탁록 전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탁록 전투는 선사 시대 중국에서 황제와 치우가 이끄는 부족 간에 벌어진 전투이다. 황제의 유웅 부족은 염제의 신농 부족과 연합하여 염황 부족을 형성했고, 치우가 이끄는 구려 부족은 황허 계곡의 비옥한 땅을 두고 갈등을 겪었다. 치우는 쾌부, 삼묘 부족과 동맹을 맺어 염황 부족을 공격했고, 이에 황제는 치우와 전쟁을 벌였다. 전투에서 황제는 지남차를 사용하여 안개를 헤쳐나갔고, 결국 승리하여 치우를 죽였다. 탁록 전투 이후 황제는 탁록에 수도를 건설하고 화하 문명을 세웠으며, 치우는 전쟁의 신으로 숭배받기도 했다. 그러나 구려 부족은 묘족과 려족으로 분열되어 남쪽과 동쪽으로 이동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이 참가한 전투 - 풀럼타오 전투
풀럼타오 전투는 1885년 프랑스가 통킹 지역 점령을 위해 청나라와 벌인 전투로, 프랑스군이 패배하여 사기가 저하되고 쥘 페리 내각 붕괴 및 청불 전쟁 조기 종결에 영향을 미쳤다. - 중국이 참가한 전투 - 퉁화 사건
퉁화 사건은 1946년 2월 3일 만주국 퉁화 시에서 일본인 거류민들이 중국 공산당에 대항하여 일으킨 무장 봉기와 진압 과정에서 발생한 대규모 학살 사건으로, 일본 패전 후 혼란과 소련군 및 중국 공산당군의 만행이 배경이 되었으며 사망자 수와 사건 평가에 대한 논쟁이 있다. - 중국 신화 - 제지
중국 신화와 역사 기록에 등장하는 제지는 삼황오제 시대 인물로, 사기에는 고황제의 아들로 폭정을 펼친 것으로, 다른 기록에는 황제의 뒤를 이어 통치한 인물로 기록되어 그 통치 기간과 성격에 대한 기록이 엇갈린다. - 중국 신화 - 하나라
하나라는 중국 최초의 왕조로 전해지며 우에 의해 건국되어 세습 왕조가 되었으나 걸의 폭정으로 상나라에 멸망당했고, 실존 여부에 대한 논쟁 속에서 얼리터우 문화와의 연관성으로 재평가되지만 역사 기록의 신빙성 논란은 여전하다.
탁록 전투 - [전쟁]에 관한 문서 | |
---|---|
전투 개요 | |
분쟁 | 탁록 전투 |
날짜 | 기원전 2500년 이전 |
장소 | 오늘날의 중화인민공화국 하북성 탁록현 |
결과 | 화하족의 결정적 승리 |
교전 세력 | |
교전국 1 | [[파일:Yellowemperor.jpg|가운데|70px]]화하족 |
교전국 2 | [[파일:Chi You.gif|가운데|80px]]묘족 |
지휘관 및 병력 | |
지휘관 1 | 황제 |
지휘관 2 | 치우 |
병력 1 | 8,000 ~ 15,000 |
병력 2 | 15,000 ~ 26,000 |
사상자 | |
사상자 1 | 1,200 ~ 3,000 |
사상자 2 | 거의 전멸 |
기타 정보 | |
주석 | (중국 신화를 인용한 사마천의 기록임) |
2. 배경
황제의 유웅 부족과 염제의 신농 부족이 연합한 염황 부족은 황허를 따라 동쪽으로 확장해 나갔다. 한편, 치우가 이끄는 구려 부족은 서쪽으로 확장하며 염황 부족과 황하 유역의 비옥한 땅을 두고 갈등을 빚었다. 이로 인해 탁록 평원에서 전투가 벌어지게 되었다.
