킬키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킬키스는 그리스 북부에 위치한 도시로, 역사적으로 다양한 이름으로 불려왔으며, 2011년 지방 정부 개혁으로 여러 자치 단체가 합병되어 시 구역이 형성되었다. 킬키스는 고대 마케도니아 왕국 시대부터 다양한 문명의 영향을 받았으며, 로마, 비잔틴, 오스만 제국 시대를 거치면서 다민족, 다문화적인 특징을 갖게 되었다. 발칸 전쟁과 제1차 세계 대전을 거치며 도시의 지배권이 바뀌었고, 현재는 그리스의 주요 도시 중 하나로, 산업, 교통, 스포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킬키스현 - 바르다르강
바르다르강은 북마케도니아에서 발원하여 그리스를 거쳐 에게해로 흘러 들어가는 강으로, 북마케도니아 영토의 3분의 2를 차지하는 유역을 가지며 주요 도시를 지나고, 바르다리스라는 지균풍과 다뉴브강 연결 운하 구상과 관련되어 있다. - 그리스의 현도 - 아테네
아테네는 그리스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로,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서구 문명의 발전에 기여했으며, 현재는 정치, 경제, 문화의 중심지로서 아크로폴리스와 다양한 교통 시스템을 갖춘 관광 도시이다. - 그리스의 현도 - 하니아
하니아는 크레타 섬 서부의 항구 도시로, 미노아 문명 시대부터 중요한 거점이었으며, 다양한 지배를 거쳐 베네치아와 오스만 제국의 건축물과 유적이 보존된 아름다운 항구 도시이자 관광 명소이다. - 그리스의 도시 - 아테네
아테네는 그리스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로,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서구 문명의 발전에 기여했으며, 현재는 정치, 경제, 문화의 중심지로서 아크로폴리스와 다양한 교통 시스템을 갖춘 관광 도시이다. - 그리스의 도시 - 하니아
하니아는 크레타 섬 서부의 항구 도시로, 미노아 문명 시대부터 중요한 거점이었으며, 다양한 지배를 거쳐 베네치아와 오스만 제국의 건축물과 유적이 보존된 아름다운 항구 도시이자 관광 명소이다.
| 킬키스 - [지명]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킬키스 |
| 현지 이름 | Κιλκίς |
| 로마자 표기 | Kilkis |
| 불가리아어 | Кукуш (쿠쿠시) |
![]() | |
| 위치 | 중앙마케도니아 |
| 현 | 킬키스 현 |
| 고도 | 280m |
| 우편 번호 | 611 00 |
| 지역 번호 | 23410 |
| 차량 번호판 | NI, ΚΙ* |
| 웹사이트 | www.e-kilkis.gr |
| 행정 | |
| 자치체 종류 | 자치단체 |
| 시장 | Dimitrios Kyriakidis |
| 취임 년도 | 2019 |
| 인구 | |
| 자치체 인구 (2021년) | 45308명 |
| 자치구 인구 (2021년) | 27493명 |
| 지역사회 인구 (2021년) | 24130명 |
| 면적 | |
| 자치체 면적 | 1599.6km² |
| 자치구 면적 | 319.8km² |
2. 명칭
킬키스는 다민족 지역에 위치하여 역사적으로 다양한 이름으로 알려져 왔다. 로마 시대와 초기 비잔틴 제국 시대에 이 도시의 이름은 '''칼리쿰''' 또는 '''칼리쿠스''' (Καλλικών|칼리콘grc, Καλλικώς|칼리코스grc)였으며,[2] 이후 칼키스 또는 킬키스로 알려졌다. 불가리아어와 마케도니아어로는 쿠쿠시(Кукуш|쿠쿠시bg)라고 불린다. 1732년의 그리스 교회 문서에는 ''킬키시''(Κηλκήση|킬키시el)로 언급되어 있으며,[2] 1741년의 슬라브 교회 문서에는 ''쿠쿠시''(Кукуш, Кукоуш)로 언급되어 있다.[8] 오스만 제국에서는 오스만 튀르크어로 Kılkış|킬키시ota, قلقيش|킬키시ota)로 불렀다.
