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라리 348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페라리 348은 1989년부터 1995년까지 생산된 페라리의 스포츠카로, 348 TB/TS, GTB/GTS/스파이더, 세리에 스페치알레, GT 콤페티치오네 등 다양한 모델이 출시되었다. 3.4리터 V8 엔진을 탑재하여 최고 320마력의 출력을 냈으며, 5단 수동 변속기를 사용했다. 피닌파리나가 디자인한 외관은 테스타로라를 연상시키는 측면 에어 인테이크와 사각형 테일라이트가 특징이다. 348은 긍정적인 평가와 함께 엔진 소리, 기어 변속, 섀시 설정 등에서 비판을 받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89년 도입된 자동차 - 마쓰다 MX-5
마쓰다 MX-5는 로터스 엘란에서 영감을 받은 디자인과 뛰어난 핸들링으로 인기를 얻은 마쓰다의 경량 2인승 로드스터로, 4세대에 걸쳐 진화하며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린 2인승 스포츠카로 기네스북에 등재되었다. - 1989년 도입된 자동차 - 기아 캐피탈
기아 캐피탈은 기아가 1989년 프라이드와 콩코드 사이의 차종 공백을 메우기 위해 콩코드의 차체를 기반으로 디자인을 차별화하여 개발한 승용차로, 대한민국 최초로 DOHC 엔진을 추가하기도 했으나 시대에 뒤쳐진 디자인과 경쟁력 약화로 1996년에 단종되었다. - 페라리의 차종 - 페라리 로마
페라리 로마는 2020년에 출시된 페라리의 2+2 GT 쿠페로, 클래식 페라리 모델에서 영감을 얻은 디자인과 3.9리터 V8 트윈 터보 엔진을 탑재하여 3.4초 만에 100km/h에 도달하며, 디자인으로 여러 상을 수상했다. - 페라리의 차종 - 페라리 488
페라리 488은 페라리가 2015년부터 2019년까지 생산한 스포츠카로, 3,902cc V8 트윈 터보 엔진과 7단 듀얼 클러치 자동변속기를 사용하며, 다양한 파생 모델과 모터스포츠에서 활약했다. - 스포츠카 - BMW M8
BMW M8은 쿠페, 컨버터블, 그란 쿠페 모델로 출시된 BMW의 고성능 럭셔리 스포츠카로, S63 트윈터보 V8 엔진을 탑재하고 M8 Competition 모델은 향상된 출력과 xDrive, 후륜구동 모드를 제공하며 뉘르부르크링 테스트를 거쳐 핸들링과 성능을 검증받았다. - 스포츠카 - 포르쉐 911
포르쉐 911은 포르쉐에서 생산하는 2+2 시트 스포츠카로, 1964년 출시 이후 7세대에 걸쳐 후륜 수평대향 6기통 엔진과 독특한 디자인을 유지하며 스포츠카 시장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페라리 348 - [자동차]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제조사 | 페라리 |
다른 이름 | 페라리 348 TB 페라리 348 TS |
생산 기간 | 1989년 - 1995년 |
생산 대수 | 8,844대 |
조립 장소 | 마라넬로, 이탈리아 |
디자이너 | 레오나르도 피오라반티 (피닌파리나 소속) |
차종 | 스포츠카 (S-세그먼트) |
차체 스타일 | 2도어 베를리네타 (tb, GTB) 2도어 타르가 톱 (ts, GTS) 2도어 컨버터블 (스파이더) |
엔진 배치 | 세로, 리어 미드 엔진, 후륜구동 |
선행 차종 | 페라리 328 |
후속 차종 | 페라리 F355 |
엔진 및 변속기 | |
엔진 | 3.4 L Tipo F119 V8 엔진 |
변속기 | 5단 수동 변속기 |
크기 | |
축거 | 2450 mm |
전장 | 4230 mm |
전폭 | 1894 mm |
전고 | 1170 mm |
공차 중량 | 3300 lb (약 1497 kg) |
외부 링크 | |
페라리 공식 웹사이트 (과거 모델) | 페라리 348 TB |
2. 모델 종류 및 특징
페라리 348은 1989년 프랑크푸르트 모터쇼에서 처음 공개된 이후 여러 모델이 출시되었다. 각 모델은 디자인, 성능, 특별한 목적에 따라 다양한 특징을 지녔다.
- 348 TB/TS (1989-1993): 328의 후속 모델로, 엔초 페라리의 지시로 개발되었다. 348 TB는 쿠페, 348 TS는 타르가 모델이며, 3.4리터 V8 엔진을 탑재하여 300마력의 성능을 냈다. 피닌파리나의 레오나르도 피오라반티가 디자인했으며, 테스타로사와 유사한 측면 에어 인테이크와 사각형 테일램프가 특징이다.[26] 차체 구조는 강관 스페이스 프레임에서 모노코크 프레임으로 변경되었으나, 초기 모델은 섀시 강성 부족 문제가 있었다.[26]
- 348 GTB/GTS/스파이더 (1993-1995): 1993년에 페이스리프트를 거쳐 348 GTB (쿠페), 348 GTS (타르가), 348 스파이더 (컨버터블) 모델이 출시되었다. 엔진은 개선된 F119H 엔진을 탑재하여 320마력으로 성능이 향상되었고, 보쉬 모트로닉 M2.7 엔진 관리 시스템이 적용되었다. 외관은 범퍼 하단과 사이드 실 하단이 차체와 동일한 색상으로 변경되었고, 크롬 소재의 페라리 엠블럼이 장착되었다.
- 348 세리에 스페치알레 (1992-1993): 북미 시장 전용으로 100대 한정 생산된 모델이다. 개량된 엔진으로 316마력의 출력을 냈으며, 더 넓어진 후륜 트랙, 자유 흐름 배기 시스템, 짧은 기어비의 최종 드라이브, 피렐리 P 제로 타이어 등이 적용되었다. F40과 유사한 공기역학 디자인이 특징이다.
- 348 GT 콤페티치오네 (1993): GT 챔피언십 참가를 위해 경량화된 모델로, 50대만 생산되었다. F40 Evoluzione의 브레이크 시스템, 레이싱 서스펜션, 배기 시스템을 채용했다. 엔진 출력은 320마력으로 후기형 348과 동일했지만, 탄소 케블라 복합 재료 사용, 에어컨 및 방음재 제거 등으로 건조 중량이 1180kg으로 감소했다.
각 모델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고할 수 있다.
