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례 인용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판례 인용법은 법률 문서에서 판례를 참조하는 데 사용되는 일련의 규칙과 관행을 의미한다. 대한민국, 캐나다, 미국, 영국, 독일, 일본, 호주 등 각 국가별로 고유한 인용 방식을 가지고 있으며, 중립 인용, 판례집 인용 등 다양한 형식이 존재한다. 판례 인용법은 법률 전문가들이 판례를 정확하고 일관되게 참조하고, 다른 사람들이 해당 판례를 쉽게 찾고 확인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판례 - 집단 소송
집단 소송은 동일한 원인으로 손해를 입은 다수의 피해자 중 일부가 전체를 대표하여 제기하는 소송 형태로, 신속한 분쟁 해결을 가능하게 하며 영미법 국가에서 활발히 활용되고 1200년대 중세 잉글랜드에서 기원하여 미국의 현대적인 제도로 발전했다. - 법률 - 전과
전과는 대한민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에서 법적, 제도적으로 관리되는 개인의 범죄 관련 기록을 의미하며, 형이 실효된 전과에 의한 차별은 금지되지만, 성범죄 전과자의 경우 취업이 제한될 수 있다. - 법률 - 율령격식
율령격식은 동아시아에서 율령을 보충하고 개정하기 위해 만들어진 격과 식을 통칭하는 용어로, 당나라의 율령을 바탕으로 현실과의 괴리를 해결하고자 제정되었으며 주변 국가의 법제 발전에 영향을 주었다.
판례 인용법 |
---|
2. 대한민국
2. 1. 일반 판례 인용
대한민국의 판례 인용은 재판 법원, 선고 날짜, 소 제기된 해, 사건 부호, 사건 일련번호, 재판 종류(선고 또는 결정) 순서로 이루어진다. 경우에 따라 판례공보집과 페이지를 덧붙이기도 한다.예를 들어, 대법원 2007.7.26. 선고 2007다29119 판결은 2007년에 대법원에 접수된 29119번째 사건으로, 민사 상고 사건(다)에 대한 판결이다.
주요 사건 부호는 다음과 같다.
- 민사
- 민사 제1심 단독 사건: 가단
- 민사 제1심 합의 사건: 가합
- 민사 항소 사건: 나
- 민사 상고 사건: 다
- 형사
- 형사 제1심 단독 공판 사건: 고단
- 형사 제1심 합의 공판 사건: 고합
- 형사 항소 공판 사건: 노
- 형사 상고 공판 사건: 도
- 형사 항고 사건: 로
- 치료 감호 1심 사건: 감고
- 치료 감호 항소 사건: 감노
- 치료 감호 상고 사건: 감도
- 형사 재항고 사건: 모
- 형사 준항고 사건: 보
- 비상 상고 사건: 오
- 즉결 심판 사건: 조
- 형사 신청 사건: 초
- 행정
- 행정 본안 1심: 구합
- 행정 본안 1심 재정단독사건: 구단
- 행정 본안 항소: 누
- 행정 본안 상고: 두
- 헌법재판소 결정
- 위헌 법률 심판 사건: 헌가
- 탄핵 사건: 헌나
- 헌법재판소법 제68조 제1항 헌법소원: 헌마
- 헌법재판소법 제68조 제2항 헌법소원: 헌바
학자에 따라 대법원 판결을 대판(大判), 대법원 결정을 대결(大決)로 축약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2. 2. 판례공보 인용
대법원의 판례공보 인용은 미국, 독일과 같은 방식을 사용하여 선고연월일과 사건번호가 없다. 인용하기가 매우 쉽다는 장점이 있다."공2012하, 1590"과 같이 인용한다. "공"은 대법원에서 매달 2회 발행하는 판례공보를 의미하며, 대략 매달 60개 판례를 공보한다. 페이지 수는 연속으로 누적하여 1년에 상권, 하권 2권을 발간한다.
"2012"는 2012년 판례공보라는 의미이며, 동시에 2012년에 선고된 판례라는 의미이다. "하"는 2012년 판례공보가 상권, 하권 2권으로 발행되었는데, 그 중 하권이라는 의미이다. 상, 하권으로 나누어도 페이지 번호가 새로 시작되지는 않는다. "1590"은 페이지 번호로, 2012년 판례공보 하권의 1590쪽 판례라는 의미이다.
2. 3. 사건 번호
2. 3. 1. 법원
wikitable사건 | 부호 |
---|---|
민사1심합의사건 | 가합 |
민사1심단독사건 | 가단 |
민사소액사건 | 가소 |
민사항소사건 | 나 |
민사상고사건 | 다 |
민사항고사건 | 라 |
민사재항고사건 | 마 |
민사특별항고사건 | 그 |
민사준항고사건 | 바 |
민사조정사건 | 머 |
화해사건 | 자 |
과태료사건 | 과 |
독촉사건 | 차 |
전자독촉사건 | 차전 |
민사공조사건 | 러 |
민사가압류,가처분등 합의사건 | 카합 |
민사가압류,가처분등 단독사건 | 카단 |
약식사건 | 고약 |
약식정식재판청구1심단독사건 | 고정 |
전자약식사건 | 고약전 |
형사1심합의사건 | 고합 |
형사1심단독사건 | 고단 |
소송구조등사건 | 카구 |
소송비용액확정결정 신청사건 | 카확 |
확정된 소송기록에대한 열람신청사건 | 카열 |
기타민사신청사건 | 카기 |
부동산등경매사건 | 타경 |
채권등집행사건 | 타채 |
기타집행사건 | 타기 |
비송합의사건 | 비합 |
형사보상청구사건 | 코 |
비송단독사건 | 비단 |
즉결심판사건 | 조 |
행정1심사건 | 구합 |
행정1심재정단독사건 | 구단 |
행정항소사건 | 누 |
행정상고사건 | 두 |
행정항고사건 | 루 |
행정재항고사건 | 무 |
행정특별항고사건 | 부 |
행정준항고사건 | 사 |
행정신청사건 | 아 |
특허1심사건 | 허 |
특허상고사건 | 후 |
특허재항고사건 | 흐 |
특허특별(준)항고사건 | 히 |
특허신청사건 | 카허 |
선거소송사건 | 수 |
선거상고사건 | 우 |
선거항고(재항고, 준항고, 특별항고)사건 | 수흐 |
선거신청사건 | 주 |
특수소송사건 | 추 |
특수신청사건 | 쿠 |
의무불이행자감치등사건 | 정드 |
의무불이행자감치등항고사건 | 정브 |
의무불이행자감치등재항고사건 | 정스 |
과태료체납자감치사건 | 정과 |
과태료체납자감치항고사건 | 정러 |
과태료체납자감치재항고사건 | 정머 |
2. 3. 2. 헌법재판소
wikitable사건 | 부호 |
---|---|
위헌법률심판사건 | 헌가 |
탄핵심판사건 | 헌나 |
정당해산심판사건 | 헌다 |
권한쟁의심판사건 | 헌라 |
헌법소원심판사건(헌법재판소법 제68조 제1항) | 헌마 |
헌법소원심판사건(헌법재판소법 제68조 제2항) | 헌바 |
헌법재판소 각종 신청사건 | 헌사 |
헌법재판소 각종 특별사건 | 헌아 |
캐나다의 판례 인용 방식은 크게 중립 인용, 판례집 인용, 전자 인용으로 나뉜다. 인용법에 따라 표기 사항과 그 순서가 다르다.[11]
3. 캐나다
맥길 로 저널에서 처음 출판되어 '맥길 가이드(McGill Guide)'로 알려진 ''캐나다 동일표준 법 인용 가이드''의 인용법이 일반적인 인용법으로 쓰이지만, 법원, 기관, 출판사, 학교마다 표기법의 관행이 다를 수 있다.
### 표기 사항
캐나다 판례 인용에는 다음과 같은 요소들이 포함된다.
### 사건의 이름(case name)
::예: ''Reference re Secession of Quebec'',[72] [1998] 2 SCR 217
### 판결 연도
판결 연도는 중립 인용 시 필수적으로 표기해야 하는 사항이다. 사건 이름 뒤에 숫자로만 표기하며, 앞에 쉼표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대법원 2023. 12. 28. 선고 2020도16534 판결'과 같이 표기한다.
판례집 인용 시에는 사건 이름 뒤에 소괄호 안에 연도를 쓰는데, 이때는 쉼표를 사용하지 않는다. 판례집의 출판 연도와 판결 연도가 같을 경우에는 표기할 필요가 없지만, 다를 경우에는 반드시 표기해야 한다.
### 법원 식별자(court identifier)
법원 식별자는 중립 인용 시 필수적으로 표기해야 하는 사항이며, 판결 연도 뒤에 위치한다. 판례집 인용 시에는 페이지 번호 뒤에 소괄호 안에 쓴다. 판례집 인용 시에는 경우에 따라 표기해야 하거나 표기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캐나다 대법원 판례집(S.C.R.)을 인용한다면 법원을 특정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쓰지 않는다. 대부분의 법원에는 고유한 법원 식별자 코드가 있다.
법원 식별자 | 법원 | 시작 연도 |
---|---|---|
SCC | 캐나다 대법원 | 2000 |
FCT | 캐나다 연방 법원 - 재판부 | 2001 |
FCA | 캐나다 연방 법원 - 항소부 | 2001 |
TCC | 캐나다 조세 법원 | 2003 |
CMAC | 군사 재판 항소 법원 | 2004 |
CM | 캐나다 군사 재판 법원 | 2004 |
Comp Trib | 캐나다 경쟁 심판소 | |
BCCA | 브리티시컬럼비아 항소 법원 | 1999 |
BCSC | 브리티시컬럼비아 대법원 | 2000 |
BCPC | 브리티시컬럼비아 주 법원 | |
BCHRT | 브리티시컬럼비아 인권 재판소 | |
BCSECCOM | 브리티시컬럼비아 증권 위원회 | |
ABCA | 앨버타 항소 법원 | 2004 |
ABQB | 앨버타 퀸즈 벤치 법원 | 2004 |
ONCA | 온타리오 항소 법원 | 2007 |
ONSC | 온타리오 상위 법원 | 2010 |
QCCA | 퀘벡 항소 법원 | 2005 |
QCCS | 퀘벡 상위 법원 | 2006 |
### 판결 번호(ordinal number of decision)
법원 식별자 뒤에 판결 번호를 쓴다.
### 출판 연도
판례집 인용에 쓰이며 사건 이름 뒤에 대괄호 안에 쓴다.(판결 연도가 있거나 있어야 할 때는 판결 연도 뒤에 그 다음으로 쓴다.)
고유한 권 번호(volume number)가 부여되는 판례집이 있고, 권 번호가 매해 1부터 다시 시작되는 판례집이 있다. 고유한 권 번호가 부여되는 판례집은 권 번호로 판례집을 특정할 수 있기 때문에 출판 연도 표기가 필수적이지 않다. 반대로 새로운 연도마다 권 번호가 다시 시작되는 판례집은 연도 표기가 필수적이며 이 경우 대괄호 안에 연도를 표기한다. 예를 들어 도미니온 판례집(Dominion Law Reports)은 새로운 판례집마다 고유한 권 번호가 부여돼 권 번호만 알면 판례집을 특정할 수 있지만, 캐나다 대법원 판례집(Supreme Court Reports)은 매해 판례집이 1권부터 시작돼 권 번호만으로는 무슨 연도의 판례집인지 알 수가 없다.
### 권 번호(volume number)
판례집 인용에 쓰이며 출판 연도 뒤에 숫자만 쓴다.
### 판례집 약자
판례집 인용에 쓰이며 판례집 이름의 약자를 쓴다.
