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드무르트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드무르트어는 키릴 문자를 기반으로 한 38개의 문자를 사용하며, 핀란드어, 헝가리어와 같은 우랄어족 언어와 달리 장단 모음 구별이나 모음 조화가 없다. 교착어이며, 15개의 격을 가지고 있다. 주요 방언은 북부, 남부, 베세르먄어이며, 어휘의 10%에서 30%는 차용어로 구성된다. 부라노프스키예 바부슈키와 같은 팝 그룹, 영화, 성경 번역 등 미디어에서도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페름어파 - 코미어
코미어는 핀우그리아어파에 속하며, 페름 조어에서 분화되어 성립되었고, 러시아어 키릴 문자를 기반으로 하는 문자를 사용하며, 17개의 격을 가지는 교착어이다. - 페름어파 - 페름어군
페름어군은 핀-우랄어족에 속하며 우드무르트어, 코미어 등을 포함하고, 원시 우랄어의 음운론적 특징을 보이는 언어군이다. - 우드무르트 공화국 - 우드무르트인
우드무르트인은 러시아 우드무르티야 공화국에 주로 거주하는 핀우고르계 민족으로, 우드무르트어를 사용하며 독특한 문화유산을 지니고 있지만 최근 인구가 급감하고 있다. - 우드무르트 공화국 - 우드무르티야 공화국
우드무르티야 공화국은 동유럽 평원의 카마강과 뱟카강 사이에 위치한 러시아의 공화국으로, 러시아인과 우드무르트인이 주요 민족을 이루며, 1920년 자치주에서 1990년 공화국으로 승격되었고, 습한 여름과 춥고 눈이 많이 내리는 겨울 기후를 가지며, 주민들은 러시아 정교회, 샤머니즘 또는 무종교를 믿는다. - 러시아의 언어 - 에스토니아어
에스토니아어는 우랄어족 핀우그리아어파에 속하며 에스토니아의 공용어이자 유럽 연합의 공용어 중 하나로, 독일어의 영향을 받아 어휘와 통사론에서 흔적을 찾을 수 있고, 형태론적으로 교착어에서 굴절어로 변화하는 과도기적 특징을 보이는 언어이다. - 러시아의 언어 - 독일어
독일어는 독일, 오스트리아, 리히텐슈타인 등의 공식 언어이자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는 인도유럽어족 게르만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고지 독일어와 저지 독일어로 나뉘며 표준 독일어는 특정 방언에 기반하고, 로마자를 사용하며, 독특한 문법적 특징을 지니고, 전 세계적으로 2억 명 이상의 사용자가 있다.
우드무르트어 | |
---|---|
지도 정보 | |
![]() | |
기본 정보 | |
언어 이름 | 우드무르트어 |
고유 이름 | (우드무르트 킬) |
국가 | 러시아 |
지역 | 우드무르트 공화국 |
민족 | 우드무르트인 |
언어 분류 | |
어족 | 우랄어족 |
어파 | 페름어군 |
사용 정보 | |
화자 수 | 271,882명 (2020년 인구 조사) |
사용 국가 | 러시아 우드무르트 공화국 |
문자 체계 | |
문자 | 키릴 문자 |
언어 코드 | |
ISO 639-1 | udm |
ISO 639-3 | udm |
Glottolog | udmu1245 |
언어 상태 | |
위험도 | 소멸 위기 |
음성 정보 | |
발음 | IPA: |
2. 표기
러시아 키릴 문자를 변형한 문자를 사용하여 표기하며, 38개의 문자로 구성되어 있다. 기본 키릴 문자 33자에 우드무르트어 고유 문자 5자(Ӝ/ӝ, Ӟ/ӟ, Ӥ/ӥ, Ӧ/ӧ, Ӵ/ӵ)가 추가된 형태이다.
다음은 우드무르트어 문자의 키릴 문자, 라틴 문자, IPA 표기, 그리고 문자 이름에 대한 표이다.
