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공업지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개성공업지구는 2000년 남북 정상회담 합의에 따라 조성된 남북 경제 협력 사업으로, 북한 개성시에 위치한다. 2002년 개성공업지구법 제정 이후 2004년부터 기업들의 생산이 시작되었고, 2011년 개발 1단계가 완공되었다. 2013년과 2016년 두 차례 가동이 중단되었으며, 2018년에는 남북공동연락사무소가 설치되기도 했다. 개성공업지구는 남북 관계의 변화에 따라 정치적, 경제적 영향을 받아왔으며, 경제적 효과와 논란이 공존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공업지역 - 서커우
서커우는 중국 선전시에 위치한 개혁개방 초기 개발지로, 남중국해 석유 탐사를 시작으로 경제특구로 지정되어 발전했으며, 현재 해상 교통의 요충지이자 외국인 거주 비율이 높은 지역으로 도시 현대화가 추진 중이다. - 공업지역 - 다낭 하이테크 파크
다낭 하이테크 파크는 첨단 기술 제품 생산을 핵심 기능으로 하는 도시 기능 구역, 산, 호수, 그린벨트 등으로 구성된 복합 단지이며 2020년까지 3,000ha로 확장될 계획이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폐지된 행정 구역 - 신의주특별행정구
신의주특별행정구는 북한이 2002년 신의주 지역에 중국 경제 개혁 모델을 적용하여 추진하려 했던 특별 행정 구역이었으나, 행정장관 임명 후 계획이 사실상 폐기되었고, 이후 신의주 국제경제구로 개발되어 제한적인 경제 개방을 시도하고 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폐지된 행정 구역 - 황해도
황해도는 한반도 중서부에 위치하며 조선 시대 팔도 중 하나로, 넓은 평야가 발달한 곡창지대였으나 광복 이후 분단되어 대부분 북한에 속하게 되었고 대한민국에는 일부 도서 지역만 남아있다. - 개성시 - 기정동
기정동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선전 목적으로 건설한 비무장지대 내 마을로, 북한은 200가구가 거주하는 집단 농장이라고 주장하나, 대한민국은 무인 마을로 대남 선전, 탈북 방지, 군사적 목적으로 활용된다고 본다. - 개성시 - 경기도 (일제강점기)
경기도 (일제강점기)는 1925년부터 1944년까지의 인구, 행정 구역, 경제, 사회,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일제강점기 당시의 경기도 상황을 보여준다.
개성공업지구 | |
---|---|
지도 정보 | |
![]() | |
기본 정보 | |
명칭 | 개성공업지구 |
다른 명칭 | 개성공단 Kaesong Industrial Region, KIR |
한국어 | 개성공업지구 |
한글 | 개성공업지구 |
한자 | 開城工業地區 |
로마자 표기 | Gaeseong Gongeop Jigu |
매큔-라이샤워 표기 | Kaesŏng Kongŏp Chigu |
약칭 | 개성공단 |
약칭 한글 | 개성공단 |
약칭 한자 | 開城工團 |
약칭 로마자 표기 | Gaeseonggongdan |
약칭 매큔-라이샤워 표기 | Kaesŏnggongdan |
영어 명칭 | Kaesong Industrial Region, KIR 또는 Kaesong Industrial Zone, KIZ |
위치 | 개성시 |
유형 | 국가 |
지정 연도 | 2003년 |
면적 | 66 km² |
행정 구역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하위 행정 구역 | 개성특급시 |
방언 | 서울 |
각주 | 2002년 개성직할시에서 분리됨. |
![]() | |
정부 | |
정부 형태 | 산업 지역 |
언어 | 한국어 |
기타 | |
분리 | 개성직할시에서 2002년에 분리됨 |
2. 역사
개성공업지구 계획은 2000년 6월 정주영 현대그룹 회장의 방북과 김대중 대통령, 김정일 국방위원장 간의 남북정상회담을 통해 처음 공개되고 합의되었다. 이는 햇볕정책의 성과이자 남북 화해의 상징이었다. 2002년 11월 북한에서 개성공업지구법이 제정되어 개성시와 판문군 일부가 개성공업지구로 지정되었다.
2003년 6월 1단계 공사가 착공되었고, 2004년 말부터 입주 기업들이 생산을 시작했다. 2007년에는 연결된 철도를 통한 화물 운송도 시작되었으며, 2011년 개발 1단계인 100만 평 조성이 완료되었다.[49]
개성공업지구 사업은 북한의 외화 수입원이었으나, 2006년 북한의 미사일 발사와 핵실험으로 인해 미국의 문제 제기를 받는 등 사업 불확실성이 커졌다. 2007년 10월 노무현 대통령은 제2차 남북 정상회담에서 이 사업을 북한의 “개혁개방”으로 규정했으나, 덩샤오핑과 대립[50]하는 등 개혁개방에 부정적이었던 김정일 위원장은 강한 불쾌감을 표시했다.[51] 노무현 대통령은 귀국 후 관련 홈페이지에서 “개혁개방”이라는 용어를 삭제했다.[52]
2008년 이명박 정부 출범 이후 개성공업지구는 남북 관계의 핵심 쟁점이 되었다. 북한은 남측의 대북 적대적 태도를 이유로 열차 운행 중단, 현대아산 직원 구금 등을 자행했으며, 2009년 5월에는 관련 특별 조치의 무효를 통보하고 임금 및 토지 사용료 인상을 요구했다.
2012년 말 기준 가동 기업 수는 123개, 종업원 수는 5만 4,234명(98.6% 북한 측 인원)이었다.[49] 2013년 기준 한국 기업의 투자 총액은 5568억원, 생산액은 월 4000만달러였다. 북한은 노동자 임금으로 연간 8700만달러의 외화 수입을 얻었다.[53]
2. 1. 사업 추진 배경 및 초기 단계
개성공단 사업은 2000년 8월 22일 현대아산(주)와 북한과의 합의로 시작되었다. 이는 2000년 6월 당시 현대그룹 회장이었던 정주영이 평양을 방문했을 때 처음 공개되었으며, 같은 달 조선노동당 총서기 김정일과 당시 대한민국 대통령 김대중 간의 남북 정상회담에서 합의된 내용이다. 이른바 햇볕정책의 성과이자 남북 화해의 상징으로 여겨졌다.2002년 11월, 북한은 개성공업지구법을 제정하였다. 이에 따라 당시 개성직할시였던 개성시와 판문군(당시) 내 일부가 일반 행정구역에서 분리되어 “개성공업지구”로 지정되었다.
2003년 6월 30일, 1단계 330만 제곱미터 개발이 착수되었고, 2007년에는 1단계 분양 및 1단계 1차 기반시설이 준공되어 본격적인 운영이 시작되었다.[6] 2003년 8월, 남북한은 투자를 지원하기 위해 4건의 세금 및 회계 협정을 비준했다. 2004년 6월에는 시범 공사가 완료되었고, 2004년 12월에 산업단지가 개장했다.
