튀니지의 국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튀니지 국기는 튀니지의 국장과 군사 장비에도 사용되며, 붉은색 바탕에 흰색 원반, 붉은 초승달과 별을 특징으로 한다. 1831년 채택되었으며, 1959년 헌법에 의해 공식적으로 정의되었다. 국기는 붉은색과 흰색을 사용하며, 튀니지의 역사, 평화, 이슬람을 상징한다. 또한 튀니지 적신월사는 군용 라운델과의 구분을 위해 왼쪽을 향하는 초승달을 로고로 사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튀니지의 상징 - 초승달과 별
초승달과 별은 이슬람 문화권에서 널리 사용되는 상징으로, 여러 이슬람 국가의 국기, 국장, 문장과 과거 오스만 제국을 비롯한 역사적 국가 및 지역의 깃발에서 찾아볼 수 있다. - 튀니지의 상징 - 튀니지의 국가
튀니지의 국가 '조국의 수호자'는 이집트 시인의 시에서 유래된 가사와 다양한 설이 있는 곡조로 구성되어, 왕정 폐지 후 임시 국가로 사용되다가 1987년부터 다시 국가로 채택되었으며, 짧게 불러야 할 경우에는 후렴구와 3절로 구성된 짧은 버전이 사용된다. - 국기 - 일본의 국기
일본의 국기는 흰색 바탕에 붉은 원이 그려진 디자인으로, 태양을 상징하며 1999년 법률에 의해 공식적으로 국기로 지정되었다. - 국기 - 독일의 국기
독일 국기는 검은색, 빨간색, 금색 가로 줄무늬 삼색기로, 자유주의와 통일 독일을 상징하며, 1949년 서독과 동독, 그리고 1990년 독일 재통일 이후 통일 독일의 공식 국기로 채택되었다.
튀니지의 국기 | |
---|---|
기본 정보 | |
용도 | 국기 국가기 군기 상선기 |
비율 | 2:3 |
채택일 | 1827년 10월 20일 |
디자인 | 빨간색 바탕에 중앙에 흰색 태양 원반이 있고, 그 안에 빨간색 오각형 별이 빨간색 초승달로 둘러싸여 있음 |
디자이너 | 후세인 2세 |
국기 기호 | |
FIAV | |
대통령기 | |
![]() | |
용도 | 튀니지 대통령의 기 |
FIAV | |
해군기 | |
![]() | |
용도 | 해군기 |
비율 | 1:1 |
FIAV |
2. 역사
튀니지의 국기는 오랜 역사를 거치며 여러 변화를 겪었다. 오스만 제국의 영향을 받던 시기부터 후사인 왕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의 깃발이 사용되었으며, 특히 19세기 초에는 후사인 왕조의 고유한 색상을 담은 깃발과 튀니스 베이의 독자적인 깃발 등이 존재했다.[1][2]
현재 사용되는 국기의 직접적인 기원은 1827년 나바리노 해전 이후, 당시 통치자였던 후세인 2세가 튀니지 함대를 다른 함대와 구별하기 위해 새로운 깃발을 제정하기로 결정하면서 시작되었다.[6] 이 깃발은 1831년 혹은 1835년에 공식적으로 채택된 것으로 추정되며,[7][8][9] 붉은 바탕 중앙에 흰색 원을 두고 그 안에 붉은색 초승달과 별을 배치한 디자인은 오스만 제국의 상징과 유사성을 가지면서도 튀니지의 독자성을 나타낸다.
프랑스 보호령 시기(1881년 ~ 1956년)에도 이 국기는 공식적으로 계속 사용되었으나,[10][11] 한때 프랑스 국기가 추가된 비공식적인 형태의 깃발이 사용되었다는 기록도 존재한다.[12][13][14] 튀니지가 독립한 후 1959년, 국기의 세부적인 형태가 법령으로 정해졌으며, 1999년에는 초승달과 별의 디자인을 일부 수정하여 현재의 국기가 완성되었다. 1970년대에는 리비아와의 통합 국가인 아랍 이슬람 공화국을 구상하며 새로운 국기 디자인이 제안되기도 했으나, 통합 계획 자체가 무산되면서 실현되지 못했다.
