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하바롭스크 변경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바롭스크 변경주는 러시아 극동에 위치한 지역으로, 북쪽으로는 마가단주, 서쪽으로는 사하 공화국과 아무르주, 남쪽으로는 중국과 프리모르스키 변경주, 동쪽으로는 오호츠크해에 접한다. 타이가와 툰드라, 습지 숲, 활엽수림 등 다양한 자연 식생을 가지며, 아무르 강, 암군 강 등이 주요 강이다. 대륙성 기후로 겨울철 기온이 매우 낮으며, 하바롭스크는 덥고 습한 여름과 추운 겨울을 보인다. 주요 도시로는 하바롭스크, 콤소몰스크나아무레, 아무르스크 등이 있으며, 블라디보스토크 시간대를 사용한다. 1938년 극동 지방 분할로 설립되었으며, 1991년 유대인 자치주 분리 후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다. 러시아 극동 지역에서 가장 산업화된 지역으로 기계 제작, 목재 가공, 어업 등이 발달했으며, 금, 주석 등의 광물 자원도 존재한다. 태평양국립대학교 등 여러 교육 기관이 있으며, 아무르 하바롭스크, FC SKA-에네르기야 하바롭스크, SKA-네프티야닉 하바롭스크 등의 스포츠 팀이 활동한다. 경상남도, 효고현과 자매결연을 맺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하바롭스크 변경주 - 우데게족
    우데게족은 러시아 극동 지역의 퉁구스어족 소수 민족으로, 전통적으로 수렵과 어로를 통해 생계를 유지하며 러시아 문화의 영향을 받았으나, 20세기 후반부터 언어 사용 인구 감소와 사회적 어려움을 겪고 있다.
  • 하바롭스크 변경주 - 오로치인
    오로치인은 러시아 극동 지역에 거주하며 수렵과 어업으로 생활하고 샤머니즘 신앙을 가진 소수 민족으로, 러시아화를 겪으며 인구 감소와 문화 쇠퇴의 어려움 속에서 문화와 언어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러시아 극동 - 블라디보스토크
    블라디보스토크는 "동방을 지배하다"라는 뜻을 가진 러시아 프리모르스키 지방의 행정 중심지이자 항구 도시로, 태평양 함대 기지가 주둔하며 시베리아 횡단 철도의 종착역이자 주요 무역항으로 발전했고, 한때 폐쇄 도시였다가 현재는 극동 연방관구의 행정 중심지이다.
  • 러시아 극동 - 프리모르스키 변경주
    프리모르스키 변경주는 러시아 극동부에 위치하며 동해에 면하고 중국, 북한과 국경을 접하며, 주도는 블라디보스토크이고, 온대 습윤 기후와 다양한 동식물상을 보이며, 수산업, 기계 제작, 광업 등이 발달하고 한국, 일본, 중국 등 동아시아 국가들과 교류한다.
  • 내륙아시아 - 만주
    만주는 랴오닝성, 지린성, 헤이룽장성을 포함한 중국 동북 지역을 가리키며, 역사적으로 다양한 왕조가 지배했으며, 지리적으로는 광활한 평야와 산맥을 특징으로 하며, 현재는 중국 정부가 "동북"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 내륙아시아 - 프리모르스키 변경주
    프리모르스키 변경주는 러시아 극동부에 위치하며 동해에 면하고 중국, 북한과 국경을 접하며, 주도는 블라디보스토크이고, 온대 습윤 기후와 다양한 동식물상을 보이며, 수산업, 기계 제작, 광업 등이 발달하고 한국, 일본, 중국 등 동아시아 국가들과 교류한다.
하바롭스크 변경주
지도
기본 정보
공식 명칭하바롭스크 변경주
로마자 표기Khabarovskiy kray
러시아어 표기Хабаровский край
IPA 표기/xɐˈbarəfskʲɪj kraj/
행정 중심지하바롭스크
정치 체제크라이
소속 연방관구극동 연방관구
경제 지구극동 경제 지구
면적 순위4위
면적787,633 km²
설립일1938년 10월 20일
자동차 번호판27
ISO 코드RU-KHA
공식 웹사이트www.khabkrai.ru
깃발 및 문장
하바롭스크 변경주 깃발
깃발
하바롭스크 변경주 문장
문장
인구 통계
2021년 인구1,292,944명
인구 순위34위
도시 인구 비율83.4%
농촌 인구 비율16.6%
2018년 추정 인구1,328,302명
정치
주지사드미트리 데메신
입법부하바롭스크 변경주 입법 두마

2. 지리

하바롭스크 지방은 북쪽으로는 마가단주, 서쪽으로는 사하 공화국아무르주, 남쪽으로는 중국프리모르스키 변경주, 동쪽으로는 오호츠크해에 접해 있다.

북쪽에는 타이가툰드라가 위치해 있다.

하바롭스크 지방은 북쪽으로는 마가단주, 서쪽으로는 사하 공화국아무르주, 남쪽으로는 유대인 자치주, 중국(헤이룽장성) 및 프리모르예 지방, 동쪽으로는 오호츠크해와 접한다. 면적은 러시아 연방의 연방 구성체 중 네 번째로 크다. 주요 섬으로는 샨타르 제도가 있다.

