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시아흑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시아흑곰은 검은 털과 가슴의 흰색 V자형 무늬, 옅은 갈색 주둥이를 가진 곰으로, 숲에 서식하며 잡식성이다. 몸길이는 120~180cm, 몸무게는 수컷 50~120kg, 암컷 40~70kg 정도이며, 척행성 보행을 한다. 아시아흑곰은 동아시아 지역에 분포하며, 멸종 위기에 처해 있어 여러 국가에서 보호받고 있다. 한국에서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복원 사업이 진행 중이며, 일본 문화에서 힘과 남성성의 상징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곰과 - 불곰
    불곰은 곰과에 속하는 잡식성 동물로 유럽, 아시아, 북아메리카 등지에 서식하며 다양한 먹이를 섭취하고 여러 아종으로 나뉘며, 곰아과에 속하는 다른 곰들과 계통적으로 가깝다.
  • 곰과 - 안경곰
    안경곰은 남아메리카에 서식하며 안경처럼 보이는 무늬가 특징적인 곰으로, 안데스 산맥에 주로 분포하고 서식지 파괴 등으로 멸종 위기에 처해 보전 노력이 진행 중인 취약종이다.
  • 시베리아의 포유류 - 다람쥐
    다람쥐는 등 쪽에 줄무늬가 있는 다람쥐속 설치류로, 홀로 생활하며 겨울잠을 자고 씨앗, 견과류, 곤충 등을 먹으며 맹금류 등의 먹이가 되고, 특히 한반도 서식 다람쥐는 새로운 종으로 분류될 가능성이 있으며, 유럽에서는 침입 외래종으로 지정되기도 하고 라임병을 옮길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한 동물이다.
  • 시베리아의 포유류 - 노루
    노루는 긴 목과 큰 귀를 가진 사슴과 동물로, 붉은색 또는 회색 털을 가지며, 유라시아 지역에 분포하고 삼림 지대에 서식하며 잡초를 먹고 살지만, 서식지 감소와 개체 수 변동으로 보호가 필요한 종이다.
  •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상 먹는 것이 금지되는 야생동물 - 물개
    북방털개는 북태평양에 서식하며 성적 이형을 보이는 바다사자과의 해양 포유류로, 과거 남획으로 개체 수가 급감하여 현재는 보호받고 있으며, 어류와 오징어를 주식으로 하고 번식기에는 하렘을 형성한다.
  •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상 먹는 것이 금지되는 야생동물 - 계곡산개구리
    계곡산개구리는 대한민국 산간 계곡에 서식하며 흑색 반점이 있는 연한 갈색 또는 황갈색의 몸, 2월에서 4월 사이 둥근 알 덩어리 번식, 서식지 파괴 및 환경 오염으로 인한 개체수 감소, 야생 개체 포획 및 식용 금지 등의 특징을 가진다.
아시아흑곰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브로츠와프 동물원의 아시아흑곰
폴란드 브로츠와프 동물원에서
학명Ursus thibetanus
명명자조르주 퀴비에, 1823
이명Selenarctos thibetanus
2016년 아시아흑곰 분포도
2016년 아시아흑곰 분포
멸종 위기 등급 (IUCN)취약종
멸종 위기 등급 (CITES)부속서 I
화석 기록초기 플라이오세 - 현재
아종7, 본문 참고
영어 이름Asian black bear (아시아흑곰)
Asiatic black bear (아시아흑곰)
Himalayan black bear (히말라야흑곰)
Moon bear (달곰)
일본어 이름ツキノワグマ (쓰키노와구마)
한국어 이름아시아흑곰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포유강
식육목
곰과
곰속
아시아흑곰
분포
분포 지역아시아
서식지숲, 산림 지대
특징
외형가슴에 초승달 모양의 흰색 무늬가 있음
몸길이120 ~ 190cm
몸무게100 ~ 200kg
생태
먹이잡식성 (과일, 견과류, 곤충, 작은 동물 등)
행동주로 야행성이지만, 낮에도 활동할 수 있음
번식겨울잠 동안 출산
보전 상태
위협 요인서식지 파괴, 밀렵, 웅담 채취
보호 노력서식지 보전, 밀렵 단속, 국제 거래 규제

2. 형태

몸길이는 120cm에서 180cm이다.[77][78] 꼬리 길이는 6 - 10.5cm이다.[78] 체중은 수컷 50 - 120kg[76], 암컷 40 - 70kg이다.[78] 어깨는 융기되지 않고 등이 더 높다.[78] 전신의 털은 검은색이지만 적갈색 개체도 있다.[76][77][78] 가슴에는 초승달 모양이나 알파벳 V자 모양의 흰 반점이 있는데, 한국어 이름과 일본어 이름의 유래가 되었다.[77][78] 한편, 이 반점이 없는 개체도 있다.[81]

보행 시에는 발가락에서 발뒤꿈치까지 땅에 닿는 척행으로 사람과 같은 유형이다. 이 때문에 뒷다리로 일어섰을 때에도 비교적 안정적이다. 소화 기관은 육식 동물과 유사하며, 위는 하나이다. 눈과 귓바퀴는 소형이다.[78] 젖꼭지 수는 3쌍이다.[77]

3. 생태

아시아흑곰은 숲에 서식하며, 보통 때는 낮에 활동하지만 계절이나 사람의 활동에 따라 생활 리듬을 바꾸기도 한다.[83][123][84]

주로 식물의 잎, 과실, 종자 등을 먹는 잡식성이지만, 초여름에는 육식 성향이 강해진다.[86] 동물성 먹이로는 곤충, 특히 개미를 많이 먹는다.[86][87] 여름철 침엽수 인공림에서 곰이 자주 발견되는 이유는 숲 안에 버려진 간벌재 등에 둥지를 튼 개미 때문이다.[88] 늦여름부터 가을까지는 도토리가 주식인데, 도토리의 탄닌은 반달가슴곰의 침으로 중화된다.[89] 일본 반달가슴곰의 먹이는 하시모토・다카쓰키(1997)의 총설에 정리되어 있다.[90] 일본사슴, 일본원숭이 등을 잡아먹기도 하며, 조류와 게도 먹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92] 먹다 남은 먹이는 흙으로 덮어 숨겨두었다가 나중에 파먹는데,[93] 이는 북극곰을 제외한 많은 곰에게서 나타나는 습성이다.

