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키아니디움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키아니디움목은 홍조식물문에 속하는 조류의 한 분류군으로, 고온, 산성 환경에 서식하며, 광합성 색소와 세포 구조의 특징을 보인다. 대부분 단세포이며, 시아니디오시존을 포함한 일부 종은 이분열로 증식한다. 시아니디오시존은 게놈 해독이 이루어진 최초의 진핵 조류이며, 모델 생물로 활용된다. 키아니디움목은 2020년 기준 9종 정도가 알려져 있으며, 1목 2과(또는 3과) 4속으로 분류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키아니디움강 - 갈디에리아속
    갈디에리아속은 갈디에리아에 속하는 종들을 포함하는 분류군이며, G. daedala, G. maxima, G. partita, G. phlegrea, G. sulphuraria 종이 있다.
  • 키아니디움강 - 키아니디움과
    키아니디움속과 키아니디오스키존속은 홍조류에 속하는 생물 분류군으로, 키아니디움속은 두 종, 키아니디오스키존속은 단일종을 포함하며, 특히 키아니디오스키존속은 고온 및 산성 환경에서 생존하는 특성으로 세포 생물학 연구에 널리 활용된다.
키아니디움목 - [생물]에 관한 문서
분류학적 정보
학명Cyanidiophyceae
명명자T.Christensen
하위 분류
하위 분류군 계층과 (family)
하위 분류군Cyanidiaceae
Galdieriaceae

2. 특징

이데유코고메강에 속하는 조류는 모두 단세포 부동성이다.[11][12] 대부분은 구형이지만, 시아니디오시존(; 통칭 "시존")은 타원형에서 곤봉 모양이다.[11][12] 세포는 대개 명확한 세포벽으로 둘러싸여 있지만, 시아니디오시존은 명확한 세포 외피를 결여한다.[12][13][14] 세포는 단핵성이다. 골지체 시스 면은 소포체에 면해 있다.[12] 또한 갈디에리아속 ()은 큰 액포를 가질 수 있다.[12]

엽록체세포막을 따라 존재하며, 세포당 1개이지만, 갈디에리아속에서는 엽록체가 깊게 패어 있는 경우가 있다.[11][12] 변두리 틸라코이드를 가지며, 피레노이드를 결여한다.[12] 주요 보조 광합성 색소는 피코시아닌 (C-피코시아닌)이며, 피코에리트린을 결여하기 때문에 엽록체는 청록색을 띤다.[15][16] 카로티노이드로서, 제아잔틴과 β-카로텐을 가진다.[17] 저장 다당류는 대개 글리코겐 (파이토글리코겐 phytoglycogen)이지만, 시아니디오시존에서는 아밀로펙틴 (세미아밀로펙틴 semiamylopectin)[18][19]이다. 저분자 탄수화물로서 플로리도사이드, 이소플로리도사이드를 생성한다.[20][21]

광독립영양생물이지만, 일부 종은 종속영양 능력을 가지며 (즉 혼합영양생물), 다양한 탄소원 (, 당알코올)을 이용 가능하다.[22][23] 100% 이산화탄소 하에서 생육 가능한 것도 보고되고 있다.[24] 아연, 구리, 니켈, 망간, 크롬, 특히 알루미늄에 대한 내성을 보인다.[25][26][27] 또한 갈디에리아속에서는, 세포에 금, 팔라듐 등이 침착하는 것이 보고되고 있다.[28]

대부분은 내생 포자를 형성하여 무성생식을 하지만, 시아니디오시존은 이분열에 의해 증식한다.[11][12][29] (그림 2). 유성생식은 알려져 있지 않다.

