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파르크소사우루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파르크소사우루스는 약 6950만 년 전 호스슈 캐니언 지층에서 발견된 조반류 공룡의 한 속이다. 1926년 윌리엄 파크스에 의해 테스켈로사우루스 와레니로 처음 명명되었으며, 1940년 찰스 모트람 스턴버그에 의해 파르크소사우루스로 분류되었다. 파르크소사우루스는 몸길이 약 2.5m, 몸무게 약 45kg의 소형 초식 공룡으로, 튼튼한 뒷다리와 다른 힙실로포돈류보다 긴 두개골을 가지고 있었다. 힙실로포돈과에 속하며, 테스켈로사우루스와 유사한 특징을 공유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37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엘리오츠미시아
    엘리오츠미시아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후기 미들페름기에 서식했던 바라노피드 시냅시드로, 길고 가느다란 주둥이와 톱니 모양의 이빨을 가지고 곤충과 작은 척추동물을 사냥했을 것으로 추정되며, 1937년 로버트 브룸 박사에 의해 명명되었고, 현재는 바라놉시드 쇄골로 분류된다.
  • 1937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코틸로린쿠스
    코틸로린쿠스는 페름기 초기에 북아메리카에 서식했으며 콧구멍이 움푹 들어간 두개골 형태가 특징적인 카세이드과의 대형 초식 단궁류 속으로, 코틸로린쿠스 로메리, 코틸로린쿠스 핸코키, 코틸로린쿠스 브랜소니 세 종이 알려져 있다.
  • 조반목 - 헤테로돈토사우루스
    헤테로돈토사우루스는 전기 쥐라기에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서식한 몸길이 1m 남짓의 소형 조반류 공룡 속으로, 앞니, 엄니, 어금니 등 다양한 형태의 이빨을 가진 독특한 치아 구조가 특징이다.
  • 조반목 - 신조반류
    신조반류는 1985년 쿠퍼에 의해 명명되었으며, 2021년 공식적으로 정의된 조반목 공룡의 분지군으로, 두꺼운 에나멜층을 가진 아래턱 치아와 장갑류와의 자매군 형성 등의 특징을 가진다.
  • 백악기 후기 북아메리카의 공룡 - 트리케라톱스
    트리케라톱스는 북아메리카에서 발견된 각룡류 공룡의 한 속으로, 거대한 두개골과 뿔이 특징이며 백악기 말기에 번성했고, 현재는 두 종으로 분류된다.
  • 백악기 후기 북아메리카의 공룡 - 티라노사우루스
    티라노사우루스는 백악기 후기 북아메리카에 서식했던 몸길이 15m에 달하는 거대한 육식 공룡으로, 강력한 턱힘과 짧은 앞다리, 긴 꼬리를 가진 최상위 포식자였으며, '수'와 '스카티' 등의 표본과 대중문화 속 인기 덕분에 그 생태와 행동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
파르크소사우루스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파르크소사우루스 두개골
파르크소사우루스 두개골 모형
파르크소사우루스속
학명Parksosaurus
명명자C. M. 스턴버그, 1937
warreni
명명자 (종)파크스, 1926 (원래는 테스켈로사우루스)
동의어Thescelosaurus warreni 파크스, 1926
생존 시기후기 백악기, 6950만년 전 ~ 7000만년 전
분류
진핵생물
계통군동물계
척삭동물문
파충강
조반목
아목조각아목
테스켈로사우루스과
기타
관련 링크C. M. 스턴버그 (영문)
윌리엄 파크스 (영문)