반달가슴곰의 식성은 개체마다 차이가 크다.[94] 식성은 관찰, 분변 분석, 카메라, 체내 조직의 안정 동위 원소 비율 등으로 분석한다.[96][97]

나무를 잘 타서 나뭇가지 끝의 과실을 먹고, 꺾인 가지를 쌓아 '곰 선반'을 만들기도 한다.[101]

분뇨는 설사 상태가 아니면 반죽 형태이며, 먹이에 따라 색이 달라진다. 곰의 소화 기관은 육식 동물과 비슷하여 식물성 먹이 소화 능력은 떨어진다. 동면 중에는 '멈춤 똥'이라 불리는 배설을 하지 않는다. 동면 중에도 근력 저하가 거의 없다는 점이 연구되고 있다.[105]

열매를 먹는 아시아흑곰

3. 1. 번식

아시아흑곰은 태생으로 번식한다. 시베리아 개체군은 6~7월에 교미하고 1월 중순에 출산한다. 임신한 암컷의 자궁 경각은 10월까지 15mm~22mm로 자라고, 12월 말에는 배아 무게가 75g이 된다.[21] 보통 3세에 첫 새끼를 낳는다.[7]

임신한 암컷은 200~240일 동안 동굴이나 속이 빈 나무에서 새끼를 낳는다. 새끼는 태어날 때 무게가 13온스(약 368.5g)이며, 생후 4일이면 걷기 시작하고 3일 후에 눈을 뜬다.[34] 갓 태어난 아시아흑곰 새끼의 두개골은 성체 말레이곰의 두개골과 매우 유사하다.[21] 한 배에 1~4마리의 새끼를 낳는데, 평균 2마리이다.[34] 새끼는 성장 속도가 느려 5월까지 몸무게가 2.5kg밖에 되지 않는다.[21] 104~130주 동안 젖을 먹고, 24~36개월이 지나면 독립한다. 어미는 보통 2~3년 간격을 두고 다음 새끼를 낳는다.[34] 야생에서의 평균 수명은 25년이며, 사육 상태에서 가장 오래 산 개체는 44세에 죽었다.[19]

44일 된 아시아흑곰


어미 곰이 새끼에게 젖을 먹이는 모습

4. 분포

아시아흑곰은 동아시아, 인도차이나 반도 일대 및 히말라야 산맥을 따라 중동 동부의 산악 지대에 분포한다. 인도 아대륙의 대부분과 동남아시아의 도서 지역에는 분포하지 않는다. 또한 중국의 베이징 주변과 캄보디아 일대는 분포하지 않는데, 이는 인간 활동이나 내전의 영향으로 보인다. 분포역의 동쪽 끝은 러시아 극동일본이며, 서쪽 끝은 아프가니스탄이란 국경 부근으로 알려져 있다.[1] 기후 구분에 따르면 열대에서 아한대까지 분포한다.

일본에서는 혼슈 이남에 분포하며, 홋카이도규슈에는 분포하지 않는다.

5. 아종

180 px
타이완흑곰타이완다른 아종과 달리 목털이 두껍지 않다.[9]Ursus thibetanus gedrosianus 블랜포드, 1877
180 px
발루치스탄흑곰남부 발루치스탄[10]상대적으로 짧고 거친 털을 가진 작은 아종으로, 검은색보다는 붉은 갈색을 띠는 경우가 많다.[9][10]Ursus thibetanus japonicus 슐레겔, 1857
180 px
일본흑곰혼슈시코쿠. 큐슈에서는 멸종되었다.성체 수컷은 60kg, 성체 암컷은 40kg의 작은 아종이다. 평균 몸길이는 1.1m이다.[7] 다른 아종과 달리 목털이 두껍지 않고 주둥이가 더 어둡다.[9]Ursus thibetanus laniger 포코크, 1932
180 px
히말라야흑곰히말라야 산맥[10]더 길고 두꺼운 털과 더 작고 하얀 가슴 무늬로 U. t. thibetanus와 구별된다.[10] 여름 동안, 히말라야흑곰은 네팔, 중국, 시베리아, 티베트의 3000m 고도의 따뜻한 지역에 서식한다. 겨울에는 1500m까지 내려온다. 평균적으로 코부터 꼬리까지 1.4m이며, 몸무게는 90kg이지만, 겨울잠을 자기 위해 살을 찌우는 가을에는 181kg까지 나갈 수 있다.[11]Ursus thibetanus mupinensis 에르, 1901
인도차이나흑곰인도차이나털색이 밝고, U. t. laniger와 유사하다.Ursus thibetanus thibetanus 퀴비에, 1823
180 px
티베트흑곰아삼, 네팔, 미얀마, 머귀, 태국 및 안남[10]언더울이 거의 또는 전혀 없는 짧고 얇은 털을 가지고 있어 U. t. laniger와 구별된다.[10]Ursus thibetanus ussuricus 에르, 1901우수리흑곰남부 시베리아, 중국 북동부 및 한반도가장 큰 아종[21][9]



캄보디아에서는 야생에서 말레이곰과 교잡한 예가 보고되고 있다.[72]

6. 계통 분류

다음은 곰과의 계통 분류이다.[161] 곰과 내에서 아시아흑곰은 아메리카흑곰과 가장 가까운 친척이며, 300만 년 전에 분화된 것으로 추정된다.[4][5]

{| class="wikitable"

|-

! 곰과

|-

|

{| class="wikitable"

|-

! 판다속

|-

| 대왕판다

|-

! 안경곰

|-

| 안경곰

|-

! 곰아과

|-

| 느림보곰

|-

|

태양곰
아시아흑곰
아메리카흑곰



|-

!

|-

| † 동굴곰

|-

!

|-

| 불곰

|-

| 북극곰

|}

|}

아시아흑곰은 mtDNA 연구를 통해 아메리카흑곰과 자매 분류군으로 밝혀졌으며, 이들은 다른 곰 종보다 서로 더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7]

7. 인간과의 관계

대한민국에서 아시아흑곰은 지리산 북쪽 1,500m 이상 고산 지역의 활엽수림에 주로 서식한다. 국립공원공단은 2018년 4월 15일, 어미 곰 8마리가 새끼 11마리를 낳았다고 발표했다. 야생 및 전라남도 구례군의 자연 적응 훈련 센터에서 어미 곰들이 새끼를 낳았다. 2018년 9월, 국립공원공단이 자연 적응 훈련 센터에서 태어난 새끼 3마리를 방사하여 지리산 야생 아시아흑곰 개체 수는 59마리가 되었다. 이로써 아시아흑곰의 최소 생존 개체 수인 50마리 복원 목표를 2년 앞당겨 2020년까지 달성하게 되었다. 이후 목표는 지리산 아시아흑곰의 서식지를 확대하고 개선하며 유전적 다양성을 증진하는 것이다.[31]

토리이 키요마수 1세의 목판화(c. 1700년, 호놀룰루 미술 아카데미): 킨토키가 아시아흑곰과 레슬링하는 모습

7. 1. 대한민국

과거 한반도 전역에 아시아흑곰이 서식했으나, 일제강점기의 해수구제(害獸驅除) 사업[162]과 서식지 파괴, 밀렵 등으로 개체 수가 급감하였다. 1982년 11월 16일 천연기념물 제329호로 지정되었고,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으로 보호받고 있다.

