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추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추방은 개인을 국가에서 강제로 내보내는 행위를 의미하며, 국제기구와 법률에 따라 정의가 다양하다. 국제이주기구는 추방을 "국가 영토를 떠나라는 법적 명령"으로, 강제퇴거를 "명령의 실제 집행"으로 정의한다. 역사적으로 추방은 고대 메소포타미아, 이스라엘과 유다, 아케메네스 제국 등에서 빈번히 발생했으며, 중세 유럽에서는 종교적 이유로 대규모 추방이 있었다. 근대에는 식민지 개척과 이민 통제 정책으로 추방이 확대되었으며, 미국, 나치 독일, 소련 등에서 정치적, 인종적 이유로 대규모 추방이 자행되었다. 현대에는 대부분의 국가가 체류 자격이 없는 외국인을 추방할 권리를 가지며, 추방은 난민 신청자, 정치적 망명자, 이민자 외부화 정책과 관련된 논란을 야기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추방 - 강제퇴거
    강제퇴거는 외국인이 체류 자격 위반, 범죄를 저지르거나 난민 지위가 취소되는 등의 사유로 국가가 외국인을 강제로 출국시키는 조치로, 위반 조사, 수용, 심사 등의 절차를 거쳐 진행되지만, 장기간 구금이나 인권 침해 등의 문제점과 제도 악용에 대한 비판이 있어 외국인 인권 보호 및 공정한 법 집행을 위한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
  • 추방 - 그리스-튀르키예 인구 교환
    그리스-튀르키예 인구 교환은 1923년 협정에 따라 튀르키예 내 그리스인과 그리스 내 튀르키예인을 종교 기준으로 강제 맞교환하여, 약 150만 명의 그리스 정교도들이 튀르키예에서 그리스로, 약 50만 명의 무슬림들이 그리스에서 튀르키예로 추방된 사건이다.
추방
지도
기본 정보
정의특정 개인이나 그룹을 특정 장소나 국가에서 강제로 내쫓는 행위
유형국가 추방
망명
강제 이주
관련 법률국제법
국내법
추방의 이유
주요 원인불법 이민
범죄
안보 위협
정치적 이유
인종 차별
종교적 이유
국제법
난민국제법은 난민에 대한 추방을 제한함
인권추방은 인권 침해의 문제가 될 수 있음
역사적 사례
주요 사례아시리아인의 추방
나치 독일의 추방
디아스포라
국내법
국가별 차이추방 정책은 국가마다 다름
절차추방 절차는 복잡하고 법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
추방의 영향
사회적 영향추방은 개인 및 사회에 큰 영향을 미침
경제적 영향추방은 경제에도 영향을 미침
인권 문제추방 과정에서 인권 침해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
기타
반대 의견추방 정책에 대한 반대 의견도 있음
대안추방을 대신할 다른 정책이 논의됨

2. 정의

추방은 일반적으로 한 국가가 자국 내에 체류 중인 외국인을 강제로 국외로 퇴거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추방의 정의는 다양하여, "국경 너머로의 이동"을 의미하기도 하고,[2] "본인이 자발적으로 따르지 않는 경우 추방 명령의 실제 집행"으로 간주되기도 하며,[3] 합법적 이민자의 제거와 불법 이민자의 추방을 구분하기도 한다.[6]

일본에서는 법률상 “강제퇴거”와 “출국명령”이 있으며, 외국인이 일본 체류 허가를 상실한 경우에 시행된다. 강제퇴거 또는 출국명령이 집행되면, 해당 외국인은 일정 기간 입국금지 대상이 된다. 특별영주자의 경우에는 강제퇴거 요건이 내란죄·외환죄로 유죄가 확정되고 그 집행을 마친 경우 등으로 제한된다.