2. 발견 및 연구사

로열 온타리오 박물관의 화석


고생물학자 윌리엄 파크스는 1922년 레드디어 강 럼지 페리 근처의 에드먼턴 층에서 발견된 ROM 804 골격 표본을 1926년 ''테스켈로사우루스 와레니''(Thescelosaurus warreni)로 명명했다. 이 표본은 부리 부분이 없는 부분적인 두개골, 왼쪽 가슴 거들(도마뱀에서 발견되는 상견갑골을 포함),[4] 손을 제외한 왼쪽 팔, 갈비뼈와 흉골, 손상된 왼쪽 골반, 오른쪽 좌골, 발가락 뼈를 제외한 왼쪽 다리, 등, 엉덩이, 꼬리의 척추와 여러 개의 골화된 힘줄 등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파크스는 ''T. warreni''가 넙다리뼈보다 경골이 길고 발가락도 더 길다는 점을 들어 ''T. neglectus''와 구별했다.[2]

찰스 모트람 스턴버그는 ''테스켈로사우루스 에드먼토넨시스''(Thescelosaurus edmontonensis) 표본을 발견한 후 ''T. warreni''를 재검토했고, 1937년에 이것이 별개의 속(Genus)에 해당한다고 판단하여 '파르크소사우루스'라는 새로운 속명을 부여했다.[5] 1940년, 스턴버그는 두 속 사이에 신체 전체에서 많은 차이점을 발견했다. 그는 ''파르크소사우루스''를 힙실로포돈과 디살로토사우루스와 함께 힙실로포돈과로, ''테스켈로사우루스''를 테스켈로사우루스과로 분류했다.[6] 이 속은 1970년대 피터 갈튼이 힙실로포돈을 재검토하기 전까지 거의 주목받지 못했다. 1973년에 ''파르크소사우루스''는 재기술되었으며, ''힙실로포돈''\''라오사우루스''\''L. minimus'' 계열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간주되었다.[7]

2. 1. 종명 논쟁

조지 올셰브스키는 1992년에 종소명 'warreni'가 연구를 후원한 H. D. 워렌 부인을 기리기 위한 것이므로 여성형인 'warrenae'로 변경해야 한다고 주장했다.[27] 그러나 학계에서는 원래 명칭인 'warreni'를 더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21]

3. 특징

파르크소사우루스(가운데)를 테스켈로사우루스(Thescelosaurus)(오른쪽), 오로드로메우스(Orodromeus)(왼쪽), 사람과 크기 비교


사람과 크기 비교


파르크소사우루스는 몸길이 약 2.5m, 몸무게 약 45kg 정도의 비교적 작은 크기로 추정된다.[1] 윌리엄 파크스는 파르크소사우루스의 뒷다리가 테스켈로사우루스 넥렉투스(Thescelosaurus neglectus)의 뒷다리 길이(95.5cm)와 거의 비슷하다는 것(93.0cm)을 발견했다.[2] 하지만 파르크소사우루스는 테스켈로사우루스와 달리 정강이뼈가 넙다리뼈보다 더 길다.[2] 따라서 엉덩이 높이(약 1m)와 길이(2~2.5m)는 테스켈로사우루스와 유사하지만, 비율의 차이로 인해 더 가벼웠을 것으로 추정된다.[2]

테스켈로사우루스와 마찬가지로 늑골을 따라 얇고 부분적으로 골화된 연골성 늑간판이 존재했다.[3] 어깨띠는 튼튼했다.[1] 상악골에는 적어도 18개, 아래턱에는 약 20개의 이빨이 있었지만, 전상악골의 이빨 수는 알려져 있지 않다.[7]

4. 분류

파르크소사우루스는 처음 발견된 이후 오랫동안 힙실로포돈과 유사한 특징을 가진 것으로 여겨져 힙실로포돈과(Hypsilophodontidae)로 분류되었다.[2] 그러나 최근 연구에서는 힙실로포돈과가 측계통군(여러 종류의 공룡들을 포함하는 부자연스러운 분류군)이라는 점을 지적하며, 이에 따라 파르크소사우루스의 분류학적 위치도 재검토되고 있다.[9][10][11]

