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패닉 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패닉 룸》은 2002년에 개봉한 데이비드 핀처 감독의 스릴러 영화이다. 최근 이혼한 메그 알트먼과 그녀의 딸 사라는 뉴욕의 브라운스톤으로 이사하고, 그곳에서 강도들의 침입을 받자 패닉 룸으로 피신한다. 조디 포스터, 크리스틴 스튜어트, 포리스트 휘터커, 자레드 레토 등이 출연하며, 가정의 안전과 기술 감시, 실존적 공포 등을 주제로 다룬다. 평론가들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며, 흥행에도 성공하여 전 세계적으로 1억 9천만 달러 이상의 수익을 올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데이비드 핀처 감독 영화 - 세븐 (영화)
    데이비드 핀처 감독의 1995년 심리 스릴러 영화 《세븐》은 브래드 피트와 모건 프리먼이 칠죄종을 모방한 연쇄 살인 사건을 수사하는 두 형사의 이야기를 그리며, 암울한 분위기, 충격적인 결말, 그리고 1990년대 범죄 스릴러 장르에 큰 영향을 미친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 데이비드 핀처 감독 영화 - 소셜 네트워크 (영화)
    《소셜 네트워크》는 데이비드 핀처 감독, 에런 소킨 각본, 제시 아이젠버그 주연으로 페이스북 창립자 마크 저커버그의 삶과 페이스북 탄생 과정, 법적 분쟁, 인간 관계 변화를 다룬 미국의 전기 드라마 영화이다.
  • 모녀관계를 소재로 한 영화 - 피아노 (1993년 영화)
    제인 캠피언 감독의 영화 《피아노》는 선택적 함구증을 가진 여성 아다가 딸과 함께 뉴질랜드로 이주하여, 피아노 연주로 감정을 표현하며 남편과 은퇴한 선원 사이에서 갈등하는 이야기를 그린, 여성의 억압과 자기표현을 다룬 작품이다.
  • 모녀관계를 소재로 한 영화 - 크레이지 리치 아시안
    케빈 관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영화 《크레이지 리치 아시안》은 뉴욕대학교 교수 레이첼 추와 싱가포르 재벌 닉 영의 로맨스를 통해 싱가포르 상류층의 화려한 세계를 그린 로맨틱 코미디로, 아시아계 배우들의 출연과 흥행 성공, 그리고 캐스팅 및 문화 묘사에 대한 논란이 있었다.
  • 심리 스릴러 영화 - 친절한 금자씨
    《친절한 금자씨》는 박찬욱 감독의 2005년 영화로, 억울하게 5세 아이 유괴·살해 혐의로 13년간 복역한 이금자가 출소 후 진범에게 복수하는 과정을 그린 작품이다.
  • 심리 스릴러 영화 - 이창 (영화)
    알프레드 히치콕 감독의 1954년 스릴러 영화 《이창》은 휠체어 생활을 하는 사진작가가 아파트 창문 너머 이웃을 관찰하다 살인사건을 목격하고 진실을 밝히는 과정을 그린 작품으로, 긴장감 넘치는 연출과 인간 심리 탐구로 높은 평가를 받으며 영화제 수상 및 미국 국립 영화등록부 등재, 다양한 작품에 영향을 미쳤다.
패닉 룸 - [영화]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여자가 바닥에 있는 모습, 그녀 뒤의 문에는 그림자가 드리워져 있다.
극장 개봉 포스터
감독데이비드 핀처
각본데이비드 코엡
제작개빈 폴론
주디 호플런드
데이비드 코엡
세안 채핀
주연조디 포스터
포레스트 휘터커
드와이트 요아캄
자레드 레토
크리스틴 스튜어트
촬영콘래드 W. 홀
다리우스 콘지
편집제임스 헤이굿
앵거스 월
음악하워드 쇼어
제작사컬럼비아 픽처스
호플런드/폴론
인델리블 픽처스
배급사소니 픽처스 릴리징
개봉일2002년 3월 29일
상영 시간112분
국가미국
언어영어
제작비4,800만 달러
흥행 수익1억 9,710만 달러

2. 줄거리

Meg Altman|메그 알트먼영어과 그녀의 열한 살 된 딸 사라는 뉴욕시 어퍼 웨스트 사이드에 있는 4층짜리 브라운스톤으로 이사한다. 이 집의 이전 소유주인 은둔형 백만장자는 침입자로부터 거주자를 보호하기 위해 "패닉 룸"을 설치해 놓았다. 이 방은 모든 면에서 콘크리트와 강철로 보강되었으며 두꺼운 강철 문이 있다. 또한 여러 대의 감시 카메라와 방송 시스템을 갖춘 광범위한 보안 시스템도 포함되어 있다.

메그와 사라가 첫날밤을 보내는 동안, 전 소유주의 손자인 주니어, 집 보안 회사의 직원인 번햄, 그리고 주니어가 고용한 폭력배 라울, 이렇게 세 남자가 집에 침입한다. 그들은 주니어가 할아버지의 유산이 유언 검인으로 처리될 때 확장된 가족과 그들을 공유하고 싶어하지 않기 때문에 패닉 룸의 바닥 금고 안에 잠겨 있는 무기명 채권을 훔치려고 한다.

메그는 밤에 화장실을 사용하기 위해 잠에서 깨어나 보안 카메라를 통해 그들을 보고 재빨리 사라와 함께 패닉 룸으로 달려간다. 침입자들을 내쫓기 위해 남자들은 패닉 룸의 통풍구에 프로판 가스를 주입한다. 메그는 자신과 사라가 방염 담요로 몸을 가린 채 가스에 불을 붙인다. 불이 붙은 프로판은 주니어에게 심한 화상을 입힌다. 메그는 주 전화선에 접속하여 전 남편 스티븐에게 전화를 건다. 그녀가 상황을 설명하려 할 때, 침입자들은 전화를 끊어 통화를 갑자기 종료한다.

방을 뚫으려는 모든 시도가 실패하자 주니어는 강도질을 포기하지만, 금고에 더 많은 돈이 있다는 것을 흘린다. 그가 떠나려 하자 라울은 그를 총으로 쏴 죽이고 번햄에게 강도질을 계속하도록 강요한다. 스티븐이 도착하자마자 인질로 잡힌다. 라울은 그를 심하게 구타하여 메그가 보안 카메라를 통해 볼 수 있도록 한다. 당뇨병 환자인 사라는 글루카곤 주사기가 침실에 있어 발작을 일으킨다.

라울은 메그를 속여 패닉 룸을 잠시 떠나도 안전하다고 생각하게 만든다. 그녀가 사라의 약을 가지러 나가자 남자들은 사라를 안에 둔 채 방에 들어온다. 메그는 번햄이 문을 닫는 순간 약품 키트를 던져 넣었고, 라울의 손이 우연히 짓눌린다. 그녀는 남자들에게 사라에게 약을 주라고 간청하고, 번햄은 결국 그렇게 한다. 스티븐의 앞선 911 전화와 이웃의 불평에 따라 두 명의 경찰관이 나중에 집에 도착한다. 사라를 보호하기 위해 메그는 경찰관들에게 모든 것이 괜찮다고 설득하고 그들은 떠난다. 한편, 번햄은 금고를 열고 그 안에서 2200만달러의 무기명 채권을 발견한다.