2. 1. 이전의 깃발
18세기 중반까지 튀니스에서 선박에 게양되던 해상 기의 디자인과 중요성은 명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그러나 다양한 자료를 통해 파란색, 녹색, 빨간색, 흰색과 초승달 문양이 사용된 깃발들이 있었다는 점을 추정할 수 있다.[1] 19세기 초에는 지배 왕조였던 후사인 왕조(Husainid dynasty)의 색상인 파란색, 빨간색, 녹색의 가로 줄무늬로 구성된 깃발이 사용되었다. 여러 줄무늬와 불규칙한 윤곽을 가진 이런 형태의 깃발은 북아프리카 해안 전역의 선박에서 사용되었으며, 다른 색상과 배열의 유사한 깃발들도 아프리카 다른 지역에서 사용되었다.[1]오트프리트 노이베커(Ottfried Neubecker)[2]에 따르면, 튀니스 베이(Beys of Tunis)는 자신만의 고유한 깃발을 가지고 있었다. 이는 통치자의 개인적인 깃발(배너)이었을 가능성이 높으며,[3] 르 바르도(Le Bardo) 궁전, 튀니스 요새, 해군 선박 위, 그리고 문장 중앙에도 게양되었다. 이 깃발은 1957년 7월 25일 군주제가 폐지되고 공화국이 선포될 때까지 여러 공식 행사에서 사용되었다.[2][4]
이 깃발은 알-후세인 2세 이븐 마흐무드(Al-Husayn II ibn Mahmud)가 도입한 것으로 여겨지지만, 압델-와합(Abdel-Wahab)과 같은 일부 학자들은 3세기 이전에 이미 사용되었다고 주장하기도 한다.[3] 깃발은 직사각형 모양으로 9개의 줄무늬로 나뉘어 있었다. 가운데 줄무늬는 녹색으로 다른 모든 줄무늬보다 두 배 넓었으며, 나머지 줄무늬는 노란색과 빨간색이 번갈아 배열되었다.[2] 중앙의 녹색 줄무늬에는 이슬람의 전설적인 칼인 줄피카르(Zulfiqar)가 그려져 있었는데, 칼날은 흰색이고 손잡이는 여러 색상으로 채색되었다. 빨간색과 노란색 줄무늬에는 각각 5개의 같은 거리를 둔 기호가 포함되어 있었으며, 각 줄무늬마다 기호의 순서가 번갈아 나타났다. 이 기호들은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하나는 중앙에 다른 색상의 원반이 있는 빨간색 육각형 별(빨간색 별과 녹색 원반, 또는 흰색 별과 파란색 원반 조합)이고, 다른 하나는 오른쪽 하단에 다른 색상의 작은 원반이 있는 큰 원반(큰 파란색 원반 안의 작은 빨간색 원반, 또는 큰 녹색 원반 안의 작은 노란색 원반 조합)이었다.[2] 첫 번째 노란색 줄무늬에는 빨간색 별 3개와 파란색 원반 2개가 포함되었다. 두 번째 줄무늬(빨간색)에는 녹색 원반 3개와 흰색 별 2개가 포함되었다. 세 번째 줄무늬(두 번째 노란색)는 중앙의 별이 흰색이라는 점을 제외하면 첫 번째 줄무늬와 동일했고, 네 번째 줄무늬(두 번째 빨간색)는 두 번째 줄무늬와 동일했다.[2]
2. 2. 현재 국기의 기원
지중해 남부 해안에 위치한 여러 무슬림 국가들은 과거 단색의 붉은색 해군기를 사용했다.[5] 그러나 1827년 10월 20일 나바리노 해전에서 튀니지 해군이 큰 피해를 입자,[6] 당시 후세이니 왕조의 통치자였던 후세인 2세는 다른 함대와 구별되는 튀니지 함대만의 깃발을 만들기로 결정했다. 이 깃발이 현재 튀니지 국기의 기원이 되었다.
