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진여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명진여객은 1971년 설립된 버스 운송 회사로, 현재는 KD 운송그룹에 속해 있다. 의정부시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낙양동, 민락동, 의정부 영업소를 통해 다양한 시내 및 광역버스 노선을 운영한다. 과거에는 경기고속, 대원고속에 노선을 매각하거나, 양주영업소를 진명여객으로 분사하는 등 변화를 겪었다. 현재는 의정부, 서울, 상봉역 등을 잇는 노선들을 운행하고 있으며, 경기도형 준공영제에도 참여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1년 설립된 교통 기업 - 페덱스
페덱스는 1971년 프레더릭 W. 스미스가 설립한 미국의 운송 회사로, 특급 배송 서비스를 시작하여 다양한 사업 부문을 운영하며 성장해왔다. - 1971년 설립된 교통 기업 - 중앙고속
중앙고속은 1971년 설립되어 경부선, 호남선, 영동선, 구마선 등 주요 노선을 중심으로 전국 각지를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고속버스 및 시외버스 운송 기업이다. - KD운송그룹 - 세명고등학교 (충북)
1987년 충현고등학교로 개교하여 1994년 세명고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한 세명고등학교는 대원교육재단이 운영하는 충청북도의 사립 고등학교로, 꾸준한 시설 확장을 통해 다양한 학습 및 편의 시설을 갖추고 2023년 2월 기준 11,207명의 졸업생을 배출했다. - KD운송그룹 - 고양종합터미널
고양종합터미널은 경기도 고양시에 위치한 종합버스터미널로, 2012년 개장 후 화재 사고를 겪었으나 재개장하여 현재 전국 각지로 시외·고속버스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 - 의정부시의 교통 - 수도권 전철 1호선
수도권 전철 1호선은 대한민국 최초의 지하철 노선이자 수도권 전철의 핵심 노선으로, 1974년 개통 이후 경원선, 경부선, 경인선, 장항선 등 여러 노선을 경유하며 한국철도공사와 서울교통공사가 공동 운영하고 완행 및 급행 열차를 운행한다. - 의정부시의 교통 - 국도 제3호선
국도 제3호선은 경상남도 남해군에서 강원도 철원군까지 이어지는 일반 국도로, 1971년 삼천포-초산선으로 지정된 후 노선 변경 및 확장을 거쳐 현재에 이르며, 여러 도시를 경유하고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다.
명진여객 - [회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어 | Myungjin Passenger LP. |
종류 | 합자회사 |
창립 | 1971년 2월 6일 |
시장 정보 | 비상장 |
장소 | 경기도 의정부시 송현로 128 (낙양동) |
사업 지역 | KD운송그룹민락영업소 : 경기도 의정부시 용민로 503 (송산동) KD운송그룹의정부영업소 : 경기도 의정부시 평화로 692 (가능동) |
국가 | 대한민국 |
인물 | 허명회 (그룹 회장) 허상준 (대표사원) |
산업 | 운수업 |
제품 | 시내버스 |
모기업 | KD운송그룹 |
웹사이트 | KD운송그룹 |
2. 역사
명진여객은 1971년 2월 6일에 설립된 경기도 의정부시의 버스 회사이다.[1] 1975년 본사를 의정부시 금오동으로 이전하였고, 1995년에는 동두천시 지행동에 지점을 설치하였다.[1]
1990년대 후반 경기고속, 대원고속에 일부 노선을 매각하여 현재 13번, 15번, 15-1번, 16번 노선만 운행하고 있다.[1] 2003년 양주영업소를 진명여객으로 분사했고, 2004년에는 오산시외버스터미널~신논현역 간 시외버스 노선을 용남고속에 양도했다(현 직행좌석버스 5300번).[1]