초기 계획은 66km² (2,000만 평)의 토지를 3단계로 개발하여 10년 후인 2010년에 2,000개 이상의 기업과 50만 명의 노동자를 통해 160억달러 상당의 제품을 생산하는 것이었다.[49] 2004년 발표된 당초 계획에서는 2011년까지 총 2,000만 평의 부지 위에 800만 평의 공단과 1,200만 평의 배후도시를 계획하고, 70만 명의 북한 근로자가 고용될 것이라고 하였다.
2007년 10월, 노무현 대통령은 방북하여 제2차 남북 정상회담을 가졌다. 이 회담에서 한국 측은 개성공업지구 사업을 북한의 “개혁개방”으로 규정하였다. 그러나 과거 중국의 개혁개방을 비판하며 덩샤오핑과 대립[50]하는 등 개혁개방에 부정적이었던 김정일 총서기는 이에 대해 강한 불쾌감을 표시하였다.[51] 노무현 대통령은 귀국 후 개성공업지구 사업 관련 통일부(정부 부처에 해당) 홈페이지에서 “개혁개방”이라는 용어를 삭제하였다.[52]
2. 2. 운영 및 확장
개성공단 사업은 2000년 8월 22일 현대아산(주)와 북한과의 합의로 시작되었다.[7] 2003년 6월 30일부터 1단계 330만 제곱미터 개발이 착수되었으며, 2007년에는 1단계 분양 및 1단계 1차 기반시설이 준공되어 본격적으로 운영되기 시작했다.2004년 발표된 당초 계획으로는 2011년까지 총 2,000만 평의 부지 위에 800만 평의 공단과 1,200만 평의 배후도시를 계획하고, 70만 명의 북한 근로자가 고용될 것이라고 하였다. 이 중 공장면적은 800만 평이며, 생활, 관광, 상업 구역 등은 1,200만 평이다.
2004년 6월 14일 시범단지에 15개 사가 입주 계약을 체결하고, 2005년 18개 사가 입주한 이래, 2010년 1단계 100만 평을 조성했으며, 2단계 조성 계획은 지연되었다. 2010년 9월에는 4만 4천 명의 북한 근로자가 일하고, 매월 900명 정도 증가되었다.
개성공단 1단계 사업은 현대아산(개성사업단)과 한국토지주택공사(남북협력사업처)가 남측 사업 주체로, 지도총국과 개성공업지구 관리위원회가 북측 사업 주체로 활동했다.
대한민국에서는 2007년 5월 25일 개성공업지구 지원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고 2009년 12월에는 개성공단 종합지원센터를 완공하였으며, 2010년 9월에는 개성공단 북한 근로자를 위한 탁아소를 개원하였다.[74]
2016년 2월 10일 박근혜 정부는 개성공단을 중단시켰다.[75] 이후 만약 개성공단이 재개된다면 250만 평 확장 후 2단계 사업이 시작되어 개발할 계획이다.
개발 초기 단계에는 한국 기업 15곳이 제조 시설을 건설했다. 그중 3곳은 2005년 3월까지 운영을 시작했다. 1단계 계획은 2006년부터 한국 기업 250곳이 참여하여 2007년까지 10만 명을 고용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이 공원은 2012년 완공을 목표로 하였으며, 면적은 65km2에 달하고 70만 명의 고용을 창출할 계획이었다. 또한 계획에는 산업 지역의 약 3분의 1 크기의 지원 구역이 포함되어 있었는데, 이는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시설을 조성하기 위한 것이었다. 구체적으로 주거 지역, 병원, 쇼핑센터, 그리고 관광객 유치를 위한 테마파크 건설까지 포함되어 있었다.
개성공업지구는 2004년에 시작된 50년 임대차 계약을 체결한 대한민국 위원회가 운영한다. 남한의 대기업인 현대그룹(Hyundai Group)의 계열사인 현대아산(Hyundai Asan)이 평양으로부터 토지 개발을 의뢰받았다.[7] 기업들은 북한의 저렴한 노동력을 이용하여 신발, 의류, 시계와 같은 저가 상품을 생산하며 중국과 경쟁한다.[7]
2006년 한국은행(Bank of Korea)의 박숙삼 수석 경제학자는 개성공업지구가 2012년까지 북한 경제에 72만 5천 개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연간 5억달러의 임금 소득을 창출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측했다. 5년 후에는 개성공업지구 사업에 참여하는 한국 기업에 부과되는 연간 법인세에서 17.8억달러의 추가 수입이 발생할 것이라고 예상했다.[8]
가동 첫해가 끝날 무렵, 11개의 한국 기업이 KIR(개성공업지구)에서 운영되고 있었다. 2006년까지 초기 15개 기업(JCCOM, 용인전자, TS정밀기계, JY솔루텍, 매직마이크로, 호산에이스, 로만손, 문창, 대화연료펌프, 태성산업, 부천산업, 삼덕상사, 신원, SJ테크, 소노쿠키친웨어) 모두 생산을 시작했다.[9] 2016년 2월, 공단이 마지막으로 폐쇄되기 직전, 공단에서 운영되는 한국 기업의 수는 124개로 증가했다.[10]
공단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유형의 제조업은 다음과 같이 분류되었다.[11]
유형 | 업체 수 |
---|---|
섬유 및 의류 | 71 |
화학제품 | 9 |
금속 및 기계류 | 23 |
전자제품 | 13 |
기타 | 8 |
2012년 말 기준 가동 기업 수는 123개였다. 2012년 기준 종업원 수는 5만 4,234명이며, 종업원의 98.6%는 북한 측 인원이었다.[49]
2013년 기준 진출한 한국 기업의 투자 총액은 5568억원(482억엔)이며, 생산액은 월 4000만달러였다. 이와 별도로 한국 측 공기업이 조성 및 사회 기반 시설 정비에 55000억원(4770억엔)에서 60000억원(5200억엔)을 투자했다. 한편, 북한 측은 약 5만 3,000명의 노동자 임금으로 1년에 8700만달러(약 86억엔)의 외화 수입을 얻었는데, 경제가 열악하고 외화 수입이 부족한 북한에게는 “달러박스 사업”이었다.[53]
개성공업지구는 1단계 100만 평(3.285km2) 중 우선 2만 8000평에 15개 기업을 입주시키는 파일럿 플랜(모델단지)이 시행되었다. 15개 기업 모두 가동을 시작했다. 1단계 건설 비용은 2205억원(약 250억엔)이며, 그중 인프라 시설이 1095억원(절반 가까이)을 차지한다. 현재는 1단계 전체에 대한 분양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공장 건설이 순차적으로 진행 중이었다.
2005년 9월에는 일반 산업용지 17건, 컨소시엄으로 6개사가 참여하는 협동화 사업단지 2건, 아파트형 산업단지 1건의 기업, 기관 선정이 이루어졌다. 현재 14개 기업, 기관이 통일부의 사업 승인을 받았다. 한국 기업 외 외국 기업은 단 한 곳도 진출하지 않았다.
