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판문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판문역은 지상역으로, 대한민국 측에서 건설되었으며, 개성공업지구에 인접해 있다. 1908년 여객 및 화물 수송을 위해 개통되었으나 한국 전쟁 이후 폐쇄되었다가, 남북 철도 연결 계획에 따라 2000년대 초반 재건되었다. 2007년 남북 철도 연결 구간의 열차 시험 운행 및 정식 개통이 이루어졌으나, 남북 관계에 따라 운행 중단과 재개를 반복했다. 2018년에는 남북 철도·도로 연결 착공식이 판문역에서 거행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개성시의 철도역 - 봉동역
    봉동역은 경의선 상의 철도역으로, 1906년 개통하여 여객 및 화물 운송을 했으나, 한국 전쟁으로 폐쇄되었다가 2007년 화물 열차 전용역으로 재개업했지만, 남북 관계에 따라 운행이 중단과 재개를 반복했으며, 현재는 콘크리트 승강장과 공터만 남아 있다.
  • 개성시의 철도역 - 개성역
    개성역은 1906년 경의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한 철도역으로, 남북 분단 이후 평부선의 종착역이 되었으나, 2000년대 경의선 연결 사업으로 복구되어 남북 간 화물 열차가 운행되기도 했지만 현재는 남북 관계 경색으로 열차 운행이 중단된 상태이다.
  • 개성시의 건축물 - 통일각
    통일각은 1985년 북한이 남북회담을 위해 판문점 공동경비구역 북쪽에 지은 지상 1층, 지하 1층 규모의 건물로, 남측의 평화의 집에 대응하는 시설이며, 남북은 이곳과 평화의 집에서 번갈아 회담을 진행하고, 내부에 CCTV와 마이크가 설치되어 평양에서 회담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한다.
  • 개성시의 건축물 - 판문각
    판문각은 1968년 군사분계선에 건설되어 북측 남북연락사무소 역할을 수행하는 건물로, 남쪽의 자유의 집과 마주보고 있으며 남북 간 연락사무소와 직통 전화가 처음 개설된 장소이자 김정은과 도널드 트럼프의 판문점 회동이 이루어진 곳이다.
  • 2007년 개업한 철도역 - 덕계역
    덕계역은 2007년 12월 28일 수도권 전철 1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으며,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춘 고가역이다.
  • 2007년 개업한 철도역 - 바오안궁루역
    바오안궁루역은 3호선 고가역으로 3층에 푸진루/신좡 방면 상대식 승강장, 2층에 주요 시설, 1층에 인근 도로와 연결된 출구가 있으며 버스 노선도 운행한다.
판문역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판문역 야드 모습
판문역 구내 모습
한국어판문역
한자板門驛
로마자 표기Panmun-yeok
일반 정보
위치개성공업지구, 황해북도
국가북한
플랫폼 수1개 (1개 섬식 승강장)
선로 수1개
개업일1908년 4월 1일
폐지1950년-1953년
재건축2003년
전철화 여부아니오
소유주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
운영자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
노선평부선 (경의선)
이전 역봉동역
다음 역도라산역 (대한민국 방향, 군사분계선 통과)
평양 기점 거리197.6 km

2. 역 구조

지상역이다. 역사는 대한민국 측에 의해 건설되었으며, 도라산역을 방문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 관계자가 판문역을 도라산역과 동일한 형식으로 건설할 것을 요청했고, 이를 대한민국 측이 수용했다.[8][9]

3. 역 주변

개성공업지구와 인접해 있으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출입사무소에서 김일성 초상화가 걸린 판문역을 내려다볼 수 있다.

4. 특이 사항


  • 문산역에서 출발하여 하루 1회 정기 운행하는 화물열차는 봉동역에 정차할 예정이었으나, 봉동역 화물터미널 완공 전까지는 판문역에 임시 정차한다.
  • 도라산역을 방문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관계자가 대한민국 측에 판문역을 도라산역과 비슷한 형식으로 지어줄 것을 요청하여, 대한민국 측에서 이를 받아들여 역사를 지었다.[11]

5. 역사

경의선은 원래 1906년 4월 3일에 개통되었지만, 판문역 자체는 1908년 4월 1일에 여객 및 화물 수송을 위해 개통되었다. 이 역은 한국 전쟁 이후 폐쇄되었다.

하위 섹션에서 이미 자세히 다루고 있으므로, 판문역 재개통과 관련된 내용은 간략하게 요약한다.

2003년 판문역과 비무장지대를 가로질러 개성에서 도라산까지의 사용하지 않는 구간이 재건되었고, 2007년 5월 17일 재개통 기념 특별 열차가 운행되었다.[2] 도라산역개성공업지구 사이에는 정기적인 화물 운송이 시작되었고, 특별 열차 외에 도라산과 개성 공업 지구 사이를 오가는 남한 근로자를 위한 여객 운송은 있었지만, 판문역까지의 여객 운송은 없었다.[2] 화물 및 여객 운송은 북한남한 사이의 정치적 사건으로 인해 여러 차례 중단 및 재개되었다.