2. 1. 348 TB/TS (1989-1993)
348은 쿠페 모델인 348 TB (Trasversale Berlinettait)와 타르가 모델인 348 TS (Trasversale Spiderit)로 출시되었으며, 자연 흡기 방식의 3.4리터 쿼드캠, 실린더당 4밸브 V8 엔진을 탑재했다.[6] 이전 모델과 마찬가지로, 모델명은 이 구성을 기반으로 하였으며, 처음 두 자리 숫자는 엔진 배기량을, 세 번째 숫자는 실린더 수를 나타낸다. 300PS의 출력을 내는 이 엔진은 종방향으로 장착되었으며, 횡방향 수동 변속기와 결합되었다. 이는 페라리 312T F1 차량을 위해 처음 개발된 횡 변속기 설계를 페라리에서 최초로 일반 도로용 차량에 적용한 사례였다. 모델 TB와 TS 명칭의 "t"는 페라리가 이 모델 라인업을 위해 강조하고자 했던 변속기의 횡 방향 위치를 의미하며, 이 기술적 계보를 기념한다. 또한, 288 GTO 이후 이 모델은 페라리의 표준 로드카에 미드 엔진 종방향 V8을 처음으로 적용한 것이기도 했다. 348 TB는 총 2,894대, 348 TS는 4,228대가 생산되었다.
348의 스타일은 측면 에어 인테이크와 테스타로사를 닮은 사각형 테일라이트 등 이전 모델과 달랐으며, 당시 세계에서 가장 빠른 양산차였던 F40과 과거의 다른 명차 페라리 모델들을 연상시키는 스타일적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6] 이 모델은 또한 F40, 데이토나, 512 베를리네타 복서, 288 GTO, P5, P6 등을 디자인한 것으로 알려진 수석 스타일리스트 레오나르도 피오라반티가 마지막으로 감독한 디자인이었다. 348의 후속 모델인 F355는 328의 스타일링 큐로 돌아가 원형 테일라이트와 둥근 측면 에어 스쿠프를 사용했다.
348은 트윈 보쉬 모트로닉 ECU를 사용한 듀얼 컴퓨터 엔진 관리 시스템, 이중 중복 ABS, 자체 진단 에어컨 및 난방 시스템을 갖추었다. 1990년에는 보쉬 모트로닉 엔진 관리 시스템이 2.5에서 2.7 버전으로 업데이트되었다. 348의 후기 모델(1993년 이후)은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일본산 스타터 모터와 덴소 발전기를 장착했으며, 무게 배분을 개선하기 위해 배터리를 전방 왼쪽 펜더 내부에 위치시켰다.
모든 348은 OBD-I 엔진 관리 시스템을 갖추고 있지만, 유럽 및 일반 시장 모델은 이 문제 해결 기능을 활성화하는 데 필요한 자체 테스트 푸시 버튼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
테스타로사와 유사하게, 512 BB 및 308/328과는 달리 오일 및 냉각수 라디에이터가 전면부에서 측면으로 옮겨져 차량 측면이 상당히 넓어졌지만, 따뜻한 물을 공급하는 호스가 더 이상 구형 전면 라디에이터 차량처럼 캐빈 아래로 지나가지 않아 캐빈을 훨씬 쉽게 냉각할 수 있게 되었다. 이로 인해 문이 매우 넓어지는 부수적인 효과도 있었다.
348에는 고속 주행 및 격한 코너링 시 오일 부족을 방지하기 위해 드라이 섬프 오일 시스템이 장착되었다. 이 시스템으로 인해 오일 레벨은 엔진이 작동 중일 때만 오일 게이지로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348은 조절 가능한 차고 조절 서스펜션과 엔진 유지 보수를 위해 엔진 제거 속도를 높이기 위한 탈착식 리어 서브 프레임을 갖추고 있었다.
1989년 프랑크푸르트 모터쇼에서 "348tb", "348ts"를 발표했다. 이전의 328을 대체하는 모델로, 창업자 엔초 페라리의 지시로 개발되었으며, 엔초의 사후에 생산이 시작되었다.
"348"이라는 차명은 자연 흡기 3.4리터 버전의 쿼드캠, 실린더당 4밸브 V8 엔진을 탑재한 데서 유래하며, 이어서 "t"는 횡치식 변속기임을 의미하는 이탈리아어 Trasversaleit(트라스베르살레), "b"는 쿠페 모델을 나타내는 berlinettait(베를리네타), 오픈 모델을 나타내는 "s"는 spiderit(스파이더)의 머리글자를 따왔다. 300PS의 출력을 가진 엔진은 종치로 배치되었고, Mondialt와 같은 횡치 수동 변속기에 결합되었다. 348tb는 2,894대, 348ts는 4,228대가 생산되었으며, 일본에는 1990년에 정식 수입이 시작되었다. 당시 판매 가격은 1,650만 엔이었다.
익스테리어 디자인은 328에 이어 피닌파리나의 레오나르도 피오라반티가 담당했다. 대폭 현대화되었으며, 측면의 대형 에어 인테이크 부분이 테스타로사 스타일의 핀으로 디자인되었고, 테일 램프도 페라리 전통의 원형 4등 타입에서 테스타로사와 마찬가지로 루버를 거친 이형 타입으로 디자인되었다.
348 시리즈의 가장 큰 특징은 차체 구조의 변경이다. 페라리는 오랫동안 강관 스페이스 프레임을 기본 골격으로 사용했지만, 348에서는 일부 강관을 남기면서도 보다 일반적인 모노코크 프레임을 채용했다. 다만 그 영향인지, 20년도 더 전에 나온 란치아 스트라토스보다 강성이 낮았으며, 특히 프런트 부분의 섀시 강성이 부족했던 것으로 보이며, 특히 초기 모델 오너들로부터 "고속도로에서 차가 똑바로 안 간다"는 불만이 있었다. 이 때문에 대리점 수준에서 스티어링 랙을 무거운 것으로 교체하고, 리어와 프런트에 스트럿 타워 바를 추가하는 등의 대응을 한 경우가 많았다[26]。
탑재된 파워 유닛 "F119D"는 90도 V형 8기통 DOHC 4밸브 구조를 계승했다. 내경 85mm×행정 75mm, 3,405cc까지 확대되어 보쉬제 모트로닉 M2.5로 제어되었으며, 최대 출력 300PS/7,200rpm, 최대 토크 33.0kgf·m/4,200rpm을 발생시켰다. 1990년 말에는 제어 시스템을 모트로닉 M2.7로 변경하고, 엔진 형식도 "F119G"로 개량하여, 트윈 보쉬 모트로닉 ECU, 이중 중복 앤티록 브레이크, 자기 진단형 냉난방 시스템을 사용한 듀얼 컴퓨터 엔진 관리가 장착되었다. "알터네이터 고장으로 차가 움직이지 않게 된다"는 트러블도 자주 보고되었다[27]。대책 부품으로 신뢰성이 높은 덴소제 알터네이터가 사용되었다. 테스타로사와 마찬가지로 오일과 냉각수의 라디에이터가 노즈에서 사이드로 이동하여 차의 전폭이 대폭 넓어졌지만, 호스가 온수를 라우팅하기 때문에 캐빈의 냉각이 쉬워졌고, 옛 프런트 라디에이터 차처럼 캐빈 아래로 배선할 필요가 없어졌지만, 문이 매우 넓어진다는 부작용도 있었다.