깃발이 언제 처음 채택되었는지에 대해서는 약간의 이견이 있다. 튀니지 정부는 1831년에 채택되었다고 주장하는 반면,[7] 시오반 라이언(Siobhan Ryan)의 ''Ultimate Pocket Flags of the World''와 같은 다른 자료에서는 1835년에 채택되었다고 본다.[8][9]
2. 3. 프랑스 보호령 시기
튀니지는 프랑스 보호령 시대에도 튀니지 국기는 변하지 않았다.[10][11] 그러나 2000년 가을에 발행된 ''Flag Bulletin'' 기사에 따르면, 프랑스 보호령 시대에 잠시 동안 프랑스 국기가 튀니지 국기의 왼쪽 위에 위치했던 비공식 국기가 사용되었다고 한다. 기학자 휘트니 스미스(Whitney Smith)는 프랑스 국기가 추가된 이 형태를 "몇 년 동안 사용된 비공식 튀니지 국기의 수정"이라고 언급했다.[12][13] 그는 다음과 같이 덧붙였다. "프랑스 보호령인 튀니지는 육상과 해상에서 자국의 국기를 유지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세기 말 또는 20세기 초에 삼색기 기장이 있는 국기의 비공식 버전이 사용되었다. 1925년에 해당 국기를 공식 채택하자는 공식 제안이 있었지만, 아무런 조치도 취해지지 않았다. 이 [''Flag Bulletin''의] 표지에 실린 이 국기는 기학 자료에 삽화로 등장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14]이러한 비공식 국기에 대한 혼란은 1904년 7월 24일, 튀니스 베이의 프랑스 방문을 기념하여 발행된 프랑스 일간지 ''르 프티 르날''(fr)의 삽화에서 비롯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해당 삽화에는 튀니스 베이가 파리 시청(Hôtel de Ville, Paris)을 방문했을 때 프랑스 국기가 추가된 형태의 튀니지 국기가 사용된 것으로 묘사되었다.[15] 하지만 ''세계의 국기(Flags of the World)''의 이반 사체(Ivan Sache)는 이전에 알려지지 않았던 이 국기 디자인이 부정확할 수 있으며, 기자가 행사에 직접 참석하지 않았거나 잘못된 국기 그림을 참고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16]
2. 4. 아랍 이슬람 공화국 국기 (제안)
1973년부터 1974년까지 튀니지와 리비아는 아랍 이슬람 공화국이라는 이름 아래 통일을 추진하는 계획을 세웠다. 이는 당시 하비브 부르기바 대통령이 이끌던 튀니지와 무아마르 카다피가 통치하던 리비아 아랍 공화국 간의 연합 시도였다. 두 정상의 회담 이후, 튀니지 외무 장관 무함마드 마스무디는 공동 성명을 통해 "두 나라는 단일 헌법, 단일 국기, 단일 대통령, 단일 군대, 동일한 행정부, 입법부 및 사법부를 가진 단일 공화국인 아랍 이슬람 공화국을 구성할 것이며, 국민 투표는 1974년 1월 18일에 실시될 것"이라고 발표했다.
그러나 이 계획은 튀니지 내부와 국외의 반대에 부딪혔다. 결국 하비브 부르기바 대통령은 국민 투표가 위헌이라는 이유를 들어 계획을 철회했다. 제안되었던 아랍 이슬람 공화국의 국기는 1972년부터 1977년까지 사용된 리비아 국기의 삼색(빨강, 흰색, 검정)을 바탕으로 하되, 중앙에 있던 매 대신 튀니지를 상징하는 별과 초승달을 넣는 디자인이었다. 조약에는 국기가 "흰색 중앙에 튀니지의 별과 초승달, 그 다음 빨간색과 검은색"으로 구성될 것이라고 명시되어 있었다.
3. 규격과 색상
튀니지 국기의 규격과 색상은 법률로 명확하게 정의되어 있다. 1959년 6월 1일 헌법 제4조는 "튀니지 공화국의 국기는 붉은색이며, 법률이 정하는 조건에 따라 중앙에 붉은 초승달에 둘러싸인 오각별이 있는 흰색 원반이 있다."라고 국기의 기본 형태를 처음 규정했다.[17]
이후 1999년 7월 3일 공포된 유기 법률 제99-56호(6월 30일 채택)[20][18][19]는 헌법 제4조의 내용을 구체화하여, 국기의 세부적인 규격과 사용되는 색상을 처음으로 법적으로 공식화했다.[20] 이에 따라 국기의 정확한 형태, 비율, 문양의 배치 및 크기, 그리고 사용되는 빨강과 하양의 색상 값이 명확히 규정되었다.
