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럴림픽 경기 종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패럴림픽 경기 종목은 신체적 장애가 있는 선수들을 위한 스포츠 대회에서 진행되는 종목들을 의미한다. 패럴림픽은 재활 프로그램에서 시작되어 경쟁 스포츠로 발전했으며, 국제 패럴림픽 위원회(IPC)가 주도적으로 운영한다. 하계 패럴림픽은 양궁, 육상, 수영, 탁구 등 다양한 종목을 포함하며, 동계 패럴림픽은 알파인 스키, 아이스슬레지하키, 노르딕 스키, 휠체어 컬링 등을 진행한다. 선수들은 장애 유형에 따라 분류되며, 각 종목별로 국제 연맹이 경기를 관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회별 종합 스포츠 경기 대회 경기 종목 - 올림픽 경기 종목
올림픽 경기 종목은 국제 올림픽 위원회가 관할하며 하계와 동계로 나뉘고, 각 종목은 국제 스포츠 연맹의 관리를 받으며, IOC 총회에서 채택 여부가 결정되는 등 시대에 따라 변화하고 진화한다. - 대회별 종합 스포츠 경기 대회 경기 종목 - 월드 게임 경기 종목
월드 게임 경기 종목은 국제월드게임협회가 주최하는 월드 게임에서 진행되는 다양한 스포츠 종목들을 의미하며, 올림픽 정식 종목은 아니지만 스포츠의 다양성을 증진하고 올림픽 종목 진입의 교두보 역할을 한다. - 패럴림픽 - 하계 패럴림픽
하계 패럴림픽은 장애를 가진 선수들이 참가하는 국제 스포츠 경기 대회로, 1960년 로마에서 시작되어 1976년부터 다양한 장애 유형의 선수들이 참여하며 규모가 확대되었고, 1988년 서울 대회부터는 하계 올림픽과 같은 장소에서 개최되어 장애인 스포츠 발전과 사회적 인식 개선에 기여하고 있다. - 패럴림픽 - 동계 패럴림픽
동계 패럴림픽은 제2차 세계 대전 부상 군인 재활을 위해 시작되어 장애인 동계 스포츠 대회로 발전했으며, 1976년 첫 대회가 개최된 이후 하계 올림픽과 연계되어 진행되고, 다양한 종목과 장애 유형별 등급으로 경기가 진행되며, 노르웨이가 역대 메달 순위 1위를 기록했다. - 패럴림픽 경기 종목 - 휠체어 농구
휠체어 농구는 휠체어를 사용하는 선수들이 참가하는 장애인 스포츠로, 제2차 세계 대전 후 상이군인들에 의해 시작되어 국제 휠체어 농구 연맹의 관리하에 일반 농구와 유사하지만 휠체어 사용에 맞춘 규칙과 클래스 분류를 적용하여 전 세계적으로 시행되고 있으며 다양한 매체에서도 활용된다. - 패럴림픽 경기 종목 - 골볼
골볼은 제2차 세계대전 시각 장애 참전 용사 재활을 위해 개발된 시각 장애인 스포츠로, 방울이 든 공을 이용해 상대 골대에 넣는 방식으로 진행되며, 국제시각장애인스포츠연맹 주관 하에 패럴림픽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어 세계적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패럴림픽 경기 종목 | |
---|---|
패럴림픽 스포츠 개요 | |
![]() | |
스포츠 종류 | 다양한 스포츠 (하계, 동계) |
주최 | 국제 패럴림픽 위원회(IPC) |
첫 개최 | 하계: 1960년, 로마, 이탈리아 동계: 1976년, 외른셸드스비크, 스웨덴 |
최신 대회 | 하계: 2024년, 파리, 프랑스 동계: 2026년, 밀라노-코르티나담페초, 이탈리아 |
하계 패럴림픽 스포츠 | |
개인 스포츠 | 양궁 육상 보치아 사이클 승마 골볼 유도 역도 조정 사격 수영 탁구 태권도 트라이애슬론 휠체어 펜싱 |
단체 스포츠 | 휠체어 농구 휠체어 럭비 휠체어 테니스 좌식 배구 시각 장애인 축구 (5인제) |
동계 패럴림픽 스포츠 | |
개인 스포츠 | 알파인 스키 바이애슬론 크로스컨트리 스키 스노보드 |
단체 스포츠 | 아이스 하키 (썰매 아이스 하키) 휠체어 컬링 |
과거 패럴림픽 스포츠 | |
하계 | 다트치에리 론볼링 페탕크 볼링 스누커 역도 골프 세일링 |