'캐나다 동일표준 법 인용 가이드(Canadian Guide to Uniform Legal Citation)'는 약자에 마침표를 쓰지 않는데, 법원 관행에 따라 마침표를 써야 할 때도 있다.[70]
약어 | 보고서 | 연도 |
---|---|---|
Admin LR | 행정법 보고서 | 1983–1991 |
Admin LR (2d) | 행정법 보고서 (두 번째 시리즈) | 1992–1998 |
Admin LR (3d) | 행정법 보고서 (세 번째 시리즈) | 1999– |
ANWTYTR | 앨버타, 노스웨스트 준주 & 유콘 세금 보고서 | 1973– |
ACWS | 전 캐나다 주간 요약 | 1970–1979 |
ACWS (2d) | 전 캐나다 주간 요약 (두 번째 시리즈) | 1980–1986 |
AR | 앨버타 보고서 | 1976– |
CCLT (2d) | 캐나다 불법 행위법 사례 | |
DLR | 도미니언 법률 보고서 | |
DLR (2d) | 도미니언 법률 보고서 (두 번째 시리즈) | |
DLR (3d) | 도미니언 법률 보고서 (세 번째 시리즈) | –1984 |
DLR (4th) | 도미니언 법률 보고서 (네 번째 시리즈) | 1984– |
FCR | 연방 법원 보고서 | 1971– |
NBR (2d) | 뉴브런즈윅 보고서 | 1969– |
NR | 전국 보고서 | |
NSR (2d) | 노바스코샤 보고서 | 1969– |
OR (3d) | 온타리오 보고서 | 1986– |
SCR | 최고 법원 보고서 | 1970– |
WWR | 서부 주간 보고서 | 1911–1950, 1971– |
WWR(NS) | 서부 주간 보고서 (새로운 시리즈) | 1950–1971 |
### 판(edition)
판례집 인용에 쓰이며 판례집 약자 뒤, 소괄호 안에 숫자와 서수 접미사를 쓴다.
### 페이지 번호
판례집 인용에 쓰이며 판결문이 시작되는 쪽의 숫자만 쓴다. 직접인용을 하는 경우 페이지 번호 뒤에 'at'을 쓰고 인용문이 쓰인 쪽의 숫자를 쓰기도 한다.
### 문단 번호
- 'at para'라고 쓴 뒤 판결문 안에서 인용한 문단 번호를 쓴다. 두 개 이상의 문단일 경우 'at paras'라고 쓰고 첫 문단과 끝 문단 사이에 엔대시나 하이픈을 넣는다.[25]
- 'para'나 'paras' 뒤에 마침표를 찍는 것도 법원의 관행에 따라 다를 수 있다.[25]
### 중립 인용(neutral citation)
중립 인용(neutral citation)은 1990년대 후반부터 법원 및 행정부의 심위·심사·조사 위원회 등에서 채택되어 쓰이고 있는 판례 인용 방식이다. 일반적으로 판례 인용 중 가장 우선시되며, 한 판례 인용에 두 개 이상의 출처를 표기할 때 가장 앞에 위치한다. 인용법이 비교적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다.[73]
1999년, 캐나다 사법 위원회는 판례에 대한 중립적 인용 방식을 채택했다.[13] 이 방식은 법률 보고서에 판례가 게재되는 것에 의존하지 않고 판례를 명명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중립 인용의 표준 형식은 ''사건의 이름'', 판결 연도, 법원 식별자, 판결 번호, 문단 번호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R v Baldini'' 사건의 경우, "2012 BCCA 206 at paras 56-65"와 같이 표기하는데, 이는 브리티시 컬럼비아 주 상소 법원(BCCA)에서 2012년에 판결했고 판결 번호는 206이며 인용된 문단은 56에서 65문단까지임을 의미한다.[73]
일반적인 표준 형식은 '판결 연도, 법원 식별자, 일련 번호'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2000년에 캐나다 대법원(Supreme Court of Canada)에서 판결된 첫 번째 사건은 '2000 SCC 1'로 표기된다.
대부분의 법원에는 각각의 법원 코드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캐나다 대법원은 SCC, 캐나다 연방 법원 사실 심리부는 FCT, 캐나다 연방 법원 항소부는 FCA, 브리티시컬럼비아 주 항소 법원은 BCCA, 온타리오 주 항소 법원은 ONCA, 퀘벡 주 항소 법원은 QCCA 등으로 표기된다.
### 판례집 인용
판례집 인용은 사건명, 판결 연도, 출판 연도, 권 번호, 판례집 이름, 페이지 번호, 법원 식별자, 인용 페이지 번호 등의 요소를 포함한다.[11] 예를 들어 ''Peter v Beblow'' 사건은 1993년 캐나다 대법원 판례집(SCR) 1권 980페이지에서 찾을 수 있다. ''Leung v Hanna'' 사건은 1999년 판결되었고, 2000년 웨스턴 위클리 판례집(WWR) 1권 600페이지에 수록되었으며, 브리티시 컬럼비아 주 대법원(BCSC)에서 판결했다. ''Egan v Egan'' 사건은 2002년 판결되었고, 도미니온 판례집(DLR) 214권 4번째 판 687페이지에 수록되었으며, 브리티시 컬럼비아 주 상소 법원(BCCA)에서 판결했다. ''R v Wholesale Travel Group Inc.'' 사건은 1991년 판결되었고, 형사판례집(CR) 8권 4번째 판 145페이지에서 찾을 수 있다.
캐나다에서는 여러 인용 표준이 존재했지만, 1990년대 후반 이후 ''캐나다 통일 법률 인용 지침 / Manuel canadien de la référence juridique''[11], 일명 "맥길 가이드"로 수렴되었다. 이에 따르면, ''헌터 대 사우샘'' 사건은 [1984] 2 SCR 145와 같이 인용된다. 사건 명칭은 이탤릭체로 표기하고, 당사자 이름은 ''v''(영어) 또는 ''c''(프랑스어)로 구분한다.[12] 1984년 이전에는 항소인이 항상 먼저 지명되었으나, 이후로는 사건이 항소되어도 이름 순서가 바뀌지 않는다.[12]
사건의 비공개 당사자는 이니셜로 표시하고, 형사 사건은 '레지나'(여왕) 또는 '렉스'(왕)를 의미하는 ''R''로 표시되는 왕실(Crown)에 의해 기소된다. 참고 질문 (자문 의견)은 "재: ~에 관하여"로 시작한다. 결정 연도와 보고서 연도가 같으면 사건 명칭 뒤에 날짜를 생략할 수 있다. 중립적 인용문은 사건 명칭 바로 뒤에 사용하고 인쇄 인용문 앞에 인용한다. (예: ''샤울리 대 퀘벡 (법무장관)'', 2005 SCC 35, [2005] 1 SCR 791)
2010년 맥길 가이드 7판에서는 인용문에서 대부분의 마침표(".") 문자를 제거하고, 중립적 인용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약칭 | 판례집 | 연도 |
---|---|---|
Admin LR | 행정법 판례집/Administrative Law Reports영어 | 1983–1991 |
Admin LR (2d) | 행정법 판례집 (제2시리즈)/Administrative Law Reports (second series)영어 | 1992–1998 |
Admin LR (3d) | 행정법 판례집 (제3시리즈)/Administrative Law Reports (third series)영어 | 1999 - |
ANWTYTR | 앨버타주, 노스웨스트 준주 및 유콘 조세 판례집/Alberta, Northwest Territories & Yukon Tax Reporter영어 | 1973 - |
ACWS | 전 캐나다 주간 판례 요약집/All Canada Weekly Summaries영어 | 1970–1979 |
ACWS (2d) | 전 캐나다 주간 판례 요약집 (제2시리즈)/All Canada Weekly Summaries (second series)영어 | 1980–1986 |
AR | 앨버타주 판례집/Alberta Reports영어 | 1976 - |
CCLT (2d) | 캐나다 불법 행위법 판례/Canadian Cases on the Law of Torts영어 | |
DLR | {{llang | |
DLR (2d) | 도미니언 판례집 (제2시리즈)/Dominion Law Reports (second series)영어 | |
DLR (3d) | 도미니언 판례집 (제3시리즈)/Dominion Law Reports (third series)영어 | - 1984 |
DLR (4th) | 도미니언 판례집 (제4시리즈)/Dominion Law Reports (fourth series)영어 | 1984 - |
FCR | 연방 법원 판례집/Federal Court Reports영어 | 1971 - |
NBR (2d) | 뉴브런즈윅주 판례집/New Brunswick Reports영어 | 1969 - |
NR | 전국 판례집/National Reporter영어 | |
NSR (2d) | 노바스코샤주 판례집/Nova Scotia Reports영어 | 1969 - |
OR (3d) | 온타리오주 판례집/Ontario Reports영어 | 1986 - |
SCR | 최고 법원 판례집/Supreme Court Reports영어 | 1970 - |
WWR | 서부 주간 판례집/Western Weekly Reports영어 | 1911–1950, 1971 - |
WWR(NS) | 서부 주간 판례집 (신시리즈)/Western Weekly Reports (New Series)영어 | 1950–1971 |
### 두 개 이상의 출처(parallel citation)
한 판례를 인용할 때 두 개 이상의 출처가 요구될 때 쓰인다. 사건의 이름은 가장 앞에 한 번만 쓰고, 중립 인용이 가장 앞으로 오며, 서로 다른 출처의 표기는 쉼표로 구분한다.[73]
사건의 이름, | 중립 인용, | 그 외의 인용 |
---|---|---|
Kerr v Baranow, | 2011 SCC 10, | [2011] 1 SCR 269. |
- "''Kerr v Baranow''"는 Kerr와 Baranow 사이에서 일어난 사건의 이름이다.
- "2011 SCC 10"은 중립 인용으로 캐나다 대법원(Supreme Court of Canada)에서 2011년 판결했고 판결 번호는 10임을 뜻한다.
- "[2011] 1 SCR 269"는 판례집 인용으로 2011년도 캐나다 대법원 판례집 1권 269 페이지를 뜻한다.
3. 1. 표기 사항
캐나다에는 여러 인용 표준이 있다. 많은 법률 출판 회사와 학교에서 자체적인 인용 표준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1990년대 후반 이후로 법률계의 많은 부분이 단일 표준으로 수렴되었는데, 이는 ''캐나다 통일 법률 인용 지침 / Manuel canadien de la référence juridique''[11]에 의해 공식화되었으며, 처음 출판한 ''맥길 로 저널''을 따라 일반적으로 "맥길 가이드"라고 불린다.판례 인용에는 다음과 같은 요소들이 포함된다.
- 사건의 이름(case name)
- 사건의 이름은 ‘v’(versus/대)를 사이에 두고 소를 제기하는 측(원고, 신청인, 청원인, 상소인 등)의 성(姓)을 앞에, 소송을 당한 측(피고, 응답인, 피상소인 등)의 성을 뒤에 쓴다. '캐나다 동일표준 법 인용 가이드(The Canadian Guide to Uniform Legal Citation)'는 'versus' 약자에 마침표를 쓰지 않는데, 법원 관행에 따라 마침표를 써 'v.'로 표기해야 할 때도 있다.[70]
- 피고가 상소 하는 경우 피고가 상소인이 되어 그의 성이 앞으로 올 수 있는데 사건의 이름을 그대로 유지하는 법원도 있다.[71]
- 사건의 이름은 기울기를 주거나 밑줄을 긋는다.
- 형사사건의 경우 검사(crown attorney, crown counsel 또는 crown prosecutor)가 원고이기 때문에 ‘v’ 앞에 정부 또는 국가를 뜻하는 ‘R’[라틴어로 군주(Regina 또는 Rex)를 의미]을 쓰고 피고인의 성을 ‘v’ 뒤에 쓴다. 사건의 공식이름에선 ‘R’이 아니라 ‘Her Majesty The Queen’ 또는 ‘His Majesty The King’이다.
- 법이나 정책 등의 합헌성과 관련한 권고적 의견(advisory opinion)을 묻는 참고적 질의(reference question)의 경우에는 'Reference re'를 쓰고 그 뒤에 주제를 쓴다.
::예: ''Reference re Secession of Quebec'',[72] [1998] 2 SCR 217
영미법 국가에서 당사자 대립주의 사법 시스템을 채택하는 경우, 소송 당사자들의 이름은 사건명에서 라틴어 ''versus''의 약어인 ''v''로 구분된다. (대개 영연방 국가에서는 ''v''로, 미국에서는 ''v.''로 표기한다.[5]) ''versus''는 "대(對)"라는 의미를 갖는다. 사건명을 소리내어 읽을 때, ''v''는 상황에 따라 "and", "against", "versus", 또는 "vee"로 발음될 수 있다.
대부분의 영연방 국가들은 영국식 법률 스타일을 따른다.