남자들은 사라를 인질로 잡고 떠날 준비를 하면서 메그는 그들을 매복으로 유도하여 쇠망치를 사용하여 라울을 난간 너머 계단으로 떨어뜨린다. 번햄이 도망가자 부상당한 라울이 다시 기어 올라와 메그를 제압하고 쇠망치로 그녀를 때리려 한다. 사라의 공포에 질린 비명을 듣고 번햄이 달려와 라울을 쏘아 죽인다. 메그의 앞선 이상한 행동에 의해 경고를 받은 경찰은 병력으로 돌아와 바람에 흩날리는 무기명 채권을 강제로 떨어뜨린 번햄을 체포한다.

며칠 후, 메그와 사라는 끔찍한 시련에서 회복하여 새롭고 더 작은 집을 찾기 위해 신문을 검색한다.

3. 등장인물

조디 포스터는 최근 이혼한 여성 메그 알트만 역을 맡았다. 딸 사라와 함께 뉴욕에서 새 집을 찾던 중 강도들의 습격을 받는다. 원래 니콜 키드먼이 메그 역으로 캐스팅되었으나, 무릎 부상으로 하차하면서 포스터가 대신하게 되었다. 핀처 감독은 키드먼의 연기를 "매력과 육체성에 대한 것"이라 평했고, 포스터의 연기에 대해서는 "좀 더 정치적"이라고 말했다. 포스터의 참여로 메그는 더 강인한 캐릭터로 수정되었다. 포스터는 촬영 직후 임신했으나, 제작진은 촬영을 계속 진행하며 임신을 감출 수 있는 의상을 사용했다.

크리스틴 스튜어트는 메그의 딸 사라 역을 맡았다. 당뇨병을 앓고 있다. 헤이든 파네티어가 원래 사라 역이었으나, 하차하면서 스튜어트가 캐스팅되었다.

포레스트 휘태커, 자레드 레토, 드와이트 요아캄은 각각 강도 번햄, 주니어, 라울 역을 맡았다. 번햄은 원래 "세련되고 기술적인 유형"으로 묘사되었으나, 핀처는 그를 패닉 룸 설치 블루칼라 노동자로 변경했다. 핀처는 휘태커에게 ''키 라르고''의 험프리 보가트 캐릭터를 참고하라고 조언했다. 라울은 원래 "거대하고 무서운 덩치"였으나, "마르고 비열한 전과자"로 수정되었다.

3. 1. 주요 인물

배우배역설명
조디 포스터메그 알트먼주인공. 남편의 외도로 딸과 함께 이혼 후, 새 저택으로 이사한다. 이사 당일 밤 강도들에게 습격당해 딸과 함께 패닉 룸으로 피신한다. 폐소공포증이 있지만, 딸을 지키기 위해 강도들에게 맞서 싸운다.
크리스틴 스튜어트사라 알트먼메그의 딸. 11세. 1형 당뇨병을 앓고 있어 혈당 관리가 필요하다. 모스 부호를 알고 있어, 환풍구를 통해 옆집에 도움을 요청한다.
포레스트 휘태커번햄강도. 경비 회사 직원으로, 패닉 룸 설치 기술을 이용해 범행에 가담한다. 가족 부양을 위해 범행에 참여했지만, 온화한 성격으로 갈등한다.
자레드 레토주니어강도단의 리더. 사망한 부호의 조카로, 유산을 노리고 범행을 계획한다. 깊이 생각하지 않고 격앙되기 쉬운 성격이다.
드와이트 요아캄라울강도. 버스 운전기사. 검은 마스크를 착용하며, 주니어가 번햄에게 알리지 않고 데려왔다. 돈을 위해서라면 살인도 서슴지 않는 흉폭한 성격이다.
패트릭 보쇼스티븐 알트먼메그의 전 남편. 유명 자산가. B급 아이돌과의 외도로 이혼 조정 중이다. 메그의 구조 요청 전화를 받고 저택에 왔다가 강도들에게 인질로 잡힌다. 중상을 입으면서도 메그에게 애정을 보이며 저항한다.
앤 매그너슨리디아 린치부동산 중개인.
이언 뷰캐넌에반 칼렌더부동산 중개인.
폴 슐츠키니경찰. 스티븐의 신고로 저택에 방문하지만, 딸을 인질로 잡힌 메그의 연기에 속아 돌아간다.
니콜 키드먼스티븐의 연인 (목소리 출연, 크레딧 없음)


3. 2. 조연


  • 패트릭 보쇼 - 스티븐 알트먼: 메그의 전 남편으로, 유명 자산가이다. 메그에게 도움을 요청받지만 강도들에게 인질로 잡힌다. 심한 취급을 받으면서도 저항하며, 메그에게 아직 애정이 있는 듯하다.
  • 앤 매그너슨 - 리디아 린치: 부동산 중개인.
  • 이언 뷰캐넌 - 에반 칼렌더: 부동산 중개인.
  • 폴 슐츠 - 키니: 경찰관. 스티븐의 신고를 받고 대저택을 방문한다. 메그가 위기 상황임을 어렴풋이 눈치채지만, 딸을 인질로 잡힌 메그의 연기에 속아 돌아간다.
  • 니콜 키드먼 - 스티븐의 연인 (목소리 출연, 크레딧에는 없음): 스티븐과 바람을 피운 B급 아이돌로 추정된다.

4. 제작

데이비드 핀처


조디 포스터는 부상으로 하차한 니콜 키드먼을 대신하여 주연을 맡았다.


''패닉 룸''은 데이비드 핀처가 감독하고 데이비드 코엡이 각본을 썼으며, 컬럼비아 픽처스에서 제작되었다. 핀처는 ''패닉 룸''을 생존에 관한 팝콘 무비로 구상했다. 이전 작품인 ''파이트 클럽''과는 달리 단일 세트에 초점을 맞추고 촬영 전 철저한 계획을 세웠다.

하지만 캐스팅과 제작진 변경, 초기 계획의 경직성 등으로 인해 제작에 어려움을 겪었다. 2000년 캐스팅에서 니콜 키드먼헤이든 패네티어가 각각 메그와 사라 알트만 역으로, 포레스트 휘태커, 자레드 레토, 드와이트 요아캄이 강도 역으로 캐스팅되었다. 그러나 촬영 시작 전 패네티어가 하차하고 크리스틴 스튜어트가 그 자리를 대신했다.[2]

2001년 1월 촬영 직후, 촬영 감독 다리우스 콘지가 해고되고 콘래드 W. 홀이 그 자리를 대신했다. 핀처는 콘지와의 불화, 제작 관련 의견 불일치, 사전 제작 단계의 경직성 등을 해고 이유로 들었다.

