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광영양생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광영양생물은 빛 에너지를 이용하여 양분을 합성하는 생물을 통칭하는 용어이다. 1946년 앙드레 르보프와 공동 연구자들에 의해 현재의 의미로 정착되었다. 광독립영양생물은 빛을 에너지원으로, 무기 화합물로부터 양분을 합성하며, 녹색 식물과 광합성 세균이 이에 해당한다. 광종속영양생물은 빛 에너지를 사용하여 ATP를 생성하지만, 탄소는 유기 화합물을 사용한다. 광영양생물은 엽록소 또는 세균엽록소를 사용하여 빛을 포착하는 엽록광영양생물과 레티날을 사용하는 레티날광영양생물로 분류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생물의 생장과 영양 - 극한환경 미생물
    극한환경 미생물은 생명체가 살기 어려운 극한 환경에서 생존하는 미생물로, 환경 조건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뉘며, 다른 행성 생명체 연구에 단서를 제공하고 생물 정화나 생명공학, 특히 산업적으로 유용한 익스트리모자임에 활용된다.
  • 미생물의 생장과 영양 - 독립영양생물
    독립영양생물은 광합성이나 화학합성을 이용하여 무기물로부터 유기 화합물을 자체 생산하는 생물로, 생태계에서 생산자 역할을 수행하며 종속영양생물에게 탄소원과 에너지를 제공한다.
  • 영양 생태학 - 먹이 그물
    먹이 그물은 생태계 내 생물 간의 복잡한 먹이 관계를 나타내는 연결망으로, 생태학자들은 이를 통해 생산자와 소비자 간의 에너지와 영양소 흐름을 추적하며, 먹이사슬과 영양 단계, 생태 피라미드 개념과 관련되어 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영양 생태학 - 종속영양생물
    종속영양생물은 유기 화합물로부터 에너지원과 탄소원을 얻는 생물로, 생명의 기원과 진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먹이 사슬에서 소비자의 역할을 한다.
  • 생물학 용어 - 생물 다양성
    생물 다양성은 특정 지역 내 유전자, 종, 생태계의 총체로서, 종 내, 종 간, 생태계의 다양성을 포함하는 개념이며, 식량, 의약품, 산업 원료 등 다양한 자원을 제공하고 생태계 서비스 및 문화적 가치를 지니지만, 최근 인간 활동으로 인해 급격히 감소하고 있어 보전 노력이 필요하다.
  • 생물학 용어 - 생물지리학
    생물지리학은 생물의 지리적 분포와 분포 패턴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탐험과 선구자들의 연구를 거쳐 대륙 이동설, 분자생물학 발전, 섬 생물지리학 이론 등으로 발전했으며, 현재는 다양한 기술을 활용하여 여러 분야에 적용되고 고생물지리학 등 하위 분야를 포함하지만, 지역 구분에 대한 국제 표준화는 미완료 상태이다.
광영양생물

2. 역사

원래 다른 의미로 사용되었던 이 용어는 1946년 앙드레 르보프와 공동 연구자들에 의해 현재의 의미로 정착되었다.[11][12]

3. 광독립영양생물

광독립영양생물은 빛 에너지를 사용하여 무기 탄소원(이산화탄소 등)으로부터 유기물을 합성하는 생물이다. 대부분의 광영양생물은 광독립영양생물이며, 탄소 고정을 할 수 있다. 이들은 전자 공여체의 산화를 통해 에너지를 얻는 화학영양생물과 대조된다. 광독립영양생물은 빛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하여 무기 화합물로부터 자신의 양분을 합성하며, 때때로 완전식물성영양(holophytic)생물이라고도 한다.[13]

산소발생 광합성 생물은 엽록소를 사용하여 빛 에너지를 흡수하고 물을 산화시켜 산소 분자를 발생시킨다. 광무기독립영양생물은 빛 에너지와 무기 전자 공여체(예: H2O, H2, H2S) 및 CO2탄소원으로 사용하는 독립영양생물이다.