348에는 드라이 섬프 오일 시스템이 장착되어, 고속 주행 시나 하드 코너링 시 오일 부족을 방지했으며, 이 설정을 통해 엔진이 작동할 때만 오일 레벨을 딥스틱으로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348에는 정비를 위해 엔진을 탈착하는 속도를 높이기 위해 조절 가능한 차고 서스펜션과 탈착 가능한 리어 서브 프레임이 장착되었다. 또한, 348 시리즈는 엔진 탑재 방식이 변경되었으며, 308/328이 횡치였던 데 반해 종치로 변경하여 무게 배분의 최적화를 도모했다. 또한, 변속기는 횡치식이 채용되었다. 브레이크 시스템은 전후 모두 벤틸레이티드 디스크 방식이다. 최고 속도 275km/h, 0-100km/h 가속 5.6초, 0-1000m 가속 24.7초. 휠베이스를 전후 트레드의 평균값으로 나눈 수치인 휠베이스 트레드비(W/T)는 약 1.65이다.
2. 2. 348 GTB/GTS/스파이더 (1993-1995)
1993년 말, 348은 미묘하게 스타일이 변경되었다. 전면 그릴, 후면 크롬 카발리노 및 탈착식 시트 쿠션이 변경되었고, 3.4리터 엔진은 312hp 및 320PS (유럽)의 출력을 냈다. 개선된 버전의 Bosch Motronic 2.7 엔진 관리 시스템과 새로운 배기 시스템(단일 소음기)을 갖추었다.개정된 차량은 348 GTB(252대 생산)와 GTS(137대 생산)라고 불렸으며, F119H 엔진(원래의 F119D 및 미국 F119G와는 다름)을 장착한 348 GT 버전으로 대중에게 공개되었다. F119H 엔진은 F119D 및 F119G의 10.4:1 압축비에 비해 10.8:1로 압축비가 증가했고, 흡기 플레넘이 더 높고, 흡기 보상 밸브가 더 크며, 연료 압력이 3.4bar에서 3.8bar로 증가했고, 캠축 타이밍이 달랐다.

이 모델들은 엔진 커버와 하단 차체 스커트가 검은색이 아닌 차체 색상으로 칠해졌으며, 후륜 장착 부위 안쪽이 더 두꺼워져 후륜 트랙이 1인치 더 넓어졌다. 서스펜션 지오메트리가 수정되어 핸들링, 승차감 및 차체 제어가 크게 향상되었다. 연료 탱크는 전체 중량을 줄이고 섀시 강성을 개선할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더 작게 만들어져, 88L을 담을 수 있었다.
데이토나 스파이더 이후 페라리의 첫 번째 양산 컨버터블 모델인 348 스파이더는 1993년에 출시되었다. 스파이더의 시각적 변화로는 차체 색상의 하단 클래딩 부품, 특별히 설계된 엔진 커버 및 수동 접이식 소프트 탑이 있었다. 후륜 트랙은 348 tb에 비해 50mm 더 늘어났다. 스파이더는 348 GT 모델과 동일한 엔진을 사용하여 증가된 출력의 이점을 누렸다. 가속 시간과 변속 응답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수정된 기어비를 가진 새로운 횡 배치 기어박스가 설치되었다.[11]

1993년 2월에 풀 오픈 보디의 348 스파이더가 추가되었다. 외관상의 식별점은 전후 범퍼 하부와 사이드 실 하부가 보디 동색으로 변경된 것, 립 스포일러가 장착된 것, 전후 그릴에 크롬 소재의 페라리(카발리노 람판테)가 장착된 것, 프론트 그릴이 테두리가 있는 것으로 되어 세로 핀이 9개(348tb/ts는 5개)가 된 것, 엔진 후드의 색상이 빨간색으로 변경(348tb/ts는 검정색)되었으며 모양도 약간 변경된 점이다. 내장은 도어 디자인, 센터 콘솔, 시트 등에 차이가 있다. 1995년, 후속 모델인 F355 스파이더의 등장으로 생산이 종료되었다.
1993년 5월, 348 시리즈는 마이너 체인지를 거쳐 348GTB와 348GTS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외관상의 개선점은 스파이더와 동일하다.
탑재된 90도 V형 8기통 DOHC 4밸브 파워 유닛은 강화된 밸브 스프링, 고압축화, 배기 계통 변경 등 개선을 거쳐 3,405cc의 배기량은 변함없이 더욱 고회전형으로 되었다. 보쉬(Bosch)사 제 모트로닉은 M2.7으로 버전업되어, 20PS 향상된 최대 출력 320PS/7,200rpm, 최대 토크 33.0kgf·m/4,200rpm을 발생시켰다. #84793 이후부터는 섀시의 강성이 강화되었다. 약 1년이라는 짧은 판매 기간이었기 때문에 348tb/ts에 비해 희귀 차량이 되었다. 또한 348tb/ts의 엔진 후드와 차체 하단 부분을 사용자가 차체와 동일한 색상으로 도색한 "348GTB/GTS 룩"도 존재한다. 1994년 5월, 후속 모델인 페라리 F355가 발표됨에 따라 생산이 종료되었다.
348 GTB/GTS/스파이더 (1993-1995)의 주요 제원은 다음과 같다.
엔진 | (F119H) DOHC, 32밸브 V8, 3405 cc |
---|---|
보어/스트로크 | 85mm x 75mm |
압축비 | 10.8:1 |
출력 | 320PS @ 7,200 rpm |
최대 토크 | 324 Nm @ 5,000 rpm |
변속기 | 5단 수동 |
섀시 | 강철 플랫폼 및 서브 프레임 |
서스펜션 | 독립식 전륜 서스펜션 |
브레이크 | 4륜 디스크 ABS |
최고 속도 | 280km/h[14] |
가속 |
2. 3. 348 세리에 스페치알레 (1992-1993)
페라리는 1992년부터 1993년까지 미국 시장만을 위해 348 tb 및 ts 버전의 348 세리에 스페치알레를 100대 한정 생산했다.[7]주요 기술적 변경 사항은 다음과 같다.