4. 1. 계통발생학적 위치

데이비드 노먼(David B. Norman) 등(2004)은 분기도 연구를 통해 파르크소사우루스를 테스켈로사우루스의 자매군으로 분류했다.[10] 리처드 버틀러(Richard Butler) 등(2008)은 파르크소사우루스가 남아메리카의 가스파리니사우라와 가까운 관계일 수 있다고 제안했다.[11] 그러나 기저 조반류의 계통 발생은 아직 연구가 더 필요한 상황이다. 테스켈로사우루스와 마찬가지로, 파르크소사우루스는 비교적 튼튼한 뒷다리와 다른 헵실로포돈류보다 이마가 아치형이 아닌 긴 두개골을 가지고 있었다.[10]

2015년 연구에서는 파르크소사우루스가 엘라스마리아보다는 파생되었지만, 이구아노돈류보다는 기저에 위치하는 것으로 분류되었다.[12]

2019년 연구에서는 파르크소사우루스를 조반목의 가장 기저 구성원으로 배치하였다.[13]

5. 생태 및 고생물학

''파르크소사우루스 와레니''의 복원도


파르크소사우루스는 백악기 후기, 현재의 캐나다 앨버타 주에 해당하는 지역에 살았다. 파르크소사우루스가 발견된 호스슈 캐니언 지층은 서부 내륙 해로의 영향으로 해양 환경의 영향을 받았다.

파르크소사우루스는 다른 힙실로포돈과와 마찬가지로 작고, 재빠른 이족보행 초식 동물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중간 정도 길이의 목, 각질 부리를 가진 작은 머리, 짧지만 강력한 앞다리, 길고 강인한 뒷다리를 가지고 있었던 것 같다.[21]

5. 1. 서식 환경

호스슈 캐니언 지층은 백악기 시대 대부분의 북아메리카 중부를 덮었던 서부 내륙 해로라는 얕은 바다의 영향을 받은 해안 평야 환경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16][30] ''파르크소사우루스''는 약 6950만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호스슈 캐니언 지층의 제4단위 기저에서 발견되었다.[14][28][29] 이와 동일한 단위에서 발견되는 다른 공룡 종으로는 수각류인 ''알베르토사우루스 사르코파구스''와 ''알베르타베나토르 커리에이'', 뿔 장식이 있는 하드로사우루스과 ''사우롤로푸스 오스보니'', 속이 빈 볏이 있는 하드로사우루스과 ''하이파크로사우루스 알티스피누스'', 안킬로사우루스과인 ''아노돈토사우루스 람베이''가 있다. 아직 확인되지 않은 각룡류 종의 치아도 같은 지층에서 발견되었다.[14][28] 이 지층의 공룡들은 때때로 에드몬토니안 육상 포유류 시대로 알려져 있으며, 위아래 지층의 공룡들과는 구별된다.[16][30]

힙실로포돈과에 속하는 ''파르크소사우루스''는 작고 빠른 이족보행 초식동물이었을 것이다. 적당히 긴 목과 각질 부리를 가진 작은 머리, 짧지만 튼튼한 앞다리, 그리고 길고 강력한 뒷다리를 가졌을 것이다.[10][21] 2010년 Paul은 긴 발가락이 강가 근처의 진흙이나 점토 위를 걷기 위한 적응이었으며, 튼튼한 팔은 굴을 파는 데 사용되었다고 주장했다.[1][17]

5. 2. 습성

살아있을 때, 힙실로포돈과에 속하는 ''파르크소사우루스''는 작고 빠른 두 발 보행 초식 동물이였을 것이다. 적당히 긴 목과 각질 부리를 가진 작은 머리, 짧지만 튼튼한 앞다리, 그리고 길고 강력한 뒷다리를 가졌을 것이다.[10] 2010년 그레고리 S. 폴은 긴 발가락이 강가 근처의 진흙이나 점토 위를 걷기 위한 적응이었으며, 튼튼한 팔은 굴을 파는 데 사용되었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1]