3. 1. 생태학

생태학적 관점에서 광영양생물은 주변 종속영양생물의 먹이가 된다. 육상 환경에서는 식물이 주된 광영양생물인 반면, 수생 환경에서는 조류(예: 다시마), 기타 원생생물(예: 유글레나), 식물성 플랑크톤, 세균(예: 남세균)과 같은 다양한 광영양생물이 서식한다.[13]

남세균은 산소 발생 광합성을 수행하는 원핵생물로 담수, 바다, 토양 등 다양한 환경에 서식한다. 남세균은 식물과 같은 광합성을 수행하는데, 이는 광합성을 수행하는 식물의 세포소기관엽록체가 공생하는 남세균[14]에서 유래되었기 때문이다.[15] 남세균은 CO2 환원 반응을 수행하기 위해 을 전자 공급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4. 광종속영양생물

광종속영양생물은 빛 에너지를 사용하지만, 탄소는 주로 유기 화합물에서 얻는 생물이다. 이들은 광인산화를 통해 ATP를 생성하지만, 환경에서 얻은 유기 화합물을 이용하여 자신의 구조 및 생체 분자를 만든다.[16]

5. 빛을 포착하는 분자에 따른 분류

대부분의 광영양생물은 엽록소 또는 관련 세균엽록소를 사용하여 빛을 포착하며, 이들을 엽록광영양생물(chlorophototroph영어)이라고 한다. 그러나 일부 광영양생물은 레티날을 사용하여 빛을 포착하며, 이들을 레티날광영양생물(retinalophototroph영어)이라고 한다.[17]

6. 순서도

생물종이 독립영양생물, 종속영양생물 또는 그 하위 유형인지 확인하는 순서도


화학영양생물광영양생물
독립영양생물화학독립영양생물광독립영양생물
종속영양생물화학종속영양생물광종속영양생물


참조

[1] 간행물 Nomenclature of nutritional types of microorganisms http://symposium.csh[...] The Biological Laboratory, Cold Spring Harbor, NY 1946
[2] 간행물 Illustriertes Handwörterbuch der Botanik https://www.biodiver[...] Engelmann, Leipzig 1917
[3] 서적 The Facts on File dictionary of biology Infobase Publishing
[4] 웹사이트 Production Possibility Frontiers in Phototroph:heterotroph Symbioses: Trade-Offs in Allocating Fixed Carbon Pools and the Challenges These Alternatives Present for Understanding the Acquisition of Intracellular Habitats PMC 2016-03-11
[5] 서적 Energy Conversion: Mitochondria and Chloroplast Garland Science, Taylor & Francis Group
[6] 서적 Biology Pearson Benjamin Cummings
[7] 저널 Microbial rhodopsins are major contributors to the solar energy captured in the sea 2019-08
[8] 서적 岩波生物学事典(第4版)
[9] 서적 Biology Pearson Benjamin Cummings
[10] 서적 The Facts on File dictionary of biology Infobase Publishing
[11] 간행물 Nomenclature of nutritional types of microorganisms http://symposium.csh[...] The Biological Laboratory, Cold Spring Harbor, NY 1946
[12] 간행물 Illustriertes Handwörterbuch der Botanik https://www.biodiver[...] Engelmann, Leipzig 1917
[13] 서적 The Facts on File dictionary of biology Infobase Publishing
[14] 서적 Energy Conversion: Mitochondria and Chloroplast Garland Science, Taylor & Francis Group
[15] 웹사이트 Production Possibility Frontiers in Phototroph:heterotroph Symbioses: Trade-Offs in Allocating Fixed Carbon Pools and the Challenges These Alternatives Present for Understanding the Acquisition of Intracellular Habitats PMC 2016-03-11
[16] 서적 Biology
[17] 저널 Microbial rhodopsins are major contributors to the solar energy captured in the sea 2019-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