의로 오스만 당국에 의해 1년 후 폐쇄되었다.[23] 그는 칼리폴리스의 막시모스를 후원하여 현대 그리스어로 된 최초의 신약성서 번역본을 만들었다.[24]

2. 5. 칼뱅주의 신앙 고백서와 논란

키릴로스 루카리스는 칼뱅주의 노선에 따라 동방 정교회를 개혁하려는 목표를 가졌으며, 이를 위해 젊은 그리스 신학자들을 스위스, 네덜란드, 잉글랜드의 대학교로 유학을 보냈다. 1629년에는 칼뱅주의 교리를 담은 《고백서》(Confessio)를 출판했으나, 가능한 한 동방 정교회의 언어와 신조에 맞게 조정했다. 이 책은 같은 해에 라틴어, 프랑스어, 독일어, 영어판으로 출판되었으며, 동방 교회에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638년 콘스탄티노폴리스 시노드, 1642년 야시 공의회 등 여러 시노드에서 비판을 받았으며, 1672년 예루살렘 총대주교 도시테오스에 의해 소집된 예루살렘 공의회에서 칼뱅주의 교리가 정죄되었다. 그러나 예루살렘 공의회는 키릴로스 루카리스가 고백서의 저자가 아니라고 판단하여 무죄를 선언했다.

이반 말리셰프스키,[9] 주교 아르세니우스 (브리안체프),[10] 바실리 말라호프,[11] 조지 마이클리데스,[12] 니콜라이 탈베르크[13]를 포함한 압도적으로 많은 그리스 및 러시아 정교회 학자들은 "고백서"의 진정성을 부인했으며, 그 결과 2009년 알렉산드리아 그리스 정교회 총대주교청에 의해 키릴로스가 성인으로 추대되었다.[14]

2. 6. 정치적 갈등과 죽음

키릴로스 루카리스는 정교회 반대자들과 가톨릭 프랑스오스트리아 대사들의 사주로 여러 차례 파면(politics)|파면]] 및 추방되었다.[1] 그는 오스만 제국의 수도에서 개신교 네덜란드영국 대사들의 지지를 받았다. 오스만 술탄 무라드 4세가 페르시아 전쟁에 나서려 하자, 루카리스는 코사크족을 선동하려 했다는 혐의를 받았고, 술탄은 부재 중 문제를 피하기 위해 1638년 6월 27일 예니체리들에게 보스포러스 해협의 배 위에서 그를 교살시켰다.[15] 그의 시신은 바다에 던져졌지만, 친구들이 수습하여 수도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묻었고, 여러 해가 지난 후에야 콘스탄티노플로 다시 가져왔다.

3. 평가와 시성

키릴로스 루카리스는 죽은 직후 성인이자 순교자로 존경받았으며, 아이톨리아의 에우게니오스는 그의 기념을 기리기 위해 ''아콜루시아''(예배)를 편찬했다.[15]

에드워드 포코크가 토머스 그리브스에게 보낸 1659년 편지에 따르면, 루카리스의 도서관에 있던 가장 훌륭한 필사본 중 많은 수가 네덜란드 대사에 의해 구출되어 배로 네덜란드에 보내졌으나, 배는 다음 날 격렬한 폭풍으로 화물과 함께 침몰했다.[16]

현대에도 키릴로스 루카리스에 대한 평가는 칼뱅주의(또는 더 넓은 의미의 개신교)의 영향 정도와 관련된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18][19] 2009년 10월 6일,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청의 성 시노드는 키릴로스 루카리스를 성인으로 추대하고, 성품을 받은 순교자로 기억하기로 결정했다.[17]

4. 유산

키릴로스 루카리스는 동방 정교회와 서방 교회의 관계, 특히 종교 개혁 시대의 신학적 교류와 갈등을 보여주는 중요한 인물이다. 그의 신학적 입장은 여전히 논쟁의 대상이지만, 그의 개혁 노력과 순교는 정교회 역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1] 그는 잉글랜드 교회에 특히 호의적이었으며, 캔터베리 대주교와 서신을 주고받았다. 그와 메트로파네스 크리토풀로스가 수집한 장서와 필사본 중 많은 것들이 오늘날 총대주교 도서관을 장식하고 있다.