같은 해 1월 말, 촬영 2주 후 키드먼이 세트장에서 부상을 당했다. ''물랑 루즈!''(2001) 촬영 중 입었던 무릎 부상이 재발한 것이다.[2] 키드먼의 하차와 미국 작가 조합, 미국 배우 조합 파업 위협으로 핀처는 메그 역을 다시 캐스팅해야 했다. 조디 포스터가 캐스팅되었고, ''패닉 룸'' 합류를 위해 2001년 칸 영화제 심사위원장 자리도 포기했다.

포스터는 촬영 5주 만에 임신했지만, 핀처와 제작진은 촬영을 계속했다. 포스터는 의상 변화와 스턴트 대역을 활용해 임신을 감췄다. 영화 속 집의 상태 변화에 따라 순차적으로 장면을 촬영했고, 패닉 룸 비디오 모니터 장면은 거의 동시에 두 번 촬영했다. 편집자 앵거스 월은 과 대부분의 세트에 두 대의 카메라가 있었다고 말했다.

반복 촬영도 많았다. 라울의 석고 천장 침입 장면은 이틀, 메그의 의료 키트 탈취 장면은 백 번 이상 촬영되었다. 핀처는 배우 연기 결합, 스튜어트 연기 향상을 위해 반복 촬영을 진행했다.

스튜디오는 2002년 2월 개봉을 계획했지만, 제작 지연으로 불가능했다. 포스터 출산 후 재촬영, 2001년 11월 촬영 완료, 시험 시사 결과에 따른 결말 수정 등을 거쳤다. 최종 제작 예산은 4800만달러였다.

제작진은 다음과 같다.

역할이름
감독데이비드 핀처
각본, 제작데이비드 코엡
제작시안 챠핀, 주디 호프런드, 개빈 폴론
음악하워드 쇼어
촬영콘래드 W. 홀, 다리우스 콘지
편집제임스 헤이굿, 앵거스 월
프로덕션 디자인아서 맥스
미술키스 니리, 제임스 E. 토치
세트존 다니엘스, 개럿 루이스
의상마이클 카플란


4. 1. 기획 및 각본

데이비드 핀처가 감독하고 데이비드 코엡이 각본을 쓴 ''패닉 룸''은 컬럼비아 픽처스에서 제작되었다. 코엡은 2000년 안전실이 도시 부유층 사이에서 유행한다는 뉴스 보도에서 영감을 받아 각본을 400만달러에 소니 픽처스에 판매했다. 핀처는 각본의 전지적인 시점에 흥미를 느꼈고, 앨프리드 히치콕 감독의 ''이창''(1954)의 "특정한 주관성"을 떠올렸다고 말했다. 그는 또한 ''패닉 룸''을 ''이창''과 ''어둠의 표적''(1971)의 교차점으로 보았지만, 현대 관객들이 ''패닉 룸''을 ''나 홀로 집에''(1990)에 더 많이 비교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핀처는 ''패닉 룸''을 돈이 "모두가 잘못된 이유로 쫓는 대상"인 ''시에라 마드레의 황금''(1948)과 유사한 범죄 스릴러로 보았다. 또한 한 장소에서 하룻밤 사이에 벌어지는 이야기의 간결함, 그리고 각본이 다양한 샷과 세트 피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잘 짜여 있다는 점에 관심을 보였다.

코엡의 각본은 설명보다는 속도감을 강조했다. 코엡과 핀처는 영화의 시작 부분에서 가능한 한 빨리 캐릭터를 소개하기 위해 영화를 간소화하기로 합의했다. 핀처는 또한 관객이 캐릭터의 계획을 보고 그들보다 앞서 나갈 수 있도록 영화를 구성하려고 했으며, 이 긴장감 넘치는 선견지명을 "매우 영화적인 개념"이라고 불렀다.

최종 각본은 원본과 개요가 유사했으며, 대사와 특정 순간, 특히 주인공 배우가 니콜 키드먼에서 조디 포스터로 교체되면서 멕과 사라 알트만의 상호 작용에 약간의 변화가 있었다. 사라의 글루카곤을 담은 응급 주사기와 같은 사라의 당뇨병에 대한 명시적인 언급은 대사에서 삭제되었다. 음료 섭취에 대한 주의, 냉장 보관된 약병, 사라의 혈당 측정기 시계는 그녀의 당뇨병을 보여주는 장치로 사용되었다.

4. 2. 캐스팅

조디 포스터는 최근 이혼한 여성 메그 알트만 역을 맡았으며, 딸 사라와 함께 뉴욕에서 새 집을 찾는다. 원래 메그 역에는 니콜 키드먼이 캐스팅되었으나, 무릎 부상으로 인해 프로젝트에서 하차했다. 포스터는 데이비드 핀처 감독의 1997년 영화 ''더 게임''에 출연할 뻔했으나 키드먼을 대신하게 되었다. 핀처는 키드먼의 연기에 대해 "매력과 육체성에 대한 것"이라고 말했고, 포스터의 연기에 대해서는 "좀 더 정치적"이라고 말했다. 메그는 원래 무력한 인물로 묘사되었지만, 포스터가 참여하면서 캐릭터는 더 강하게 수정되었다. 캐스팅 변경으로 인해 메그의 캐릭터는 딸과 비슷하게 다시 쓰여졌으며, 이전에는 메그가 딸과 달랐다. 포스터는 촬영을 시작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임신했고, 제작진에게 알렸지만 제작진은 그녀의 장면을 계속 촬영하기로 결정했다. 다만 임신을 감출 수 있는 의상을 사용했다. 포스터는 배역에 대해 1200만달러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크리스틴 스튜어트는 메그의 당뇨병을 앓는 딸 사라 역을 맡았다. 원래 사라 역에는 헤이든 파네티어가 캐스팅되었지만, 2000년 말에 프로젝트에서 하차하면서 스튜어트가 이 배역을 맡게 되었다. 핀처는 스튜어트가 "키드먼의 연기를 보완하고, 그녀의 반대 역할, 톰보이, 양성, 무관심한, 열 살의 십 대가 되도록" 캐스팅했다고 말했다. 또한 "딸이 엄마의 부모가 되는 것에 관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포스터가 키드먼을 대신하면서 메그 캐릭터는 사라와 비슷하도록 다시 쓰여졌다.

포레스트 휘태커, 자레드 레토, 드와이트 요아캄은 각각 번햄, 주니어, 라울 역을 맡아 영화 속 강도들로 출연했다. 휘태커의 번햄 캐릭터는 원래 "세련되고 기술적인 유형"으로 메그와 사라의 집에 있는 패닉 룸의 설계자로 쓰여졌다. 그러나 핀처는 설계자가 집에 침입하도록 설득할 수 없다고 생각하여 이 캐릭터를 패닉 룸을 전문적으로 설치하는 블루칼라 노동자로 다시 썼다. 감독은 휘태커에게 ''키 라르고''(1948)를 보고 험프리 보가트의 캐릭터를 모방하라고 말했다. 휘태커는 번햄의 "갈등하는" 본성을 좋아했고 라울의 악행보다 선호했다. 라울은 원래 "거대하고 무서운 덩치"로 쓰여졌지만, 핀처는 그를 "마르고 비열한 종류의 전과자 백인 쓰레기"로 다시 썼다. 라울 역은 원래 메이너드 제임스 키넌에게 제안되었는데, 핀처는 A Perfect Circle의 "Judith" 뮤직 비디오를 연출했었다. 그러나 키넌은 툴의 가수로 너무 바빴기 때문에, 핀처는 ''슬링 블레이드''(1996)에서의 연기를 인상깊게 본 요아캄에게 배역을 제안했다. 주니어 역을 위해 핀처는 자신의 이전 영화 ''파이트 클럽''(1999)에 출연했던 레토를 캐스팅했다.