북쪽의 타이가툰드라, 중앙 저지대의 습지 숲, 남쪽의 활엽수림이 이 지역의 자연 식생이다. 주요 강으로는 아무르 강, 암군 강, 우다 강, 투구르 강 등이 있다. 또한 보콘 호, 볼론 호, 추크차기르 호, 에보론 호, 키지 호, 훔미 호, 오룔 호, 우딜 호 등의 호수도 있다.[7]

하바롭스크 지방은 매우 혹독한 대륙성 기후를 가지고 있으며, 북부 지역은 아한대 기후에 속하며 북쪽에서는 해양의 여름 기온 조절 효과가 더 강하다. 특히 내륙의 남부 지역에서는 연교차가 매우 크다. 하바롭스크 자체는 덥고 습하며 습한 여름이 급격하게 매우 춥고 긴 겨울로 바뀌며 기온이 거의 빙점 위로 올라가지 않는다. 이는 여름의 동아시아 계절풍과 겨울의 매우 차가운 시베리아 고기압의 영향 때문이다. 두 번째로 큰 도시인 콤소몰스크나아무레는 하바롭스크보다 더 극심한 기온 변화를 보이며, 겨울철 평균 최저 기온은 -30.8℃ 이하이지만 여름철의 높은 기온 때문에 아한대 기후를 피한다.

이 지역의 주요 산맥으로는 부레야 산맥, 바즈할 산맥(최고봉 고라 울룬 2221m), 얌알린 산맥, 두세알린 산맥, 시호테알린 산맥, 주그주르 산맥, 콘디오르 산맥, 그리고 서쪽 국경 지역의 순타르하야타 산맥, 유도마-마야 고지, 세테다반 산맥의 일부가 있다. 최고봉은 베릴 산(2933m)이다.[8][9]

이 지방의 넓은 해안선을 따라 여러 반도가 있는데, 주요 반도는 (북에서 남으로) 리시안스키 반도, 누르키 반도, 투구르스키 반도, 토카레우 반도이다.

하바롭스크 지방의 주요 섬은 (북에서 남으로) 말민스키예 섬, 샨타르 제도, 멘시코프 섬, 레이네케 섬, 츠칼로프 섬, 바이두코프 섬, 차스티예 섬이다. 사할린 섬(러시아에서 가장 큰 섬)은 사할린주로 따로 관리되며, 쿠릴 열도도 포함된다.

아래 표는 지방 내 여러 지역의 기후 평균치를 자세히 보여준다.

위치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하바롭스크 (1991–2020, 극값 1878–2023)[10][11]
평균 최고 기온 (°C)-14.9-9.9-1.010.519.223.826.824.919.710.6-2.8-13.67.8
일 평균 기온 (°C)-19.2-14.9-5.94.812.918.021.419.914.15.4-6.9-17.42.7
평균 최저 기온 (°C)-23.1-19.6-10.7-0.17.312.816.815.79.41.0-10.4-20.9-1.8
강수량 (mm)13122237708413714385482619696
콤소몰스크나아무레[12][13]
평균 최고 기온 (°C)-19.6-13.9-4.07.516.122.825.123.417.17.4-6.4-17.24.6
일 평균 기온 (°C)-24.7-19.8-9.52.310.417.320.318.511.92.5-10.5-21.8-0.6
평균 최저 기온 (°C)-30.8-27.2-17.1-3.43.710.815.213.56.4-2.9-16.1-27.4-6.6
강수량 (mm)3019304363659511074624932672
소베츠카야 가반 (1914–2012)
평균 최고 기온 (°C)-11.4-8.3-1.85.611.616.820.521.918.210.90.0-8.76.3
일 평균 기온 (°C)-16.8-14.2-7.41.16.611.515.617.413.36.0-4.7-13.51.3
평균 최저 기온 (°C)-22.2-20.1-12.9-3.51.56.210.712.98.41.0-9.3-18.3-3.8
강수량 (mm)19.920.742.947.573.970.182.1109.6117.287.743.432.7747.7
오호츠크 (1991−2020 평년값, 극값 1891–현재)[14][15]
평균 최고 기온 (°C)-16.8-14.2-6.30.46.211.415.717.112.92.7-9.7-16.4-0.1
일 평균 기온 (°C)-19.9-18.5-12.1-3.82.68.112.913.78.9-1.2-12.7-19.0-4.2
평균 최저 기온 (°C)-22.7-22.2-17.8-8.2-0.25.710.610.64.9-4.6-15.3-21.4-8.4
강수량 (mm)15716244055859492663214540



하바롭스크 지방(Хабаровский край)은 러시아 극동에 위치하며, 동해오호츠크해에 면하고 아무르 강이 흐른다. 남동부는 시호테알린 산맥이 프리모르예 지방까지 이어지고, 북동부 오호츠크해 연안에는 주그주르 산맥이 솟아 있다. 오호츠크해 서쪽 안쪽에는 샨타르 제도가 산재해 있다.

프리모르예 지방, 유대인 자치주, 아무르주, 사하 공화국, 마가단주와 접하고, 타타르 해협(간궁 해협)을 사이에 두고 사할린주가 있다. 남부는 중국 헤이룽장성과 국경을 접한다.