2008년 KD운송그룹에 인수되어 허상준이 경영을 시작했다.[1] 2020년 서울, 동두천, 금오동 영업소 지점이 폐쇄되었다.[1]
2. 1. 연혁
- 1971년 2월 6일: 회사 설립[1]
- 1975년 5월 30일: 본사를 의정부시 금오동으로 이전[1]
- 1995년 12월 30일: 경기도 동두천시 지행동에 지점 설치.[1]
- 1990년대 후반: 경기고속, 대원고속에 노선을 매각. (13번, 15번, 15-1번, 16번만 현재 존재)[1]
- 2003년: 양주영업소를 방계회사인 진명여객으로 분사[1]
- 2004년 4월: 시외버스 오산시외버스터미널 ~ 신논현역 노선을 용남고속으로 양도 (현재는 직행좌석버스 5300번으로 형간 전환됨)[1]
- 2004년 12월 27일: 최초로 좌석버스 1000번(의정부~종로1가) 신설.[1]
- 2005년 초: 시내버스 72-1번을 선진시내버스에서 인수.[1]
- 2007년 5월 5일: 좌석버스 1000번을 1001번으로 노선 변경.[1]
- 2008년: 의정부터미널차고지 폐쇄로 1-1번, 1-2번, 111번은 민락동공영차고지로, 21번은 가능동차고지로, 25번과 25-1번은 의정부차고지로 종점 변경.[1]
- 2008년: 28번을 진명여객으로 이관.[1]
- 2008년 5월 8일: 진명여객과 함께 KD운송그룹으로 인수, 허상준 (허명회의 아들) 경영 시작.[1]
- 2008년 8월 9일: 22-1번 최종 폐지.[1]
- 2011년 1월 1일: 좌석버스 1001번을 도시형 111번으로 노선 변경, 진명여객 22번(덕정동) 인수.[1]
- 2012년 3월 2일: 시내버스 22번(덕정동) 신한대학교 동두천캠퍼스 단축 및 수유역 연장[1]
- 2012년 4월: 시내버스 22번(덕정동) 37번으로 번호 변경.[1]
- 2012년 5월: 10-5번 노선 폐선.[1]
- 2012년 5월 22일: 본점을 의정부시 금오동에서 낙양동으로 이전[1]
- 2012년 7월 9일: 경기운수 2번 신설로 1-6번 폐선.[1]
- 2012년 8월 20일: 경기운수 2번 폐지로 1-2번 신설.[1]
- 2012년 9월 9일: 17번 노선 폐선.[1]
- 2014년 9월 13일: 21-1번 노선 폐지.[1]
- 2015년 1월 11일: 22번 (의정부역~남양주 경복대) 노선 신설.[1]
- 2015년 3월 9일: 10-2번 신설, 10-1번 수유역 연장 및 37번 의정부역 단축.[1]
- 2015년 5월 8일: 37번 최종 폐지.[1]
- 2015년 5월 11일: 22번(의정부)에서 21번에 통합.[1]
- 2015년 8월 2일: 지선버스 대원여객 1152번 폐선으로 도시형 111번 민락2지구 연장.[1]
- 2015년 7월 14일: 신성운수의 불광역 - 의정부 노선인 34번과 360번 인수.[1]
- 2015년 8월 31일: 평안운수 2번 폐선 후 기존 노선 21번에 통합, 경민대 연장, 홈플러스 경유, 민락2지구 경유.[1]
- 2015년 9월 21일: 21번 금곡교~본자일입구 구간 기존 운행, 곤제역~귀락마을 구간 미운행, 72-1번 경기도청북부청사역 경유.[1]
- 2016년 2월 1일: 1-3번 출근급행 버스 신설 및 하행 시 기존 노선 운행 (하행 시 1-1번 기존 운행).[1]
- 2016년 3월 27일: 26번, 27번 (의정부-남면산업단지) 구간 신설 운행[1]
- 2017년 1월 1일: 경기도 의정부시 호국로에 금오동영업소 설치.[1]
- 2017년 8월: 시내버스 10-3번 신설[1]
- 2018년 1월 20일: 시내버스 111번 신평화로 경유 직통으로 노선 변경[1]
- 2018년 3월 1일 ~ 6월 30일: 경기도청 북부청사 리모델링 공사로 우회 운행 (10번, 72-1번)[1]