2. 1. 국제기구 및 국제법

국제이주기구(IOM)는 추방과 강제퇴거(removal)를 동의어로 취급하며, "국가 영토를 떠나라는 법적 명령"을 추방, "본인이 자발적으로 따르지 않는 경우 그러한 명령의 실제 집행"을 강제퇴거로 정의한다.[8] 유럽인권재판소는 집단 추방을 금지하며, 이는 특정 민족 집단 전체를 국적에 관계없이 강제 퇴거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3. 역사

추방은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로 존재해 왔다. 고대 메소포타미아를 비롯하여 이스라엘과 유다 등에서 추방이 빈번하게 발생했다.[10] 신아시리아 제국은 이스라엘 멸망 후와 기원전 8세기 센나케리브의 원정 중에 강제 추방을 시행했다. 신바빌로니아 제국은 기원전 597년과 587년에 유다를 정복하면서 유다 인구의 상당 부분을 추방했다.[9]

3. 1. 고대

고대에는 고대 메소포타미아를 비롯하여 이스라엘과 유다 등에서 추방이 빈번하게 발생했다.[10] 신아시리아 제국은 이스라엘을 멸망시킨 후와 기원전 8세기 센나케리브의 원정 중에 강제 추방을 시행했다. 신바빌로니아 제국은 기원전 597년과 587년에 유다를 정복하면서 유다 인구의 상당 부분을 추방했다.[9]

아케메네스 제국에서는 반란을 일으킨 사람들에 대한 정책으로 추방이 시행되었다. 추방된 사람들의 정확한 법적 지위는 불분명하지만, 학대에 대한 기록은 없다. 아케메네스 제국에서의 추방 사례는 다음과 같다.[10]

아케메네스 제국에서의 추방
추방된 사람들추방된 곳추방자
6,000명의 이집트인(아미르타이오스 왕과 많은 장인 포함)수사캄비세스 2세
바르카인들박트리아의 한 마을다리우스 1세
트라키아의 파이오니아인들사르디스, 소아시아 (나중에 귀환)다리우스 1세
밀레투스인들암페, 티그리스강 어귀 부근 페르시아만 근처다리우스 1세
카리아인들과 시타케미아인들바빌로니아
에레트리아인들수시아나의 아르데리카다리우스 1세
보이오티아인들티그리스강 지역
시돈의 전쟁 포로들수사바빌론아르타크세르크세스 3세
시돈 반란을 지지한 유대인들[11]히르카니아아르타크세르크세스 3세



아르사케스 왕조 파르티아 시대에는 강제 이주 기록이 드물다. 주목할 만한 예로는 프라아테스 1세가 라게스(레이) 근처 카락스에 있던 마르디족을 강제 이주시킨 것이 있다. 기원전 53년 카르라이 전투 이후 1만 명의 로마 포로가 동쪽 국경 근처 (메르브)로 강제 이주되어 현지 사람들과 결혼했다고 전해진다. 이들 중 일부가 흉노의 군인이 된 후 리젠이라는 중국 도시를 건설했다는 가설이 있지만, 이는 의심스럽다.[10] 유대의 유대인 왕 히르카누스 2세는 기원전 40년 기원전 40년 파르티아-유대군에 의해 포로로 잡힌 후 파르티아바빌론에 있는 유대인들 사이에 정착했다.[12] 안토니우스의 파르티아 전쟁의 로마 포로들도 강제 이주를 당했을 가능성이 있다.[10]

사산 왕조에서는 특히 로마와의 전쟁 기간 동안 추방이 널리 사용되었다. 샤푸르 1세 치세 동안 에데사 전투에서 패배한 로마인들(발레리아누스 포함)은 페르시스로 추방되었다. 다른 목적지는 파르티아, 후지스탄, 그리고 아소레스탄이었다. 전쟁 포로인 로마인들로 새로운 도시가 건설되어 인구가 증가했는데, 여기에는 메샨의 샤드-샤푸르(다이르 미크라크), 페르시스의 비샤푸르, 우주르그-샤푸르(우크바라; 마르브-하부르), 그리고 군데샤푸르가 포함된다. 추방된 사람들에게는 농지도 제공되었다. 이러한 추방은 사산 왕조 시대의 기독교 확산에 영향을 주었다. 페르시스의 레우-아르다시르(리샤르; 야란샤르)에는 로마인들을 위한 교회와 카르마니아인들을 위한 또 다른 교회가 있었다.[10] 다만, 페르시아에서 기독교가 확산되는 데 이들이 결정적인 역할을 했고 페르시아 경제에 크게 기여했다는 가설은 최근 모지그-발부르크(2010)에 의해 비판받았다.[13] 3세기 중반, 시리아 북서부 출신의 그리스어 사용 추방자들은 메소포타미아의 카슈카르에 정착했다.