1983년 설악산에서 밀렵꾼에게 총을 맞은 채 발견되어 며칠 후 죽은 아시아흑곰을 마지막으로 토종 아시아흑곰은 공식적으로 보고되지 않았다. 그러나 지리산에서는 1990년대까지 아시아흑곰 목격담이 꾸준히 들려왔고, 나무에 난 곰 발톱 흔적 등 서식 흔적이 남아 있었다. 2000년 MBC 탐사팀이 지리산 곳곳에 무인 카메라를 설치하여 탐사한 결과, 아시아흑곰 영상이 포착되어 야생 아시아흑곰의 존재가 확인되면서 복원 사업이 추진되었다.

2001년부터 국립공원공단을 중심으로 지리산에서 종 복원 사업이 진행되었다. 2001년 9월에 아시아흑곰 네 마리를 방사했으나, 한 마리는 사망하고 세 마리는 야생에 적응하지 못해 회수되었다. 2004년 10월 1일에는 러시아 연해주에서 들여온 곰 여섯 마리를 방사했다. 2005년 4월 14일 평양 조선중앙동물원에서 서울대공원으로 들여온 곰 여덟 마리는 같은 해 7월 1일 지리산에 방사되었고, 같은 해 9월 러시아에서 들여온 아시아흑곰 6마리가 10월 14일 추가로 방사되었다. 2004년과 2005년 사이에 총 스무 마리의 곰이 지리산에 방사되었으며, 그중 네 마리는 죽고, 네 마리는 회수되었으며, 한 마리는 위치 확인이 되지 않았다.

2007년 러시아 연해주에서 아시아흑곰을 들여와 네 마리를 추가로 방사했다. 2009년 3월 8일 국립공원공단은 지리산에 방사된 아시아흑곰 암컷 두 마리가 야생에서 짝짓기에 성공해 각각 새끼 한 마리씩을 낳았다고 밝혔다.[163] 이는 10년 복원 사업의 결실이었다. 아시아흑곰은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야생동물 1급, 천연기념물 329호이며 '멸종위기에 처한 동식물의 국제거래에 관한 협약 (CITES)'에도 등재된 국제적 멸종위기종이다.

환경부는 2004년부터 4차례에 걸쳐 북한과 러시아 연해주에서 고아 아시아흑곰 새끼 27마리를 들여와 지리산에 풀었다. 그중 12마리는 적응에 실패해 돌아오거나 폐사했지만, 암컷 9마리와 수컷 6마리는 야생에 적응했다. 2018년 4월에는 어미 8마리가 총 11마리의 새끼를 낳아 지리산에 서식하는 아시아흑곰의 개체 수가 56마리로 늘어났다.[164] 당초 정부의 목표는 2020년까지 50마리의 개체 수를 확보하는 것이었는데, 2년 앞서 달성한 것이다. 2019년 5월에는 아시아흑곰 인공수정에 성공하여 총 개체 수는 64마리로 늘어났다.[165]

복원 사업은 성공했지만, 서식지 문제가 발생했다. 2019년 말 기준으로 지리산 일대에 서식하는 아시아흑곰의 개체 수는 70마리 가까이로 불어났는데, 지리산이 최대로 수용할 수 있는 개체 수는 80마리가 채 안 된다. 서식지가 포화 상태이기에 다른 산으로 서식지를 넓혀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지리산 인근의 전라북도 장수군 덕유산이나 경상남도 거창군 삼봉산 일대에서 아시아흑곰이 목격되는 등 지리산을 이탈하는 아시아흑곰들이 확인되고 있다.[166] 특히 KM-53이라는 코드명으로 불리는 2015년 생 수컷 아시아흑곰은 3차례나 지리산을 탈출하여 경상북도 김천시 수도산으로 간 사례가 있었으며, 2018년에 수도산에 방사되었다.[167] KM-53은 2019년 수도산에서 40km 정도 떨어진 경상북도 구미시 금오산으로 이동한 것이 확인되었다.[168] 환경부2018년 5월에 지리산 아시아흑곰 복원 방향을 ‘번식’에서 ‘서식지 관리’로 전환한다고 밝혔다.[169]

2019년 5월 비무장지대에서 아시아흑곰 서식이 확인되었다. 2018년 10월 비무장지대 DMZ 무인 카메라에 새끼 아시아흑곰 1마리가 개울을 건너는 장면이 찍혀 알려졌다. 2005년 5월 동아일보 기사[170]에서 최전방 부대 복무 병사들이 아시아흑곰을 비무장지대에서 목격했다고 증언했으나, 14년 만에 사진으로 입증되었다. 지리산과 비무장지대의 거리를 고려할 때, 이곳에 서식하는 아시아흑곰은 지리산에서 넘어온 종이 아니라 애초부터 이곳에 살았던 개체일 가능성이 높다.[171]

2020년 1월 강원도 인제군 서화면 대암산·향로봉 일대에서 새끼를 데리고 있는 어미 아시아흑곰의 발자국이 발견되었다. 이들은 지리산에서 이동했을 가능성이 거의 없어, 지난해 비무장지대 안에서 사진이 촬영된 아시아흑곰과 마찬가지로 독립적인 야생 개체로 추정된다. 한상훈 한반도야생동물연구소장은“이번에 발자국을 남긴 곰 가족 2마리에 새끼 형제 곰과 수컷 어미를 합쳐 최대 4마리의 아시아흑곰이 사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고 설명하였다. 국립생태원이 비무장지대 안에서 확인한 아시아흑곰은 태어난 지 8∼9개월의 새끼여서, 그곳에도 어미와 형제 곰을 포함해 3∼4가 서식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서화면 일대의 전체 아시아흑곰 개체수는 직접 확인된 것만 3마리, 최대 8마리라고 할 수 있다고 한다.[172] 현재까지 대한민국 내에서 아시아흑곰의 서식이 확인된 곳은 지리산과 덕유산 그리고 강원도 북부의 산간 지방 등이다.