- 민사 사건은 "대"로 발음한다. 예를 들어, "Smith v Jones"는 "Smith 대 Jones"로 발음한다.[2]
- 형사 사건은 "대"로 발음한다. 예를 들어, "R v Smith"는 "국가 대 Smith"로 발음한다.[2] 라틴어 단어 "Rex", "Regina", "versus"는 모두 영어로 번역된다.
- 오스트레일리아와 영국에서는 "versus"와 "vee"가 잘못된 표현이라고 주장할 수 있다.[3]
- 스코틀랜드에서는 민사 및 형사 사건 모두 "v" 대신 "대"를 사용하여 발음한다.
미국에서는 약어 ''v.''의 발음에 대한 합의가 존재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재판 사건의 발음과 표기에 대한 많은 혼란이 발생했다:[4]
- ''Versus''는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일부 신문에서는 법적 약어 ''v.'' 대신 일반적인 약어 ''vs.''를 사용하고 있다.[5]
- ''Against''는 개인적인 스타일에 따라 사용된다. 예를 들어, 워렌 버거와 존 폴 스티븐스는 대법원에서 사건을 발표할 때 ''against''를 선호했다.[6][7]
- ''And''는 일부 법학 교수들이 사용하지만, 다른 법학 교수들은 이를 허세로 간주한다.
- 문자 ''vee'' () 발음은 아마도 미국 문화에서 널리 사용되기 때문에 거의 전적으로 ''로 대 웨이드''(Roe v. Wade)에 사용된다. 법조계에서는 권장하지 않지만, 이러한 발음은 ''브라운 대 교육위원회''(Brown v. Board of Education)와 같은 다른 잘 알려진 사건을 언급할 때조차 일반 대중 사이에서는 드물다.[8]
구두 변론 중 ''플랜드 페어런트후드 대 케이시''(Planned Parenthood v. Casey, 1992)에서 참가자들은 "''v.''"의 발음에 대한 합의가 없음을 보여주며, 서로 다른 발음을 사용했다. 법무 차관 켄 스타는 심지어 가장 흔한 세 가지 미국식 발음을 모두 번갈아 사용했다:[9]
- 판결 연도(decision year)
판결 연도는 중립 인용 시 필수적으로 표기해야 하는 사항이다. 사건 이름 뒤에 숫자로만 표기하며, 앞에 쉼표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대법원 2023. 12. 28. 선고 2020도16534 판결'과 같이 표기한다.
판례집 인용 시에는 사건 이름 뒤에 소괄호 안에 연도를 쓰는데, 이때는 쉼표를 사용하지 않는다. 판례집의 출판 연도와 판결 연도가 같을 경우에는 표기할 필요가 없지만, 다를 경우에는 반드시 표기해야 한다.
- 법원 식별자(court identifier)
법원 식별자는 중립 인용 시 필수적으로 표기해야 하는 사항이며, 판결 연도 뒤에 위치한다. 판례집 인용 시에는 페이지 번호 뒤에 소괄호 안에 쓴다. 판례집 인용 시에는 경우에 따라 표기해야 하거나 표기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캐나다 대법원 판례집(S.C.R.)을 인용한다면 법원을 특정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쓰지 않는다. 대부분의 법원에는 고유한 법원 식별자 코드가 있다.
법원 식별자 | 법원 | 시작 연도 |
---|---|---|
SCC | 캐나다 대법원 | 2000 |
FCT | 캐나다 연방 법원 - 재판부 | 2001 |
FCA | 캐나다 연방 법원 - 항소부 | 2001 |
TCC | 캐나다 조세 법원 | 2003 |
CMAC | 군사 재판 항소 법원 | 2004 |
CM | 캐나다 군사 재판 법원 | 2004 |
Comp Trib | 캐나다 경쟁 심판소 | |
BCCA | 브리티시컬럼비아 항소 법원 | 1999 |
BCSC | 브리티시컬럼비아 대법원 | 2000 |
BCPC | 브리티시컬럼비아 주 법원 | |
BCHRT | 브리티시컬럼비아 인권 재판소 | |
BCSECCOM | 브리티시컬럼비아 증권 위원회 | |
ABCA | 앨버타 항소 법원 | 2004 |
ABQB | 앨버타 퀸즈 벤치 법원 | 2004 |
ONCA | 온타리오 항소 법원 | 2007 |
ONSC | 온타리오 상위 법원 | 2010 |
QCCA | 퀘벡 항소 법원 | 2005 |
QCCS | 퀘벡 상위 법원 | 2006 |
- 판결 번호(ordinal number of decision)
법원 식별자 뒤에 판결 번호를 쓴다.
- 출판 연도(publication year)
판례집 인용에 쓰이며 사건 이름 뒤에 대괄호 안에 쓴다.(판결 연도가 있거나 있어야 할 때는 판결 연도 뒤에 그 다음으로 쓴다.)
고유한 권 번호(volume number)가 부여되는 판례집이 있고, 권 번호가 매해 1부터 다시 시작되는 판례집이 있다. 고유한 권 번호가 부여되는 판례집은 권 번호로 판례집을 특정할 수 있기 때문에 출판 연도 표기가 필수적이지 않다. 반대로 새로운 연도마다 권 번호가 다시 시작되는 판례집은 연도 표기가 필수적이며 이 경우 대괄호 안에 연도를 표기한다. 예를 들어 도미니온 판례집(Dominion Law Reports)은 새로운 판례집마다 고유한 권 번호가 부여돼 권 번호만 알면 판례집을 특정할 수 있지만, 캐나다 대법원 판례집(Supreme Court Reports)은 매해 판례집이 1권부터 시작돼 권 번호만으로는 무슨 연도의 판례집인지 알 수가 없다.
- 권 번호(volume number)
판례집 인용에 쓰이며 출판 연도 뒤에 숫자만 쓴다.
- 판례집 약자(reporter abbreviation)
판례집 인용에 쓰이며 판례집 이름의 약자를 쓴다.
'캐나다 동일표준 법 인용 가이드(Canadian Guide to Uniform Legal Citation)'는 약자에 마침표를 쓰지 않는데, 법원 관행에 따라 마침표를 써야 할 때도 있다.[70]
약어 | 보고서 | 연도 |
---|---|---|
Admin LR | 행정법 보고서 | 1983–1991 |
Admin LR (2d) | 행정법 보고서 (두 번째 시리즈) | 1992–1998 |
Admin LR (3d) | 행정법 보고서 (세 번째 시리즈) | 1999– |
ANWTYTR | 앨버타, 노스웨스트 준주 & 유콘 세금 보고서 | 1973– |
ACWS | 전 캐나다 주간 요약 | 1970–1979 |
ACWS (2d) | 전 캐나다 주간 요약 (두 번째 시리즈) | 1980–1986 |
AR | 앨버타 보고서 | 1976– |
CCLT (2d) | 캐나다 불법 행위법 사례 | |
DLR | 도미니언 법률 보고서 | |
DLR (2d) | 도미니언 법률 보고서 (두 번째 시리즈) | |
DLR (3d) | 도미니언 법률 보고서 (세 번째 시리즈) | –1984 |
DLR (4th) | 도미니언 법률 보고서 (네 번째 시리즈) | 1984– |
FCR | 연방 법원 보고서 | 1971– |
NBR (2d) | 뉴브런즈윅 보고서 | 1969– |
NR | 전국 보고서 | |
NSR (2d) | 노바스코샤 보고서 | 1969– |
OR (3d) | 온타리오 보고서 | 1986– |
SCR | 최고 법원 보고서 | 1970– |
WWR | 서부 주간 보고서 | 1911–1950, 1971– |
WWR(NS) | 서부 주간 보고서 (새로운 시리즈) | 1950–1971 |
- 판(edition)
판례집 인용에 쓰이며 판례집 약자 뒤, 소괄호 안에 숫자와 서수 접미사를 쓴다.
- 페이지 번호(page number)
판례집 인용에 쓰이며 판결문이 시작되는 쪽의 숫자만 쓴다. 직접인용을 하는 경우 페이지 번호 뒤에 'at'을 쓰고 인용문이 쓰인 쪽의 숫자를 쓰기도 한다.
- 문단 번호(paragraph number)
- 'at para'라고 쓴 뒤 판결문 안에서 인용한 문단 번호를 쓴다. 두 개 이상의 문단일 경우 'at paras'라고 쓰고 첫 문단과 끝 문단 사이에 엔대시나 하이픈을 넣는다.[25]
- 'para'나 'paras' 뒤에 마침표를 찍는 것도 법원의 관행에 따라 다를 수 있다.[25]
실무에서 대부분의 변호사들은 위에 설명된 규칙을 사용하여 사건에 대한 정확한 인용을 만든 후 한 단계 더 나아간다. 대부분의 법원 판결에는 여러 쟁점에 대한 판결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변호사는 자신의 사건에서 인용하고자 하는 특정 판결이 포함된 페이지를 인용해야 한다. 이러한 인용을 핀포인트 인용(pinpoint citations), "핀 시트(pin cites)", 또는 "점프 시트(jump cites)"라고 한다.[25]
예를 들어, ''로 대 웨이드''(Roe v. Wade) 사건에서 미국 연방 대법원은 수정헌법 제14조에서 사용된 "사람"이라는 단어가 태아를 포함하지 않는다고 판결했다. 이 특정 판결은 ''로'' 사건 결정이 게재된 권의 158페이지에 나타난다. 해당 판결에 대한 ''로'' 사건의 전체 핀 시트는 다음과 같다.[25]
- ''로 대 웨이드''(Roe v. Wade), 410 U.S. 113, 158 (1973).
그리고 세 가지 미국 연방 대법원 보고서 모두에 대한 병렬 인용과 세 가지 모두에 대한 핀 시트를 결합하면 다음과 같다.[25]
- ''로 대 웨이드''(Roe v. Wade), 410 U.S. 113, 158, 93 S. Ct. 705, 729, 35 L. Ed. 2d 147, 180 (1973).
그러나 대법원은 판결에서 일반적으로 공식 보고서에만 직접적인 핀 시트를 제공한다. 두 개의 비공식 보고서는 대법원의 판결을 재인쇄할 때 서로에 대한 병렬 인용을 추가하지만 핀 시트는 추가하지 않는다. 따라서 Lexis 또는 Westlaw에서 본 후속 대법원 판결에서 ''로 대 웨이드''(Roe v. Wade) 사건에 대한 인용은 다음과 같이 나타난다.[25]
- ''로 대 웨이드''(Roe v. Wade), 410 U.S. 113, 158, 93 S. Ct. 705, 35 L. Ed. 2d 147 (1973).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인용은 여전히 상당히 길며, 일반인이 법원 판결을 읽을 때는 매우 신비하고 위협적으로 보일 수 있다. 1980년대 이후로 미국 판사들 사이에서는 이러한 긴 인용을 판결의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각주로 처리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이 계속되어 왔으며, 이는 법률 문서 작성 및 스타일 분야의 선도적인 저자 중 한 명인 브라이언 A. 가너가 강력하게 주장했다.[31] 대부분의 판사는 ''일부'' 인용을 각주로 처리하지만, 스티븐 브레이어 대법관과 리처드 포스너 판사와 같은 법률가들은 자신의 판결에서 각주 사용을 거부한다.[31]
3. 1. 1. 사건의 이름(case name)
- 사건의 이름은 ‘v’(versus/대)를 사이에 두고 소를 제기하는 측(원고, 신청인, 청원인, 상소인 등)의 성(姓)을 앞에, 소송을 당한 측(피고, 응답인, 피상소인 등)의 성을 뒤에 쓴다. '캐나다 동일표준 법 인용 가이드(The Canadian Guide to Uniform Legal Citation)'는 'versus' 약자에 마침표를 쓰지 않는데, 법원 관행에 따라 마침표를 써 'v.'로 표기해야 할 때도 있다.[70]
- 피고가 상소 하는 경우 피고가 상소인이 되어 그의 성이 앞으로 올 수 있는데 사건의 이름을 그대로 유지하는 법원도 있다.[71]
- 사건의 이름은 기울기를 주거나 밑줄을 긋는다.