동계 | 휠체어 댄싱 아이스 슬레지 스피드 레이싱 파라스노보드 시각 장애인 아이스하키 스피드 스케이팅 |
기타 | |
관련 링크 | 국제 패럴림픽 위원회 패럴림픽 |
2. 역사
신체적 장애를 가진 선수를 위한 조직적인 운동 대회는 재활 프로그램에서 그 발달이 시작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 생겨난 수많은 부상 퇴역 군인과 시민들을 위해, 스포츠가 재활 프로그램의 중요한 부분으로 등장했다. 재활 목적에서 여가의 목적으로 발달하였으며, 이후 경쟁적인 요소가 도입되었다. 영국 스토크맨더빌(Stoke Mandeville) 병원의 루드비히 구트만(Ludwig Guttmann)이 이러한 시도의 선구자 역할을 했다. 그는 1948년 런던에서 하계 올림픽이 열리는 동안 스토크맨더빌(Stoke Mandeville) 병원에서 휠체어를 탄 선수들을 위한 경기를 조직했다. 이것이 나중 근대적인 패럴림픽의 시초가 된 스토크맨더빌 게임의 출발이었다.
2. 1. 기원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부상당한 참전 용사와 민간인들의 재활을 돕기 위해 스포츠가 도입되었다.[3] 재활을 위한 스포츠는 여가 스포츠를 거쳐 경쟁 스포츠로 발전했다.[3] 영국 스토크 맨더빌 병원의 루드비히 구트만은 이러한 변화를 이끈 선구자였다.[3] 1948년 런던 올림픽 기간 동안, 그는 스토크 맨더빌에서 휠체어 운동선수들을 위한 스포츠 대회를 조직했다.[3] 이것은 패럴림픽의 전신이 된 스토크 맨더빌 게임의 시작이었다.[3]2. 2. 발전
신체 장애인을 위한 조직적인 스포츠는 재활 프로그램을 통해 발전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부상당한 많은 참전 용사와 민간인들의 요구에 부응하여, 스포츠는 재활의 핵심적인 부분으로 도입되었다. 재활을 위한 스포츠는 여가 스포츠로 발전했고, 이어서 경쟁 스포츠로 발전했다. 이 접근법의 선구자는 영국 스토크 맨더빌 병원의 루드비히 구트만이었다. 1948년, 올림픽이 런던에서 열리는 동안, 그는 스토크 맨더빌에서 휠체어 운동선수를 위한 스포츠 대회를 조직했다. 이것이 현대 패럴림픽으로 발전한 스토크 맨더빌 게임의 기원이 되었다.[3]
3. 조직
전 세계적으로 국제 패럴림픽 위원회(IPC)는 패럴림픽 대회 및 대회 내의 세부 9개 경기 종목, 그리고 기타 다른 국제경기에 대한 운영 권한을 가지고 있다.[19][20] 국제휠체어/절단장애인경기연맹(IWAS), 국제시각장애인경기연맹(IBSA), 국제지적장애인경기연맹(INAS), 국제뇌성마비인경기연맹(CP-ISRA)은 각각 해당하는 선수 그룹을 위한 경기를 운영한다.[19][20] 일부 개별 종목에서는 국제 연맹이 본래의 비장애인 대회와 함께 장애가 있는 선수를 위한 대회를 함께 관장하는 경우도 있으며(예: 국제승마연맹(FEI)), 장애인 부문을 위한 별도의 조직이 존재하는 경우도 있다 (예: 국제휠체어농구연맹).[21]
국제적으로는 국제 패럴림픽 위원회(International Paralympic Committee, IPC)가 주요 기구로 인정받고 있으며, 9개 종목을 직접 관할하고, 패럴림픽 및 기타 여러 종목의 다종목 장애인 경기에 대한 책임을 진다.[4] 다른 국제 기구 외에도, 국제 휠체어 및 절단 스포츠 연맹(IWAS), 국제 시각 장애인 스포츠 연맹(IBSA), 국제 지적 장애인 스포츠 연맹(INAS) 및 뇌성마비 국제 스포츠 및 레크리에이션 협회(CP-ISRA)가 특정 장애 그룹에 특화된 일부 스포츠를 관할한다.[4] 또한, 국제 승마 연맹(FEI)과 같이 비장애인 스포츠 연맹의 일부로, 또는 국제 휠체어 농구 연맹과 같은 장애인 스포츠 연맹으로서 장애인 선수를 위한 스포츠를 관할하는 특정 단일 스포츠 연맹도 있다.[5]
대한민국에서는 대한장애인체육회가 국제패럴림픽위원회의 회원으로써 패럴림픽 뿐 아니라 다양한 장애인 경기에 대한 운영과 감독을 하고 있다.