몇몇 종에서 게놈염기서열이 보고되었으며, 특히 시아니디오시존 (그림 2)은 처음으로 게놈이 해독된 진핵 조류이다.[30][31][32][33][34][61] 또한 시아니디오시존에서는 동조 배양 및 유전자 도입 계통 등이 확립되어 있어, 모델 생물로서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35][36][37][38][39]

2. 1. 세포 구조

키아니디움목에 속하는 조류는 모두 단세포 부동성이다.[11][12] 대부분은 구형이지만, 시아니디오시존(통칭 "시존")은 타원형에서 곤봉 모양이다.[11][12] 세포는 대개 명확한 세포벽으로 둘러싸여 있지만, 시아니디오시존은 명확한 세포 외피를 결여한다.[12][13][14] 세포는 단핵성이다. 골지체 시스 면은 소포체에 면해 있다.[12] 또한 갈디에리아속은 큰 액포를 가질 수 있다.[12]

엽록체세포막을 따라 존재하며, 세포당 1개이지만, 갈디에리아속에서는 엽록체가 깊게 패어 있는 경우가 있다.[11][12] 변두리 틸라코이드를 가지며, 피레노이드를 결여한다.[12] 주요 보조 광합성 색소는 피코시아닌 (C-피코시아닌)이며, 피코에리트린을 결여하기 때문에 엽록체는 청록색을 띤다.[15][16] 카로티노이드로서, 제아잔틴과 β-카로텐을 가진다.[17] 저장 다당류는 대개 글리코겐 (파이토글리코겐)이지만, 시아니디오시존에서는 아밀로펙틴 (세미아밀로펙틴)이다.[18][19] 저분자 탄수화물로서 플로리도사이드, 이소플로리도사이드를 생성한다.[20][21]

광독립영양생물이지만, 일부 종은 종속영양 능력을 가지며 (즉 혼합영양생물), 다양한 탄소원 (, 당알코올)을 이용 가능하다.[22][23] 100% 이산화탄소 하에서 생육 가능한 것도 보고되고 있다.[24] 아연, 구리, 니켈, 망간, 크롬, 특히 알루미늄에 대한 내성을 보인다.[25][26][27] 또한 갈디에리아속에서는, 세포에 금, 팔라듐 등이 침착하는 것이 보고되고 있다.[28]

대부분은 내생 포자를 형성하여 무성생식을 하지만, 시아니디오시존은 이분열에 의해 증식한다.[11][12][29] 유성생식은 알려져 있지 않다.

몇몇 종에서 게놈염기서열이 보고되었으며, 특히 시아니디오시존은 처음으로 게놈이 해독된 진핵 조류이다.[30][31][32][33][34][61] 또한 시아니디오시존에서는 동조 배양 및 유전자 도입 계통 등이 확립되어 있어, 모델 생물로서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35][36][37][38][39]

2. 2. 엽록체 및 광합성

키아니디움목에 속하는 조류엽록체세포막을 따라 존재하며, 세포당 1개이지만, 갈디에리아속에서는 엽록체가 깊게 패어 있는 경우가 있다.[11][12] 변두리 틸라코이드를 가지며, 피레노이드를 결여한다.[12] 주요 보조 광합성 색소는 피코시아닌 (C-피코시아닌)이며, 피코에리트린을 결여하기 때문에 엽록체는 청록색을 띤다.[15][16] 카로티노이드로서, 제아잔틴과 β-카로텐을 가진다.[17] 저장 다당류는 대개 글리코겐 (파이토글리코겐 phytoglycogen)이지만, 시아니디오시존에서는 아밀로펙틴 (세미아밀로펙틴 semiamylopectin)이다.[18][19] 저분자 탄수화물로서 플로리도사이드, 이소플로리도사이드를 생성한다.[20][21]

광독립영양생물이지만, 일부 종은 종속영양 능력을 가지며 (즉 혼합영양생물), 다양한 탄소원 (, 당알코올)을 이용 가능하다.[22][23] 100% 이산화탄소 하에서도 생육이 가능하다.[24]

2. 3. 영양 방식

2. 4. 내성

2. 5. 생식

키아니디움목의 조류는 대부분 내생 포자 형성을 통해 무성생식을 하지만, 시아니디오시존은 이분열로 증식한다.[11][12][29] 유성생식은 알려져 있지 않다.