- 형사사건의 경우 검사(crown attorney, crown counsel 또는 crown prosecutor)가 원고이기 때문에 ‘v’ 앞에 정부 또는 국가를 뜻하는 ‘R’[라틴어로 군주(Regina 또는 Rex)를 의미]을 쓰고 피고인의 성을 ‘v’ 뒤에 쓴다. 사건의 공식이름에선 ‘R’이 아니라 ‘Her Majesty The Queen’ 또는 ‘His Majesty The King’이다.
- 법이나 정책 등의 합헌성과 관련한 권고적 의견(advisory opinion)을 묻는 참고적 질의(reference question)의 경우에는 'Reference re'를 쓰고 그 뒤에 주제를 쓴다.
:예: ''Reference re Secession of Quebec'',[72] [1998] 2 SCR 217
영미법 국가에서 당사자 대립주의 사법 시스템을 채택하는 경우, 소송 당사자들의 이름은 사건명에서 라틴어 ''versus''의 약어인 ''v''로 구분된다. (대개 영연방 국가에서는 ''v''로, 미국에서는 ''v.''로 표기한다.[5]) ''versus''는 "대(對)"라는 의미를 갖는다. 사건명을 소리내어 읽을 때, ''v''는 상황에 따라 "and", "against", "versus", 또는 "vee"로 발음될 수 있다.
대부분의 영연방 국가들은 영국식 법률 스타일을 따른다.
- 민사 사건은 "대"로 발음한다. 예를 들어, "Smith v Jones"는 "Smith 대 Jones"로 발음한다.[2]
- 형사 사건은 "대"로 발음한다. 예를 들어, "R v Smith"는 "국가 대 Smith"로 발음한다.[2] 라틴어 단어 "Rex", "Regina", "versus"는 모두 영어로 번역된다.
- 오스트레일리아와 영국에서는 "versus"와 "vee"가 잘못된 표현이라고 주장할 수 있다.[3]
- 스코틀랜드에서는 민사 및 형사 사건 모두 "v" 대신 "대"를 사용하여 발음한다.
미국에서는 약어 ''v.''의 발음에 대한 합의가 존재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재판 사건의 발음과 표기에 대한 많은 혼란이 발생했다:[4]
- ''Versus''는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일부 신문에서는 법적 약어 ''v.'' 대신 일반적인 약어 ''vs.''를 사용하고 있다.[5]
- ''Against''는 개인적인 스타일에 따라 사용된다. 예를 들어, 워렌 버거와 존 폴 스티븐스는 대법원에서 사건을 발표할 때 ''against''를 선호했다.[6][7]
- ''And''는 일부 법학 교수들이 사용하지만, 다른 법학 교수들은 이를 허세로 간주한다.
- 문자 ''vee'' () 발음은 아마도 미국 문화에서 널리 사용되기 때문에 거의 전적으로 ''로 대 웨이드''(Roe v. Wade)에 사용된다. 법조계에서는 권장하지 않지만, 이러한 발음은 ''브라운 대 교육위원회''(Brown v. Board of Education)와 같은 다른 잘 알려진 사건을 언급할 때조차 일반 대중 사이에서는 드물다.[8]
구두 변론 중 ''플랜드 페어런트후드 대 케이시''(Planned Parenthood v. Casey, 1992)에서 참가자들은 "''v.''"의 발음에 대한 합의가 없음을 보여주며, 서로 다른 발음을 사용했다. 법무 차관 켄 스타는 심지어 가장 흔한 세 가지 미국식 발음을 모두 번갈아 사용했다:[9]
3. 1. 2. 판결 연도
판결 연도는 중립 인용 시 필수적으로 표기해야 하는 사항이다. 사건 이름 뒤에 숫자로만 표기하며, 앞에 쉼표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대법원 2023. 12. 28. 선고 2020도16534 판결'과 같이 표기한다.판례집 인용 시에는 사건 이름 뒤에 소괄호 안에 연도를 쓰는데, 이때는 쉼표를 사용하지 않는다. 판례집의 출판 연도와 판결 연도가 같을 경우에는 표기할 필요가 없지만, 다를 경우에는 반드시 표기해야 한다.
3. 1. 3. 법원 식별자(court identifier)
법원 식별자는 중립 인용 시 필수적으로 표기해야 하는 사항이며, 판결 연도 뒤에 위치한다. 판례집 인용 시에는 페이지 번호 뒤에 소괄호 안에 쓴다. 판례집 인용 시에는 경우에 따라 표기해야 하거나 표기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캐나다 대법원 판례집(S.C.R.)을 인용한다면 법원을 특정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쓰지 않는다. 대부분의 법원에는 고유한 법원 식별자 코드가 있다.법원 식별자 | 법원 | 시작 연도 |
---|---|---|
SCC | 캐나다 대법원 | 2000 |
FCT | 캐나다 연방 법원 - 재판부 | 2001 |
FCA | 캐나다 연방 법원 - 항소부 | 2001 |
TCC | 캐나다 조세 법원 | 2003 |
CMAC | 군사 재판 항소 법원 | 2004 |
CM | 캐나다 군사 재판 법원 | 2004 |
Comp Trib | 캐나다 경쟁 심판소 | |
BCCA | 브리티시컬럼비아 항소 법원 | 1999 |
BCSC | 브리티시컬럼비아 대법원 | 2000 |
BCPC | 브리티시컬럼비아 주 법원 | |
BCHRT | 브리티시컬럼비아 인권 재판소 | |
BCSECCOM | 브리티시컬럼비아 증권 위원회 | |
ABCA | 앨버타 항소 법원 | 2004 |
ABQB | 앨버타 퀸즈 벤치 법원 | 2004 |
ONCA | 온타리오 항소 법원 | 2007 |
ONSC | 온타리오 상위 법원 | 2010 |
QCCA | 퀘벡 항소 법원 | 2005 |
QCCS | 퀘벡 상위 법원 | 2006 |
3. 1. 4. 판결 번호(ordinal number of decision)
법원 식별자 뒤에 판결 번호를 쓴다.3. 1. 5. 출판 연도
판례집 인용에 쓰이며 사건 이름 뒤에 대괄호 안에 쓴다.(판결 연도가 있거나 있어야 할 때는 판결 연도 뒤에 그 다음으로 쓴다.)고유한 권 번호(volume number)가 부여되는 판례집이 있고, 권 번호가 매해 1부터 다시 시작되는 판례집이 있다. 고유한 권 번호가 부여되는 판례집은 권 번호로 판례집을 특정할 수 있기 때문에 출판 연도 표기가 필수적이지 않다. 반대로 새로운 연도마다 권 번호가 다시 시작되는 판례집은 연도 표기가 필수적이며 이 경우 대괄호 안에 연도를 표기한다. 예를 들어 도미니온 판례집(Dominion Law Reports)은 새로운 판례집마다 고유한 권 번호가 부여돼 권 번호만 알면 판례집을 특정할 수 있지만, 캐나다 대법원 판례집(Supreme Court Reports)은 매해 판례집이 1권부터 시작돼 권 번호만으로는 무슨 연도의 판례집인지 알 수가 없다.
3. 1. 6. 권 번호(volume number)
판례집 인용에 쓰이며 출판 연도 뒤에 숫자만 쓴다.3. 1. 7. 판례집 약자
판례집 인용에 쓰이며 판례집 이름의 약자를 쓴다.'캐나다 동일표준 법 인용 가이드(Canadian Guide to Uniform Legal Citation)'는 약자에 마침표를 쓰지 않는데, 법원 관행에 따라 마침표를 써야 할 때도 있다.[70]
약어 | 보고서 | 연도 |
---|---|---|
Admin LR | 행정법 보고서 | 1983–1991 |
Admin LR (2d) | 행정법 보고서 (두 번째 시리즈) | 1992–1998 |
Admin LR (3d) | 행정법 보고서 (세 번째 시리즈) | 1999– |
ANWTYTR | 앨버타, 노스웨스트 준주 & 유콘 세금 보고서 | 1973– |
ACWS | 전 캐나다 주간 요약 | 1970–1979 |
ACWS (2d) | 전 캐나다 주간 요약 (두 번째 시리즈) | 1980–1986 |
AR | 앨버타 보고서 | 1976– |
CCLT (2d) | 캐나다 불법 행위법 사례 | |
DLR | 도미니언 법률 보고서 | |
DLR (2d) | 도미니언 법률 보고서 (두 번째 시리즈) | |
DLR (3d) | 도미니언 법률 보고서 (세 번째 시리즈) | –1984 |
DLR (4th) | 도미니언 법률 보고서 (네 번째 시리즈) | 1984– |
FCR | 연방 법원 보고서 | 1971– |
NBR (2d) | 뉴브런즈윅 보고서 | 1969– |
NR | 전국 보고서 | |
NSR (2d) | 노바스코샤 보고서 | 1969– |
OR (3d) | 온타리오 보고서 | 1986– |
SCR | 최고 법원 보고서 | 1970– |
WWR | 서부 주간 보고서 | 1911–1950, 1971– |
WWR(NS) | 서부 주간 보고서 (새로운 시리즈) | 1950–1971 |
3. 1. 8. 판(edition)
판례집 인용에 쓰이며 판례집 약자 뒤, 소괄호 안에 숫자와 서수 접미사를 쓴다.3. 1. 9. 문단 번호
- 'at para'라고 쓴 뒤 판결문 안에서 인용한 문단 번호를 쓴다. 두 개 이상의 문단일 경우 'at paras'라고 쓰고 첫 문단과 끝 문단 사이에 엔대시나 하이픈을 넣는다.[25]
- 'para'나 'paras' 뒤에 마침표를 찍는 것도 법원의 관행에 따라 다를 수 있다.[25]
실무에서 대부분의 변호사들은 위에 설명된 규칙을 사용하여 사건에 대한 정확한 인용을 만든 후 한 단계 더 나아간다. 대부분의 법원 판결에는 여러 쟁점에 대한 판결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변호사는 자신의 사건에서 인용하고자 하는 특정 판결이 포함된 페이지를 인용해야 한다. 이러한 인용을 핀포인트 인용(pinpoint citations), "핀 시트(pin cites)", 또는 "점프 시트(jump cites)"라고 한다.[25]
예를 들어, ''로 대 웨이드''(Roe v. Wade) 사건에서 미국 연방 대법원은 수정헌법 제14조에서 사용된 "사람"이라는 단어가 태아를 포함하지 않는다고 판결했다. 이 특정 판결은 ''로'' 사건 결정이 게재된 권의 158페이지에 나타난다. 해당 판결에 대한 ''로'' 사건의 전체 핀 시트는 다음과 같다.[25]
- ''로 대 웨이드''(Roe v. Wade), 410 U.S. 113, 158 (1973).
그리고 세 가지 미국 연방 대법원 보고서 모두에 대한 병렬 인용과 세 가지 모두에 대한 핀 시트를 결합하면 다음과 같다.[25]
- ''로 대 웨이드''(Roe v. Wade), 410 U.S. 113, 158, 93 S. Ct. 705, 729, 35 L. Ed. 2d 147, 180 (1973).