국가 차원에서는, IPC의 회원인 각국 국가 패럴림픽 위원회를 포함하여 패럴림픽 스포츠에 대한 책임을 지는 다양한 기구들이 있다.[6]
3. 1. 국제 패럴림픽 위원회 (IPC)
전 세계적으로 국제 패럴림픽 위원회(IPC)는 패럴림픽 대회 및 대회 내의 세부 9개 경기 종목, 그리고 기타 다른 국제경기에 대한 운영 권한을 가지고 있다.[19][20] 국제휠체어/절단장애인경기연맹(IWAS), 국제시각장애인경기연맹(IBSA), 국제지적장애인경기연맹(INAS), 국제뇌성마비인경기연맹(CP-ISRA)은 각각 해당하는 선수 그룹을 위한 경기를 운영한다.[19][20] 일부 개별 종목에서는 국제 연맹이 본래의 비장애인 대회와 함께 장애가 있는 선수를 위한 대회를 함께 관장하거나(예: 국제승마연맹 (FEI)), 장애인 부문을 위한 별도의 조직(예: 국제휠체어농구연맹)이 존재하기도 한다.[21]대한민국에서는 대한장애인체육회가 국제패럴림픽위원회의 회원으로써 패럴림픽 뿐 아니라 다양한 장애인 경기에 대한 운영과 감독을 하고 있다.
국제적으로는 국제 패럴림픽 위원회(International Paralympic Committee, IPC)가 주요 기구로 인정받고 있으며, 9개 종목을 직접 관할하고, 패럴림픽 및 기타 여러 종목의 다종목 장애인 경기에 대한 책임을 진다.[4] 다른 국제 기구 외에도, 국제 휠체어 및 절단 스포츠 연맹(IWAS), 국제 시각 장애인 스포츠 연맹(IBSA), 국제 지적 장애인 스포츠 연맹(INAS) 및 뇌성마비 국제 스포츠 및 레크리에이션 협회(CP-ISRA)가 특정 장애 그룹에 특화된 일부 스포츠를 관할한다.[4] 또한, 국제 승마 연맹(FEI)과 같이 비장애인 스포츠 연맹의 일부로, 또는 국제 휠체어 농구 연맹과 같은 장애인 스포츠 연맹으로서 장애인 선수를 위한 스포츠를 관할하는 특정 단일 스포츠 연맹도 있다.[5]
국가 차원에서는, IPC의 회원인 각국 국가 패럴림픽 위원회를 포함하여 패럴림픽 스포츠에 대한 책임을 지는 다양한 기구들이 있다.[6]
3. 2. 국제 경기 연맹 (IFs)
전 세계적으로 국제 패럴림픽 위원회(IPC)는 패럴림픽 대회 및 대회 내의 세부 9개 경기 종목에 대한 운영 권한을 가지고 있으며, 기타 다른 국제경기에 대한 권한도 가지고 있다. 국제휠체어/절단장애인경기연맹(IWAS), 국제시각장애인경기연맹(IBSA), 국제지적장애인경기연맹(INAS), 국제뇌성마비인경기연맹(CP-ISRA)은 각각 해당하는 선수 그룹을 위한 경기를 운영한다.[19][20]일부 개별 종목에서는 국제 연맹이 본래의 비장애인 대회와 함께 장애가 있는 선수를 위한 대회를 함께 관장하는 경우도 있으며(예: 국제승마연맹(FEI)), 장애인 부문을 위한 별도의 조직이 존재하는 경우도 있다 (예: 국제휠체어농구연맹).[21]
대한민국에서는 대한장애인체육회가 국제패럴림픽위원회의 회원으로써 패럴림픽 뿐 아니라 다양한 장애인 경기에 대한 운영과 감독을 하고 있다.
