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타리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타타리아는 18세기 이전 유럽에서 만주, 시베리아, 중앙아시아 지역을 지칭하던 용어였다. 유럽인들은 지리에 대한 이해가 높아지면서 타타리아를 여러 구역으로 나누었으며, 17세기에는 만주족과 그들이 통치하는 땅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기도 했다. 유럽인들은 타타리아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과 긍정적인 인식을 모두 가지고 있었으며, 계몽주의 시대에는 야만적인 지역으로 묘사되기도 했다. 지리학적 지식이 발전하면서 타타리아라는 용어는 점차 쇠퇴했지만, 19세기까지도 사용되었다. 20세기에는 시베리아와 중앙아시아를 지칭하는 용어로는 사용되지 않지만, 음모론의 소재로 활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몽골계 국가 - 타타르 연맹
타타르 연맹은 6세기에서 8세기 몽골 지역에서 형성된 부족 연맹으로, 튀르크어 비문에 기록되어 있으며, 몽골족과 튀르크족을 포함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민족적, 언어적 연관성은 논쟁 중이다. - 몽골계 국가 - 쿠물 칸국
쿠물 칸국은 차가타이 칸국 붕괴 후 모굴리스탄 칸국에서 분리되어 신장 지역을 중심으로 존속했으며, 명나라와 조공 관계를 맺고 청나라에 복속되어 자치권을 보장받았으나, 19세기 말 칸들의 횡포로 반란이 일어나 1930년 중화민국에 의해 폐지되었다. - 내륙아시아 - 만주
만주는 랴오닝성, 지린성, 헤이룽장성을 포함한 중국 동북 지역을 가리키며, 역사적으로 다양한 왕조가 지배했으며, 지리적으로는 광활한 평야와 산맥을 특징으로 하며, 현재는 중국 정부가 "동북"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 내륙아시아 - 하바롭스크 변경주
하바롭스크 변경주는 러시아 극동에 위치하며 광대한 면적에 다양한 지형과 하천, 뚜렷한 계절 변화를 보이는 대륙성 기후를 가지고 있고, 하바롭스크를 중심으로 기계 제작, 목재 가공, 어업 등 다양한 산업이 발달했으며, 러시아인과 소수 민족이 함께 거주하고 경상남도, 효고현과 자매결연을 맺은 러시아의 연방 주체이다. - 역사적 지역 - 하이집트
하이집트는 고대 이집트의 북쪽 지역으로 나일강 삼각주에 위치하며 지중해와 인접하여 상이집트보다 온화한 기후를 가졌고, 선왕조 시대 여러 왕들이 존재했으나 상이집트의 나르메르 왕에 의해 통일되어 20개의 노메로 나뉘어 통치되었다. - 역사적 지역 - 시리아 (지역)
시리아는 루위어에서 유래하여 고대 그리스에서 아시리아를 지칭했으며, 역사적으로 키질이르마크 강에서 이집트까지, 또는 비옥한 초승달 지대, 지중해 동쪽, 유프라테스 강 서쪽, 아라비아 사막 북쪽, 타우루스 산맥 남쪽을 포함하는 지역을 의미했고, 현재는 시리아, 레바논, 요르단,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터키 남부 일부를 포함하며 '샴'이라고도 불리는, 다양한 민족과 종교, 아브라함계 종교 관련 유적지가 많은 지역이다.
타타리아 | |
---|---|
지리 | |
위치 | 북아시아 및 중앙아시아 |
일반 정보 | |
어원 | 중세 라틴어: Tartaria 프랑스어: Tartarie 독일어: Tartarei 러시아어: Тартария (Tartariya) 러시아어: Татария (Tatariya) |
설명 | 유럽 문헌 및 지도에서 북아시아와 중앙아시아의 광대한 지역을 지칭하는 역사적인 용어 |
관련 용어 | 대타타리아 (Great Tartary): 가장 탐험되지 않은 지역 소타타리아 (Little Tartary): 크림 반도 지역 |
2. 지리와 역사
18세기 이전 유럽의 만주,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대한 지식은 제한적이었다. 이 지역 전체는 단순히 "타타리아"로 알려졌고 그 주민들은 "타타르인"으로 불렸다.[2]
2. 1. 명칭의 세분화
근세에 들어 지리에 대한 이해가 높아지면서, 유럽인들은 타타리아를 통치 세력의 이름이나 지리적 위치를 나타내는 접두사를 사용하여 여러 구역으로 나누기 시작했다. 시베리아는 "대 타타리아" 또는 "러시아 타타리아"였고, 크림 칸국은 "소 타타리아", 만주는 "중국 타타리아"였으며, 러시아령 중앙아시아가 되기 전 서부 중앙 아시아는 "독립 타타리아"로 알려졌다.[2] 그러나 17세기에는 가톨릭 선교사들의 저술의 영향으로 "타타르"라는 단어가 만주족과 그들이 통치하는 땅인 "타타리아"를 지칭하게 되었다.[3]이 지역에 대한 유럽의 의견은 종종 부정적이었으며, 이는 몽골 제국의 침략의 유산을 반영한 것이었다. "타타르"에 "r"을 추가한 것은 그리스 신화의 타르타로스 (지옥)를 연상시켰다.[2] 18세기 계몽주의 시대 작가들이 시베리아나 타타리아, 그리고 그 주민들을 "야만적"이라고 묘사한 것은 당시의 문명, 야만성, 인종차별에 대한 개념과 연결되었다.