패트릭 보쇼는 메그의 전 남편 스티븐 역으로 단역을 맡았다. 니콜 키드먼은 무릎 부상으로 인해 주요 배역에서 하차했지만, 스티븐의 슈퍼모델 여자친구의 목소리로 크레딧에 오르지 않는 역할을 했다.

배우배역
조디 포스터메그 알트만
크리스틴 스튜어트사라 알트만
포레스트 휘태커번햄
드와이트 요아캄라울
자레드 레토주니어
패트릭 보쇼스티븐 알트만


4. 3. 촬영

데이비드 핀처 감독은 파이트 클럽의 복잡한 제작 과정을 거친 후, 팝콘 무비 스타일의 생존 스릴러 영화인 ''패닉 룸''을 비교적 단순하게 만들고자 했다. 이를 위해 단일 세트에서 촬영을 진행하고, 촬영 전 장면과 샷을 철저히 계획하는 방식을 택했다.

하지만 제작 과정은 순탄치 않았다. 캐스팅 및 제작진 교체, 초기 계획의 변경 불가능성 등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2000년에 캐스팅이 시작되어 니콜 키드먼헤이든 패네티어가 각각 메그와 사라 알트만 역으로, 포레스트 휘태커, 자레드 레토, 드와이트 요아캄이 강도 역으로 캐스팅되었다. 그러나 촬영 시작 전 패네티어가 하차하고 크리스틴 스튜어트가 그 자리를 대신했다.[2]

2001년 1월, 촬영이 시작된 직후 촬영 감독 다리우스 콘지가 해고되었다. 핀처 감독은 콘지 감독과의 불화를 해고 사유로 밝혔는데, 제작의 여러 측면에서 합의점을 찾지 못했고, 이미 사전 제작 단계에서 많은 부분이 계획되어 콘지 감독에게 유연성을 부여하기 어려웠다고 설명했다. 콘래드 W. 홀이 콘지 감독의 후임으로 기용되었으며, 콘지 감독 또한 이를 지지했다.

촬영 2주 후에는 주연 배우 키드먼이 세트장에서 부상을 당했다.[2] 이전 영화 촬영 중 입었던 무릎 부상이 재발한 것이다. 결국 키드먼은 하차했고, 미국 작가 조합과 미국 배우 조합의 파업 위협까지 겹치면서 핀처 감독은 메그 알트만 역을 다시 캐스팅해야 했다. 산드라 블록, 안젤리나 졸리, 로빈 라이트 등이 물망에 올랐으나, 최종적으로 조디 포스터가 캐스팅되었다. 포스터는 ''패닉 룸'' 합류를 위해 2001년 칸 영화제 심사위원장 자리도 포기했다.

포스터는 촬영 시작 5주 만에 임신 사실을 알게 되었지만, 제작진은 촬영을 계속 진행하기로 결정했다. 핀처 감독은 제작을 서두르지 않았고, 포스터는 의상 변화와 스턴트 대역을 통해 임신 사실을 숨기며 촬영을 이어갔다.

영화 속 집의 상태가 점차 악화됨에 따라, 핀처 감독은 세트 변화에 맞춰 순차적으로 장면을 촬영했다. 또한 패닉 룸 내부의 비디오 모니터에 나타나는 장면들은 거의 동시에 두 번 촬영되었다. 편집자 앵거스 월은 영화에 2,073개의 세트가 있었고, 대부분 두 대의 카메라가 사용되었다고 언급했다.

반복 촬영도 많았다. 라울이 석고 천장을 통해 패닉 룸에 침입하려는 장면은 석고 교체에만 45분이 소요되어, 8분의 1 페이지 분량의 장면을 촬영하는 데 이틀이 걸렸다. 메그가 라울에게 공격받고 사라의 의료 키트를 떨어뜨리는 5초 분량의 숏은 백 번 이상 촬영되었다. 핀처 감독은 배우들의 연기를 자연스럽게 연결하고, 스튜어트의 연기가 포스터의 연기와 비교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반복 촬영을 진행했다.

당초 스튜디오는 2002년 2월에 영화를 개봉할 계획이었으나, 제작 지연으로 인해 불가능하다고 판단했다. 포스터의 출산 후 오프닝 장면을 포함한 재촬영이 진행되었고, 2001년 11월에 촬영이 완료되었다. 시험 관객 시사 결과, SWAT 급습과 번햄의 체포로 끝나는 결말에 대한 평가가 좋지 않아, 편집 과정에서 번햄의 캐릭터가 덜 동정적으로 보이도록 수정되었다. 최종 제작 예산은 4800만달러였다.

''패닉 룸'' 초반부의 끊김 없는 숏은 촬영에 9일, 후반 작업에 수개월이 소요되었다. 이 숏은 카메라 촬영과 컴퓨터 생성 효과(CGI)를 결합하여 만들어졌다. 핀처 감독은 뉴욕시의 랜드마크 시퀀스를 선택하고, 크레딧이 캐릭터 앞에 떠다니도록 연출하여 영화의 주요 캐릭터들을 자연스럽게 소개하고자 했다. 오프닝 타이틀은 해리와 함께한 문제 (1955)와 북북서로 진로를 돌려라 (1959)에서 영감을 받았다. 번햄의 체포 장면 또한 CGI가 사용되었으며, 주니어의 화상 부상과 스티븐 알트만의 피투성이 모습 등 일부 장면은 실제 효과를 사용했다.

4. 4. 편집

제임스 헤이굿과 앵거스 월이 《패닉 룸》의 편집을 담당했다.

4. 5. 시각 효과

영화 ''패닉 룸'' 초반부의 끊김 없는 숏은 촬영장에서 9일이 걸렸지만, 후반 작업으로 완성하는 데에는 수개월이 걸렸다. 이 숏은 카메라 촬영과 컴퓨터 그래픽(CG)의 조합이었다. 데이비드 코엡은 원래 오프닝 시퀀스를 브라운스톤 하우스를 클로즈업하는 일련의 숏으로 썼지만, 데이비드 핀처 감독은 뉴욕시의 랜드마크 시퀀스를 선택했고, 시퀀스가 영화의 주요 캐릭터들을 자연스럽게 소개하기 전에 크레딧이 그들 앞에 떠다니도록 했다. 오프닝 타이틀은 해리와 함께한 문제 (1955)와 북북서로 진로를 돌려라 (1959)에서 영감을 받았다. 번햄의 체포 장면 또한 컴퓨터 생성 효과를 사용했다. 몇몇 장면은 실용적인 효과도 사용했다. 주니어의 불타는 가스 화상 부상과 스티븐 알트만의 피투성이 모습이 그것이다. 꼭두각시 팀은 스티븐의 튀어나온 쇄골을 움직이는 데 사용되었다. 핀처는 파이트 클럽과 세븐에서 했던 것처럼 필름 릴을 디지털 색상 보정하도록 보냈다.