샤푸르 2세 치세 동안 아랍인들이 페르시아에 침입한 후, 그는 패배한 아랍 부족들을 다른 지역으로 추방하여 흩어놓았다. 일부는 바레인과 키르만으로 추방되었는데, 이는 기후 때문에 매력적이지 않은 이 지역에 인구를 채우고 부족들을 통제하기 위한 것일 가능성이 있다.[10]

395년, 소페네, 아르메니아, 메소포타미아, 시리아, 그리고 카파도키아의 18,000명에 달하는 로마 인구가 "훈족"에 의해 포로로 잡혀 추방되었다. 포로들은 페르시아에 도착하자 페르시아인들에 의해 석방되었고, 슬로크(웨 아르다시르)와 코크바(코케)에 정착했다. ''리베르 칼리파룸''의 저자는 추방된 사람들을 잘 대해주고 일부의 귀환도 허용한 왕 야즈데게르드 1세(399~420)를 칭찬했다.[10]

아나스타시우스 전쟁 동안에는 대규모 추방이 발생했는데, 카바드 1세테오도시오폴리스와 아미다의 주민들을 아라얀(웨-아즈-아미드 카바드)으로 추방했다.[10]

코스로 1세의 원정 중에는 수라, 베로이아, 안티오크, 아파메아, 칼리니쿰, 그리고 오스로에네의 밧나이 등 로마 도시들의 주민들이 웨-안티요크-코스로(루마간으로도 알려짐; 아랍어: 알-루미야)로 추방되었다. 이 도시는 특히 그들을 위해 크테시폰 근처에 건설되었고, 코스로는 주민들이 머물고 싶어하도록 "최선을 다했다"고 전해진다.[10] 추방된 사람들의 수는 다른 자료에서는 292,000명으로 기록되어 있다.[14]

3. 2. 중세

중세 유럽 시대는 기독교인, 유대인, 무슬림을 포함한 여러 대규모 종교 추방으로 특징지어진다. 예를 들어, 알모라비드 왕조는 1109년, 1126년, 1130년, 1138년에 대규모 추방을 단행하여 스페인에서 모로코로 기독교인들을 추방했다.[15]

3. 3. 근대

대항해시대 이후, 유럽 국가들은 식민지 개척을 위해 범죄자나 종교적 반대자들을 추방했다. 16세기 초부터 포르투갈 제국은 ''데그라다도(degredado)''들을 초기 식민지 개척민으로 보냈다.[16] 1717년부터 1776년까지 영국은 약 4만 명[17]의 종교적 반대자들과 "범죄자"들을 미국으로 추방했고,[18] 이들은 형기 동안 농장에서 일했다.[17] 1787년부터 1855년까지는 오스트레일리아 식민지로 16만 명이 넘는[17] "범죄자"들을 이송했다.[19]

일본에서는 사카쿠(Sakoku) 기간 동안 모든 포르투갈인과 스페인인이 추방되었다.

18세기 마이소르의 티푸 술탄(Tipu Sultan)은 점령지에서 수만 명의 민간인을 추방하여 제국의 다른 지역에서 노예로 일하게 했다. 세린가파탐의 망갈로르 가톨릭 신자 감금(Captivity of Mangalorean Catholics at Seringapatam)이 그 예이다.[20]

19세기 후반, 미국은 "바람직한" 이민자와 "바람직하지 않은" 이민자를 구분하면서 불법 이민과 그에 따른 추방이 나타났다.[21] 중국 배제법(Chinese Exclusion Act) 이후, 미국 정부는 5,500만 명이 넘는 이민자들을 추방했다.[22]

20세기 초, 호주의 1901년 이민 제한법(Immigration Restriction Act 1901),[23] 영국의 1905년 외국인법(Aliens Act 1905),[24] 캐나다의 1908년 계속 여정 규정(Continuous journey regulation)[25] 등으로 이민 통제가 강화되면서 "불법" 이민자 추방이 세계적으로 확대되었다.