유럽인들은 긍정적인 의견도 표명했다. 일부는 타타리아를 당시 유럽 사회에 부족한 정신적 지식의 잠재적 원천으로 보았다. 신지학자이자 학자인 G.R.S. 미드가 편집한 "Five Years of Theosophy"에서 박식가이자 "예언자"인 엠마누엘 스베덴보리는 "타타리아, 중국, 티베트의 신관들 사이에서 잃어버린 말씀을 찾아라"라고 조언했다고 인용했다.[2]
2. 2. 부정적 인식과 긍정적 인식
18세기 이전 유럽에서는 만주,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대한 지식이 제한적이었다. 이 지역 전체는 단순히 "타타리아"로 알려졌고, 그 주민들은 "타타르인"으로 불렸다.[2] 유럽인들은 타타리아에 대해 주로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는 이 지역에서 기원한 몽골 제국의 침략과 그로 인한 광범위한 황폐화의 영향 때문이었다. "타타르"라는 단어에 "r"을 추가한 것은 그리스 신화의 타르타로스(지옥)를 연상시키기도 했다.[2] 계몽주의 시대 작가들은 시베리아나 타타리아, 그리고 그 주민들을 "야만적"이라고 묘사했는데, 이는 당시 문명, 야만성, 인종차별에 대한 개념과 연결되었다.[2]
그러나 유럽인들은 타타리아에 대해 긍정적인 시각도 가지고 있었다. 일부는 타타리아를 당시 유럽 사회에 부족한 정신적 지식의 잠재적 원천으로 보았다. 신지학자이자 학자인 G.R.S. 미드가 편집한 "Five Years of Theosophy"에서 박식가이자 "예언자"인 엠마누엘 스베덴보리는 "타타리아, 중국, 티베트의 신관들 사이에서 잃어버린 말씀을 찾아라"라고 조언했다고 인용되었다.[2]
2. 3. 용어의 쇠퇴
"타타리아"라는 용어는 유럽 지리학자들에게 해당 지역이 더 널리 알려지면서 쇠퇴했지만, 19세기까지도 오랫동안 사용되었다.[1] 예수회 선교사들이 중국에서 수집한 민족지학적 데이터는 18세기 초 유럽 지리학에서 "중국 타타리아"가 만주로 대체되는 데 기여했다.[2] 예고르 메이엔도르프와 알렉산더 폰 훔볼트의 이 지역 탐험은 19세기 초 중앙아시아라는 용어와 더불어 내륙 아시아와 같은 보조 용어의 사용을 낳았으며,[1] 러시아의 팽창주의는 러시아 제국의 아시아 지역에 대한 용어로 "시베리아"를 만들어냈다.[3]20세기에는 시베리아와 중앙아시아를 지칭하는 용어로서의 타타리아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았다. 하지만, 이 용어는 피터 플레밍의 1936년 저서인 ''타타리아에서 온 소식''의 제목으로 사용되었으며, 이 책은 그의 중앙아시아 여행기를 담고 있다.
3. 타타리아 음모론
타타르족을 몽골 제국과는 다른 제국으로 오해하거나, 중앙아시아의 옛말(古語)로 해석하면서, 진보된 "타타리아 제국"의 존재를 주장하는 음모론이 생겨났다.[3]
참조
[1]
웹사이트
Skeptoid #765: Tartaria and the Mud Flood
https://skeptoid.com[...]
2021-02
[2]
서적
Five Years of Theosophy
https://www.gutenber[...]
Project Gutenberg
[3]
뉴스
Inside the 'Tartarian Empire,' the QAnon of Architecture
https://www.bloomber[...]
2021-09-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