4. 6. 음악

하워드 쇼어가 영화 《패닉 룸》의 음악을 작곡했다. 하워드 쇼어는 이 영화의 분위기를 조성하는데 큰 역할을 했다.

5. 평가

영화 평론 통합 사이트인 로튼 토마토에서는 188개의 리뷰를 바탕으로 76%의 지지율과 6.90/10점의 평균 점수를 기록했다.[33] 메타크리틱에서는 36개의 리뷰를 바탕으로 가중 평균 점수 65/100점을 기록했다.[34]

5. 1. 비평적 평가

로튼 토마토메타크리틱은 영화 ''패닉 룸''에 대해 대체로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로튼 토마토에서는 188개 리뷰를 바탕으로 76%의 지지율과 6.9/10점의 평균 점수를 기록했으며,[11][33] "데이비드 핀처의 연출력과 조디 포스터의 연기에 힘입어, ''패닉 룸''은 잘 만들어진, 평균 이상의 스릴러"라는 평가를 받았다. 메타크리틱에서는 36개 리뷰를 바탕으로 100점 만점에 65점의 가중 평균 점수를 부여하며 "대체로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다.[12][34]

평론가들은 ''패닉 룸''을 "긴장감 넘치는 이야기"라고 평했으며, 알프레드 히치콕의 작품과 비교하며 긍정적, 부정적 측면 모두를 언급했다. 일부 평론가들은 데이비드 핀처 감독의 ''파이트 클럽'' 이후 이 영화가 너무 대중적이라고 평가하기도 했다.

''월스트리트 저널''의 조 모겐스턴은 "''세븐''은 스타일리시하게 우울했고, ''파이트 클럽''은 가식적으로 젠체했지만, ''패닉 룸''은 건축의 기능으로서의 분위기, 그리고 캐릭터의 결과로서의 액션으로 훌륭하게 단순화되었다"라고 평가했다. 그는 메그와 사라를 페미니스트 영웅으로, 침입자들을 "흥미로운" 존재로 칭하며, 포스터의 연기와 영화의 촬영 기법, 쾨프의 각본을 호평했다.[13] 로저 이버트는 별 넷 중 셋을 주면서, ''패닉 룸''을 "물리적, 심리적 개연성의 세계에 완전히 존재하는 스릴러의 이상"에 가깝다고 묘사했다. 그는 "조언을 외치고 싶은 순간들이 있지만, 캐릭터들이 나보다 앞서가는 경우가 많았다"고 덧붙이며, 핀처를 "시각적 거장", 포스터의 연기를 "매혹적"이라고 칭찬했다.[14]

하워드 쇼어는 미국 작곡가, 작가 및 출판 협회에서 ''패닉 룸''과 ''반지의 제왕: 두 개의 탑''의 음악으로 ASCAP 어워드 톱 박스 오피스 영화 음악 부문을 수상했다.[26] 미술 감독 조합은 ''패닉 룸''을 현대 영화 프로덕션 디자인 우수성 부문 후보로 지명했다.[27] 온라인 영화 비평가 협회상은 ''패닉 룸''을 편집상 후보로 지명했다.[28] ''패닉 룸''은 제3회 골든 트레일러 어워드에서 최고의 호러/스릴러 영화 예고편으로 선정되어, ''싸인'', ''늑대의 후예들'', ''쥬라기 공원 3'', ''노 서치 씽''을 제쳤다.[29] 조디 포스터는 이 영화에서의 연기로 새턴상 여우주연상 후보에 올랐다.[30]

5. 2. 흥행 성적

《패닉 룸》은 2002년 3월 29일 미국과 캐나다에서 개봉되어 3,053개 극장에서 상영되었으며, 개봉 주말에 3000만달러의 수익을 올리며 박스 오피스 1위를 차지했다.[1] 이는 조디 포스터데이비드 핀처 감독 모두에게 개봉 주말 최고 기록이었다.[5] 또한 《매트릭스》(1999)를 넘어 부활절 연휴 주말 개봉 최대 수익이며, 《한니발》(2001)과 《몸값》(1996)에 이어 초자연 스릴러 영화 중 역대 세 번째로 높은 개봉 수익이었다.[6] 시네마스코어 조사에서 관객들은 A+에서 F까지의 척도에서 "B" 등급을 부여했으며, 관객 성비는 여성 53%, 남성 47%였고, 62%가 25세 이상이었다.[5][7]

개봉 2주차(4월 5~7일)에도 1820만달러의 수익으로 미국과 캐나다에서 1위를 차지했다.[8] 미국과 캐나다에서 9640만달러, 다른 지역에서 1억달러를 벌어들여 전 세계적으로 총 1.964억달러를 기록했다. 2006년 홍콩 재개봉 수익 682000USD를 포함하면 총 1.9709999999999999억달러이다.[1] 이는 데이비드 핀처 감독의 영화 중 《세븐》(3.273억달러)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수익이다.[9]

6. 주제 및 해석

《패닉 룸》은 단순한 스릴러 영화를 넘어 다양한 주제와 해석의 여지를 남기는 작품이다. 존 키터먼은 이 영화가 에드거 앨런 포의 조기 매장 모티프와 유사하게 공포와 안전이라는 역설적인 덫을 다룬다고 분석한다. 주인공 메그 알트만은 패닉 룸이라는 안전한 공간을 추구하지만, 이는 오히려 그녀를 실존적 공포에 직면하게 만든다.

키터먼은 또한 이 영화가 9.11 테러 이후 미국 사회에 만연했던 불안과 감시, "벙커 정신"을 반영한다고 지적한다. 패닉 룸은 물리적, 심리적 매장의 은유가 되며, 기술적 안전 장치가 오히려 취약점을 드러낼 수 있음을 보여준다. 영화는 불확실한 세상에서 기술에 의존하는 현대인의 불안을 비판하며, 포의 소설처럼 죽음에 대한 인간의 통제력에 의문을 제기한다.

이 외에도 영화는 페미니즘적 관점, 감시 사회와 현대인의 불안, 질병(당뇨병)의 서사적, 은유적 기능, 인종, 부동산, 계급 문제, 생태 비평 및 인류세적 불안, 가정, 안전, 취약성등 다양한 주제들을 다룬다.


