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팔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팔사(八邪)는 불교 용어로서, 수행자들이 피해야 할 여덟 가지 그릇된 길을 의미한다. 이는 팔정도의 반대 개념으로, 사견(邪見), 사사유(邪思惟), 사어(邪語), 사업(邪業), 사명(邪命), 사정진(邪精進), 사념(邪念), 사정(邪定)을 포함한다. 팔사는 인과, 공덕, 성인 등을 불신하는 그릇된 견해, 욕망, 성냄, 해침 등의 번뇌성 마음 작용, 거짓말, 이간질, 악담, 쓸데없는 말 등, 살생, 도둑질, 사음 등의 악행, 부정한 방법으로 생활하는 것, 잘못된 노력, 그릇된 깨어있음, 바르지 못한 삼매 등을 의미하며, 개인의 가치관 형성 및 사회적 신뢰를 저해한다. 팔사의 극복은 개인적, 사회적 차원에서 중요하며, 불교 수행론에서는 무명(無明)과 팔사의 관계를 통해 그 극복 방안을 제시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불교 용어 - 불멸기원
    불멸기원은 석가모니의 입멸을 기원으로 하는 불교력의 연호로, 기원전 544년 설과 기원전 543년 설에 따라 계산에 차이가 있으며, 태음태양력을 기반으로 윤년과 윤달을 통해 태양력과의 차이를 조정하고, 동남아시아 여러 국가에서 불교 관련 행사 및 휴일 표기에 사용된다.
  • 불교 용어 - 마음챙김
    마음챙김은 불교 용어인 '사띠'와 '스므르티'에서 유래하여 현재 순간에 대한 자각과 수용을 의미하며, 스트레스 감소 및 정신 건강 증진을 위해 심리학, 의학 분야에서 활용되고 다양한 분야에서 유사한 개념이 존재하나 상업화 및 윤리적 문제에 대한 비판도 있다.
팔사
기본 정보
팔사의 상징
팔사의 상징
종교힌두교에서 갈라져 나온 인도의 종교
창시자움데브지 마하라지
설립일1935년
신자 수5백만 명 이상
주요 지역인도, 네팔, 미국, 영국, 오스트레일리아 등
언어힌디어, 영어
특징
주요 가르침인간은 신성하다.
모든 종교는 진실하다.
모든 이름과 형태는 신의 것이다.
봉사는 신에 대한 최고의 숭배이다.
주요 의식명상, 기도, 요가, 성가
주요 경전팔사 바드마얌
옴 샤크티
스바드하야
관련 단체
조직팔사 국제 센터
웹사이트팔사 국제 센터 공식 웹사이트

2. 8사의 종류

팔사(八邪)는 8정도의 반대 개념으로, 각각 그릇된 견해, 생각, 말, 행동, 생계 수단, 정진, 마음챙김, 집중을 의미한다.

명칭설명
사견(邪見)인과 등을 불신하는 것
사사유(邪思惟)탐욕, 성냄, 해치려는 마음 등
사어(邪語)망어(거짓말), 양설(이간질), 악구(나쁜 말), 기어(꾸며낸 말)
사업(邪業)살생, 투도(훔치는 행위), 사음
사명(邪命)불여법하거나 정당하지 못한 수단으로 생계 유지
사정진(邪精進)나쁜 일을 짓는 그릇된 수행이나 정진
사념(邪念)그릇된 관과 염
사정(邪定)바르지 못한 삼마지(집중)


2. 1. 사견(邪見)

'''사견'''(邪見)은 8정도(八正道) 가운데 정견(正見: 바르게 보기, 바른 견해)의 반대이며, '''부정견'''(不正見) 또는 '''악견'''(惡見)이라고도 한다.

사견은 그릇된 견해 또는 바르지 않은 견해를 뜻한다. 구체적으로 인과(因果) '''·''' 공덕(功德) '''·''' 부모(父母) '''·''' 성인(聖人) 등을 불신하는 것을 말하며, 특히 인과를 부정하는 것을 뜻한다.