2. 1. 지형

하바롭스크 지방은 러시아 극동에 위치하며, 동해오호츠크해에 면하고 아무르 강이 흐른다.[7] 남동부는 시호테알린 산맥이 프리모르예 지방까지 이어지고, 북동부 오호츠크해 연안에는 주그주르 산맥이 솟아 있다. 오호츠크해 서쪽 안쪽에는 샨타르 제도가 산재해 있다.[7]

프리모르예 지방, 유대인 자치주, 아무르주, 사하 공화국, 마가단주와 접하고, 타타르 해협(간궁 해협)을 사이에 두고 사할린주가 있다. 남부는 중국 헤이룽장성과 국경을 접한다.[7]

북쪽의 타이가툰드라, 중앙 저지대의 습지 숲, 남쪽의 활엽수림이 이 지역의 자연 식생이다. 주요 강으로는 아무르 강, 암군 강, 우다 강, 투구르 강 등이 있다. 또한 보콘 호, 볼론 호, 추크차기르 호, 에보론 호, 키지 호, 훔미 호, 오룔 호, 우딜 호 등의 호수도 있다.[7]

이 지역의 주요 산맥으로는 부레야 산맥, 바즈할 산맥(최고봉 고라 울룬 2221m), 얌알린 산맥, 두세알린 산맥, 시호테알린 산맥, 주그주르 산맥, 콘디오르 산맥 등이 있다. 서쪽 국경 지역에는 순타르하야타 산맥, 유도마-마야 고지, 세테다반 산맥의 일부가 있다. 최고봉은 베릴 산(2933m)이다.[8][9]

이 지방의 넓은 해안선을 따라 리시안스키 반도, 누르키 반도, 투구르스키 반도, 토카레우 반도 등 여러 반도가 있다. 주요 섬은 (북에서 남으로) 말민스키예 섬, 샨타르 제도, 멘시코프 섬, 레이네케 섬, 츠칼로프 섬, 바이두코프 섬, 차스티예 섬 등이다.[7]

하바롭스크 지방은 매우 혹독한 대륙성 기후를 가지고 있으며, 북부 지역은 아한대 기후에 속하며 북쪽에서는 해양의 여름 기온 조절 효과가 더 강하다.[7] 특히 내륙의 남부 지역에서는 연교차가 매우 크다. 하바롭스크 자체는 덥고 습하며 습한 여름이 급격하게 매우 춥고 긴 겨울로 바뀌며 기온이 거의 빙점 위로 올라가지 않는다. 이는 여름의 동아시아 계절풍과 겨울의 매우 차가운 시베리아 고기압의 영향 때문이다.[7]

2. 2. 기후

하바롭스크 변경주는 대륙성 기후를 가지며, 북부 지역은 아한대 기후에 속한다.[41][42] 특히 내륙의 남부 지역에서는 연교차가 매우 크다.[41][42] 이는 여름의 동아시아 계절풍과 겨울의 매우 차가운 시베리아 고기압의 영향 때문이다.[41][42]

하바롭스크는 덥고 습한 여름이 급격하게 매우 춥고 긴 겨울로 바뀌며 기온이 거의 빙점 위로 올라가지 않는다.[41][42] 1991-2020년 기준, 1월 평균 기온은 -19.2℃, 7월 평균 기온은 21.4℃이며, 연평균 기온은 2.7℃이다.[41] 연간 강수량은 696mm이다.[41]

콤소몰스크나아무레는 하바롭스크보다 더 극심한 기온 변화를 보인다.[43][44] 겨울철 평균 최저 기온은 -30.8℃이지만, 여름철의 높은 기온 때문에 아한대 기후를 피한다.

소베츠카야가반의 1914-2012년 기준, 1월 평균 기온은 -16.8℃, 8월 평균 기온은 17.4℃, 연평균 기온은 1.3℃이다.

오호츠크의 1991-2020년 기준, 1월 평균 기온은 -19.9℃, 8월 평균 기온은 13.7℃이다.

2. 3. 시간대

하바롭스크 변경주는 블라디보스토크 시간대(VLAT/VLAST)에 접해 있다. UTC와의 시차는 +1000 (VLAT)/+1100 (VLAST)이다.

이 지역은 블라디보스토크 시간대의 표준시를 사용한다. 표준시는 UTC+10이며, 일광 절약 시간제는 없다. 2011년 3월까지는 표준시가 UTC+10이고 일광 절약 시간제가 UTC+11이었으며, 2011년 3월부터 2014년 10월까지는 연중 UTC+11이었다.

3. 역사

여러 중국과 한국 기록에 따르면 하바롭스크 지방 남부는 원래 5개의 반유목민족 중 하나인 선비의 보선비(Bo Shiwei) 부족과 흑수말갈 부족이 각각 부레야와 소흥안령 산맥의 서쪽과 동쪽에 거주하고 있었다.

1643년 바실리 포야르코프의 배가 아무르 강을 따라 내려와 오호츠크 해와 알단 강을 거쳐 야쿠츠크로 돌아왔고, 1649년~1650년에는 예로페이 하바로프가 아무르 강변을 점령했다. 그러나 중국의 저항으로 코사크들은 요새를 버려야 했고, 네르친스크 조약(1689년)에 의해 러시아는 아무르 강 유역으로의 진출을 포기했다.[16][17]

러시아는 아무르 강 항해권을 박탈당했지만, 1689년 네르친스크 조약에서 아무르 강 하류에 대한 영토 주장은 해결되지 않았다. 우다 강과 대흥안령 산맥 사이의 지역(즉, 아무르주 대부분)은 경계가 설정되지 않았고, 중국-러시아 국경은 변동될 수 있었다.