3. 1. 규격
튀니지의 국기는 1959년 6월 1일 헌법 제4조에 따라 다음과 같이 정의되었다: "튀니지 공화국의 국기는 붉은색이며, 법률이 정하는 조건에 따라 중앙에 붉은 초승달에 둘러싸인 오각별이 있는 흰색 원반이 있다."[17]
1999년 6월 30일 채택되어 7월 3일[19] 공포된 유기 법률 제99-56호는[20][18] 헌법 제4조를 명확히 하며 처음으로 튀니지 국기를 법적으로 공식화했다.[20] 이 법률에 따른 국기의 구체적인 규격은 다음과 같다.[20]
- 형태 및 비율: 국기는 붉은색 직사각형 모양이며, 너비는 길이의 3분의 2이다.
- 흰색 원반: 국기 중앙에는 흰색 원반이 위치한다. 원반의 지름은 국기 길이의 3분의 1과 같으며, 원반의 중심은 직사각형의 대각선 교차점에 위치한다.
- 붉은 오각별: 붉은색 오각별은 원반의 오른쪽에 위치한다. 별의 중심은 국기 길이의 30분의 1만큼 원반 중심에서 떨어진 지점에 위치한다. 별의 다섯 개 점은 별의 중심에 위치한 가상의 원(지름은 국기 길이의 약 15%) 위에 등거리로 배치되며, 점 중 하나는 가상 원 중심의 왼쪽에 있는 국기의 수평 중앙선 상에 위치한다.
- 붉은 초승달: 별은 붉은색 초승달로 둘러싸여 있다. 초승달은 두 호의 교차로 만들어지며, 바깥쪽 호의 지름은 국기 길이의 4분의 1, 안쪽 호의 지름은 국기 길이의 5분의 1과 같다.
또한, 공화국 대통령이 사용하는 국기에는 상단에 금색으로 "للوطن|알-와탄ara" (국가를 위하여)라는 문구가 쓰여 있다.[20][21] 이 대통령기는 세 개의 외부 가장자리가 금색 술과 붉은 리본으로 장식되어 있으며, 오른쪽 세로 면에는 금색 술이 달리고, 술 근처 깃대에 부착되는 부분에는 별과 초승달이 있는 흰색 원반이 추가된다.[20]
1959년 헌법 제4조는 국기의 모델, 정확한 치수를 포함한 도해 지침, 색상의 기술 사양을 담은 기술 자료의 존재를 명시하고 있다.[20]
튀니지 국기의 색상은 다음과 같다.
색상 | 빨강 | 하양 |
---|---|---|
RGB | 231–0–19 (#E70013) | 255–255–255 (#FFFFFF) |
3. 2. 색상
튀니지의 국기에 사용되는 색상은 다음과 같다.빨강 | 하양 | |
---|---|---|
RGB | 231-0-19 | 255-255-255 |
16진수 | #E70013 | #FFFFFF |
CMYK | 0, 100, 92, 9 | 0, 0, 0, 0 |
4. 상징
프랑스 주재 튀니지 대사관에 따르면, 깃발의 붉은색은 1574년 오스만 제국이 들어서기 전 십자군 전쟁에서 목숨을 잃은 튀니지 순교자들의 피를 상징한다.[11][23] 다른 해석으로는 "붉은 베이(Bey)의 깃발이 이슬람 세계에 빛을 비추었다"는 의미도 있다.[24] 흰색은 평화를, 중앙의 원반은 태양처럼 국가의 광채를 나타낸다. 초승달과 오각별은 각각 모든 무슬림의 단결과 이슬람교의 5대 의무를 상징한다.[23]
루드비크 무차(Ludvík Mucha)는 그의 저서 ''Webster's Concise Encyclopedia of Flags & Coats of Arms''에서 깃발 중앙의 흰색 원반이 태양을 나타낸다고 설명한다. 붉은 초승달과 오각별은 이슬람의 오랜 상징으로 여러 이슬람 국가의 깃발에 사용되었다. 아랍 문화권에서는 초승달이 좋은 행운을 가져다준다고 믿으며, 붉은색은 순교자의 피를 의미한다고 본다.[25]
