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페름어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페름어군은 핀-우랄어족에 속하는 언어군으로, 우드무르트어, 코미어, 코미페르먀크어, 야즈바어를 포함한다. 페름어는 핀-페름어파로 분류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이 분류에 대한 이견이 제기되고 있다. 페름어라는 명칭은 중세 러시아 연대기에 등장하는 단어에서 유래되었으며, 역사적으로 특정 지역과 그 지역에 거주하는 민족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 페름어는 원시 우랄어의 자음 축약, 모음 소실, 자음 변화 등 독특한 음운론적 특징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페름족 - 우드무르트인
    우드무르트인은 러시아 우드무르티야 공화국에 주로 거주하는 핀우고르계 민족으로, 우드무르트어를 사용하며 독특한 문화유산을 지니고 있지만 최근 인구가 급감하고 있다.
  • 페름족 - 코미인
    코미인은 러시아 북서부에 거주하며 코미어를 사용하는 핀-우그르 계통의 민족으로, 코미-지릐인과 코미-페르먀크인의 하위 그룹으로 나뉘며 전통 문화와 신화를 가지고 코미 공화국을 중심으로 독특한 문화를 유지하고 있다.
  • 페름어파 - 코미어
    코미어는 핀우그리아어파에 속하며, 페름 조어에서 분화되어 성립되었고, 러시아어 키릴 문자를 기반으로 하는 문자를 사용하며, 17개의 격을 가지는 교착어이다.
  • 페름어파 - 우드무르트어
    우드무르트어는 러시아 우드무르트 공화국에서 쓰이는 우랄어족 페름어파 언어로, 키릴 문자를 변형한 38개 문자를 사용하며 북부, 남부, 베세르먄 세 방언으로 나뉜다.
  • 우랄어족 - 리보니아어
    리보니아어는 발트해 연안의 리보니아인들이 사용했던 핀우그리아어족에 속하는 멸종된 언어로, 역사적 요인으로 쇠퇴하여 마지막 원어민 화자 사망 후 멸종되었으나, 현재 라트비아 대학교 리보니아 연구소 등을 중심으로 부활을 위한 연구와 교육이 진행 중이다.
  • 우랄어족 - 우랄알타이어족
    우랄알타이어족은 우랄어족과 알타이어족의 유사성을 바탕으로 19세기 중반에 제시된 가설적인 어족이었으나, 알타이어족 자체의 존재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면서 현재는 주류 언어학계에서 거의 지지를 받지 못하고 있다.
페름어군
개요
이름페름어군
민족페름인
지역러시아, 우랄 산맥 기슭
언어 계통
어족우랄어족
어파핀우그리아어파
하위 분류핀페름어군 (미분류)
Glottologglotto: perm1256
glottorefname: Permian
하위 언어
분류코미어 (코미-지리안어, 코미-야즈바어, 코미-페르먀크어)
우드무르트어
분포
20세기 초 페름어군 분포
20세기 초 페름어군 분포

2. 분류

페름어는 전통적으로 핀어, 사미어, 모르도바어, 마리어와 함께 핀-페름어파로 분류되어 왔다. 핀-페름어파와 우고르어파는 함께 핀-우랄어족을 구성했다. 그러나 이러한 분류는 최근에 의문을 제기받고 있으며, 페름어와 다른 우랄어족 간의 관계는 여전히 불확실하다.[4]

존속하는 페름어는 다음과 같다.

언어
우드무르트어
코미어
코미페르먀크어
코미야즈바어
코미지리안어


3. 역사

"페름어"라는 단어는 어원적으로 중세 러시아 연대기에 나오는 러시아어 단어 "페렘"(Перемь) 또는 "페름"(Пермь)으로 거슬러 올라간다.[1] 이 단어는 처음에는 북드비나강 하류를 포함한 특정 영토와 북쪽의 페초라강, 비체그다강, 남쪽의 카마강, 동쪽의 우랄산맥으로 둘러싸인 지역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이 지역은 15세기 후반에 러시아 국가에 편입되었다.[2] 그 후 "페름어"라는 단어는 그곳에 살던 비러시아 민족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는데, 주로 지리안을 포함했으며, 러시아인들은 나중에 "지리안"이라는 명칭을 사용하기 시작했다.[3] 19세기부터 "페름어"라는 단어는 학술 저술에서 지리안과 우드무르트족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4]

4. 음운론

원시 우랄어에서 유래한 단어의 어근은 페름어에서 상당한 축약 현상을 겪었다.