키릴 문자 | 라틴 문자 | IPA | 문자 이름 | 비고 |
---|---|---|---|---|
А а | A a | а | ||
Б б | B b | бэ | ||
В в | V v | вэ | ||
Г г | G g | гэ | ||
Д д | D d Ď ď | дэ | е, ё, и, ю, я, ь 앞에서 | |
Е е | JE je E e | е | 치경음 д, т, з, с, л, н 뒤에서 | |
Ё ё | JO jo O o | ё | д, т, з, с, л, н 뒤에서 | |
Ж ж | Ž ž | жэ | ||
Ӝ ӝ | DŽ dž | ӝэ | Д + Ж | |
З з | Z z Ź ź | зэ | е, ё, и, ю, я, ь 앞에서 | |
Ӟ ӟ | DŹ dź | ӟе | Дь + Зь | |
И и | I i | и | д, т, з, с, л, н 뒤에서 | |
Ӥ ӥ | I i | точкаен и, точкаосын и ("점 있는 i") | 코미어의 і와 같음. И의 비구개음 형태. | |
Й й | J j | вакчи и ("짧은 i") | ||
К к | K k | ка | ||
Л л | Ł ł L l | эл | е, ё, и, ю, я, ь 앞에서 | |
М м | M m | эм | ||
Н н | N n Ň ň | эн | е, ё, и, ю, я, ь 앞에서 | |
О о | O o | о | ||
Ӧ ӧ | Õ õ | ӧ | ||
П п | P p | пэ | ||
Р р | R r | эр | ||
С с | S s Ś ś | эс | е, ё, и, ю, я, ь 앞에서 | |
Т т | T t Ť ť | тэ | е, ё, и, ю, я, ь 앞에서 | |
У у | U u | у | ||
Ф ф | F f | эф | 외래어에서 사용. | |
Х х | H h | ха | 외래어에서 사용. | |
Ц ц | C c | цэ | 외래어에서 사용. | |
Ч ч | Ć ć | чэ | Ть + Сь | |
Ӵ ӵ | Č č | ӵэ | Т + Ш | |
Ш ш | Š š | ша | ||
Щ щ | ŠČ šč | ща | 외래어에서 사용. | |
Ъ ъ | – | – | чурыт пус ("경음 부호") | 자음이 /j/를 동반할 때, 구개음화된 자음()과 구개음화되지 않은 자음을 구분. |
Ы ы | Y y | ы | ||
Ь ь | – | небыт пус ("연음 부호") | ||
Э э | E e | э | ||
Ю ю | JU ju | ю | д, т, з, с, л, н 뒤에서 | |
Я я | JA ja | я | д, т, з, с, л, н 뒤에서 |
2. 1. 문자
우드무르트어는 러시아 키릴 문자를 변형한 문자를 사용하여 표기한다. 우드무르트어 문자는 38개로, 기본 키릴 문자 33자에 우드무르트어 고유 문자 5자(Ӝ/ӝ, Ӟ/ӟ, Ӥ/ӥ, Ӧ/ӧ, Ӵ/ӵ)가 추가된 형태이다.대문자 | 소문자 | 이름 | 발음 | 비고 |
---|---|---|---|---|
А | а | А | /a/ | |
Б | б | Бэ | /b/ | |
В | в | Вэ | /v/ | |
Г | г | Гэ | /g/ | |
Д | д | Дэ | /d, d̡/ | я, е, и, ё, ю, ь 앞에서 구개음화 |
Е | е | Е | /e, ʲe, je/ | д, т, з, с, л, н 뒤에서 구개음화 |
Ё | ё | Ё | /ʲo, jo/ | д, т, з, с, л, н 뒤에서 구개음화 |
Ж | ж | Жэ | /ʒ/ | |
Ӝ | ӝ | Ӝэ | /dʒ/ | |
З | з | Зэ | /z/ | |
Ӟ | ӟ | Ӟе | /d͡ʑ/ | |