  • 페미니즘적 관점: 주인공 메그와 딸 사라는 전통적인 여성성에서 벗어나 저항적인 성 정체성 비순응을 보여준다. 이는 모성을 페미니스트적 저항의 장으로 재정의하는 조디 포스터의 연기 경력과도 연결된다.
  • 감시 사회와 현대인의 불안: 패닉 룸의 CCTV 시스템은 감시의 양면성을 보여준다. 이는 안전을 제공하는 동시에 감옥이 될 수 있으며, 판옵티콘적 속성을 통해 현대인의 불안을 드러낸다.
  • 질병(당뇨병)의 서사적, 은유적 기능: 딸 사라의 당뇨병은 통제와 취약성이라는 주제를 반영하는 중요한 서사 장치이다. 이는 기술적 감시와 자기 감시를 연결하며, 건강, 기술, 인간의 취약성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 인종, 부동산, 계급 문제: 영화는 인종과 부동산의 관점에서 미국 사회의 불평등을 은유적으로 비판한다. 패닉 룸은 안전과 특권에 대한 접근을 규정하는 인종적 경계를 강조하며, 주택 소유의 신화에 대한 비판을 제시한다.
  • 생태 비평 및 인류세적 불안: 영화는 환경 의식과 9.11 테러 이후의 국가 안보 불안을 연결하며, 생태학적 주제를 다룬다. 패닉 룸은 생태적, 국가적 불안의 축소판 역할을 하며, 인간의 도시적 특권과 취약한 환경 시스템에 대한 의존성을 반영한다.
  • 가정, 안전, 취약성: 영화는 집을 불안과 침해의 장소로 제시하며, 안전 추구에 내재된 모순을 강조한다. 패닉 룸은 안전의 상징이자 고립과 무력함의 상징이 된다.

6. 1. 페미니즘적 관점

조디 포스터가 연기한 멕과 크리스틴 스튜어트가 연기한 딸 사라는 페미니즘과 젠더 관련 주제를 탐구하는 중심축이다. 린 스탈은 ''더 벨벳 라이트 트랩''에서 이 영화가 톰보이적인 특성이 전통적인 여성성을 선호하여 청소년기에 버려지는, "톰보이 길들이기"의 전형적인 영화적 비유를 뒤집는다고 설명한다. 이 영화에서 멕과 사라는 서사 내내 지속되는 저항적인 성 정체성 비순응을 보여준다.

스탈은 이러한 역학 관계가 포스터가 젠더에 도전하는 역할을 연기해온 유산과 결합되어, 모성을 "퀴어 페미니스트 재생산"을 통해 전통적인 모성 규범에 도전하는 페미니스트 저항의 장으로 재정의한다고 주장한다. 이 관계는 여성의 자율성 및 헤테로 규범성 비판과 자주 일치하는 포스터의 스타 이미지를 반영하고 강화한다.

스탈은 또한 가정 침입 시나리오를 가부장적 침입의 은유로 설정하며, 패닉 룸은 톰보이적인 회복력을 통해 되찾은 자율성의 공간을 나타낸다고 본다. 서사는 멕이 겉보기에 연약한 어머니에서 단호한 보호자로 변모하는 과정을 보여주며, 이 과정은 사라의 저항적인 여성성에 영감을 받아 톰보이적 과거와 재연결되어 추진된다. ''패닉 룸''은 포스터의 경력에 대한 메타 텍스트적 참여와 서사적 요소를 통해 지배적인 영화적 관습에 도전한다. 이 영화는 여성의 취약성을 상품화하는 것을 거부하고, 대신 생존을 주체성의 행위로 묘사하며, 스릴러 장르에서 젠더와 권력의 상호 작용을 재구성한다.

6. 2. 감시 사회와 현대인의 불안

Panic Room영어은 영화 제목처럼 정교한 CCTV 시스템을 갖춘 '패닉 룸'을 통해 감시의 양면성을 보여준다. 처음에는 주인공 메그 알트만과 그녀의 딸에게 안전을 제공하는 듯 보이지만, 역설적으로 이 공간은 감시를 통해 이들을 가두는 감옥이 된다.

디트마어 카머러는 《감시와 사회》에서 Panic Room영어의 감시 시스템을 분석하며, 이것이 보호와 억압이라는 두 가지 얼굴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고 말한다. 영화는 CCTV 이미지를 직접 보여주는 대신, "신적인" 전지적 카메라를 사용하여 닫힌 공간의 긴장감을 높이는 동시에 감시 시스템의 판옵티콘적 속성을 비판한다. 마지막에 메그가 쇠망치로 감시 카메라를 부수는 장면은 데이비드 리온이 주장한 감시의 "두 얼굴", 즉 보호와 억압의 양면성을 상징적으로 드러낸다.

6. 3. 질병(당뇨병)의 서사적, 은유적 기능

영화 《패닉 룸》에서 당뇨병은 통제와 취약성이라는 더 넓은 주제를 반영하며 중요한 서사 장치 역할을 한다. 케빈 L. 퍼거슨은 《의학 인문학 저널(Journal of Medical Humanities)》에 게재된 분석에서 십 대 초반의 사라 알트만(크리스틴 스튜어트)의 당뇨병 묘사가 영화의 극적 긴장의 중심이라고 지적한다. 그녀의 상태는 인슐린과 오렌지 주스가 채워진 침대 옆 냉장고, 그리고 혈당 수치를 지속적으로 표시하는 세련된 디지털 혈당 측정기 시계와 같은 미묘한 시각적 단서를 통해 드러난다. 이 시계는 패닉 룸 포위 공격 중에 혈당이 위험하게 떨어지면서 긴장감을 고조시키는 시각적 카운트다운이 된다.

퍼거슨은 《패닉 룸》이 사라의 당뇨병을 사용하여 "규율과 감시"라는 더 넓은 영화적 주제를 탐구한다고 언급한다. 패닉 룸의 폐쇄 회로 모니터로 전형되는 기술적 감시에 대한 영화의 복잡한 탐구는 혈당 측정기를 통한 사라의 자기 감시와 유사하다. 기술적 투명성과 사라의 건강 상태의 이러한 뒤얽힘은 그녀의 취약성을 강조할 뿐만 아니라 감시 행위에 시청자를 연루시킨다. 퍼거슨은 이러한 정렬이 당뇨병 환자의 자기 관리를 개인적 규율과 외부 감독의 장소로 자리매김하여 통제에 대한 사회적 불안과 기술 의존성을 반영한다고 주장한다.

《패닉 룸》은 사라의 당뇨병을 단순한 플롯 장치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건강, 기술, 인간의 취약성의 교차점을 탐구하는 은유적 렌즈로 사용한다. 당뇨병 관리의 세심한 묘사와 서사의 중심 갈등으로의 통합을 통해, 이 영화는 퍼거슨이 "통제의 영화"라고 부르는 것에 기여하며, 여기서 질병은 의존성과 회복력의 주제를 탐구하는 도구가 된다.

6. 4. 인종, 부동산, 계급 문제

캐롤 시겔은 '영화 및 비디오 분기 리뷰'에서 '패닉 룸'을 인종과 부동산이라는 이중적 관점으로 분석하며, 이 영화가 미국 사회의 체계적인 불평등을 은유적으로 비판하는 방식을 탐구한다. 시겔은 영화 제목의 패닉 룸과 더 넓은 건축적 미장센을 사용하여 인종과 재산 소유의 교차점을 상징한다고 주장한다. 흑인 캐릭터인 번햄이 설계한 패닉 룸은 백인 거주자들에게 문자 그대로의 요새이자 은유적인 요새가 되어, 안전과 특권에 대한 접근을 규정하는 인종적 경계를 강조한다. 한편, 침입자들은 이러한 특권에서 배제된 이들을 대표하며, 그들의 인종과 경제적 어려움은 영화의 주인공들의 부와 고립과 대비된다.