19세기 후반, 니콜라이 무라비요프는 아무르 강 하류가 러시아에 속한다고 주장하며 중국에 대해 공격적인 정책을 펼쳤다. 1852년 무라비요프 지휘하의 러시아 군사 원정대가 아무르 강을 탐험했고, 1857년까지 아무르 강 전 구간에 러시아 코사크와 농민들이 정착했다. 1858년 아이군 조약에서 중국은 아무르 강 하류를 우스리 강까지 러시아와 청 제국 간의 경계로 인정하고 러시아에 태평양으로의 자유로운 접근을 허용했다.[18] 중국-러시아 국경은 이후 1860년 베이징 조약에서 추가로 획정되었는데, 이때 이전에 공동 소유였던 우스리 지역(프리모르예 지방)이 러시아 영토가 되었다.[19]

하바롭스크 지방은 1938년 10월 20일 극동 지방이 하바롭스크 지방과 프리모르예 지방으로 분할될 때 설립되었다.[20] 원래 극동 지방에 속했던 캄차카주는 두 개의 자치구인 추코트카코랴크와 함께 하바롭스크 지방의 관할 하에 들어갔다. 1947년 사할린 북부는 하바롭스크 지방에서 분리되어 남부와 합쳐져 사할린주를 형성했다. 1948년 남서부 영토 일부가 하바롭스크 지방에서 분리되어 아무르주를 형성했다. 1953년 하바롭스크 지방 북부에서 마가단주가 설립되었고, 원래 캄차카주의 관할 하에 있었던 추코트카 자치구의 관할권을 얻었다. 1956년 캄차카주는 독립된 지역이 되었고 코랴크 자치구를 함께 가져갔다. 하바롭스크 지방은 소련 붕괴 직전인 1991년 유대인 자치주가 하바롭스크 지방의 관할권에서 분리되어 러시아의 직할 연방 구성체가 되면서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1996년 4월 24일 하바롭스크는 자치권을 부여하는 연방 정부와 권력 분배 협정을 체결했다.[21] 이 협정은 2002년 8월 12일에 폐지되었다.[22]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주 내에 수용 지역(굴락)이 다수 설치되어 시베리아 억류를 받은 일본군 포로가 수용되었다. 일본군 포로는 강제 노역에 종사했다.[38]

3. 1. 고대 ~ 중세

여러 중국과 한국 기록에 따르면 하바롭스크 지방 남부는 원래 5개의 반유목민족 중 하나인 선비의 보선비(Bo Shiwei) 부족과 흑수말갈 부족이 각각 부레야와 소흥안령 산맥의 서쪽과 동쪽에 거주하고 있었다.

1643년 바실리 포야르코프의 배가 아무르 강을 따라 내려와 오호츠크 해와 알단 강을 거쳐 야쿠츠크로 돌아왔고, 1649년~1650년에는 예로페이 하바로프가 아무르 강변을 점령했다. 그러나 중국의 저항으로 코사크들은 요새를 버려야 했고, 네르친스크 조약(1689년)에 의해 러시아는 아무르 강 유역으로의 진출을 포기했다.[16][17]

러시아는 아무르 강 항해권을 박탈당했지만, 1689년 네르친스크 조약에서 아무르 강 하류에 대한 영토 주장은 해결되지 않았다. 우다 강과 대흥안령 산맥 사이의 지역(즉, 아무르주 대부분)은 경계가 설정되지 않았고, 중국-러시아 국경은 변동될 수 있었다.

3. 2. 러시아 제국 시대

여러 중국과 한국 기록에 따르면, 선비의 보선비(Bo Shiwei) 부족과 흑수말갈 부족이 부레야와 소흥안령 산맥의 서쪽과 동쪽에 각각 거주했다.

1643년 바실리 포야르코프가 아무르 강을 따라 오호츠크 해와 알단 강을 거쳐 야쿠츠크로 돌아왔고, 1649년~1650년에는 예로페이 하바로프가 아무르 강변을 점령했다. 그러나 중국의 저항으로 코사크들은 요새를 버려야 했고, 네르친스크 조약(1689년)에 의해 러시아는 아무르 강 유역 진출을 포기했다.[16][17]

러시아는 아무르 강 항해권을 박탈당했지만, 1689년 네르친스크 조약에서 아무르 강 하류에 대한 영토 주장은 해결되지 않았다. 우다 강과 대흥안령 산맥 사이의 지역은 경계가 설정되지 않았고, 중국-러시아 국경은 변동될 수 있었다.

19세기 후반, 니콜라이 무라비요프는 아무르 강 하류가 러시아에 속한다고 주장하며 중국에 대해 공격적인 정책을 펼쳤다. 1852년 무라비요프 지휘하의 러시아 군사 원정대가 아무르 강을 탐험했고, 1857년까지 아무르 강 전 구간에 러시아 코사크와 농민들이 정착했다. 1858년 아이군 조약에서 중국은 아무르 강 하류를 우스리 강까지 러시아와 청 제국 간의 경계로 인정하고 러시아에 태평양으로의 자유로운 접근을 허용했다.[18] 중국-러시아 국경은 1860년 베이징 조약에서 우스리 지역(프리모르예 지방)이 러시아 영토가 되면서 추가 획정되었다.[19]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주 내에 수용 지역(굴락)이 다수 설치되어 시베리아 억류를 받은 일본군 포로가 강제 노역에 종사했다.[38]

3. 3. 소련 시대

1643년 바실리 포야르코프의 배가 아무르 강을 따라 내려와 오호츠크 해와 알단 강을 거쳐 야쿠츠크로 돌아왔고, 1649년~1650년에는 예로페이 하바로프가 아무르 강변을 점령했다.[16][17] 그러나 중국의 저항으로 코사크들은 요새를 버려야 했고, 네르친스크 조약(1689년)에 의해 러시아는 아무르 강 유역으로의 진출을 포기했다.[16][17]

러시아는 아무르 강 항해권을 박탈당했지만, 1689년 네르친스크 조약에서 아무르 강 하류에 대한 영토 주장은 해결되지 않았다. 우다 강과 대흥안령 산맥 사이의 지역은 경계가 설정되지 않았고, 중국-러시아 국경은 변동될 수 있었다.[16][17]