- 2018년 4월 16일 : 시내버스 10-5번 (의정부차고지~도봉산역) 신설 운행[1]
- 2018년 5월 28일 : 가능동차고지 폐선으로 시내버스 21번 경기운수 양도, 시내버스 21-1번 폐선.[1]
- 2018년 7월 12일 : 시내버스 10-5번 노선 폐선[1]
- 2019년 4월 8일 : 시내버스 111번 하계역 단축, 시내버스 10-1번 송산동-도봉산역 단축, 시내버스 10-3번 정규 노선화[1]
- 2020년 1월 2일 : 시내버스 10-3번 평일 출퇴근 시간대 운행 노선으로 변경.[1]
- 2020년 1월 9일 : 시내버스 1-2번 의정부시 구간 미경유, 갈매지구 구간 경유, 경기여객에 양도.[1]
- 2020년 3월 12일 : 시내버스 25번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해 운행 중단[1]
- 2020년 4월 20일 : 시내버스 10번 노선 폐선[1]
- 2020년 12월 14일 : 시내버스 34번 의정부역, 양지마을 경유[1]
- 2020년 12월 28일: 서울, 동두천, 금오동영업소 지점 폐쇄.[1]
- 2021년 8월 2일 : 시내버스 111번 대원여객 간선버스로 이관.[1]
- 2022년 5월 26일: 직행좌석버스 1102번 (의정부~서울역) 신설[1]
- 2022년 10월 25일 : 시내버스 57-1번 신설[1]
- 2024년 1월 1일 : 25-1번 버스 경기도형 준공영제인 시내버스 공공관리제 시행[1]
- 2024년 3월 4일 : 직행좌석버스 1205번 (의정부~상봉역) 신설[1]
3. 운행 노선
2021년 1월 기준으로, 명진여객은 총 12개의 시내버스 노선을 보유하고 있으며, 등록된 차량 대수는 86대이다.[1]
운행업체 | 보유 노선 수 | 등록 대수 |
---|---|---|
명진여객 (KD) | 12 | 86 |
명진여객은 낙양동 본사, 민락동 영업소, 의정부 영업소에서 다양한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 각 노선에 대한 간략한 정보는 다음과 같다.
- '''낙양동 본사 노선:''' 1-1번, 1-3번(출근형), 10-1번, 72-1번, 57-1번, 1102번, 1205번
- '''민락동 영업소 노선:''' 10-2번, 10-3번
- '''의정부 영업소 노선:''' 25-1번, 360번
(하위 섹션에서 이미 상세하게 다루고 있으므로, 여기서는 노선 목록만 간략하게 제시한다.)
3. 1. 시내버스
노선번호 | 기점 | 종점 | 주요 경유지 | 비고 |
---|---|---|---|---|
1-1번 | 의정부시 낙양동공영차고지 | 강변역 | 경기도청북부청사, 의정부터미널, 의정부시장, 306보충대, 탑석센트럴자이아파트, 청학리, 퇴계원, 구리시립묘지, 배탈고개, 교문사거리, 구리경찰서 | B번 승강장에 정차[1] |
1-3번(출근형) | 의정부시 낙양동공영차고지 | 강변역 | 경기도청북부청사, 제일시장앞, 만가대, 수락산입구, 청학리주공5단지, 임송, 퇴계원극동아파트, 동구동주민센터, 배탈고개, 구리시청, 구리경찰서 | 하행시 1-1번 기존 경로운행, 2016-02-01 신설, 1-1번차량으로 운행, B번 승강장에 정차[2] |
10-1번 | 의정부시 낙양동공영차고지 | 도봉산역 | 롯데마트, 충의중학교, 산들마을주공, 청구아파트, 만가대사거리, <신평화로 경유> | 평안운수에서 받은 노선, 2019년 4월 8일부터 노선 변경 |
72-1번 | 의정부시 낙양동공영차고지 | 노원역 | 송산주공, 홈플러스 의정부점, 신곡중학교, 장암역, 수락산역, 상계주공7단지, 광림교회 | 9번출구, 2005년에 선진시내버스에서 받은 노선 |
57-1번 | 홈플러스 의정부점 | 장암역 | 천보중학교, 의정부우체국, e편한세상신곡포레뷰스타아파트, 석림사입구 | 2022년 10월 25일부로 신설 |
