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레이싱 페이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트레이싱 페이퍼는 아황산염 펄프를 사용하여 섬유를 미세하게 분할하고 가수분해하여 제조하는 반투명 종이이다. 고밀도화, 화학 변성, 함침의 세 가지 주요 공정을 거쳐 제조되며, 42~280g/m²의 다양한 면적 밀도를 가진다. 트레이싱 페이퍼는 매끄러운 표면과 노화 방지, 중성, 재활용 가능한 특징을 가지며, 인쇄, 드로잉, 사진 및 영화 조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묘 - 크로키
크로키는 짧은 시간 안에 인물의 특징을 빠르게 포착하여 그리는 미술 기법으로, 모델에게 유리하며 곤충, 동물, 어린이 등 움직이는 대상을 그리는 데에도 유용하다. - 소묘 - 도면
도면은 실제 사물이나 공간을 축척에 따라 일정한 비율로 축소하여 평면에 나타낸 그림으로, 건축, 기계, 전기, 토목, 조경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설계, 시공, 제작 등의 목적으로 활용된다. - 판화 - 식각
식각은 금속판 표면에 디자인을 새기고 부식시켜 음각을 얻는 기법으로, 다니엘 호퍼에 의해 시작되어 렘브란트와 피라네시 같은 거장들이 예술적으로 발전시켰으며, 미술뿐 아니라 반도체, PCB 제조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활용되고 있고, 아쿠아틴트, 소프트 그라운드 에칭 등 다양한 기법이 존재하며, 고대 인더스 문명에서도 그 흔적이 발견될 정도로 역사가 깊다. - 판화 - 드라이포인트
드라이포인트는 날카로운 도구로 판을 긁어 이미지를 만드는 판화 기법으로, 섬세한 표현이 가능하며 현대 미술과 초등학교 미술 교육에도 활용된다. - 미술 재료 - 판지
판지는 종이 섬유를 압축하여 만든 평평한 재료로, 포장재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며, 1817년 영국에서 처음 생산된 후 기술 발전을 거쳐 현재 다양한 종류와 등급으로 생산되는 전 세계적인 산업이다. - 미술 재료 - 종이
종이는 식물 섬유를 주원료로 하는 기록 및 인쇄 매체로, 중국에서 기원하여 채륜에 의해 개량 및 보급되었고, 세계 각지로 전파되어 발전을 거듭하며 현대에는 다양한 종류로 사용되지만 지속 가능한 생산과 환경 문제가 남아있다.
트레이싱 페이퍼 | |
---|---|
개요 | |
종류 | 천연 트레이싱 페이퍼 합성 트레이싱 페이퍼 |
특징 | |
투명도 | 낮음 |
용도 | |
제도 | 제도 용지 |
역사 | |
기원 | 19세기 중반 |
제조 | |
천연 트레이싱 페이퍼 | 황산 처리 |
합성 트레이싱 페이퍼 | 플라스틱 또는 섬유 함침 |
2. 제조 방법
트레이싱 페이퍼는 일반적으로 아황산염 펄프를 사용하여 섬유를 매우 미세하게 만들고 물 속에서 오랫동안 두드려 가수분해하는 방식으로 만들어진다. 종이는 기본적으로 셀룰로스 섬유로 이루어져 있는데, 섬유 사이의 미세한 틈에 공기가 포함되어 빛이 복잡하게 굴절되기 때문에 불투명하게 보인다. 트레이싱 페이퍼는 이러한 섬유 사이의 틈을 줄여 빛의 굴절률 차이를 최소화함으로써 투명성을 얻는다.
트레이싱 페이퍼를 제조하는 주요 방법은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 '''고밀도화''': 셀룰로스 섬유를 기계적으로 매우 잘게 부수고 압축하여 섬유 사이의 공기를 제거하고 밀도를 높이는 방식이다.