2. 6. 모델 생물

3. 생태

대부분 산성(pH 0.05–5), 고온 (35–57°C)의 온천에 서식하는 온천조류이며, 온천 주변의 바위 표면, 분무공 부근에서도 서식한다.[11][12][40][41] 염분 농도 10%에서도 생육 가능한 종도 있다(해수는 보통 3.4%). 또한 바위 내부에서 생육하며(암석 내생 endolithic), 약광·건조 내성이 높다.[12][40][42][43] 환경 DNA 연구를 통해 상온, 중성의 토양이나 동굴 등에서도 이데유코고메류가 생육하는 것이 밝혀졌다.[12][44][45]

3. 1. 서식 환경

대부분 산성(pH 0.05–5), 고온 (35–57°C)의 온천에 서식하는 온천조류이며, 온천 주변의 바위 표면, 분무공 부근에서도 서식한다.[11][12][40][41] 염분 농도 10%에서도 생육 가능한 종도 있다(해수는 보통 3.4%). 또한 바위 내부에서 생육하며(암석 내생 endolithic), 약광·건조 내성이 높다.[12][40][42][43] 환경 DNA 연구를 통해 상온, 중성의 토양이나 동굴 등에서도 이데유코고메류가 생육하는 것이 밝혀졌다.[12][44][45]

4. 하위 분류

키아니디움목은 1목 2과(또는 3과) 4속으로 분류되며, 2020년 현재 9종 정도가 알려져 있다.[56][59][66][61] 그러나 강 내의 분류는 아직 과도기적 상황에 있으며, 환경 DNA 조사에 따르면 아직 밝혀지지 않은 다양성이 더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62][63][64]

키아니디움목에는 키아니디움과(Cyanidiaceae)와 갈디에리아과(Galdieriaceae)가 있다.


  • 키아니디움과(Cyanidiaceae)
  • * 키아니디오스키존속(''Cyanidioschyzon'')
  • * 키아니디움속(''Cyanidium'')
  • 갈디에리아과(Galdieriaceae)
  • * 갈디에리아속(''Galdieria'')


키아니디움목은 특이한 생육 환경, 광합성 색소 조성, 단순한 세포 구조 때문에 남조류, 녹조류, 크립토조류, 회색조류, 홍조류 등 다양한 그룹으로 분류하는 의견이 있었다.[15][46][47][48][49][50][51][52] 진화적 위치에 대해서도 남조류에서 진핵 조류로 진화하는 과정에 있는 생물, 또는 남조류를 세포 내 공생시킨 생물로 보는 견해가 있었다.[12][15][53][54] 이후 홍조류와의 유연성이 많이 지적되었고,[55] 분자 계통 분석에서도 홍조류에 속한다는 것이 지지되었다.[57][58]

이러한 특이성 때문에 비교적 오래전부터 독립된 강으로 분류하는 것이 제창되었다.[56] 키아니디움목은 현생 홍조류 중에서 가장 초기에 분화된 그룹으로 추정되며, 이데유코고메문(Cyanidiophyta)[57] 또는 이데유코고메아문(Cyanidophytina)[58]으로 다른 홍조류와 구분된다(2019년 현재, 후자가 일반적이다.[59][60]).

표 1. 키아니디움강 4속의 비교[12][61]
형질갈디에리아속
Galdieriala*
키아니디움속
Cyanidiumla*
시아니디오콕쿠스속
Cyanidiococcusla
시아니디오시존속
Cyanidioschyzonla
세포의 형태구형구형아구형곤봉형
크기 (µm)3–162–51.8–3.81.5–3.5
무성생식내생 포자 (4–32개)내생 포자(4개)내생 포자(2–4개)이분열
명료한 세포벽있음있음있음없음
액포있음없음없음없음
DNA량 (×104 phons)378193194
엽록체의 갈라짐있음없음없음없음
색소체핵양체의 형태와 위치륜상, 편재막대 모양, 중앙입자상, 중앙
색소체DNA량 (×104 phons)23172.88.3
저장 다당류글리코겐글리코겐글리코겐아밀로펙틴
리놀렌산있음없음없음
질산염 이용능없음있음있음
염 내성 (%)103–43
적정 pH2.01.51.5
종속영양능있음없음없음
* GaldieriaG. sulphuraria의, CyanidiumC. caldarium의 특징.