7. 2. 일본

일본에서 곰은 힘과 남성적인 것을 상징하는 동물로 여겨진다. 킨타로 전설에서는 킨토키가 아시아흑곰과 레슬링을 하는 모습이 묘사되기도 하는 등, 곰은 일본 민속 문화와 깊은 관련을 맺고 있다.[24]

불교의 영향으로 동물을 죽이는 것이 금지되면서, 일본인들은 곰 사냥에 대한 다양한 전략을 통해 타협점을 찾았다. 나가노현 기소군 지역에서는 곰 사냥을 전면 금지하기도 했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곰의 영혼을 달래는 의식을 개발하기도 했다. 아키타현의 마타기 사냥꾼들은 가슴에 흰색 무늬가 없는 곰을 신성한 존재로 여겼으며, 이러한 곰이 사살되면 사냥을 중단하기도 했다.[24]

일본에서 곰 사냥은 종종 '쿠마 타이지'(kuma taiji, kuma taiji|くま たいじ|곰 정복일본어)라고 불리는데, 이는 괴물이나 악마를 퇴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타이지'(taiji, taiji|たいじ일본어)라는 단어에서 유래했다.[53] 마타기들은 곰을 사냥하기 전 의식을 치렀으며, 사냥 후에는 곰의 영혼을 위해 기도했다.[24]

과거에는 곰고기와 웅담을 얻기 위해 곰 사냥이 이루어졌으나, 현재는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는 사냥이 금지되어 있다. 하지만 농작물이나 인명 피해가 발생하면 유해 조수로 지정되어 포획되기도 한다.

최근에는 멸종 위기에 놓인 아시아흑곰을 보호하기 위한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일부 지역에서는 곰을 포획했다가 학습시킨 후 다시 방생하는 '학습 방생'을 통해 인간과 곰의 공존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7. 3. 기타 국가

아시아흑곰은 주행성이지만, 사람들의 거주지 근처에서는 야행성으로 변한다. 이들은 바위와 나무를 잘 타며, 먹이를 구하거나 휴식을 취하고, 햇볕을 쬐거나 적을 피하고, 겨울잠을 자기 위해 나무 위로 올라간다. 아시아흑곰은 수명 중 절반을 나무에서 보내는 가장 큰 수목형 포유류 중 하나이다.[7] 러시아 극동의 우수리 지역에서는 최대 15%의 시간을 나무에서 보낼 수 있다.[21]

아시아흑곰은 분포역 대부분의 지역에서 겨울잠을 자지 않지만, 더 추운 북부 지역에서는 겨울잠을 자거나 낮은 고도로 이동한다. 거의 모든 임신한 암컷은 겨울잠을 잔다. 10월 중순에 겨울잠을 위한 굴을 준비하며, 11월부터 3월까지 잠을 잔다. 굴은 땅에서 파낸 빈 나무(지상 60피트), 동굴 또는 구멍, 속이 빈 통나무, 또는 가파르고 산이 많으며 햇볕이 잘 드는 경사면일 수 있다.[34]

아시아흑곰은 으르렁거리는 소리, 칭얼거리는 소리, 포효하는 소리 등 다양한 소리를 낸다.[36]

7. 4. 상징

동아시아와 러시아에서는 불곰이나 호랑이, 늑대와 같은 대형 육식 동물을 포함하여 곰은 힘과 남성적인 것의 상징으로 여겨진다.[110] 일본에서는 킨타로가 아시가라 산에서 곰과 씨름하여 이겼다는 전설이 있다.[115][116] 인도와 네팔의 일부 지역에서는 곰의 등에 올라타면 병이 낫는다는 신앙이 전해진다.[114]

7. 5. 식용・약용

곰고기는 이른바 "곰고기"로 식용하며, 일본에서도 불곰과 함께 옛날부터 사냥해 왔다. 벼농사가 늦게 보급되어 수렵 채집 문화가 비교적 늦게까지 남아있던 북일본을 중심으로 현재도 곰고기를 먹고 있다. 곰고기는 야생 동물이므로 개체의 상태뿐만 아니라, 사냥 후 피를 빼고 해체하여 내장을 처리하는 과정의 속도와 정확성이 맛을 좌우한다. 곰고기의 제철은 늦가을로, 겨울잠에 들기 전 먹이를 충분히 먹어 지방이 많을 때이다.

선모충 등의 기생충이 있어 날것으로 먹으면 감염될 수 있으므로, 불완전하게 가열하여 섭취하는 것은 피해야 한다.[117][118] 곰의 내장에는 카드뮴이나 수치가 높은 개체가 종종 발견되므로, 생물 농축에 의한 중금속 오염에도 주의해야 한다.[119]

일본에서는 곰고기를 주로 냄비 요리나 조림으로 먹는다. 중국에는 곰 발바닥을 오랫동안 끓인 "웅장"이라는 요리가 있다. 아메리카 원주민도 곰을 식용으로 사용했다.

곰의 쓸개는 "웅담"이라 하여 약용으로 쓰인다.[72] 웅담의 약효 성분은 담즙산의 일종인 우르소데옥시콜산인데, 화학적으로 합성할 수 있고[120] 대체품도 있지만 여전히 귀하게 여겨진다.

7. 6. 사육

각지의 동물원에서 사육되는 아시아흑곰은 재주를 가르쳐 서커스나 구경거리로 사용되기도 한다.[121] 유럽에서 인도에 걸쳐 곰 조련사들이 곰을 이용해 이러한 문화를 자주 보여주었다.

