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치우는 중국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로, 《사기》 등 고대 기록에 따르면 신농의 후예이자 황제 헌원과 대립한 인물이다. 치우는 탁록 전투에서 황제에게 패배하여 죽임을 당했으며, 전쟁의 신으로 숭배받기도 했다. 치우는 구려족의 지도자로 여겨지며, 묘족 등 여러 민족의 조상으로 추앙받기도 한다. 현대에는 붉은악마의 트레이드 마크, 게임, 만화 등 다양한 문화 콘텐츠에서 소재로 활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환단고기 - 가림토
가림토는 단기고사, 환단고기 등에서 고대 한민족의 문자라고 주장되지만, 고고학적 증거 부족과 언어학적 근거 미흡으로 비판받고 있으며, 학계에서 실존 여부 및 한글과의 연관성에 대한 논쟁이 있다. - 환단고기 - 이유립
이유립은 고려 말 문신 이암의 후손으로 평안북도 삭주 출신이며, 친일 행적 논란과 독립운동가 주장이 공존하고, 《환단고기》를 간행하는 등 민족단체 활동을 했으나 저서 내용 및 유출 경위 논란이 있는 인물이다. - 신화의 사람 - 마나스
키르기스 민족의 영웅 마나스와 그의 후손들의 활약상을 담은 대서사시 《마나스》는 키르기스 민족의 용맹함과 공동체 의식을 보여주는 작품으로, 여러 지역에서 다양한 버전으로 구전되어 오다가 기록되었으며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어 키르기스 사회에 큰 영향을 미치고 세계적으로 알려져 있다. - 신화의 사람 - 파우스트
파우스트는 지식에 대한 갈망을 채우기 위해 악마와 영혼을 거래하는 전설적인 인물이며, 13세기 테오필루스 전설에서 기원하여 다양한 문학 작품, 영화, 음악 등에 영향을 미치며 현재까지 예술 작품의 소재로 활용된다. - 전쟁의 남신 - 카르티케야
카르티케야는 힌두교의 주요 신으로 전쟁, 젊음, 지혜를 상징하며, 여러 경전에서 시바와 파르바티 또는 아그니와 스바하의 아들로 묘사되고, 여섯 개의 얼굴과 열두 개의 팔, 공작, 벨을 가진 모습으로 인도와 타밀나두 등지에서 숭배받으며 불교에서는 구마라천으로 불린다. - 전쟁의 남신 - 마르스
마르스는 로마 신화에서 전쟁과 농업을 관장하는 신으로, 주피터와 유노의 아들이자 용기를 상징하는 네리오와 배우자 관계이며, 생명력과 야생의 힘을 상징하는 존재로 로마에서 숭배받았다.
치우 | |
---|---|
기본 정보 | |
![]() | |
한자 | 蚩尤 |
병음 | chīyóu |
웨이드-자일스 | Chʻih¹-yu² |
광둥어 | ci¹ jau⁴ |
중고음 | /t͡ɕʰɨ ɦɨu/ |
상고음 | /*tʰjɯ ɢʷɯ/ |
의미 | 꿈틀거리는 침략자 |
묘족어 | Zid Yeus (검은 묘족) |
몽족어 | Puob Youl (하얀 몽족) |
흐몽어 | Txiv Yawg (치용) |
발음 | /tsi ʝaɨ/ |
역할 | |
설명 | 구려 부족의 지도자 |
역사적 배경 | |
관련 부족 | 구려 |
관련 인물 | 황제 |
신화 속 전투 | 탁록 전투 |
관련 문화 | |
관련 종교 | 묘족 전통 종교 |
기타 | |
관련 개념 | 오병 |
2. 역사
치우에 대한 기록은 사마천의 《사기》〈오제본기〉를 비롯한 중국의 기록으로 전해지고 있다. 치우는 신농의 후예로 황제 헌원과 탁록지전 등 여러 차례 전쟁을 벌였다. 신농의 치세 말기에 세상이 혼란스러워지자 헌원이 신농을 대신하여 세상을 안정시켰는데, 이때 치우가 가장 포악하여 염제도 손을 대지 못하였다. 헌원이 신농을 대신하여 제후들을 다스리고 세상을 평정하였을 때 치우가 다시 난을 일으키자 헌원은 군대를 일으켜 치우를 탁록(涿鹿)에서 잡아 죽였다고 한다.[39]