1102번 | 의정부시 낙양동공영차고지 | 서울역버스환승센터 | 송산주공9단지, 효자중학교, 경기도청북부청사, 신곡동e편한세상, 신곡현대아파트, 구.306보충대, 솔뫼중학교, <신평화로 경유>, 도봉산역(중), <도봉로 경유>, 수유역(중), <동소문로 경유>, 명륜3가(상)/혜화역(하), 종로2가(중), <남대문로 경유> | 2022년 5월 26일 신설 |
1205번 | 의정부시 낙양동공영차고지 | 상봉역 | 송양고등학교, 민락엘레트19단지후문, 고산대방노블랜드, 고산한양수자인2.3단지, 동의정부IC(경유), <구리포천고속도로 경유>, <북부간선도로 경유>, 신내능마을, 망우역, 망우지구대(중) | 2024년 3월 4일 신설 |
10-2번 | 의정부시 민락동 차고지(민락2지구) | 도봉산역 | 양지마을, 부용마을아파트, 이마트, 활기체육공원, <신평화로 경유> | 2015년 3월 9일 신설 |
10-3번 | 의정부시 민락동 차고지(민락2지구) | 도봉산역 | 송양고등학교, 부용마을아파트, 민락중학교, 만가대사거리, <신평화로 경유> | 2020년 1월 2일부터 평일 출퇴근 시간에만 운행으로 변경 |
25-1번 | 의정부시 경기도교육청 북부청사 | 적성터미널 | 의정부역, 농협앞, 가능역, 양주역, 덕계동, 덕정역, 은현면, 남면 구암리 LCD 산업단지, 25사단, 범륜사 | 구 125번 -> 25-2번, 2024년 1월 1일부터 경기도형 준공영제 실시 |
360번 | 의정부시 금오중학교 | 불광역 | 의정부공고, 경민대학, 송추유원지, 장흥, 삼하리, 지축지구, 은평뉴타운, 구파발역 | 구 36번, 신성운수에서 이관 받은 노선 |
1-2번 | 의정부버스터미널 | 남양주시 금곡동 | 시장앞, 306보충대, 청학리, 덕송리, 화접리, 교문사거리, 도농동(남양주군청) | 구리시 교문사거리 경유, 현 1-2번과 무상관 |
1-2번 | 청학리 | 강변역 | 별내리슈빌아파트, 별내역, 갈매스타힐스, 배탈고개, 교문사거리, 구리경찰서 | B번 승강장에 정차, 2020년 1월 9일부로 의정부시구간은 미경유, 경기여객으로 양도 |
1-6번 | 의정부시 낙양동차고지 | 강변역 | 경기도북부청사, 의정부터미널, 용현동, 남양주시 청학리, 중말삼거리, 주을래마을, 동구릉, (구리시 교문사거리) | 주을래마을 경유 |
9번 | 의정부시 민락동차고지 | 녹양동현대아파트 | 송양초교, 이마트, 산들마을4단지, 민락중학교, 산들마을1단지, 송산주공, 경기도북부청사, 신곡동, 의정부터미널, 가능역, 신촌교차로 | 의정부 코스트코 경유, 평안운수으로부터 인수 |
10번 | 의정부시 송산동종점 | 도봉산역 | 금오주공3단지, 과학도서관, 신곡중학교, 장암주공, 회룡역, 호원중학교 | 2020년 4월 20일부로 폐선 |
10-2번 | 의정부시 자일동 귀락마을 | 도봉고등학교 | 송양초교, 산들마을, 롯데마트, 효자중학교, 홈플러스, 의정부우체국, 신곡동, 장암주공, 회룡역, 망월사역 | 산들마을아파트-도봉산역 구간은 명진여객 10번과 동일, 현 10-2번과 무상관 |
10-3번 | 의정부시 낙양동차고지 | 도봉산역 | 효자중학교, 홈플러스, (금신로 직통), 용현동, 장암주공, 회룡역, 망월사역 | 민락1지구 경유, 신평화로 직통 |
10-5번 | 의정부시 민락동 | 도봉산역 | 의정부성모병원, 롯데마트(장암점), 하수처리장 | 장암동 롯데마트 경유 |
10-5번 | 의정부시차고지 | 도봉산역 | 녹양역, 경기도교육청 북부청사, 신곡중학교, 장암주공, 발곡중학교, 회룡역, 망월사역 | 2018년 4월 16일 신설, 평안운수 12-1번 대체 노선, 2018년 7월 12일 폐선 |
17번 | 의정부시 민락동 | 당고개역 | 홈플러스, 효자중학교, 송산주공, 청구아파트, 의정부교도소, 덕릉교장 | 출퇴근 시간대만 운행 |
20번 | 민락동차고지 | 의정부성모병원 | 롯데마트, 산들마을, 청구아파트, 용현동, 의정부역, 의정부버스터미널, 천보중, 홈플러스의정부점, 경기북부지방경찰청 | |
