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트루히요 (스페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트루히요는 스페인 에스트레마두라 지방에 위치한 도시로, 선사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했으며 로마 시대에는 투르갈리움으로 불렸다. 711년 이슬람 정복 이후 주요 도시로 발전했으며, 1232년 기독교 세력에 의해 탈환되었다. 트루히요는 풍부한 문화유산을 보유하고 있으며, 15세기 이후 아메리카 대륙 탐험가들의 출신지로도 유명하다. 주요 행사로는 치비리 축제, 국립 치즈 박람회, 승리의 성모 기념 축제 등이 있으며, 여러 도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카세레스도의 자치체 - 플라센시아
    플라센시아는 스페인 카세레스 주에 위치하며 알폰소 8세에 의해 건설된 오랜 역사의 도시로, 플라센시아 신대성당, 플라센시아 수도교 등의 역사 건축물과 몬프라궤 국립 공원 같은 자연 명소가 있는 관광 명소이자 루벤 다리오, 프란시스코 피사로 등 유명 인물을 배출한 곳이다.
  • 카세레스도의 자치체 - 알칸타라
    알칸타라는 스페인 에스트레마두라 지방에 위치한 유서 깊은 도시로, 로마 시대 다리와 수도원이 건설되었으며, 알칸타라 기사단이 창설되었고, 현재는 스페인의 덜 발전된 지역 중 하나이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트루히요 (스페인)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 (스페인어)Trujillo
유형스페인의 지방 자치체
위치에스트레마두라
카세레스 주
트루히요
트루히요
별칭없음
표어없음
로마자 표기Trujillo
행정
국가스페인
자치 공동체에스트레마두라
카세레스 주
시장알베르토 카세로 아빌라
소속 정당PP
면적 및 위치
면적654.53 km²
고도564 m (AMSL)
인구 통계
인구 (2023년)8,699 명
인구 밀도자동 계산
주민없음
기타 정보
시간대CET (UTC+1)
여름 시간 (DST)CEST (UTC+2)
우편 번호10200
지역 번호+34 (스페인) + 927 (카세레스)
웹사이트www.trujillo.es
추가 정보
일본어 이름トルヒーリョ
현지어 현 이름Cáceres

2. 역사

트루히요는 선사 시대부터 화강암 위에 정착한 유서 깊은 도시이다. 로마 시대에는 ''투르갈리움''(Turgalium)이라 불렸으며, 루시타니아 속주의 수도 에메리타 아우구스타(오늘날의 메리다)의 관할 하에 있었다. 서고트족 등 동게르만족의 지배를 받기도 했지만, 주민 대부분은 로마계 후손들이었다.

711년 이슬람 세력의 침입 이후에는 "투르잘라"(ترجالةar)로 불리며 우마이야 왕조의 지배를 받았다. 12세기 초에는 알모라비드 왕조의 공격 대상이 되기도 했다.[2] 알모아드 왕조 시대에는 포르투갈, 카스티야 왕국, 레온 왕국 등 기독교 국가들과 번갈아 가며 지배권이 바뀌는 격변을 겪었다. 1188년부터 1195년까지는 트루히요 기사단의 본부 역할을 하기도 했다.[3]

1232년, 페르난도 3세가 이끄는 기독교 군대에 의해 최종적으로 함락되었다. 이 과정에서 성모 마리아가 나타나 기독교 군대에 승리를 안겨주었다는 전설이 전해진다. 이후 트루히요는 플라센시아, 카세레스 등과 함께 왕실 직할령 도시 중 하나가 되었으며, 알폰소 10세에 의해 푸에로를 부여받았다. 1430년, 후안 2세는 트루히요에 도시 지위를 부여했다.

디에고 가르시아 데 파레데스 (1466–1534), 트루히요 출신의 저명한 군인


중세 시대에는 성벽 밖에 유대인 지구가 형성되었고, 인구 증가와 함께 도시가 확장되었다. 프란시스코 피사로를 비롯한 많은 트루히요 출신 탐험가들이 아메리카 대륙으로 진출하여 부를 축적하고 돌아와 플라자 마요르 주변에 웅장한 저택들을 지었다.

16세기 말에는 그라나다에서 추방된 모리스코들이 유입되기도 했다.[5] 반도 전쟁 시기에는 프랑스 군대에 점령되기도 했지만, 트루히요 시장 안토니오 마틴 리바스의 주도로 저항 운동이 전개되었다. 1834년에는 트루히요 사법 지구의 중심지가 되었다.