오스만 제국의 탄압과 예수회 선교사들의 정교 신자 개종 시도로 인해 정교 신앙과 그리스어를 가르치는 학교가 부족했다. 로마 가톨릭 학교가 세워지고 정교회 옆에 가톨릭 교회가 세워지면서, 정교회 사제가 부족했기에 무언가를 해야 했다. 그는 칼뱅주의 노선에 따라 동방 정교회를 개혁하려는 목표를 가지고, 이를 위해 많은 젊은 그리스 신학자들을 스위스, 북부 네덜란드, 잉글랜드의 대학교로 보냈다.

그는 갈리폴리의 막시모스가 그리스어로 된 신약 성경 번역본을 제작하도록 지원했다.[8]

1629년 제네바에서 라틴어로 칼뱅주의 교리를 담은 《기독교 신앙의 동방 고백서》가 출판되었다. 1633년에는 그리스어로 출판되었다. 1638년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는 키릴로스와 《기독교 신앙의 동방 고백서》를 모두 파문했지만, 특별히 키릴로스의 사건을 다룬 1672년 예루살렘 공의회는 그를 완전히 무죄로 인정하고,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가 그를 고백서의 저자라고 생각해서 저주한 것이 아니라, 키릴로스가 자신에게 귀속된 이 에세이에 대한 반박문을 쓰지 않았기 때문에 저주했다고 증언했다.

키릴로스 루카리스는 정교회 반대자들과 가톨릭 프랑스오스트리아 대사들의 사주를 받아 여러 차례 임시로 파면(politics)|파면]] 및 추방되었으며,[1] 그는 오스만 제국의 수도에서 개신교 네덜란드영국 대사들의 지지를 받았다.

루카리스는 죽은 직후 성인과 순교자로 존경받았다.

참조

[1] 웹사이트 'Cyril Lucaris {{!}} patriarch of Constantinople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2-07-04
[2] 웹사이트 'First Day of the deliberations of the holy synod of the Alexandrian patriarchate' http://www.patriarch[...] Greek Orthodox Patriarchate of Alexandria and All Africa 2009-10-06
[3] 간행물 Άγιος Κύριλλος Λούκαρις Πατριάρχης Κωνσταντινουπόλεως http://www.saint.gr/[...] Ορθόδοξος Συναξαριστής 2019-06-27
[4] 서적 Renaissance Influences and Religious Reforms in Russia
[5] 문서 Kyrillos Loukaris 1939
[6] 문서 Protestant Patriarch John Knox Press 1961
[7] 서적 "Christians in a Changing World" in the Cambridge History of Turkey, Volume 3, edited by Suraiya N. Faroqhi Cambridge University Press
[8] 저널 The 'Calvinist Patriarch' Cyril Lucaris And His Bible Translations http://www.scielo.or[...] 2015
[9] 문서 Александрийский патриарх Мелетий Пигас и его участие в делах Русской Церкви 1872
[10] 간행물 Патриарх Кирилл Лукарис и его заслуги для Православной Церкви
[11] 간행물 Пресуществление Святых Даров в таинстве Евхаристии 1898
[12] 간행물 The Greek Orthodox Position on the Confession of Cyril Lucaris 1943
[13] 문서 Соборы, ограждавшие православие от латинян и протестантов
[14] 웹사이트 Кирилл I Лукарис https://www.pravenc.[...] Православная энциклопедия 2014
[15] 서적 Universal Biography
[16] 서적 The Lives of Dr. Edward Pocock: the celebrated orientalist https://books.google[...] printed for FC & J Rivington, by R&R Gilbert
[17] 웹사이트 Cyril Lucaris - OrthodoxWiki http://orthodoxwiki.[...]
[18] 웹사이트 Eastern Orthodox Mission Theology Today - James J. Stamoolis https://books.google[...]
[19] 웹사이트 The Myth of the Calvinist Patriarch http://www.orthodoxi[...]
[20] 웹인용 'Cyril Lucaris {{!}} patriarch of Constantinople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2-07-04
[21] 서적 Renaissance Influences and Religious Reforms in Russia
[22] 문서 Kyrillos Loukaris 1939
[23] 서적 "Christians in a Changing World" in the Cambridge History of Turkey, Volume 3, edited by Suraiya N. Faroqhi Cambridge University Press
[24] 저널 The 'Calvinist Patriarch' Cyril Lucaris And His Bible Translations http://www.scielo.or[...] 20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