이 이야기는 재산과 건축이 사회 계층을 어떻게 반영하는지, 그리고 주택 소유가 정체성, 안전, 지위의 장소로 자리매김하는지를 탐구한다. 시겔은 영화의 중심 갈등을 주택 소유의 신화에 대한 비판으로 파악하며, 집을 안식처가 아닌 갇힘과 갈등의 장소로 제시한다. 이 분석은 또한 재산 소유의 인종적 함의를 강조하며, 유색인종 캐릭터들은 백인 가정의 성역을 유지하기 위해 배제되거나 희생된다. '패닉 룸'은 인종과 부동산을 얽어, 미국 정체성의 근간을 이루는 경제적, 인종적 가치에 대한 상징적 비판을 제시하며, 아메리칸 드림의 배타적이고 계층적인 본질을 강조한다.

6. 5. 생태 비평 및 인류세적 불안

리버 라무글리아는 『Resilience: A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Humanities』에서 영화를 생태 비평적 관점에서 탐구하며, 이를 환경 의식과 9.11 테러 이후의 국가 안보 불안이 얽혀 있는 논평으로 해석한다. 『패닉 룸』은 표면적으로 9.11 이후의 사회 정치적 관심사에 대한 국내적 서사와 일치하지만, 라무글리아는 이 영화를 광범위한 생태학적 주제, 특히 로버트 마르체크의 "자연 안보" 개념에 위치시킨다. 이 프레임워크는 전통적인 국가 안보를 기후 변화와 자원 부족과 관련된 공포까지 포괄하도록 확장한다. 요새화되고 감시적인 설계를 갖춘 패닉 룸은 생태적, 국가적 불안의 축소판 역할을 하며, 주인공들의 도시적 특권과 취약한 환경 시스템에 대한 의존성을 모두 반영한다. 라무글리아는 티모시 클라크의 "인류세적 혼란" 개념을 언급함으로써, 이 영화가 인간적인 규모의 가정과 지구적 생태 위기 사이의 불협화음을 드러낸다고 주장한다.

영화의 영화 기법과 시각적 은유의 사용은 이러한 이중적 논평을 강화한다. 패닉 룸의 감시 시스템을 묘사하는 장면은 더 넓은 저택과 병치되어 공간에 대한 매개된 인식에 대한 인간의 의존성을 강조하며, 이는 행성의 규모를 이해하는 인류세의 인지적 과제와 유사하다. 또한, 고립되고 밀폐된 패닉 룸에서 뉴욕시의 공공 장소로 이어지는 주인공들의 여정은 사적 생태와 공적 생태 사이의 진동을 반영한다. 라무글리아에 따르면, 이러한 궤적은 생태적 불안정을 악화시키는 서구의 국내 안보 공모를 비판한다. 영화의 우화적 레이어링은 가정 영역을 넘어 체계적 불평등, 도시 생태적 의존성, 불안정한 세상에서 지속적인 자급자족의 환상을 다룬다.

6. 6. 가정, 안전, 취약성

피터 킹은 저서 ''주택, 이론, 사회''에서 가스통 바슐라르가 이상화한 사적 공간, 안전, 친밀함으로서의 집에 대한 개념을 비판하는 렌즈로서 영화 ''패닉 룸''을 분석한다. 킹은 데이비드 핀처의 영화가 집을 불안과 잠재적 침해의 장소로 제시함으로써 이러한 긍정적인 시각을 무너뜨린다고 주장한다. 영화 제목인 패닉 룸은 집 안에 있는 요새화된 안식처로서 궁극적인 안전의 상징이자 고립과 무력함의 상징이기도 하며, 절대적인 안전 추구에 내재된 모순을 강조한다.

킹은 또한 ''패닉 룸''을 주택 연구의 맥락 안에 위치시키면서, 핀처가 공간과 기술을 다루는 방식이 바슐라르의 낙관적인 틀의 한계를 비판하는 방식을 강조한다. 킹의 분석은 패닉 룸의 물리적인 난공불락성과 그것이 드러내는 심리적, 정서적 취약성을 병치시킨다. 영화는 가정 공간에 대한 통제권을 위한 싸움으로 이야기를 구성함으로써, 보안 조치가 역설적으로 새로운 불안을 만들어낼 수 있는 주택 현상에서의 더 넓은 긴장을 반영한다. 킹의 연구는 영화가 주택과 그것의 사회문화적 함의의 복잡성을 질문하는 매체로서의 잠재력을 강조한다.

6. 7. 죽음, 안전, 실존적 공포

존 키터먼은 《패닉 룸》에서 제목 그대로의 안전실 묘사가 에드거 앨런 포가 탐구한 조기 매장과 주제적으로 유사하다고 분석한다. 영화는 공포와 안전이라는 역설적인 덫을 중심으로 이야기를 전개하며, 〈조기 매장〉과 〈어셔 가의 몰락〉 같은 포의 고딕 소설 전통을 따른다. 키터먼은 영화의 주인공 메그 알트만이 무의식적으로 죽음에 직면하려는 욕망을 상징하며, 이는 피난처를 찾음으로써 자신들의 공포를 무의식적으로 불러일으키는 포의 등장인물들을 반영한다고 지적한다. 이러한 역학 관계는 안전의 환상과 실존적 공포에 직면하려는 인간의 충동에 대한 광범위한 문화적 성찰을 강조하며, 심지어 그것을 피하려 할 때조차 그렇다.

키터먼은 또한 이 영화의 이야기를 9.11 테러 이후의 불안과 연결 지으며, 감시의 증가와 21세기 초 미국에 만연한 "벙커 정신"을 예로 든다. 패닉 룸 자체는 물리적, 심리적 매장의 은유가 되어, 취약점을 완화하기보다는 드러낸다. 이 영화는 불확실성으로 가득 찬 세상에서 기술적 안전 장치의 효과에 대해 비판하며, 포의 소설이 죽음에 대한 인간의 통제력의 한계에 의문을 제기하는 것과 유사하다. 결국 키터먼은 《패닉 룸》이 이러한 공포에 대한 진정한 카타르시스를 제공하지 못하고, 오히려 더 깊은 실존적 모호성을 감추는 겉치레 해결책을 제시한다고 주장한다.