2012년에 인프라 시설로 한국으로부터 10만 킬로와트의 고압 송전선과 정수장, 오수 처리장, 폐기물 처리 시설(산업단지 외부에 1.5만 평을 북한 측이 제공) 등이 건설되었고, 휴대전화, 인터넷용 설비(한국과 향후 연결 예정. 전화는 200회선 정도가 현재 사용 중)의 사용에 대해서도 2013년 내 사용 개시에 합의했다. 또한 통행 절차와 관련해서는, 이전에는 3일 전까지 북한 측에 통행 일시를 통보하고 그 시간에만 통행이 가능했지만, 금년 안에 전자 출입국 시스템(RFID)을 도입하여 통보한 당일에는 시간에 관계없이 언제든지 통행할 수 있게 될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2016년 북한의 핵실험과 탄도미사일 발사로 인해 실행은 무기한 연기되었다(군사분계선을 통과하는 관계로 군의 호위가 필요하기 때문에 완전한 자유 통행은 불가능하다).[68]
2. 3. 운영 중단 및 재개
- 2008년 3월 27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는 개성공업지구 내 대한민국 정부 공무원 11명의 철수를 요구했고, 대한민국 정부는 같은 날 공무원들을 철수시켰다.[81]
- 2009년 5월 15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대한민국 기업들에 주어지던 모든 특혜를 무효화한다고 선언했다.[82]
- 2009년 5월 18일, 정몽준 한나라당 최고위원은 개성공단 철수를 건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83]
- 2009년 6월 18일, 개성공단 기업협회 대표단은 한나라당에 긴급 자금 지원과 경협보험 한도 확대를 요구했다.[84]
- 2013년 4월 9일, 북한의 핵 위협이 심해진 가운데 북한은 개성공단 폐쇄를 선언하고 근로자들의 출입을 제한했다. 하지만 160여일 후인 2013년 9월 16일, 개성공단이 재개되었다.[85][86]
- 2016년 2월 10일, 대한민국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제4차 핵실험과 미사일 도발에 대한 보복으로 개성공단 가동을 잠정 중단하고 가스와 전력 공급을 중단했다.[87]
- 2016년 2월 11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개성공단을 폐쇄하고 남한 종사자들을 추방했다.[87]
- 2017년 2월 9일,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개성공단 재개와 확장을 주장했다.[88]
- 2017년 12월, 개성공단 폐쇄 결정을 조사한 전문가 패널은 북한이 임금을 핵 프로그램 자금 조달에 전용했다는 증거가 없다고 밝혔다.
- 2018년 4월, 판문점 선언에서 개성공업지구에 남북공동연락사무소를 설치하기로 합의했다.
- 2018년 9월 14일, 남북공동연락사무소가 개소되었고, 운영 중단 이후 중단되었던 한국 측의 송전이 재개되었다.[64]
- 2018년 9월, 제5차 남북정상회담에서 경제 제재 해제 등 여건이 조성되는 대로 개성공업지구와 금강산관광을 재개하기로 합의했다.
- 2020년 6월 16일, 북한은 남북공동연락사무소를 폭파하여 철거했다.[66]
2. 4. 2017년 이후
2017년 10월, 북한이 한국과의 협의 없이 비밀리에 개성공업지구 공장을 재가동한 사실이 드러났으며, 이미 6개월이나 재가동된 상태였다는 보도가 나왔다.[63]2018년 4월, 판문점선언에서 개성공업지구에 남북공동연락사무소를 설치하기로 합의하고, 9월 14일 개소와 동시에 업무를 시작했다. 설치 과정에서 2016년 운영 중단 이후 중단되었던 한국 측의 송전이 재개되었다.[64] 같은 날 남북공동연락사무소가 공식적으로 개소하였으며,[40] 이 사무소의 목적은 남북 간 소통을 증진시키는 것이었다.[40]
2018년 9월, 제5차 남북정상회담에서 경제 제재 해제 등 여건이 조성되는 대로 개성공업지구와 금강산관광을 재개하기로 합의했다. 2019년 2월 미북정상회담을 앞두고 핵폐기와 제재 해제에 관한 미북 합의가 예상되었으나, 정상회담은 합의 없이 종료되었다. 2019년 3월에는 미국과 한국 간의 실무자 회담이 열려 북한 제재 문제도 논의되었지만, 개성공업지구 제재 해제에 대한 미국의 답변은 '노'였다.[65]
2020년 6월, 한국의 탈북자 단체가 김정은을 비난하는 전단을 북한으로 날린 것을 이유로 북한이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폐쇄를 선언하고, 같은 달 16일 해당 사무소를 폭파해 철거했다.[66] 이에 한국은 긴급 국가안전보장회의를 열고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66] 북한은 탈북민들이 북한으로 전단과 USB를 보내는 것을 남한이 금지하거나 처벌하지 않은 데 대한 반응으로 남북공동연락사무소를 폭파했다.[42] 남북 간 평화적인 소통을 유지하기 위해 설립된 건물을 북한이 의도적으로 폭파했음에도 불구하고, 남한 정부는 북한에 대해 엄격한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42] 그러나 2020년 12월, 대한민국 국회는 대북 적대 시각자료를 국경 너머로 보내는 한국 시민을 처벌하는 법률을 통과시켰다.[43]
3. 기반 시설
개성공업지구는 1단계 100만 평(3.285㎢) 중 우선 2만 8000평에 15개 기업을 입주시키는 시범단지(모델단지)가 시행되었으며, 15개 기업 모두 가동을 시작했다. 1단계 건설 비용은 2500억원이며, 그중 기반 시설이 1,095억 원으로 절반 가까이를 차지한다. 자금 조달, 설계, 분양은 한국토지주택공사가 담당하고, 시공은 현대峨山이 담당했다.
개성공업지구는 북한 법률이 적용되지만, 실질적인 산업단지 운영은 한국 측이 담당하는 독특한 형태를 가진다. 이는 햇볕정책의 큰 성과로 평가받았다.