19세기 후반, 니콜라이 무라비요프-아무르스키는 아무르 강 하류가 러시아 제국에 속한다고 주장하며 중국에 대해 공격적인 정책을 펼쳤다. 1852년 무라비요프 지휘하의 러시아 군사 원정대가 아무르 강을 탐험했고, 1857년까지 아무르 강 전 구간에 러시아 코사크와 농민들이 정착했다. 1858년 아이군 조약에서 중국은 아무르 강 하류를 우스리 강까지 러시아와 청 제국 간의 경계로 인정하고 러시아에 태평양으로의 자유로운 접근을 허용했다.[18] 중국-러시아 국경은 이후 1860년 베이징 조약에서 추가로 획정되었는데, 이때 이전에 공동 소유였던 우스리 지역(프리모르예 지방)이 러시아 영토가 되었다.[19]

하바롭스크 지방은 1938년 10월 20일 극동 지방이 하바롭스크 지방과 프리모르예 지방으로 분할될 때 설립되었다.[20] 원래 극동 지방에 속했던 캄차카주는 두 개의 자치구인 추코트카 자치구코랴크 자치구와 함께 하바롭스크 지방의 관할 하에 들어갔다. 1947년 사할린 북부는 하바롭스크 지방에서 분리되어 남부와 합쳐져 사할린주를 형성했다. 1948년 남서부 영토 일부가 하바롭스크 지방에서 분리되어 아무르주를 형성했다. 1953년 하바롭스크 지방 북부에서 마가단주가 설립되었고, 원래 캄차카주의 관할 하에 있었던 추코트카 자치구의 관할권을 얻었다. 1956년 캄차카주는 독립된 지역이 되었고 코랴크 자치구를 함께 가져갔다. 하바롭스크 지방은 소비에트 연방 붕괴 직전인 1991년 유대인 자치주가 하바롭스크 지방의 관할권에서 분리되어 러시아의 직할 연방 구성체가 되면서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주 내에 수용 지역(굴락)이 다수 설치되어 시베리아 억류를 받은 일본군 포로가 수용되었다. 일본군 포로는 강제 노역에 종사했다.[38]

3. 4. 러시아 연방 시대

1643년 바실리 포야르코프의 배가 아무르 강을 따라 내려와 오호츠크 해와 알단 강을 거쳐 야쿠츠크로 돌아왔고, 1649년~1650년에는 예로페이 하바로프가 아무르 강변을 점령했다.[16][17] 그러나 중국의 저항으로 코사크들은 요새를 버려야 했고, 네르친스크 조약(1689년)에 의해 러시아는 아무르 강 유역으로의 진출을 포기했다. 러시아는 아무르 강 항해권을 박탈당했지만, 1689년 네르친스크 조약에서 아무르 강 하류에 대한 영토 주장은 해결되지 않았다.[16][17]

19세기 후반, 니콜라이 무라비요프-아무르스키는 아무르 강 하류가 러시아 제국에 속한다고 주장하며 중국에 대해 공격적인 정책을 펼쳤다.[18] 1852년 무라비요프 지휘하의 러시아 군사 원정대가 아무르 강을 탐험했고, 1857년까지 아무르 강 전 구간에 러시아 코사크와 농민들이 정착했다. 1858년 아이군 조약에서 중국은 아무르 강 하류를 우스리 강까지 러시아와 청 제국 간의 경계로 인정하고 러시아에 태평양으로의 자유로운 접근을 허용했다. 중국-러시아 국경은 이후 1860년 베이징 조약에서 추가로 획정되었는데, 이때 이전에 공동 소유였던 우스리 지역(프리모르예 지방)이 러시아 영토가 되었다.[19]

하바롭스크 지방은 1938년 10월 20일 극동 지방이 하바롭스크 지방과 프리모르예 지방으로 분할될 때 설립되었다.[20] 원래 극동 지방에 속했던 캄차카주는 두 개의 자치구인 추코트카 자치구코랴크 자치구와 함께 하바롭스크 지방의 관할 하에 들어갔다. 1947년 사할린 북부는 하바롭스크 지방에서 분리되어 남부와 합쳐져 사할린주를 형성했다. 1948년 남서부 영토 일부가 하바롭스크 지방에서 분리되어 아무르주를 형성했다. 1953년 하바롭스크 지방 북부에서 마가단주가 설립되었고, 원래 캄차카주의 관할 하에 있었던 추코트카 자치구의 관할권을 얻었다. 1956년 캄차카주는 독립된 지역이 되었고 코랴크 자치구를 함께 가져갔다.

소련 붕괴 직전인 1991년 유대인 자치주가 하바롭스크 지방의 관할권에서 분리되어 러시아의 직할 연방 구성체가 되면서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1996년 4월 24일 하바롭스크는 자치권을 부여하는 연방 정부와 권력 분배 협정을 체결했다.[21] 이 협정은 2002년 8월 12일에 폐지되었다.[22]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주 내에 수용 지역(굴락)이 다수 설치되어 시베리아 억류를 받은 일본군 포로가 수용되었다. 일본군 포로는 강제 노역에 종사했다.[38]

4. 행정 구역

하바롭스크하바롭스크 변경주의 주도이다. 2010년 러시아 인구 조사에 따르면 하바롭스크의 인구는 577,441명이다.

콤소몰스크나아무레는 263,906명이 거주하여 하바롭스크 변경주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다.

아무르스크는 인구 42,970명으로 하바롭스크 변경주에서 세 번째로 큰 도시이다.