7. 한국어 더빙

키무라 마사시|기무라 마사시일본어
토리하타 히로토|도리하타 히로토일본어야마노이 진|야마노이 진일본어
{{langcolspan="4" |시미즈 히로시|시미즈 히로시일본어다테 야스마사|다테 야스마사일본어번역사토 케이코|사토 게이코일본어타케마츠 마키|다케마쓰 마키일본어조정타카하시 아키오|다카하시 아키오일본어타카쿠 타카오|다카쿠 다카오일본어제작도호쿠신샤첫 방송2004년 10월 24일
『일요 양화 극장』
21:00-23:09


8. 기타

''패닉 룸''은 2002년 9월 17일에 VHSDVD로 처음 출시되었다.[15][16] 제작사는 DVD 플레이어 소유자들이 영화를 구매할 가능성이 더 높다고 판단하여 VHS 복사본은 대여용으로만 제작했다.[17] 극장 개봉 포스터 디자인이 비디오 커버에 사용되었으나, 핀처는 검은색 커버를 원했다. 프리비주얼라이제이션 감독 론 프랑켈은 스토리보드 애니메이션 자료를 포함시키고 싶어했지만, DVD는 오디오 해설이나 다른 부가 기능 없이 단일 디스크 에디션으로 출시되었다. 핀처는 조디 포스터로 교체되기 전 니콜 키드먼과 함께 촬영한 장면들을 DVD에 포함시키지 않기로 결정했다. 개봉 첫 주, 이 영화는 DVD 판매량에서 ''몬스터 주식회사''에 이어 2위를 기록했고,[18] DVD 대여에서는 1위를 기록했다.[19] 2004년 3월에는 3개의 디스크로 구성된 스페셜 에디션 DVD가 출시되었는데, 그중 두 개의 디스크는 영화의 사전 제작, 제작, 후반 작업 과정을 보여주는 피처렛을 제공했다.[20] 이 DVD에는 감독 해설을 포함한 여러 해설 트랙도 포함되어 있었다.[21] 작가 존 T. 콜드웰은 ''패닉 룸'' 스페셜 에디션 DVD를 감독의 통제력을 보여주는 예시로 인용하며, 영화를 "미학적으로 향상"시켰다고 평가했다.[22]

컬럼비아 픽처스는 ''패닉 룸''의 텔레비전 방영권을 터너 방송(Turner Broadcasting)과 CBS에 판매했으며, 이들은 5년간 권리를 공유했다. 2004년 9월, 터너는 TBS와 TNT에서 12개월 동안 영화를 방영했고, 이후 CBS는 18개월 동안 세 번 영화를 방영했다. CBS 방영 후 터너는 30개월 동안 다시 ''패닉 룸''을 방영했다.[23]

2014년, ''A.V. 클럽''(The A.V. Club)은 ''패닉 룸''을 블루레이 버전이 없는 15편의 영화 중 하나로 언급했다.[24] 울트라 HD 블루레이 버전은 블루레이 버전 및 부가 기능과 함께 2025년 2월 18일에 출시될 예정이다.[25]

하워드 쇼어는 미국 작곡가, 작가 및 출판 협회에서 영화 ''패닉 룸''과 ''반지의 제왕: 두 개의 탑''의 음악으로 ASCAP 어워드 톱 박스 오피스 영화 음악 부문을 수상했다.[26] 미술 감독 조합은 ''패닉 룸''을 현대 영화 프로덕션 디자인 우수성 부문 후보로 지명했다.[27] 온라인 영화 비평가 협회상은 ''패닉 룸''을 편집상 후보로 지명했다.[28] ''패닉 룸''은 제3회 골든 트레일러 어워드에서 최고의 호러/스릴러 영화 예고편으로 선정되어, ''싸인'', ''늑대의 후예들'', ''쥬라기 공원 3'', ''노 서치 씽''을 제치고 수상했다.[29] 조디 포스터는 이 영화에서의 연기로 새턴상 여우주연상 후보에 올랐다.[30]

참조

[1] Box Office Mojo Panic Room 2021-01-17
[2] 웹사이트 Kidman Injury Jars Panic Shoot https://abcnews.go.c[...] ABC News 2020-06-28
[3] 웹사이트 2002 – Kristen Stewart (Panic Room Premiere) https://www.cbsnews.[...] CBS News 2021-01-19
[4] 웹사이트 Panic Room http://www.filmratin[...] Motion Picture Association of America 2012-12-14
[5] 논문 Holiday weekend red-hot, pushes '02 past $2 bil mark 2002-04-02
[6] 뉴스 'Panic Room' Breaks Into the Top Spot, 'Rookie' Hits a Triple http://www.boxoffice[...] Box Office Mojo 2010-07-15
[7] 간행물 'Crimes' and Ms. Demeanor http://www.ew.com/ew[...] 2022-03-26
[8] 논문 'Panic' leads weekend b.o. as figures keep record pace 2002-04-09
[9] Box Office Mojo Seven 2021-01-18
[10] 웹사이트 David Fincher Movie Box Office Results http://www.boxoffice[...] Box Office Mojo 2013-04-22
[11] movie Panic Room 2021-09-07
[12] movie Panic Room 2022-01-18
[13] 뉴스 A Strong Jodie Foster Gives 'Panic Room' Its Scary Force https://www.wsj.com/[...] 2022-03-22
[14] 뉴스 Panic Room https://www.rogerebe[...] 2022-03-25
[15] 뉴스 Col TriStar adds trio of fall vid releases https://variety.com/[...] 2023-04-08
[16] 웹사이트 It's Time to Panic http://www.hive4medi[...] 2019-09-21
[17] 뉴스 Hollywood Sees the Big Picture With DVDs https://www.washingt[...] 2021-01-18
[18] 논문 Top 10 DVD Sales; For The Week Ending September 22, 2002 2002-09-22
[19] 논문 Top 10 DVD Rentals; For the Week Ending September 22, 2002 2002-09-22
[20] 뉴스 Panic Room: 3-Disc Special Edition https://www.dvdtalk.[...] 2020-06-08
[21] 뉴스 Panic Room: Special Edition http://www.slantmaga[...] 2012-09-14
[22] 서적 Film and Television After DVD Routledge
[23] 논문 'Panic' ensues at Turner, CBS 2002-04-16
[24] 뉴스 15 Films That Should Be Out On Blu-ray By Now https://www.avforums[...] 2014-12-22
[25] 뉴스 David Fincher's 'Panic Room' Finally Escapes SD for a 4K UHD Blu-ray SteelBook Release on February 18th https://www.highdefd[...] Internet Brands 2024-12-11
[26] 뉴스 ASCAP Honors Top Film and Television Composers and Songwriters at 18th Annual Gala http://www.ascap.com[...] American Society of Composers, Authors and Publishers 2013-06-12
[27] 웹사이트 7th Annual Excellence in Production Design Awards http://www.adg.org/?[...] Art Directors Guild 2013-06-12
[28] 웹사이트 2002 Awards (6th Annual) http://www.ofcs.org/[...] Online Film Critics Society 2013-06-12
[29] 웹사이트 Winners and Nominees for the 3rd Annual Golden Trailer Awards http://www.goldentra[...] Golden Trailers Award 2013-06-12
[30] 웹사이트 From Martin Scorsese to Robert Zemeckis: Jodie Foster's 10 best film performances https://faroutmagazi[...] 2021-01-18
[31] Box Office Mojo Panic Room (2002) 2022-11-21
[32] 映連興行収入 2002
[33] movie Panic Room 2022-11-21
[34] movie Panic Room 2022-11-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