개성공업지구에서 일하는 북한 측 노동자에게는 한국 측에서 57.5USD의 급여가 지급되었지만, 노동자에게 직접 지급되지 않고 북한 당국을 통해 지급되었다. 북한이 노동자에게 실제로 얼마나 많은 월급을 지급하는지는 명확하지 않지만, 대부분 북한 당국의 손에 들어가 핵폭탄 개발과 탄도미사일 개발 자금으로 유용되고 있다는 추측이 있다.[67] 급여 외에도 노동자들에게는 초코파이와 라면이 배급되었다.[67]
3. 1. 교통
철도는 단선으로 남측이 문산읍에서 군사분계선까지 12km를 공사했고, 북측이 군사분계선에서 개성까지 15.3km를 공사했다. 남북 궤도 연결은 2003년 6월 14일 이루어졌다. 도로는 4차선으로 철도와 마찬가지로 통일대교~군사분계선~개성공업지구를 연결하는 구간을 남측과 북측이 각각 따로 공사를 완료했다. 최종 공사는 2004년 11월 30일 이루어졌다.개성으로 가는 교통수단은 도로와 철도 두 가지가 있다. 2024년 10월 북한이 남한으로 가는 도로와 철도에 걸쳐 참호를 판 이후 남한과의 교통 연락이 두절되었다.[46] 개성공업지구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의 평부선 판문역을 통해 연결된다. 과거에는 경의선을 통해 대한민국(한국철도공사(KORAIL) 운영)으로의 철도 접근이 가능했다. 2007년 11월 철도 화물 운송 재개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졌다.[47]
대한민국에서 가장 가까운 역은 도라산역이며, 이곳에서 도로를 통해 접근할 수 있다. 한국 측 근로자들은 대한민국 국도 1호선을 통해 비무장지대(DMZ)까지 이동한 후, 아시아 고속도로 1호선을 경유하여 북한 개성으로 진입하는 제한적인 도로 접근만 허용되었다. 두 고속도로를 잇는 구간은 포장도로였으며, 아시아 고속도로 1호선(AH1) 네트워크의 일부였다. 이동 중 연결 도로는 없었으며, 북한으로 진입하기 전 남측에서만 회차가 가능했다.
3. 2. 전력 및 통신
개성공업지구 관리위원회가 밝힌 개성공단의 기반 시설은 다음과 같다.[78]- 전력: 2007년 6월부터 남한에서 송전탑을 건설, 1단계로 10만 kW, 154,000V를 공급하며 부가세 없이 남측과 동일하게 공급되었다. 2012년에는 한국으로부터 10만 킬로와트의 고압 송전선이 설치되었다.[68]
- 통신: 남쪽의 문산전화국에서 북측의 개성전화국을 경유하여, 개성공업지구의 입주 기업에 공급되었다. 전화 요금은 남측 통화는 분당 0.4USD이며, 공단 내 통화는 3분에 0.03USD이다. 2013년 내 휴대전화, 인터넷용 설비(한국과 향후 연결 예정. 전화는 200회선 정도가 현재 사용 중) 사용 개시에 합의했다.[68]
3. 3. 용수 및 기타 시설
2007년 9월을 기준으로 월고저수지에서 하루 6만 톤의 물을 공급했으며, 하루 3만 톤을 처리할 수 있는 폐수종말처리장과 소각 및 매립이 가능한 폐기물 처리장이 2008년 4월에 완공되었다. 2018년 10월 10일에는 대한민국이 해당 지역에 대한 물 공급을 재개했고,[44] 다음 날인 10월 11일에는 현지 정수장이 복구되었다.[45]2005년에는 부산에서 설립된 비정부기구(NGO) 그린닥터스가 지역 내 병원을 개설하여 개성공단 폐쇄 때까지 근로자들에게 의료 서비스를 제공했다. 이곳에서 일하는 의사들은 봉사활동으로 임금을 받지 않았다.[17]
2012년에는 한국으로부터 10만 킬로와트의 고압 송전선과 정수장, 오수 처리장, 폐기물 처리 시설 등이 건설되었다.[68]
4. 편의 시설
개성공업지구 내에는 여러 편의 시설이 갖춰져 있다. CU 3개소를 비롯한 여러 상점들은 대부분 남측 근로자들이 사용하고 있다. 공식적으로 원화는 통용되지 않고 달러가 사용된다. 우리은행 개성공단점이 개설되어 있어 환전이 가능하다.[74]
그 밖에 부속의원(병원), 면세점, 식당, 당구장, 노래주점, 호텔 등이 설치되어 있다. 개성공업지구관리위원회는 운송사업팀을 통해 북측 근로자 출퇴근 버스를 운영하고 있다.[74]
2004년 1월 부산에서 설립된 비정부기구(NGO) 그린닥터스(Green Doctors)는 2005년 지역 내 병원 개설에 대한 정부의 공식 허가를 받았다. 그 이후 개성공단 폐쇄 때까지 개성공단 근로자들에게 의료 서비스를 제공했다. 그곳에서 일하는 의사들은 봉사활동으로 임금을 받지 않았다.[17]
5. 법적 지위 및 운영 방식
2004년 10월, 남북합작으로 만들어진 재단인 개성공업지구관리위원회가 설립되어 개성 공단 내 기업 운영과 생산 활동을 지원하는 최상위 기관으로서 개성공업지구를 운영한다. 관리위원회에는 남측과 북측 직원이 함께 근무하며, 개성공단 내 물자 반출입 등 남측 기업의 모든 행정 업무를 지원한다. 관리위원회는 북측 지도총국에 대해 남측 주재원의 권리를 보장해 줄 수 있는 유일한 창구로, 남측 관리위원회와 입주기업은 매우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74] 2007년 12월, 관리위원회 지원, 지도감독 및 민원 업무 수행을 위해 개성공업지구 지원재단이 설립되었으며, 1부 2팀 1사무소(기획법제부, 예산회계팀, 출입지원팀, 도라산사무소)로 구성되어 있다. 관리위원회는 북측 법인이지만, 위원장과 부위원장은 개성공업지구 지원재단 이사장과 상근이사가 겸임하고, 직원은 개성공업지구 지원재단에서 파견한다.[74]
국가승인 여부와 관계없이 총영사관 설치는 가능하며, 영사는 해외에 파견된 경찰을 의미한다. 그러나 개성에는 한국의 총영사관이 설치되지 않았고, 관리위원회가 이 역할을 대신하고 있다. 즉, 관리위원회는 사실상 한국의 영사관 역할을 수행한다.
개성공업지구는 2004년 시작된 50년 임대차 계약을 체결한 대한민국 위원회가 운영하며, 현대그룹의 계열사인 현대아산이 평양으로부터 토지 개발을 의뢰받았다.[7] 기업들은 북한의 저렴한 노동력을 활용하여 신발, 의류, 시계 등 저가 상품을 생산하며 중국과 경쟁한다.[7]
2006년 한국은행의 박숙삼 수석 경제학자는 개성공업지구가 2012년까지 북한 경제에 72만 5천 개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연간 5억달러의 임금 소득을 창출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측했다. 또한 5년 후에는 개성공업지구 사업에 참여하는 한국 기업에 부과되는 연간 법인세에서 17.8억달러의 추가 수입이 발생할 것이라고 예상했다.[8]
6. 경제적 효과 및 논란
2010년 천안함 침몰 사건과 관련하여 대한민국 정부는 5월 24일 대북 조치를 발표, 개성공단에 대한 신규 투자를 금지하고 공단 체류 인원을 축소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이에 강력히 반발했다.[74] 2010년 11월 23일 연평도 포격 사건으로 개성공단 출입이 일시 제한되기도 했다. 5.24 조치로 인해 개성공단 입주기업은 어려움을 겪었다.[74]
2013년 4월 3일, 북한은 개성공단으로의 출경을 금지했고, 대한민국 정부는 4월 26일 잔류 근로자 전원 철수 조치를 단행했다. 2016년 2월 10일, 북한의 핵 실험과 미사일 도발로 인해 대한민국 정부는 개성공단을 폐쇄했다. 북한은 다음 날 개성공단 폐쇄 및 자산 동결, 남측 인원 추방 등을 통보했다.