- 7,200 rpm에서 316PS의 출력을 내는 개량된 엔진
- 더 넓어진 후륜 트랙 (50mm)
- 자유 흐름 배기 시스템
- 더 짧은 기어비의 최종 드라이브
- 피렐리 P 제로 타이어
페라리는 0–97 km/h 가속 시간을 5.3초, 4분의 1마일 정지 상태에서 13.75초를 기록한다고 발표했다.[7]
외부에도 F40과 유사한 공기역학을 최적화하기 위한 몇 가지 수정이 가해졌다.[7]
- 새로운 전면 스포일러
- 크롬 말 엠블럼이 있는 새로운 전면 그릴
- 차체 색상으로 칠해진 범퍼 및 로커 패널
- 차체 색상으로 칠해진 엔진 커버
- 수정된 테일라이트 어셈블리
- 크롬 말 엠블럼이 있는 새로운 후면 그릴
이 차량은 콘놀리 가죽의 F40 스타일 스포츠 시트를 제공했으며, 일반 시트는 옵션으로 포함되었다. 도어 패널도 수정되었으며 가죽으로 제작되었다. 각 차량은 1에서 100까지 번호가 매겨졌으며, 조수석 도어 포스트에 348 세리에 스페치알레 플라크가 부착되었다.[7] 348 세리에 스페치알레는 1993년 1월 디트로이트 쇼에서 발표되었으며, 33대는 tb 베이스, 67대는 ts 베이스로 개수 제작되었다.[7]
2. 4. 348 GT 콤페티치오네 (1993)
1993년, 페라리는 GT 챔피언십에 출전하기 위한 호몰로게이션 버전으로 경량화된 348 GT 콤페티치오네 모델을 선보였다. 안전 장비는 348 챌린지에서 가져왔고, 브레이크 시스템은 F40 Evoluzione 모델에서 파생되었다. 또한 레이싱 서스펜션과 배기 시스템이 장착되었다. 엔진은 7,000 rpm에서 320PS의 출력과 5,000 rpm에서 324Nm의 토크를 냈으며, 이는 F119H 엔진을 장착한 후기형 348 모델과 동일했다. 8대의 우핸들 모델을 포함하여 총 50대만 제작되었다.[12][13]특별한 기능으로는 50대 차량의 생산 순번을 표시하는 스티어링 휠, 5 스포크 18인치 Speedline competizione 휠, 그리고 무게 감소를 위해 케블라 구조를 갖춘 천으로 마감된 시트가 포함되었다. 무게 감소를 위해 전면 및 후면 범퍼, 도어 및 경량 폴리카보네이트 리어 윈도우에 탄소 케블라 복합 재료가 사용되었다. 도어 실과 같은 추가적인 내부 트림 조각은 탄소 케블라를 사용했으며, 에어컨 및 방음재는 제거되었다. 이러한 변경으로 인해 건조 중량은 1180kg이 되었다. 기어 박스의 최종 기어비는 성능 향상을 위해 25/27로 변경되었다.[12][13]
3. 기술적 특징
페라리 348은 이전 모델들과 다른 여러 기술적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348의 스타일은 측면 에어 인테이크와 테스타로사를 닮은 사각형 테일라이트 등 이전 모델과 달랐으며, F40과 과거 페라리 모델들의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6] 레오나르도 피오라반티가 마지막으로 감독한 디자인이었다.
테스타로사와 유사하게 오일 및 냉각수 라디에이터가 측면으로 옮겨져 실내 냉각이 쉬워졌지만, 문이 매우 넓어지는 결과가 나타났다.
348에는 드라이 섬프 오일 시스템이 장착되어 고속 주행 및 격한 코너링 시 오일 부족을 방지했으며, 엔진 작동 중에만 오일 레벨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348은 조절 가능한 차고 조절 서스펜션과 엔진 유지 보수를 위해 엔진 제거 속도를 높이기 위한 탈착식 리어 서브 프레임을 갖추고 있었다.
자세한 엔진, 변속기, 섀시 및 서스펜션 등의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조.
3. 1. 엔진
페라리 348은 자연 흡기 방식의 3.4리터 쿼드캠, 실린더당 4밸브 V8 엔진(Tipo F119D, F119G, F119H)을 탑재했다. 모델명은 엔진 배기량(3.4)과 실린더 수(8)를 나타낸다. 300PS 출력을 내는 이 엔진은 종방향으로 장착되었으며, 횡방향 수동 변속기와 결합되었다. 이는 페라리 312T F1 차량의 횡 변속기 설계를 일반 도로용 차량에 처음 적용한 사례였다. 또한 288 GTO 이후 페라리의 표준 로드카에 미드 엔진 종방향 V8을 처음으로 적용한 것이기도 하다.348은 듀얼 컴퓨터 엔진 관리 시스템(트윈 보쉬 모트로닉 ECU), 이중 중복 ABS, 자체 진단 에어컨 및 난방 시스템을 갖추었다. 1990년에는 보쉬 모트로닉 엔진 관리 시스템이 2.5에서 2.7 버전으로 업데이트되었다. 후기 모델(1993년 이후)은 일본산 스타터 모터와 닛폰덴소 발전기를 장착하여 신뢰성을 높였다.
348에는 드라이 섬프 오일 시스템이 장착되어 고속 주행 및 격한 코너링 시 오일 부족을 방지했다. 이 때문에 엔진 작동 중에만 오일 레벨을 정확히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엔진 유지 보수를 위해 엔진 제거 속도를 높이기 위한 탈착식 리어 서브 프레임을 갖추고 있었다.
1993년 말, 348은 개선된 3.4리터 엔진에서 및 (유럽)의 출력을 냈으며, Bosch Motronic 2.7 엔진 관리 시스템과 새로운 배기 시스템(단일 소음기)을 갖추었다.
개정된 차량(348 GTB, GTS)은 F119H 엔진을 장착했는데, F119D 및 F119G의 10.4:1 압축비에 비해 10.8:1로 압축비가 증가했고, 흡기 플레넘이 더 높고, 흡기 보상 밸브가 더 크며, 연료 압력이 3.4bar에서 3.8bar로 증가했고, 캠축 타이밍이 달랐다.
1993년, 페라리는 GT 챔피언십 호몰로게이션을 위해 경량화된 348 GT Competizione 모델을 선보였다. 엔진은 7,000 rpm에서 320PS의 출력과 5,000 rpm에서 324Nm의 토크를 냈으며, 이는 F119H 엔진을 장착한 후기형 348 모델과 동일했다.