중국의 일부 신화에는 치우에게 81명(또는 72명)의 형제가 있었으며, 여섯 개의 팔과 네 개의 눈, 소의 뿔과 발굽이 있고 머리는 구리와 쇠로 되어 있었다고 한다. 처음으로 창과 방패 등의 무기를 사용하였다고 설명되기도 한다. 치우의 부족은 일부가 헌원에 협조했고, 일부는 여족(黎族), 일부는 요족(瑤族)이 되었다고 한다. 『술이기』에 따르면 돌과 쇠를 먹었다고 한다. 초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성격은 용감하고 끈기 있으며, 같은 모습을 한 마신과 같은 형제가 81명[26] (『어룡하도』에 따르면 72명)이었다고 한다. 『서경』에서는 성격이 사악하며, 그 흉폭함과 탐욕스러움은 올빼미에 비유되어 "치의"(しぎ)라고 표현되기도 하며, "반란"이라는 것을 처음으로 일으킨 존재로 꼽히고 있다.[35]。
고대 중국의 제왕이었던 황제 (염제라고도 함)에게 왕좌를 빼앗으려는 야망을 품고 신농씨의 말기에 난을 일으켜, 형제 외에도 무수한 도깨비와 풍백·우사를 아군으로 삼아 바람·비·연기·안개 등을 일으켜 황제와 탁록의 들판에서 싸웠다 (탁록 전투). 짙은 안개를 일으켜 시야를 어둡게 하고 도깨비들을 부려 황제의 군대를 괴롭혔지만, 황제는 지남차를 사용하여 방위를 가리키며 안개를 돌파하고, 요괴들이 두려워하는 용의 울음소리와 비슷한 소리를 뿔피리 등을 사용하여 울려 멈칫하게 하여 군대를 진격시켜 마침내 그를 사로잡아 죽였다고 한다.[26]。『산해경』대황북경에 기록된 황제와 치우의 교전 묘사에는 구체적인 용으로 응룡이 황제를 돕고 있으며, 치우를 죽였다고 한다.[27][28]。
마지막으로 사로잡힌 치우는, 모든 악의 근원으로서 죽임을 당했는데, 이때 도망가는 것을 두려워하여 수갑과 족쇄를 풀지 않고, 숨을 거둔 후에야 비로소 풀렸다. 치우의 몸은 둘로 나누어 봉인했지만, 몸에서 떨어져 흐른 선혈로 붉게 물든 족쇄는, 그 후 "단풍나무(풍)"가 되었으며, 매년 가을이면 붉게 물드는 것은 치우의 피에 물든 원한이 깃들어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붉은색은 치우를 나타낸다고도 하며, 적기를 "치우기"라고 하고, 황제는 그 치우 정벌 후 그 모습을 그린 깃발을 내걸어 그 위세의 상징으로 삼았다.[26]。
2. 1. 기록과 전승의 해석
헌원과 치우의 전쟁은 '황제 신화'라고 불리며 다양한 해석이 존재한다. 전통적으로는 치우로 상징되는 양쯔강 유역의 남방 부족과 황제로 상징되는 황하 유역의 한족 간의 전쟁으로 해석되었다.[40] 청나라 말기 강유위, 고힐강 등의 의고학파(疑古學派)는 황제 신화를 비롯한 삼황오제의 신화를 비판적으로 분석하여 역사성을 부인하고 전국시대에서 위진남북조시대에 걸쳐 종교적 영향으로 꾸며진 신화로 판정하였다.[40] 그러나 1990년대 이후 중국 학계는 한족 중심의 민족주의적인 영향으로 황제 신화를 한족의 국조 설화로 중요시 여기면서, 황제나 치우를 역사적 실존인물로 구축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는 지적이 있다.[41]중국, 베트남, 태국 등에 흩어져 사는 묘족, 흐몽족 등은 구려족의 후예를 자처하며 치우를 민족의 조상으로 추앙한다.[42] 한국의 일부 야사에서는 치우씨(蚩尤氏), 치우천왕(蚩尤天王) 등으로 부르며 치우 또는 그 부족이 한민족에 속했다고 주장하지만,[43] 이러한 기록들은 위서로 판명되었기 때문에 역사학계에서는 이러한 주장을 인정하지 않는다.
3. 문헌
치우에 대한 기록은 《사기》, 《국어》, 《산해경》, 《상서》 등 춘추·전국시대 이후의 여러 서적을 통하여 전해지지만, 모든 기록이 일치하지는 않는다.