개성공업지구는 2000년 6월 정주영 현대그룹 회장이 평양을 방문했을 때 처음 공개되었으며, 같은 달 남북 정상회담에서 합의되었다. 이른바 햇볕정책의 성과이자 남북 화해의 상징이었다. 초기 계획은 10년 후인 2010년에 2,000개 이상의 기업과 50만 명의 노동자를 통해 160억달러 상당의 제품을 생산하는 것이었다.[49]
2002년 11월에는 북한에서 개성공업지구법을 제정하였다. 당시 개성직할시였던 개성시와 판문군(당시) 내 일부가 일반 행정구역에서 분리되어 “개성공업지구”로 지정되었다.
2003년 6월 3.285km²를 조성하는 1단계 공사가 착공되었고, 2004년 말에는 공업단지에 입주한 기업들이 생산을 시작했으며, 2007년에는 연결된 철도를 통한 화물 운송도 시작되었다. 개발 1단계인 100만 평 조성은 2011년에 완공되었다.[49]
2006년 한국은행의 박숙삼 수석 경제학자는 개성공업지구가 2012년까지 북한 경제에 72만 5천 개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연간 5억달러의 임금 소득을 창출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측했다. 5년 후에는 개성공업지구 사업에 참여하는 한국 기업에 부과되는 연간 법인세에서 17.8억달러의 추가 수입이 발생할 것이라고 예상했다.[8]
2012년 말 기준 가동 기업 수는 123개였다. 2012년 기준 종업원 수는 5만 4,234명이며, 종업원의 98.6%는 북한 측 인원이었다.[49] 2013년 기준 진출한 한국 기업의 투자 총액은 5568억원이며, 생산액은 월 4000만달러였다. 이와 별도로 한국 측 공기업이 조성 및 사회 기반 시설 정비에 5.5조원에서 6조원을 투자했다. 한편, 북한 측은 약 5만 3,000명의 노동자 임금으로 1년에 8700만달러의 외화 수입을 얻었는데, 경제가 열악하고 외화 수입이 부족한 북한에게는 “달러박스 사업”이었다.[53]
2011년 개성공업지구 기업들은 사상 처음으로 평균 5600만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하며, 수년간의 적자 끝에 흑자를 달성했다.[16] 2012년 임금은 월 160USD로 추산되었는데, 이는 대한민국 최저임금의 5분의 1, 중국 평균 임금의 4분의 1 수준이었다.[15]
2012년, 통일부는 8개 기업이 북한으로부터 세금 징수 통지서를 받았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이는 북한의 일방적인 결정에 따른 것이었다. 8개 기업은 170208077KRW의 세금 납부 통지서를 받았으며, 그중 2개 기업은 이미 북한에 20000USD의 세금을 납부한 상태였다.[16] 중앙 특별지도총국(CSDGB)의 정관 개정에 대한 일방적인 결정은 개성공업지구법 위반이다. 이 법은 법률 개정 시 남북 간 협의가 필요하다는 규정을 두고 있다.
북한 근로자들은 월급을 달러 현금으로 직접 받지 못한다. 남측 회사는 중앙특구개발지도총국에 월급을 지급하며, 총국은 고려상업합영회사에 입금한다. 이 무역회사는 생필품을 백화점과 상점에 공급하고, 근로자는 구매 가능한 액수가 적힌 명세서로 물품을 사게 된다. 개성에는 12개의 공단 노동자 전용 상점이 있고, 이들은 시장가격의 최고 5% 수준인 국정가격으로 물품을 살 수 있다. 개성공단 노동자 신분증이 있어야만 상점을 이용할 수 있다.[74]
한국, 미국, 일본의 강경파들은 개성공단을 "달러박스", "현금창고", "김정은의 통치자금"이라고 비판한다. 이러한 비판에 대해 한국의 온건파는 북한이 중국과의 광물 거래로 개성공단보다 훨씬 많은 달러를 벌어들인다고 반박한다.[79] 개성공단 북한 근로자들에게 지급되는 액수는 약 1억달러인데, 이는 북한의 연간 대외무역액의 1%를 약간 넘는 수준이며, 여타 대외 활동을 통해 획득하는 외화까지 계산하면 북한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더 낮다는 근거를 제시한다.[80]
개성공업지구는 비무장지대 북방한계선에서 불과 1km 정도 떨어진 최전선에 건설되었다.
2012년에 한국으로부터 10만 킬로와트의 고압 송전선과 정수장, 오수 처리장, 폐기물 처리 시설 등 인프라 시설이 건설되었고, 휴대전화, 인터넷용 설비 사용에 대해서도 합의했다.[68]
한국과 제3국이 자유무역협정(FTA)이나 경제연합협정(EPA) 협상 시 개성공업지구 제품의 ‘대한민국산’ 인정 여부가 문제가 된다. 한국 정부는 개성공업지구 제품을 한국산으로 인정받기 위해 노력해왔으나, 미국과의 FTA(2007년)나 유럽연합과의 FTA(2009년)에서는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2014년 기준으로 개성공업지구 제품이 FTA를 통해 세계에 수출된 실적은 없었다.[69]
6. 1. 경제적 효과
북한과 달리 한국은 여러 국가들과 자유 무역 협정(FTA)을 맺어 무관세 수출이 가능하다. 따라서 개성공단에서 생산된 저렴한 제품이 한국산으로 인정받으면, 중국보다 낮은 가격으로 수출하여 전 세계 시장에서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한미 FTA, 한EU FTA에서는 개성공단 제품이 대한민국산으로 인정되지 않았다. 그러나 한인도 CEPA, 한싱가폴 FTA, 한-EFTA, 한ASEAN FTA에서는 대한민국산으로 인정되었다.[90] 2007년 6월 노무현 정부의 한미 FTA 합의문에는 개성공단 제품이 한국산으로 인정되었지만, 2010년 12월 이명박 정부의 한미 FTA 재협상 과정에서 제외되었다.[91]
김정일은 정상회담에서 "개성을 내주겠다"고 했지만, 50년 기한의 토지 임대 계약을 체결하여 법적인 문제가 발생했다.
유럽 연합은 미국의 권고를 따르고 있다. 일본은 미국보다 더 엄격한 조건을 추가하여 개성공단 설치에 가장 반대하는 국가임을 보여준다. 원래 국제 표준은 원재료 60%의 국적이 한국이면 최종 조립을 다른 국가에서 하더라도 한국산으로 인정하는 것이 기본 원칙이다.