2. 1. 선사 및 로마 시대

트루히요는 선사 시대에 화강암 배스리스 위에 정착했다. 로마 시대에는 이 도시를 ''투르갈리움''(Turgalium)이라고 불렀으며, 루시타니아의 수도인 에메리타 아우구스타(오늘날의 메리다)의 이자 봉급지가 되었다. 이후 동게르만족 (주로 서고트족)에 의해 식민지화되었지만, 대부분의 인구는 히스파노-로마인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2. 2. 중세 시대: 이슬람 지배와 레콩키스타

711년 이슬람 정복 이후 트루히요는 이 지역의 주요 도시 중 하나가 되었으며, 아랍어로는 ترجالة|투르잘라ar로 알려졌다. 이 타이파는 우마이야 에미레이트와 그 이후의 칼리파의 지배를 받았으며, 11세기 중반까지 통치했다. 이 기간 동안 베르베르인아랍인 사이의 민족적 긴장은 칼리파를 군사적으로 약화시켰다.

알폰소 6세로부터 알모라비드가 전 톨레도 타이파 영토의 많은 부분을 점령한 후, 트루히요는 12세기 초 탈라베라의 땅을 상대로 알모라비드 ''razzias''가 시작된 곳이 되었다.[2]

알모아드 통치 기간 동안 포르투갈, 카스티야 왕국, 레온 왕국과의 전쟁은 트루히요의 소유를 불안정하게 만들었다. 통치는 이 왕국들과 알모아드 사이에서 번갈아 가며 이루어졌으며, 1195년에 마지막으로 이슬람에게 돌아갔다. 1188년에서 1195년 사이에는 트루히요 군사 기사단의 본부였다.

1196년 봄, 레온 왕국의 도움을 받아 알모아드는 타구스 계곡을 습격하여 이전에 트루히요 기사단에 의해 버려진 산타 크루스와 트루히요를 점령했다.[3]

군사 기사단과 플라센시아 주교의 군대가 페르난도 3세의 지원을 받아 트루히요를 포위했다. 이븐 후드는 도시를 구원하려 했지만 포위 군대에 의해 격퇴되었다.

이 도시는 마침내 1232년 1월 25일에 함락되었다. 현지 전설에 따르면 마지막 공격에서 기독교군은 승리에 이르기 직전에 흔들렸는데, 많은 사람들이 성의 두 탑 또는 ''아르코 델 트리운포'' 사이에 성모 마리아 (스페인어로 ''비르헨 데 라 빅토리아'', 즉 '승리의 성모')를 보았다고 보고했다. 충분히 영감을 받은 기독교군은 공격을 가하여 승리를 거두었고, 안에 있던 이슬람교도를 물리쳤다.

2. 3. 중세 후기 ~ 근세 초기

트루히요는 선사 시대에 화강암 배스리스 위에 정착했다. 로마 시대에는 '투르갈리움'이라고 불렸으며, 루시타니아의 수도인 에메리타 아우구스타(오늘날의 메리다)의 이자 봉급지가 되었다. 이후 동게르만족 (주로 서고트족)에 의해 식민지화되었지만, 대부분의 인구는 여전히 히스파노-로마인이었을 것이다.

711년 이슬람 정복 이후 트루히요는 이 지역의 주요 도시 중 하나가 되었다 (아랍어로는 ترجالة '투르잘라'로 알려짐). 이 타이파는 우마이야 에미레이트와 그 이후의 칼리파의 지배를 받았으며, 11세기 중반까지 통치했다.

알폰소 6세로부터 알모라비드가 전 톨레도 타이파 영토의 많은 부분을 점령한 후, 트루히요는 12세기 초 탈라베라의 땅을 상대로 알모라비드 ''razzias''가 시작된 곳이 되었다.[2]

알모아드 통치 기간 동안 포르투갈, 카스티야 왕국, 레온 왕국과의 전쟁은 트루히요의 소유를 불안정하게 만들었다. 통치는 이 왕국들과 알모아드 사이에서 번갈아 가며 이루어졌으며, 1195년에 마지막으로 이슬람에게 돌아갔다. 1188년에서 1195년 사이에는 트루히요 군사 기사단의 본부였다.

1196년 봄, 레온 왕국의 도움을 받아 알모아드는 타구스 계곡을 습격하여 이전에 트루히요 기사단에 의해 버려진 산타 크루스와 트루히요를 점령했다.[3]

군사 기사단과 플라센시아 주교의 군대가 페르난도 3세의 지원을 받아 트루히요를 포위했다. 이븐 후드는 도시를 구원하려 했지만 포위 군대에 의해 격퇴되었다.

이 도시는 마침내 1232년 1월 25일에 함락되었다. 현지 전설에 따르면 마지막 공격에서 기독교군은 승리에 이르기 직전에 흔들렸는데, 많은 사람들이 성의 두 탑 또는 '아르코 델 트리운포' 사이에 성모 마리아 (스페인어로 '비르헨 데 라 빅토리아', 즉 '승리의 성모')를 보았다고 보고했다. 충분히 영감을 받은 기독교군은 공격을 가하여 승리를 거두었고, 안에 있던 이슬람교도를 물리쳤다.