- '''화학 변성''': 황산과 같은 화학 물질을 사용하여 셀룰로스 섬유의 표면을 변화시켜 섬유 사이의 틈을 줄이는 방식이다.
- '''함침''': 셀룰로스와 비슷한 굴절률을 가진 유지나 수지를 종이에 침투시켜 섬유 사이의 틈을 메우는 방식이다. 과거 미국에서 주로 사용되었으나 비용 문제로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생산 과정에서의 사이징 처리는 완성된 트레이싱 페이퍼가 레이저 프린터에 적합한지, 아니면 잉크젯이나 오프셋 인쇄에 적합한지를 결정한다. 트레이싱 페이퍼는 표면 코팅이 되어 있을 수도 있고 되어있지 않을 수도 있는데, 레이저 프린터용 천연 트레이싱 페이퍼는 일반적으로 코팅되지 않는다.
트레이싱 페이퍼의 HS 코드는 4806.30이다.[4] 또한, 트레이싱 페이퍼는 재활용이 가능하며, 최대 30%까지 재활용된 섬유를 사용하여 만들 수도 있다.[5]
2. 1. 고밀도화
종이는 기본적으로 셀룰로스 섬유로 이루어져 있는데, 섬유 사이의 미세한 틈에 공기가 포함되어 있다. 셀룰로스의 굴절률은 1.49로 비교적 높으며, 빛이 섬유와 공기 사이를 통과하면서 복잡하게 굴절되기 때문에 종이는 보통 흰색으로 보이고 불투명하다. 트레이싱 페이퍼처럼 종이에 투명성을 주기 위해서는 섬유 사이의 틈을 줄여 빛의 굴절을 최소화해야 한다.고밀도화는 이러한 방법 중 하나로, 원료인 펄프를 기계적으로 매우 잘게 부수고('정련') 오랫동안 두드려 셀룰로스 섬유를 미세하게 만들고 젤라틴화시키는 방식이다. 이렇게 하면 종이를 만들 때 섬유 사이의 공기가 거의 제거되어 내부 구조가 매우 촘촘해진다. 즉, 원료를 잘게 다지고 압축하여 물리적으로 섬유 사이의 틈을 줄여 표면을 평활화하는 것이다. 이 과정을 통해 밀도가 높아져 투명성을 얻게 되며, 대표적인 예로 그래싱지가 있다.
이 방법으로 생산된 트레이싱 페이퍼는 면적 밀도가 42~280g/m2 범위에서 매우 반투명하고 균일한 외관을 가진다.
2. 2. 화학 변성
황산 등으로 셀룰로스 섬유의 표면을 겔화시키고 부풀게 하여 섬유 사이의 틈을 줄이는 방식으로 투명성을 얻는다. 이 방법으로 만들어진 대표적인 종이로는 황산지, 파치먼트지, 모조 양피지 등이 있다.제조 과정은 먼저 일반적인 종이(품질이 좋고 크기 조정이나 충전재가 없는)를 만든 뒤, 이를 몇 초 동안 황산에 담그는 것이다. 산은 일부 셀룰로스를 아밀로이드 형태로 변환시켜 젤라틴처럼 만들고 불투과성을 갖게 한다. 이렇게 처리된 종이를 깨끗하게 세척하고 건조하면, 원래 종이보다 훨씬 인장 강도가 강한 제품이 된다. 이 방식으로 만들어진 트레이싱 페이퍼는 기름, 그리스에 강하며 물과 가스에 대해서도 어느 정도 통과를 막는 성질을 가진다. 마무리 단계에서 황산은 세척하여 제거되므로 최종 제품에는 황산이 포함되지 않는다.
