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티파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티파자는 고대 페니키아 무역 기지였으며 로마 시대에 자치시로 발전한 알제리의 도시이다. 로마 시대에 기독교 중심지였으나, 반달족과 우마이야 칼리파조에 의해 파괴되었다. 19세기에 재건되어 현재 약 3만 명이 거주하며, 티파자 장파 송신소가 위치해 있다. 1982년 젬밀라, 팀가드와 함께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으나, 환경 악화로 인해 위험 유산으로 지정되기도 했다가, 이후 보호 조치로 해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알제리의 세계유산 - 타실리나제르
    알제리 남동부에 위치한 타실리나제르는 사암 암석림 지형과 다양한 암각화로 유명하며 과거 사바나 기후였음을 보여주는 고고학적 가치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지정된 고원이다.
  • 알제리의 세계유산 - 팀가드
    팀가드는 로마 황제 트라야누스에 의해 건설된 군사 식민 도시로, 로마 문화의 영향을 받아 발전했으며 기독교와 도나투스파의 중심지가 되었다가 8세기 초 이슬람 정복 이후 멸망하여 1982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 알제리의 유적 - 타실리나제르
    알제리 남동부에 위치한 타실리나제르는 사암 암석림 지형과 다양한 암각화로 유명하며 과거 사바나 기후였음을 보여주는 고고학적 가치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지정된 고원이다.
  • 알제리의 유적 - 히포 레기우스
    히포 레기우스는 고대 알제리에 위치했던 도시로, 페니키아인들이 건설했으며 로마 시대에 번성하여 성 아우구스티누스가 주교로 활동했고, 반달족, 동로마 제국, 이슬람 세력의 지배를 거쳐 1832년 프랑스에 의해 보네로 개명되었으며, 초기 기독교의 중요한 중심지였다.
  • 아프리카의 세계유산 - 악숨
    악숨은 에티오피아 티그라이 주에 위치한 고대 악숨 왕국의 수도로, 독자적인 문자와 건축 양식을 발전시키고 기독교를 공식 종교로 채택하여 번성했으며, 웅장한 유적과 역사적인 종교적 장소들을 통해 그 흔적을 간직하고 있는 역사적인 지역이다.
  • 아프리카의 세계유산 - 티야
    티야는 에티오피아 소도 지역의 고고학 유적으로, 석비에 새겨진 레리에프와 장례 의식 관련 추정으로 독특한 예술적 가치를 지니며 에티오피아 거석문화의 중요한 증거로서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
티파자 - [지명]에 관한 문서
일반 정보
공식 명칭티파자
로마자 표기Tipaza
아랍어 표기تيبازة
지리 정보
위치알제리 티파자 주
기후지중해성 기후(Csa)
행정 정보
국가알제리
티파자 주
티파자 군
인구 정보
인구 (2008년)25,225명
기타 정보
세계유산 등재 연도1982년
세계유산 등재 기준3, 4
세계유산 ID193
티파자 등대
티파자 등대

2. 역사

티파자는 고대 페니키아인들에 의해 무역 기지로 처음 세워졌다. 이후 고대 로마의 지배 아래 군사 식민지이자 자치시로 발전하며 번영을 누렸고, 초기 기독교의 중요한 중심지 역할을 하기도 했다.[4] 그러나 5세기 반달족의 침입과 7세기 말 우마이야 칼리파조 군대에 의해 파괴되어 오랜 기간 폐허로 남았다.[5] 근현대에 들어서는 알제리 방송사의 라디오 송신소가 위치하게 되었으며[6], 베르베르어를 사용하는 체누아족의 주요 거주지 중 하나이다.

2. 1. 고대

페니키아인들은 티파자를 푸니 무역 기지로 건설했다. 이후 고대 로마에 정복되었고, 황제 클라우디우스는 이곳을 마우레타니아 왕국 정복을 위한 군사 식민지로 삼았다.[4] 이후 티파자는 '콜로니아 엘리아 티파센시스'(Colonia Aelia Tipasensisla)라는 이름의 자치시(municipium)로 승격되었다. 스테판 그셀에 따르면, 4세기에는 인구가 2만 명에 달할 정도로 번성했다.