2011년 지방 정부 개혁으로 7개의 이전 자치 단체가 합병되어 킬키스 시가 형성되었다.[3] 킬키스 시의 면적은 1599.604km2이며, 시 구역은 319.834km2이다.[4]
3. 행정
3. 1. 자치 단체
2011년 지방 정부 개혁으로 다음 7개의 이전 자치 단체가 합병되어 킬키스 시가 형성되었다.[3]
| 자치 단체 |
|---|
| 케르소 |
| 도이 라니 |
| 갈리코스 |
| 킬키스 |
| 크루사 |
| 무리예스 |
| 피크로림니 |
킬키스 시의 면적은 1599.604km2이며, 시 구역은 319.834km2이다.[4]
3. 2. 하위 행정 구역
킬키스 시는 다음과 같은 공동체(정착지)로 구성되어 있다.[5]| 공동체 | 정착지 |
|---|---|
| 킬키스 | 킬키스, 아르기로울리, 자카라토, 콜치다, 메탈리코, 시로브리시, 세바스토 |
| 코리기 | (없음) |
| 에프카르피아 | (없음) |
| 카스타니에스 | (없음) |
| 크리스토니 | (없음) |
| 립시드리오 | 립시드리오, 아크로포타미아, 아노 포타미아, 카토 포타미아 |
| 메갈리 브리시 | (없음) |
| 멜란티오 | (없음) |
| 메시아노 | 메시아노, 다프노코리, 레벤토코리, 팔라이오 기나이코카스트로 |
| 스타브로코리 | (없음) |
| 밥티스티스 | 밥티스티스, 키리아카이이카 |
3. 3. 과거 행정 구역
킬키스 현(Επαρχία Κιλκίςel)은 현 중 하나였다. 이 지역은 현재 킬키스 시와 폴리카스트로 시의 구역과 일치한다.[6] 2006년에 폐지되었다.4. 역사
고대 시대에 킬키스 주변 지역은 마케도니아 왕국의 통치를 받았다. 마케도니아의 필리포스 2세가 이 지역을 방문했을 때, 현지인들은 그에게 이 지역 계곡에서 난 올리브를 대접했는데, 그는 이전에 한 번도 먹어본 적이 없었다.[7]
기원전 148년, 고대 로마가 이 지역을 점령했다. 후기 고대 시대에 킬키스 지역은 고트족, 훈족, 아바르족, 슬라브족 등 다양한 부족의 침략을 받았다.
중세 시대에 킬키스는 비잔틴 제국과 불가리아 제1제국 사이에서 여러 번 주인이 바뀌었다. 10세기에 불가리아인에게 약탈당했고, 일부 주민은 이탈리아 남부 칼라브리아로 이주하여 갈리치아노 마을을 세웠다. 팔레올로고스 왕조 통치 기간에는 중요한 기반 시설 공사가 이루어졌다.
1430년 테살로니키와 마케도니아 전 지역이 오스만 제국에 점령되면서 킬키스의 번영기는 끝났다.[8] 19세기 중반까지 킬키스는 주로 불가리아인이 거주하는 마을이었다.[10][11] 19세기 말과 20세기 초, 킬키스는 오스만 제국의 살로니카 빌라예트에 속했다.
제1차 발칸 전쟁(1912년) 동안 오스만 제국은 발칸 동맹에 패배했고, 킬키스는 불가리아의 영토가 되었다. 제2차 발칸 전쟁(1913년)에서 그리스군은 킬키스-라하나스 전투에서 불가리아군을 격퇴하고 킬키스를 점령했다. 킬키스는 전투 후 그리스군에 의해 불태워져 거의 파괴되었고,[22] 대부분의 불가리아인 주민들은 불가리아로 추방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중 킬키스 지역은 마케도니아 전선의 일부였다. 소아시아 참사 이후 킬키스로 많은 난민들이 유입되면서 인구가 증가했다. 그리스-터키 전쟁 (1919-1922) 이후 킬키스의 튀르크인과 불가리아인 인구는 이주했고, 로잔 조약에 따라 그리스인들이 정착했다. 킬키스 지역 인구의 상당수는 캅카스 그리스인이었다.[24]
제2차 세계 대전 중 추축국의 그리스 점령 동안 킬키스는 독일 점령 지역에 포함되었다. 점령 기간 동안 가장 중요한 사건은 1944년 11월 4일에 벌어진 킬키스 전투였다.