휘트니 스미스(Whitney Smith)는 초승달 문양이 오늘날 튀니지에 위치했던 카르타고의 푸니 제국 시절부터 문장과 건물에 새겨졌다고 지적한다. 초승달은 이후 이슬람 국가에서 널리 사용되며 이슬람의 상징으로 알려졌지만, 원래는 문화적 상징일 수 있다는 것이다.[26] 마찬가지로 태양 역시 고대 푸니 유물에서 초승달과 함께 자주 발견되며, 특히 고대 푸니 종교와 관련된 타니트의 표식 등에서 그 예를 찾아볼 수 있다.[27]
5. 의례
튀니지 국기는 모든 공공 및 군사 건물에서 볼 수 있다. 또한 이 국기는 지역 및 국제 회의에 참석하는 튀니지 대사, 그리고 전 세계 튀니지 대표부 건물에서도 사용된다.[23] 기념식과 국가 행사에서 엄격한 의례 방식으로 게양된다.[23]
5. 1. 국기의 날
튀니지 국기는 모든 공공 및 군사 건물에서 볼 수 있다. 또한 지역 및 국제 회의에 참석하는 튀니지 대사, 그리고 전 세계 튀니지 대표부 건물에서도 사용된다.[23] 기념식과 국가 행사에서는 엄격한 의례에 따라 게양된다.[23] 아래에 명시된 국기의 날에는 법에 따라 공공 건물에 튀니지 국기를 의무적으로 게양해야 한다.날짜 | 이름 | 비고 |
---|---|---|
12월 17일 | 혁명의 날[28] | 프랑스 당국과 하비브 부르기바가 이끄는 튀니지 민족주의 세력 간의 긴장 시작 (1952)[29] |
3월 20일 | 독립 기념일[30] | 독립 선언 (1956); 기념일이라고도 알려져 있음 |
3월 21일 | 청년의 날[30] | |
4월 9일 | 순교자의 날[31] | 프랑스 군에 의한 민족주의 시위 진압 (1938) |
6월 1일 | 승리의 날[32] | 튀니지 헌법 채택 (1959) |
7월 25일 | 공화국의 날[33] | 공화국 선포 (1957) |
10월 15일 | 철수 기념일[34] | 튀니지의 마지막 프랑스 군사 기지 철수 (1963) |
튀니지 형법 제129조는 튀니지 국기나 외국 국기를 "언어, 문서, 몸짓 또는 기타 방식으로" 공개적으로 모욕하는 행위에 대해 1년 이하의 징역형에 처하도록 규정하고 있다.[35]
6. 그 외의 기
(내용 없음)
6. 1. 대통령기
국기의 색상은 튀니지의 다른 상징물에도 포함되어 있는데, 그 예로 붉은 테두리가 있는 원 안에 초승달과 별이 있는 국장이 있다. 또한, 튀니지 군대 소속 장비는 코케이드의 존재로 시각적으로 식별된다.
대부분의 튀니지 정당은 국기 색상이나 국기 자체를 반영한다.
많은 우표는 국기의 모티프를 반영하며,[36] 그 위에 "밝게" 빛난다.[37]
7. 튀니지 적신월사와의 관계
국제 적십자·적신월 운동은 각국 위원회에 세 가지 주요 상징(십자, 초승달 또는 수정 모양)을 제공한다. 이 상징들은 특정 종교와 직접적인 관련은 없지만, 이슬람교를 믿는 인구가 많은 국가들은 붉은 십자가가 기독교를 연상시킬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오른쪽을 향하는 붉은 초승달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다.[38]
그러나 튀니지의 경우, 오른쪽을 향하는 초승달 상징은 튀니지 군용 항공기나 장비에 표시되는 라운델(국적 마크)과 비슷하여 혼동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혼동을 방지하고, 전쟁이나 분쟁 상황에서 구급차, 의료 시설, 그리고 적신월사 소속 인원의 안전과 중립성을 보장하기 위해, 튀니지 적신월사는 세계에서 유일하게 왼쪽을 향하는 초승달을 공식 로고로 채택하였다.[39] 이는 튀니지 적신월사의 인도주의적 활동이 군사적 활동과 명확히 구분되도록 하기 위한 중요한 결정이다.
참조
[1]
웹사이트
Common historical flag of Tunis
http://www.crwflags.[...]
