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미페르먀크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미페르먀크어는 코미어의 방언으로, 1920년대 소련 당국에 의해 '코미-페르먀츠키 야지크'라는 명칭이 도입되었다. 북부와 남부 방언으로 나뉘며, 쿠딤카르 방언을 표준으로 사용한다. 1938년 키릴 문자를 기반으로 하는 35개의 문자를 사용하는 고유한 알파벳을 가지며, 26개의 자음과 7개의 모음으로 이루어진 음운 체계를 갖는다. 문법적으로 교착어이며, 명사, 형용사, 대명사, 동사 등 다양한 품사가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코미어 - Ԁ
Ԁ는 코미어 문자의 변형으로, 유니코드 U+0501에 할당되어 있으며, 유성 치경 파열음 /d/ 소리를 나타내는 코미어 알파벳의 다섯 번째 문자이다. - 코미어 - 아부르 문자
아부르 문자는 러시아 선교사 스테판 페름스키가 코미어를 표기하기 위해 만든 문자로, 키릴 문자 등에서 영향을 받았으며, 17세기까지 사용되다가 키릴 문자로 대체되었고, 2014년 유니코드에 추가되었다. - 페름어파 - 코미어
코미어는 핀우그리아어파에 속하며, 페름 조어에서 분화되어 성립되었고, 러시아어 키릴 문자를 기반으로 하는 문자를 사용하며, 17개의 격을 가지는 교착어이다. - 페름어파 - 우드무르트어
우드무르트어는 러시아 우드무르트 공화국에서 쓰이는 우랄어족 페름어파 언어로, 키릴 문자를 변형한 38개 문자를 사용하며 북부, 남부, 베세르먄 세 방언으로 나뉜다. - 페름 변경주 - 쿠딤카르
쿠딤카르는 러시아 페름 지방에 위치한 도시로, 코미족의 중심지이자 코미-페르미야크 오크루크의 행정 중심지이며 유제품 및 육류 제품 관련 식품 산업이 발달했고 코미페름야크인이 대다수를 차지한다. - 페름 변경주 - 솔리캄스크
솔리캄스크는 소금 매장지 개발로 시작되어 러시아 최초의 구리 주조 중심지로 성장했으나, 이후 쇠퇴하여 현재는 소금, 특히 염화 칼륨 생산으로 유명한 페름 지방의 도시이다.
코미페르먀크어 | |
---|---|
개요 | |
언어 이름 | 페름야크어 |
고유 이름 | (코미-페르먀츠쾨이 키브) |
다른 이름 | (페렘 코미 키브) |
로마자 표기 | Komi-Permyatskiy Yazyk |
사용 국가 | 러시아 |
사용 지역 | 페름 지방, 키로프 주 |
사용자 수 | 63,106명 (2010년) |
언어 분류 | |
어족 | 우랄어족 |
어파 | 페름어파 |
어군 | 코미어군 |
문자 체계 | |
문자 | 키릴 문자 |
언어 코드 | |
ISO 639-3 | koi |
Glottolog | komi1269 |
지도 정보 | |
![]() | |
언어 상태 | |
위기 정도 | 확실히 위기에 처한 언어 |
2. 명칭
코미페르먀크어의 원래 이름은 코미 크브(коми кыв)로, 코미지리안어의 고유어와 동일하다.
코미페르먀크어의 방언은 크게 북부 방언과 남부 방언으로 나뉘며, 음운론적으로 /l/과 /v/ 방언으로 나눌 수 있다.[4] 모든 방언은 서로 쉽게 이해할 수 있으며, 어느 정도는 코미지리안 방언과도 상호 이해가 가능하다.
1920년대 소련 당국은 페름 지방의 코미어에 대한 새 명칭으로 '코미-페르먀츠키 야지크(коми-пермяцкий язык)', 즉 코미페르먀크어를 도입했는데, 이는 언어의 고유어와 러시아어를 결합한 것이다. 새 이름은 코미어로 '코미-페르먀츠쾨이 크브(коми-пермяцкöй кыв)'로 음역되었다. 이로써 지역 언어는 공식 명칭을 받은 코미지리안어(코미어)와 명목상 분리되었다. 페름 지방의 코미인들은 구어에서는 원래 이름인 코미어를 계속 사용했지만, 공식적으로는 새 명칭을 사용해야 했다.