2. 2. 사사유(邪思惟)

사사유(邪思惟)는 8정도(八正道) 가운데 정사유(正思惟: 바르게 생각하기)의 반대되는 개념으로, '''사지'''(邪志), '''사사'''(邪思), 또는 '''부정사유'''(不正思惟)라고도 불린다.

사사유(邪思惟)는 그릇되거나 바르지 않은 생각, 또는 불교의 참된 가르침에 어긋나는 생각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악욕(惡欲: 불선한 욕구, 특히 탐욕), 성냄(瞋), 해치려는 마음(害) 등 번뇌와 관련된 마음작용을 가리킨다.

《잡아합경》 제13권 제334경 〈유인유연유박법경(有因有緣有縛法經)〉에서 고타마 붓다는 무명(無明)과 사사유(邪思惟), 즉 부정사유(不正思惟)의 관계를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고타마 붓다에 따르면, (根), 경(境), (識)이 화합할 때, 이전에 쌓인 염오(染污)한 (業)으로 인해 해당 경(境)에 대한 부정사유(不正思惟)가 발생한다. 이 부정사유는 다시 해당 경(境)과 그 이치, 즉 (事)와 (理)에 대한 무지(無知), 즉 어리석음(癡)을 일으킨다. 고타마 붓다는 이 어리석음이 곧 무명(無明)이라고 말한다.

고타마 붓다는 8정도의 정사유(正思惟)와 반대되는 부정사유(不正思惟)가 무명(無明), 즉 무지(無知)의 원인이 된다고 설명한다. 나아가 무명은 갈애(집착, 애욕)의 원인이 되고, 갈애(집착, 애욕)는 다시 염오(染污)한 (業)의 원인이 되며, 염오(染污)한 은 오염된 마음, 즉 3계에 속박된 마음(6식 또는 8식, 즉 심왕, 즉 심법)의 원인이 된다고 말한다. 또한 부정사유(不正思惟)가 무명(無明)의 원인이 되지만, 부정사유에서 생겨난 무명(無明)은 다시 더 크거나 오염된 부정사유(不正思惟)를 낳는 원인이 된다고 강조한다.

2. 3. 사어(邪語)

'''사어'''(邪語)는 8정도(八正道) 가운데 하나인 정어(正語: 바르게 말하기)의 반대되는 개념이다. 그릇된 말, 바르지 않은 말, 정당하지 못한 말을 뜻하며, 구체적으로는 다음의 4가지 악행을 말한다.

  • '''망어(妄語) (허광어(虛誑語)):''' 거짓말 또는 헛된 말을 가리킨다. 5악(五惡)과 10악(十惡) 중 하나이다.
  • '''양설(兩舌) (이간어(離間語)):''' 이간질하는 말을 의미하며, 10악(十惡) 중 하나이다.
  • '''악구(惡口) (추악어(麤惡語)):''' 남을 성나게 하거나 괴롭히는 나쁜 말을 뜻하며, 10악(十惡) 중 하나이다.
  • '''기어(綺語) (잡예어(雜穢語) 또는 무의어(無義語)):''' 도리에 어긋나거나 진실이 없는 교묘히 꾸민 말을 가리키며, 10악(十惡) 중 하나이다.


이러한 사어(邪語)는 사회 구성원 간의 신뢰를 무너뜨리고 갈등을 유발할 수 있다.

  • --

참고 자료


2. 4. 사업(邪業)

'''사업'''(邪業)은 8정도(八正道) 가운데 하나인 정업(正業: 바르게 행동하기)의 반대되는 개념으로, 그릇된 행동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살생(殺生), 투도(偸盜), 사음(邪淫) 등의 악행을 말한다.

  • 살생(殺生): 사람이나 동물 등 살아 있는 것을 죽이는 행위이다.
  • 투도(偸盜): 불여취(不與取)라고도 하며, 남의 재물을 훔치는 행위이다.
  • 사음(邪淫): 배우자가 아닌 사람과 관계를 맺거나, 남녀 간에 음란한 행동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사업들은 사회의 안전을 위협하고 정의롭지 못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2. 5. 사명(邪命)

8정도(八正道) 가운데 정명(正命: 바르게 생활하기)의 반대되는 개념으로, 불여법(不如法)하거나 정당하지 못한 수단으로 생계를 유지하는 것을 말한다. '사활명(邪活命)'이라고도 한다.