엔진 상세 제원:
구분 | F119D, F119G | F119H |
---|---|---|
형식 | DOHC, 32밸브 V8, 3405 cc | DOHC, 32밸브 V8, 3405 cc |
보어/스트로크 | 85mm x 75mm | 85mm x 75mm |
압축비 | 10.4:1 | 10.8:1 |
스로틀 보디 | 듀얼 54mm | |
흡기 밸브 | 30.5mm | |
배기 밸브 | 27.5mm | |
흡기 캠 | .362" 리프트, 0.50" 리프트 시 227° 지속 시간 | |
배기 캠 | .324" 리프트, 0.50" 리프트 시 219° 지속 시간 | |
점화 순서 | 1-5-3-7-4-8-2-6 | 1-5-3-7-4-8-2-6 |
출력 | 300PS at 7,200 rpm | 320PS @ 7,200 rpm |
최대 토크 | 324Nm at 4,200 rpm | 324Nm @ 5,000 rpm |
3. 2. 변속기
348은 종방향으로 장착된 엔진과 횡방향 수동 변속기가 결합되었다. 이는 페라리 312T F1 차량을 위해 처음 개발된 횡 변속기 설계를 페라리에서 최초로 일반 도로용 차량에 적용한 사례였다. 모델 TB와 TS 명칭의 "t"는 변속기의 횡 방향 위치를 의미하며, 이 기술적 계보를 기념한다.[6]348 시리즈의 가장 큰 특징은 차체 구조의 변경과 엔진 탑재 방식이다. 페라리는 오랫동안 강관 스페이스 프레임을 기본 골격으로 사용했지만, 348에서는 일부 강관을 남기면서도 보다 일반적인 모노코크 프레임을 채용했다. 엔진은 308/328이 횡치였던 데 반해 종치로 변경하여 무게 배분의 최적화를 도모했다. 변속기는 횡치식이 채용되었다.
1993년 말, 348은 가속 시간과 변속 응답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수정된 기어비를 가진 새로운 횡 배치 기어박스가 설치되었다.[11]
구분 | 상세 정보 |
---|---|
종류 | 5단 수동 변속기 |
배치 | 횡방향 배치 (F119D, F119G, F119H 엔진 공통) |
3. 3. 섀시 및 서스펜션
348은 조절 가능한 차고 조절 서스펜션과 엔진 정비 속도를 높이기 위한 탈착식 리어 서브 프레임을 갖추고 있었다. 348 시리즈는 엔진 탑재 방식이 308/328의 횡치에서 종치로 변경되어 무게 배분의 최적화를 꾀했다. 변속기는 횡치식이 채용되었다. 브레이크 시스템은 전후 모두 벤틸레이티드 디스크 방식이다.[26]348 시리즈의 가장 큰 특징은 차체 구조 변경이다. 페라리는 오랫동안 강관 스페이스 프레임을 기본 골격으로 사용했지만, 348에서는 일부 강관을 남기면서도 보다 일반적인 모노코크 프레임을 채용했다. 다만 그 영향인지, 20년도 더 전에 나온 란치아 스트라토스보다 강성이 낮았으며, 특히 프런트 부분의 섀시 강성이 부족했던 것으로 보인다. 특히 초기 모델 오너들로부터 "고속도로에서 차가 똑바로 안 간다"는 불만이 있었다. 이 때문에 대리점 수준에서 스티어링 랙을 무거운 것으로 교체하고, 리어와 프런트에 스트럿 타워 바를 추가하는 등의 대응을 한 경우가 많았다.[26]
1993년 5월, 348 시리즈는 마이너 체인지를 거쳐 348GTB와 348GTS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84793 이후부터는 섀시 강성이 강화되었다.
3. 4. 기타 특징
348의 스타일은 측면 에어 인테이크와 테스타로사를 닮은 사각형 테일라이트 등 이전 모델과 달랐으며, 당시 세계에서 가장 빠른 양산차였던 F40과 과거의 다른 명차 페라리 모델들을 연상시키는 스타일적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6] 이 모델은 또한 F40, 데이토나, 512 베를리네타 복서, 288 GTO, P5, P6 등을 디자인한 것으로 알려진 수석 스타일리스트 레오나르도 피오라반티가 마지막으로 감독한 디자인이었다. 348의 후속 모델인 F355는 328의 스타일링 큐로 돌아가 원형 테일라이트와 둥근 측면 에어 스쿠프를 사용했다.348은 트윈 보쉬 모트로닉 ECU를 사용한 듀얼 컴퓨터 엔진 관리 시스템, 이중 중복 ABS, 자체 진단 에어컨 및 난방 시스템을 갖추었다. 1990년에는 보쉬 모트로닉 엔진 관리 시스템이 2.5에서 2.7 버전으로 업데이트되었다. 348의 후기 모델(1993년 이후)은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일본산 스타터 모터와 닛폰덴소 발전기를 장착했으며, 무게 배분을 개선하기 위해 배터리를 전방 왼쪽 펜더 내부에 위치시켰다.
모든 348은 OBD-I 엔진 관리 시스템을 갖추고 있지만, 유럽 및 일반 시장 모델은 이 문제 해결 기능을 활성화하는 데 필요한 자체 테스트 푸시 버튼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
테스타로사와 유사하게, 512 BB 및 308/328과는 달리 오일 및 냉각수 라디에이터가 전면부에서 측면으로 옮겨져 차량 측면이 상당히 넓어졌지만, 따뜻한 물을 공급하는 호스가 더 이상 구형 전면 라디에이터 차량처럼 캐빈 아래로 지나가지 않아 캐빈을 훨씬 쉽게 냉각할 수 있게 되었다. 이로 인해 문이 매우 넓어지는 부수적인 효과도 있었다.
348에는 고속 주행 및 격한 코너링 시 오일 부족을 방지하기 위해 드라이 섬프 오일 시스템이 장착되었다. 이 시스템으로 인해 오일 레벨은 엔진이 작동 중일 때만 오일 게이지로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348은 조절 가능한 차고 조절 서스펜션과 엔진 유지 보수를 위해 엔진 제거 속도를 높이기 위한 탈착식 리어 서브 프레임을 갖추고 있었다.