2000년대 초, 공식 명칭을 더 정확한 명칭으로 대체하는 과정이 시작되었다. '페렘 코미 크브(перем коми кыв)'(페르미안 코미어)라는 용어가 제안되어 현재 지역 대중 매체, 학술 논문 및 위키백과 코미페르먀크어판에서 사용되고 있다.
3. 방언
과거 오브바 강 유역에는 남부 방언 그룹이 존재했지만, 현재는 네르드바 방언을 제외하고는 사라졌다. 이 때문에 네르드바 방언은 오늘날 일반적으로 중부 그룹과 함께 간주된다.
인바 강 유역에서 사용되는 중부 방언은 어원적 /l/이 /v/로, 다시 /w/로 변화하면서 자음이 사라지는 현상을 겪어, 다른 코미페르먀크 방언과 형태론적으로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쿠딤카르와 울리시 인바 방언의 주요 차이점은 강세에 있다. 울리시 인바 방언은 음운론적 강세를 가지는 반면, 쿠딤카르 방언(네르드바 방언처럼)은 형태론적 강세를 갖는다. 네르드바 방언은 어원적 /l/을 유지하며, 이는 동부 페름어와 관계가 있던 다른 방언들에서도 마찬가지로 나타난다.[5]
코미페르먀크 표준어는 코미페르먀크 방언의 중부 및 북부 그룹만을 지칭하며, 이들을 '적절한 페름 방언'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나머지 두 그룹은 주변적인 방언으로 간주된다.
동부 페름어의 유일한 잔재는 크라스노비셰르스키 구의 약 900명의 코미족 중 약 200명이 사용하는 야즈바 방언이다. 2000년대 초 이 방언은 크라이 당국에 의해 표준화되었다. 야즈바 방언은 /ö/, /ü/, /ʌ/를 포함하는 고대 모음 체계를 가지고 있으며, 강세는 울리시 인바 방언과 유사하고 어휘 체계는 북부 페름어와 유사하다.
서부 페름어 그룹은 또 다른 주변 방언인 주즈딘 방언(코미 오크루그와 경계 근처의 키로프 주에 거주하는 약 1000명)으로 대표된다.3. 1. 북부 방언
/l/ 유형: лым /lɨm/ "눈", вӧл /vɘl/ "말"[4]
페름 방언의 북부 그룹(코스바, 카마 및 루프 강 유역)은 모든 수준에서 지리안의 강력한 영향을 받았다.[5] 코치 및 코스 방언은 지리안의 일부 시크티프 방언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루프 방언은 오랫동안 상부 예즈바 방언과 미약한 관계를 유지했다.[5]
3. 2. 남부 방언
4. 문자
코미페르먀크어는 1938년에 도입된 키릴 문자를 기반으로 하는 독자적인 알파벳을 사용한다. 러시아 문자 33자와 더불어 '''І/і'''와 '''Ӧ/ӧ''' 두 개의 추가 문자를 포함하여 총 35개의 문자로 구성된다.
키릴 문자 | 라틴 문자 | IPA | 문자 이름 | 비고 |
---|---|---|---|---|
А а | A a | [ɑ] | а | |
Б б | B b | [b] | бе | |
В в | V v | [v] | ве | |
Г г | G g | [g] | ге | |
Д д | D d Ď ď | [d] [ɟ] е, ё, и, ю, я 앞 | дэ | |
Е е | JE je E, e | [e] [je] 단어 시작과 모음 뒤 [e] 구개음화된 치경음 뒤 | е | |
Ё ё | JO jo | [jo] 단어 시작과 모음 뒤 [o] [c, ɟ, ɕ, ʑ, ɲ, ʎ] 뒤 | ё | |
Ж ж | Ž ž | [ʒ] | же | |
З з | Z z Ź ź | [z] [ʑ] е, ё, и, ю, я 앞 | зэ | |
И и | I i | [i] 단어 시작과 모음 뒤 [i] [c, ɟ, ɕ, ʑ, ɲ, ʎ] 뒤 | небыд и ("soft i") | |
І і | I i | [i] т, д, с, з, н, л 뒤 | чорыд и ("hard i") | И의 비구개음화된 형태. |
Й й | J j | [j] | дженьыд и | |
К к | K k | [k] | ка | |