아시아흑곰은 사육 환경에서 뛰어난 학습 능력을 보여 서커스 공연에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종 중 하나이다.[68] 게리 브라운에 따르면, 아시아흑곰은 마치 박수를 즐기는 것처럼 보이며, 웃음과 관심을 얻기 위해 의도적으로 정해진 위치에 늦게 움직이는 등 공연하는 곰들의 코미디언과 같다고 한다.[68]

, 옥수수, 고구마, 카사바, 호박, 잘 익은 과일, 동물성 지방 및 단 음식을 먹여 쉽게 사육할 수 있으며,[7] 특히 중국에서는 곰의 담즙을 짜내는 것이 빠른 번영으로 이어진다는 믿음 때문에 아시아흑곰 사육이 인기 있다.[7] 베트남에서도 아시아흑곰은 애완동물로 인기가 있다.[7]

일본에서는 2021년 시점에서 곰과(クマ科) 단위로 특정 동물로 지정되어 있으며, 2019년 6월에는 애완 목적의 사육이 금지되었다 (2020년 6월 시행).[121]

아이누는 겨울잠에서 깨어난 불곰 어미와 새끼를 발견하면 어미 곰은 죽이지만, 새끼 곰은 데려가 제사(이오만테)의 희생물로 잠시 키웠다고 한다. 이 풍습은 홋카이도 외에 사할린과 러시아 극동에서도 행해졌지만, 반달가슴곰 서식지가 되는 혼슈 이남에서는 알려져 있지 않다.[122]

7. 7. 수해

농업, 임업, 수산업을 중심으로 일본뿐만 아니라 세계 각지에서 아시아흑곰으로 인한 물적, 인명 피해가 보고되고 있다.

농업 분야에서는 밭이나 과수원의 작물을 갉아먹는 피해 외에도, 꿀을 노리고 온 곰이 양봉 꿀통을 부수는 피해가 발생한다. 일본에서 곰 피해가 특히 많은 농작물은 사과, 밤, 감 등의 과수와 사료용 옥수수 등이다. 이와테현에서 관찰된 사례를 보면, 사과가 익어가는 시기가 되면 곰은 생활 리듬을 주행성에서 야행성으로 바꾸어 사람이 적은 야간에 과수원에 침입한다.[123]

임업 분야에서는 나무껍질이 벗겨지는 피해가 크다. 피해 시기는 초여름에 많고, 성장이 좋은 큰 나무의 껍질을 벗기는 것을 선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나무껍질이 벗겨지면 상처 부위에서 부패가 진행된다.[124] 나무껍질을 벗기는 이유는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먹이가 부족할 때 이러한 현상이 자주 발생한다는 보고가 있다.[125] 아메리카흑곰 역시 초여름에 비슷한 방식으로 침엽수를 중심으로 피해를 입히는데, 이에 대한 대책으로 먹이를 공급하는 시험이 이루어지고 있다.[126]

홋카이도에 서식하는 불곰은 나무껍질이 벗겨지는 피해는 확인되지 않았지만, 줄기에 발톱을 세우거나 등을 비비는 습성이 있다. 주로 피해를 입는 수종은 침엽수인 사할린가문비나무(소나무과구상나무속)이다.[127][128] 한편, 일본에서는 사슴이 같은 방식으로 나무껍질을 벗기는 것이 문제가 되고 있다.

수산업 분야에서는 양식 어류에 피해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가미코치의 산책로에 설치된 "곰 방울"(관광객이 곰 피해를 피하기 위해 울리는, 곰을 쫓는 방울)


인명 피해는 농업, 임업, 수산업 종사자 외에도 등산이나 산나물 채취를 위해 산에 들어간 사람, 산기슭의 취락에 사는 사람들에게서 발생한다. 인도 시킴주에서는 2008년부터 2013년까지 최소 25명이 아시아흑곰에게 습격당해 사망했다.[72] 곰에 의한 인명 피해는 날카로운 앞발톱과 어금니 때문에 발생한다. 곰은 얼굴을 공격하는 경우가 많아, 피해자는 안구와 코를 다치기 쉽다.[129][130][131] 인명 피해나 심각한 물적 피해를 입힌 곰은 유해 조수로 지정되어 사냥총이나 덫으로 포획 및 구제된다.

일례로, 2004년 일본 전국에서 109명(사망자 2명 포함), 2006년 145명(사망자 3명 포함), 2010년 147명(사망자 2명 포함)의 피해자가 보고되었다.[132] 아키타현가즈노시에서는 2016년 5월 하순부터 6월까지 짧은 기간 동안 7명이 피해를 입었고, 그 중 4명이 사망하고 시체가 훼손된 "[토와리야마 곰 습격 사건"이 발생했다.[133] 이는 일본에서 단일 곰에 의한 짐승 피해 중 최근 100년 동안 가장 많은 사망자를 낸 사건이다(일본 내 기록상 3번째). 다이쇼 시대 홋카이도의 산케이베쓰 불곰 사건과 같이 거대하고 육식성이 강하며 성격이 거친 에조불곰에 의한 짐승 피해와 사망 사례는 잘 알려져 있지만, 이와 비교해 체격이 작고 약하다고 여겨지는 반달가슴곰으로도 이 정도의 희생이 발생했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곰의 공격은 산림 내부는 물론, 산림과 인간 거주 지역의 경계 부근에서 자주 발생한다. 곰은 등을 보이며 도망치는 대상을 쫓는 습성이 있으므로, 곰과 마주쳤을 때는 조용히 뒷걸음질해야 한다.[134]

7. 8. 보호 활동

아시아흑곰은 대형 포유류이며 먹이 사슬의 최상위에 있기 때문에 귀중한 개체군을 중심으로 보호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식용이나 모피를 목적으로 한 남획, 구제 등으로 인해 서식 개체 수가 감소하고 있다.[72][78] 국제적인 상거래는 금지되어 있다.[78] 1977년에는 아종인 발로치스탄반달가슴곰이, 1979년에는 종 단위로 멸종 위기에 처한 야생 동식물 종의 국제 거래에 관한 협약(CITES, 워싱턴 조약) 부속서 I에 게재되었다.[74]

일본 국내 개체 수는 10,000마리 전후로 추정되었다. 행정에서는 폐기 과수, 쓰레기 등의 철거를 강력하게 지도하고 있으며, 감나무 등의 유인 과수를 조기에 제거하고, 연화탄, 굉음탄 등을 이용한 쫓아내기 체제와 덫, 구제대를 이용한 경계 및 포획 체제를 정비하는 것이 향후 과제가 되고 있다.[150]