국가 차원에서는, IPC의 회원인 각국 국가 패럴림픽 위원회를 포함하여 패럴림픽 스포츠에 대한 책임을 지는 다양한 기구들이 있다.[6]
3. 3. 대한장애인체육회 (KPC)
대한민국에서는 대한장애인체육회가 국제패럴림픽위원회의 회원으로써 패럴림픽 뿐 아니라 다양한 장애인 경기에 대한 운영과 감독을 하고 있다.[6]4. 장애 분류
패럴림픽에 출전하는 운동 선수는 해당 장애의 유형에 따라 아래의 10가지 그룹으로 분류된다.[22][23][24][25]
- '''신체 결손''' - 신체 결손 분류에는 8가지 유형이 있다.
- * '''근력결손''' - 척수장애 등으로 인해 한 팔(다리), 전신의 반쪽 혹은 한쪽 하반신의 근력이 줄어든 경우이다.
- * '''수동관절가동범위제한''' - 구조적으로 한개 이상 관절의 움직임이 제한되는 경우이다. 관절염과 같이 급성적인 상태는 포함되지 않는다.
- * '''사지손실 혹은 결핍''' - 질병, 외상 혹은 선천적인 이유로 사지절단술을 받아 골조직 혹은 관절조직의 전체 혹은 일부가 손실된 경우이다. 지체이상이 이 경우에 해당한다.
- * '''족부기형''' - 선천적이유 혹은 정신적 외상으로 인해 한 쪽 다리의 골격이 크게 축소한 경우이다.
- * '''저신장''' - 근골격 혹은 연골조직 결핍으로 인해 팔, 다리 혹은 몸통이 작아져 신장이 축소한 경우이다.
- * '''고긴장''' - 고긴장은 근간장의 비정상적 증가와 근육수축능력의 저하로 특징된다. 상해, 질병 또는 중추신경계의 손상 등으로 발생할 수 있다.
- * '''운동실조''' - 운동실조는 운동에 관여하는 근군의 상호협조가 유지되지 않아 원활한 운동에 장애를 받고 있는 경우이다.
- * '''불수의운동''' - 불수의운동은 일반적으로 불균형, 비자발적인 움직임과 균형동작 수행의 어려움으로 정의된다.
- '''시각장애''' - 이 범주의 선수들은 부분적인 시력의 손상부터 법적인 시각장애와 완전한 시각장애를 포함한다. 시각계통(안구구조, 수용체, 시신경, 대뇌피질)의 요소중 하나 이상 결손시 이 범주에 포함된다. 시각장애선수를 위한 시각 가이드는 경기에 있어 필수적인 요소이며 선수와 장치는 하나의 팀으로 간주한다. 2012년부터 이러한 보조장치들도 메달 수여의 대상이 되고 있다.
- '''지적장애''' - 현저한 지적수행능력의 장애가 있고 이로 인해 적응행동에 제한이 있는 경우이다. 국제패럴림픽위원회는 신체적 장애 부문을 우선적으로 다뤄왔으나 일부 경기에는 지적장애 부문도 추가되고 있다. 이는 18세 이전에 지적장애로 진단을 받은 우수한 선수만을 대상으로 한다. 그러나, 국제올림픽위원회의 스페셜올림픽은 모든 지적장애인들을 위한 대회이다.