И | и | И | /ʲi, ɪ/ | д, т, з, с, л, н 뒤에서 구개음화 |
Ӥ | ӥ | точкаен и, точкаосын и ("점 있는 i") | /i/ | 코미어의 і와 같음. И의 비구개음 형태. |
Й | й | вакчи и ("짧은 i") | /j, -ĭ/ | |
К | к | Ка | /k/ | |
Л | л | Эл | /l, ʎ/ | я, е, и, ё, ю, ь 앞에서 구개음화 |
М | м | Эм | /m/ | |
Н | н | Эн | /n, ɲ/ | я, е, и, ё, ю, ь 앞에서 구개음화 |
О | о | О | /o/ | |
Ӧ | ӧ | Ӧ | /ʌ/ | |
П | п | Пэ | /p/ | |
Р | р | Эр | /r/ | |
С | с | Эс | /s, s̡/ | я, е, и, ё, ю, ь 앞에서 구개음화 |
Т | т | Тэ | /t, t̡/ | я, е, и, ё, ю, ь 앞에서 구개음화 |
У | у | У | /u/ | |
Ф | ф | Эф | /f/ | 외래어에서 사용 |
Х | х | Ха | /x/ | 외래어에서 사용 |
Ц | ц | Цэ | /ts/ | 외래어에서 사용 |
Ч | ч | Чэ | /t͡ɕ/ | |
Ӵ | ӵ | Ӵэ | /tʃ/ | |
Ш | ш | Ша | /ʃ/ | |
Щ | щ | Ща | /ʆƫʆ/ | 외래어에서 사용 |
Ъ | ъ | чурыт пус ("경음 부호") | /(j)/ | 자음이 /j/를 동반할 때, 구개음화된 자음과 구개음화되지 않은 자음을 구분 |
Ы | ы | Ы | /ɨ, ə~ɯ/ | |
Ь | ь | небыт пус ("연음 부호") | /ʲ/ | |
Э | э | Э | /e/ | |
Ю | ю | Ю | /ʲu, ju/ | д, т, з, с, л, н 뒤에서 구개음화 |
Я | я | Я | /ʲa, ja/ | д, т, з, с, л, н 뒤에서 구개음화 |
우드무르트어에는 Ӝ/ӝ, Ӟ/ӟ, Ӥ/ӥ, Ӧ/ӧ, Ӵ/ӵ와 같이 다른 문자에는 없는 독특한 문자가 있다.
Д, З, Л, Н, С, Т 뒤에 я, е, и, ё, ю, ь가 오면 구개음화가 일어난다. Ъ(경음 부호)는 자음이 /j/를 동반할 때, 구개음화된 자음과 구개음화되지 않은 자음을 구분하는 데 사용된다. Ӥ(점 있는 И)는 코미어의 і와 같이 И의 비구개음 형태를 나타낸다. Ф, Х, Ц, Щ는 외래어에서만 사용된다.
3. 음운
핀란드어와 헝가리어와 같은 다른 우랄어족 언어들과 달리, 우드무르트어는 장단모음을 구별하지 않으며 모음조화가 없다.[7]대문자 소문자 이름 발음(/IPA/) А а а Б б бэ В в вэ Г г гэ Д д дэ Е е е Ё ё ё Ж ж жэ Ӝ ӝ ӝэ З з зэ Ӟ ӟ ӟе И и и Ӥ ӥ точкаен и, точкаосын и Й й вакчи и К к ка Л л эл М м эм Н н эн О о о Ö ö ö П п пэ Р р эр С с эс Т т тэ У у у Ф ф эф Х х ха Ц ц цэ Ч ч чэ Ӵ ӵ ӵэ Ш ш ша Щ щ ща Ъ ъ чурыт пус Ы ы ы Ь ь небыт пус Э э э Ю ю ю Я я я
3. 1. 자음
우드무르트어의 자음은 다음과 같다.
는 차용어에만 사용되며, 전통적으로 각각 로 대체된다. 헝가리어와 마찬가지로 우드무르트어는 후행 동화와 무성음화를 보이지만 (마지막 요소가 동화를 결정), 몇 가지 예외가 있다(주로 최소 대립쌍의 성격을 구별하기 위해).[7]
우드무르트어는 키릴 문자 38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중 Ӝ/ӝ, Ӟ/ӟ, Ӥ/ӥ, Ӧ/ӧ, Ӵ/ӵ는 우드무르트어에서만 쓰이는 독특한 문자이다.