정부는 "제값 받고 수출하기 위해서는 개성공단에서는 반제품이나 중간재 정도만 생산하고 최종 가공은 남한에서 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권고하고 있다.[92] 원산지 규정에서 인정하는 최대치까지만 개성공단에서 가공하고, 나머지는 한국에서 완제품을 만들어 '메이드 인 코리아'로 수출하는 방식이다.
삼덕통상의 경우, 한국 내수용은 개성에서 완제품을 만들어 ‘made in korea’를 붙이고, 수출용 제품은 개성에서 반제품을 만든 뒤 부산에서 완성해 ‘made in korea’를 붙인다. 미국 신발 메이커에 OEM으로 개성공단의 반제품을 납품하면 미국 회사는 멕시코의 공장에서 반제품을 완제품으로 가공해 미국으로 수입한다.[93]
개성공단의 완제품을 한국산으로 인정하지 않는 국가는 다음과 같다. 반제품을 한국에서 가공하면 원산지 규정의 조건에 맞는 경우 한국산으로 인정된다.
국가 | 사유 |
---|---|
-- 미국 | 북핵문제 |
-- 일본 | 북핵문제, 납북자 송환 |
-- 유럽 연합 | 북핵문제 |
-- 호주 | |
-- 대한민국 | |
-- 중화인민공화국 | |
-- 튀르키예 | |
-- 인도 | |
-- 스위스 | EFTA |
-- 아이슬란드 | EFTA |
-- 노르웨이 | EFTA |
-- 리히텐슈타인 | EFTA |
-- 베트남 | ASEAN |
-- 라오스 | ASEAN |
-- 미얀마 | ASEAN |
-- 캄보디아 | ASEAN |
-- 브루나이 | ASEAN |
-- 태국 | ASEAN |
-- 필리핀 | ASEAN |
-- 인도네시아 | ASEAN |
-- 싱가포르 | ASEAN |
-- 말레이시아 | ASEAN |
-- 콜롬비아 |
6. 2. 논란
- 2010년 3월 천안함 침몰 사건과 관련하여 대한민국은 5월 24일 대북 조치를 발표, 개성공단에 대한 신규 투자를 금지하고 공단 체류 인원을 평소의 50 ~ 60% 수준으로 축소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이에 강력히 반발하며 공단 폐쇄를 위한 사전 작업을 비난했다.[74]
- 2010년 11월 23일 연평도 포격 사건으로 11월 24일부터 개성공단으로의 출정을 잠정 차단하고, 대한민국으로의 귀환만 허용했다가 11월 29일부터 최소한의 출정을 허용했다. 5.24 조치로 인해 개성공단 입주기업은 생산 계약 취소, 축소, 납품 지연 등의 어려움을 겪었다.[74]
- 2013년 4월 3일, 북한은 개성공단으로의 출경을 금지하고 대한민국으로의 귀환만을 허용했다. 대한민국 정부는 4월 26일 개성공단 내 잔류 근로자 전원 철수 조치를 단행했다.
- 2016년 2월 10일, 핵 실험과 미사일 도발로 인해 대한민국 정부는 개성공단을 폐쇄하고 남측 근로자들을 모두 철수시켰다. 북한은 다음 날인 2월 11일 개성공단 폐쇄 및 자산 동결, 남측 인원 추방 등을 통보했다.
- 개성공업지구 설립 전에는 북한군 2군단 6사단과 62포병여단이 주둔하고 있었다. 이 부대들은 한반도 유사시 한국군 전방 사단 공격을 담당했으나, 개성공업지구 설립 이후 10km 이상 북진하여 전략적 이점을 상당 부분 포기했다. 특히 62포병여단은 서울 용산 지역을 사정거리에 두었으나, 이후 서울 북방 변두리까지만 타격 가능해졌다.
- 남북 상호 존중과 신뢰가 부족한 상황에서 무리하게 추진된 개성공단은, 급작스러운 한반도 정세 변화 시 공단 내 남측 주재원들의 신변이 보장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1000명에 가까운 상주 인원이 북측의 인질 사태에 노출되어 있어, 유사시 남측의 군사적 대응 판단에 걸림돌이 된다는 지적이 있다.
- 한국, 미국, 일본의 강경파들은 개성공단을 "달러박스", "현금창고", "김정은의 통치자금"이라고 비판하며, 개성공단 폐쇄를 주장한다. 한국의 온건파는 북한이 중국과의 광물 거래로 개성공단보다 훨씬 많은 달러를 벌어들인다고 반박한다.[79] 개성공단 북한 근로자들에게 지급되는 액수는 약 1억달러인데, 이는 북한의 연간 대외무역액의 1%를 약간 넘는 수준이며, 여타 대외 활동을 통해 획득하는 외화까지 계산하면 북한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더 낮다는 근거를 제시한다.[80]
- 북한의 핵개발로 인해 유엔 안보리는 북한의 수출입을 금지하는 경제봉쇄조치를 결의했다. 이는 한국의 "남북교류확대" 정책과 상충되는 측면이 있다. 중국과 러시아도 안보리 결의에 찬성하면서도 북한과의 경제 교류를 확대하고 있어, 한국도 이러한 모순에 직면해 있다.
- 김대중 정부는 북한의 핵개발에 대해 개성공단 폐쇄나 남북교류 축소보다는 러시아 기술을 도입해 한국도 핵무장을 단행하는 정책을 취했다. 이명박 정부는 금강산만 폐쇄하고 개성공단은 유지하는 방향으로 균형점을 모색했다.
- 개성공단의 완제품을 한국산으로 인정하지 않는 국가는 다음과 같다. (반제품을 한국에서 가공하여 원산지 규정 조건을 충족하면 한국산으로 인정)
국가 | 비고 |
---|---|
북핵문제 | |
북핵문제, 납북자 송환 | |
북핵문제 | |
- 한국과 제3국 간 자유무역협정(FTA)이나 경제연합협정(EPA) 협상 시 개성공업지구 제품의 '대한민국산' 인정 여부가 문제가 된다. 한국 정부는 개성공업지구 제품을 한국산으로 인정받기 위해 노력해왔으나, 미국과의 FTA(2007년)나 유럽연합과의 FTA(2009년)에서는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2014년 기준으로 개성공업지구 제품이 FTA를 통해 세계에 수출된 실적은 없었다.[69]
7. 평가
2015년 말 국회예산정책처는 노동력과 생산액 추이, 개발 잠재성 등을 근거로 개성공업지구를 '가장 성공적인 남북 경협 사업 모델'이라고 평가했다.[95]
8. 정치적 이슈
개성공업지구(개성공단)는 여러 정치적 사건에 따라 운영에 큰 영향을 받았다. 주요 사건들을 시간 순서대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2010년:
- 3월: 천안함 침몰 사건 발생. 대한민국 정부는 5월 24일 대북 조치를 발표, 개성공단 신규 투자 금지 및 체류 인원 축소.[74]
- 5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강력 반발하며 공단 폐쇄 사전 작업 비난.[74]
- 11월: 연평도 포격 사건 발생. 대한민국 정부는 개성공단 출입을 잠정 차단했다가 최소한의 출입만 허용. 개성공단 입주기업들은 계약 취소 및 납품 지연 등의 어려움을 겪음.[74]
- 기타 사건:
- 2008년 3월: 북한, 개성공단 내 대한민국 공무원 철수 요구.[81]
- 2009년 5월: 북한, 개성공단 내 대한민국 기업 특혜 무효화 선언.[82]
- 2009년 5월: 정몽준 한나라당 최고위원, 개성공단 철수 건의.[83]
- 2017년 2월: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대표, 개성공단 재개 및 확장 주장.[88]
- 2018년 9월: 남북공동연락사무소 개성공단 내 개소.[40]
- 2020년 6월: 북한,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41]
북한의 핵 개발에 대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경제 제재 결의는 남북 교류 확대와 상충되는 측면이 있다.