5. 1. 남북 철도 연결 노력

날짜사건
2000년 6월 15일남북 철도 연결 계획 수립[2], 제1차 남북 장관급 회담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대한민국경의선 단절 구간의 재연결에 합의.[10]
2002년 9월 18일DMZ 구간 공사 착공[2][10]
2003년 6월 14일경의선·동해선 연결식 (남북이 따로 진행)[2][10]
2003년 12월 31일대한민국측 구간 공사 완료[2][10]
2006년개통 예정이었으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반대로 연기[2][10]
2007년 5월 17일남북철도연결구간 열차시험운행 및 정식 개통[2][10]
2007년 12월 11일문산 - 봉동간 화물열차 정기 운행 시작[2][10]
2008년 11월 28일남북관계 경색으로 인해 문산 - 봉동간 화물열차 운행 중지[2][10]
2008년 12월 1일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12·1 조치를 발표하면서 철도 운행이 정식 중단됨[2][10]
2009년 8월 25일12·1 조치 해제로 철도 운행 공식 재개[2][10]
2018년 12월 16일남북 철도·도로 연결 착공식이 판문역에서 거행[10]



2003년에는 판문역과 비무장지대를 가로질러 개성에서 도라산까지의 사용하지 않는 구간이 재건되었고, 2007년 5월 17일에 재개통을 기념하는 특별 열차가 운행되었다.[2] 도라산역개성공업지구 사이에는 정기적인 화물 운송이 시작되었고,[2] 특별 열차 외에는 도라산과 개성 공업 지구 사이를 오가는 남한 근로자를 위한 여객 운송은 있었지만, 판문역까지의 여객 운송은 없었다.[2] 화물 및 여객 운송은 북한과 남한 사이의 정치적 사건으로 인해 여러 차례 중단되었고, 이로 인해 공업 지구가 폐쇄되었다. 5개월간의 폐쇄 이후 2013년 9월 16일에 다시 재개되었다.[3] 10년간의 폐쇄 이후, 2018년 11월 30일 첫 번째 남한 열차가 판문역으로 향하여 비무장 지대를 통과했다.[4][5][6]

5. 2. 재개통과 중단

판문역한국어은 2000년 6월 15일 남북 철도 연결 계획 수립 후, 2002년 9월 18일 DMZ 구간 공사가 시작되며 재개통되었다.[2] 2003년 6월 14일 경의선동해선 연결식이 남북 별도로 진행되었고, 그해 12월 31일 대한민국 측 구간 공사가 완료되었다.[2]

2006년 개통 예정이었으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반대로 연기되었다가, 2007년 5월 17일 남북 철도 연결 구간 열차 시험 운행 후 정식 개통되었다.[2] 그해 12월 11일부터 문산역-봉동역 간 화물열차가 정기 운행을 시작했다.[2]

2008년 11월 28일 남북 관계 경색으로 화물열차 운행이 중지되었고,[2] 12월 1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12·1 조치로 철도 운행이 정식 중단되었다.[2] 2009년 8월 25일, 12·1 조치 해제로 철도 운행이 공식 재개되었다.[2]

2013년 9월 16일에는 5개월간 폐쇄 후 운행이 재개되었다.[3] 2018년 11월 30일, 10년간 폐쇄되었던 판문역으로 첫 남한 열차가 비무장 지대를 통과했다.[4][5][6]

5. 3. 운행 중단과 재개

2000년 6월 15일 남북 철도 연결 계획 수립 후, 2002년 9월 18일 DMZ 구간 공사가 착공되었다.[2] 2003년 6월 14일 경의선동해선 연결식이 남북에서 따로 진행되었고,[2] 그해 12월 31일 대한민국 측 구간 공사가 완료되었다.[2]

2006년 개통 예정이었으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반대로 연기되었다가, 2007년 5월 17일 남북 철도 연결 구간 열차 시험 운행 후 정식 개통되었다.[2] 그해 12월 11일부터 문산역봉동역 간 화물열차가 정기 운행을 시작했다.[2]

2008년 11월 28일 남북 관계 경색으로 화물열차 운행이 중지되었고,[2] 12월 1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12·1 조치 발표로 철도 운행이 정식 중단되었다.[2] 2009년 8월 25일, 12·1 조치 해제로 철도 운행이 공식 재개되었다.[2]

2013년 9월 16일, 5개월 만에 운행이 재개되었다.[3] 2018년 11월 30일에는 10년간 폐쇄되었던 판문역으로 첫 남한 열차가 비무장 지대를 통과했다.[4][5][6]

6. 인접한 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 평부선 봉동역 ← '''판문역''' → 도라산역

참조

[1] 서적 将軍様の鉄道
[2] 웹사이트 First Regular Train Service Crossess Inter-Korean Border http://koreareport2.[...] Korea Report 2007-12-11
[3] 웹사이트 North and South Korea reopen Kaesong Industrial Complex http://edition.cnn.c[...] CNN 2013-09-16
[4] 웹사이트 South Korean trains venture over the border for first time in a decade to fix the North's dilapidated railway | South China Morning Post https://www.scmp.com[...]
[5] 웹사이트 South Korean train crosses DMZ into North Korea - BBC News4; South China Morning Post https://www.bbc.com/[...]
[6] 뉴스 South Korea sends a train into North for the first time in a decade https://www.washingt[...] 2018-11-30
[7] 문서 外部リンクを参照
[8] 뉴스 北 "판문역 南서 지어달라" http://nk.joins.com/[...] 중앙일보 2003-12-29
[9] 뉴스 판문역 역사형식 아직 이견…막판조율 http://article.joins[...] 중앙일보 2004-04-10
[10] 뉴스 南北が鉄道・道路連結着工式 融和演出も工事開始の見込みなし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18-12-26
[11] 웹인용 http://article.joins[...] 중앙일보 2004-04-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