Л л | L l Ľ ľ | [ɫ] [ʎ] е, ё, и, ю, я 앞 | эл | |
М м | M m | [m] | эм | |
Н н | N n Ń ń | [n] [ɲ] е, ё, и, ю, я 앞 | эн | |
О о | O o | [o] | о | |
Ӧ ӧ | Ö ö | [ɘ~ə] | ӧ | |
П п | P p | [p] | пе | |
Р р | R r | [r] | эр | |
С с | S s Ś ś | [s] [ɕ] е, ё, и, ю, я 앞 | эс | |
Т т | T t Ť ť | [t] [c] е, ё, и, ю, я 앞 | тэ | |
У у | U u | [u] | у | |
Ф ф | F f | [f] | эф | 외래어에서 사용. |
Х х | H h | [x] | ха | 외래어에서 사용. |
Ц ц | C c | [ts] | це | 외래어에서 사용. |
Ч ч | Ć ć | [tɕ] | че | |
Ш ш | Š š | [ʃ] | ша | |
Щ щ | ŠČ šč | [ʃtʃ~ʃː] | ща | 외래어에서 사용. |
Ъ ъ | - | - | чорыд пас ("경음 부호") | 러시아어와 동일한 용법. |
Ы ы | Y y | [ɨ~ɤ] | ы | |
Ь ь | - | [ʲ] | небыд пас ("연음 부호") | 러시아어와 동일한 용법. |
Э э | E e | [e] | э | е의 비구개음화된 형태. |
Ю ю | JU ju | [ju] [u] т, д, с, з, н, л 뒤 | ю | |
Я я | JA ja | [jɑ] [ɑ] т, д, с, з, н, л 뒤 | я |
5. 음운
코미페르먀크 표준어에는 코미지리안어와 같이 26개의 주요 자음과 7개의 모음이 있다.
5. 1. 자음
현대 코미페르먀크어의 자음 체계는 26개의 고유 자음과 러시아어 차용어에 사용되는 /ts/, /f/, /x/를 포함한다. 전통적인 발음에서는 이 "외래 음"이 각각 /t͡ɕ/, /p/, /k/로 대체되었다.[6]
# 러시아어 차용어에만 해당.[6]
# // 음소는 주로 비언어적으로 발생하며, 'Бунгаг' [ʙuŋɡaɡ]를 제외하고는 나타나지 않는다.[6]
5. 2. 모음
코미페르먀크어는 장모음과 단모음을 구별하지 않으며 모음 조화도 없다. 이중 모음은 없으며, 몇몇 형태소 경계에서 두 개의 모음이 함께 나타날 경우 각 모음은 개별적인 소리를 유지한다.[1]
6. 문법
코미페르먀크어는 교착어로, 접사를 사용하여 소유, 양태, 시제 등을 나타낸다.[1]
6. 1. 명사
코미페르먀크어의 명사는 수, 격, 소유를 나타내기 위해 굴절하며, 어간에 접미사를 붙여 표현한다.수(數)코미페르먀크어에는 단수와 복수 두 가지 문법적 수가 있다. 단수는 별도의 표시가 없는 형태이며, 복수는 단어에 굴절을 추가하여 만든다.
복수형을 만들 때는 어간 뒤에 /'''ez'''/(/'''에즈'''/ 또는 /'''예즈'''/로 발음) 접미사를 붙인다. 이때 복수 접미사 앞 어간의 마지막 자음은 중복된다.
단수 | 복수 | 영어 |
---|---|---|
керку|케르쿠koi | керку | 건물 – 건물들 |
морт|모르트koi | мортт | 인간 – 인간들 |
нянь|냔koi | нянн | 빵 – 빵들 |
вӧв|뵈브koi | вӧвв | 말 – 말들 |
джыдж|즤즤koi | джыджж | 제비 – 제비들 |
кай|카이koi | кай | 새 – 새들 |
복수 접미사는 축약형 /'''е'''/ ('''э''' 또는 '''е'''로 표기)로도 사용되는데, 주로 소유 접미사의 약한 형태와 결합하여 사용된다. (예: кие|키에koi트 '당신의(단수) 손' vs. киез|키에즈koi '손들').
소유 접미사코미페르먀크어의 소유 접미사는 명사 또는 격 접미사 뒤에 붙는다. 단수 소유 접미사는 세 가지 형태가 있으며, 복수 접미사의 약한 형태나 일부 격의 약한 형태와 결합하여 사용되기도 한다.