각 선수의 등급과 분류에 따라 참여경기와 대진상대가 결정된다. 싸이클링과 같은 일부 종목은 여러 분류의 선수들이 참가하며, 축구와 같은 종목은 한 분류의 선수들에게만 허용된다. 여러 분류의 참가가 허용되는 종목 중에서도 육상과 같이 동일한 분류의 선수끼리만 경쟁하는 종목과 수영과 같이 다른 분류끼리 경쟁이 가능한 종목이 있다. 패럴림픽내의 각 경기는 일반적으로 해당 장애 등급으로 이름이 붙여지는데, 심각한 신체 결손 등급을 의미하는 ‘남자 수영 자유형 S1’ 혹은 지적 장애 등급을 의미하는 ‘여자 탁구 11’과 같은 형태이다.[26]

4. 1. 장애 유형
패럴림픽에 출전하는 운동 선수는 해당 장애의 유형에 따라 아래의 10가지 그룹으로 분류된다.[22][23][24][25]- '''신체 결손''' - 신체 결손 분류에는 8가지 유형이 있다.
- * '''근력결손''' - 척수장애 등으로 인해 한 팔(다리), 전신의 반쪽 혹은 한쪽 하반신의 근력이 줄어든 경우이다.
- * '''수동관절가동범위제한''' - 구조적으로 한개 이상 관절의 움직임이 제한되는 경우이다. 관절염과 같이 급성적인 상태는 포함되지 않는다.
- * '''사지손실 혹은 결핍''' - 질병, 외상 혹은 선천적인 이유로 사지절단술을 받아 골조직 혹은 관절조직의 전체 혹은 일부가 손실된 경우이다. 지체이상이 이 경우에 해당한다.
- * '''족부기형''' - 선천적이유 혹은 정신적 외상으로 인해 한 쪽 다리의 골격이 크게 축소한 경우이다.
- * '''저신장''' - 근골격 혹은 연골조직 결핍으로 인해 팔, 다리 혹은 몸통이 작아져 신장이 축소한 경우이다.
- * '''고긴장''' - 고긴장은 근간장의 비정상적 증가와 근육수축능력의 저하로 특징된다. 상해, 질병 또는 중추신경계의 손상 등으로 발생할 수 있다.
- * '''운동실조''' - 운동실조는 운동에 관여하는 근군의 상호협조가 유지되지 않아 원활한 운동에 장애를 받고 있는 경우이다.
- * '''불수의운동''' - 불수의운동은 일반적으로 불균형, 비자발적인 움직임과 균형동작 수행의 어려움으로 정의된다.
- '''시각장애''' - 이 범주의 선수들은 부분적인 시력의 손상부터 법적인 시각장애와 완전한 시각장애를 포함한다. 시각계통(안구구조, 수용체, 시신경, 대뇌피질)의 요소중 하나 이상 결손시 이 범주에 포함된다. 시각장애선수를 위한 시각 가이드는 경기에 있어 필수적인 요소이며 선수와 장치는 하나의 팀으로 간주한다. 2012년부터 이러한 보조장치들도 메달 수여의 대상이 되고 있다.
- '''지적장애''' - 현저한 지적수행능력의 장애가 있고 이로 인해 적응행동에 제한이 있는 경우이다. 국제패럴림픽위원회는 신체적 장애 부문을 우선적으로 다뤄왔으나 일부 경기에는 지적장애 부문도 추가되고 있다. 이는 18세 이전에 지적장애로 진단을 받은 우수한 선수만을 대상으로 한다. 그러나, 국제올림픽위원회의 스페셜올림픽은 모든 지적장애인들을 위한 대회이다.