대문자 | 소문자 | 이름 | 발음 |
---|---|---|---|
Д | д | Дэ | 다행 자음이지만, я, е, и, ё, ю, ь가 이어질 경우 구개음화 |
Ж | ж | Жэ | 조용히 해달라고 할 때의 "쉬" 발음을 유성음화시킨 소리 |
Ӝ | ӝ | Ӝэ | 일본어에서 "할아버지"라고 발음할 때의 "지" 자음 |
З | з | Зэ | 영어의 "zero"나 모음 사이에 있는 "자"와 같은 머리 자음에 나타나는 유성 치경 마찰음 |
Ӟ | ӟ | Ӟе | 모음 뒤에 놓인 어미의 "지"를 발음할 때 나타나는 자음(아지). 유성 치경 경구개 마찰음 |
Л | л | Эл | 영어의 "L" 소리이지만, я, е, и, ё, ю, ь가 이어질 경우 구개음화 |
Н | н | Эн | 일본어의 나행 자음이지만, я, е, и, ё, ю, ь가 이어질 경우 구개음화 |
С | с | Эс | 일본어의 "시"를 제외한 사행 자음이지만, я, е, и, ё, ю, ь가 이어질 경우 구개음화 |
Т | т | Тэ | 일본어의 "타, 티, 투, 테, 토"에 가까운 자음이지만, я, е, и, ё, ю, ь가 이어질 경우 구개음화 |
Ф | ф | Эф | 외래어나 러시아어에서 유래한 이름에만 사용된다. 러시아어의 ф 소리 |
Х | х | Ха | 외래어나 러시아어에서 유래한 이름에만 사용된다. 발음, 촉음 뒤에 나오는 목구멍 안쪽에서 숨을 강하게 내뱉는 하행 |
Ц | ц | Цэ | 외래어나 러시아어에서 유래한 이름에만 사용된다. 일본어의 "차, 치, 츠, 체, 초"의 자음 |
Ч | ч | Чэ | 차행 자음 |
Ӵ | ӵ | Ӵэ | 혀끝을 잇몸 뒤쪽에 대고 조음하는 차행 자음(영어의 church를 발음할 때 나온다) |
Ш | ш | Ша | "슈크림"이라고 말할 때의 "슈" 자음 |
Щ | щ | Ща | 일본어의 시 자음 |
3. 2. 모음
우드무르트어의 모음은 6개의 단모음으로 구성된다.
각 모음은 다음과 같이 발음된다.
문자 | 발음 |
---|---|
А а | 입술을 세로로 길게 벌리고, 혀의 표면을 아래로 눌러서 발음하는 "아" |
И и | "이" 소리이지만, д, т, з, с, л, н가 이어질 경우 구개음화 |
Ӥ ӥ | "и"에 분음 부호를 붙인 것 |
Ы ы | 입을 둥글게 하지 않고 평평하게 발음하는 "우" 또는 비원순 중설 근저 모음 |
У у | 입을 꼭 다물고 발음하는 "우" |
Э э | 일본어의 "에" 소리 |
О о | "오" 소리 |
Ӧ ӧ | 일본어의 "아"와 거의 같은 소리 |
4. 문법
우드무르트어는 교착어로, 접사를 사용하여 소유, 양식, 시간 등을 나타낸다. 명사나 인칭 대명사에는 성(gender) 구분이 없으며, 주어-목적어-동사 어순을 가진다.[8]
4. 1. 격
우드무르트어는 15개의 격을 가지고 있는데, 8개의 문법 격과 7개의 장소 격이 있다.중립 우드무르트어 명사구에서는 형용사와 명사 사이에 일치 관계가 없다. 즉, 내포 명사구 бадӟым гурт'''ын'''|바드짐 구르튼udm ("큰 마을에서")와 같이 형용사 변화가 없다.
격 | 접미사 | 예시 | 번역 |
---|---|---|---|
문법 격 | |||
주격 | – | гурт|구르트udm | 마을 |
소유격 | -лэн|렌udm | гуртлэн|구르틀렌udm | 마을의 / 마을의 것 |
대격 | -эз|에즈udm/-ез|예즈udm/-ты|트udm/-ыз|으즈udm | гуртэз|구르테즈udm | 마을 (목적어로서) |
탈격 | -лэсь|레시udm | гуртлэсь|구르틀레시udm | 마을에서부터 |
여격 | -лы|르udm | гуртлы|구르틀르udm | 마을로 |
공구격 | -эн|엔udm/-ен|옌udm/-ын|은udm | гуртэн|구르텐udm | 마을을 이용하여 |
무격 | -тэк|테크udm | гурттэк|구르트테크udm | 마을 없이 |
부사격 | -я|야udm | гуртъя|구르탸udm | 마을 방식으로 |
장소 격* | |||
내격 | -ын|은udm | гуртын|구르튼udm | 마을 안에서 |
입격 | -э|에udm/-е|예udm/-ы|으udm | гуртэ|구르테udm | 마을 안으로 (또는 집 안으로) |
출격 | -ысь|으시udm | гуртысь|구르트시udm | 마을에서부터 |
이격 | -ысен|으센udm | гуртысен|구르트센udm | 마을에서 시작하여 |
종격 | -озь|오지udm | гуртозь|구르토지udm | 마을까지 |
경유격 | -этӥ|에티udm/-етӥ|예티udm/-ытӥ|으트udm/-тӥ|티udm | гуртэтӥ|구르테티udm | 마을을 따라 |
향격 | -лань|란udm | гуртлань|구르틀란udm | 마을을 향하여 |
- 모든 장소 격 중에서 인칭 대명사는 향격(근사격이라고도 함)에서만 굴절될 수 있다.