3. 3. 1. 미국

1930년대 대공황 시기, 미국 행정부는 이민법 집행을 강화했고, 이는 멕시코로의 추방 및 본국 송환 증가로 이어졌다. 1930년대 대공황 기간 동안 35만 5천 명에서 200만 명에 이르는 멕시코인과 멕시코계 미국인들이 멕시코로 추방 또는 본국 송환되었는데, 이 중 약 40~60%는 미국 시민권자였으며, 대부분 아동이었다. 1929년부터 1935년까지 정부에 의해 공식적으로 추방된 멕시코인은 최소 8만 2천 명이었다. 자발적 본국 송환이 추방보다 더 흔했다.[26][27] 1954년 미국 행정부는 멕시코 이민 및 이민자들에 대한 대중적 히스테리에 대한 대응으로 웨트백 작전이라는 프로그램을 시행했다.[28] 이 작전은 미국에서 약 130만 명의 멕시코인 추방으로 이어졌다.[29][30]

3. 3. 2. 나치 독일

바르샤바 게토 항쟁 당시 강제 이송되는 사람들


나치 정책에 따라 동성애자, 유대인,[31][32] 폴란드인, 로마족은 기존 거주지에서 멀리 떨어진 나치 강제 수용소 또는 절멸 수용소로 강제 이송되었다. 홀로코스트 기간 동안 나치는 "강제 이송"이라는 완곡한 표현을 자주 사용했는데, 이는 단순한 이주가 아닌 희생자들의 살해를 의미하는 경우가 많았다.[33]

3. 3. 3. 소련

소비에트 연방은 1930년대와 1940년대에 걸쳐 약 600만 명에 달하는 인구를 강제 이주시켰으며, 이로 인해 수백만 명이 사망했다. 최소 13개의 서로 다른 민족과 8개의 전체 국가를 표적으로 한 110건에 달하는 강제 이주 사례가 기록되었다. 많은 역사가들은 소련의 강제 이주를 민족 청소, 반인륜 범죄, 집단 학살로 규정한다.[34][35][36][37][38]

3. 3. 4. 독립국 크로아티아

독립국 크로아티아에서 약 12만 명의 세르비아인이 독일 점령 세르비아로 강제 추방되었고, 1943년까지 30만 명이 탈출했다.[39]

4. 현대

오늘날 대부분의 국가는 체류 자격이 없는 외국인을 추방할 권리를 보유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중범죄를 저지르거나, 불법으로 입국하거나, 체류 기간을 초과하거나, 비자 조건을 위반하는 등 체류 자격을 상실한 외국인은 행정적으로 강제 출국되거나 추방될 수 있다.[40]

1980년대 이후, 호주, 캐나다, 미국, 영국[41]유럽 연합[42]은 이민자 외부화/"해외 이전"[41] 정책을 통해 난민 신청자 등의 입국을 제한하고 있다. 페르시아만 지역의 일부 국가는 자국민을 추방하는데, 코모로에 돈을 지불하고 코모로 여권을 받아 코모로로 추방하기도 하였다.[43][44]

철의 장막 붕괴 이후, 유럽 일부 지역에서는 추방과 재입국 협정이 증가했다.[45]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기간 동안, 러시아 연방은 우크라이나 시민들을 러시아와 점령지로 대규모 추방하는 만행을 저질렀다. 독립적인 수치를 얻기는 어렵고, "추방"의 정의를 충족하기 위해 러시아의 강압이나 무력 행사의 정도에 따라 보고된 추방자 수는 수만 명에서 450만 명에 이른다.[36][46][47][48]

도미니카 공화국은 2023년에 25만 명이 넘는 아이티인과 아이티계 후손인 도미니카인들을 아이티로 추방했다.[49]

5. 주요 국가별 추방

주요 국가별 추방 사례는 다음과 같다.

국가내용
대한민국전두환 정권 시절, 일본인 유학생이 국가보안법 위반으로 징역 7년형을 선고받았으나, 일본 정부와의 외교 협상을 통해 강제 출국 형식으로 형 집행을 면제받았다.[1] 이는 외교적 관계를 고려하여 추방이 이루어진 사례로 볼 수 있다.
일본법률상 강제퇴거와 출국명령 제도가 있으며, 이 두 제도는 모두 일본 체류 자격(허가)을 상실한 외국인에게 적용된다. 강제퇴거 또는 출국명령이 집행되면 해당 외국인은 일정 기간 입국금지 대상이 된다. 특별영주자의 경우에는 내란죄·외환죄로 유죄가 확정되고 그 집행을 마친 경우 등으로 강제퇴거 요건이 엄격하게 제한된다.
미국2009년부터 2013년까지 약 200만 명을 추방했으며, 연간 수십만 명 규모이다.[53] 추방 이유는 체류 외국인(불법 이민자 포함)이 저지른 교통 위반 등 경범죄가 대부분이다. 오토 웜비어북한에서 송환된 후 사망한 것을 계기로 2017년 9월 1일부터 북한 여행 금지 조치를 시행했고, 이에 앞서 북한에 체류하는 자국민에게 출국을 권고했다.[54]


5. 1. 대한민국

전두환 정권 시절, 일본인 유학생이 국가보안법 위반으로 징역 7년형을 선고받았으나, 일본 정부와의 외교 협상을 통해 강제 출국 형식으로 형 집행을 면제받았다.[1] 이는 외교적 관계를 고려하여 추방이 이루어진 사례로 볼 수 있다.