4. 모터스포츠
페라리 348은 다양한 모터스포츠 분야에서 활약했다. 1991년, 348 섀시 번호 82881이 경쟁용 적합성을 평가받기 위해 Ecurie Francorchamps에 인도되었고, 이는 348 GT Competizione 생산 모델의 기반이 되었다. 이 차량은 Spa Ferrari 레이스 이벤트에서 자주 사용되었다.[18]
1993년, 미켈로토(Michelotto)는 르망 24시 및 데이토나 레이스와 같은 행사에 출전하기 위해 11대의 348 CSAI-GT 모델을 준비했다. 이 중 2대만이 실제로 경쟁에 사용되었고, 이탈리아 레이스 팀 Jolly Club은 이 차량으로 Campionato Italiano Supercar GT 시리즈에서 1993년과 1994년에 연속 우승을 차지했다.[18]
미켈로토는 1994년에 GT2 클래스 경쟁을 위해 348 GTC-LM 2대를 추가로 제작했다. Team Repsol은 1994년 르망 24시에서 포르쉐 911 GT 3대에 이어 GT2 클래스 4위, 종합 11위를 차지했으며, 발레룽가와 스파 레이스에서도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18]
4. 1. 348 챌린지
페라리 챌린지는 페라리 클럽 네덜란드 창립자이자 회장인 한스 후겐홀츠가 시작했으며, 페라리 348을 위해 지정되었다. 이 시리즈는 1993년에 데뷔하여 이탈리아 및 유럽 시리즈를 포함했다. 참가 차량에 사용된 엔진은 같은 해에 출시된 일반 도로용 GT 모델과 유사했으며, 눈에 띄는 유일한 변경 사항은 슬릭 타이어, 새로운 바디 키트, 더 나은 브레이크 패드, 롤바, 다른 위치에 있는 더 작은 배터리 및 안전 벨트였다.[8] 1994년에는 G-spec 엔진 차량을 H-spec 실린더 헤드와 인젝션 시스템으로 개조해야 했다. 이 차량들은 주로 딜러들이 공장에서 제공하는 챌린지 키트를 설치하여 개조했다.[8] 이 차량의 마지막 시즌은 1995년이었으며, 이후 F355 챌린지로 대체되었다.[9][10]4. 2. 348 GT 콤페티치오네 코르사
1993년, 페라리는 GT 챔피언십에 출전하기 위한 호몰로게이션(승인) 버전으로 경량화된 348 GT 콤페티치오네 모델을 선보였다. 348 챌린지에서 가져온 공구 키트 등의 안전 장비와 F40 Evoluzione 모델에서 파생된 브레이크 시스템, 수정된 레이싱 서스펜션과 배기 시스템을 갖추었다. 엔진 출력은 7,000 rpm에서 320PS, 5,000 rpm에서 324Nm의 토크를 냈으며, 이는 F119H 엔진을 장착한 후기형 348 모델과 동일했다. 총 50대가 제작되었고, 이 중 8대는 우핸들 모델이었다.[12][13]특별한 기능으로는 50대 차량의 생산 순번을 표시하는 특별하게 제작된 스티어링 휠, 5 스포크 18인치 Speedline competizione 휠, 무게 감소를 위해 케블라 구조를 갖춘 천으로 마감된 시트가 포함되었다. 전면 및 후면 범퍼, 도어 및 경량 폴리카보네이트 리어 윈도우에 탄소 케블라 복합 재료가 사용되었고, 도어 실과 같은 추가적인 내부 트림 조각은 탄소 케블라를 사용했으며, 에어컨 및 방음재는 제거되어 건조 중량은 1180kg이 되었다. 기어 박스의 최종 기어비는 성능 향상을 위해 25/27로 변경되었다.[12][13]
완전한 경기차인 '''348GT 콤페티치오네 코르사'''는 13대가 제작되었으며, 이탈리아 슈퍼카 GT 선수권에서 클래스 2 타이틀을 획득했다.
4. 3. 348 LM
1991년, 348 섀시 번호 82881이 경쟁용으로 348의 적합성을 평가하기 위해 Ecurie Francorchamps에 인도되었으며, 이 개발은 모델 생산이 거의 끝날 무렵에 나올 348 GT Competizione 생산 모델의 무대가 되었다. 복합 도어, 폴리카보네이트 경쟁 윈도우, 실험적인 외부 및 하부 공기역학적 처리를 갖춘 이 개발 뮬은 348 tb/f로 지정되었으며, f는 차량 제작자인 Francorchamps를 나타내며 총 1165kg의 무게였다. 이 차량은 Spa Ferrari 레이스 이벤트에서 자주 사용되었지만 주요 시리즈에서는 공식적으로 출전하지 않았다.[18]1993년, 288 GTO Evoluzione, F40 LM 및 333SP 개발 작업에 기반한 페라리의 비공식 레이스 준비 전문가로 알려진 Michelotto는 르망 24시 및 데이토나 레이스와 같은 권위 있는 행사에 출전하기 위해 11대의 348 CSAI-GT 모델을 준비하도록 위임받았다. 개인 팀에서 출전할 목적으로 판매되었지만, 2대의 차량만 실제로 경쟁에 사용되었고, 나머지 9대는 개인 소장품으로 사라졌다. 이탈리아 레이스 팀 Jolly Club은 Michelotto가 준비한 F40 LM과 함께 348 중 한 대를 출전시켜 Campionato Italiano Supercar GT 시리즈에서 상당한 성공을 거두었으며, 348은 1993년과 1994년에 연속적인 종합 우승을 차지했고, 3개의 카테고리 타이틀을 획득했다.[18]
Michelotto는 1994년에 GT2 클래스에서 경쟁하기 위해 348 GTC-LM으로 지정된 2대의 차량을 더 제작했으며, Team Repsol과 Ferrari Club Italia에서 출전했다. Team Repsol은 1994년 24시간 르망에서 포르쉐 911 GT 3대에 이어 GT2 클래스 4위, 종합 11위를 차지했다. 348 GTC-LM은 또한 발레룽가 6시간 및 4시간 레이스에서 2위와 6위를, 스파 4시간 레이스에서 5위를 차지했으며, 또 다른 Michelotto 348은 데이토나 24시간에서 GT2 클래스 7위를 기록했다.[18]
컨페티치오네 코르사를 기반으로 르망 24시 GT2 클래스를 위해 S/N 97553과 S/N 98997 두 대가 제작된 레이스 버전이다. 차량 무게는 1200kg까지 경량화되었으며, 엔진은 리스트릭터가 장착되었지만 450ps를 발휘했다. 1993년과 1994년에 출전했다. 1994년에는 S/N 97553 페라리 클럽 스페인의 348LM이 종합 11위, 클래스 4위로 완주했다.