5. 계통 분류

홍조류는 남조류, 녹조류, 크립토조류, 회색조류 등 다양한 그룹으로 분류되어 왔으며,[15][46][47][48][49][50][51][52] 진화적 위치에 대해서도 여러 견해가 있었다.[12][15][53][54] 그러나 분자 계통 분석 결과 홍조류에 속한다는 것이 밝혀졌다.[57][58]

키아니디움목은 현생 홍조류 중에서 가장 초기에 분화된 그룹으로 추정되며, 이데유코고메문 (Cyanidiophyta)[57] 또는 이데유코고메아문 (Cyanidophytina)[58]으로 분류된다.[59][60]

아래는 최근 제안된 홍조류의 계통 분류 중 하나이다.[70][71]



2020년 현재 9종 정도가 알려져 있으며, 보통 1목 2과(또는 3과) 4속으로 분류되지만,[56][59][66][61] 강 내의 분류는 아직 과도적인 상황에 있다. 환경 DNA 조사에 따르면, 이 조류군 내에는 아직 밝혀지지 않은 큰 다양성이 존재한다.[62][63][64]

키아니디움목에는 갈디에리아속, 키아니디움속, 시아니디오콕쿠스속, 시아니디오시존속이 있다.

표 1. 키아니디움강 4속의 비교[12][61]
형질갈디에리아속
Galdieriala*
이데유코고메속
Cyanidiumla*
시아니디오콕쿠스속
Cyanidiococcusla
시아니디오시존속
Cyanidioschyzonla
세포의 형태구형구형아구형곤봉형
크기 (µm)3–162–51.8–3.81.5–3.5
무성생식내생 포자 (4–32개)내생 포자(4개)내생 포자(2–4개)이분열
명료한 세포벽있음있음있음없음
액포있음없음없음없음
DNA량 (×104 phons)378193194
엽록체의 갈라짐있음없음없음없음
색소체핵양체의 형태와 위치륜상, 편재막대 모양, 중앙입자상, 중앙
색소체DNA량 (×104 phons)23172.88.3
저장 다당류글리코겐글리코겐글리코겐아밀로펙틴
리놀렌산있음없음없음
질산염 이용능없음있음있음
염 내성 (%)103–43
적정 pH2.01.51.5
종속영양능있음없음없음
* Galdieriala는 G. sulphurariala의, Cyanidiumla는 C. caldariumla의 특징.



키아니디움강(Cyanidiophyceae)은 홍조식물문 키아니디움아문에 속하는 강으로, 현생 홍조류 중에서 가장 초기에 분화된 그룹으로 추정된다.[57][58] 특이한 생육 환경, 광합성 색소 조성, 단순한 세포 구조 때문에 남조류, 녹조류, 크립토조류, 회색조류 등 다양한 그룹으로 분류되기도 했으나,[15][46][47][48][49][50][51][52] 분자 계통 분석 결과 홍조류에 속하는 것으로 밝혀졌다.[57][58]

2020년 현재 9종 정도가 알려져 있으며, 보통 1목 2과(또는 3과) 4속으로 분류된다.[56][59][66][61] 그러나 강 내의 분류는 아직 확정되지 않았으며, 환경 DNA 조사 결과 알려지지 않은 다양성이 더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62][63][64]

키아니디움강에 속하는 4속은 다음과 같다:

표 1. 키아니디움강 4속의 비교[12][61]
형질갈디에리아속(Galdieriala)키아니디움속(Cyanidiumla)시아니디오콕쿠스속(Cyanidiococcusla)시아니디오시존속(Cyanidioschyzonla)
세포의 형태구형구형아구형곤봉형
크기 (µm)3–162–51.8–3.81.5–3.5
무성생식내생 포자 (4–32개)내생 포자(4개)내생 포자(2–4개)이분열
명료한 세포벽있음있음있음없음
액포있음없음없음없음
DNA량 (×104 phons)378193194
엽록체의 갈라짐있음없음없음없음
색소체핵양체의 형태와 위치륜상, 편재막대 모양, 중앙입자상, 중앙
색소체DNA량 (×104 phons)23172.88.3
저장 다당류글리코겐글리코겐글리코겐아밀로펙틴
리놀렌산있음없음없음
질산염 이용능없음있음있음
염 내성 (%)103–43
적정 pH2.01.51.5
종속영양능있음없음없음