2. 1. 선사 시대 중국의 부족 갈등
황제의 유웅 부족은 관중 평원에서 세력을 떨쳤고, 반천 전투 이후 염제의 신농 부족과 합쳐졌다. 염황 부족은 합쳐진 부족으로 알려졌으며, 황허를 따라 동중국해 방향으로 뻗어 나갔다. 치우가 이끄는 구려(九黎, "9개의 '려'") 부족은 오늘날의 산둥, 허베이, 허난의 경계 근처에서 발전하여 서쪽으로 확장되었다. 염황 부족과 구려 부족은 황허 계곡의 비옥한 땅을 놓고 갈등을 겪었고, 그리하여 탁록 평원에서 싸웠다. 치우의 부족은 전쟁에서 용맹했고 무기 제작에 능했다. 쾌부 부족 및 삼묘(三苗, "3개의 '묘'") 부족과 동맹을 맺은 그들은 먼저 염제의 부족을 공격하여 황제의 땅으로 몰아넣었다. 황제는 이에 분노하여 치우와 전쟁을 벌였다.2. 2. 전투의 원인
선사 시대 중국에서 황제의 유웅 부족은 관중 평원에서 세력을 떨쳤고, 반천 전투 이후 염제의 신농 부족과 합쳐졌다. 염황 부족은 합쳐진 부족으로 알려졌으며, 황허를 따라 동중국해 방향으로 뻗어 나갔다. 치우가 이끄는 구려(九黎, "9개의 '려'") 부족은 오늘날의 산둥, 허베이, 허난의 경계 근처에서 발전하여 서쪽으로 확장되었다. 염황 부족과 구려 부족은 황허 계곡의 비옥한 땅을 놓고 갈등을 겪었고, 그리하여 탁록 평원에서 싸웠다. 치우의 부족은 전쟁에서 용맹했고 무기 제작에 능했다. 쾌부 부족 및 삼묘(三苗, "3개의 '묘'") 부족과 동맹을 맺은 그들은 먼저 염제의 부족을 공격하여 황제의 땅으로 몰아넣었다. 황제는 이에 분노하여 치우와 전쟁을 벌였다.3. 전투
전투의 세부 사항은 역사학자들에게는 대부분 신화로 여겨지지만, 만약 그러한 전투가 실제로 일어났다면 다음과 같은 사건들이 벌어졌다고 한다. 치우(蚩尤)는 72개에서 81개의 부족을 이끌고 짙은 안개 속에서 연황(炎黃) 부족에 맞섰다. 황제(黃帝)는 토템이 흑곰(熊중국어), 불곰(羆중국어)[2], 비휴(貔貅), 호랑이(貙중국어虎중국어)인 부족들을 보복으로 보냈다. 그러나 안개 때문에 초기에 여러 번 패배했다. 안개에 대항하기 위해 황제는 지남차를 사용했다. 또한 현녀(玄女) 부족의 도움으로 연황 군대는 승리했고, 치우는 허베이에서 죽었다.
3. 1. 전투의 전개
치우는 72개에서 81개의 부족을 이끌고 짙은 안개 속에서 연황 부족에 맞섰다고 전해진다. 황제는 흑곰(熊중국어), 불곰(羆중국어)[2], 비휴(貔貅), 호랑이(貙중국어虎중국어)를 토템으로 하는 부족들을 보복으로 보냈다. 그러나 안개 때문에 초기에 여러 번 패배했다. 안개에 대항하기 위해 황제는 자신이 설계하고 장인 방보(方 Bo)가 제작한, 한 방향을 일정하게 가리키는 기어 메커니즘인 지남차를 내놓았다. 또한 현녀(玄女) 부족은 뿔을 불고 북을 쳐서 적을 겁주며 연황 군대를 도왔다. 결국 연황 군대가 승리하여 치우를 허베이에서 죽였다.3. 2. 전투의 결과