9. 대중문화
10. 사진
참조
[1]
웹사이트
S.Korea temporarily closes Kaesŏng Industrial Complex - NK News - North Korea News
https://www.nknews.o[...]
2016-02-10
[2]
뉴스
THAAD deployment could raise cost-sharing questions: CRS report
http://english.yonha[...]
2017-05-08
[3]
웹사이트
North Korea's resort seizure ends project of hope
https://www.bbc.co.u[...]
BBC
2011-09-22
[4]
뉴스
North Korea Suspends Operations at Kaesŏng Industrial Complex - WSJ.com
https://www.wsj.com/[...]
Online.wsj.com
2013-04-08
[5]
뉴스
N. Korea Urgers Foreigners to Flee From S. Korea
2013-04-10
[6]
웹사이트
N Korean Industrial Complex Made Ready For Seoul's Investment
http://www.nautilus.[...]
2004-06-30
[7]
웹사이트
An Oasis of Capitalism
https://web.archive.[...]
2005-09-19
[8]
웹사이트
Bridging the Korean Economic Divide
https://web.archive.[...]
2006-03-08
[9]
뉴스
South Korea to Shut Joint Factory Park, Kaesŏng, Over Nuclear Test and Rocket
https://www.nytimes.[...]
2016-02-10
[10]
뉴스
What is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https://www.bbc.com/[...]
2016-02-10
[11]
서적
Towards a Northeast Asian security community implications for Korea's growth and economic development
Springer Science+Business Media, LLC
2011
[12]
웹사이트
A One-Hour Commute to Another World - Los Angeles Times
https://www.latimes.[...]
2010-06-13
[13]
뉴스
N Korea demands millions
https://archive.toda[...]
2009-06-11
[14]
뉴스
N. Korea withdraws demand for steep wage hike at joint park
https://m-en.yna.co.[...]
2009-09-11
[15]
뉴스
North Korea, New Land of Opportunity?
https://web.archive.[...]
2012-01-19
[16]
웹사이트
Companies in Kaesong Industrial Complex Receive Unannounced Tax Notices
http://ifes.kyungnam[...]
The Institute for Far Eastern Studies
2012-10-25
[17]
뉴스
[만나봅시다] 설립 10돌 재단법인 그린닥터스 정근 이사장
http://news20.busan.[...]
2013-08-21
[18]
뉴스
Text from North Korea statement
https://www.reuters.[...]
2010-05-25
[19]
뉴스
Seoul Decides to Continue Kaesong Project, Humanitarian Aid
http://english.chosu[...]
2010-05-25
[20]
뉴스
North Korea Responds to Firm South Korean Stance
http://www.dailynk.c[...]
Daily NK
2010-05-26
[21]
뉴스
North Korea blocks South workers from Kaesŏng zone
https://www.bbc.co.u[...]
2013-04-03
[22]
뉴스
North Korea warns foreigners to leave South amid new threats of war
https://www.reuters.[...]
2013-04-09
[23]
뉴스
N. Korea blocks S. Korean food delivery to Kaesŏng staff
http://ph.news.yahoo[...]
2013-04-17
[24]
뉴스
Seoul to Pull Workers out of North Korea
https://www.wsj.com/[...]
2013-04-26
[25]
뉴스
개성공단 사실상 잠정폐쇄
http://www.kgnews.co[...]
2013-05-05
[26]
웹사이트
Kaesong talks: North and South Korea reach agreement
https://www.bbc.co.u[...]
BBC
2013-07-07
[27]
뉴스
South and North Korea agree to reopen Kaesong
http://www.radioaust[...]
2013-08-14
[28]
뉴스
How the Koreas Got to Yes on Kaesong
https://blogs.wsj.co[...]
2013-08-15
[29]
웹사이트
Koreas 'reach deal' to re-open Kaesong industrial zone
https://www.bbc.co.u[...]
BBC
2013-08-14
[30]
웹사이트
남북, 개성공단 출입.체류, 3통 문제 추가 논의
http://www.tbs.seoul[...]
2013-09-25
[31]
뉴스
北 이산상봉 연기 군부 강경파 탓… 대외 의사결정 '쥐락펴락'
http://www.segye.com[...]
2013-09-25
[32]
웹사이트
North and South Korea reopen Kaesong Industrial Complex
http://edition.cnn.c[...]
CNN
2013-09-16
[33]
웹사이트
South Koreans head back north to reopened Kaesŏng complex
https://www.theguard[...]
Associated Press
2013-09-15
[34]
뉴스
North Korea 'executes' army chief of staff Ri Yong-gil
https://www.bbc.co.u[...]
2016-02-10
[35]
웹사이트
South Korea to Halt Work at Joint Industrial Park With North
https://www.nbcnews.[...]
2016-02-10
[36]
뉴스
South Korea, U.S. to discuss missile defense; South cuts power to Kaesŏng park
https://www.reuters.[...]
2016-02-12
[37]
웹사이트
[시사NIE] 개성공단 폐쇄 찬반 논쟁
http://news.joins.co[...]
2016-02-23
[38]
뉴스
Seoul shuts down joint North-South Korea industrial complex
https://www.theguard[...]
2016-02-10
[39]
뉴스
South Korea 'humbly accepts' there is no proof border park cash...
https://www.reuters.[...]
2017-12-28
[40]
웹사이트
Koreas open 1st liaison office for better communication
https://apnews.com/c[...]
2018-09-14
[41]
뉴스
N Korea blows up joint liaison office with South
https://www.bbc.com/[...]
2020-06-16
[42]
뉴스
North Korea blows up joint liaison office with South in Kaesong
https://www.bbc.com/[...]
2020-06-16
[43]
뉴스
South Korea balloons: Seoul to ban people sending cross-border messages
https://www.bbc.com/[...]
2020-12-14
[44]
웹사이트
South Korea resumes supplying water to border town in the North
https://www.scmp.com[...]
2018-10-10
[45]
웹사이트
Water treatment plants in Kaesong Industrial Complex reopened along with joint liaison office
http://english.hani.[...]
