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크 보스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타크 보스탄은 이란 케르만샤 지역에 위치한 사산 제국 시대의 유적이다. 암벽을 파서 만든 건축물로, 아르다시르 2세, 샤푸르 2세, 샤푸르 3세, 호스로 2세 등 사산 제국의 샤한샤들의 부조가 새겨져 있으며, 호스로 2세의 사냥 장면을 묘사한 부조도 있다. 19세기 카자르 왕조 시대에는 기존 아치 옆에 새로운 아치가 추가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타크 보스탄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위치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타크-에 보스탄 |
위치 | 케르만샤, 이란 |
건축 시기 | 기원후 4세기경 |
건축 양식 | 페르시아 건축 |
추가 정보 | |
관련 정보 | 사산 왕조 시대의 거대한 암벽 부조 |
2. 역사
케르만샤는 선사 시대부터 사람들이 거주해 온 유서 깊은 고장으로 교통의 요지이다.[4] 인근의 베히스툰 비문은 고대 문자를 해석하는 데 매우 중요한 자료로서 다리우스 1세의 즉위 과정을 기록하고 있다.[5] 타크 보스탄은 사산 제국 시절 여러 샤한샤들에 의해 지어진 유적이다.[3]
타크 보스탄은 기반암을 파고 들어가 제작되었다. 암석은 쐐기를 이용하여 일정한 방향으로 균열을 낸 뒤 벽돌 모양으로 채석되었으며, 큰 구조를 형성한 다음 세부를 돋을 새김 기법으로 마감하였다. 유적을 만들 때 나온 석재는 인근 케르만샤의 궁정 건축을 위해 쓰인 것으로 추정된다.[6]
2. 1. 사산 제국 시대
케르만샤는 선사 시대부터 사람들이 거주해 온 유서 깊은 고장으로 교통의 요지이다.[4] 인근에는 많은 유적이 있는데, 베히스툰 비문은 고대 문자를 해석하는 데 매우 중요한 자료로서 다리우스 1세의 즉위 과정을 기록하고 있다.[5] 이러한 여러 유적 가운데 타크 보스탄은 사산 제국 시절 여러 샤한샤들에 의해 지어진 유적이다.[3]타크 보스탄은 기반암을 파고 들어가 제작된 유적이다. 암석은 쐐기를 이용하여 일정한 방향으로 균열을 낸 뒤 벽돌 모양으로 채석되었으며, 이렇게 큰 구조를 형성한 다음 세부를 돋을 새김 기법으로 마감하였다. 유적을 만들 때 나온 석재는 인근 케르만샤의 궁정 건축을 위해 쓰인 것으로 추정된다.[6]
2. 2. 카자르 왕조 시대
타크 보스탄이 만들어진 지 1300여 년이 지난 19세기에 이르러 카자르 왕조의 왕자였던 돌라트샤는 원래의 아치 옆에 더 큰 규모의 아치를 새로 만들었다. 그는 열강들이 앞다투어 간섭하던 당시에 타크 보스탄에 새 아치를 만들어 고대의 영광을 상기시키려 하였다.[10]3. 주요 부조
타크 보스탄에는 아르다시르 2세, 샤푸르 2세, 샤푸르 3세, 호스로 2세의 부조가 새겨져 있으며, 호스로 2세의 사냥 장면을 묘사한 부조도 있다.[7] 아르다시르 2세의 부조는 "타크 보스탄 1", 샤푸르 2세와 샤푸르 3세의 부조는 "타크 보스탄 2", 사냥 장면은 "타크 보스탄 3"으로 구분한다.[3]
타크 보스탄 단지는 독립적인 암각 부조와 두 개의 암벽 아치 관련 부조로 구성되어 있다.