이 외에도 니콜라옙스크나아무레(22,752명), 소베츠카야가반(27,712명), 비킨(17,154명) 등의 도시가 있다.

하바롭스크 변경주의 행정 구역 문서에서 더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아무르스키 군(Амурский), 아야노마이스키 군(Аяно-Майский), 비킨스키 군(Бикинский), 하바롭스키 군(Хабаровский), 콤소몰스키 군(Комсомольский), 라조 군(имени Лазо), 나나이스키 군(Нанайский), 니콜라옙스키 군(Николаевский), 오호츠키 군(Охотский), 폴리니오시펜코 군(имени Полины Осипенко), 솔네치니 군(Солнечный), 소베츠코가반스키 군(Советско-Гаванский), 투구로추미칸스키 군(Тугуро-Чумиканский), 울치스키 군(Ульчский), 바닌스키 군(Ванинский), 베르흐네부레인스키 군(Верхнебуреинский), 뱌젬스키 군(Вяземский)이 있다.

4. 1. 도시

하바롭스크는 하바롭스크 변경주의 주도이다. 2010년 러시아 인구 조사에 따르면 하바롭스크의 인구는 577,441명이다.

콤소몰스크나아무레는 263,906명이 거주하여 하바롭스크 변경주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다.

아무르스크는 인구 42,970명으로 하바롭스크 변경주에서 세 번째로 큰 도시이다.

이 외에도 니콜라옙스크나아무레(22,752명), 소베츠카야가반(27,712명), 비킨(17,154명) 등의 도시가 있다.

하바롭스크 변경주의 행정 구역 문서에서 더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4. 2. 군 (Районы)

아무르스키 군(Амурский), 아야노마이스키 군(Аяно-Майский), 비킨스키 군(Бикинский), 하바롭스키 군(Хабаровский), 콤소몰스키 군(Комсомольский), 라조 군(имени Лазо), 나나이스키 군(Нанайский), 니콜라옙스키 군(Николаевский), 오호츠키 군(Охотский), 폴리니오시펜코 군(имени Полины Осипенко), 솔네치니 군(Солнечный), 소베츠코가반스키 군(Советско-Гаванский), 투구로추미칸스키 군(Тугуро-Чумиканский), 울치스키 군(Ульчский), 바닌스키 군(Ванинский), 베르흐네부레인스키 군(Верхнебуреинский), 뱌젬스키 군(Вяземский)이 있다.

5. 인구와 주민

일부 주민은 만주퉁구스어족에 속하는 예벤키인과 에벤인, 아무르강 북쪽의 극소수의 만주족들이 일부 거주하고 있다. 일부 니브히인(길랴크족)들도 거주하고 있다. 중국인, 한국인, 일본인도 거주하고 있다. 2006년 1월 기준으로 인구는 141만 명이었다.

연도인구
1926184,700
1939657,400
1959979,679
19701,173,458
19791,369,277
19891,597,373
20021,436,570
20101,343,869
20211,292,944



출처: 인구조사 자료

5. 1. 인구 변화

연도인구
1926184,700
1939657,400
1959979,679
19701,173,458
19791,369,277
19891,597,373
20021,436,570
20101,343,869
20211,292,944



출처: 인구조사 자료

2021년 인구는 1,292,944명이다. 2010년 인구는 1,343,869명, 2002년 인구는 1,436,570명, 1989년 인구는 1,824,506명이었다.

5. 2. 민족 구성 (2021년)

만주퉁구스어족에 속하는 예벤키인과 에벤인, 아무르강 북쪽의 극소수의 만주족들이 일부 거주하고 있다. 일부 니브히인(길랴크족)들도 거주하고 있다. 중국인, 한국인, 일본인도 거주하고 있다. 2006년 1월 기준으로 인구는 141만 명이었다.

2021년 하바롭스크 지방의 민족 구성은 다음과 같다.[25]

2021년 하바롭스크 지방의 민족 구성
민족인구비율
러시아인1,047,22192.9%
나나이족10,8131.0%
우크라이나인7,1700.6%
타지크인4,3320.4%
조선족3,7400.3%
에벤키족3,7090.3%
기타 민족50,7803.9%
민족 미표기165,179



2022년 주요 통계는 다음과 같다.[26][27]


  • 출생: 12,404명 (인구 1,000명당 9.6명)
  • 사망: 18,209명 (인구 1,000명당 14.0명)


2022년 합계출산율은 여성 1명당 1.50명이었다.[28] 2021년 평균수명은 전체 67.85세 (남성 62.91세, 여성 72.94세)였다.[29]

5. 3. 주요 통계 (2022년)

2021년 인구는 1,292,944명이다. 1926년 184,700명, 1939년 657,400명, 1959년 979,679명, 1970년 1,173,458명, 1979년 1,369,277명, 1989년 1,597,373명, 2002년 1,436,570명, 2010년 1,343,869명으로 조사되었다.