5. 2. 일본

일본에서는 법률상 강제퇴거와 출국명령 제도가 있으며, 이 두 제도는 모두 일본 체류 자격(허가)을 상실한 외국인에게 적용된다. 강제퇴거 또는 출국명령이 집행되면 해당 외국인은 일정 기간 입국금지 대상이 된다. 특별영주자의 경우에는 내란죄·외환죄로 유죄가 확정되고 그 집행을 마친 경우 등으로 강제퇴거 요건이 엄격하게 제한된다.

5. 3. 미국

미국은 2009년부터 2013년까지 약 200만 명을 추방했으며, 연간 수십만 명 규모이다.[53] 추방 이유는 체류 외국인(불법 이민자 포함)이 저지른 교통 위반 등 경범죄가 대부분이다.

미국은 억류되었던 미국인 대학생 오토 웜비어북한에서 송환된 후 사망한 것을 계기로 2017년 9월 1일부터 북한 여행 금지 조치를 시행했다. 이에 앞서 북한에 체류하는 자국민에게 출국을 권고했다.[54]

6. 비판 및 논란

추방 반대 시위를 벌이는 아나키스트들


많은 사람들이 추방을 비인간적이라고 비판하며 그 효과에 대해서도 의문을 제기한다. 어떤 사람들은 모든 추방에 완전히 반대하는 반면, 다른 사람들은 동의 없이 누군가를 타국으로 데려가는 것은 비인간적이라고 말한다.[50][51][52]

7. 대중문화 속 추방

문학에서 추방은 1935년 시어도어 D. 어윈의 소설 《이상한 항해》(Strange Passage)에서 중요한 주제로 등장한다.

추방을 묘사하거나 허구적인 추방 사례를 다룬 영화로는 《엘리스 섬》(1936), 《망명 열차》(1939), 《다섯 명이 돌아왔다》(1939), 《추방》(1950), 《도박장》(1951) 등이 있다. 좀 더 최근에는 《샷타스》(2002)가 1997년 이후 미국에서 카리브해로의 추방 문제를 다루었다.