탁록 전투 이후 황제는 탁록에 수도를 건설하고, 이후 화하 문명으로 알려진 농업 연맹을 세웠으며, 이 문명은 한족으로 발전하게 된다. 황제와 염제는 이 전투 덕분에 중국 문명이 번성할 수 있도록 했다는 공로를 인정받았으며, 오늘날 많은 중국인들은 자신들을 "염황의 자손"(炎黃子孫|염황자손중국어)이라고 부른다. 치우는 전투에서의 맹렬함으로 인해 고대 중국에서 전쟁의 신으로 숭배받기도 했다. 사기에 따르면, 진시황은 치우를 전쟁의 신으로 숭배했으며, 유방은 항우와의 결정적인 전투 전에 치우의 사당에서 조상 숭배를 올렸다.[1] 현대 중화인민공화국에서 신정시에 세워진 삼조당은 황제, 염제, 치우를 중국 민족의 창시자로 함께 숭배하고 있다.[1]그러나 황제의 지배에 복종하지 않은 구려 부족들은 중국 중부 지역에서 쫓겨났으며, 묘족 (苗|묘중국어)과 려족 (黎|려중국어) 두 개의 작은 분열 집단으로 갈라졌다. 승리한 화하족이 남쪽으로 확장되면서 묘족은 남서쪽으로, 려족은 남동쪽으로 이동했다. 중국 역사 과정에서 묘족과 려족은 기술과 문화가 점점 더 발전한 한족에 의해 "야만인"으로 여겨졌다. 이들 집단의 일부는 주나라 시대에 중국에 동화되었다.[1]
하지만 구려족 이주 이후 다른 버전에서는 구려족이 세 방향으로 분열되었다고 한다. 치우에게는 세 아들이 있었고, 구려의 몰락 이후 그의 맏아들은 일부 사람들을 남쪽으로, 둘째 아들은 일부 사람들을 북쪽으로 이끌었고, 막내 아들은 탁록에 남아 화하 문화에 동화되었다고 전해진다. 남쪽으로 이끌린 사람들은 삼묘국을 세웠다. 아마도 이처럼 여러 집단으로 분열된 탓에 많은 극동 민족들이 치우를 조상으로 여기며, 마찬가지로 많은 사람들이 치우의 민족이 몽족에만 국한되는지 의문을 제기한다. 환단고기를 진본으로 믿는 일부 한국인들은 치우가 한국인의 조상이라고 주장하지만, 한국의 주류 연구에서는 치우가 한국인과 아무런 관련이 없다고 본다.[1]
4. 여파
탁록 전투는 황제와 염제가 이끌던 화하족이 승리하여 중국 문명이 번성하는 계기가 되었다. 많은 중국인들은 자신들을 "염황의 자손"(炎黃子孫|염황자손중국어)이라 부르며, 치우 또한 전쟁의 신으로 숭배받았다. 사기에 따르면, 진시황과 유방도 치우에게 제사를 지냈으며, 현대 중화인민공화국 신정시에는 황제, 염제, 치우를 함께 모시는 삼조당이 있다.
4. 1. 구려 부족의 분열과 이동
황제의 지배에 복종하지 않은 구려 부족들은 중국 중부 지역에서 쫓겨났으며, 묘족(苗중국어)과 려족(黎중국어)의 두 개 분파로 갈라졌다. 승리한 화하족이 남쪽으로 확장되면서 묘족은 남서쪽으로, 려족은 남동쪽으로 이동했다. 중국 역사에서 묘족과 려족은 기술과 문화가 더 발전한 한족에 의해 "야만인"으로 여겨졌다. 이들 집단의 일부는 주나라 시대에 중국에 동화되었다.구려족 이주에 대한 다른 판본에서는 구려족이 세 방향으로 분열되었다고 한다. 치우에게는 세 아들이 있었고, 구려의 몰락 이후 그의 맏아들은 일부 사람들을 남쪽으로, 둘째 아들은 일부 사람들을 북쪽으로 이끌었고, 막내 아들은 탁록에 남아 화하 문화에 동화되었다고 전해진다. 남쪽으로 이끌린 사람들은 삼묘국을 세웠다. 이처럼 여러 집단으로 분열된 탓에 많은 극동 민족들이 치우를 조상으로 여기며, 치우의 민족이 몽족에만 국한되는지 의문을 제기하는 사람들도 많다. 환단고기를 진본으로 믿는 일부 한국인들은 치우가 한국인의 조상이라고 주장하지만, 한국의 주류 학계에서는 치우가 한국인과 아무런 관련이 없다고 본다.