5. 4. 종교

2012년 조사에 따르면, 하바롭스크 변경주 인구의 26.2%가 러시아 정교회 신자이며,[30][31] 4%는 교파에 속하지 않는 일반적인 기독교인이고, 1%는 다른 정교회 신자이거나 어떤 교회에도 속하지 않는 정교회 신자이며, 1%는 이슬람교 신자이다. 또한 인구의 28%는 "종교는 믿지만 종교인은 아니다"라고 답했고, 23%는 무신론자이며, 16.8%는 다른 종교를 믿거나 질문에 답하지 않았다.[30]

2012년 하바롭스크 변경주의 종교 분포[30][31]
러시아 정교회26.2%
기타 정교회1.3%
프로테스탄티즘0.5%
기타 기독교인3.7%
이슬람교1.1%
로드노베리 및 기타 토착 신앙0.5%
종교는 믿지만 종교인은 아님27.9%
무신론 및 비종교23.1%
기타 및 무응답15.7%


6. 경제

하바롭스크의 아무르 강 다리


하바롭스크 변경주는 러시아 극동 지역에서 가장 산업화된 지역으로, 극동 경제 지역 전체 산업 생산량의 30%를 차지한다. 기계 제작 산업은 주로 대규모 항공기 및 선박 건조 기업으로 구성된 고도로 발달된 군산복합체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다.[24] 콤소몰스크나아무레 항공생산협회는 이 지역에서 가장 성공적인 기업 중 하나이며, 수년 동안 가장 큰 납세자였다.[24]

다른 주요 산업으로는 목재 가공 및 어업과 주요 도시의 야금술이 있다. 콤소몰스크나아무레는 극동의 철강 중심지이며, 북부 사할린에서 온 파이프라인이 하바롭스크시의 석유 정제 산업에 원료를 공급한다. 아무르 분지에는 밀과 대두의 재배도 일부 이루어진다. 행정 중심지인 하바롭스크는 아무르 강과 시베리아 횡단 철도의 교차점에 위치해 있다.

이 지역의 광물 자원은 비교적 개발이 저조하다. 하바롭스크 지방에는 대규모 금광 사업(하이랜드 골드, 폴루스 골드)이 있으며, IG 인테그로 그룹(IG Integro Group)이 탐사 중인 대규모 저품위 구리 광산과 소련 산업 단지에 크게 기여했던 세계적인 주석 광산 지대가 있다. 현재 극동 주석(페스티발노예 광산)과 세이블 주석 자원(Sable Tin Resources)이 이 지역을 재개발하고 있으며, 세이블 주석 광상(소볼리노예)(Sable Tin Deposit (Sobolinoye))는 고품위의 대규모 광상으로 솔네치니 마을에서 25km 떨어져 있다.

우스리스키 대로의 하바롭스크 시 연못

6. 1. 개관



하바롭스크 변경주는 러시아 극동 지역에서 가장 산업화된 지역으로, 극동 경제 지역 전체 산업 생산량의 30%를 차지한다.

6. 2. 주요 산업

하바롭스크 변경주는 러시아 극동 지역에서 가장 산업화된 지역으로, 극동 경제 지역 전체 산업 생산량의 30%를 차지한다.[24] 기계 제작 산업은 주로 대규모 항공기 및 선박 건조 기업으로 구성된 고도로 발달된 군산복합체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다.[24] 콤소몰스크나아무레 항공생산협회는 이 지역에서 가장 성공적인 기업 중 하나이며, 수년 동안 가장 큰 납세자였다.[24]

다른 주요 산업으로는 목재 가공 및 어업과 주요 도시의 야금술이 있다. 콤소몰스크나아무레는 극동의 철강 중심지이며, 북부 사할린에서 온 파이프라인이 하바롭스크시의 석유 정제 산업에 원료를 공급한다. 아무르 분지에는 밀과 대두의 재배도 일부 이루어진다. 행정 중심지인 하바롭스크는 아무르 강과 시베리아 횡단 철도의 교차점에 위치해 있다.

이 지역의 광물 자원은 비교적 개발이 저조하다. 하바롭스크 지방에는 대규모 금광 사업(하이랜드 골드, 폴루스 골드)이 있으며, IG 인테그로 그룹(IG Integro Group)이 탐사 중인 대규모 저품위 구리 광산과 소련 산업 단지에 크게 기여했던 세계적인 주석 광산 지대가 있다. 현재 극동 주석(페스티발노예 광산)과 세이블 주석 자원(Sable Tin Resources)이 이 지역을 재개발하고 있으며, 세이블 주석 광상(소볼리노예)(Sable Tin Deposit (Sobolinoye))는 고품위의 대규모 광상으로 솔네치니 마을에서 25km 떨어져 있다.

7. 교육

하바롭스크와 콤소몰스크나아무르를 중심으로 여러 고등 교육 기관이 하바롭스크 변경주에 위치해 있다.[32][33][39][40]


  • 태평양국립대학교
  • 극동국립인문대학교
  • 극동국립의과대학교
  • 하바롭스크국립경제법대학교/Хабаров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экономики и праваru
  • 극동국립교통대학교
  • 극동국립공공행정대학교
  • 극동국립체육대학교
  • 하바롭스크국립예술문화대학교
  • 콤소몰스크나아무르스크 국립기술대학교
  • 콤소몰스크나아무르스크 국립사범대학교


그 외 전문학교 등이 있다.

8. 스포츠

플래티넘 아레나


아무르 하바롭스크는 국제 컨티넨탈 하키 리그의 프로 하키 클럽으로, 플래티넘 아레나에서 홈 경기를 치른다. FC SKA-에네르기야 하바롭스크는 러시아 축구 2부 리그인 러시아 내셔널 풋볼 리그에서 활동하는 프로 축구팀이다. SKA-네프티야닉은 자체 실내 경기장인 예로페이 아레나에서 최상위 리그인 러시아 밴디 슈퍼리그에서 활동하는 프로 밴디 클럽으로 2016-17 시즌에 처음으로 러시아 챔피언이 되었다.[34]

이 도시는 1981 밴디 세계 선수권 대회와 2015 밴디 세계 선수권 대회를 개최했다. 2015년 대회에는 당초 21개 팀이 참가할 것으로 예상되어 2014년 대회의 17개 팀보다 4개 팀이 더 많은 기록을 세울 것으로 예상되었지만, 결국 16개 팀만 참가했다. 2018 밴디 세계 선수권 대회 A조 경기는 다시 하바롭스크에서 열렸다.[35]

9. 상징



10. 자매결연 지역

경상남도효고현하바롭스크 변경주와 자매결연을 맺은 지역이다.

