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안운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평안운수는 1968년 10월 22일에 창립된 KD운송그룹 계열의 버스 회사이다. 2021년 1월 기준 총 21개 노선, 150대의 버스를 보유하고 있으며, 의정부시를 중심으로 경기 북부 및 서울특별시를 연결하는 노선을 운행한다. 과거에는 다양한 노선을 운행했으나, 현재는 일부 노선이 폐지되었다. 본점은 경기도 의정부시에 위치해 있으며, 양주, 동두천 등지에 영업소를 두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8년 설립된 교통 기업 - 동양고속
동양고속은 1968년 설립되어 주요 도시를 연결하는 고속버스 노선을 운영하는 기업으로, 한진고속 인수를 통해 사업을 확장했으며 경부선, 호남선 등 다양한 노선을 운행하고 안양시를 주 관할 면허지로 두고 있다. - 1968년 설립된 교통 기업 - 한성운수 (서울)
한성운수는 1968년 설립되어 서울특별시 번동과 하안동에 본사를 두고 간선, 지선, 맞춤 버스 노선을 운영하는 시내버스 회사이며, 과거 다양한 노선을 운행했으나 현재는 일부 노선이 폐선되거나 이관되었고, KGM커머셜, 현대자동차, 하이거 버스 등을 주요 차종으로 운행한다. - KD운송그룹 - 세명고등학교 (충북)
1987년 충현고등학교로 개교하여 1994년 세명고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한 세명고등학교는 대원교육재단이 운영하는 충청북도의 사립 고등학교로, 꾸준한 시설 확장을 통해 다양한 학습 및 편의 시설을 갖추고 2023년 2월 기준 11,207명의 졸업생을 배출했다. - KD운송그룹 - 고양종합터미널
고양종합터미널은 경기도 고양시에 위치한 종합버스터미널로, 2012년 개장 후 화재 사고를 겪었으나 재개장하여 현재 전국 각지로 시외·고속버스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 - 의정부시의 교통 - 수도권 전철 1호선
수도권 전철 1호선은 대한민국 최초의 지하철 노선이자 수도권 전철의 핵심 노선으로, 1974년 개통 이후 경원선, 경부선, 경인선, 장항선 등 여러 노선을 경유하며 한국철도공사와 서울교통공사가 공동 운영하고 완행 및 급행 열차를 운행한다. - 의정부시의 교통 - 국도 제3호선
국도 제3호선은 경상남도 남해군에서 강원도 철원군까지 이어지는 일반 국도로, 1971년 삼천포-초산선으로 지정된 후 노선 변경 및 확장을 거쳐 현재에 이르며, 여러 도시를 경유하고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다.
| 평안운수 - [회사]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회사 이름 | 주식회사 평안운수 |
| 원어 | Pyongan Yunsoo |
| 종류 | 주식회사 |
| 창립 | 1968년 10월 22일 |
| 시장 정보 | 비상장 |
| 장소 | 경기도 의정부시 평화로 692 (가능동) |
| 국가 | 대한민국 |
| 인물 | 허명회 (회장) |
| 산업 | 운수업 |
| 제품 | 시내버스 |
| 자본금 | 2,600,000,000원 (2020.12) |
| 매출액 | 26,964,613,709원 (2020) |
| 영업이익 | -1,484,167,761원 (2020) |
| 순이익 | -170,550,544원 (2020) |
| 자산총액 | 18,692,645,232원 (2020.12) |
| 모기업 | KD운송그룹 |
| 주주 | 주식회사 대원교통: 48.13% |
| 종업원 | 391명 (2020.12) |
| 웹사이트 | 평안운수 |
2. 역사
1968년 10월 22일에 창립되었다.[1] 1997년 이후 사내 사정이 어려워 도산 위기를 맞다가 KD운송그룹과 선진그룹 버스사업부문간의 인수전 끝에 선진네트웍스에 인수될 경우 노조 반발을 우려해 KD운송그룹을 선택함으로써 2006년 1월 20일에 KD운송그룹으로 인수되었다.[1] 인수 이후에는 허상준 (허명회의 아들)이 경영하기 시작하였다.[1] 2008년 1월 1일 연천교통에서 연천에서 서울을 잇는 버스노선 4개를 인수했다.[1]
KD 운송그룹 계열 버스 회사이다.[1] 2021년 1월 기준으로 총 21개 노선, 150대의 버스를 보유하고 있다.
