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팀가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팀가드는 로마 황제 트라야누스에 의해 서기 100년에 군사 식민지로 건설된 고대 도시이다. 원래 마르시아나 트라야나 타무가디로 불렸으며, 베르베르어 지명에서 유래된 타무가드는 "봉우리" 또는 "정상"을 의미한다. 로마 문화의 영향을 받아 발전했으며, 3세기부터 기독교의 중심지, 4세기에는 도나투스파의 중심지가 되었다. 5세기에 반달족에게 약탈당하고 쇠퇴했으며, 비잔틴 제국에 의해 재건되었으나 8세기 초 이슬람 정복 이후 멸망했다. 1765년 스코틀랜드 탐험가 제임스 브루스에 의해 재발견되었으며, 1982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알제리의 로마 유적 - 테베사
    테베사는 알제리 테베사 주의 주도로, 고대 로마 시대 테베스테로 불렸으며 로마 제국 시기 번성했던 도시로 카라칼라 개선문 등 다양한 고대 유적이 남아있고 마니교의 중심지였으며, 오늘날 알제리 및 튀니지의 여러 지역과 연결되어 있다.
  • 바트나주의 건축물 - 무스테파 벤 불레이드 공항
    무스테파 벤 불레이드 공항은 알제리에 위치하며, 알제리 항공과 트란스아비아 프랑스가 이용하며, 알제, 리옹, 마르세유, 파리 오를리 공항 등으로 정기 운항한다.
  • 알제리의 세계유산 - 타실리나제르
    알제리 남동부에 위치한 타실리나제르는 사암 암석림 지형과 다양한 암각화로 유명하며 과거 사바나 기후였음을 보여주는 고고학적 가치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지정된 고원이다.
  • 알제리의 세계유산 - 제밀라
    제밀라는 알제리에 있는 고대 로마 유적지로, 로마 군사 기지에서 도시로 발전하여 카라칼라 황제 시대에 확장되었고, 기독교 확산 후 교회 구역이 건설되기도 했으며, 유스티니아누스 1세에 의해 재건되기도 한, 현재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로마 도시 계획과 건축 기술의 뛰어난 사례이다.
팀가드
기본 정보
티imgad의 로마 유적
로마자 표기Timgeudeu
다른 이름Tamugas
Tamugadi
위치바트나 주, 알제리
지역마그레브
유형정착지
건설 시기서기 100년
폐허 시기7세기
시대로마 제국
세계 유산 등재 정보
명칭팀가드
등재 연도1982년 (제6차 회의)
지정 번호194
등재 기준ii, iii, iv
유형문화유산
지역아랍 국가
지리
위치 좌표35
거리35

2. 명칭

과거 팀가드의 이름인 마르시아나 트라야나 타무가디(Marciana Traiana Thamugadi)에서 앞부분인 마르시아나 트라야나는 로마식으로, 도시를 세운 황제 트라야누스와 그의 누이 마르시아나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1] 이름의 뒷부분인 타무가디(Thamugadi)는 "라틴어와는 전혀 관계가 없다".[2] 타무가디는 도시가 건설된 장소의 베르베르어 이름으로, 타무가드(Tamgut)의 복수형이며 "봉우리" 또는 "정상"을 의미한다.[2]

3. 역사

100년 트라야누스 황제가 건설한 티무가드는 로마 제국의 군사 식민지였다. 초기에는 오레스 산맥의 베르베르인에 대한 요새 역할을 했으며, 로마군 퇴역 군인과 식민지 주민들이 주로 거주했다.[3][4] 이들은 로마 문화와 정체성에 깊이 관여했다.[5]

티무가드는 처음 몇 백 년 동안 평화로웠으며, 3세기부터 기독교 활동의 중심지가 되었고, 4세기에는 도나투스파의 중심지로 발전했다. 옵타투스 주교가 도나투스파 운동의 대변인으로 활동하면서 4세기 말에 티무가드는 더욱 유명해졌다.[6]