그러나 대법원은 판결에서 일반적으로 공식 보고서에만 직접적인 핀 시트를 제공한다. 두 개의 비공식 보고서는 대법원의 판결을 재인쇄할 때 서로에 대한 병렬 인용을 추가하지만 핀 시트는 추가하지 않는다. 따라서 Lexis 또는 Westlaw에서 본 후속 대법원 판결에서 ''로 대 웨이드''(Roe v. Wade) 사건에 대한 인용은 다음과 같이 나타난다.[25]
- ''로 대 웨이드''(Roe v. Wade), 410 U.S. 113, 158, 93 S. Ct. 705, 35 L. Ed. 2d 147 (1973).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인용은 여전히 상당히 길며, 일반인이 법원 판결을 읽을 때는 매우 신비하고 위협적으로 보일 수 있다. 1980년대 이후로 미국 판사들 사이에서는 이러한 긴 인용을 판결의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각주로 처리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이 계속되어 왔으며, 이는 법률 문서 작성 및 스타일 분야의 선도적인 저자 중 한 명인 브라이언 A. 가너가 강력하게 주장했다.[31] 대부분의 판사는 ''일부'' 인용을 각주로 처리하지만, 스티븐 브레이어 대법관과 리처드 포스너 판사와 같은 법률가들은 자신의 판결에서 각주 사용을 거부한다.[31]
3. 1. 10. 페이지 번호
판례집 인용에 쓰이며 판결문이 시작되는 쪽의 숫자만 쓴다. 직접인용을 하는 경우 페이지 번호 뒤에 'at'을 쓰고 인용문이 쓰인 쪽의 숫자를 쓰기도 한다.3. 2. 중립 인용(neutral citation)
중립 인용(neutral citation)은 1990년대 후반부터 법원 및 행정부의 심위·심사·조사 위원회 등에서 채택되어 쓰이고 있는 판례 인용 방식이다. 일반적으로 판례 인용 중 가장 우선시되며, 한 판례 인용에 두 개 이상의 출처를 표기할 때 가장 앞에 위치한다. 인용법이 비교적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다.[73]1999년, 캐나다 사법 위원회는 판례에 대한 중립적 인용 방식을 채택했다.[13] 이 방식은 법률 보고서에 판례가 게재되는 것에 의존하지 않고 판례를 명명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중립 인용의 표준 형식은 ''사건의 이름'', 판결 연도, 법원 식별자, 판결 번호, 문단 번호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R v Baldini'' 사건의 경우, "2012 BCCA 206 at paras 56-65"와 같이 표기하는데, 이는 브리티시 컬럼비아 주 상소 법원(BCCA)에서 2012년에 판결했고 판결 번호는 206이며 인용된 문단은 56에서 65문단까지임을 의미한다.[73]
일반적인 표준 형식은 '판결 연도, 법원 식별자, 일련 번호'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2000년에 캐나다 대법원(Supreme Court of Canada)에서 판결된 첫 번째 사건은 '2000 SCC 1'로 표기된다.
대부분의 법원에는 각각의 법원 코드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캐나다 대법원은 SCC, 캐나다 연방 법원 사실 심리부는 FCT, 캐나다 연방 법원 항소부는 FCA, 브리티시컬럼비아 주 항소 법원은 BCCA, 온타리오 주 항소 법원은 ONCA, 퀘벡 주 항소 법원은 QCCA 등으로 표기된다.
3. 3. 판례집 인용
판례집 인용은 사건명, 판결 연도, 출판 연도, 권 번호, 판례집 이름, 페이지 번호, 법원 식별자, 인용 페이지 번호 등의 요소를 포함한다.[11] 예를 들어 ''Peter v Beblow'' 사건은 1993년 캐나다 대법원 판례집(SCR) 1권 980페이지에서 찾을 수 있다. ''Leung v Hanna'' 사건은 1999년 판결되었고, 2000년 웨스턴 위클리 판례집(WWR) 1권 600페이지에 수록되었으며, 브리티시 컬럼비아 주 대법원(BCSC)에서 판결했다. ''Egan v Egan'' 사건은 2002년 판결되었고, 도미니온 판례집(DLR) 214권 4번째 판 687페이지에 수록되었으며, 브리티시 컬럼비아 주 상소 법원(BCCA)에서 판결했다. ''R v Wholesale Travel Group Inc.'' 사건은 1991년 판결되었고, 형사판례집(CR) 8권 4번째 판 145페이지에서 찾을 수 있다.캐나다에서는 여러 인용 표준이 존재했지만, 1990년대 후반 이후 ''캐나다 통일 법률 인용 지침 / Manuel canadien de la référence juridique''[11], 일명 "맥길 가이드"로 수렴되었다. 이에 따르면, ''헌터 대 사우샘'' 사건은 [1984] 2 SCR 145와 같이 인용된다. 사건 명칭은 이탤릭체로 표기하고, 당사자 이름은 ''v''(영어) 또는 ''c''(프랑스어)로 구분한다.[12] 1984년 이전에는 항소인이 항상 먼저 지명되었으나, 이후로는 사건이 항소되어도 이름 순서가 바뀌지 않는다.[12]
사건의 비공개 당사자는 이니셜로 표시하고, 형사 사건은 '레지나'(여왕) 또는 '렉스'(왕)를 의미하는 ''R''로 표시되는 왕실(Crown)에 의해 기소된다. 참고 질문 (자문 의견)은 "재: ~에 관하여"로 시작한다. 결정 연도와 보고서 연도가 같으면 사건 명칭 뒤에 날짜를 생략할 수 있다. 중립적 인용문은 사건 명칭 바로 뒤에 사용하고 인쇄 인용문 앞에 인용한다. (예: ''샤울리 대 퀘벡 (법무장관)'', 2005 SCC 35, [2005] 1 SCR 791)
2010년 맥길 가이드 7판에서는 인용문에서 대부분의 마침표(".") 문자를 제거하고, 중립적 인용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약칭 | 판례집 | 연도 |
---|---|---|
Admin LR | 행정법 판례집/Administrative Law Reports영어 | 1983–1991 |
Admin LR (2d) | 행정법 판례집 (제2시리즈)/Administrative Law Reports (second series)영어 | 1992–1998 |
Admin LR (3d) | 행정법 판례집 (제3시리즈)/Administrative Law Reports (third series)영어 | 1999 - |
ANWTYTR | 앨버타주, 노스웨스트 준주 및 유콘 조세 판례집/Alberta, Northwest Territories & Yukon Tax Reporter영어 | 1973 - |
ACWS | 전 캐나다 주간 판례 요약집/All Canada Weekly Summaries영어 | 1970–1979 |
ACWS (2d) | 전 캐나다 주간 판례 요약집 (제2시리즈)/All Canada Weekly Summaries (second series)영어 | 1980–1986 |
AR | 앨버타주 판례집/Alberta Reports영어 | 1976 - |
CCLT (2d) | 캐나다 불법 행위법 판례/Canadian Cases on the Law of Torts영어 | |
DLR | {{llang | |
DLR (2d) | 도미니언 판례집 (제2시리즈)/Dominion Law Reports (second series)영어 | |
DLR (3d) | 도미니언 판례집 (제3시리즈)/Dominion Law Reports (third series)영어 | - 1984 |
DLR (4th) | 도미니언 판례집 (제4시리즈)/Dominion Law Reports (fourth series)영어 | 1984 - |
FCR | 연방 법원 판례집/Federal Court Reports영어 | 1971 - |
NBR (2d) | 뉴브런즈윅주 판례집/New Brunswick Reports영어 | 1969 - |
NR | 전국 판례집/National Reporter영어 | |
NSR (2d) | 노바스코샤주 판례집/Nova Scotia Reports영어 | 1969 - |
OR (3d) | 온타리오주 판례집/Ontario Reports영어 | 1986 - |
SCR | 최고 법원 판례집/Supreme Court Reports영어 | 1970 - |
WWR | 서부 주간 판례집/Western Weekly Reports영어 | 1911–1950, 1971 - |
WWR(NS) | 서부 주간 판례집 (신시리즈)/Western Weekly Reports (New Series)영어 | 1950–1971 |
3. 4. 두 개 이상의 출처(parallel citation)
한 판례를 인용할 때 두 개 이상의 출처가 요구될 때 쓰인다. 사건의 이름은 가장 앞에 한 번만 쓰고, 중립 인용이 가장 앞으로 오며, 서로 다른 출처의 표기는 쉼표로 구분한다.[73]사건의 이름, | 중립 인용, | 그 외의 인용 |
---|---|---|
Kerr v Baranow, | 2011 SCC 10, | [2011] 1 SCR 269. |
- "''Kerr v Baranow''"는 Kerr와 Baranow 사이에서 일어난 사건의 이름이다.
- "2011 SCC 10"은 중립 인용으로 캐나다 대법원(Supreme Court of Canada)에서 2011년 판결했고 판결 번호는 10임을 뜻한다.
- "[2011] 1 SCR 269"는 판례집 인용으로 2011년도 캐나다 대법원 판례집 1권 269 페이지를 뜻한다.
4. 미국
미국에서 판례 인용은 사건 이름, 판례집 번호, 판례집 이름, 페이지 번호, 판결 연도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로 대 웨이드'' 사건의 경우, "''로 대 웨이드'', 410 U.S. 113 (1973)"[53]과 같이 표기한다.
- ''로 대 웨이드''는 사건의 약칭이다. 원고는 '로', 피고는 '웨이드'로 표시하며, 이는 각각 제인 로와 텍사스주 댈러스군 지방 검사 헨리 웨이드를 가리킨다.[53]
- 410은 판례집의 권 번호이다.
- U.S.는 ''미국 연방 대법원 판례집''(United States Reports)의 약칭이다.
- 113은 판결문이 시작하는 페이지 번호이다.
- 1973은 판결 연도이다.
판례집에서 법원이 명확하지 않은 경우, 법원 약칭을 연도 앞에 괄호 안에 포함한다.

4. 1. 미국 연방 대법원
미국 연방 대법원의 판례는 공식적으로 ''미국 보고서''(United States Reports)에 인쇄된다.[55] ''미국 보고서''에 대한 인용은 다음과 같다.- ''브라운 대 교육위원회'', 347 U.S. 483 (1954).[55]
- ''미란다 대 애리조나'', 384 U.S. 436 (1966).[56]
많은 법원 판결은 둘 이상의 보고서에 게시된다. 주어진 법원 판결에 대해 둘 이상의 보고서를 인용하는 것을 "병행 인용"이라고 한다.[25] 미국 연방 대법원 판결의 경우, ''대법원 보고서'' (약어 S. Ct.) 및 ''미국 연방 대법원 보고서, 변호사 판''(일반적으로 ''변호사 판''이라고 함) (약어 L. Ed.)을 포함한 몇 가지 비공식 보고서가 있으며, 이는 사기업에서 인쇄하며 법원의 의견에 대한 추가 주석을 제공한다.[25] 후자의 두 가지를 인용하는 것은 필수는 아니지만, 일부 변호사와 법률 작가는 세 가지 판례 보고서를 모두 한 번에 인용하는 것을 선호한다.
- ''그리스월드 대 코네티컷'', 381 U.S. 479, 85 S. Ct. 1678, 14 L. Ed. 2d 510 (1965)
L. Ed. 뒤의 "2d"는 ''변호사 판''의 두 번째 시리즈를 의미한다. 미국 판례 보고서는 순차적으로 번호가 매겨지지만 권 번호는 999를 초과하지 않는다. 1,000권에 도달하면 (이전에는 임계값이 낮았습니다), 권 번호는 1로 재설정되고 보고서의 약어 뒤에 "2d"가 추가된다. 일부 판례 보고서는 세 번째 시리즈에 있으며, 일부는 네 번째 시리즈에 접근하고 있다.
일부 매우 오래된 대법원 판례는 ''마버리 대 매디슨'', 5 U.S. (1 Cranch) 137 (1803)과 같이 이상한 모양의 인용을 가지고 있다. "(1 Cranch)"는 대법원 결정 보고관이 편집한 ''미국 보고서''라는 보고서 시리즈가 있기 전에, 판례가 수집되어 묶여 대법원 결정 보고관에 의해 사적으로 판매되었다는 사실을 의미한다.[25] 이 예에서 ''마버리''는 1801년부터 1815년까지 대법원 보고서를 출판한 윌리엄 크랜치의 판에서 처음 보고되었다. 이러한 보고서는 그것을 수집한 개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따라서 "지명 보고서"라고 불리며 1790년부터 1874년까지 존재했다. 1874년부터 미국 정부는 ''미국 보고서''를 만들었고, 동시에 이전에 사적으로 출판된 권을 단일 시리즈의 일부로 번호 매기고 그 시점부터 순차적으로 번호를 매기기 시작했다. 이런 식으로 "5 U.S. (1 Cranch)"는 이것이 ''미국 보고서'' 시리즈의 전체 5권째이지만 윌리엄 크랜치에 의해 원래 출판된 첫 번째 권임을 의미한다. 그 이전의 4권의 의견은 알렉산더 댈러스에 의해 출판되었고 (예: "4 U.S. (4 Dall.)"), 크랜치의 9권 이후 12권이 더 헨리 위튼에 의해 출판되었다 (예: "15 U.S. (2 Wheat.)").[25] 다른 판 이름은 대법원 결정 보고관을 참조하십시오. 미국 정부가 ''미국 보고서''를 인쇄하기 시작한 이후에는 인용에 결정 보고관의 이름이 사용되지 않았다.