인칭 | 접미사 | 예시 | 번역 |
---|---|---|---|
단수 | |||
1인칭 | ö|외koi | керку | 나의 집 |
м|므koi1 | керкуам|케르쿠암koi | 내 집에 | |
2인칭 | ыт|으트koi | керку | 너의 (단수) 집 |
т|트koi1 | керкусит|케르쿠시트koi | 너의 (단수) 집에서 | |
3인칭 | ыс|으스koi | керку | 그의 집, 그 집 |
с|스koi1 | керкуэс|케르쿠에스koi | 그의 집들, 그 집들 | |
복수 | |||
1인칭 | ным|늠koi | керкуным|케르쿠늠koi 2 | 우리의 집 |
2인칭 | ныт|느트koi | керкуныт|케르쿠느트koi 2 | 너희의 집 |
3인칭 | ныс|느스koi | керкуныс|케르쿠느스koi 2 | 그들의 집 |
# 접미사의 약한 변형
# '''ны'''는 복수 소유를 나타내는 표지
3인칭 단수 소유 접미사는 정관사 역할도 하며, 구어체에서는 주로 정관사로 사용된다.
격(格)코미페르먀크어에는 18개의 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0개의 문법격과 8개의 처격으로 나뉜다.
격 접미사는 소유 접미사 앞이나 뒤에 붙는다. 일부 격은 소유 접미사의 약한 형태와 결합하는 약한 변형을 갖기도 한다.
격 | 접미사 | 예시 | 번역 |
---|---|---|---|
문법적 격 | |||
주격 | - | öшын|외슨koi | 창문 |
대격 | - | öшын|외슨koi | (목적어) 창문 |
öc|외츠koi | морт | (목적어) 남자 | |
cö|최koi | öшын | (목적어) 그 창문 | |
속격 | лöн|뢴koi | öшын | 창문의 / 창문의 것 |
탈격 | лiсь|리시koi | öшын | 창문에서부터 |
여격 | лö|뢰koi | öшын | 창문으로 |
구격 | öн|왼koi | öшын | 창문에 의해서 |
на|나koi | öшын | 그 창문에 의해서 | |
공동격 | кöт|쾻koi | öшын | 창문과 함께 |
박탈격 | тöг|퇴그koi | öшын | 창문 없이 |
연속격 | ла|라koi | öшын | 창문을 얻기 위해 |
제외격 | ся|샤koi | öшын | 창문을 제외하고; 그러면 창문 |
처격 | |||
내격 | ын|은koi | öшын | 창문 안에 |
а|아koi | öшын | 그 창문 안에 | |
입격 | ö|외koi | öшын | 창문 안으로 |
а|아koi | öшын | 그 창문 안으로 | |
출격 | ись|이시koi | öшын | 창문 밖으로 |
си|시koi | öшын | 그 창문 밖으로 | |
접근격 | лaнь|란koi | öшын | 창문 쪽으로 |
ланя|라냐koi | öшын | 그 창문 쪽으로 | |
이탈격 | сянь|샨koi | öшын | 창문에서부터 |
сяня|샤냐koi | öшын | 그 창문에서부터 | |
경유격 | öт|외트koi | öшын | 창문을 따라 |
öття|외탸koi | öшын | 그 창문을 따라 | |
종결격 1 | öдз|외쯔koi | öшын | 창문까지 |
öдзза|외짜koi | öшын | 그 창문까지 | |
종결격 2 | ви|비koi | öшын | 창문까지 |
6. 2. 형용사
형용사는 수식하는 명사 앞에 위치하며, 굴절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바스ö크 느브카'''(басöк нывка)는 '아름다운 소녀'를 의미하며, '''바스ö크 느브카에슬ö'''(басöк нывкаэслö)는 '아름다운 소녀들에게'를 의미한다.[1]그러나 대부분의 형용사는 명사로도 사용될 수 있으며, 때로는 동격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굴절된다. 예를 들어, '''ыджыт'''(큰)는 '''ыджыттэзісь'''(큰 것들 중에서)로 변한다. 굴절 패러다임은 명사와 동일하지만, 주요 대격 형태는 형용사의 경우 명사의 '''öс''' 또는 무형태소 대신 접미사 '''ö'''가 사용된다. '''아드지 바스ö크 느브카öс'''(адззи басöк нывкаöс)는 '나는 아름다운 소녀를 발견했다'를 의미하며, '''아드지 바스ö크ö'''(адззи басöкö)는 '나는 아름다운 [소녀]를 발견했다'를 의미한다.[1]