참조

[1] 간행물 Charter of Khabarovsk Krai, Article 12
[2] 웹사이트 Оценка численности постоянного населения по субъектам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https://rosstat.gov.[...] Federal State Statistics Service 2022-09-01
[3] 웹사이트 Численность населения Хабаровского края по муниципальным образованиям на 1 января 2018 года http://www.gks.ru/fr[...] Khabarovsk Krai Territorial Branch of the Federal State Statistics Service
[4] 간행물 Charter of Khabarovsk Krai, Article 4
[5] 참고자료 2010Census
[6] 서적 Chaussonnet
[7] 지도 Topographic map N-53; M 1: 1,000,00 http://mapn53.narod.[...]
[8] 웹사이트 Khabarovsk Krai Mountains - PeakVisor https://peakvisor.co[...]
[9] 소프트웨어 Google Earth
[10] 웹사이트 Pogoda.ru.net http://www.pogodaikl[...] 2021-11-08
[11] 웹사이트 Habarovsk/Novy (Khabarovsk) Climate Normals 1961–1990 https://www.ncei.no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21-11-02
[12] 웹사이트 climatebase.ru (1948-2011) http://climatebase.r[...] 2012-04-28
[13] 웹사이트 Weatherbase: Historical Weather for Komsomolsk-on-Amur, Russia http://www.weatherba[...] Weatherbase 2011-11-24
[14] 웹사이트 Weather and Climate-The Climate of Okhotsk http://www.pogodaikl[...] Weather and Climate (Погода и климат) 2019-12-03
[15] 웹사이트 Ohotsk (Okhotsk) Climate Normals 1961–1990 https://www.ncei.no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9-12-03
[16] 웹사이트 1689, Nerchinsk – Russia http://www.chinafore[...]
[17] 서적 Russia and China: A Theory of Inter-State Relations https://books.google[...] Routledge
[18] 웹사이트 1858, Aigun – Russia http://www.chinafore[...]
[19] 서적 Russia and China: A Theory of Inter-State Relation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 법률 Decree of October 20, 1938
[21] 논문 Asymmetries in Russian Federation Bargaining https://www.ucis.pit[...] 1996-05-29
[22] 논문 The Rise and Fall of Power-Sharing Treaties Between Center and Regions in Post-Soviet Russia http://demokratizats[...]
[23] 뉴스 Anger at Kremlin Grows in Latest Massive Russian Far East Protest https://www.themosco[...] 2020-07-25
[24] 웹사이트 KNAAPO Komsomolsk na Amure Aviation Industrial Association named after Gagarin - Russian https://www.globalse[...]
[25] 웹사이트 Национальный состав населения https://rosstat.gov.[...] Federal State Statistics Service 2022-12-30
[26] 웹사이트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registered births, deaths, marriages and divorces for January to December 2022 https://rosstat.gov.[...] 2023-02-21
[27] 웹사이트 Birth rate, mortality rate, natural increase, marriage rate, divorce rate for January to December 2022 https://rosstat.gov.[...] 2023-02-21
[28] 웹사이트 Total fertility rate https://rosstat.gov.[...] 2023-08-10
[29] 웹사이트 Демографический ежегодник России https://rosstat.gov.[...] Federal State Statistics Service of Russia (Rosstat) 2022-06-01
[30] 웹사이트 Arena: Atlas of Religions and Nationalities in Russia http://sreda.org/en/[...] Sreda
[31] 이미지 2012 Arena Atlas Religion Maps http://c2.kommersant[...] 2012-08-27
[32] 웹사이트 The Institutions of Higher Education in Khabarovsk Krai http://adm.khv.ru/in[...]
[33] 웹사이트 Independent Russian and Ukrainian Interpreters https://www.rusmoose[...]
[34] 웹사이트 Google Translate https://translate.go[...]
[35] 웹사이트 Annual Congress in Sandviken, Sweden on Jan 30 2017 2017-01-28 http://www.worldband[...] 2017-02-23
[36] 웹아카이브 Gyeongsangnam-do official website English http://english.gsnd.[...] 2008-09-21
[37] 웹사이트 Sister cities of the Hyogo Prefecture https://web.archive.[...] 2009-01-10
[38] 서적 シベリア抑留全史 原書房
[39] 웹아카이브 ハバロフスク地区の高等教育 http://adm.khv.ru/in[...] 2005-12-28
[40] 웹사이트 ハバロフスクの大学 http://www.russia-uk[...]
[41] 웹인용 Pogoda.ru.net http://www.pogodaikl[...] 2021-11-08
[42] 웹인용 Habarovsk/Novy (Khabarovsk) Climate Normals 1961–1990 https://www.ncei.no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21-11-02
[43] 웹인용 climatebase.ru (1948-2011) http://climatebase.r[...] 2012-04-28
[44] 웹인용 Weatherbase: Historical Weather for Komsomolsk-on-Amur, Russia http://www.weatherba[...] Weatherbase 2024-07-20
[45] 웹인용 Weather and Climate-The Climate of Okhotsk http://www.pogodaikl[...] Weather and Climate (Погода и климат) 2019-12-03
[46] 웹인용 Ohotsk (Okhotsk) Climate Normals 1961–1990 https://www.ncei.no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9-12-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