1970년대와 1980년대에 킬키스는 건설 붐을 겪으며 대부분의 단독 주택이 다층 아파트 건물로 대체되었다. 1974년, 킬키스 시정부 인구의 59%가 군주제 폐지 국민투표에서 공화국에 찬성표를 던졌다. 1980년대에 순환 도로가 건설되었다.
4. 1. 고대

킬키스 인근에서 청동기 시대와 철기 시대 초기 유물들이 발굴되었으며, 기원전 2천년의 고대 무덤도 발견되었다. 고대 시대에 킬키스 주변 지역은 마케도니아 왕국의 통치를 받았다. 당시 킬키스는 크레스토니아 지역의 중심이었다. 마케도니아의 필리포스 2세가 크레스토니아를 방문했을 때, 현지인들은 그에게 크레스토니아 계곡에서 난 올리브를 대접했는데, 그는 이전에 한 번도 먹어본 적이 없었다.[7]
당시 이 지역에는 이도메니, 아탈란티(아시우폴리), 고르티니아(현재의 고르고피), 플라니차(현재의 피스카), 테르필로스, 클리타에(현재의 킬로케라티아), 브라길로스(현재의 메탈리코), 이론(현재의 팔라티아노), 카에타에(현재의 차우시차), 카라비아(현재의 림노토포스), 바이로스(현재의 카스트로), 모릴로스(현재의 아노 아포스톨리), 도베로스(현재의 도이라이니), 에브로포스, 칼린드리아와 같은 많은 마을들이 번성했다.
4. 2. 로마 및 비잔틴 시대
기원전 148년, 로마인이 이 지역을 점령했다. 후기 고대 시대에 킬키스 지역은 고트족, 훈족, 아바르족, 슬라브족과 같은 다양한 부족의 침략을 받았고, 이들 중 일부는 점차 발칸 반도에 정착했다.중세 시대에 킬키스는 비잔틴 제국과 불가리아 제1제국 사이에서 여러 번 주인이 바뀌었다. 10세기에 불가리아인에게 약탈당했고, 일부 주민은 이탈리아 남부의 칼라브리아로 이주하여 갈리치아노 마을을 세웠다. 팔레올로고스 왕조의 통치 기간 동안 이 지역에서는 다수의 중요한 기반 시설 공사가 완료되었다.
4. 3. 오스만 제국 통치
1430년 테살로니키와 마케도니아 전 지역이 오스만 제국의 지배하에 들어가면서 킬키스의 번영기는 끝났다.[8] 19세기 중반까지 킬키스는 주로 불가리아인이 거주하는 마을이었다.[10][11] 19세기 말과 20세기 초, 킬키스는 오스만 제국의 살로니카 빌라예트에 속했다.1893년부터 1908년까지 킬키스의 불가리아인들은 내부 마케도니아 혁명 기구(IMRO) 활동에 참여했다. IMRO의 지도자 고체 델체프는 킬키스(불가리아어로 쿠쿠쉬)에서 태어났다.
1904년부터 1908년까지 마케도니아 투쟁("마케도니아를 위한 그리스 무장 투쟁")에 참여한 킬키스 출신 인물들이 있다. 차치아포스톨루 가문은 그리스의 투쟁을 지원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19]
4. 4. 발칸 전쟁, 제1차 세계 대전 및 이후



제1차 발칸 전쟁(1912년) 동안 오스만 제국은 발칸 동맹에 패배했고, 킬키스는 불가리아의 영토가 되었다. 제2차 발칸 전쟁(1913년)에서 그리스군은 킬키스-라하나스 전투에서 불가리아군을 격퇴하고 킬키스를 점령했다. 이 전투는 양측에 막대한 피해를 입혔으며, 그리스는 이 전투를 기념하여 전함 '킬키스'를 명명했다.[20][21] 킬키스는 전투 후 그리스군에 의해 불태워져 거의 파괴되었고,[22] 대부분의 불가리아 주민들은 불가리아로 추방되었다. 새로운 도시는 테살로니키로 가는 철도에 더 가깝게 건설되었고, 그리스인들이 정착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중 킬키스 지역은 마케도니아 전선의 일부였다.