3. 현황
구분 보유 노선 수 보유 버스 대수 전체 21 150
3. 1. 노선 현황
2021년 1월 기준이다.[1]
| 종류 | 대수 |
|---|---|
| 광역급행버스 | 0 |
| 직행좌석버스 | 15 |
| 일반좌석버스 | 0 |
| 시내일반버스 | 135 |
| 총계 | 150 |
3. 2. 차량 현황
KD영어 운송그룹 계열 버스 회사인 평안운수는 2021년 1월 기준으로 총 150대의 차량을 보유하고 있다.[1]| 종류 | 대수 |
|---|---|
| 직행좌석버스 | 15대 |
| 시내버스 | 135대 |
4. 운행 노선
평안운수는 경기도 의정부시, 양주시, 동두천시, 연천군 지역을 중심으로 버스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
의정부시, 양주시, 동두천시/연천군 별로 운행 노선을 상세하게 분류했으며, 각 노선별 정보는 다음과 같다.
- 노선 번호: 각 노선의 고유 번호
- 기점: 버스 운행 시작 지점
- 주요 경유지: 노선이 지나는 주요 지역
- 종점: 버스 운행 종료 지점
- 비고: 노선 관련 추가 정보 (신설, 변경, 운행 차량 등)
이 정보들은 하위 섹션에서 표 형태로 제공되어 노선 정보를 한눈에 파악하기 쉽게 되어있다.
4. 1. 의정부시
| 노선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비고 |
|---|---|---|---|---|
| 106-1번한국어 | 대원여객 본사 | 가능역 - 의정부역 - 회룡역 - 망월사역 | 도봉산역 | 2024년 8월 3일 신설[1] |
| 11번한국어 | 낙양동공영차고지 | 송산초교 - 어룡역 - 홈플러스 - 의정부시외버스터미널 - 의정부역 | 입석마을 | 2020년 12월 14일부터 장암동 미경유[1] |
| 12번한국어 | 낙양동공영차고지 | 송산주공1·9단지 - 의정부시외버스터미널 - 가능역 - 의정부역 (서부광장) | 낙양동공영차고지 | 2022년 5월 16일 신설, 순환 노선[1] |
| G6000번한국어 | 신동초등학교 | e편한세상신곡파크비스타 - 백병원 - 구리포천고속도로 | 잠실광역환승센터 | 2020년 3월 19일 신설, 전기버스 운행[1] |
| G6100번한국어 | 경기도청북부청사 | 어룡역 - 이마트 - 구리포천고속도로 | 잠실광역환승센터 | 2020년 10월 13일 신설, 전기버스 운행[1] |
| 1-5번한국어 | 민락동 차고지 | 구성말 - 차량기지 임시승강장 - 306보충대 | 구터미널 | [1] |
| 1-7번한국어 | 민락동 차고지 | 고산지식산업센터 - 306보충대 - 가능역 - 의정부지방법원/검찰청 | 구터미널 | 2024년 3월 1일 노선 변경, 민락2지구 순환[1] |
| 1-8번한국어 | 민락동 차고지 | 수락산유원지 - <덕릉터널 경유> - 당고개역 - 노원역 | 노원구청 | 2020년 8월 3일 신설, 2024년 1월 1일부터 경기도형 준공영제 실시[1] |
| 1-9번한국어 | 민락동 차고지 | 만가대사거리 - <신평화로 경유> - 도봉차량기지 | 도봉산역 | 2020년 5월 8일 신설[1] |
| 3번한국어 | 민락동 차고지 | 어룡역 - 306보충대 - 의정부역 - 경민대학 | 민락동 차고지 | 2017년 11월 30일 연장, 순환 노선, 전기버스 운행[1] |
| 23번한국어 | 민락동 차고지 | 이마트 민락점 - 송산역 - 탑석역 - 의정부역 - 경민대학 | 부곡리 | 2020년 12월 14일부터 의정부시장, 홈플러스 미경유, 전기버스 운행[1] |
| 35번한국어 | 민락동 차고지 | 곤제역 - 의정부성모병원 - 의정부터미널 - 의정부역 - 녹양역 - 양주역 | 법원읍 | 구 132번, 의정부 코스트코 경유, 전기버스 운행[1] |
| 5번한국어 | 홍죽리 차고지 | 녹양역 - 경민대학 - 의정부역 | 장암주공 2·5단지 | 2020년 12월 14일부터 방학동 미경유, 전기버스 운행[1] |
| 8번한국어 | 홍죽리 차고지 | 가능역 - 의정부역 | 중앙초등학교 | 순환 노선, 전기버스 운행[1] |
| 7번한국어 | 양주시 고읍지구 | 양주역 - 녹양역 - 가능역 - 의정부역 - 회룡역 - 도봉산역 | 노원구청 | 전기버스 운행[1] |