4. 2. 복수
우드무르트어에는 명사 복수형이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명사에 붙는 복수 접미사 '-осudm/-ëсudm'이고, 다른 하나는 형용사에 붙는 복수 접미사 '-эсьudm/-есьudm'이다.명사는 항상 복수형이다. 수식하는 복수 구문에서는 형용사가 복수형일 필요는 없다.
우드무르트어 | 음역 | 한국어 |
---|---|
чебер(есь) нылъёс|čeber(eś) nyljosudm | (그) 아름다운 소녀들 |
복수 표시는 복수 명사의 형태론적 구조에서 다른 어미(예: 격 및 소유 접미사) 앞에 항상 온다.
우드무르트어 | 음역 | 한국어 |
---|---|
нылъёслы|nyljoslyudm | 소녀들에게 |
гуртъёсазы|gurtjosazyudm | 그들의 마을에/에서 |
헝가리어와 모르도바어처럼 주어가 복수일 경우, 형용사는 문장의 서술어 역할을 할 때 항상 복수형을 사용한다.
우드무르트어 | 음역 | 한국어 |
---|---|
нылъёс чебересь|nyljos ćeberеśudm | 그 소녀들은 아름답다 |
толъёс кузесь|toljos kuźеśudm | 겨울은 길다 |
4. 3. 대명사
우드무르트어의 인칭 대명사는 사람만을 가리킬 때 사용된다. 그러나 3인칭 단수는 'it'으로 지칭될 수 있다. 인칭 대명사의 주격은 다음 표와 같다.단수 | 복수 | |
---|---|---|
1인칭 | мон|몬udm | ми|미udm |
2인칭 | тон|톤udm | тӥ|티udm |
3인칭 | со|소udm | соос|소스udm |
자기 강조사 형태는 다음과 같다. ачим('[나] 자신'), ачид('[너] 자신'), ачиз('[그/그녀/그것] 자신'), асьмеос('[우리] 자신'), асьтэос('[너희] 자신'), асьсэос('[그들] 자신').[8]
1인칭 복수에는 포괄성에 따라 두 가지 형태가 있다. асьмеос는 '우리(포괄적)'이고 ми는 '우리(배타적)'이다. 젊은 화자들은 '우리'를 뜻하는 러시아어 'my'의 영향으로 항상 "ми"를 사용하는 것을 선호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구세대에게 인기 있는 노래의 구절 "Ойдо, нылаш ми тонэн пумиськом!"은 이상하게 들린다. 의도된 의미는 "얘야, 우리 만나자!"이지만, 전통적인 생각에서는 "얘야, 우리 모두 너와 만나자!"로 읽힌다. 예상되는 적절한 구절은 "Ойдо, нылаш асьмеос пумиськом!" 이다. 그리고 'ми тонэн'은 "나와 너"를 의미하는 러시아어 구절 'my s toboi'에서 직역된 것이지만 단어별 번역은 "우리 너와 함께"이다.[8]
우드무르트어의 의문 대명사는 모든 격에서 활용된다. 그러나 처소격의 무생물 의문 대명사 '무엇'은 기본 형태 ''кыт|킫udm''을 가진다. 의문 대명사의 주격은 다음 표와 같다.
우드무르트어 | 한국어 |
---|---|
단수 | |
ма|마udm | 무엇 |
кин|킨udm | 누구 |
복수 | |
маос|마오스udm | 무엇 |
кинъëс|킨요스udm | 누구 |
4. 4. 동사
우드무르트어 동사는 두 개의 활용 그룹으로 나뉘며, 두 그룹 모두 부정사 표시인 -ны|udm를 갖는다.우드무르트어에는 직설법, 조건법, 명령법의 세 가지 동사법이 있다. 특정 방언에서는 희망법도 사용된다. 직설법에는 현재, 미래, 두 개의 과거 시제까지 총 4개의 시제가 있다. 조동사를 포함하는 네 개의 과거 시제 구조도 있다. 동사는 인칭 어미로 활용되는 조동사 부정 동사를 사용하여 부정된다.
우드무르트어의 기본 동사 인칭 표시는 다음과 같다(일부 예외 포함).
인칭 | 어미 |
---|---|
단수 | |
1인칭 | -Ø |
2인칭 | -{{lang|udm|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