5세기반달족의 약탈로 쇠퇴하기 시작한 티무가드는 5세기 말 오레스 산맥의 베르베르 부족에 의해 파괴되었다. 539년 무어 전쟁 중 비잔틴 제국의 장군 솔로몬이 도시를 재건하고 비잔틴 북아프리카에 편입시켰다.[7] 그러나 초기 이슬람 정복으로 인해 8세기까지 사람이 살지 않게 되면서 티무가드는 결국 역사 속에서 사라졌다.[8]

1765년 12월 12일, 스코틀랜드 탐험가 제임스 브루스가 티무가드 유적을 방문하여 수 세기 만에 유럽인으로서 처음으로 이 도시를 발견했다. 그는 티무가드를 "작지만 우아한 건물들로 가득 찬 작은 마을"이라고 묘사했다.[9] 1875년 로버트 램버트 플레이페어는 브루스의 기록에 영감을 받아 티무가드를 방문했으며, 1877년 자신의 저서에서 티무가드를 상세히 묘사했다.[9] 1881년부터 1960년까지 프랑스 식민지 개척자들은 이 지역을 체계적으로 발굴했다.[10]

3. 1. 로마 시대

티무가드는 서기 100년 트라야누스 황제에 의해 군사 식민지로 건설되었다. 이 도시는 인근 오레스 산맥의 베르베르인에 대한 로마의 요새 역할을 하기 위해 만들어졌으며, 원래는 주로 로마군 퇴역 군인과 식민지 주민들이 거주했다.[3][4] 비록 그들 대부분은 로마를 본 적이 없었고, 티무가드는 이탈리아 도시에서 수백 마일이나 떨어져 있었지만, 로마 문화와 정체성에 크게 투자했다.[5]

도시는 처음 몇 백 년 동안 평화로운 존재를 누렸으며 3세기부터 기독교 활동의 초기 기독교 중심지가 되었고, 4세기에는 도나투스파의 중심지가 되었다. 기독교 시대 동안, 티무가드는 교구였으며, 옵타투스 주교도나투스파 운동의 대변인이 되면서 4세기 말에 유명해졌다. 옵타투스 이후, 탐가다이에는 가우덴티우스(도나투스파)와 파우스티누스(가톨릭) 두 명의 주교가 있었다.[6]

5세기에 도시는 반달족에게 약탈당한 후 쇠퇴하기 시작했다. 티무가드는 5세기 말에 오레스 산맥의 베르베르 부족에 의해 파괴되었다.

3. 2. 반달족과 비잔틴 제국 시대

팀가드는 서기 100년 트라야누스 황제에 의해 군사 식민지로 건설되었다. 이 도시는 인근 오레스 산맥의 베르베르인에 대한 로마의 요새 역할을 하기 위해 만들어졌으며, 원래는 주로 로마군 퇴역 군인과 식민지 주민들이 거주했다.[3][4] 이들은 로마를 본 적이 없었고, 티무가드는 이탈리아 도시에서 수백 마일이나 떨어져 있었지만, 로마 문화와 정체성에 크게 투자했다.[5]

도시는 처음 몇 백 년 동안 평화로운 시기를 보냈으며, 3세기부터 기독교 활동의 초기 기독교 중심지가 되었고, 4세기에는 도나투스파의 중심지가 되었다. 기독교 시대 동안, 티무가드는 교구였으며, 옵타투스 주교도나투스파 운동의 대변인이 되면서 4세기 말에 유명해졌다. 옵타투스 이후, 탐가다이에는 가우덴티우스(도나투스파)와 파우스티누스(가톨릭) 두 명의 주교가 있었다.[6]

5세기에 도시는 반달족에게 약탈당한 후 쇠퇴하기 시작했다. 5세기 말에는 오레스 산맥의 베르베르 부족에 의해 파괴되었다. 서기 539년, 무어 전쟁 동안, 비잔틴 제국의 장군 솔로몬이 도시를 탈환하고 재건하여 비잔틴 북아프리카에 편입시켰다. 재정복은 도시의 일부 활동을 되살렸고, 도시는 무어족에 대한 방어선의 일부가 되었다.[7] 그러나 초기 이슬람 정복으로 인해 탐가다이는 8세기까지 사람이 살지 않게 되면서 최종적으로 멸망했다.[8]