각 선수의 등급과 분류에 따라 참여경기와 대진상대가 결정된다. 싸이클링과 같은 일부 종목은 여러 분류의 선수들이 참가하며, 축구와 같은 종목은 한 분류의 선수들에게만 허용된다. 여러 분류의 참가가 허용되는 종목 중에서도 육상과 같이 동일한 분류의 선수끼리만 경쟁하는 종목과 수영과 같이 다른 분류끼리 경쟁이 가능한 종목이 있다. 패럴림픽내의 각 경기는 일반적으로 해당 장애 등급으로 이름이 붙여지는데, 심각한 신체 결손 등급을 의미하는 ‘남자 수영 자유형 S1’ 혹은 지적 장애 등급을 의미하는 ‘여자 탁구 11’과 같은 형태이다.[26]
4. 2. 장애 등급
장애등급은 패럴림픽 경기의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27] 장애등급에 따른 분류를 통해 선수들은 자신과 비슷한 신체적 조건을 가진 선수들과 경쟁할 수 있다. 비장애인 종목에서 연령 혹은 체중에 따라 종목을 구분하는 것과 유사한 목적이다.선수들은 참가하는 종목과 장애분류에 따라 다양한 과정을 통해 분류된다. 선수를 판별하는 기준에는 신체적, 의학적 진단 뿐만 아니라 선수의 신체 기능이 특정 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지에 대한 기술적 평가와 경기 안팍의 관찰이 포함된다. 매종목마다 구체적인 분류체계가 갖춰져 있으며 이는 종목의 판정요소에도 포함된다.[7]
5. 하계 패럴림픽
종목 | 참가 자격 장애 유형 | 관리 기구 | 패럴림픽 대회 상태 | 연도별 | ||||||||||||||||||||||||
---|---|---|---|---|---|---|---|---|---|---|---|---|---|---|---|---|---|---|---|---|---|---|---|---|---|---|---|---|
신체 | 시각 | 지적 | 1960 | 64 | 68 | 72 | 76 | 80 | 84 | 88 | 92 | 96 | 2000 | 04 | 08 | 12 | 16 | 20 | 24 | 28 | 32 | |||||||
현재 하계 종목 | ||||||||||||||||||||||||||||
양궁 | 30px | WA | 하계 종목 (1960년 이후) | |||||||||||||||||||||||||
육상 | 30px | IPC | 하계 종목 (1960년 이후) | 194 | 160 | 170 | 177 | 168 | 164 | |||||||||||||||||||
배드민턴 | 30px | BWF | 하계 종목 (2020년 이후) | |||||||||||||||||||||||||
보치아 | 30px | BISFed | 하계 종목 (1984년 이후) | |||||||||||||||||||||||||
카누 | 30px | ICF | 하계 종목 (2016년 이후) | |||||||||||||||||||||||||
스포츠 클라이밍 | 30px | style="background:#9EFF9E;color:black;vertical-align:middle;text-align:};" class="table-yes"|} |style="background:#9EFF9E;color:black;vertical-align:middle;text-align:};}" class="table-yes"|} | |IFSC |하계 종목 (2028년 추가 예정) |- |rowspan="2"|사이클: | 트랙 사이클 | | | | |UCI |하계 종목 (1988년 이후) |- | 도로 사이클 | | | | |UCI |하계 종목 (1984년 이후) |- |colspan="2"|승마 | | | | |FEI |하계 종목 (1996년 이후) |- |colspan="2"|5인제 축구 | | | | |IBSA |하계 종목 (2004년 이후) |- |colspan="2"|골볼 | | | | |IBSA |하계 종목 (1980년 이후) |- |colspan="2"|유도 | | | | |IBSA |하계 종목 (1988년 이후) |- |colspan="2"|파워리프팅 | | | | |IPC |하계 종목 (1964년 이후) |- |colspan="2"|조정 | | | | |FISA |하계 종목 (2008년 이후) |- |colspan="2"|사격 | | | | |IPC |하계 종목 (1976년 이후) |- |colspan="2"|수영 | | | | |IPC |하계 종목 (1960년 이후) |- |colspan="2"|탁구 | | | | |ITTF |하계 종목 (1960년 