Flags of the World
2007-12-29
[2]
웹사이트
Bey of Tunis
http://www.crwflags.[...]
Flags of the World
2007-12-29
[3]
서적
Note on the History of the Tunisian Flag
[4]
서적
Entre Bourguiba et Hannibal. Identité tunisienne et histoire depuis l'indépendance
Karthala
[5]
서적
Flag Lore Of All Nations
https://archive.org/[...]
Millbrook Press
[6]
서적
Relations internationales et sous-développement: la Tunisie 1857–1864
Almqvist & Wiksell International
[7]
웹사이트
Le Drapeau de la République Tunisienne
http://www.ministere[...]
Government of Tunisia
2008-07-25
[8]
서적
Ultimate Pocket Flags of the World
Dorling Kindersley
[9]
간행물
Country Profile
http://www.oxfordbus[...]
[10]
뉴스
Histoire du drapeau de la Tunisie
https://tunisie.co/a[...]
Tunisie Tourisme, Culture
2022-06-20
[11]
서적
Le Drapeau tunisien
Alif Éditions
[12]
간행물
Flags in the news
[13]
문서
Hugon, p. 61.
[14]
간행물
Cover picture
[15]
뉴스
Les hôtes de la France: Réception de S. A. le bey de Tunis à L'hôtel de ville de Paris
http://cent.ans.free[...]
1904-07-24
[16]
웹사이트
Tunisia under French Administration
http://www.crwflags.[...]
Flags of the World
2007-07-28
[17]
웹사이트
Constitution de la République Tunisienne
http://www.jurisitet[...]
Government of Tunisia
2008-07-25
[18]
웹사이트
Tunisia: Construction Sheet
http://www.crwflags.[...]
Flags of the World
2006-05-27
[19]
웹사이트
Tunisia
http://www.crwflags.[...]
Flags of the World
2007-07-28
[20]
간행물
Loi du 30 juin 1999 relative au drapeau de la République tunisienne
http://www.legislati[...]
1999-07-06
[21]
웹사이트
Flag of the President as Commander-in-Chief of the Armed Forces
http://www.crwflags.[...]
Flags of the World
2007-11-17
[22]
문서
Based on R. Hook's illustrations for Wise's "Armies of the Carthaginian Wars, 265 – 146 BC"
[23]
웹사이트
Drapeau de la République tunisienne
http://www.amb-tunis[...]
Embassy of the Republic of Tunisia to France
2008-07-26
[24]
서적
L'encyclopédie nomade 2006
Larousse
[25]
뉴스
Drapeaux et Pavillons Tunisie
https://www.drapazur[...]
Drapazur
2022-06-20
[26]
웹사이트
Flag of Tunisia
http://www.britannic[...]
Encyclopædia Britannica
2008-07-26
[27]
문서
The Phoenician solar theology by Joseph Azize, page 177.
[28]
웹사이트
Flag Days of January
http://www.crwflags.[...]
Flags of the World
2007-01-13
[29]
뉴스
Un homme dans le siècle
http://www.jeuneafri[...]
2000-04-11
[30]
웹사이트
Flag Days of March
http://www.crwflags.[...]
Flags of the World
2005-07-30
[31]
웹사이트
Flag Days of April
http://www.crwflags.[...]
Flags of the World
2006-08-26
[32]
웹사이트
Flag Days of June
http://www.crwflags.[...]
Flags of the World
2008-02-23
[33]
웹사이트
Flag Days of July
http://www.crwflags.[...]
Flags of the World
2008-02-23
[34]
웹사이트
Flag Days of October
http://www.crwflags.[...]
Flags of the World
2005-07-30
[35]
웹사이트
Code Pénal
http://jurisitetunis[...]
Government of Tunisia
2008-07-27
[36]
웹사이트
Stamp No. 1634
http://www.tunisia-s[...]
La Poste Tunisienne
2008-07-27
[37]
서적
Solidarités et compétences, idéologies et pratiques
Harmattan
[38]
웹사이트
Emblems and logo {{!}} IFRC
https://www.ifrc.org[...]
2023-01-23
[39]
웹사이트
Croissant Rouge Tunisien
https://croissant-ro[...]
2023-01-23
[40]
서적
だから面白い世界の国旗
善本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