2021년 현재 일반적인 종까지의 분류 체계는 다음과 같다.[61][56][59][66]

'''표 2'''. 키아니디움강의 종까지의 분류 체계
키아니디움강 (Cyanidiophyceae)
*키아니디움목 (Cyanidiales):시노님: Cyanidioschyzonales[65]*갈디에리아과 (Galdieriaceae)갈디에리아속 (Galdieriala)*Galdieria daedalala*Galdieria maximala [= Cyanidium maximumla]*Galdieria partitala*Galdieria phlegreala*갈디에리아 술푸라리아 (Galdieria sulphurariala) (타입종)*키아니디움과 (Cyanidiaceae)*:시노님: Cyanidioschyzonaceae[65]키아니디움속 (Cyanidiumla)*키아니디움 칼다리움 (Cyanidium caldariumla) (타입종)*Cyanidium chilensela[66]시아니디오콕쿠스속 (Cyanidiococcusla)*시아니디오콕쿠스 양밍산엔시스 (Cyanidiococcus yangmingshanensisla)시아니디오시존속 (Cyanidioschyzonla)*시아니디오시존 (Cyanidioschyzon merolaela)


5. 1. 홍조류 내 계통

홍조류는 남조류, 녹조류, 크립토조류, 회색조류 등 다양한 그룹으로 분류되어 왔으며,[15][46][47][48][49][50][51][52] 진화적 위치에 대해서도 여러 견해가 있었다.[12][15][53][54] 그러나 분자 계통 분석 결과 홍조류에 속한다는 것이 밝혀졌다.[57][58]

키아니디움목은 현생 홍조류 중에서 가장 초기에 분화된 그룹으로 추정되며, 이데유코고메문 (Cyanidiophyta)[57] 또는 이데유코고메아문 (Cyanidophytina)[58]으로 분류된다.[59][60]

아래는 최근 제안된 홍조류의 계통 분류 중 하나이다.[70][71]

2020년 현재 9종 정도가 알려져 있으며, 보통 1목 2과(또는 3과) 4속으로 분류되지만,[56][59][66][61] 강 내의 분류는 아직 과도적인 상황에 있다. 환경 DNA 조사에 따르면, 이 조류군 내에는 아직 밝혀지지 않은 큰 다양성이 존재한다.[62][63][64]

키아니디움목에는 갈디에리아속, 키아니디움속, 시아니디오콕쿠스속, 시아니디오시존속이 있다.

표 1. 키아니디움강 4속의 비교[12][61]
형질갈디에리아속
Galdieriala*
이데유코고메속
Cyanidiumla*
시아니디오콕쿠스속
Cyanidiococcusla
시아니디오시존속
Cyanidioschyzonla
세포의 형태구형구형아구형곤봉형
크기 (µm)3–162–51.8–3.81.5–3.5
무성생식내생 포자 (4–32개)내생 포자(4개)내생 포자(2–4개)이분열
명료한 세포벽있음있음있음없음
액포있음없음없음없음
DNA량 (×104 phons)378193194
엽록체의 갈라짐있음없음없음없음
색소체핵양체의 형태와 위치륜상, 편재막대 모양, 중앙입자상, 중앙
색소체DNA량 (×104 phons)23172.88.3
저장 다당류글리코겐글리코겐글리코겐아밀로펙틴
리놀렌산있음없음없음
질산염 이용능없음있음있음
염 내성 (%)103–43
적정 pH2.01.51.5
종속영양능있음없음없음
* Galdieriala는 G. sulphurariala의, Cyanidiumla는 C. caldariumla의 특징.