판례가 결정되었지만 아직 판례 보고서에 게시되지 않은 경우, 인용문은 권을 표시하지만 판례 보고서의 페이지는 결정될 때까지 비워 둘 수 있다. 예를 들어, ''골란 대 홀더'', 565 U.S. ___ (2012)는 출판 전에 적절하게 인용되었다.
대법원 판례의 표제에서 첫 번째로 나열된 이름은 청원(항소) 당사자의 이름이며, 그 다음에는 항소에 응답하는 당사자(응답자)의 이름이 옵니다. 대부분의 경우, 항소 당사자는 이전 법원에서 패소한 당사자였다. 이는 연방 항소 법원의 판례에서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 관행이며, 여기서는 하급 법원의 원래 당사자 정렬이 유지된다.
4. 2. 미국 연방 하급 법원
미국 항소 법원 사건은 ''연방 보고서''(F., F.2d, 또는 F.3d)에 게재되며, 미국 지방 법원 사건과 일부 전문 법원의 사건은 ''연방 보충 자료''(F. Supp., F. Supp. 2d, 또는 F. Supp. 3d)에 게재된다.[26] 이 두 시리즈는 모두 톰슨 웨스트에서 발행하며, 엄밀히 말해 비공식 보고서이지만, 진정한 공식 보고서가 없기 때문에 하급 연방 법원의 ''사실상'' "공식" 보고서로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26] D.C. 순회 법원만이 공식 보고서인 ''미국 항소 법원 보고서''를 가지고 있지만, 오늘날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26]
하급 연방 법원 판결을 인용할 때는 법원 이름이 괄호 안에 연도 바로 앞에 포함된다.[26]
- ''기어리 대 비지테이션 오브 블레스드 버진 메리 스쿨''(Geary v. Visitation of Blessed Virgin Mary School), 7 F.3d 324 (3d Cir. 1993) – 미국 제3 순회 항소 법원의 1993년 사건[26]
- ''글래스로스 대 무어''(Glassroth v. Moore), 229 F. Supp. 2d 1290 (M.D. Ala. 2002) – 미국 앨라배마 중부 지방 법원의 2002년 사건[26]
1789년부터 1880년까지의 미국 순회 법원 및 지방 법원 사건은 연방 사건 (Federal Cases)에 보고되었으며, 약어는 F. Cas.이다. 인용 형식의 예는 다음과 같다. ''휘튼 대 피터스''(Wheaton v. Peters), 29 F. Cas. 862 (C.C.E.D. Pa. 1832) (No. 17,486).
4. 3. 미국 주 법원
주(州) 법원 판결은 여러 곳에서 출판된다. 많은 주에서 해당 주의 하나 이상의 법원 판결을 출판하는 자체 공식 주 보고서를 가지고 있다.[57] 주의 최고 법원 판결을 출판하는 보고서는 해당 주의 이름에 대한 전통적인 약어 (즉, 우편 약어가 아님)를 사용하여 약칭된다.[57] 보고서의 실제 제목이 무엇이든 상관없다. 따라서 캘리포니아 대법원 판결의 공식 보고서 (제목: ''캘리포니아 보고서'')는 "Cal." (또는 이후 시리즈의 경우 "Cal. 2d," "Cal. 3d", 또는 "Cal. 4th")로 약칭된다.[57]- ''Palsgraf v. Long Island Railroad Co.'', 248 N.Y. 339 (1928): 뉴욕 항소 법원 사건으로, ''뉴욕 보고서''에 보고되었다. 뉴욕 항소 법원이 뉴욕의 최고 법원임을 유의하라. ''뉴욕 보고서''는 뉴욕 항소 법원의 판결만 보고하므로 연도 앞에 법원 지정을 반복할 필요가 없다.
- ''Green v. Chicago Tribune Company'', 286 Ill. App. 3d 1 (1996): 일리노이 항소 법원 사건으로, ''일리노이 항소 법원 보고서''에 보고되었다.[58] 뉴욕과 달리 일리노이 항소 법원은 일리노이의 중간 항소 법원일 뿐이며, 일리노이 대법원의 판결은 "Ill." (또는 "Ill. 2d")로 약칭되는 ''일리노이 보고서''에 보고된다. ''일리노이 항소 법원 보고서''는 일리노이 항소 법원의 판결을 보고하는 데 전적으로 전념하므로 연도 앞에 법원 지정을 반복할 필요가 없다.
- ''Harte v. Hand'', 438 N.J. Super. 545 (Ch. Div. 2014): 뉴저지 고등 법원의 모든 출판된 의견이 ''뉴저지 고등 법원 보고서''에 출판되지만, 고등 법원이 세 개의 부서 (법률 부서, 형평 부서 및 항소 부서)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인용 시 의견을 발행한 부서를 명시해야 한다. 이는 항소 부서가 법률 부서 및 형평 부서의 항소를 심리하므로 특히 중요하며, 이는 예시 사건 (''Harte v. Hand'', 433 N.J. Super. 457 (App. Div. 2013) 재심)에서 발생했다.
공식 보고서 외에도 Thomson West는 여러 주를 포괄하는 일련의 "지역 보고서"를 출판한다.[57] 이는 ''North Eastern Reporter'', ''Atlantic Reporter'', ''South Eastern Reporter'', ''Southern Reporter'', ''South Western Reporter'', ''North Western Reporter'', 및 ''Pacific Reporter''이다. 캘리포니아, 일리노이, 뉴욕도 해당 주에서 생성되는 방대한 사건으로 인해 자체 Thomson West 보고서 라인을 가지고 있다 (각각 ''West's California Reporter'', ''Illinois Decisions'', 및 ''West's New York Supplement''라는 제목).[57] 사우스다코타와 같이 작은 주에서는 자체 공식 보고서 출판을 중단하고 대신 해당 West 지역 보고서를 "공식" 보고서로 인증했다.[57]
다음은 West 보고서를 인용하는 몇 가지 예다.
- ''Jackson v. Commonwealth'', 583 S.E.2d 780 (Va. Ct. App. 2003): 버지니아 항소 법원 (중간 항소 법원) 사건으로, ''South Eastern Reporter'' 2판에 출판됨[58]
- ''Foxworth v. Maddox'', 137 So. 161 (Fla. 1931): 플로리다 대법원 사건으로, ''Southern Reporter''에 출판됨[58]
- ''People v. Brown'', 282 N.Y.S.2d 497 (N.Y. 1967): 뉴욕 항소 법원 (뉴욕의 최고 법원) 사건으로, ''West's New York Supplement'' 2판에 출판됨.[59] 이 사건은 또한 West의 지역 보고서에도 나타난다. ''People v. Brown'', 229 N.E.2d 192 (N.Y. 1967). 두 형식 모두에서 "N.Y."가 괄호 안에 표시되는데, 이는 ''West's New York Supplement''와 ''North Eastern Reporter''가 뉴욕 항소 법원뿐만 아니라 더 많은 법원의 의견을 보고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공식적으로 출판된 보고서, ''People v. Brown'', 20 N.Y.2d 238 (1967)에 대한 인용은 괄호 안에 법원 이름이 필요하지 않다. 공식 ''뉴욕 보고서''는 뉴욕 항소 법원의 의견만 보고하기 때문이다.
하위 법원에 대한 약어는 주마다 다르며, 각 주에는 자체적인 재판 법원 및 중간 항소 법원 시스템이 있다. 공식 보고서와 지역 보고서 모두에 사건이 나타나는 경우, 어느 인용을 사용해도 된다. 일반적으로, 주 외부 변호사가 이에 접근할 가능성이 더 높으므로, 지역 보고서를 인용하는 것이 선호된다. 많은 변호사는 두 가지 인용을 모두 포함하는 것을 선호한다. 일부 주 법원은 해당 주의 시스템의 모든 법원 사건을 인용할 때 병렬 인용 (이 경우, 공식 보고서와 비공식 지역 보고서를 모두 인용하는 것)을 사용하도록 요구한다.
미국 대법원과 마찬가지로, 일부 매우 오래된 주 사건 인용은 개인 출판사 또는 사건을 원래 수집하고 출판한 주 임명 관료인 사건 보고자의 이름의 약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Hall v. Bell'', 47 Mass. (6 Met.) 431 (1843)의 경우, 인용은 ''매사추세츠 보고서''의 47권에 대한 것이며, 이는 19세기 후반에 시작되어 원래 개인적으로 출판된 이전 여러 판을 시리즈에 통합하고 그 시점부터 번호를 매기기 시작했다; "6 Met."은 Theron Metcalf가 원래 개인적으로 출판한 6번째 권을 의미한다. 공식적으로 출판된 시리즈에 그 이후에 통합되지 않은 보고서에 인용된 사건의 예는 ''Pierson v. Post'', 3 Cai. 175 (N.Y. Sup. Ct. 1804)이며, 뉴욕 사건을 보고하도록 임명된 George Caines의 이름을 딴 ''Caines' Reports''의 3권, 175페이지에 보고되었다; 이 사건은 뉴욕 사법 대법원 (현재는 폐지됨)에서 진행되었다. 대부분의 주는 19세기 중후반에 이러한 관행을 포기했지만, 델라웨어는 1920년까지 지속했다.
캘리포니아와 뉴욕과 같은 일부 주는 다양한 연방 및 전국 표준과 크게 다른 자체 인용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60] 캘리포니아에서는 연도가 당사자 이름과 사건 보고서 참조 ''사이에'' 위치하고, 뉴욕에서는 연도가 대괄호로 묶이는 반면, 캘리포니아는 사건의 판결 또는 관련성에 대한 괄호 설명에 대괄호를 사용한다.[60] 뉴욕과 캘리포니아는 모두 선행 문장을 지원하기 위해 독립된 문장으로 사용될 때 전체 인용을 괄호로 묶지만, 뉴욕은 마침표를 괄호 밖에 두는 반면, 캘리포니아는 괄호 안에 둔다. 뉴욕은 인용이 절로 사용될 때 보고서 및 페이지 참조만 괄호로 묶는다.
예를 들어, 위의 ''Brown'' 사건이 독립적인 문장으로 배치된다고 가정하면, 뉴욕 법원에 공식 보고서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인용될 것이다.
그리고, 다시 한번 독립적인 문장으로, 유명한 ''Greenman'' 제품 책임 사건은 캘리포니아 법원에 다음과 같이 인용될 것이다.
5. 영국
Regina v. Wiki에서 Regina는 여왕을 뜻하는 라틴어로, 국가가 피고 또는 원고인 소송에서 사용된다. "로 리포터"(Law report)는 잉글랜드와 웨일스에서 널리 사용되지 않는 용어이다. 1865년 이전에는 영국 법원에서 다수의 사적으로 인쇄된 보고서를 사용했으며, 사건은 해당 사건이 게재된 보고서를 기준으로 인용되었다. (이 시스템은 당시 미국과 다른 영미법 관할 구역에서도 사용되었다.)
두 개의 주요 비공식 법률 보고서는 모든 법률 분야를 보고하는 ''주간 법률 보고서''(WLR)와 ''올 잉글랜드 보고서''(All ER)이다. 또한, ''엔터테인먼트 및 미디어 법률 보고서''(EMLR) 또는 ''형사 항소 보고서(Cr App R)''와 같이 특정 분야에 초점을 맞춘 다수의 비공식 전문 법률 보고서가 있다.
법률 보고 위원회(Incorporated Council of Law Reporting)의 "The Law Reports" 인용에 대해서는 로 리포트를 참조한다. 이 보고서는 1865년부터 출판되었으며, 항상 여러 시리즈로 나뉘어 있다. 현재 시리즈는 항소 사건(AC), 형평법(Ch), 가족(Fam), 퀸즈 벤치(QB) (또는 킹스 벤치—KB—해당 시기의 군주에 따라 다름)이다. 이 네 개의 시리즈는 법원에서 다른 모든 시리즈보다 우선적으로 인용된다.
"The Law Reports" 외에 다른 법률 보고서, 지명 보고서 및 재인쇄물의 불완전한 목록은 다음과 같다.
이전 보고서의 재인쇄물 목록은 다음과 같다.
약어 | 법률 보고서 | 연도 |
---|---|---|
ER | 영국 보고서(English Reports) | 1220–1866 |
RR | 개정 보고서(Revised Reports) | |
All ER Rep | 올 잉글랜드 법률 보고서 재인쇄(All England Law Reports Reprint) |
지명 보고서에 대해서는 지명 보고서를 참조한다.
