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퉁관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퉁관현은 중화인민공화국 산시성 웨이난시에 위치한 현으로, 역사적으로 중요한 군사적 요충지였다. 은나라 시기에는 도림, 주나라 시대에는 위예로 불렸으며, 춘추 시대에는 진나라의 전략적 거점이었다. 이후 여러 왕조를 거치며 선사공현, 화음현 등으로 불리다가 명나라 때 동관현으로 개칭되었고, 중화민국 성립 이후 현재의 동관현으로 이어졌다. 퉁관현은 험준한 지형으로 인해 관중 평원의 동쪽 관문 역할을 했으며, 동관 전투와 같은 중요한 군사적 사건의 무대가 되었다. 현재는 4개의 진과 1개의 향으로 구성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웨이난시의 행정 구역 - 바이수이현
    중화인민공화국 산시성 웨이난시에 있는 바이수이현은 창힐의 고향이자 두캉과 관련이 깊은 곳으로, 징징강 북쪽 황토 고원에 위치하며 석탄 채굴, 농업, 관광 산업이 주요하고 사과 생산으로 유명하며, 북송 시대 동전이 발견되기도 했다.
  • 웨이난시의 행정 구역 - 한청시
    한청시는 중화인민공화국 산시성 옌안시에 위치한 시로, 고대에는 용문으로 불리다가 수나라 때 현재의 이름으로 바뀌었으며, 1983년 시로 승격되었고, 사마천의 출생지이다.
  • 산시성 (섬서성)의 현 - 바이수이현
    중화인민공화국 산시성 웨이난시에 있는 바이수이현은 창힐의 고향이자 두캉과 관련이 깊은 곳으로, 징징강 북쪽 황토 고원에 위치하며 석탄 채굴, 농업, 관광 산업이 주요하고 사과 생산으로 유명하며, 북송 시대 동전이 발견되기도 했다.
  • 산시성 (섬서성)의 현 - 미즈현
    미즈현은 중화인민공화국 산시성 위린시에 위치한 현으로, 과거 은주라 불렸으며 금나라 시기에 설치되었고, 중일 전쟁 시기 중국 공산당의 지배를 거쳐 현재 유림시의 관할 하에 있으며 국도 210호선과 이자성 행궁 등의 관광지가 있다.
퉁관현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퉁관
퉁관
현 유형
다른 이름퉁콴, 퉁-콴
웨이난의 퉁관
웨이난 시의 퉁관 현 위치
산시 성 내 웨이난 위치
산시 성 내 웨이난 시 위치
일반 정보
국가중화인민공화국
속한 성산시 성
속한 지급 행정구역웨이난 시
면적526 km²
인구 (2018년)154,200 명
시간대중국 표준시
UTC 오프셋+8
우편 번호714300
웹사이트퉁관 현 공식 웹사이트
행정 구역 코드
행정 구역 코드610522

2. 역사

친링산맥과 황하 사이에 위치한 퉁관은 길이 매우 좁고 지형이 험준하여 통과하기 어려운 곳이었다. 한나라 시대 이후, 퉁관은 관중 지역의 동쪽 입구 역할을 하던 함곡관을 점차 대체하며 그 중요성이 커졌다. 동관 전투가 벌어진 시기부터 수나라와 당나라 시대에 이르기까지 퉁관은 중요한 전략적 요충지로 기능했다. 특히 당나라 때는 수도 장안의 안전과 직결되는 핵심 방어 거점이었으며, 안사의 난 당시 퉁관이 함락되자 곧바로 장안이 함락되는 결과를 낳기도 했다.

퉁관의 역사는 은나라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며, 이후 주나라, 춘추 시대, 전국 시대를 거치며 여러 나라의 영토에 속했고 명칭 또한 바뀌었다. 한나라 때는 황하위하의 수운을 감독하는 중요한 지역이었으며, 이후 삼국 시대, 진나라, 남북조 시대, 수나라를 거치면서 행정 구역에 여러 변화를 겪었다. 명나라청나라 시대에는 군사 및 행정 단위가 설치되었고, 중화민국 시기인 1913년에 현재의 동관현(퉁관현)이 설치되어 오늘에 이른다.

2. 1. 고대

은대에는 정국에 속했으며 '''도림'''이라고 불렸다. 주대에는 기내 지역으로 여겨져 '''위예'''라고 불렸다. 춘추 시대에는 진나라에 속하여 '''도림새'''라고 불렸으며, 진나라에 대항하는 전략적 요충지였다.