5. 2. 키아니디움강 내 계통

키아니디움강(Cyanidiophyceae)은 홍조식물문 키아니디움아문에 속하는 강으로, 현생 홍조류 중에서 가장 초기에 분화된 그룹으로 추정된다.[57][58] 특이한 생육 환경, 광합성 색소 조성, 단순한 세포 구조 때문에 남조류, 녹조류, 크립토조류, 회색조류 등 다양한 그룹으로 분류되기도 했으나,[15][46][47][48][49][50][51][52] 분자 계통 분석 결과 홍조류에 속하는 것으로 밝혀졌다.[57][58]

2020년 현재 9종 정도가 알려져 있으며, 보통 1목 2과(또는 3과) 4속으로 분류된다.[56][59][66][61] 그러나 강 내의 분류는 아직 확정되지 않았으며, 환경 DNA 조사 결과 알려지지 않은 다양성이 더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62][63][64]

키아니디움강에 속하는 4속은 다음과 같다:

표 1. 키아니디움강 4속의 비교[12][61]
형질갈디에리아속(Galdieria)키아니디움속(Cyanidium)시아니디오콕쿠스속(Cyanidiococcus)시아니디오시존속(Cyanidioschyzon)
세포의 형태구형구형아구형곤봉형
크기 (µm)3–162–51.8–3.81.5–3.5
무성생식내생 포자 (4–32개)내생 포자(4개)내생 포자(2–4개)이분열
명료한 세포벽있음있음있음없음
액포있음없음없음없음
DNA량 (×104 phons)378193194
엽록체의 갈라짐있음없음없음없음
색소체핵양체의 형태와 위치륜상, 편재막대 모양, 중앙입자상, 중앙
색소체DNA량 (×104 phons)23172.88.3
저장 다당류글리코겐글리코겐글리코겐아밀로펙틴
리놀렌산있음없음없음
질산염 이용능없음있음있음
염 내성 (%)103–43
적정 pH2.01.51.5
종속영양능있음없음없음



2021년 현재 일반적인 종까지의 분류 체계는 다음과 같다.[61][56][59][66]

'''표 2'''. 키아니디움강의 종까지의 분류 체계
키아니디움강 (Cyanidiophyceae)
*키아니디움목 (Cyanidiales):시노님: Cyanidioschyzonales[65]*갈디에리아과 (Galdieriaceae)갈디에리아속 (Galdieria)*Galdieria daedala*Galdieria maxima [= Cyanidium maximum]*Galdieria partita*Galdieria phlegrea*갈디에리아 술푸라리아 (Galdieria sulphuraria) (타입종)*키아니디움과 (Cyanidiaceae)*:시노님: Cyanidioschyzonaceae[65]키아니디움속 (Cyanidium)*키아니디움 칼다리움 (Cyanidium caldarium) (타입종)*Cyanidium chilense[66]시아니디오콕쿠스속 (Cyanidiococcus)*시아니디오콕쿠스 양밍산엔시스 (Cyanidiococcus yangmingshanensis)시아니디오시존속 (Cyanidioschyzon)*시아니디오시존 (Cyanidioschyzon merolae)



아래는 최근 제안된 홍조류 계통 분류 중 하나이다.[70][71]

홍조식물문 (Rhodophyta)

: 키아니디움아문 (Cyanidiophytina)

:: 키아니디움강 (Cyanidiophyceae)

: 원시홍조식물아문 (Proteorhodophytina)

:: 피떡말강 (Compsopogonophyceae)

:: 콤프소포곤강 (Erythropeltidophyceae)

:: 로델라강 (Rhodellophyceae)

:: 마디털홍조강 (Stylonematophyceae)

: 진정홍조식물아문 (Eurhodophytina)

:: 김파래홍조강 (Bangiophyceae)

:: 진정홍조강 (Florideophyceae)