스코틀랜드의 표준 판례 인용 형식은 다음과 같다.
당사자 이름 | 판결 연도, | 보고서 연도 | 권 | 시리즈 | 법원 | 페이지 |
---|---|---|---|---|---|---|
HM Advocate v Megrahi, | 2000 | JC | 555 | |||
McFarlane v Tayside Health Board, | 2000 | SC | (HL) | 1 | ||
Forbes v Underwood, | (1886) | 13 | R (또는 Rettie) | 465 | ||
Smith v Brown, | [2005] | CSIH | 1 |
대법원은 중립적 인용의 사용에 대한 실무 지침을 발표했다. ''Scots Law Times''는 "SLT"로 인용된다.[24]
5. 1. 중립 인용
2001년부터 영국 상원, 추밀원, 항소 법원 및 행정 법원의 판결에는 중립적 인용이 발행되었다. 이 시스템은 2002년에 고등 법원의 다른 부분으로 확대되었다. 중립적 인용이 있는 판결은 영국 및 아일랜드 법률 정보 연구소 웹사이트(www.bailii.org)에서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42]중립적 인용은 보고서 시리즈와 관계없이 판결을 식별하며, 당사자, 판결 연도, 법원 및 사건 번호만 인용한다. 예를 들어, ''Rottman v MPC'' [2002] UKHL 20은 2002년 영국 상원에서 나온 20번째 판결을 식별한다. UKHL은 영국 상원을 나타낸다. EWHC 및 EWCA는 각각 잉글랜드 및 웨일스 고등 법원 및 항소 법원을 나타낸다. 이러한 약어는 일반적으로 법원 또는 부서를 나타내는 약어가 뒤따릅니다(예: Admin, Ch, Crim, Pat).[42]
5. 2. 판례 인용 방법
영국 판례 인용은 사건명, 중립적 인용, 법률 보고서 시리즈 순서로 구성된다. 중립적 인용은 당사자 이름 바로 뒤에 오며, 법률 보고서 시리즈는 공식 법률 보고서(Appeals Cases - AC, Chancery - Ch, Family - Fam, Queen's Bench - QB 등)를 우선적으로 사용한다.''Rottman v MPC'' 사건은 Appeals Cases에 보고되었으므로, ''Rottman v MPC'' [2002] UKHL 20, [2002] 2 AC 692와 같이 인용한다. 이는 2002년 판, 2권, Appeals Cases 692페이지에서 사건을 찾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특정 단락을 인용하려면, ''Rottman v MPC'' [2002] UKHL 20, [2002] 2 AC 692 [58]과 같이 단락 번호를 추가한다.
법률 보고서에 보고되지 않은 경우, Weekly Law Reports (예: [2002] 2 WLR 1315), All England Reports (예: [2002] 2 All ER 865) 순으로 인용한다. Human Rights Law Reports ([2002] HRLR 32)와 같이 전문 시리즈를 인용하는 것이 더 적절할 수도 있다.
2001년 이전 사건은 ''Donoghue v Stevenson'' [1932] AC 562, 573과 같이 최고의 보고서를 인용하고, 특정 페이지를 언급할 때는 페이지 번호를 추가한다.
5. 3. 잉글랜드와 웨일스
잉글랜드와 웨일스의 표준 판례 인용 방식은 사건의 명칭, 판결 연도, 보고 연도, 권, 보고서, 시리즈, 페이지, 관할권/법원을 포함한다. 사건 유형에 따라 표기 방식에 차이가 있는데, 국가가 당사자인 사건(일반적으로 형사 사건 또는 사법 심사)에는 "R"이 사용되며, 이는 국왕(''rex'') 또는 여왕(''regina'')을 나타내는 약어다. 잉글랜드와 웨일스의 법무장관 또는 검찰청(잉글랜드와 웨일스)이 사건을 기소하는 경우에는 "R" 대신 "AG" 또는 "DPP" 약어가 사용된다.보고서의 위치를 찾는 데 연도가 필수적인 경우 대괄호 "[ ]"를, 연도가 필수적이지 않지만 정보 제공 목적으로 유용한 경우 소괄호 "( )"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Donoghue v Stevenson'' 사건은 대괄호를, ''R v Dudley and Stephens'' 사건은 소괄호를 사용한다.
사건의 명칭 | (판결 연도), | [보고 연도] | 권 | 보고서 | (시리즈) | 페이지 | 관할권/법원 |
---|---|---|---|---|---|---|---|
Donoghue v Stevenson | [1932] | AC | 562 | (HL). | |||
R v Dudley and Stephens | (1884) | 14 | QBD | 273. |
6. 독일
BVerfGE 82, 322
독일 연방 헌법재판소(Bundesverfassungsgerichts) 판례집 제82권 322 페이지 판례라는 의미이다.
독일에는 두 가지 유형의 인용이 있다. 즉, 사건의 전체 인용과 축약형이 있다. 예를 들어 과학 논문에서는 특정 사건의 전체 인용은 처음 나타날 때만 사용되며, 그 이후에는 축약형이 사용된다. 대부분의 법률 저널에서는 기사 자체에서 축약형만 사용한다. 모든 기사의 전체 인용은 해당 저널 호의 시작 부분에 요약되어 있다.
세 번째 유형(아직 널리 퍼지지 않음)은 유럽 판례 식별자(European Case Law Identifier)를 사용하는 인용으로, 2011년 유럽 연합 이사회(Council of the European Union)에서 도입한 "중립적" 인용 시스템이며, 독일이 참여하고 있다.
연방 사회 법원(Bundessozialgerichtde, BSG)의 공식 판례집은 Entscheidungen des Bundessozialgerichts/BSGEde로 약칭된다.
연방 재정 법원(Bundesfinanzhofde, BFH)의 공식 판례집은 Entscheidungen des Bundesfinanzhofs/BFHEde이다.
연방 노동 법원(Bundesarbeitsgerichtde, BAG)의 공식 판례집은 Entscheidungen des Bundesarbeitsgerichts/BAGEde이다.
연방 행정 법원(Bundesverwaltungsgerichtde, BVerwG)의 공식 판례집은 Entscheidungen des Bundesverwaltungsgerichts/BVerwGEde이다.
다른 법원의 경우, 일반적으로 동일한 규칙이 적용되지만, 대부분 공식적인 판례집을 발간하지 않으므로 법학 저널에서 인용해야 한다.
독일에는 완전 인용 방식과 단축 방식이라는 두 가지 판례 인용 방법이 있다. 예를 들어 학술 기사에서 어떤 판례에 대해 언급하는 경우, 처음 인용하는 부분에서는 완전 인용 방식을 사용하지만, 그 이후의 부분에서는 단축 방식을 사용하여 인용한다. 대부분의 법률 잡지에서는 단축 방식만을 사용하고 있다. 잡지 권두에서 기사에서 소개한 판례를 완전 인용 방식으로 표기하여 정리하는 경우도 있다.
6. 1. 연방 헌법 재판소
독일 연방 헌법 재판소의 판례는 공식 판례집에 수록되어 ''BVerfGE''로 약칭된다. ''BVerfG''는 독일어 Bundesverfassungsgerichtde(연방 헌법 재판소)의 약자이고, ''E''는 Entscheidungde(결정)을 의미한다.예를 들어, '인구조사 판결'은 다음과 같이 인용될 수 있다.
- BVerfGE 65, 1 (43): 제1재판부의 판결, 1983년 12월 15일, 1983년 10월 18일 및 19일에 열린 구두 변론, Az. 1 BvR 209, 269, 362, 420, 440, 484/83.
공식 판례집 | 권 | 시작 페이지 | 인용 페이지 | 자세한 정보 및 날짜 | 사건 번호 |
---|---|---|---|---|---|
BVerfGE | 65, | 1 | (43), | 제1재판부의 판결 1983년 12월 15일 [청문회 경우:] 1983년 10월 18일 및 19일에 열린 구두 변론, | Az. 1 BvR 209, 269, 362, 420, 440, 484/83 |
BVerfG의 각 사건 번호의 의미는 독일어 문서를 참조할 수 있다. 재판소에서 아직 결정을 발간하지 않았거나, 전혀 발간하지 않을 경우 법률 저널을 인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BVerfG, NJW 2009, 1234 (1235 f.)와 같이 인용하며, 여기서 ''NJW''는 법률 저널 ''Neue Juristische Wochenschrift''를 나타내고, 2009는 연도, 1234는 시작 페이지, 1235는 인용 페이지를 나타내며, "f."는 "이하"를 의미한다.
6. 2. 연방 대법원
독일 연방대법원(연방보통재판소, Bundesgerichtshofde, BGH)은 형법 관련 판결에 대한 공식 판례집인 Entscheidungen des Bundesgerichtshofes in Strafsachen/BGHStde와 사법 관련 판결에 대한 Entscheidungen des Bundesgerichtshofes in Zivilsachen/BGHZde를 발간한다.[38]예를 들어, ''고양이 왕 사건''(Katzenkönigfall) 판례는 다음과 같이 인용된다.[38]
- 전체 인용: BGHSt 35, 347 ff., Urteil des 4. Strafsenats vom 15. September 1988, Az. 4 StR 352/88, 35, 347.
- 요약 인용: BGHSt 35, 347 ff.
'ff.'는 '이하'를 의미하며, 인용된 페이지(347페이지)뿐만 아니라 그 이후의 페이지들도 포함한다는 뜻이다.[38]
7. 일본
7. 1. 종이 기반 인용
일본에서 판례가 종이 형태로 공표되는 경우, 대개 판례집의 제목, 권수, 페이지 수, 재판이 이루어진 연도 등의 정보가 포함된다. 영국이나 오스트레일리아 등 몇몇 국가에서는 판례집의 권수가 발행 연도와 관련이 없다. 따라서 판례 인용 시 판례집의 발행 연도 및 권수가 모두 필요하며, 이 경우 일반적으로 [''연도''] 표기는 꺾쇠괄호로 묶는다.7. 2. 인터넷 기반 인용
인터넷을 통해 법원은 판결을 웹사이트에 공표할 수 있게 되었다.[32]법원의 재판 대부분은 판례집에 게재되지 않는다. 활자로 인쇄하여 발행하는 데 비용이 들기 때문에 중요한 판단에 한해서만 이루어진다. 그러나 법원의 판단이 인터넷으로 공표되면서 정보 홍수와 같은 상황이 발생했고, 그 결과 중립적 인용 방식이 채택되었다. 중립적 인용 방식에서는 재판이 행해진 연도, 재판을 행한 법원의 약칭, 재판의 일련 번호(법원의 사건 번호와는 다름)를 통해 판례를 표시한다.[32]
법원 판결 중 특정 부분을 지정하고 싶은 경우, 페이지 번호 대신 단락 번호로 특정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페이지 번호는 열람자의 프린터나 브라우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8. 호주
호주의 법적 인용은 일반적으로 영국에서 사용되는 인용 방식과 유사하다. 호주 법적 인용에 널리 사용되는 지침은 ''호주 법적 인용 가이드''(Australian Guide to Legal Citation), 일반적으로 AGLC로 알려져 있으며, ''멜버른 대학교 법률 평론''과 ''멜버른 국제법 저널''이 공동으로 발행한다.[33]
호주의 표준 판례 인용 형식은 다음과 같다.
사건의 명칭 | (판결 연도) | [보고서 연도] | 권 | 보고서 | (시리즈) | 페이지 |
---|---|---|---|---|---|---|
Mabo v Queensland (No 2) | (1992) | 175 | CLR | 1. |
캐나다와 마찬가지로, 인용 스타일에도 차이가 있었다. Butterworths와 다른 법률 출판 회사에서 발행하는 상업적 인용 가이드, 학술적 인용 스타일 및 법원 인용 스타일이 존재한다. 호주의 각 법원은 동일한 사건을 약간 다르게 인용할 수 있다. 현재 ''멜버른 대학교 로 리뷰''에 의한 호주 법적 인용 가이드의 포괄적인 학술적 인용 스타일로 수렴하려는 움직임이 있다.
호주에는 중립적 인용 방식과 판례집 인용 방식이 있다.