[46]
뉴스
Quick Take: Large Trenches Across Former Border Links
https://www.38north.[...]
2024-10-30
[47]
뉴스
Two Koreas agree rail timetable
http://news.bbc.co.u[...]
2007-11-16
[48]
웹사이트
韓国亡命の元北朝鮮公使が著書出版 核開発や正恩氏の素顔語る
https://archive.is/S[...]
2018-05-21
[49]
간행물
北朝鮮の開城(ケソン)工業団地について
http://www.jetro.go.[...]
JETRO
[50]
뉴스
【秘録金正日(47)】中国の改革解放を「共産主義捨てた」と一蹴 トウ小平は「なんてばかなやつだ」と激怒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15-10-23
[51]
웹사이트
[オピニオン] 統一部のタブー語
http://japanese.dong[...]
東亜日報
2007-10-11
[52]
웹사이트
統一部、ホームページから‘改革・開放’の言葉を削除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007-10-11
[53]
뉴스
開城工業団地操業停止 韓国側も経済的ダメージ 866億円超
https://web.archive.[...]
2013-04-10
[54]
뉴스
米韓が合同軍事演習 北朝鮮反発、南北直通電話を遮断
http://www.asahi.com[...]
2013-03-11
[55]
뉴스
開城工業団地の閉鎖警告 韓国政府は「安定維持」強調
http://japanese.yonh[...]
2013-03-31
[56]
뉴스
北、開城工業団地への韓国側従業員立ち入り禁止
https://web.archive.[...]
2013-04-03
[57]
뉴스
開城工業団地、韓国人従業員らの撤収始まる
https://web.archive.[...]
2013-04-27
[58]
뉴스
「開城工業団地は信用できない」、インドのバイヤーが契約破棄
http://japanese.dong[...]
2013-04-20
[59]
뉴스
ケソン工業団地 操業再開へ
http://www3.nhk.or.j[...]
2013-09-11
[60]
웹사이트
<韓中FTA仮署名>開城工業団地310品目も韓国製認定(1)
https://japanese.joi[...]
[61]
뉴스
韓国、開城工業団地の操業停止へ 北朝鮮のミサイル発射受け
https://jp.reuters.c[...]
2016-02-10
[62]
뉴스
北朝鮮「ケソン工業団地閉鎖 軍事統制区域に」
http://www3.nhk.or.j[...]
2016-02-11
[63]
뉴스
中国から労働者を閉め出された北朝鮮 開城工業団地をひそかに再稼働
http://www.newsweekj[...]
2017-10-07
[64]
뉴스
南北連絡事務所の電力 韓国から供給の方針
http://japanese.yonh[...]
2018-08-16
[65]
웹사이트
開城・金剛山推進、韓国政府案に米国「ノー」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
2019-03-09
[66]
뉴스
北朝鮮 ケソンの南北連絡事務所爆破 韓国 対応を協議
https://web.archive.[...]
2020-06-16
[67]
뉴스
北朝鮮、開城工業団地から韓国製「チョコパイ」を締め出し
http://dailynk.jp/ar[...]
2015-06-10
[68]
뉴스
開城工団:今年中にネットや携帯が利用可能に
http://www.chosunonl[...]
2013-09-12
[69]
웹사이트
南北朝鮮の象徴「開城工業団地」を米国は認めるか
https://business.nik[...]
日経ビジネス
2018-07-13
[70]
웹사이트
우리는 개성공단을 너무 모른다
http://pictorial.han[...]
2016-02-12
[71]
문장
[72]
뉴스
북 추방 시한 40분전 통보…직원들 맨몸만 빠져나와
https://news.naver.c[...]
한겨레
2016-02-11
[73]
뉴스
북, 개성공단 신의주 남포로 옮긴다
https://news.naver.c[...]
시사IN
2016-02-22
[74]
저널
2012 통일백서
2012-03-00
[75]
뉴스
박근혜 대통령, 개성공단 전면중단 최종 결단…"이전과는 다르다" 북한 체제 옥죄기
http://www.ajunews.c[...]
아주경제
2017-10-06
[76]
웹인용
개성공단 자료실, 통계
http://www.kidmac.co[...]
개성공업지구관리위원회
2009-05-20
[77]
웹인용
개성공단 주요통계, 통일부
http://www.unikorea.[...]
통일부
2016-01-20
[78]
웹인용
개성공업지구의 투자환경-기반시설
http://www.kidmac.co[...]
개성공업지구관리위원회
2009-05-20
[79]
뉴스
개성공단의 가치는 전쟁 조기경보 기능
https://news.naver.c[...]
시사IN
2013-04-23
[80]
뉴스
개성공단 유입금, WMD 전용됐어도 안 됐어도 문제
https://news.naver.c[...]
데일리안
2016-02-15
[81]
문장
[82]
뉴스
북한, 개성공단 계약 무효 선언
http://media.daum.ne[...]
연합뉴스
2009-05-16
[83]
뉴스
정몽준, 개성공단 철수하자 vs 박지원, 아버지 돈만 물려받았나
http://media.daum.ne[...]
프레시안
2009-05-20
[84]
뉴스
개성공단 기업, 정부에 600억원 긴급지원 요청
http://media.paran.c[...]
[85]
뉴스
북한이 개성공단 사건을 야기한 이유
http://www.konas.net[...]
[86]
뉴스
개성공단 5달만 재가동…북 근로자 정상 조업
http://news.kbs.co.k[...]
[87]
뉴스
개성공단 전력 공급은?... 한국전력, "단전여부 정부 방침 따를 것"
http://www.fnnews.co[...]
파이낸셜뉴스
2016-02-10
[88]
뉴스
문재인 “개성공단 재개돼야…2천만 평으로 확장”
http://news.kbs.co.k[...]
KBS
2017-07-23
[89]
영상
한국기업 철수 직후 대량아사 발생. 개성엔 영양실조 환자 넘쳐. 한국 설비 차량 모두 훔쳐가
https://www.youtube.[...]
주성하TV
2021-10-07
[90]
뉴스
인도 거대시장 개방…내일 CEPA 서명-2(끝)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9-08-06
[91]
뉴스
노무현의 FTA와 이명박의 FTA는 과연 다른가
http://www.mediatoda[...]
미디어 오늘
2011-10-29
[92]
뉴스
"개성공단 성공할까" 우려 목소리..시범단지 착공 코앞 과제 산더미
https://news.naver.c[...]
한국경제
2004-08-27
[93]
뉴스
문창섭 개성공단기업협의회 명예회장의 격정 토로
https://news.naver.c[...]
신동아
2009-06-01
[94]
뉴스
한, 개성공단 연계 '파주 통일경제특구' 추진
https://news.naver.c[...]
뉴시스
2008-06-29
[95]
뉴스
국회예산처 “개성공단은 가장 성공적인 남북경협 모델”
https://news.naver.c[...]
경향신문
2016-02-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