서술적으로 사용될 경우 형용사는 수에 따라 주어와 일치한다. 서술형의 복수 표지는 '''öсь'''이다. '''케르쿠으스 ыджыт'''(керкуыс ыджыт)는 '그 집은 크다'를 의미하며, '''케르쿠에스 ыджы트öсь'''(керкуэc ыджытöсь)는 '그 집들은 크다'를 의미한다.[1]
코미페르먀크어 형용사는 비교의 다섯 가지 단계를 가진다.[1]
단계 | 접사 | 예시 | 번역 |
---|---|---|---|
기본 | Ø | том|톰koi | 젊은 |
비교급 | -жык|-жы크koi | томжык|톰жы크koi | 더 젊은 |
최상급 | мед-|-메드koi | медтом|메드톰koi | 가장 젊은 |
사동 | -кодь|-코디koi | томкодь|톰코디koi | 꽤 젊은 |
과도급 | -öв|-오브koi | томöв|토모브koi | 너무 젊은 |
축소형 | -ыник / -ик|-이닉/-이크koi | томыник|토미니크koi | 꽤 젊은 |
비교급과 최상급은 한 객체의 품질의 강도를 다른 객체의 품질과 비교한다. 사동, 과도급 및 축소형은 품질의 강도를 기본 단계와 비교한다.[1]
6. 3. 대명사
코미어 개인칭 대명사는 모든 격에서 활용된다. 이 언어는 '그', '그녀', '그것'을 구별하지 않는다.[1] 개인칭 대명사의 주격은 다음 표와 같다.단수 | 복수 | |
---|---|---|
1인칭 | мe|나koi | мийö|우리koi |
2인칭 | тэ|너koi | тiйö|너희koi |
3인칭 | ciя|그/그녀/그것koi | нія|그들koi |
6. 4. 동사
코미페르먀크어 동사는 현재 시제, 미래 시제, 과거 시제와 같은 시제와 직설법, 명령법, 증거법, 기원법, 조건법, 접속법과 같은 법, 능동태 및 상을 나타낸다.동사 어간은 명령법 2인칭 단수이다. 예를 들어 '''мун'''은 '가다', '''케르'''는 '만들다'를 뜻한다. 다른 모든 형태는 어간에 접미사를 추가하여 형성된다.
자음군으로 끝나는 일부 동사 어간은 "voyelle de soutien" ы|koi로 확장되어 모음으로 시작하는 접미사 앞에서 삭제된다. 예를 들어 кывзы|koi = кывз+ы|koi '듣다', видчы|koi '맹세하다' = видч+ы|koi와 같다. кывзыны|koi '듣다', кывзытöн|koi '듣고'와 같이 사용되지만, кывзі|koi '나는 들었다', кывзö|koi '그는 듣는다', кывзан|koi '너는 듣는다'와 같이 축약형으로도 사용된다.
부정사는 어간에 -ны|koi를 추가하여 표시된다. 예를 들어 мyнны|koi '가다', кывзыны|koi '듣다'와 같다.
페름 코미 동사는 모두 결함 동사 вöвны|koi '이다'를 제외하고 동일한 방식으로 활용된다.
부정은 대부분 어간 앞에 오는 활용된 부정어를 사용하여 표현된다. 예를 들어, эг мун|koi '나는 가지 않았다'와 같다.
직설법에는 현재, 미래, 과거의 세 가지 시제가 있다. 현재 및 미래 시제의 주요 표지는 '''아''' (부정. '''오'''), 과거 시제의 표지는 '''이''' (부정. '''에''')이다.
다음은 동사 '''케르니''' '만들다, 하다'의 활용형이다.
인칭 | 현재 | 미래 | 과거 | |||||||||
---|---|---|---|---|---|---|---|---|---|---|---|---|
긍정문 | 부정문 | 긍정문 | 부정문 | 긍정문 | 부정문 | |||||||
단수 | ||||||||||||
1인칭 | {{lang|koi|케르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