5. 특별 제작 모델
페라리는 348을 기반으로 여러 특별 모델을 제작했다. 이탈리아의 코치 빌더 자가토가 제작한 자가토 엘라보라치오네는 외관을 중심으로 변경되었고, 10대가 생산되었다.[1] 자동차 수집가 기 아우데베르를 위해 제작된 348 바르케타 콤페티치오네는 바르케타 바디 스타일을 특징으로 하며, 무게는 1100kg이다.[17]
5. 1. 자가토 엘라보라치오네 (1991-1992)
1991년부터 1992년까지 이탈리아의 코치 빌더 자가토는 페라리 348 TB를 위한 자가토 엘라보라치오네 패키지를 발표했다. 엔진 및 기타 기계 부품은 원본 차량과 동일하게 유지되었고, 외관에만 변경 사항이 적용되었다.[1]차량 전면부에는 새로운 범퍼가 장착되어 기존의 가짜 중앙 그릴이 제거되었고, 페라리의 "도약하는 말" 엠블럼도 교체되었다. 측면 흡입구 냉각 덕트는 확대되었고, 스트레이크(얇은 날개)는 제거되었으며, 엔진 덮개는 V8 엔진을 보여주는 유리 엔진 덮개로 교체되었다. 새로운 둥근 삼중 테일 라이트 배열과 전자 제어식 리어 스포일러가 추가되었다. "더블 버블" 루프는 기존 루프를 대체했는데, 이는 자가토가 차량의 루프 라인을 낮추면서도 각 탑승자에게 충분한 헤드룸을 유지할 수 있다는 아이디어를 반영한 것이다. 다른 변경 사항으로는 맞춤형 OZ 레이싱 합금 휠, 외부 연료 주입구, 3인치 후방 뷰 스크린과 스웨이드 가죽 실내 장식을 포함하여 완전히 개조된 인테리어가 있었다.[1] 자가토는 처음에 22대 생산을 발표했지만, 실제로는 10대만 제작되었다.[1]
5. 2. 348 바르케타 콤페티치오네

페라리 348 바르케타 콤페티치오네는 자동차 수집가 기 아우데베르를 위해 그의 사고난 페라리 348을 기반으로 제작된 단 한 대뿐인 특별한 모델이다. 이 차량은 진정한 오픈탑 바르케타 바디 스타일을 특징으로 한다. 깊어진 친 스포일러, 팝업 헤드램프 제거 및 안개등 어셈블리에 통합된 헤드램프, 퀵 릴리스 보닛, 탈착식 스티어링 휠, 6점식 안전벨트가 장착된 스파르코 레이싱 버킷 시트, 운전자의 안전을 위한 롤 바를 갖춘 미니멀한 레이싱 인테리어를 적용했다. 또한 페라리 F1 차량에 사용된 것과 유사한 대형 에어 스쿠프, 레이싱 윙 미러, 스트라이프 사이드 에어 인테이크를 더 큰 에어 인테이크와 두 개의 추가 통풍구로 교체, 페라리 328의 테일 라이트, 천공된 리어 그릴, 18인치 BBS 레이싱 알로이 휠, 그리고 페라리 F40 LM에서 영감을 얻은 대형 리어 윙을 포함하는 등 차체가 대폭 수정되었다. 이 개조를 수행한 코치 빌더의 세부 사항, 차체 작업에 사용된 재료, 그리고 차량의 기술적 사양은 차량이 대부분 비공개로 유지되어 알려지지 않았지만, 무게는 1100kg으로 알려졌다.[17]
6. 평가
페라리 348은 출시 초기에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여러 비판에 직면했다. 1989년 프랑크푸르트 모터쇼에서 "최고의 쇼"로 선정되기도 했지만,[21] 가속 성능, 엔진 소리, 디자인 등에서 부정적인 평가도 있었다.
모터 트렌드는 348의 가속 성능이 L98 콜벳과 같은 저렴한 차량보다 떨어진다고 지적했고, 엔진 소리는 "V-8처럼 들리지 않는다"고 평가했다.[11] 특히, 앞면의 가짜 그릴은 "꼼수"라고 비판했다.
또한, 페라리 기어박스의 고질적인 문제,[21] 초기 모델의 섀시 강성 부족,[26] 알터네이터 고장 문제[27] 등도 지적되었다.
6. 1. 긍정적 평가
페라리 348은 1989년 프랑크푸르트 모터쇼에서 처음 공개되었을 때 많은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Road & Track과 AutoWeek는 348을 "최고의 쇼"로 선정했다.[21] 1991년에는 혼다 NSX와의 비교에서 Road & Track은 페라리 348이 "더 나은 이국적인 차"라고 결론 내렸고, "세계 최고의 자동차 10대 중 하나"로 선정하기도 했다.[21]자동차 저널리스트들은 348의 엔진을 "오페라의 클라이맥스"처럼 상승하며, 파바로티가 네순 도르마를 부를 때처럼 소름 돋는 힘을 가졌다고 묘사했다.[21] 1990년, Car Magazine의 Gavin Green은 348을 다른 차들과 비교하며 "이런 차는 없다. 매우 풍부하게 소통하고, 당신을 완전히 몰입시킨다... 지금까지 디자인된 가장 아름다운 차 중 하나"라고 극찬했다.[22]
LA 타임즈의 Paul Dean은 1990년에 페라리가 자동차를 만드는 방식을 클로드 모네가 풍경화를 그리는 것에 비유하며, 348은 "엄청나게 성공적인" 308/328 시리즈의 "더 보기 좋고, 더 강력하고, 더 빠른" 후속작이라고 평가했다.[23] 또한, 288 GTO와 F40의 방식을 따라 무게 중심을 낮춰 "더 평평한 핸들링과 더 나은 조향 응답성"을 얻었다고 설명했다.[23]
1993년, Autocar Magazine은 파리에서 르망까지의 로드 테스트를 통해 348을 혼다 NSX, 포르쉐 911 터보, 로터스 에스프리와 비교했다. 348은 스타일과 존재감 면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특히 프랑스 대중들에게 큰 인기를 얻었다.[24] 르망 레이스 서킷에서는 NSX보다 뛰어난 제어력과 조향 성능으로 칭찬받았다.[24] 비평가들은 348의 무거운 조향과 조작성이 교통 체증에서 불편함을 야기하지만, 탁 트인 도로에서는 "더욱 특별하고 독특하게 느껴진다"고 평가했다. 특히, 348의 조향은 "절묘하다"고 표현될 정도로 극찬을 받았다.[24]
2015년, EVO 매거진은 348의 조향을 "내가 운전해 본 최고의 조향 중 일부, 아마 최고일 것이다"라고 묘사하며, 아날로그적인 특징을 강조했다.[25]
1994년, Wheels Magazine의 Mike McCarthy는 348의 구동 장치가 "엔진의 모든 성능을 허용할 때뿐" 진정으로 작동한다고 언급하며, "페라리가 그런 명성을 얻은 이유를 아는 사람에게는 놀라운 일이 아니다"라고 요약했다.[21]
6. 2. 부정적 평가