로마 통치 시기 티파자는 중요한 기독교 중심지였으며, 3개의 대성당이 세워졌다. 도시는 바다가 내려다보이는 세 개의 작은 언덕 위에 자리 잡았는데, 대부분의 집은 중앙 언덕에 있었지만 현재 그 흔적은 남아있지 않다. 대신 서쪽 언덕의 대바실리카(Great Basilica)와 알렉산데르 대성당(Basilica Alexander), 동쪽 언덕의 성 살사 대성당(Basilica of St Salsa)을 포함한 3개의 교회 유적과 2개의 묘지, 목욕탕, 극장, 원형극장 등의 유적이 남아있다. 성벽의 윤곽도 뚜렷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동쪽 언덕 아래에는 항구 유적이 있다.

대성당 주변 묘지에는 모자이크로 덮인 석관들이 늘어서 있다. 스테판 그셀이 발굴한 성 살사 대성당은 본당 하나와 두 개의 익랑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모자이크 문양이 남아있다. 대 바실리카는 수 세기 동안 채석장으로 사용되었지만, 7개의 익랑으로 나뉘었던 교회의 평면도는 알아볼 수 있다. 교회 터 아래에서는 단단한 돌 지반을 깎아 만든 묘석들이 발견되었는데, 그중에는 지름 18m의 원형 공간에 24개의 석관을 안치했던 흔적도 있다.

기독교는 일찍 전파되어 3세기에는 티파자에 주교좌가 설치되었지만, 주민의 대부분은 비기독교인이었다. 4세기에는 성녀 살사의 순교 전설이 생겨났다. 전설에 따르면, 기독교도 처녀였던 살사는 주민들이 숭배하던 뱀 우상의 머리를 바다에 던졌다가 격분한 주민들에게 돌에 맞아 죽었다. 그러나 그녀의 시신은 기적적으로 바다에서 건져져 항구 위 언덕에 묻혔고, 그 자리에 작은 예배당이 세워졌는데 이것이 후에 성 살사 대성당이 되었다고 전해진다.

서기 430년, 티파자는 반달족에 의해 파괴되었다. 484년에는 반달족의 왕 후네릭(Huneric)이 이 지역에 아리우스파 주교를 파견하자, 많은 주민들이 박해를 피해 스페인으로 도망쳤고 남은 주민들은 가혹한 박해를 받았다. 한 세기 후 비잔틴 제국에 의해 도시가 재건되었지만, 7세기 말에는 우마이야 칼리파조 군대에 의해 다시 파괴되어 폐허가 되었다.[5] 이후 아랍인들은 이곳에 정착하지 않았다.

2. 2. 근현대

티파자 인근에는 티파자 장파 송신기가 위치해 있으며, 알제리 방송사의 프랑스어 채널 3 라디오 프로그램을 252 kHz의 장파 주파수로 방송한다. 이 주파수는 유럽 여러 지역에서도 수신이 가능하다. 252 kHz의 티파자 방송국은 2014년 3월 17일부터 운영이 중단되었으나, 현재 252 kHz로 다시 방송을 송출하고 있다.[6]

이 도시와 그 주변 지역에는 서부 알제리에서 가장 큰 베르베르어를 사용하는 체누아 사람들이 거주한다.

3. 세계유산

알제리의 다른 로마 도시 유적인 젬밀라, 팀가드 등과 함께 1982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등재 기준은 문화유산 (iii), (iv)이다. 등록된 유적은 티파자 서부 고고 공원(Tipasa: Parc archaéologique ouest프랑스어, 세계유산 ID193-001), 티파자 동부 고고 공원 (Tipasa: Parc archaéologique est프랑스어, ID193-002), 사자 기념탑 (Mausoleum Kbor er Roumia프랑스어, ID193-003)의 세 곳이다.