; 중립 인용
호주의 법원과 법정은 판례에 대해 중립적 인용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10] 이는 법률 보고서에 사건이 게재되는 것에 의존하지 않는 명명 시스템을 제공한다.[10] 대부분의 사건은 현재 중립적 인용 방식을 사용하여 AustLII에 게시된다.[10][34]
표준 형식은 [결정 연도], 법원 식별자, 일련 번호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Mabo v Queensland (No 2)'' [1992] HCA 23과 같이 인용된다.
각 법원에는 고유한 법원 식별자 코드가 있다. 예를 들어, 오스트레일리아 고등법원은 HCA, 오스트레일리아 연방 법원은 FCA, 오스트레일리아 가정 법원은 FamCA, 행정 항소 재판소는 AAT로 표기된다. 각 주의 대법원과 항소 법원도 고유한 식별자를 가진다. (예: 뉴사우스웨일스주 대법원 NSWSC, 뉴사우스웨일스주 항소 법원 NSWCA)
; 판례집
약어 | 보고서 | 연도 |
---|---|---|
AAR | 행정 항소 보고서(Administrative Appeals Reports) | – |
ALJR | 오스트레일리아 법률 저널 보고서(Australian Law Journal Reports) | – |
ALR | 오스트레일리아 법률 보고서(Australian Law Reports) | 1983– |
CLR | 연방 법률 보고서(Commonwealth Law Reports) | 1903– |
FLC | 가족법 사례(Family Law Cases) | – |
FLR | 연방 법률 보고서(Federal Law Reports) | – |
NSWLR | 뉴 사우스 웨일스 법률 보고서(New South Wales Law Reports) | – |
Qd R | 퀸즐랜드 보고서(Queensland Reports) | – |
SASR | 사우스 오스트레일리아 주 보고서(South Australian State Reports) | – |
VR | 빅토리아 보고서(Victorian Reports) | – |
WAR | 웨스턴 오스트레일리아 보고서(Western Australian Reports) | 1899– |
8. 1. 판례집
wikitable약어 | 보고서 | 연도 |
---|---|---|
AAR | 행정 항소 보고서(Administrative Appeals Reports) | – |
ALJR | 오스트레일리아 법률 저널 보고서(Australian Law Journal Reports) | – |
ALR | 오스트레일리아 법률 보고서(Australian Law Reports) | 1983– |
CLR | 연방 법률 보고서(Commonwealth Law Reports) | 1903– |
FLC | 가족법 사례(Family Law Cases) | – |
FLR | 연방 법률 보고서(Federal Law Reports) | – |
NSWLR | 뉴 사우스 웨일스 법률 보고서(New South Wales Law Reports) | – |
Qd R | 퀸즐랜드 보고서(Queensland Reports) | – |
SASR | 사우스 오스트레일리아 주 보고서(South Australian State Reports) | – |
VR | 빅토리아 보고서(Victorian Reports) | – |
WAR | 웨스턴 오스트레일리아 보고서(Western Australian Reports) | 1899– |
8. 2. 중립 인용
호주의 법원과 법정은 판례에 대해 중립적 인용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10] 이는 법률 보고서에 사건이 게재되는 것에 의존하지 않는 명명 시스템을 제공한다.[10] 대부분의 사건은 현재 중립적 인용 방식을 사용하여 AustLII에 게시된다.[10][34]표준 형식은 [결정 연도], 법원 식별자, 일련 번호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Mabo v Queensland (No 2)'' [1992] HCA 23과 같이 인용된다.
각 법원에는 고유한 법원 식별자 코드가 있다. 예를 들어, 오스트레일리아 고등법원은 HCA, 오스트레일리아 연방 법원은 FCA, 오스트레일리아 가정 법원은 FamCA, 행정 항소 재판소는 AAT로 표기된다. 각 주의 대법원과 항소 법원도 고유한 식별자를 가진다. (예: 뉴사우스웨일스주 대법원 NSWSC, 뉴사우스웨일스주 항소 법원 NSWCA)
참조
[1]
서적
Black's Law Dictionary
West
[2]
웹사이트
Understanding UK Case Law
http://www.soas.ac.u[...]
SOAS Library
2017-10-10
[3]
서적
Australian Guide to Legal Citation
http://law.unimelb.e[...]
Melbourne University Law Review Association
2010
[4]
뉴스
On Language: Child's Garden of Vs.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89-06-04
[5]
뉴스
How the Airlines Became Abusive Cartels
https://www.nytimes.[...]
2017-04-17
[6]
웹사이트
Sony Corporation of America v. Universal City Studios, Inc.
https://www.oyez.org[...]
[7]
웹사이트
Smith v. Massachusetts
https://www.oyez.org[...]
[8]
서적
A Dictionary of Modern Legal Usag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9]
웹사이트
Planned Parenthood of Southeastern Pennsylvania v. Casey
https://www.oyez.org[...]
2015-12-27
[10]
웹사이트
Austlii.edu.au
http://austlii.edu.a[...]
[11]
간행물
Canadian Guide to Uniform Legal Citation / Manuel canadien de la référence juridique
2018-06-29
[12]
웹사이트
Versus, v., vs. – Writing Tips Plus – Writing Tools – Resources of the Language Portal of Canada – Canada.ca
https://www.noslangu[...]
2019-12-06
[13]
웹사이트
The Preparation, Citation and Distribution of Canadian Decisions
http://lexum.org/ccc[...]
2009-04-02
[14]
서적
Philippines Constitution and Citizenship Law Handboook - Strategic Information and Basic Laws
https://books.google[...]
IBP, Inc
2013-04-04
[15]
법률
The Internal Rules of the Supreme Court
https://lawphil.net/[...]
2010-05-04
[16]
서적
High-level Political Appointments in the Philippines: Patronage, Emotion and Democracy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3-10-08
[17]
웹사이트
Internal Rules of the Court of Appeals (IRCA)
https://lawphil.net/[...]
Court of Appeals
2020-06-14
[18]
문서
There are two earlier series of Natal Law Reports. The earlier one covers 1867 to 1872, and the later one covers 1873 to 1879.
[19]
웹사이트
Schweizerisches Bundesgericht - Zitierregeln
https://www.bger.ch/[...]
2018-04-28
[20]
서적
Archbold Criminal Pleading, Evidence and Practice
1999
[21]
서적
Halsbury's Laws of England
https://books.google[...]
Butterworths
[22]
서적
Archbold Criminal Pleading, Evidence and Practice
1999
[23]
서적
Archbold Criminal Pleading, Evidence and Practice
1999
[24]
서적
Archbold Criminal Pleading, Evidence and Practice
1999
[25]
서적
Legal Research
https://books.google[...]
Cengage Learning
2020-12-14
[26]
법률
D.C. Circuit Rule 32.1 provides: "Citations to decisions of this court must be to the Federal Reporter. Dual or parallel citation of cases is not required."
[27]
웹사이트
New York Law Reports Style Manual
http://www.courts.st[...]
[28]
웹사이트
Greenman v. Yuba Power Products, Inc.
http://online.ceb.co[...]
1963
[29]
웹사이트
Schmier v. Supreme Court
http://online.ceb.co[...]
2000
[30]
웹사이트
AALL Citation Formats Committee
http://www.aallnet.o[...]
2015-02-09
[31]
서적
The Winning Brief: 100 Tips for Persuasive Briefing in Trial and Appellate Courts
Oxford University Press
2014
[32]
웹사이트
World Legal Information Institute (WorldLII)
http://www.worldlii.[...]
[33]
웹사이트
Australian guide to legal citation, third edition
http://mulr.law.unim[...]
2011-12-18
[34]
웹사이트
Austlii.edu.au Australasian Legal Information Institute
http://austlii.edu.a[...]
[35]
문서
なお、憲法問題について政府が裁判所に参考意見を求める場合(reference question)、そのタイトルは「''Reference re''」から始まり主題となる論点の名前がその後に付けられる
[36]
문서
審判所の判断の引用は、出版社の判例集に依存しない形でなされている
[37]
문서
BVerfGの事件番号の詳細については、[[:de:Aktenzeichen#Verwendete Aktenzeichen des Bundesverfassungsgerichts]]を参照のこと。
[38]
웹사이트
Guide to foreign and international legal citations
http://www.law.nyu.e[...]
2011-12-18
[39]
문서
最高裁判所判例刑事判例集を参照している。
[40]
문서
最高裁判所判例労働・兵役判例集を参照している。
[41]
웹사이트
Justices of the Supreme Court
http://sc.judiciary.[...]
Supreme Court of the Philippines
2011-12-18
[42]
BAILII
http://www.bailii.or[...]
[43]
문서
通常の引用方式によると「''Carlill v Carbolic Smoke Ball Co'' [1893] 1 QB 256」となる。
[44]
문서
在位しているのが王の場合、「王座部」となる。
[45]
문서
Archbold Criminal Pleading, Evidence and Practice
1999
[46]
문서
全文掲載ができない場合、裁判要旨を掲載している。
[47]
문서
Archbold Criminal Pleading, Evidence and Practice
1999
[48]
문서
「Sol Jo」と省略されることもある。
[49]
문서
Archbold Criminal Pleading, Evidence and Practice
1999
[50]
문서
「Nominate reports」(指定判例集)とは、中世から1860年代までの期間におけるさまざまなイギリスの判例集を意味する法律用語であるが、その判例のほとんどが、この「English Reports」において再録されている。Glanville Williams, Learning the Law, 11th Edition, 1982, Stevens, p.34; 13th Edition, 2006, Sweet and Maxwell, p.36
[51]
웹사이트
Practice Note No.2 of 2004
http://www.scotcourt[...]
2011-12-17
[52]
웹사이트
Practice Note No.5 of 2004
http://www.scotcourt[...]
2011-12-17
[53]
문서
[[ロー対ウェイド事件]]
[54]
문서
Rules of the Supreme Court of the United States
http://www.law.corne[...]
[55]
문서
[[ブラウン対教育委員会裁判]]
[56]
문서
[[ミランダ対アリゾナ州事件]]
[57]
문서
この略称は、郵便制度上用いられている略称とは異なる伝統的な略称である。
[58]
문서
ニューヨーク州の場合とは異なり、イリノイ州控訴裁判所は、[[イリノイ州]]に存在する唯一の中間上訴裁判所である。イリノイ州最高裁判所の裁判は「Illinois Reports」(イリノイ州判例集)にまとめられ、その略称は「Ill」(又は「Ill. 2d」)となる。
[59]
문서
この判例は、ウェスト社の地方別判例集にも掲載されている。そちらを引用する場合は「''People v. Brown,'' 229 N.E.2d 192 (N.Y. 1967)」となる。
[60]
문서
"New York Law Reports Style Manual"
http://www.courts.st[...]
[61]
문서
Greenman v. Yuba Power Products, Inc. (1963) 59 C2d 57
http://online.ceb.co[...]
[62]
문서
''Schmier v. Supreme Court'',
http://online.ceb.co[...]
[63]
웹사이트
Unpublished opinions may be cited in Kentucky
http://louisvillediv[...]
Divorce Law Journal
2011-12-18
[64]
웹사이트
Derivative Actions
http://www.law.corne[...]
2011-12-18
[65]
문서
MATTHEW BENDER & CO. v. WEST PUBLISHING CO.事件
http://www.softic.or[...]
[66]
문서
フェイスト出版社対ルーラル電話サービス社事件
[67]
문서
AALL Citation Formats Committee
http://www.aallnet.o[...]
[68]
웹사이트
Breyer on Footnotes Needs a Footnote
http://www.nytimes.c[...]
The New York Times
2011-12-18
[69]
웹사이트
Neutral Citation, Court Web Sites, and Access to Case Law
http://scholarship.l[...]
2011-11-18
[70]
간행물
Practice Directive (Civil & Criminal): Citation of Authorities
https://www.bccourts[...]
The Courts of British Columbia
2013-05-30
[71]
간행물
Case naming guidelines
https://lexum.com/cc[...]
Canadian Citation Committee
2009-02-27
[72]
웹인용
SCR/RCS [1998] vol 2 Reference re Secession of Quebec / Renvoi relatif à la sécession du Québec
https://decisions.sc[...]
Supreme Court of Canada
2021-03-22
[73]
웹인용
Law - Legal Citation Guide
https://guides.libra[...]
UBC Library
2021-03-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