소아시아 참사 이후 킬키스로 많은 난민들이 유입되면서 인구가 증가했다. 발칸 전쟁, 제1차 세계 대전, 그리스-터키 전쟁 (1919-1922) 이후 킬키스의 튀르크인과 불가리아인 인구는 이주했고, 로잔 조약에 따라 그리스인들이 정착했다. 킬키스 지역 인구의 상당수는 캅카스 그리스인(동부 폰토스 그리스인)으로 구성되었다.[24]
4. 5.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중 추축국의 그리스 점령 동안 킬키스는 독일 점령 지역에 포함되었지만, 1943년 나치가 허용한 후 킬키스 현과 할키디키 현을 포함하도록 확장된 불가리아 점령 지역의 일부가 되었다. 점령 기간 동안 가장 중요한 사건은 1944년 11월 4일에 공산주의 주도 EAM과 협력자 보안 대대 및 민족주의 저항 단체의 연합군 사이에서 벌어진 킬키스 전투였다.

4. 6. 전후 시대
1970년대와 1980년대에 킬키스는 건설 붐을 겪으며 대부분의 단독 주택이 다층 아파트 건물로 대체되었다. 1974년, 킬키스 시정부 인구의 59%가 군주제 폐지 국민투표에서 공화국에 찬성표를 던졌다. 1980년대에 순환 도로가 건설되었다.5. 문화
테크니 아트 협회가 있다.
6. 경제
킬키스는 산업화된 도시이다. 그리스 최대의 비철금속 산업인 ALUMIL도 킬키스에 기반을 두고 있다.[1]

7. 교통

킬키스는 A1 고속도로 폴리카스트로 분기점과 국도 65호선을 통해 접근할 수 있다. 국도 65호선은 킬키스 주변을 지나며, 남쪽으로는 에그나티아 로드 및 국도 25호선과 연결되고, 북쪽으로는 도이라니 세관, 국도 25호선 종점, 프로마호나스 세관(그리스-불가리아 국경)에서 10km 거리에 있다.
KTEL 버스는 아테네, 테살로니키를 비롯한 그리스 내 다른 도시로 매일 왕복 운행한다. 테살로니키 공항은 킬키스에서 66km 거리에 있으며, 현재 킬키스에는 공항이 없다.
7. 1. 도로 교통
킬키스는 A1 고속도로 폴리카스트로 분기점과 국도 65호선을 통해 접근할 수 있다. 국도 65호선은 킬키스 주변을 지나며, 남쪽으로는 에그나티아 로드 및 국도 25호선과 연결되고, 북쪽으로는 도이라니 세관, 국도 25호선 종점, 프로마호나스 세관(그리스-불가리아 국경)에서 10km 거리에 있다.
KTEL 버스는 아테네, 테살로니키를 비롯한 그리스 내 다른 도시로 매일 왕복 운행한다.
7. 2. 철도 교통
기차역은 테살로니키-알렉산드루폴리 철도 노선 상에 있으며, 테살로니키와 알렉산드루폴리로 매일 운행하는 열차가 있다.7. 3. 항공 교통
테살로니키 공항이 킬키스에서 66km 거리에 있으며, 현재 킬키스에는 공항이 없다.8. 스포츠
킬키시아코스 FC는 과거 그리스 축구 2부 리그에 참가했던 축구 클럽이며, GAS 킬키스는 그리스 컵에서 우승한 핸드볼 클럽이다.