참조

[1] 웹사이트 EMN Asylum and Migration Glossary – Removal https://home-affairs[...]
[2] 웹사이트 Case Matrix Network – Art. 7(1)(d) 5. https://www.casematr[...]
[3] 웹사이트 Aliens, Expulsion and Deportation https://opil.ouplaw.[...]
[4] 서적 Mass Expulsion in Modern International Law and Practice https://books.google[...] Martinus Nijhoff Publishers 1995
[5] 웹사이트 Definition of DEPORTEE https://www.merriam-[...] 2021-02-25
[6] 웹사이트 Disguised Extradition, i.e., Surrender by Other Means https://rm.coe.int/C[...]
[7] 간행물 International Migration Law No. 34 – Glossary on Migration https://publications[...] 2019-06-19
[8] 문서 Aliens, Expulsion and Deportation
[9]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ancient Israel Scarecrow Press 2004
[10] 웹사이트 Deportations http://www.iranicaon[...] 2012-12-30
[11] 서적 The Acts of the Apostles: The Greek Text with Introduction and Commentary Wm. B. Eerdmans Publishing 1990
[12] 서적 The Star of Bethlehem and the Magi: Interdisciplinary Perspectives from Experts on the Ancient Near East, the Greco-Roman World, and Modern Astronomy https://books.google[...] Brill 2015
[13] 논문 Deportationen römischer Christen in das Sasanidenreich durch Shapur I. und ihre Folgen: eine Neubewertung https://dialnet.unir[...] 2010
[14] 서적 The Decline of Iranshahr: Irrigation and Environments in the History of the Middle East, 500 B.C. to A.D. 1500 1993
[15] 논문 The Papacy and Christian Mercenaries of Thirteenth-Century North Africa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4
[16] 문서 1998
[17] 서적 1788 the brutal truth of the first fleet Random House Australia 2010
[18] 서적 Coming to America: A History of Immigration and Ethnicity in American Life 2002
[19] 문서
[20] 서적 The Christian Impact in South Kanara https://books.google[...] Church History Association of India 1999
[21] 웹사이트 The Birth of 'Illegal' Immigration https://www.history.[...] 2017-09-17
[22] 웹사이트 Oxford Research Encyclopedia of American History https://oxfordre.com[...] 2020-06-30
[23] 웹사이트 Immigration Restriction Act 1901 (Cth) http://www.foundingd[...] Museum of Australian Democracy 2016-11-07
[24] 웹사이트 Immigration https://web.archive.[...]
[25] 서적 The Voyage of the Komagata Maru: The Sikh's challenge to Canada's colour bar http://komagatamaruj[...] UBC Press 2022-03-13
[26] 논문 Immigration, Repatriation, and Deportation: The Mexican-Origin Population in the United States, 1920–1950 https://deepblue.lib[...] 2013-12
[27] 문서 The Federal Deportation Campaign in Texas: Mexican Deportation from the Lower Rio Grande Valley During the Great Depression 1981
[28] 문서 Operation Wetback: The Mass Deportation of Mexican Undocumented Workers in 1954
[29] 서적 Operation Wetback: The Mass Deportation of Mexican Undocumented Workers in 1954 Greenwood Publishing Group 1980
[30] 서적 Defining America Through Immigration Policy Temple University Press 2004
[31] 웹사이트 Deportation to the Death Camps https://www.yadvashe[...]
[32] 웹사이트 Database of deportations http://db.yadvashem.[...]
[33] 웹사이트 Holocaust Glossary http://teacher.schol[...] Scholastic
[34] 논문 Stalin's genocide against the 'Repressed Peoples' http://www.tandfonli[...] 2000
[35] 웹사이트 UNHCR publication for CIS Conference (Displacement in the CIS) – Punished peoples: the mass deportations of the 1940s https://www.unhcr.or[...] 2024-07-18
[36] 웹사이트 A century of deportations. How Russia has been destroying nations https://www.ukrainer[...] 2023-06-18
[37] 서적 Against Their Will Central European Press 2004
[38] 서적 The Historiography of Genocide https://archive.org/[...] Palgrave Macmillan
[39] 서적 The Three Yugoslavias: State-Building and Legitimation, 1918–2005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40] 간행물 Mass Expulsion in Modern International Law and Practice
[41] 뉴스 Boris Johnson Won't Find Refuge in Rwanda https://www.bloomber[...] 2022-04-20
[42] 서적 Refuge beyond Reach: How Rich Democracies Repel Asylum Seekers Oxford University Press 2019
[43] 웹사이트 Stateless and for Sale in the Gulf https://www.foreigna[...] 2016-06-30
[44] 뉴스 To silence dissidents, Gulf states are revoking their citizenship https://www.economis[...] 2016-11-26
[45] 간행물 An assessment of the impact of asylum policies in Europe, 1990–2000 https://www.temaasyl[...] Home Office Online Report 17.03
[46] 웹사이트 Update on the human rights situation in Ukraine https://www.ohchr.or[...] 2022
[47] 웹사이트 Deportation of Ukrainian citizens from the territory of active military operations or from the temporarily occupied territory of Ukraine to the territory of the Russian Federation and the Republic of Belarus https://zmina.ua/wp-[...]
[48] 웹사이트 "We Had No Choice" "Filtration" and the Crime of Forcibly Transferring Ukrainian Civilians to Russia https://www.hrw.org/[...] 2022-09-01
[49] 웹사이트 Dominican Republic must end de facto racist migration policies https://www.amnesty.[...] 2024-04-02
[50] 뉴스 Mass deportation isn't just inhumane. It's ineffective https://www.washingt[...]
[51] 웹사이트 Analysis: Deaths during forced deportation https://irr.org.uk/a[...] 2013-01-11
[52] 서적 The Deportation Regime University of Leicester
[53] 뉴스 強制送還数が増加、アメリカ http://jbpress.ismed[...] JB press 2014-04-16
[54] 뉴스 北朝鮮渡航者に8月中の国外退去呼び掛け https://web.archive.[...] 産経新聞社・産経ニュース 2017-08-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