2. 3. 함침
굴절률이 셀룰로스에 가까운 유지나 수지를 침투시켜 섬유 사이의 틈을 메우는 방법이다. 파라핀지가 대표적인 예이다.3. 기술 사양
트레이싱 페이퍼는 낮은 불투명도를 갖도록 만들어져 빛이 통과할 수 있는 종이이다. 순수한 셀룰로스 섬유는 반투명하며, 섬유 사이의 공기가 종이를 불투명하게 만든다.[3] 섬유를 정제하여 공기를 제거하면 종이는 반투명해진다. 반투명한 종이는 밀도가 높고 50% 습도에서 최대 10%의 수분을 함유한다.
천연 트레이싱 페이퍼의 일반적인 사양은 다음과 같다:
다음 표는 트레이싱 페이퍼의 일반적인 표준화 수치이며, 보통 60 g/m2 이상의 평량으로 제조된다.
물질 | 밀도 | 습도 | 거칠기 | 반투명도 | 인장 강도 (mN) | 표면 알칼리 pH |
---|---|---|---|---|---|---|
ISO 536[6] (g/m2) | (kg/m3) | ISO 287[7] (%) | ISO 8791-2[8] (ml/min) | ISO 2469[9] (%) | ISO 1974[10] (mN) | ISO 6588[11][12] (pH) |
42 | 1,200÷1,235 | 7 | 100-300 | 79+/-5 | 220-440 | 6-7 |
53 | 1,200÷1,235 | 7 | 100-300 | 77+/-5 | 220-440 | 6-7 |
63 | 1,220÷1,250 | 7 | 100-300 | 75+/-5 | 220-440 | 6-7 |
73 | 1,220÷1,250 | 7.5 | 100-300 | 75+/-5 | 220-440 | 6-7 |
83 | 1,220÷1,250 | 7.5 | 100-300 | 75+/-5 | 220-440 | 6-7 |
93 | 1,220÷1,250 | 7.5 | 100-300 | 75+/-5 | 220-440 | 6-7 |
100 | 1,220÷1,250 | 7.5 | 100-300 | 75+/-5 | 220-440 | 6-7 |
112 | 1,220÷1,250 | 8 | 100-300 | 73+/-5 | 220-440 | 6-7 |
130 | 1,220÷1,250 | 8 | 100-300 | 69+/-5 | 220-440 | 6-7 |
150 | 1,220÷1,250 | 8 | 100-300 | 65+/-5 | 220-440 | 6-7 |
160 | 1,220÷1,250 | 8 | 100-300 | 61+/-5 | 220-440 | 6-7 |
170 | 1,220÷1,250 | 8 | 100-300 | 59+/-5 | 220-440 | 6-7 |
190 | 1,220÷1,250 | 8 | 100-300 | 55+/-5 | 220-440 | 6-7 |
200 | 1,220÷1,250 | 8 | 100-300 | 53+/-5 | 220-440 | 6-7 |
240 | 1,220÷1,250 | 8 | 100-300 | 47+/-5 | 220-440 | 6-7 |
280 | 1,220÷1,250 | 8 | 100-300 | 45+/-5 | 220-440 | 6-7 |
4. 응용
트레이싱 페이퍼는 인쇄, 미술, 사진 및 영화 제작, 다양한 종이 가공 등 여러 분야에서 폭넓게 활용된다.
4. 1. 전통적인 방식
트레이싱 페이퍼는 다양한 전통적인 방식에서 사용되었다.- 인쇄: 활판 인쇄, 평판 인쇄, 오프셋, 실크 스크린과 같은 전통적인 인쇄 공정에 사용되었다.
- 미술: 잉크, 특히 인도 잉크, 흑연, 연필 등을 사용하는 소묘나 드로잉과 같은 미술 작업에 사용되었다.
- 사진 및 영화 조명: 사진 촬영이나 영화 제작 시 조명의 디퓨전 필터로 사용하여 빛을 부드럽게 확산시키는 미적 효과를 내는 데 사용되었다.
- 가공: 바니시 처리, 라미네이팅, 펀칭, 엠보싱, 접기, 점선 넣기 등 다양한 방식으로 가공될 수 있다.