참조

[1] 서적 Red Algae in the Genomic Age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0-08-30
[2] 간행물 Pyrenoids: CO2-fixing phase separated liquid organelles https://www.scienced[...] 2021-04
[3] 서적 Phycolog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8
[4] 서적 Microalgae in Health and Disease Prevention https://books.google[...] Academic Press 2018
[5] 간행물 Defining the Major Lineages of Red Algae (Rhodophyta)1 2006-04
[6] 간행물 Extremophilic red algae as models for understanding adaptation to hostile environments and the evolution of eukaryotic life on the early earth https://www.scienced[...] 2023
[7] 간행물 Genome-wide signatures of adaptation to extreme environments in red algae
[8] 웹사이트 https://commons.wiki[...]
[9] 웹사이트 https://www.algaebas[...]
[10] 간행물 群馬県草津温泉の微細藻類
[11] 서적 Enigmatic Microorganisms and Life in Extreme Environments Kluwer Academic Publishers
[12] 서적 Red Algae in the Genomic Age Springer, Netherlands
[13] 간행물 The chemical composition of isolated cell walls of ''Cyanidium caldarium''
[14] 간행물 Comparison of ultrastructures between the ultra-small eukaryote ''Cyanidioschyzon merolae'' and ''Cyanidium caldarium''
[15] 간행물 Studies with ''Cyanidium caldarium'', an anomalously pigmented chlorophyte
[16] 간행물 Crystal structure of C-phycocyanin from ''Cyanidium caldarium'' provides a new perspective on phycobilisome assembly
[17] 간행물 Carotenogenesis diversification in phylogenetic lineages of Rhodophyta
[18] 간행물 The primitive rhodophyte ''Cyanidioschyzon merolae'' contains a semiamylopectin-type, but not an amylose-type, α-glucan
[19] 간행물 Variation in storage α-polyglucans of red algae: amylose and semi-amylopectin types in ''Porphyridium'' and glycogen type in ''Cyanidium''
[20] 간행물 Floridoside and isofloridoside are synthesized by trehalose 6‐phosphate synthase‐like enzymes in the red alga ''Galdieria sulphuraria''
[21] 서적 Red Algae in the Genomic Age Springer Netherlands
[22] 간행물 Heterotrophic growth of two strains of the acido-thermophilic red alga ''Galdieria sulphuraria''
[23] 간행물 Different sugar kinases are involved in the sugar sensing of ''Galdieria sulphuraria''
[24] 간행물 Vegetative life on Venus? Or investigations with algae which grow under pure CO2 in hot acid media at elevated pressures
[25] 간행물 単細胞紅藻シアニジウム類の多様性と重金属耐性
[26] 간행물 Novel iron-storage particles may play a role in aluminum tolerance of ''Cyanidium caldarium''
[27] 간행물 Extraordinary high aluminium tolerance of the acidophilic thermophilic alga, ''Cyanidium caldarium''
[28] 간행물 Effective and selective recovery of gold and palladium ions from metal wastewater using a sulfothermophilic red alga, ''Galdieria sulphuraria''
[29] 서적 藻類の生活史集成. 褐藻・紅藻類 内田老鶴圃
[30] 간행물 Structure and organization of the mitochondrial genome of the unicellular red alga ''Cyanidioschyzon merolae'' deduced from the complete nucleotide sequence
[31] 간행물 Complete sequence and analysis of the plastid genome of the unicellular red alga ''Cyanidioschyzon merolae''
[32] 간행물 Genome sequence of the ultrasmall unicellular red alga ''Cyanidioschyzon merolae'' 10D.
[33] 간행물 Comparative genomics of two closely related unicellular thermo-acidophilic red algae, ''Galdieria sulphuraria'' and ''Cyanidioschyzon merolae'', reveals the molecular basis of the metabolic flexibility of ''Galdieria sulphuraria'' a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carbohydrate metabolism of both algae.
[34] 간행물 Gene transfer from bacteria and archaea facilitated evolution of an extremophilic eukaryote