참조

[1] IUCN Ursus thibetanus 2022-01-16
[2] 서적 Search for the golden moon bear: science and adventure in Southeast Asia https://archive.org/[...] Simon & Schuster
[3] 논문 Aspects of evolution and adaptation in American black bears (Ursus americanus Pallas) and brown and grizzly bears (U. arctos Linne.) of North America http://www.bearbiolo[...] 2010-12-03
[4] 서적 The Encyclopedia of Mammals: 1 Allen & Unwin
[5] 서적 Bears of the World Voyageur Press
[6] 논문 Early Pliocene Bear Ursus thibetanus (Mammalia, Carnivora) from Priozernoe Locality in the Dniester Basin (Moldova Republic)
[7] 간행물 Bears: Status Survey and Conservation Action Plan IUCN
[8] 학술지 Genetic Structure of the Asiatic Black Bear in Japan Using Mitochondrial DNA Analysis
[9] 웹사이트 Ursus thibetanus (G. Cuvier, 1823) http://www.cites.org[...]
[10] 서적 The Fauna of British India, Including Ceylon and Burma: Mammalia Volume 2 https://archive.org/[...] Taylor and Francis
[11] 웹사이트 Himalayan Black Bear http://www.bearsofth[...] Bears Of The World 2015-03-20
[12] 논문 Middle Pleistocene Ursus thibetanus (Mammalia, Carnivora) from Kudaro Caves in the Caucasus http://www.zin.ru/jo[...] 2013-05-07
[13] 웹사이트 Hybrid Bears http://www.messybeas[...] 2010-12-26
[14] 웹사이트 Historical Review on the Spectacled Bear Captive Breeding in Venezuela http://www.cecalc.ul[...] 2013-05-27
[15] 학술지 An apparent hybrid wild bear from Cambodia https://web.archive.[...] 2009-10-26
[16] 웹사이트 Hybrid Asiatic black bear/brown bear ("Emma") https://harmonyfund.[...] 2018-09-24
[17] 서적 Bears, Majestic Creatures of the Wild https://web.archive.[...] Rodale Press 2014-12-21
[18] 웹사이트 Asiatic Black Bear https://www.mdyzoo.c[...] Yadanarbon Zoo 2022-11-12
[19] 문서 Bear Anatomy and Physiology
[20] 서적 The New Encyclopedia of Mammals Oxford University Press
[21] 서적 Mlekopitajuščie Sovetskogo Soiuza. Moskva: Vysšaia Škola Smithsonian Institution and the National Science Foundation
[22] 논문 Comparative morphology of the muscles of mastication in the giant panda and the Asiatic black bear
[23] 웹사이트 Asiatic Black Bear Ursus thibetanus, Denver Zoo http://www.denverzoo[...] 2016-03-04
[24] 논문 The Moon Bear as a symbol of Yama: Its significance in the folklore and upland hunting in Japan http://nirc.nanzan-u[...] 2014-10-25
[25] 서적 Wild sports of the world: a boy's book of natural history and adventure https://books.google[...] S.O. Beeton
[26] 웹사이트 Bear Species @ Great Bear Foundation http://greatbear.org[...] 2011-04-13
[27] 학술지 Pleistocene Asian black bear (Ursus thibetanus Cuvier, 1823) in the Iberian Peninsula: new evidence and a complete review https://www.scienced[...] 2024-01-15
[28] 웹사이트 クマ類の保護管理に関する レポート http://www.env.go.jp[...] 2016-06-26
[29] 웹사이트 Baseline Survey Report of Bears in Bangladesh. 2008–2010 https://web.archive.[...] 2015-12-20
[30] 학술지 Historical and Present Status of the Asiatic Black Bear in Northeast China http://www.bearbiolo[...]
[31] 뉴스 지리산 반달가슴곰 50마리 넘었다...올봄 11마리 출산 http://www.knps.or.k[...] Korea National Park Service Report 2018-06-12
[32] 웹사이트 Formosan Black Bear http://www.bearconse[...] 2023-02-11
[33] 뉴스 黃美秀與台灣黑熊 愛的三部曲 http://www.tanews.or[...] 台灣動物新聞網 2019-03-17
[34] 문서 Bear Behavior and Activities
[35] 학술지 Denning ecology of brown bears and Asiatic black bears in the Russian Far East https://ghostarchive[...] 2009-09-17
[36] 웹사이트 Detailed Physiology Notes with literature reports for the Asiatic black bear – Ursus thibetanus http://wildlife1.wil[...] 2011-09-26
[37] 웹사이트 Ursus thibetanus (Asiatic black bear) https://animaldivers[...] 2023-01-11
[38] 서적 Carnivore Behavior, Ecology, and Evolution https://web.archive.[...] Comstock Pub. Associates 2009-10-13
[39] 서적 Primate anti-predator strategies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40] 문서 Brown
[41] 논문 Burdocas taxicolor http://www.science.s[...] 2012-07-10
[42] 논문 Ecology of the Asiatic black bear and people-bear interactions in Yushan National Park, Taiwan University of Minnesota
[43] 서적 Asiatic black bear, Selenarctos thibetanus Cuvier 1823, Mammalia, Carnivora, Ursidae CRC Press
[44] 서적 Wanderings of a naturalist in India: the western Himalayas, and Cashmere Edmonston and Douglas
[45] 서적 Call of the Tiger Read Books
[46] 서적 Amur tiger Russian Nature Press