4. 2. 치우에 대한 재평가
탁록 전투 이후 황제는 탁록에 수도를 건설하고, 이후 화하 문명으로 알려진 농업 연맹을 세웠으며, 이 문명은 한족으로 발전하게 된다. 황제와 염제는 이 전투 덕분에 중국 문명이 번성할 수 있도록 했다는 공로를 인정받았으며, 오늘날 많은 중국인들은 자신들을 "염황의 자손"(炎黃子孫|염황자손중국어)이라고 부른다. 치우는 전투에서의 맹렬함으로 인해 고대 중국에서 전쟁의 신으로 숭배받기도 했다. 사기에 따르면, 진시황은 치우를 전쟁의 신으로 숭배했으며, 유방은 항우와의 결정적인 전투 전에 치우의 사당에서 조상 숭배를 올렸다. 현대 중화인민공화국에서 신정시에 세워진 삼조당은 황제, 염제, 치우를 중국 민족의 창시자로 함께 숭배하고 있다.그러나 황제의 지배에 복종하지 않은 구려 부족들은 중국 중부 지역에서 쫓겨났으며, 묘족 (苗|묘중국어)과 려족 (黎|려중국어) 두 개의 작은 분열 집단으로 갈라졌다. 승리한 화하족이 남쪽으로 확장되면서 묘족은 남서쪽으로, 려족은 남동쪽으로 이동했다. 중국 역사 과정에서 묘족과 려족은 기술과 문화가 점점 더 발전한 한족에 의해 "야만인"으로 여겨졌다. 이들 집단의 일부는 주나라 시대에 중국에 동화되었다.
구려족 이주 이후 다른 버전에서는 구려족이 세 방향으로 분열되었다고도 한다. 치우에게는 세 아들이 있었고, 구려의 몰락 이후 그의 맏아들은 일부 사람들을 남쪽으로, 둘째 아들은 일부 사람들을 북쪽으로 이끌었고, 막내 아들은 탁록에 남아 화하 문화에 동화되었다고 전해진다. 남쪽으로 이끌린 사람들은 삼묘국을 세웠다. 아마도 이처럼 여러 집단으로 분열된 탓에 많은 극동 민족들이 치우를 조상으로 여기며, 마찬가지로 많은 사람들이 치우의 민족이 몽족에만 국한되는지 의문을 제기한다. 환단고기를 진본으로 믿는 일부 한국인들은 치우가 한국인의 조상이라고 주장하지만, 한국의 주류 연구에서는 치우가 한국인과 아무런 관련이 없다고 본다.
5. 신화적 요소
중국 신화 기록인 『산해경』에 따르면, 치우는 거인, 구려 부족, 악령들과 함께 탁록 평원에서 황제에게 반란을 일으켰다. 양측 모두 마법을 사용했지만, 치우는 단조된 검과 창을 가지고 있어 유리했다. 치우는 그의 능력을 사용하여 전장을 짙은 안개로 뒤덮었다. 황제의 군대는 마법 지남차의 도움으로만 안개를 헤치고 길을 찾을 수 있었다. 그는 또한 그의 딸인 여발(旱魃, 가뭄 귀신)을 사용하여 치우의 전술에 대항하고 치우의 군대에 해를 입혔다. 이후 치우는 더욱 많은 패배를 겪고 포로로 잡혔는데, 그는 응룡(應龍, lit. "반응하는 용")[11] 또는 천국으로 돌아갈 수 없었던 여발에게 살해되었다.[12]
참조
[1]
서적
Ancient civilizations: the illustrated guide to belief, mythology, and art
https://books.google[...]
Barnes & Noble
[2]
간행물
Three Ancient Words for Bear
http://www.sino-plat[...]
Sino-Platonic Papers
[3]
서적
An Etymological Dictionary of Old Chinese
University of Hawaii Press
[4]
문서
Categorized anthology of petty matters from the Qing period (清稗類鈔 - Qingbai Leichao)
https://zh.wikisourc[...]
[5]
문서
Erya
https://ctext.org/er[...]
[6]
문서
SWJZ
https://ctext.org/sh[...]
[7]
문서
Erya - Commentated
https://zh.wikisourc[...]
[8]
간행물
Ben Cao Gang Mu, Volume IX: Fowls, Domestic and Wild Animals, Human Substances
[9]
문서
Guangyun
https://ctext.org/te[...]
[10]
간행물
Ben Cao Gang Mu, Volume IX: Fowls, Domestic and Wild Animals, Human Substances
https://books.google[...]
[11]
문서
Classics of Mountains and Seas
https://ctext.org/sh[...]
[12]
문서
Classics of Mountains and Seas
https://ctext.org/sh[...]
[13]
문서
史記
[14]
서적
古代の中国
[15]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