| 36번한국어 | 상봉암동 | 소요산역 - 양주역 - 회룡역 - 도봉산역 | 수유역 | [1] |
| 39번한국어 | 연천공영버스터미널 | 전곡역 - 소요산역 - 지행역 - 양주역 - 녹양역 - 가능역 - 의정부역 - 회룡역 | 도봉산역 | 2008년 연천교통으로 이관[1] |
4. 2. 양주시
楊州市중국어 노선'''양주영업소'''
- 7번: 양주시 고읍지구 GS자이7단지 - 야촌 - 덕현초교.덕고개 - 광사동 - 양주역 - 녹양역 - 가능역 - 의정부역, 흥선지하차도 - 회룡역 - 망월사역 3번출구 - 도봉산역 - 도봉역 - 수락산역 - 도봉면허시험장 - 노원구청 (전기버스 운행)
'''홍죽리 영업소'''
- 5번: 홍죽리 차고지 - 가업리 - 어둔동고개 - 녹양역 - 경민대학 - 흥선역(홍죽리행 방향만 정차) - 다온중학교 - 의정부역, 동부광장 - 호원2동 주민센터 - 장암주공 2.5단지 (2020년 12월 14일부로 방학동 미경유, 전기버스 운행)
- 8번: 홍죽리 차고지 - 가업리 - 어둔동고개 - 녹양동 - 가능역 - 의정부역, 흥선지하차도 - 의정부시장 - 중앙초등학교 (이하 홍죽리방면 역순, 전기버스 운행)
- 133번: 홍죽리 차고지 - 가래비 - 고릉말 - 양주역 - 녹양동 - 경민대학 - 의정부시청 - 호원가든아파트 - 회룡역 - 망월사역 3번출구 - 도봉산역 - 도봉역 - 신도봉사거리 - 우이1교 - 수유역 (전기버스 운행)
4. 3. 동두천시/연천군
평안운수 동두천/전곡 영업소에서 운행하는 노선은 다음과 같다.5. 이전 보유 노선
- 1번: 힐스테이트 - 광동고등학교 - 경민대학 - 다온중학교 - 의정부역, 동부광장 - 306보충대.탑석센트럴자이아파트 - 남양주시 별내면 청학리 (2024년 6월 10일 폐선)[1]
- 1-3번: 의정부역 서부광장 - (직통) - 306보충대앞 (매주 화요일에만 운행, 2014년 12월 폐선)
- 1-6번: 민락동 차고지(민락2지구) - 산곡마을 - 용현동 - 의정부역, 농협앞 - 구터미널 (1-5번 차량으로 운행)
- 2번: 가능동 차고지 - 경민대학 - 의정부역, 동부광장 - 의정부시외버스터미널 - 홈플러스 - 가톨릭대학교 의정부성모병원 (2015년 9월 1일 명진여객 21번으로 통합, 천보중학교앞 경유)
- 3-1번: 민락단지 - 홈플러스 - 백병원 - 의정부터미널 - 중앙로 - 의정부역 - 의정부시청 - 경민대학교 - 의정부고 - 종합운동장 - 입석마을
- 5-2번: 경민대학 - 의정부시청 - 의정부역 - 중앙로 - 굿모닝마트 - 장암동 - 회룡역 - 도봉산역 - 수락산역 - 노원구청
- 6번: 홍죽리차고지 - 복지리 - 광동고 - 가능동 - 의정부역 - 회룡역 - 망월사역 - 도봉산역 - 방학동(현 5번에서 분리되었으나 다시 통합)
- 7-1번: 양주시 삼숭동 자이아파트 - 노원역 (12-3번으로 노선변경, 양주시 구간은 7번버스 이용)
- 7-2번: 가능동 차고지 - 양주시 고읍지구 GS자이아파트 (새벽 시간대만 운행하며 공차운행)
- 8-1번: 의정부역 - 시장앞 - 가능역 - 녹양동 - 종합운동장 - 입석마을 (현 8-1번과 관련 없음)
- 8-1번: 귀락마을 - 부용마을 - 곤제역 - 의정부성모병원 - 금오초등학교 - 의정부터미널 - 의정부부대찌개거리 - 의정부역, 동부광장 - 의정부시장 (2018년 9월 2일 수요부족으로 폐선)
- 8-2번: 민락동 차고지(민락2지구) - 양지마을 - 이마트 민락점 - 충의중학교 - 용현초등학교 (2016년 4월 26일 신설후 8월부로 폐선, 의정부경전철 순환버스)
- 9번: 의정부시장 - 보훈회관ㆍKT 의정부지사 - 범골 (우성아파트)
- 9번: 의정부시 민락동 차고지(민락2지구) - 민락지구 - 경기도청 북부청사 - 의정부터미널 - 의정부여고 후문 - 녹양동 - 홍죽리차고지(명진여객으로부터 양도후 녹양동현대아파트 단축후 폐선)
- 10-1번: 의정부시 민락동 차고지(민락2지구) - 양지마을 - 롯데마트 - 산들마을주공 - 청구아파트 - <신평화로 경유> - 도봉차량기지 - 도봉산역 (명진여객으로 이관후 수유역으로 연장.)