''모터 트렌드''(Motor Trend)의 피터 드론(Peter Dron)은 페라리 348의 가속 성능을 비판하며, "0-60mph 가속 시간은 약 6초로, L98 콜벳과 같은 더 저렴한 차량이 더 나은 성능을 낼 수 있다"고 지적했다. 슬라럼 속도 역시 63mph를 약간 넘는 수준으로, "닛산 300ZX 터보에 의해 완전히 압도당한다"고 평가했다.[11] 엔진 소리에 대해서도 "V-8처럼 들리지 않는다"며, "고음의 터빈 소리에 더 가깝고, 플랫 플레인 크랭크 특유의 비명 소리"라고 표현했다. 람보르기니 V8 엔진의 거친 느낌이나 고성능 미국 엔진의 깊고 으르렁거리는 소리와는 다르며, "불쾌한 소리는 아니지만, 뒷목의 털을 곤두서게 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11]특히 가짜 앞면 그릴을 포함한 외관 디자인에 대해서도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는데, "가장 마음에 안 드는 것은 정면에서 본 모습이고, 그 가짜 그릴은 꼼수다"라고 비판했다. "그릴이 필요 없다면, 왜 있는가? 혁신적인 공기역학적 접근 방식이 더 타당했을 것이다"라고 주장하며, 페라리의 "기술적 요구 사항이 스타일 테마가 되고, 장식을 위해 존재하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는 보도 자료 내용을 언급하며 "아, 정말?"이라고 비꼬았다.[11]
일부 비평은 페라리 기어박스의 고질적인 문제, 즉 추운 상태에서 뻣뻣하고 작동이 어려운 점에 집중되었다.[21] 348 역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지 못했으며, 세심한 조정과 윤활, 충분한 예열이 필요했고, 빠르고 공격적인 운전을 할 때 최고의 성능을 발휘했다.[23]
초기 348 모델에서 나타난 한계 상황에서의 오버스티어 특성은 섀시 설정의 민감성으로 인해 구매자들에게 우려를 낳았고, 이는 후기 모델에서 후면 장착 지점 업데이트와 수정된 정렬 사양으로 이어졌다. 초기 모델 소유자들은 "고속도로에서 차가 똑바로 안 간다"는 불만을 제기하기도 했는데, 이는 섀시 강성 부족, 특히 프런트 부분의 강성 부족이 원인으로 지목되었다. 이 때문에 딜러 수준에서 스티어링 랙을 무거운 것으로 교체하고, 리어와 프런트에 스트럿 타워 바를 추가하는 등의 대응이 이루어지기도 했다.[26] 또한, "알터네이터 고장으로 차가 움직이지 않게 된다"는 문제도 자주 보고되었으며,[27] 대책 부품으로 신뢰성이 높은 덴소제 알터네이터가 사용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Ferrari 348 designer
https://www.classicd[...]
2017-12-24
[2]
웹사이트
348 TB
http://auto.ferrari.[...]
Ferrari S.p.A.
2015-10-24
[3]
간행물
Car and Driver September 1990
1990-09
[4]
웹사이트
Ferrari 348 tb & ts
http://www.qv500.com[...]
2008-04-01
[5]
웹사이트
1989 - 1995 Ferrari 348 TS
http://www.topspeed.[...]
2005-02-10
[6]
보도자료
Ferrari 348 Motorfair press release
Maranello Concessionaires Limited
1989-10
[7]
웹사이트
Ferrari 348 Serie Speciale
https://petrolicious[...]
2017-04-17
[8]
웹사이트
1992 Ferrari 348 Challenge #93016
https://ferraris-onl[...]
2020-07-07
[9]
웹사이트
Ferrari 348 Challenge
https://www.ferrari.[...]
2020-07-07
[10]
웹사이트
Why Have We Been Ignoring The Ferrari 348 Challenge?
https://petrolicious[...]
Petrolicious
2016-11-11
[11]
웹사이트
Feature Flashback: Remembering the Malaise Ferrari
https://www.motortre[...]
Motor Trend
2018-04-16
[12]
웹사이트
The Ferrari 348 GT Competizione Is A Rare Beast
https://petrolicious[...]
Petrolicious
2017-02-03
[13]
웹사이트
1993 Ferrari 348 GT Competizione Is One of the Rarest Homologation Specials
https://www.autoevol[...]
AutoEvolution
2020-02-13
[14]
웹사이트
Ferrari 348 GTB
http://auto.ferrari.[...]
2016-01-15
[15]
웹사이트
This Is One of the Strangest, Rarest Ferraris Ever Made
https://www.automobi[...]
Automobile-Mag
2019-05-10
[16]
웹사이트
Rare Rides: The Very Rare Ferrari 348 Zagato Elaborazione, a Mouthful From 1990
https://www.thetruth[...]
The Truth About Cars
2019-05-10
[17]
웹사이트
The Ferrari 348 Barchetta Competizione hits the track
http://marchettinoyo[...]
2013-07-02
[18]
서적
Ferrari 308, 328 and 348 The Compete Story
[19]
웹사이트
Testmule M1
http://www.sellerie-[...]
2017-12-30
[20]
웹사이트
the Frankenstein Ferrari
https://jalopnik.com[...]
jalopnik
2012-12-27
[21]
간행물
Idol Machinery
1994-05
[22]
간행물
All Together Now
1990-10
[23]
뉴스
Behind The Wheel
LA Times
1990-07-20
[24]
간행물
Lord of the Fliers
1993-07
[25]
웹사이트
Ferrari 458 Italia meets 308, 348, F355, 360 and F430
http://www.evo.co.uk[...]
2016-09-28
[26]
서적
具体例が「そのフェラーリください!」
講談社ビーシー
[27]
기타
국내 대리점 코ーンズ
[28]
웹인용
348 TB
http://auto.ferrari.[...]
페라리 S.p.A.
2015-10-24
[29]
간행물
Car and Driver September 1990
1990-09
[30]
웹인용
Ferrari 348 designer
https://www.classicd[...]
2017-12-24
[31]
웹인용
Ferrari 348 tb & ts
http://www.qv500.com[...]
2008-04-01
[32]
웹인용
1989 - 1995 Ferrari 348 TS
http://www.topspeed.[...]
2005-02-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