3. 3. 이슬람 시대와 쇠퇴

티무가드는 처음 몇 백 년 동안 평화로운 시기를 보냈으며, 3세기부터 기독교 활동의 초기 기독교 중심지가 되었고, 4세기에는 도나투스파의 중심지가 되었다. 옵타투스 주교도나투스파 운동의 대변인으로 4세기 말에 유명해졌다. 옵타투스 이후, 탐가다이에는 가우덴티우스(도나투스파)와 파우스티누스(가톨릭) 두 명의 주교가 있었다.[6]

5세기에 도시는 반달족에게 약탈당한 후 쇠퇴하기 시작했다. 티무가드는 5세기 말에 오레스 산맥의 베르베르 부족에 의해 파괴되었다. 서기 539년, 무어 전쟁 동안, 비잔틴 제국의 장군 솔로몬이 도시를 탈환하고 재건하여 비잔틴 북아프리카에 편입시켰다. 재정복은 도시의 일부 활동을 되살렸고, 도시는 무어족에 대한 방어선의 일부가 되었다.[7] 그러나 초기 이슬람 정복으로 인해 탐가다이는 8세기까지 사람이 살지 않게 되면서 최종적으로 멸망했다.[8]

3. 4. 근대 이후 재발견

스코틀랜드 탐험가 제임스 브루스는 북아프리카를 여행하며 1765년 12월 12일에 티무가드 유적에 도착했는데, 이는 수세기 만에 유럽인이 처음 방문한 것으로 추정된다. 브루스는 티무가드를 "작지만 우아한 건물로 가득 찬 작은 마을"이라고 묘사했다.[9] 1790년, 그는 "나일강의 발원지를 찾아서"라는 책을 출판하여 티무가드에서 발견한 것을 기술했다. 이 책은 영국에서 회의적인 반응을 얻었으나, 1875년 로버트 램버트 플레이페어가 브루스의 기록에 영감을 받아 알제리의 영국 영사로서 티무가드를 방문하면서 재조명되었다.[9] 1877년 플레이페어는 그의 저서 "알제리와 튀니스의 브루스의 발자취를 따라"에서 티무가드를 더 자세히 묘사하며, "이 언덕들은 수많은 가장 흥미로운 거석 유물로 덮여 있다"라고 기록했다.[9] 이후 프랑스 식민지 개척자들이 1881년에 이 지역을 장악하여 조사를 시작했고, 1960년까지 체계적인 발굴 작업을 진행했다.[10]

4. 도시 구조

팀가드는 여섯 개의 도로가 교차하는 지점에 위치한 도시로, 성벽으로 둘러싸여 있었다. 하지만 요새화되지는 않았다. 원래 약 15,000명의 인구를 수용하도록 설계되었으나, 빠르게 성장하여 원래 설계를 넘어 직교 격자 밖으로 확장되었다. 도시가 세워질 당시 주변 지역은 해발 약 1000m의 비옥한 농업 지역이었다.

4. 1. 주요 시설

고고 유적지 지도


데쿠마누스 막시무스(동서 방향 거리)와 부분적으로 복원된 코린트식 기둥이 늘어선 카르도(북남 방향 거리)를 통해 원래의 로마식 격자 계획을 볼 수 있다. ''카르도''는 도시 전체를 관통하지 않고 ''데쿠마누스''와 교차하는 지점의 ''포럼''에서 끝난다.

''데쿠마누스'' 서쪽 끝에는 1900년에 부분적으로 복원된 12m 높이의 트라야누스 개선문이 있다. 이 개선문은 주로 사암으로 만들어졌으며, 코린트식 기둥을 사용하고 3개의 아치로 구성되어 있으며, 중앙 아치는 폭이 약 3.35m이다. 이 개선문은 팀가드 개선문이라고도 알려져 있다.

3,500석 규모의 극장은 상태가 좋으며 현대 공연에 사용된다. 다른 주요 건물로는 4개의 테르메, 도서관, 바실리카 등이 있다.

''카피톨린 신전''은 유피테르에게 헌정되었으며, 로마의 판테온과 거의 같은 크기이다. 카피톨 근처에는 서기 7세기의 원형 앱스가 있는 사각형 교회가 있다. 성소 중 하나에는 (데아) 아프리카의 도상이 있었다.[11] 도시 남쪽에는 도시 후기에 지어진 대규모 비잔틴 시타델이 있다.