- 11-1번: 수락리버시티 - 장암역 - 장암주공 - 신곡1동 - 의정부역 - 가능역 - 녹양동 - 입석마을
- 12-1번: 가능동 차고지 - 경민대학 - 다온중학교 - 의정부역, 동부광장 - 신곡동 - 의정부시 경기도교육청 북부청사 - 녹양역 - 가능동 차고지 (2018년 1월 30일~ 2018년 4월 16일, 편도 운행, 명진여객 10-5번 노선신설)
- 12-3번 (2018년 1월 19일 까지): 가능동차고지 - 경민대학 - 녹양역 - 경기도교육청북부청사 - 신곡중학교 - 장암주공 - 장암역 - 노원역 (경기고속, 대원운수에서 이관 받은 노선, 2018년 1월 19일 막차부로 폐선 후 1월 20일부로 노선변경)
- 12-3번 (2018년 1월 20일 ~ 2020년 1월 1일): 버스공영차고지 - 충의중학교 - 용현동 - 신곡지하차도 - 장암역 - 수락산역 - 노원역 (2020년 1월 2일 노선과 노선번호 변경)
- 12-5번: 의정부시 낙양동공영차고지 - 충의중학교 - 용현동 - 신곡지하차도 - 장암역 - 수락산역 - 노원역 (대원여객 1152번 대체 노선, 구 7-1번 -> 12-3번, 2020년 1월 2일 노선과 노선번호 변경, 2020년 5월 16일부로 수요부족으로 폐선)
- 22번: 가능동기점 - 경민대학 - 의정부역, 서부광장 - 의정부역, 동부광장 - 의정부시장앞(상행)/의정부경찰서(하행) - 의정부시외버스터미널 - 천보중학교 - 의정부성모병원 - 축석검문소 - 직동리 - 광릉 - 광릉내 - 진벌리 - 경복대학(남양주시) (2014-09-17~2015-01-11, 이후 명진여객으로 노선 양도 후 21번에 통합)
- 23-1번: 양주시 홍죽리차고지 - 의정부시 - 송추 (부곡리) (도시형버스 53번으로 변경, 현 23-1번과 무상관)
- 23-1번: 민락동 차고지(민락2지구) - 이마트 민락점 - 송산주공 - 경기도청북부청사 - 백병원 - 의정부터미널 - 가능역 - 본동입구 (통학용 노선으로 아침 3회 및 23번 차량으로 운행, 코로나19으로 인하여 운행중단)
- 30-1번: 경민대학교 - 의정부역 - 양주역 - 샘내 - 덕현초교 - TS3차 - 덕정역 (2012년부로 진명여객 노선 양도후 2014-09-13일부로 운행중단)
- 30-2번: 의정부역 - 우리상회 (진명여객에서 노선 양도후 양주역~경동대학교 양주캠퍼스 노선자체 변경)
- 30-2번: 경동대학교 양주캠퍼스 - 장거리교차로 - 광사동 - 양주역 (진명여객에서 양도 받은 노선이다. 2019년 10월 28일부로 폐선)
- 31번: 양주시 봉양동종점 - 의정부역 (덕정주공,덕계동,명물찌개거리,구터미널 경유) (2012년부로 진명여객으로 노선 양도했다.)