[47] 서적 The World of the Tiger Cassel & Company
[48] 뉴스 Himalayan bear killed by tiger: Is it effect of climate change on habitat? http://www.kuenselon[...] Kuenselonline.com 2011-09-26
[49] 서적 Mlekopitajuščie Sovetskogo Soiuza. Moskva: Vysšaia Škola Smithsonian Institution and the National Science Foundation
[50] 웹사이트 천연기념물 반달가슴곰 http://www.heritag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1982-11-20
[51] 웹사이트 Asian Animal Protection Network http://www.aapn.org/[...] 2011-09-26
[52] 뉴스 Vietnamese urge Koreans not to travel for bear bile http://joongangdaily[...] 2009-10-28
[53] 서적 Natural Enemies: People-Wildlife conflicts in Anthropological Perspective Routledge
[54] 웹사이트 ENVIS Centre on Conservation of Ecological Heritage and Sacred Sites of India http://www.ecoherita[...] 2011-09-26
[55] 서적 Natural History of the Mammalia of India and Ceylon http://www.gutenberg[...] Thacker, Spink and Co
[56] 서적 The living animals of the world; a popular natural history with one thousand illustrations. Volume 1: Mammals https://archive.org/[...] Dodd, Mead and Company
[57] 뉴스 Bear kills militants in Kashmir http://news.bbc.co.u[...] 2010-04-25
[58] 논문 Status of Asiatic black bears in protected areas of Nepal and the effects of political turmoil https://web.archive.[...] 2009-09-17
[59] 뉴스 Bear mauls nine at Takayama bus terminal https://www.japantim[...] 2018-04-16
[60] 뉴스 Bear attacks tourists in Japan http://news.bbc.co.u[...] 2018-04-16
[61] 서적 A Book of Man Eaters Hutchinson & Co. Ltd.
[62] 뉴스 Warning after four people killed in bear attacks in Japan https://www.theguard[...] 2018-04-16
[63] 뉴스 Japan safari park worker killed in bear attack https://www.theguard[...] 2018-04-16
[64] 간행물 The Intellectual observer: review of natural history, microscopic research, and recreative science Groombridge.
[65] 논문 Human-wildlife conflict in the Kingdom of Bhutan: Patterns of livestock predation by large mammalian carnivores
[66] 논문 Human casualties and livestock depredation by black and brown bears in the Indian Himalaya, 1989–98 http://www.bearbiolo[...] Wildlife Institute of India 2011-09-26
[67] 문서 Brown
[68] 문서 Brown
[69] 서적 The Great and Small Game of India, Burma, and Tibet https://books.google[...] Asian Educational Services
[70] 서적 The rifle in Cashmere: a narrative of shooting expeditions in Ladak, Cashmere, Punjaub, etc., with advice on travelling, shooting, and stalking: to which are added notes on army reform and Indian politics https://archive.org/[...] Smith, Elder
[71] 논문 Bear bile: dilemma of traditional medicinal use and animal protection
[72] IUCN Red List Ursus thibetanus (amended version of 2016 assessment)
[73] 웹사이트 Appendices I, II and III (valid from 26 November 2019) https://www.cites.or[...] 2021-02-10
[74] 웹사이트 Ursus thibetanus https://www.speciesp[...] 2021-02-10
[75] 서적 Order Carnivora http://www.departmen[...]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76] 서적 小型のクマ 平凡社
[77] 서적 クマ科の分類 東京動物園協会
[78] 서적 ツキノワグマ(アジアクロクマ、ヒマラヤグマ) 講談社
[79] 서적 ツキノワグマ 日本クマネットワーク
[80] 사전 つきのわぐま(月輪熊) 三省堂
[81] 서적 下北半島のツキノワグマ ぎょうせい
[82] 논문 ヒグマとツキノワグマにおける前臼歯の欠如とクマ科の歯数減少傾向
[83] 논문 Activity patterns of Asiatic black bears (Ursus thibetanus) in the Central Mountains of Taiwan
[84] 논문 集落周辺に生息するツキノワグマの行動と利用環境
[85] 논문 オキナワトゲネズミは夏期に昼行性,冬期に夜行性を示す
[86] 논문 長野県中央山地におけるニホンツキノワグマの食性
[87] 논문 大井川上流域におけるツキノワグマの食性
[88] 논문 夏期のツキノワグマによる針葉樹林の利用とアリ類の営巣基質としての枯死材との関係
[89] 논문 ツキノワグマ(Ursus thibetanus)はタンニン結合性唾液タンパク質の分泌能を有するか
[90] 논문 ツキノワグマの食性:総説
[91] 논문 Ecology of the asiatic black bear (Ursus thibetanus) in Sichuan, China
[92] 논문 ツキノワグマによるくくりわなで捕獲されたニホンジカの摂食―長野県軽井沢町の事例―
[93] 논문 Food caching by bears: A literature review and new observations for Asiatic and American black bears
[94] 논문 Functional dietary response of Asian black bears to changes in sika deer density
[95] 논문 Comparing information derived on food habits of a terrestrial carnivore between animal-borne video systems and fecal analyses methods
[96] 논문 アミノ酸の天然窒素安定同位体組成を用いた食物解析
[97] 논문 アミノ酸の窒素安定同位体比から生き物の栄養段階を読み解く
[98] 논문 2004年秋のツキノワグマ大量出没に関する体毛の炭素・窒素安定同位体比からみた栄養診断の試み
[99] 논문 窒素・炭素安定同位体によるツキノワグマ捕獲個体の養魚場ニジマス加害履歴の推定
[100] 논문 安定同位体比分析による長野県伊那市で錯誤捕獲されたツキノワグマの食性解析