플라센시아, 카세레스, 코리아와 함께 트루히요는 이 지역의 몇 안 되는 주요 왕실 영지 도시 중 하나였다.

알폰소 10세는 1256년에 트루히요에 ''푸에로''를 부여했다.

후안 2세는 1430년에 트루히요에 도시(''ciudad'')의 지위를 부여했다. 이후 강력한 중세 성벽 밖에 유대인 구역이 있었다. 인구 증가와 함께 트루히요는 점차 벽 밖으로 확장되었다.

2. 4. 근현대

1430년 후안 2세는 트루히요에 도시(''ciudad'') 지위를 부여했다.[4] 이후 중세 성벽 바깥에 유대인 지구가 있었으며, 인구가 늘면서 도시는 점차 성벽 밖으로 확장되었다.

트루히요 출신 탐험가들은 ''트루히야노스''라고 불렸으며, 대서양을 건너 아메리카 대륙으로 갔다. 그들은 귀환하여 플라자 마요르와 그 주변에 웅장한 궁전을 지었는데, 대부분 현재 방문할 수 있다. 프란시스코 피사로는 트루히요 출신 탐험가로, 귀환 후 플라자 마요르에서 그의 가족을 부유하게 만들었다. 잉카 공주의 딸은 17세에 돌아와 삼촌과 결혼하여 트루히요에서 큰 재산을 가진 귀부인으로 여생을 보냈다.

1595년 이후 이 도시는 그라나다에서 강제로 이주된 모리스코들이 도착하는 것을 경험했다.[5] 1610년부터 1611년까지 약 130가구의 ''모리스코'' 가족 (590명)이 트루히요에서 추방되었지만, 지역 사회의 지원을 받은 많은 '구 모리스코'들의 잔존은 여전히 우려의 원인이었다.[6]

독립 전쟁 동안 1808년 5월 모스톨레스의 후타의 요청에 응답한 최초의 당국 중 하나는 트루히요 시장 안토니오 마틴 리바스였으며, 그는 자원병 모집, 음식과 무기 준비, 군대 동원을 통해 후타를 지원했다. 트루히요는 1811년에 프랑스에 점령되어 1812년까지 점령되었다.

1834년에 이 도시는 트루히요 사법 지구의 공식 본부가 되었다. 1842년 인구 조사에서는 110가구, 6026명의 주민이 있었다.

3. 지리

트루히요는 카세레스에서 47km 떨어져 있으며, 몬프라궤 국립공원과 접한다. 쾨펜 기후 분류에서 뜨거운 여름의 지중해성 기후(''Csa'')를 보인다.[4] [5] 에스트레마두라 지방의 많은 도시처럼, 오래된 건물들이 황새의 번식지이며, 새매투우장 및 기타 도시 지역에 둥지를 튼다.[7]

3. 1. 위치

카세레스에서 47km 떨어져 있으며, 몬프라궤 국립공원과 접한다.

3. 2. 기후

트루히요는 수정된 쾨펜 기후 분류에서 뜨거운 여름의 지중해성 기후인 ''Csa''형을 보인다.[4] [5] 1961년부터 2001년까지 트루히요의 기후 데이터는 다음과 같다.[6]

평균 기온 (℃)강수량 (mm)
1월7.2°C67.9mm
2월8.7°C70.4mm
3월11.5°C51.1mm
4월13.6°C60.6mm
5월17.7°C51.4mm
6월22.6°C33mm
7월26.5°C6.8mm
8월26.2°C9.6mm
9월22.5°C39.7mm
10월16.6°C64.6mm
11월11°C86.3mm
12월7.6°C81.6mm
연평균16°C623.1mm


3. 3. 생태

트루히요는 에스트레마두라 지방의 많은 도시와 마찬가지로, 오래된 건물들이 황새의 번식지 역할을 한다. 그 외 주목할 만한 조류로는 새매가 있는데, 이들은 투우장 및 기타 도시 지역에 둥지를 튼다.[7]

4. 문화유산

트루히요에는 풍부한 문화유산이 있다. 주요 기념물로는 알카사바(Alcazaba), 산티아고 교회, 산타 마리아 라 마요르 교회, 산 프란시스코 교회, 산 마르틴 교회, 마요르 광장 등이 있다. 또한 정복 후작의 궁전, 오레야나-피사로 가문의 궁전, 산 카를로스 공작의 궁전, 피에드라스 알바스 후작령과 같은 르네상스 양식의 궁전, 강한 알타미라노의 집, 차베스 궁전(루이스 차베스 올드), 그리고 성벽으로 둘러싸인 구시가지도 빼놓을 수 없다.

피에드라스 알바스 궁전은 1530년경 정복자이자 탐험가인 프란시스코 데 오레야나 가문, 오레야나 후작 가문, 그리고 나중에는 산 후안 데 피에드라스 알바스 후작 가문에 의해 소유되었던 돈 페드로 수아레스 데 톨레도에 의해 지어졌다.