『술이기』에 따르면 돌과 쇠를 먹었다고 한다. 초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성격은 용감하고 끈기 있으며, 같은 모습을 한 마신과 같은 형제가 81명[26](『어룡하도』에 따르면 『술이기』에서는 72명)이었다고 한다. 『서경』에서는 성격이 사악하며, 그 흉폭함과 탐욕스러움은 올빼미에 비유되어 "치의"(しぎ)라고 표현되기도 하며, "반란"이라는 것을 처음으로 일으킨 존재로 꼽히고 있다.[35]
황제에게 왕좌를 빼앗으려는 야망을 품고 탁록 전투에서 패배하여 죽임을 당했다는 기록이 전해진다.[26]
3. 1. 《산해경》(山海經)
《산해경》〈해경〉에는 황제와 치우가 힘을 겨룬 내용이 단편적으로 기록되어 있다.- 치우가 무기를 만들어 황제를 치자 황제가 응룡을 시켜 기주야에서 그를 공격하게 하였다. 치우가 풍백과 우사에게 부탁하여 폭풍우를 일으키자, 황제는 천녀인 발을 내려 보내 비를 그치게 하고 치우를 죽였다.[44]
- 치우가 버린 차꼬와 수갑이 단풍나무(楓)가 되었다고 한다.
3. 2. 《사기》(史記)
사마천의 사기에 따르면, 유방이 항우와의 마지막 전투 전에 치우에게 제사를 지냈고, 그 전투에서 이겼다고 한다.[19] 사기「봉선서」에서는 치우가 팔신(八神) 중의 "병주신(兵主神)"[29]에 해당하며, 전쟁의 신으로 여겨진다. 치우는 전쟁에 필요한 전부(戰斧), 방패, 활 등 뛰어난 무기를 발명했거나, 그 무기에 금속을 사용하게 된 것으로 전해진다.[26]4. 부족
치우는 거의 모든 자료에서 구려족(九黎族) 부족의 지도자로 여겨진다.[10] 그의 정확한 민족적 소속은 매우 복잡하며, 여러 자료에서 그를 다양한 부족에 속한 것으로 보고 있다. 후대 왕조의 일부 자료에서는 치우의 리(Li) 부족을 고대 삼묘 부족(三苗)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겼다.[14]
5. 전설과 민간 신앙
전설에 따르면 고대에 묘족은 황하 변두리에 살았으며, 그들의 지도자는 치우라고 불렸다. 치우는 묘족을 해치는 "귀 달린 마녀"를 제거하여 백성들이 평화롭고 만족스럽게 살고 일할 수 있도록 했다. 이후 마녀의 세 명의 마귀 자식들이 적룡과 황룡(즉, 염제와 황제)을 불러 복수를 했다. 치우는 묘족을 이끌고 용감하게 싸워 적룡과 황룡을 여러 번 물리쳤다.[17]
일본의 『술이기』에 따르면 돌과 쇠를 먹었으며 초능력을 가지고 있었고, 81명[26] (『어룡하도』에 따르면 『술이기』에서는 72명)의 형제가 있었다고 전해진다.
관우가 도사 장천사에게 초빙되어 치우를 처치했다는 이야기가 있다. 전설에 따르면 송나라 진종 치세 동안 개주 염전에서 소금이 생산되지 않았다. 강서성 용호산의 장천사는 황제에게 소금 부족의 원인이 치우이며, 관우가 그를 죽일 수 있다고 고하기 위해 조정에 소환되었다. 장천사는 황제의 명령에 따라 부적을 태워 관우를 소환했다. 관우가 위력을 발휘하여 치우는 참수되었고, 염전은 회복되었으며, 모든 백성들이 기뻐했다.
6. 전투
염제가 부족을 이끌고 치우가 이끄는 구려 부족과 충돌했을 때,[2] 염제는 승산이 없어 싸움에서 패했다. 그는 도망쳐 탁록에 도착하여 황제에게 도움을 요청했다.[2] 이후 치우와 황제 군대 간의 탁록지전이 시작되었다. 전투는 10년 동안 지속되었으며, 치우가 우위를 점했다.