[101] 논문 Detection of arboreal feeding signs by Asiatic black bears: effects of hard mast production at individual tree and regional scales
[102] 논문 ニホンツキノワグマの糞に飛来する食糞性コガネムシ
[103] 논문 丹沢山地におけるツキノワグマの冬眠確認 -適正な保護管理のために-
[104] 논문 哺乳類の冬眠に関する生態生理学の最近の展開
[105] 논문 冬眠中のツキノワグマはどのように骨格筋機能を維持しているのか?
[106] 논문 An apparent case of infanticide in the Asiatic black bear in Japan 2021
[107] 서적 長寿世界一のニホンツキノワグマ 東京動物園協会 1991
[108] 웹사이트 ツキノワグマの死亡について https://www5.city.ky[...] 京都市動物園 2019-01-13
[109] 논문 Modeling of habitat suitability of Asiatic black bear (''Ursus thibetanus gedrosianus'') in Iran in future 2018
[110] 서적 図説 世界シンボル事典 八坂書房 2000
[111] 논문 残存する狩獵生活の研究 1935
[112] 논문 日本の狩猟者によるクマの葬送儀礼 1968
[113] 서적 文化人類学事典 弘文堂 1994
[114] 서적 インド動物ものがたり 同じ地上に生なすもの 平凡社 2000
[115] 서적 少年動物誌 小学館 1996-11-20
[116] 간행물 動物巷譚 (11) 熊鹿猪馬牛犬狼 中央公論社 1978-11-01
[117] 논문 九州の動物展示施設のクマから検出された鉤虫と旋毛虫 2022
[118] 논문 西日本で発生した旋毛虫症について 1984
[119] 논문 野生動物におけるカドミウム, タリウムおよび鉛汚染の実態調査 2007
[120] 논문 抱合ウルソデスオキシコール酸の合成 1955
[121] 웹사이트 特定動物リスト [動物の愛護と適切な管理] https://www.env.go.j[...] 環境省 2022-10-29
[122] 논문 イオマンテの地域差 1977
[123] 논문 ツキノワグマ(''Ursus thibetanus'')による飼料作物被害 —東北地方の事例— 2019
[124] 논문 クマ剥ぎによるヒノキの被害と腐朽の進行 2016
[125] 논문 ニホンツキノワグマ(''Ursus thibetanus japonicus'')によるクマハギの発生原因の検討 2002
[126] 논문 米国ワシントン州におけるクマによる樹皮剥ぎ被害対策と日本における応用の可能性 2013
[127] 논문 ヒグマの背擦り行動に伴う樹木被害と樹木の選択性 2007
[128] 논문 クマハギとヒグマの爪跡 1984
[129] 논문 当院におけるクマ外傷9例の検討 2021
[130] 논문 クマによる顔面外傷13症例の検討 2018
[131] 논문 クマ外傷の4例 2011
[132] 서적 クマの出没は全国で一律に起っていた訳ではない 日本クマネットワーク 2012
[133] 보고서 鹿角市におけるツキノワグマによる人身事故調査報告書出没 日本クマネットワーク 2016
[134] 웹사이트 クマに注意!-思わぬ事故をさけよう- https://www.env.go.j[...] 環境省 2019-01-13
[135] 서적 紀伊半島のツキノワグマ 株式会社ぎょうせい 2014
[136] 웹사이트 ツキノワグマ猟、19年ぶり解禁 https://www.sankei.c[...] 産経デジタル 2021-12-08
[137] 서적 東中国地域のツキノワグマ 株式会社ぎょうせい 2014
[138] 서적 西中国地域のツキノワグマ 株式会社ぎょうせい 2014
[139] 서적 四国山地のツキノワグマ 株式会社ぎょうせい 2014
[140] 논문 九州で最後に捕獲されたツキノワグマの起源 2010
[141] 웹사이트 第4次レッドリストの公表について(お知らせ) https://www.env.go.j[...] 環境省 2023-11-26
[142] 논문 九州における2000年以降のクマ類の目撃事例 日本哺乳類学会 2010
[143] 뉴스 【九州のクマ、絶滅は本当?】福岡の隣県・山口でも出没相次ぐ クマは海を渡るのか…「九州上陸」の恐れに迫る https://www.fnn.jp/a[...] Fuji News Network 2023-10-30
[144] 웹사이트 ツキノワグマの大量出没への対応を!政府と環境省に要望 http://www.wwf.or.jp[...] 2010-10-28
[145] 뉴스 クマの大量出没 朝日新聞 2010-11-26
[146] 웹사이트 ツキノワグマ大量出没の原因を探り、出没を予測する https://www.env.go.j[...] 独立行政法人 森林総合研究所 2011-02
[147] 논문 クマの生息動向と最近の被害状況 2013
[148] 뉴스 新潟でクマ襲撃相次ぐ 人恐れない「新世代」増加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22-01-09
[149] 뉴스 相次ぐクマ襲撃「新世代」登場か https://mainichi.jp/[...] 毎日新聞 2022-01-09
[150] 웹사이트 クマ類出没対応マニュアル -クマが山から下りてくる https://www.env.go.j[...] 環境省 2019-01-13
[151] 웹사이트 ツキノワグマ情報 https://www.city.aki[...] 2022-01-09
[152] 뉴스 捕獲クマに爆竹や唐辛子スプレー…「人の怖さ」教えてから解放、出没が激減 https://www.yomiuri.[...] 読売新聞 2020-11-10
[153] 뉴스 クマ出没、街中まで 石川の商業施設に侵入/新潟・秋田は「警報」:朝日新聞デジタル https://www.asahi.co[...] 朝日新聞デジタル 2022-10-29
[154] 뉴스 相次ぐクマ被害に関係省庁が連絡会議 22道府県で発生、死者2人 https://web.archive.[...] SankeiBiz 2020-11-02
[155] 서적 アジアのクマ達-その現状と未来- 日本クマネットワーク 2007
[156] 서적 アジアのクマ達-その現状と未来- 日本クマネットワーク 2007
[157] 서적 アジアのクマ達-その現状と未来- 日本クマネットワーク 2007
[158] 서적 動物大百科 1 食肉類 平凡社 1986
[159] 간행물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160] 간행물 CBD-CHM KOREA CITES
[161] 논문 Mitochondrial genomes reveal an explosive radiation of extinct and extant bears near the Miocene-Pliocene boundary 2008
[162] 문서 일제의 해수구제사업으로 인한 한반도 동물 멸종
[163] 뉴스 지리산 반달곰 첫 출산 '경사났네' http://news.nate.com[...] 네이트뉴스 (한국일보 제공) 2009-03-09
[164] 뉴스 지리산 반달가슴곰 새끼 11마리 태어나… 56마리 됐다 https://www.hankooki[...] 한국일보 2018-04-15
[165] 뉴스 반달가슴곰, 2년 연속 인공수정 성공…개체 수 64마리로 늘어 https://news.naver.c[...] 네이버뉴스 (TV조선 제공) 2019-05-19
[166] 뉴스 ‘멸종 위기’ 반달곰, 덕유산 인근까지 서식지 확대 https://news.naver.c[...] 네이버뉴스 (KBS 제공) 2019-12-04
[167] 뉴스 반달곰 KM53 올해는 김천 수도산에서 살 수 있을까 https://news.naver.c[...] 네이버뉴스 (한국일보 제공) 2018-05-02
[168] 뉴스 금오산에서 발견된 '반달곰 KM-53', 과제는? https://news.naver.c[...] 네이버뉴스 (오마이뉴스 제공) 2019-06-10
[169] 뉴스 [배문규의 에코와치]김천에 간 반달가슴곰, 지리산으로 안 가도 된다...'번식'에서 '공존'으로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8-05-02
[170] 뉴스 비무장지대에 반달곰 산다…병사들 “수차례 목격” https://news.naver.c[...] 네이버뉴스 (동아일보 제공) 2005-05-11
[171] 뉴스 '지리산 반달곰일까?'…DMZ에서 반달가슴곰 첫 포착 https://news.naver.c[...] 네이버뉴스 (MBN 제공) 2019-05-08
[172] 뉴스 인제서 ‘야생 반달곰’ 발자국 발견…“3~8마리 서식” https://news.naver.c[...] 네이버뉴스 (한겨레 제공) 2020-01-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