4. 2. 현대적인 활용
트레이싱 페이퍼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인쇄: 활판 인쇄, 평판 인쇄, 오프셋, 실크 스크린, 레이저 프린터, 잉크젯 프린터 등 다양한 인쇄 방식에 사용된다.
- 미술 및 디자인: 잉크, 인디언 잉크, 흑연, 연필 등을 이용한 드로잉 작업에 쓰인다.
- 사진 및 영상: 사진 촬영이나 영화관 조명에서 빛을 부드럽게 확산시키는 디퓨전 필터로 사용하여 미적 효과를 낸다.
- 가공: 바니시 처리, 라미네이팅, 펀칭, 엠보싱, 접기, 점선 넣기 등 다양한 방식으로 가공될 수 있다.
4. 3. 최종 상품
트레이싱 페이퍼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최종 상품 제작에 사용된다.
참조
[1]
서적
The Craftsman's Handbook "Il Libro dell' Arte"
Dover Publications
1954-06-01
[2]
논문
The History and Identification of Photo-Reproductive Processes Used for Architectural Drawings Prior to 1930
http://resources.cul[...]
1995
[3]
웹사이트
How is paper made translucent (grease proof, tracing paper)?
http://www.paperonwe[...]
[4]
웹사이트
Paper and paperboard; articles of paper pulp, of paper or of paperboard
http://www.wcoomd.or[...]
[5]
웹사이트
Frequently Asked Questions {{!}} Arjoqiggins Creative Papers
https://www.arjowigg[...]
[6]
웹사이트
ISO 536:2012 – Paper and board -- Determination of grammage
https://www.iso.org/[...]
[7]
웹사이트
ISO 287:2009 – Paper and board -- Determination of moisture content of a lot -- Oven-drying method
https://www.iso.org/[...]
[8]
웹사이트
ISO 8791-2:2013 – Paper and board -- Determination of roughness/smoothness (air leak methods) -- Part 2: Bendtsen method
https://www.iso.org/[...]
[9]
웹사이트
ISO 2469:2014 – Paper, board and pulps -- Measurement of diffuse radiance factor (diffuse reflectance factor)
https://www.iso.org/[...]
[10]
웹사이트
ISO 1974:2012 – Paper -- Determination of tearing resistance -- Elmendorf method
https://www.iso.org/[...]
[11]
웹사이트
ISO 6588-1:2012 – Paper, board and pulps -- Determination of pH of aqueous extracts -- Part 1: Cold extraction
https://www.iso.org/[...]
[12]
문서
ISO 6588-2:2012 Paper, board and pulps -- Determination of pH of aqueous extracts -- Part 2: Hot extraction
[13]
웹사이트
How is paper made translucent (grease proof, tracing paper)?
http://www.paperonwe[...]
[14]
웹인용
ISO 536:2012 – Paper and board -- Determination of grammage
https://www.iso.org/[...]
[15]
웹인용
ISO 287:2009 – Paper and board -- Determination of moisture content of a lot -- Oven-drying method
https://www.iso.org/[...]
[16]
웹인용
ISO 8791-2:2013 – Paper and board -- Determination of roughness/smoothness (air leak methods) -- Part 2: Bendtsen method
https://www.iso.org/[...]
[17]
웹인용
ISO 2469:2014 – Paper, board and pulps -- Measurement of diffuse radiance factor (diffuse reflectance factor)
https://www.iso.org/[...]
[18]
웹인용
ISO 1974:2012 – Paper -- Determination of tearing resistance -- Elmendorf method
https://www.iso.org/[...]
[19]
웹인용
ISO 6588-1:2012 – Paper, board and pulps -- Determination of pH of aqueous extracts -- Part 1: Cold extraction
https://www.iso.org/[...]
[20]
문서
ISO 6588-2:2012 Paper, board and pulps -- Determination of pH of aqueous extracts -- Part 2: Hot extracti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