참조

[1] 서적 The Princeton Field Guide to Dinosaurs Princeton University Press
[2] 논문 "''Thescelosaurus warreni'', a new species of orthopodous dinosaur from the Edmonton Formation of Alberta"
[3] 논문 "The 'dermal armour' of the ornithopod dinosaur ''Hypsilophodon'' from the Wealden (Early Cretaceous: Barremian) of the Isle of Wight: a reappraisal"
[4] 논문 "Osteology of ''Thescelosaurus'', an orthopodus dinosaur from the Lance Formation of Wyoming" http://repository.si[...]
[5] 논문 Classification of ''Thescelosaurus'', with a description of a new species
[6] 논문 "''Thescelosaurus edmontonensis'', n. sp., and classification of the Hypsilophodontidae"
[7] 논문 "Redescription of the skull and mandible of ''Parksosaurus'' from the Late Cretaceous with comments on the family Hypsilophodontidae (Ornithischia)"
[8] 서적 A Revision of the Parainfraclass Archosauria Cope, 1869, Excluding the Advanced Crocodylia Publications Requiring Research
[9] 서적 The Dinosauri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0] 서적 The Dinosauri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1] 논문 The phylogeny of the ornithischian dinosaurs
[12] 논문 A new ornithopod (Dinosauria, Ornithischia) from the Upper Cretaceous of Antarctica and its palaeobiogeographical implications
[13] 논문 New small-bodied ornithopods (Dinosauria, Neornithischia) from the Early Cretaceous Wonthaggi Formation (Strzelecki Group) of the Australian-Antarctic rift system, with revision of Qantassaurus intrepidus Rich and Vickers-Rich, 1999
[14] 논문 Faunal assemblages from the upper Horseshoe Canyon Formation, an early Maastrichtian cool-climate assemblage from Alberta,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Albertosaurus sarcophagus bonebed This article is one of a series of papers published in this Special Issue on the theme Albertosaurus
[15] 논문 A Cretaceous armoury: Multiple ankylosaurid taxa in the Late Cretaceous of Alberta, Canada and Montana, USA
[16] 서적 The Horned Dinosaurs: A Natural History https://archive.org/[...] Princeton University Press
[17] 서적 The Princeton Field Guide to Dinosaurs Princeton University Press
[18] 논문 "''Thescelosaurus warreni'', a new species of orthopodous dinosaur from the Edmonton Formation of Alberta"
[19] 논문 "The 'dermal armour' of the ornithopod dinosaur ''Hypsilophodon'' from the Wealden (Early Cretaceous: Barremian) of the Isle of Wight: a reappraisal"
[20] 서적 The Dinosauri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1] 서적 The Dinosauri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2] 논문 The phylogeny of the ornithischian dinosaurs
[23] 논문 "Osteology of ''Thescelosaurus'', an orthopodus dinosaur from the Lance Formation of Wyoming"
[24] 논문 Classification of ''Thescelosaurus'', with a description of a new species
[25] 논문 "''Thescelosaurus edmontonensis'', n. sp., and classification of the Hypsilophodontidae"
[26] 논문 "Redescription of the skull and mandible of ''Parksosaurus'' from the Late Cretaceous with comments on the family Hypsilophodontidae (Ornithischia)"
[27] 서적 A Revision of the Parainfraclass Archosauria Cope, 1869, Excluding the Advanced Crocodylia Publications Requiring Research
[28] 논문 Faunal assemblages from the upper Horseshoe Canyon Formation, an early Maastrichtian cool-climate assemblage from Alberta,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Albertosaurus sarcophagus bonebed This article is one of a series of papers published in this Special Issue on the theme Albertosaurus
[29] 논문 A Cretaceous armoury: Multiple ankylosaurid taxa in the Late Cretaceous of Alberta, Canada and Montana, USA
[30] 서적 The Horned Dinosaurs: A Natural History Princeton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