이 도시에는 코리아 박물관(하비에르 살라스 재단), 피사로의 집, 엔리케 엘리아스 박물관(지역 디자이너), 치즈와 와인 박물관 등 여러 박물관이 있다.

5. 행사

트루히요에서는 다음과 같은 행사들이 열린다.


  • 치비리 (Chiviri): 부활절 일요일에 열리는 지역 축제로, 주민들이 전통 의상을 입고 마요르 광장에 모여 노래하고 춤추며 음식을 즐긴다. 부활절 다음 월요일은 도시 공휴일이며, 주민들은 소풍을 가는 풍습이 있다.

  • 국립 치즈 박람회 (National Cheese Fair): 매년 5월 1일에 열리는 스페인 최대 규모의 치즈 경연 대회이다. 마요르 광장에서 스페인 전역의 치즈를 맛볼 수 있으며, 매년 약 10만 명이 방문한다.[9]

  • 승리의 성모 기념 축제 (Festivities in honour of Virgen de la Victoria): 8월 말 또는 9월 초에 열리는 축제로, 승리의 성모 상을 성에서 마요르 광장의 산 마르틴 성당으로 옮겨 종교 행사를 거행한다. 또한, 꼭두각시 인형극, 음악, 무용, 연극 축제 등 다양한 행사가 열리며, 지역 청소년 중에서 '축제의 여왕'을 선출한다.

5. 1. 치비리 (Chiviri)

치비리 동안의 마요르 광장


부활절 일요일에 성주간의 절정이 기념되며, 이는 지역 관심 행사로 선언되었다. 마을 광장은 지역 의상을 입은 사람들로 가득하다. 사람들은 치비리의 리듬에 맞춰 노래하고, 춤을 추고, 먹고 마신다. 부활절 다음 날인 월요일은 도시의 공휴일이며, 현지인들은 소풍을 위해 시골로 가는 관습이 있다.

5. 2. 국립 치즈 박람회 (National Cheese Fair)

매년 5월 1일에 스페인에서 가장 중요한 치즈 경연대회인 국립 치즈 박람회가 열린다. 마요르 광장은 스페인 전역의 치즈를 맛볼 수 있는 거대한 박람회장이 된다. 이 축제에는 많은 인파가 몰리며, 주최측은 매년 약 10만 명이 참석한다고 보고했다.[9]

5. 3. 승리의 성모 기념 축제 (Festivities in honour of Virgen de la Victoria)

8월 말 또는 9월 초에 열리는 축제이다. 축제 기간 동안에는 승리의 성모 상이 성의 예배당에 있는 평소 자리에서 '마요르 광장'에 있는 산 마르틴 성당으로 옮겨지며, 이곳에서 종교 행사가 거행된다. 또한, 미겔 피노와 함께하는 '용감한 페네케' 꼭두각시 인형극, 카페아, 성에서 열리는 음악, 무용, 연극 축제 등이 열린다. 지역 청소년이 "축제의 여왕"으로 선출되며 그녀만의 수행원을 거느린다.

6. 자매 도시

도시국가
알마그로Almagro|알마그로es, 스페인
바탈랴Batalha|바탈랴pt, 포르투갈
카스테냐토Castegnato|카스테냐토it, 이탈리아
산타페데안티오키아콜롬비아
피우라페루
트루히요Trujillo|트루히요es, 페루
트루히요Trujillo|트루히요es, 온두라스


참조

[1] 웹사이트 The 10 Best Trujillo Hotels of 2018 (with Prices from £27) – Trujillo Accommodation http://www.tripadvis[...] TripAdvisor 1970-01-01
[2] 간행물 Reconquista y repoblación de la tierra toledana https://realacademia[...] Instituto Provincial de Investigaciones y Estudios Toledanos
[3] 간행물 La Orden de Trujillo y los reinos de León y Castilla (1188-1195) https://dialnet.unir[...]
[4] 웹사이트 Criteria for classification of major climatic types in modified Köppen system http://snow.cals.uid[...] Prentice Hall
[5] 웹사이트 Atlas climático ibérico http://www.aemet.es/[...] Agencia Estatal de Meteorología
[6] 웹사이트 Programa SIGA. Promedios climáticos en la estación 3465 de Trujillo http://sig.magrama.e[...]
[7] 웹사이트 Trujillo http://www.zepaurban[...] 2018-04-15
[8] 웹사이트 Palacio de Piedras Albas http://search.knight[...] Knight Frank
[9] 웹사이트 Feria del Queso de Trujillo. Web oficial. – La Feria http://www.feriadelq[...]
[10] 웹인용 Programa SIGA. Promedios climáticos en la estación 3465 de Trujillo http://sig.magrama.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