탁록 전투 동안 치우는 짙은 안개를 뿜어 햇빛을 가렸다.[18] 황제 측이 위험에 처한 채 전투는 며칠 동안 이어졌다.[11] 황제가 지남차를 발명한 후에야 그는 전장에서 길을 찾을 수 있었다.[11][18] 치우는 격렬한 폭풍을 불러일으켰다. 그러자 황제는 가뭄의 악마 여발을 불러 폭풍 구름을 날려 보냈고 전장이 맑아졌다.[18] 치우와 그의 군대는 버티지 못하고 나중에 황제에게 죽임을 당했다.[2][11]
7. 유산
중국에서 치우는 전쟁의 신으로 모셔졌다. 사마천의 사기에 따르면, 유방은 항우와의 마지막 전투 전에 치우에게 제사를 지냈고, 그 전투에서 이겼다고 한다.[19] 진 시황은 치우를 전쟁의 신으로 숭배했으며, 유방은 조상 숭배의 일환으로 항우와의 결전을 앞두고 치우의 사당에서 제사를 지냈다.[19] 신화에서 치우에게 전쟁의 신이라는 칭호가 부여된 이유는 황제와 염제가 치우를 혼자 힘으로는 이길 수 없었기 때문이다. 치우는 총 9번의 주요 전투에서 승리했고, 80번의 작은 충돌에서도 승리했다. 마지막 10번째 전쟁에서 두 황제는 연합하여 치우를 정복했다. 치우는 오늘날까지 숭배의 대상이다.
청나라 화가 뤄핑의 기록에 따르면, "황제는 그의 부하들에게 치우의 목을 베라고 명령했다... 치우의 머리가 몸에서 분리된 것을 본 후, 나중의 성인들은 권력과 부를 탐내는 사람들에게 경고하기 위해 그의 형상을 제사 그릇에 새겼다."라고 한다.[21]
한국의 옛 기록에는 치우와 관련된 제례나 풍습이 전해지는데, 이는 모두 중국의 예법에 정해진 제례를 받아들여 제사한 것으로 중국이 전쟁의 신으로 치우를 숭상하는 것과 같은 맥락이다.
제례 및 풍습 | 내용 |
---|---|
둑제 |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 군영을 대표하는 대장기로서 치우의 형태라고 전해지는 ‘둑’이라는 깃발을 둑소에 두고 매년 갑옷을 입고 제를 지냈다.[45] |
마제 | 강무(講武)시에 치우에게 제를 지내는 것으로, 조선 세종 이후 주나라의 제도를 본따 실시하였다. |
천중부적 | 단오날에는 치우를 이용하여 악귀를 쫓는 부적을 그리기도 했다. |
8. 현대 문화
2002년 FIFA 월드컵 때 유명해진 붉은악마의 트레이드 마크 도안이 치우라는 주장이 제기되었다.[46] 해당 도안은 신라 귀면와를 토대로 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귀면와의 형상은 치우와 관련짓지 않는다.[47][48] 그러나 붉은악마 측에서는 이 그림이 치우의 형상이라 주장하고 있다.
대한민국의 금화 시리즈 중 하나인 KOMSCO에서 발행하는 치우천왕 시리즈는 치우를 특징으로 한다.[25]
이 외에도 치우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현대 문화 콘텐츠에서 모티브로 활용되거나 등장한다.
분야 | 제목 | 역할 및 설명 |
---|---|---|
게임 | 더 세틀러 III | 배경 이야기에 등장하는 캐릭터 (용으로 개념화) |
게임 | 갓이터 | 아라가미 생물의 이름 |
만화 | 천행세 치우 | 치우 전설을 부분적으로 기반 |
게임 | 쉔무 | 주요 적대 세력인 치우문의 지도자 중 한 명인 란 디 |
만화/게임 | IDW 코믹스 세계관 | 닌자 거북이와 고스트 버스터즈 미니시리즈의 적대자, 신령 또는 불멸의 존재 |
기계식 모드 | 치우 | 베이핑 커뮤니티에서 사용 |
게임 | 여신전생 |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악마 |
게임 | 라-물라나 | 서브 보스 |
만화 | 킹덤 | 여사제/암살자 콤보 그룹, 캉 뢰이가 한때 일원 |
만화 | 천국의 신화 | 2권의 주인공 |
소설 | 갓 오브 하이스쿨 | 치우의 후손들이 "사울아비"라는 전사 집단을 형성 |
음악 | 킹덤 | 멤버들이 대표하는 왕 중 한 명, 앨범 History of Kingdom: Part II. Chiwoo에서 이야기 다뤄짐 |
만화 | 종말의 발키리 | 사람을 잡아먹는 사악한 신 |
만화 | 마블 코믹스 | 중국 슈퍼히어로 검의 달인의 숙적, 사악한 괴물 신 |
게임 | 명일방주 | 용문 근위국 국장 첸이 휘두르는 "용을 죽이는" 검 |
게임 | 어쌔신 크리드: 제이드 | 주요 악당 |
게임 | 포켓몬스터 스칼렛·바이올렛 | 전설의 포켓몬 치우 (불꽃/악 타입) |
참조
[1]
웹사이트
https://www.britanni[...]