티파자 유적군은 국립 고고학 공원으로 지정되었으나, 보호 조치가 미흡하여 유적의 환경 악화가 심각해졌다. 이 때문에 2002년에 위험 유산 목록에 등재되었다. 이후 알제리 정부의 보호 관련 법 제도 정비와 관리 계획 수립 등 노력을 통해 유적 상태가 개선되어 2006년에 위험 유산 목록에서 제외되었다[7].

3. 1. 주요 유적

페니키아인에 의해 건설된 티파자는 클라우디우스 황제 시대에 고대 로마의 군사 기지가 된 후 도시(자치시)로 발전했다.[4] 도시는 바다가 내려다보이는 세 개의 작은 언덕 위에 세워졌는데, 중앙 언덕에는 주로 집들이 있었으나 현재 그 흔적은 남아있지 않다. 대신 동쪽과 서쪽 언덕에 주요 유적이 집중되어 있다.

주요 유적은 다음과 같다.

  • 바실리카 (Great Basilica): 서쪽 언덕에 위치한 가장 큰 교회 유적이다. 7개의 익랑으로 구성되었던 것으로 추정되며, 오랜 기간 채석장으로 사용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교회의 평면 구조는 알아볼 수 있다. 교회 토대 아래에는 단단한 암반을 깎아 만든 묘지들이 있으며, 그중에는 지름 18m 크기의 원형 공간에 24개의 석관을 안치했던 흔적도 발견되었다.
  • 알렉산데르 대성당 (Basilica Alexander): 서쪽 언덕에 위치한 또 다른 교회 유적이다.
  • 성 살사 대성당 (Basilica of St Salsa): 동쪽 언덕에 위치하며, 스테판 그셀(Stéphane Gsell)에 의해 발굴되었다. 하나의 본당과 두 개의 익랑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바닥에는 모자이크 문양이 남아있다. 전설에 따르면, 4세기경 기독교 신자였던 소녀 살사가 도시 주민들이 숭배하던 뱀 우상의 머리를 바다에 던졌다가 격분한 군중에 의해 돌에 맞아 순교했다고 한다. 기적적으로 바다에서 시신이 수습되어 언덕에 묻혔고, 그 자리에 작은 예배당이 세워진 것이 이 대성당의 기원이라고 전해진다.
  • 묘지: 바실리카 주변에 넓게 분포하며, 모자이크로 화려하게 장식된 석관들이 다수 발견되었다.
  • 기타 로마 시대 시설: 고대 로마 도시의 생활상을 엿볼 수 있는 목욕탕, 극장, 원형극장 등의 유적이 남아있다.
  • 성벽: 도시를 둘러쌌던 성벽의 윤곽이 뚜렷하게 남아있다.
  • 항구 유적: 동쪽 언덕 아래에서 고대 항구의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이 유적들은 티파자가 로마 통치 아래 중요한 도시였으며, 특히 3세기 이후 기독교의 중심지 역할을 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430년 반달족의 침입과 파괴[5], 484년 반달족의 왕 후네리크가 아리우스파 주교를 파견한 이후 주민들의 이주와 박해 등으로 도시는 점차 쇠퇴하였다.

4. 갤러리

티파자 유적


티파자 유적


티파자 유적

참조

[1] 웹사이트 Tipaza http://www.onsm-dz.c[...] Ministere des Travaux Publics 2017-05-03
[2] 간행물 113 2015
[3] 웹사이트 dza 2017-05-03
[4] Unesco Unesco-page https://whc.unesco.o[...]
[5] 학술지 Fouilles de M. Gsell à Tipasa : Basilique de Sainte Salsa http://www.persee.fr[...]
[6] 웹사이트 tuned to 252khz, as of 2015 Sept. 22 http://www.globaltun[...]
[7] 보고서 世界遺産年報2002
[8] 보고서 世界遺産年報2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