  • 원래 겹치는 자음 *pp, *tt, *kk는 단일 무성 파열음 *p, *t, *k로 줄어들었다.
  • 모음 사이에서 원래의 단일 *p, *t, *k뿐만 아니라 *w와 *x도 완전히 사라졌다.
  • 두 번째 음절의 모음은 완전히 사라졌다. 우드무르트어에서는 특정 단어에 ''-ы''를 추가하여 이를 숨겼다. (예: 원시 우랄어 *lumi "눈" → 우드무르트어 ''лымы'', 원시 우랄어 *lämi "수프" → 우드무르트어 ''лым'' ).
  • 마찰음 *s, *ś, *š는 모든 위치에서 서로 구별되었지만, 유성음 사이에서는 *z, *ž, *ź 로 유성음화되었다.
  • 자음군은 대부분 단순화되었다. 특히 비음 + 파열음/파찰음 군은 유성 파열음/파찰음을, 파열음 + 마찰음 군은 무성 마찰음을 만들었다.


페름어의 특이한 점은, 상속된 어휘에서도 어두에 *b, *g와 같은 유성 자음이 나타난다는 것이다. 이는 원시 우랄어의 무성 자음에서 파생된 것으로 보인다.

원시 페름어의 자음 목록은 다음과 같이 재구성된다.[5]



이 목록은 현대 페름어에서 거의 변하지 않고 유지된다.

코미어는 원래의 를 로 합쳤고, 많은 방언에서 어말의 → 변화를 겪었다. 우드무르트어는 어두의 → 또는 로 바뀌었다. 는 일부 우드무르트 방언에서만 유지된다. 다른 페름어에서는 후설 모음 옆에서 , 중설 모음 옆에서 , 전설 모음 옆에서 가 되었다.

이후 러시아어 차용어에서는 자음 가 나타날 수 있다.

자음 는 주변적이며, 어두 또는 어두의 뒤에서만 나타났으며, 일반적으로 2차 모음의 반모음화에서 유래한다. 예외적인 단어는 숫자 "여섯"인 인데, 이는 코미어에서 어두 자음군을 가진 유일한 고유 단어 어근이다.[5]

문어 코미-지르얀어와 문어 우드무르트어는 모두 7개의 모음 체계 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들은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으며, 원시 페름어를 위해서는 여러 개의 추가 모음(총 15개)이 필요하다. 원시 페름어 모음 체계와 원시 우랄어로부터의 발전 과정은 재구성이 어려운 주제였으며, 여러 가지 모델이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두 개의 폐쇄 모음 계열이 존재한다는 데에는 합의가 이루어져 있다. 하나는 현대 우드무르트어 및 코미-지르얀어에서 로, 다른 하나는 우드무르트어 와 코미어 (그러나 코미-야즈바어에서는 )로 나타난다. 이러한 모음을 구별하는 요인으로는 길이(), 긴장도( ) 및 높이( )가 제안되었다.[6]

다음은 위키낱말사전에 사용된 모음 표이다.