2. 2. 한나라 ~ 당나라

한나라 이후 퉁관은 관중의 동쪽 입구인 함곡관을 점차 대체하며 그 중요성이 커졌다.[1] 동관 전투 시기부터 수·당 시대에 이르기까지 퉁관은 중요한 전략적 요충지였다.[1] 기원전 205년, 옹왕 장한한나라상장군 한신에게 공격받아 이곳에서 농성하다 자결했다.[1]

기원전 202년, 전한황하위하의 수운을 감독하기 위해 선사공아문을 설치했으며, 이 지역은 선사공현으로 불렸다.[1] 9년 신나라를 세운 왕망에 의해 잠시 선리현으로 개칭되었으나, 후한이 성립되면서 선사공현으로 복원되었다.[1] 213년(건안 18년) 선사공현은 화음현에 편입되었고, 이 행정구역은 삼국시대위나라와 진나라를 거쳐 계승되었다.[1] 534년(영희 3년) 북위는 정성현을 설치했으나, 이후 서위 때 부서현에 편입되어 북주 시대까지 이어졌다.[1]

583년(개황 3년) 중국을 통일한 수나라는 부서현을 화주(후에 경조군) 관할로 삼고, 2년 뒤 화음현으로 개칭했다.[1] 당나라 시대에는 퉁관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어, 수도 장안의 동쪽 관문으로서 퉁관의 방어는 수도의 안전과 직결되었다.[1] 안사의 난 때 퉁관이 함락되자 장안까지 함락되었던 것이 이를 잘 보여준다.[1] 행정구역상으로는 685년(수공 원년) 잠시 선장현으로 개칭되었으나, 706년(신룡 2년) 다시 화음현으로 이름이 바뀌어 원나라 말까지 유지되었다.[1]

2. 3. 명나라 ~ 현재

명나라가 성립되자 1374년 (홍무 7년)에 동관수어천호소(潼關守禦千戶所)를 설치했다. 청나라 시대가 되자 1724년 (옹정 2년)에 동관현(潼關縣)으로 개칭되었고, 그 후 동관청(潼關廳)으로 다시 개칭되었다.

중화민국이 성립된 후 1913년에 다시 동관현(潼關縣)이 설치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3. 지리

퉁관현은 섬서성, 산서성, 허난성 세 성이 만나는 교통의 요충지이며, 예로부터 군사적으로 중요한 지역이었다.

3. 1. 지형

퉁관 현은 관중 평원 동부에 자리하며, 지리적으로 친링산맥 북쪽, 위강과 뤄허 남쪽, 화산 동쪽에 위치한다. 친링산맥황하 사이에 있어 길이 매우 좁고 지형이 험준하여 통과하기 어렵다. 이러한 지형적 특성으로 인해 예로부터 장안의 동쪽을 방어하는 중요한 요충지였으며, 섬서성, 산서성, 허난성 세 성이 만나는 교통의 중심지이기도 하다.

3. 2. 기후

퉁관현은 온난 습윤 기후의 특징을 보인다. 해발 고도는 542m이다.[3][4]

퉁관현의 기후 (1991년~2020년 평균, 극값 1981년~2010년)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평균/합계
역대 최고 기온 (°C)14.3°C21.1°C28.6°C35.8°C38°C40.2°C38.9°C38.5°C38.5°C31°C23.2°C18.8°C40.2°C
평균 최고 기온 (°C)4.1°C8.6°C15°C21.7°C26.7°C30.9°C31.7°C29.9°C25°C19°C11.9°C5.6°C19.2°C
일평균 기온 (°C)-0.2°C3.6°C9.5°C15.9°C20.9°C25.3°C26.7°C25°C20.3°C14.4°C7.4°C1.4°C14.2°C
평균 최저 기온 (°C)-3.3°C0.1°C5.3°C11.1°C15.9°C20.4°C22.5°C21.2°C16.6°C10.8°C4°C-1.7°C10.2°C
역대 최저 기온 (°C)-13.1°C-9.3°C-5.3°C-0.2°C5.2°C12°C16.5°C13.2°C7°C0.5°C-8.7°C-14°C-14°C
평균 강수량 (mm)7.6mm10.4mm19.8mm39.2mm64.5mm65.7mm114.2mm95.4mm92.7mm54.2mm24.3mm5.3mm593.3mm
평균 강수일수 (≥ 0.1 mm)4.24.15.37.38.88.110.710.410.68.66.03.287.3
평균 상대 습도 (%)56565354545668727168655861
월평균 일조시간 (시간)146.5148.8187.2211.9221.0222.6226.4208.3164.3154.0143.5153.62188.1
평균 일조율 (%)47485054515152514544475150
출처: 중국 기상국[3][4]


4. 행정 구역

퉁관현의 행정 구역은 5개의 진(鎭)과 1개의 (鄕)으로 구성된다.[2]

4. 1. 진 (鎭)

wikitext

*성관(城关镇zho)*동옥(桐峪镇zho)
*청동(秦东镇zho)*대자영(代字营镇zho)
*태요(太要镇zho)


4. 2. 향 (鄕)


  • 안락(安乐乡|안러샹zho)[2]
  • 가오차오(高桥乡|가오차오샹zho)
  • 난터우(南头乡|난터우샹zho)

참조

[1] 서적
[2] 웹사이트 潼关县-行政区划网(区划地名网) www.xzqh.org http://www.xzqh.org/[...] 2016-11-12
[3] 웹사이트 http://data.cma.cn/d[...]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08-26
[4] 웹사이트 https://experience.a[...]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08-26
[5] 웹인용 http://data.cma.cn/d[...] China Meteorological Data Service Center 2022-11-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