- 32번: 의정부공영버스 - 파주시 금촌동 (시외버스, 2011.07.01부터 대원고속에 노선 양도 후 2012.11.01부터 폐선, 현 신성여객 38번과 노선동일)
- 32-1번: 의정부버스터미널 - 가능역 - 양주시청 - 가납리 - 법원리 - 연풍리 - 파주리 - 월롱역 - 파주시청 - 파주시 금촌동 (구 132번 좌석버스, 32-1번->35-1번 변경)
- 35번: 의정부 구터미널 - 시장앞 - 306보충대 - 청학리 - 불암동 - 태릉입구 - 중화동 -청량리역 (현 35번과 무상관)
- 35-1번: 경민대학 - 석계역
- 35-1번: 의정부시 민락동차고지(민락2지구) ↔ 파주시 법원읍 법원리(35번에 통합)
- 36-1번: 소요산역 - 동두천역 - 덕정역 - 덕정주공 - 덕계동 - 양주시청 - 양주문예회관
- 36-1번(심야): 연천역 - 전곡역 - 초성리역 - 상봉암동 - 소요산역 - 송내주공 - 성음악기 - 덕계동 - 양주역 - 의정부1동 성당 - 가구거리 - 회룡역 - 다락원 - 도봉역 - 신도봉사거리 - 우이1교 - 수유역 (2019년 6월 27일을 기해 36번과 36-1번이 통합후 연천역~동두천역 구간은 연천교통 33(-1)번이 기존의 36-1번을 대체하게 된다.)
- 36-5번: 소요산역 - 송내지구 - 동두천 - 덕계동 - 양주역 - 의정부역 - 도봉산역 - 수유역 (2010년 7월 1일부로 36번에 통합)
- 37번 (도시형버스): 소요산역 - 수유역 (구.136번 일반좌석버스, 지행역 경유, 2011년 5월 31일부로 36번에 통합)
- 37번 (시외버스): 의정부버스터미널 - 어유지리 (도시형버스 52번으로 전환)
- 39-1번: 연천역 - 전곡시외버스터미널 - 소요산역 - 지행역 - 양주역 - 의정부역 - 도봉산역(2020년 1월 2일부로 39번에 통합)
- 39-3번: 전곡시외버스터미널 - 소요산역 - 보영여자중학교, 보영여자고등학교 - 덕정4거리 - 의정부역 - 도봉산역(2008년 11월 8일부로 폐선)
- 39-4번: 연천군 청산면 백의리 - 궁평초교 - 초성리 - 소요산역 - 동연사거리 - 지행역 - 성음악기 - 덕계동 - 양주역 - 녹양역 - 가능역 - 의정부역, 흥선지하차도 - 회룡역 - 도봉산역 (2008년 연천교통으로 노선을 이관하였으나 2009년 진명여객으로 노선을 이관하였으나 2010년에 다시 재이관 받았다, 2021년 4월 1일 폐지)
- 39-5번: 전곡역 - 소요산역 - 송내지구 - 덕계동 - 양주역 - 의정부역 - 도봉산역 (2008년 연천교통으로 노선 이관후 2011년 5월 31일부로 39번 통합)
- 39-6번: 소요산역 - 의정부역 - 수유역 (구 139-5번, 2008년 11월 8일부로 36-5번에 통합한 후 36번 통합)
- 50번: 양주시 홍죽2리 안골입구 - 의정부역 (진명여객에 양도)
- 51번: 양주시 비암2리 - 의정부역 (진명여객에 양도)
- 52번: 구터미널 - 가능역 - 양주역 - 26사단 - 가납리 - 상수리 - 구암리 - 신산리
- 53번: 구터미널 - 가능역 - 양주역 - 양주시청 - 26사단 - 가납리 (23-1번에서 단축), 의정부시 - 가납리 (노선변경 후 폐선)
- 55번: 양주시 홍죽리 안골 - 의정부역 (진명여객에 양도)
- 55-1번: 양주시 기산리 안고령 - 의정부역 (진명여객에 양도)
- 55-2번: 파주시 광탄면 영장삼거리 - 의정부역 (진명여객에 양도후 2015년 5월 1일 폐선)
- 132번: 의정부버스터미널 - 파주시 금촌동 (2003.06.01부터 32-1번 시내버스로 형간전환 후 금촌주공단지 연장운행.)
- 136번: 소요산 - 동두천 터미널 - 덕계동 - 양주시청 - 녹양역 - 가능역 - 의정부역 - 회룡역 - 도봉산역 - 방학역 - 쌍문역 - 수유역
- 136-5번: 소요산 - 동두천 - 덕계동 - 양주시청 - 녹양역 - 가능역 - 의정부역 - 회룡역 - 도봉역 - 방학역 - 쌍문역 - 수유역 (동두천 송내지구 경유)
6. 본점 및 지점
- 본점: 경기도 의정부시 평화로 692 (가능동)
- 양주영업소: 경기도 양주시 삼숭로58번길 263 (삼숭동)
- 홍죽리영업소: 경기도 양주시 백석읍 양주산성로 903
- 동두천영업소: 경기도 동두천시 평화로 2964-24 (상봉암동)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