원시 페름어 모음
rowspan="2" |전설중설후설
비원순원순비원순원순비원순원순
폐쇄iüu
반폐쇄eöȯo
중설
반개ɛɔ̈ɔ̇ɔ
äaå



페름어에서의 모음 대응 (어두 음절)
원시 페름어고대 코미어코미-지르얀어코미-페르미야크어코미-야즈바어우드무르트어핀란드어비고
*a𐍐ааaа*a, *ä
𐍐ааaу*a
𐍩ӧӧӧе*ä, *e, *i방언에 따라, 우드무르트어 *ä > ӧ
𐍩оооу*ä, *e, *i, *ö, *ü
*o𐍞ооуу*a, *ë, *i, *o, *u우드무르트어 *wo- > ва-
𐍔ееео*ä, *e, *i (*ö, *ü)구개음 옆에서, 우드무르트어 *ɛ > е
*e𐍱ееио*ä, *e, *i (*ö, *ü)구개음 옆에서, 우드무르트어 *e > е
*ɔ̇𐍩ӧӧӧо*ä mainly*l 앞에서, 우드무르트어 *ɔ̇ > а
𐍩ӧӧӱӧ*o, *u mainly우드무르트어 비강세 *ȯ > ы
*ɔ̈𐍩ӧӧӧӧ*ö, *ü우드무르트어 비강세 *ɔ̈ > у
𐍞ооуу*ä, e, i, ö, ü베세르만 *ö > ө
*u̇𐍨ыыөы*u, *ü mainly베세르만 *u̇ > ө
*i𐍙ииии*i, *e mainly
*u𐍣уууу*a, *o mainly불규칙적으로, 우드무르트어 *u > ы/и
𐍣уууу*ä, *e *i, *ö, *ü베세르만 *ü > ө



페름어에서의 모음 대응 (비어두 음절)
원시 페름어고대 코미어코미-지르얀어코미-페르미야크어코미-야즈바어우드무르트어비고
*a𐍐ааaа / о
𐍩ӧӧөе
*i𐍙 / 𐍨и / ыи / ыи / өи / ы / у다양한 실현


5. 형태음운론

페름어군의 명사 어근은 주로 단음절이며 (C)VC 형태를 가지며 불변한다. 우드무르트어 ву /ʋu/, 코미어 및 페름어 ва /ʋa/ '물'과 같은 CV 어근과 우드무르트어 урт /urt/, 코미어 орт /ort/ '영혼'과 같은 (C)VCC 어근도 존재한다. 우드무르트어에는 (C)VCɯ 형태의 이음절 어근도 많이 있다.[7]

특정 종결 자음군을 가진 명사 어근의 경우, 굴절된 형태나 파생된 형태에서 모음이 뒤따를 때 두 번째 자음이 나타난다.

전체 자음군축약형예시
-nm--nсин син|/ɕin/kom '눈'
-pt--pшеп шеп|/ʃep/kom '이삭'
-kt--kкык кык|/kɯk/kom '2'
-sk--sмус мус|/mus/kom '간'
-ʃk-мыш мыш|/mɯʃ/kom '등'
-ɕk-юсь юсь|/juɕ/kom '백조'



우드무르트어는 형태가 '유성 자음' + /m/인 다른 여러 자음군에 대해서도 유사한 교체를 보이며, 코미-지리안어는 형태가 '유성 자음' + /j/인 여러 자음군을 추가한다.[8]

'오다' 동사 어근: 우드무르트어 лыкты- лыкты-|/lɯktɯ-/udm, 코미어 локты- локты-|/loktɯ-/kpv 역시 명령형에서 일반 /k/로 교체되는 현상을 보인다(우드무르트어에서는 방언에만 해당).[9]

참조

[1] 논문 Best practices for spatial language data harmonization, sharing and map creation—A case study of Uralic 2022-06-08
[2] 데이터 Geographical database of the Uralic languages https://doi.org/10.5[...] Zenodo
[3] 웹사이트 The Permic Languages http://languageserve[...] The University of Graz 2012-08-22
[4] 서적 Case, Animacy and Semantic Roles https://books.google[...] John Benjamins Publishing 2012-08-23
[5] 문서 Bartens 2000, p. 51-52
[6] 문서 Bartens 2000, p. 55-56
[7] 문서 Bartens 2000, p. 66
[8] 문서 Bartens 2000, p. 69-71
[9] 문서 Bartens 2000, p. 178
[10] 웹사이트 The Permic Languages http://languageserve[...] The University of Graz 2012-08-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