9. 인물
- 사키스 불라스, 배우
- 비키 차지바실리우, 저널리스트
- 페타르 다르빈고프, 장교 및 군사 역사가
- 스테파노스 데다스 (1982년 출생), 이스라엘 농구 프리미어 리그의 농구 감독
- 고체 델체프 (1872–1903), 혁명가
- 요르고스 플로리디스(Γιώργος Φλωρίδης|요르고스 플로리디스el), 정치인
- 아리스타르코스 푼투키디스, 축구 선수
- 발렌티니 그람마티코풀루, 테니스 선수
- 디미트리스 마르코스, 축구 선수
- 루카스 마브로케팔리디스 (1984), 프로 농구 선수
- 흐리스토 스미르넨스키 (1898–1923), 시인
- 밀란 스토일로프 (1881–1903), 작가 및 혁명가
- 사바스 치투리디스, 정치인, 전직 장관
- 콘스탄티노스 바실레이아디스 (1984), 프로 농구 선수
- 니코스 베르고스, 축구 선수
- 디미타르 블라호프 (1878–1953), 정치인
참조
[1]
간행물
Municipality of Kilkis, Municipal elections – October 2023
https://ekloges.ypes[...]
Ministry of Interior
[2]
웹사이트
Doumpia, Historical documents
http://doumbia-istor[...]
[3]
웹사이트
ΦΕΚ A 87/2010, Kallikratis reform law text
http://www.et.gr/ido[...]
Government Gazette (Greece)
[4]
웹사이트
Population & housing census 2001 (incl. area and average elevation)
http://dlib.statisti[...]
National Statistical Service of Greece
[5]
웹사이트
ΦΕΚ B 1292/2010, Kallikratis reform municipalities
http://www.et.gr/ido[...]
Government Gazette (Greece)
[6]
웹사이트
Detailed census results 1991
http://dlib.statisti[...]
[7]
서적
"N.G.L. Hammond, A History of Macedonia I"
1972
[8]
문서
Хилендарската кондика от 18 век. Представена от Божидар Райков, София 1998, с. 41, 43 (notes in the Codix of the Hilendar Monastery from 1741).
[9]
서적
Кукуш и неговото историческо минало
https://www.strumski[...]
Наука и изкуство
[10]
간행물
A report from Koukoush, Journal Bulgarski knizhitsi, Constantinople, No. 10 May 1858, p. 19
http://www.promacedo[...]
[11]
서적
Modern history of Macedonia (1830–1912)
Thessaloniki
1988
[12]
서적
Macedonia: 4.000 years of Greek Civilization
1990
[13]
서적
„Македония и Одринско. Статистика на населението от 1873 г."
Macedonian Scientific Institute, Sofiya
1995
[14]
서적
Μυστικά Και Παραμύθια Από Την Ιστορία Της Μακεδονίας
Βιβλιόραμα
[15]
웹사이트
Vasil Kanchov. „Macedonia. Ethnography and Statistics"
http://www.promacedo[...]
Sofia
1900
[16]
서적
"La Macédoine et sa Population Chrétienne"
Paris
1905
[17]
웹사이트
Ватикана признава българския характер на Кукуш
http://bgnesagency.c[...]
2020-10-29
[18]
서적
Αφανείς γηγενείς Μακεδονομάχοι
Society of Macedonian Studies
[19]
문서
Christos Intos: Centres of Organization, Action and Resistance of the Greeks of Kilkis Prefecture during the Macedonian Struggle
[20]
서적
Report of the International Commission to Inquire into the Causes and Conduct of the Balkan Wars
https://archive.org/[...]
The Carnegie Endowment for International Peace
[21]
논문
Kilkis 1913 : territoire, population et violence en Macédoine
https://journals.ope[...]
[22]
서적
Report of the International Commission to Inquire into the Causes and Conduct of the Balkan Wars
https://archive.org/[...]
The Carnegie Endowment for International Peace
[23]
서적
"Trapped...the Greeks of Skopje"
Erodios, Thessaloniki
2008
[24]
웹사이트
Κατάλογος των προσφυγικών συνοικισμών της Μακεδονίας σύμφωνα με τα στοιχεία της Επιτροπής Αποκαταστάσεως Προσφύγων (ΕΑΠ) έτος 1928
http://www.freewebs.[...]
[25]
웹사이트
Doumpia, Historical documents
http://doumbia-istor[...]
[26]
뉴스
Georgios Echedoros, Published in newspaper "Machitis tou Kilkis / Μαχητής του Κιλκίς"
Kilkis Fighter
1996-01-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