대승광오온론》에 따르면, 사명(邪命)은 광(誑: 남을 속임)이라는 번뇌성의 마음작용소의(所依: 의지처 또는 발동근거)로 하여 일어난다.

이는 사회 경제적 불평등을 심화시키고 건강한 노동 윤리를 저해할 수 있다.

2. 6. 사정진(邪精進)

사정진(邪精進)은 8정도(八正道) 가운데 하나인 정정진(正精進) (정근(正勤): 바르게 정진하기)의 반대이며, 사방편(邪方便)이라고도 한다.

사정진은 나쁜 일, 즉 불선(不善)한 일을 짓는 그릇된 수행, 방편 또는 정진의 마음작용을 말한다.

2. 7. 사념(邪念)

사념(邪念)은 8정도(八正道) 가운데 정념(正念: 바르게 깨어있기)의 반대되는 개념으로, 바르게 깨어있지 못한 상태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사념은 그릇된 관(觀)과 염(念)의 마음작용을 가리킨다. 여기서 '염'(念)은 어떤 대상을 분명하게 기억하고 잊지 않도록 하는 정신 작용을 뜻한다.

2. 8. 사정(邪定)

사정(邪定)은 8정도(八正道) 가운데 하나인 정정(正定: 바르게 삼마지하기, 바르게 집중하기)의 반대되는 개념으로, 바르게 집중하지 못하는 것을 말한다. 달리 표현하면, 정정(正定), 즉 바른 삼마지(三摩地, 三昧, 心一境性)가 아닌 삼마지(三摩地)를 의미한다.

이는 현실 도피적인 태도를 유발하고 문제 해결 능력을 저하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경계해야 할 대상이다.

3. 8사의 현대적 의미와 극복 방안

8사는 현대 사회에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개인과 사회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4. 불교 수행론의 관점에서 본 8사와 무명(無明)

고타마 붓다의 가르침에 따르면, 8사(八邪)는 무명(無明)에서 비롯된다. 무명은 연기(緣起)의 법칙, 사성제(四聖諦) 등 불교의 근본 진리를 알지 못하는 것이다. 무명은 잘못된 생각(사사유)을 일으키고, 이는 다시 애욕(愛)과 번뇌(煩惱)로 이어져 8사를 낳는다. 8사는 다시 더 큰 무명을 일으키는 악순환이 반복된다.

잡아합경 제13권 제334경에서 고타마 붓다는 무명(無明)과 사사유(邪思惟) 즉 부정사유(不正思惟)의 관계를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고타마 붓다는 무명(無明)이란, (根) · 경(境) · (識)의 화합이 일어날 때, 이전까지 쌓은 염오(染污)한 (業)으로 인해 해당 경(境)에 대한 부정사유(不正思惟)가 일어나고, 이로 인해 [해당 경(境)과 그 이치, 즉 (事)와 (理)에 대한] (癡) 즉 어리석음이 일어나는 것이라고 말한다.

고타마 붓다는 8정도의 정사유(正思惟)의 반대인 부정사유(不正思惟)가 무명(無明) 즉 무지(無知)의 원인이라고 말한다. 또한, 무명은 갈애(집착, 애욕)의 원인이 되며, 갈애(집착, 애욕)는 염오(染污)한 의 원인이 되고, 염오(染污)한 은 오염된 마음, 즉 3계에 속박된 마음(6식 또는 8식, 즉 심왕, 즉 심법)의 원인이 된다고 말한다. 부정사유(不正思惟)가 무명(無明)의 원인이지만, 이렇게 부정사유에서 생겨난 무명(無明)은 다시 [더 크거나 오염된] 부정사유(不正思惟)의 원인이 된다고 말한다.

8사를 극복하고 무명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8정도를 닦아야 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