[35] 간행물 シゾン研究の意義: 今, なぜシゾンか
[36] 논문 ミニマム真核生物シゾンの魅力と応用展開
[37] 논문 単細胞紅藻 ''Cyanidioschyzon merolae'' における窒素同化系とその制御
[38] 논문 単細胞紅藻シゾンにおける光応答戦略 −葉緑体自律的な転写制御−
[39] 논문 シゾンとメダカモから探る真核生物の増殖の基本原理
[40] 서적 Red Algae in the Genomic Age Springer Netherlands
[41] 논문 Biogeographic and phylogenetic diversity of thermoacidophilic cyanidiales in Yellowstone National Park, Japan, and New Zealand
[42] 논문 Cryptoendolithic growth of the red alga Galdieria sulphuraria in volcanic areas
[43] 논문 Establishment of endolithic populations of extremophilic Cyanidiales (Rhodophyta)
[44] 서적 Evolutionary Pathways and Enigmatic Algae: ''Cyanidium caldarium'' (Rhodophyta) and Related Cells'' Springer, Dordrecht
[45] 논문 Cryptic dispersal of Cyanidiophytina (Rhodophyta) in non-acidic environments from Turkey
[46] 논문 Die Cyanophyceen der deutschen limnologischen Sunda-Expedition, ihre Morphologie, Systematik und Ökologie
[47] 논문 Studies on a thermal alga, ''Cyanidium caldarium''
[48] 논문 The cultivation of Myxophyceae
[49] 서적 Les Algues d'Eau Douce. Ill. Les Algues Bleues, et Rouges N. Boub6e & Cie, Paris
[50] 간행물 Thermophilic Microorganisms and Life at High Temperatures. Springer, New York, Heidelberg, Berlin
[51] 논문 ''Cyanidium caldarium'' as a bridge alga between Cyanophyceae and Rhodophyceae: Evidence from immunodiffusion studies
[52] 서적 Physiology and Biochemistry of Algae Academic Press, New York
[53] 논문 ''Cyanidium caldarium'': a discussion of biochemical features and taxonomic problems
[54] 논문 The first eukaryotic cells — acid hot-spring algae
[55] 논문 Morphological properties of ''Cyanidium caldarium'' and related algae in Japan
[56] 논문 Revision of ''Cyanidium caldarium''. Three species of acidophilic algae.
[57] 논문 Assessing red algal supraordinal diversity and taxonomy in the context of contemporary systematic data
[58] 논문 Defining the major lineages of red algae (Rhodophyta)
[59] 웹사이트 AlgaeBase http://www.algaebase[...] 2019-09-16
[60] 서적 Syllabus of plant families ‐ A.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Part 2/2: Photoautotrophic eukaryotic algae ‐ Rhodophyta Borntraeger Science Publishers, Berlin
[61] 논문 Comparative genome analysis reveals ''Cyanidiococcus'' gen. nov., a new extremophilic red algal genus sister to ''Cyanidioschyzon'' (Cyanidioschyzonaceae, Rhodophyta)
[62] 논문 Hidden biodiversity of the extremophilic Cyanidiales red algae
[63] 논문 Analysis of rbcL sequences reveals the global biodiversity, community structure, and biogeographical pattern of thermoacidophilic red algae (Cyanidiales)
[64] 논문 Cyanidiales diversity in Yellowstone National Park
[65] 논문 Addendum to the synoptic review of red algal genera
[66] 논문 ''Cyanidium chilense'' (Cyanidiophyceae, Rhodophyta) from tuff rocks of the archeological site of Cuma, Italy
[67] 서적 Red Algae in the Genomic Age http://books.google.[...] Springer 2010-08-30
[68] 웹인용 Order: Cyanidiales taxonomy browser http://www.algaebase[...] "''AlgaeBase version 4.2'' World-wide electronic publication, National University of Ireland, Galway" 2012-05-12
[69] 서적 Unravelling the algae: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algal systematics http://books.google.[...] CRC Press
[70] 간행물 Syllabus of plant families ‐ A.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Part 2/2: Photoautotrophic eukaryotic algae ‐ Rhodophyta. Borntraeger Science Publishers, Berlin
[71] 간행물 AlgaeBase http://www.algaebase[...] Nat. Univ. Ireland, Galway 20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