3. 1. 아르다시르 2세의 즉위식

타크 보스탄에서 처음 새겨진 주인공은 아르다시르 2세이다. 그는 샤푸르 2세 또는 아후라 마즈다로 추정되는 인물에게 왕권의 상징인 반지를 받았다.[3] 아르다시르 2세는 한 살 터울 형인 샤푸르 2세에게 왕위를 물려받았다. "아시다시르"는 고대 페르시아어로 뛰어난 황제라는 뜻이다.[8] 사산 제국의 국교는 조로아스터교였으므로, 아르다시르 2세는 자신의 왕위 계승을 정당화하기 위해 미트라와 아후라 마즈다 같은 조로아스터교 신들이 자신의 왕위를 인정하는 것으로 묘사한 부조를 세웠다.[9]
이 부조 패널은 너비 약 4.07m, 높이 약 3.9m이다.
3. 2. 샤푸르 2세와 샤푸르 3세
타크 보스탄 1의 작은 아치 뒷벽 상단에는 샤푸르 2세(샤푸르 대왕)와 그의 아들 샤푸르 3세로 식별되는 두 개의 팔레비 문자 비문이 있다.[7] 이들은 서로 마주보고 있는 모습으로 묘사되어 있다. 아치 현관의 크기는 6m x 5m x 3.6m이다.[3] 샤푸르 3세 통치 기간에 지어졌을 것으로 추정되며, 일부는 완공 연도를 서기 385년으로 보기도 한다.[3] 그러나 샤푸르 3세의 왕관은 그의 동전에 있는 것과 일치하지 않으며, 그의 전임자인 아르다시르 2세의 왕관에 더 가깝다. 이 때문에 샤푸르 3세가 아르다시르의 부조를 찬탈한 것으로 해석된다는 주장도 있다.[3]비문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샤푸르 2세 비문:'''
𐭠𐭩𐭭𐭪𐭩 𐭯𐭲𐭪𐭥𐭩 𐭬𐭦𐭣𐭩𐭮𐭭 𐭡𐭢𐭩 𐭱𐭧𐭯𐭥𐭧𐭥𐭩 𐭬𐭫𐭪𐭠𐭭 𐭬𐭫𐭪𐭠 𐭠𐭩𐭥𐭠𐭭 𐭥 𐭠𐭭𐭩𐭥𐭠𐭭 𐭬𐭩𐭭𐭥 𐭩𐭦𐭣𐭠𐭭 𐭡𐭥𐭲 𐭬𐭦𐭣𐭩𐭮𐭭 𐭡𐭢𐭩 𐭤𐭥𐭬𐭦𐭣 𐭬𐭫𐭪𐭠𐭭 𐭬𐭫𐭪𐭠 𐭠𐭩𐭥𐭠𐭭 𐭥 𐭠𐭭𐭩𐭥𐭠𐭭 𐭬𐭩𐭭𐭥 𐭩𐭦𐭣𐭠𐭭 𐭡𐭥𐭲 𐭡𐭥𐭲 𐭡𐭢𐭩 𐭭𐭥𐭮𐭧𐭩 𐭬𐭫𐭪𐭠𐭭 𐭬𐭫𐭪𐭠|아이나키 파트카르 마즈데스 이란 와 아니란 미노 야즈단 바트 마즈데스 바그 호르미즈드 믈칸 믈카 이란 와 아니란 미노 야즈단 바트 바트 바그 나르시 믈칸 믈카pal
:''이것은 마즈다를 숭배하는 이란과 아니란의 왕 중 왕, 신의 혈통을 가진 샤푸르의 모습이다. 마즈다를 숭배하는 이란과 아니란의 왕 중 왕, 신의 혈통을 가진 호르미즈드의 아들이자 나르시의 샤한샤(왕 중 왕)의 손자이다.''[7]
'''샤푸르 3세 비문:'''
𐭠𐭩𐭭𐭪𐭩 𐭯𐭲𐭪𐭥𐭩 𐭬𐭦𐭣𐭩𐭮𐭭 𐭡𐭢𐭩 𐭱𐭧𐭯𐭥𐭧𐭥𐭩 𐭬𐭫𐭪𐭠𐭭 𐭬𐭫𐭪𐭠 𐭠𐭩𐭥𐭠𐭭 𐭥 𐭠𐭭𐭩𐭥𐭠𐭭 𐭬𐭩𐭭𐭥 𐭩𐭦𐭣𐭠𐭭 𐭡𐭥𐭲 𐭬𐭦𐭣𐭩𐭮𐭭 𐭡𐭢𐭩 𐭱𐭧𐭯𐭥𐭧𐭥𐭩 𐭬𐭫𐭪𐭠𐭭 𐭬𐭫𐭪𐭠 𐭠𐭩𐭥𐭠𐭭 𐭥 𐭠𐭭𐭩𐭥𐭠𐭭 𐭬𐭩𐭭𐭥 𐭩𐭦𐭣𐭠𐭭 𐭡𐭥𐭲 𐭤𐭥𐭬𐭦𐭣 𐭬𐭫𐭪𐭠𐭭 𐭬𐭫𐭪𐭠|아이나키 파트카르 마즈데스 바그 샤푸르 믈칸 믈카 이란 와 아니란 미노 야즈단 바트 마즈데스 바그 샤푸르 믈칸 믈카 이란 와 아니란 미노 야즈단 바트 호르미즈드 믈칸 믈카pal
:''이것은 마즈다를 숭배하는 이란과 아니란의 왕 중 왕, 신의 혈통을 가진 샤푸르의 모습이다. 마즈다를 숭배하는 이란과 아니란의 왕 중 왕, 신의 혈통을 가진 샤푸르의 아들이자, 호르미즈드의 손자이며, 왕 중 왕이다.''[7]

3. 3. 호스로 2세의 부조와 사냥 장면