[2]
서적
中國通史. 史前 夏 商 西周
Intelligence press
[3]
서적
James Lee Astrology guide 2006 English edition
World publishing co.
[4]
서적
Ancient civilizations: the illustrated guide to belief, mythology, and art
https://books.google[...]
Barnes & Noble
[5]
서적
Lushi
[6]
웹사이트
Chi You 蚩尤 (chī yóu) - China Beasts and Legends
https://www.chinabea[...]
2024-09-17
[7]
웹사이트
Chi You 蚩尤 (www.chinaknowledge.de)
http://www.chinaknow[...]
2024-09-17
[8]
문서
Hmong language|Hmong
[9]
서적
An Introduction to Hmong Culture
McFarland
[10]
서적
中國通史. 史前 夏 商 西周
Intelligence press
[11]
서적
中國歷史講堂 #1 遠古至春秋. 中華書局.
[12]
서적
史记
[13]
서적
An Introduction to Hmong Culture
McFarland
[14]
문서
國語·楚語下
[15]
서적
Indigenous experience today
Berg Publishers
[16]
서적
Minority rules: the Miao and the feminine in China's cultural politics
https://books.google[...]
Duke University Press
[17]
웹사이트
What is Chi You? Why did Huangdi want to kill him to death?
https://tw.news.yaho[...]
2020-10-30
[18]
웹사이트
黃帝大戰蚩尤與指南車.
http://big5.china.co[...]
[19]
웹사이트
Shiji : 書 : 封禪書 - Chinese Text Project
https://ctext.org/sh[...]
2024-09-03
[20]
서적
James Lee Astrology guide 2006 Chinese edition
World publishing co.
[21]
서적
Chinese Bronzes: Ferocious Beauty
https://books.google[...]
Asiapac Books Pte Ltd
[22]
웹사이트
上古神话中"十大魔神"战力排行榜,共工第四,银灵子垫底_蚩尤
https://www.sohu.com[...]
2024-09-17
[23]
웹사이트
上古十大魔神,十二魔神是谁,有哪些传说
https://k.sina.cn/ar[...]
2021-08-19
[24]
서적
The Tales of the Heike
Columbia University Press
[25]
웹사이트
South Korean Chiwoo Cheonwang Series Silver Bullion Medallions from KOMSCO
https://coinweek.com[...]
2018-10-24
[26]
서적
中国神話伝説集
社会思想社
[27]
문서
山海経
[28]
서적
山海経
平凡社
[29]
문서
封禅書
[30]
문서
世本
[31]
문서
初学記
[32]
서적
国訳漢文大成 経子史部第20巻
国民文庫刊行会
[33]
서적
漢籍国字解全書 先哲遺著 第19巻
早稲田大学出版部
[34]
서적
中国の神話伝説
青土社
[35]
서적
経書大講
平凡社
[36]
논문
“蚩尤平反”与“炎黄子孫” - 兼論近代以来中国国民整合的両条路線
2010
[37]
논문
蚩尤考
1998
[38]
위키백과
동이(东夷)
[39]
서적
사기
기원전 2세기
[40]
논문
황제신화전설에 대한 문헌적 고찰
2005
[41]
논문
중국문헌(中國文獻)에 나타나는 "치우(蚩尤)"의 이중형상(1) -제국(帝國)의 희생양, 치우(蚩尤)의 악마형상-
2007
[42]
서적
An Introduction to Hmong Culture
McFarland
2010
[43]
문서
규원사화#조판기, 태시기, 단군기, 환단고기#배달국 참조
[44]
서적
산해경
민음사
1996-11-30
[45]
문서
난중일기에도 이순신이 둑제를 지낸 기록이 있다. 뚝섬의 명칭도 조선시대에 이 섬에 '둑'을 모신 사당을 두었던 것으로부터 비롯되었다.
[46]
뉴스
동아시아 고대사의 열쇠 ‘치우천왕’ 논쟁
http://shindonga.don[...]
신동아
2003-11-01
[47]
웹사이트
두산 엔사이버 백과사전-귀면와
http://100.naver.com[...]
[48]
웹사이트
[한·일 관계사 새로보기] 한민족(2)
http://weekly.hanko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