팀가드 유적의 모습


팀가드 도서관은 율리우스 퀸티아누스 플라비우스 로가티아누스가 로마 시민에게 기증한 것으로, 그 비용은 40만 세스테르티우스였다.[12] 이 기증자에 대한 추가 정보가 발견되지 않아 도서관 건립의 정확한 날짜는 불확실하다. 남아있는 고고학적 증거를 바탕으로 학자들은 3세기 말이나 4세기에 지어졌을 것으로 추정한다.[12]

도서관은 약 24.69m 길이에 약 23.47m 너비의 직사각형 모양이다.[12] 큰 반원형 방과 양쪽에 두 개의 부속 직사각형 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열린 공간의 세 면을 둘러싼 U자형 열주 현관이 앞에 위치해 있다. 현관 양쪽에는 두 개의 길고 좁은 방이 있으며, 커다란 아치형 홀은 열람실, 서고, 아마도 강당의 기능을 겸했을 것이다.[12] 직사각형 벽감에는 벽을 따라 나무 선반이 있었을 것이고, 이는 에페소스 도서관에서 발견된 추가 증거를 바탕으로 옆면, 뒷면 및 문까지 갖추고 있었을 것이다.[12]

방 중앙에 독립된 책장과 열람대가 있었을 가능성도 있다.[12] 팀가드 도서관의 건축은 특별히 주목할 만한 점은 없지만, 이 도서관의 발견은 이 로마 도시에 완벽하게 갖춰진 도서관 시스템이 존재했음을 보여주며, 이는 높은 수준의 학습과 문화를 나타낸다는 점에서 역사적으로 중요하다. 도서관이 소장했던 장서의 규모에 대한 증거는 없지만, 3,000개의 두루마리를 수용할 수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12]

5. 세계유산

팀가드는 1982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팀가드는 알제리의 젬밀라, 티파사 등과 같은 고대 로마 도시이다.

5. 1. 등록 기준

팀가드는 1982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록 기준
기준내용
(ⅱ)특정 기간이나 문화권 내 건축, 기술, 유적, 도시 계획, 경관 디자인의 발전에서 인류 가치의 중요한 교류를 보여주는 것
(ⅲ)현존하거나 사라진 문화적 전통이나 문명의 독보적이거나 적어도 특출한 증거
(ⅳ)인류 역사에서 중요한 단계를 예증하는 건물, 건축이나 기술의 총체, 경관 유형의 대표적 사례


참조

[1] 서적 Dictionnaire toponymique et historique de l'Algérie: comportant les principales localités, ainsi qu'un glossaire des mots arabes et berbères entrant dans la composition des noms de lieux https://books.google[...] Achab 2012
[2] 간행물 La politique municipale de l'empire romain en Afrique proconsulaire de Trajan à Septime-Sévère http://www.persee.fr[...] 1972-08-09
[3] 서적 A Companion to North Africa in Antiquity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22
[4] 서적 Ancient Rome: The Definitive Visual History https://books.google[...] Penguin 2023
[5] 웹사이트 Buried in Sand for a Millennium: Africa's Roman Ghost City https://www.messynes[...] 2020-01-15
[6] 서적 The Bible in Christian North Africa: The Donatist World https://books.google[...] Fortress Press
[7]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Byzantium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001
[8] 웹사이트 Timgad https://whc.unesco.o[...]
[9] 서적 Travels in the footsteps of Bruce in Algeria and Tunis : illustrated by facsimiles of his original drawings http://archive.org/d[...] London : C. Kegan Paul 1877
[10] 뉴스 The Sahara buried this ancient Roman city—preserving it for centuries https://web.archive.[...] National Geographic 2019-07-30
[11] 서적 "L'Africa romana : mobilità delle persone e dei popoli, dinamiche migratorie, emigrazioni ed immigrazioni nelle province occidentali dell'Impero romano : atti del XVI Convegno di studio, Rabat, 15–19 dicembre" Carocci 2006
[12] 논문 The Roman Library at Timgad 19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