이후) |- |colspan="2"|태권도 | | | | |WT |하계 종목 (2020년 이후) |- |colspan="2"|트라이애슬론 | | | | |ITU |하계 종목 (2016년 이후) |- |colspan="2"|배구 | | | | |WOVD |하계 종목 (1976년 이후) |- |colspan="2"|휠체어 농구 | | | | |IWBF |하계 종목 (1960년 이후) |- |colspan="2"| 휠체어 펜싱 | | | | |IWAS |하계 종목 (1960년 이후) |- |colspan="2"| 휠체어 럭비 | | | | |IWRF |하계 종목 (2000년 이후)|| || || || || || || || || || || || || || || || || || || |- |colspan="2"| 휠체어 테니스 | | | | |ITF |하계 종목 (1992년 이후)|| || || || || || || || || || || || || || || || || || || |- !colspan="27"|중단된 하계 종목 |- |colspan="2"|ID 농구 | | | | |INAS-FID |하계 종목 (1992, 2000) |- |colspan="2"|ID 축구 | | | | |INAS-FID |하계 종목 (1992) |- |colspan="2"|7인제 축구 | | | | |CP-ISRA |하계 종목 (1984–2016) |- |colspan="2"|론볼 | | | | |IPC |하계 종목 (1968–1988, 1996) |- |colspan="2"|요트 | | | | |IFDS |하계 종목 (2000–2016) |- |colspan="2"|스누커 | | | | |IWAS |하계 종목 (1960–1976, 1984–1988) |- |colspan="2"|다트체리 | | | | |IPC |하계 종목 (1960–1980) |- |colspan="2"|역도 | | | | |IPC |하계 종목 (1964–1992) |- |colspan="2"|레슬링 | | | | | |하계 종목 (1980–1984) |} 5. 1. 현재 종목패럴림픽은 하계 패럴림픽과 동계 패럴림픽으로 나뉘며, 다양한 종목들이 경기를 치른다. 현재 하계 패럴림픽에서 채택된 종목은 다음과 같다.
2024년 6월 12일, 2028년 하계 패럴림픽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조직위원회는 스포츠 클라이밍의 변형 종목인 패럴클라이밍 (2020년 이후 올림픽 정식 종목)을 제안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IPC 집행부는 2024년 6월 26일 회의에서 이 제안을 승인하기로 의결했다. 5. 2. 폐지된 종목지적장애인 농구는 1996년부터 2000년까지 하계 패럴림픽 종목이었다. 국제 버투스 스포츠 연맹(INAS-FID)이 관리를 담당했다.론 볼링은 1968년부터 1988년, 그리고 1996년에 하계 패럴림픽 종목이었다. 국제 패럴림픽 위원회(IPC)가 관리를 담당했다. 스누커는 1960년부터 1976년, 그리고 1984년부터 1988년까지 하계 패럴림픽 종목이었다. IWAS가 관리를 담당했다. 다처리는 1960년부터 1980년까지 하계 패럴림픽 종목이었다. 국제 패럴림픽 위원회(IPC)가 관리를 담당했다. 역도는 1964년부터 1992년까지 하계 패럴림픽 종목이었다. 국제 패럴림픽 위원회(IPC)가 관리를 담당했다. 레슬링은 1980년부터 1984년까지 하계 패럴림픽 종목이었다. ID 축구는 1992년 하계 패럴림픽 종목이었다. 국제 버투스 스포츠 연맹(INAS-FID)이 관리를 담당했다. 7인제 축구는 1984년부터 2016년까지 하계 패럴림픽 종목이었다. 뇌성마비 국제 스포츠 및 레크리에이션 협회(CP-ISRA)가 관리를 담당했다. 요트는 2000년부터 2016년까지 하계 패럴림픽 종목이었다. 국제 장애인 요트 협회(IFDS)가 관리를 담당했다. 6. 동계 패럴림픽
6. 1. 현재 종목![]()
6. 2. 폐지된 종목아이스슬레지는 1980년부터 1988년, 1994년부터 1998년까지 동계 패럴림픽 종목이었다. 아이스 슬레지 레이싱은 동계 패럴림픽에서 신체적 장애가 있는 선수들이 참가하는 종목이었다.7. 약어
참조
[1]
웹사이트
About Rio 2016
http://www.paralympi[...]
paralympic.org
2014-05-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