타크 보스탄에는 두 개의 아치와 함께 사산 제국의 샤한샤인 아르다시르 2세, 샤푸르 2세, 샤푸르 3세, 호스로 2세의 부조가 새겨져 있고, 호스로 2세의 사냥 장면을 묘사한 부조도 있다.[7]
대형 이완의 뒷벽에 있는 세 인물은 일반적으로 호스로 2세를 아후라 마즈다와 아나히타가 양쪽에 있는 것으로 묘사한다. 이반 양쪽에는 사냥 장면이 두 개씩 있다.
3. 4. 카자르 왕조 시대의 부조
카자르 왕조의 왕자였던 돌라트샤는 원래의 아치 옆으로 보다 큰 규모의 아치를 새로 만들었다. 그는 열강들이 앞다투어 간섭하던 당시에 타크 보스탄에 새 아치를 만들어 고대의 영광을 상기시키려 하였다.[10] 1,300년의 시간이 흐른 후, 상부 부조는 19세기 카자르 왕조 시대 케르만샤 시의 총독인 도울라트샤가 큰 아치에 부조를 새기는 모습을 보여준다.
4. 건축 양식
타크 보스탄은 기반암을 파고 들어가 제작된 유적이다. 암석은 쐐기를 이용하여 일정한 방향으로 균열을 낸 뒤 벽돌 모양으로 채석되었으며, 이렇게 큰 구조를 형성한 다음 세부를 돋을 새김 기법으로 마감하였다. 유적을 만들 때 나온 석재는 인근 케르만샤의 궁정 건축을 위해 쓰인 것으로 추정된다.[6]
5. 갤러리
참조
[1]
웹사이트
Which one is correct, Taq bostan or Taq va san?
http://www8.irna.ir/[...]
2010-03-02
[2]
간행물
About the Sword of the Huns and the "Urepos" of the Steppes
https://resources.me[...]
The Metropolitan Museum
[3]
서적
The Persian Empire: A Historical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ABC-CLIO
[4]
뉴스
Most ancient Mid East village discovered in western Iran
http://www.isna.ir/I[...]
ISNA - Tehran
2009-05-24
[5]
뉴스
페르시아 기행 - 6. 다리우스왕의 베히스툰 비문
https://news.joins.c[...]
중앙일보
2000-12-05
[6]
웹사이트
Identification of a Late Sasanian stonecutting workshop at Taq-E Bostan, Kermanshah, Iran
https://www.antiquit[...]
[7]
서적
Images of Mithra
https://books.google[...]
Oxford
[8]
문서
Ardashir
https://en.wikisourc[...]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11
[9]
서적
History of Civilization of Central Asia
https://books.google[...]
Motiral Banadsidas Publishers
1999
[10]
서적
Iran: A Modern History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