20-1번 | 롯데마트 | 장암지구 | 만가대, 306보충대, 롯데, 신도아파트 | |
21번 | 가능동기점 | 경복대학(남양주시) | 경민대학, 의정부역 서부/동부광장, 의정부시장앞(상행)/의정부경찰서(하행), 의정부시외버스터미널, 천보중학교, 의정부성모병원, 축석검문소, 직동리, 광릉, 광릉내, 진벌리 | 평안운수 2번 통폐합, 2018년 5월 28일부터 경기운수로 양도 |
21-1번 | 가능동기점 | 직동리 | 경민대학, 의정부역 서부/동부광장, 의정부시장앞(상행)/의정부경찰서(하행), 의정부시외버스터미널, 천보중학교, 의정부성모병원, 축석검문소 | 2018년 5월 28일부로 경기운수로 부터 양도 후 폐선 |
21-1번 | 경복대학(남양주시) | 경민대학 | 21번 차량으로 운행 후 본노선에 통합 | |
22번 | 가능동기점 | 경복대학(남양주시) | 경민대학, 의정부역 서부/동부광장, 의정부시장앞(상행)/의정부경찰서(하행), 의정부시외버스터미널, 천보중학교, 의정부성모병원, 축석검문소, 직동리, 광릉, 광릉내, 진벌리 | 평안운수에서 노선 인수, 2015년 5월 11일 21번에 통합 |
22번 | 양주시 덕정주공 | 의정부역 | 덕계동, 샘내, 양주역, 가능역, 흥선지하차도 | 덕정성당 경유, 37번으로 노선변경 |
22-1번 | 양주시 덕정주공 | 의정부역 | 덕정상당, 덕계동, 양주역, 가능역, 흥선지하차도 | 덕정성당 경유, 진명여객 31번 대체 |
25번 | 의정부시 경기도교육청 북부청사 | 적성터미널 | 의정부역, 농협앞, 가능역, 양주역, 덕계동, 덕정사거리, 은현면, 남면 구암리 LCD 산업단지, 25사단, 범륜사 | 덕정역 미경유, 코로나19으로 인하여 운행중단 |
25-2번 | 서정대학교 | 도봉산역 | 양주경찰서, 덕계동, 양주역, 의정부터미널, 장암지구 | 도시형버스 25-1번으로 통합후 적성터미널 ~ 의정부시 경기도교육청 북부청사 노선변경 |
25-2번 | 의정부시 경기도교육청 북부청사 | 남면행정복지센터.남면농협 | 의정부역, 농협앞, 가능역, 양주역, 덕계동, 덕정역, 은현면, 남면 구암리 LCD 산업단지 | 2024년 2월 1일부로 폐선, 양주교통 91-1번으로 대체 |
26번 | 의정부시 경기도교육청 북부청사 | 적성터미널 | 의정부역, 농협앞, 가능역, 양주역, 덕계동, 덕정사거리, 은현면, 남면 구암리 LCD 산업단지, 25사단, 범륜사 | 25번 차량으로 오전운행, 일자 미상 폐선 |
27번 | 의정부시 경기도교육청 북부청사 | 적성터미널 | 의정부역, 농협앞, 가능역, 양주역, 덕계동, 덕정사거리, 은현면, 남면 구암리 LCD 산업단지, 25사단, 범륜사 | 25번 차량으로 오후운행, 일자 미상 폐선 |
28번 | 양주시 덕정역 | 은현면 봉암리 | 덕정주공, 덕정역, 서정대학, 은현면사무소 | 2008년부로 진명여객으로 노선 양도 |
34번 | 의정부시 양지마을 | 불광역 | 금오중학교, 구터미널, 의정부역, 농협앞, 의정부공고, 경민대학, 송추유원지, 예비군훈련장, 북한산성, 은평뉴타운, 구파발역 | 신성운수에서 이관 받은 노선, 2024년 7월1일부로 운행중단, 이후 노선 인가를 진명여객의 양주37번으로 넘기면서 폐선 |
37번 | 동두천시 한북대학교 | 의정부역 | 동두천, 덕정사거리, 덕계동, 양주시청 | 구 22번, 진명여객에서 이관 받은 노선, 2015년 5월 8일 폐선 |
111번 | 의정부시 민락동 차고지(민락2지구) | 하계역 | 송양초등학교, 송산초등학교, 민락중학교, 만가대사거리, <신평화로 경유>, 쌍암사입구, 장암역, 수락산역, 도봉면허시험장, 중계역 | 구 1000번-> 1001번, 2018년 1월 20일부터 노선 변경, 2019년 4월 8일부터 노선 변경, 2021년 8월 2일 폐선후 서울면허인 대원여객으로 양도 |
125번 | 신산리 | 도봉산역 | 서정대학, 덕계동, 양주역, 의정부 | 25-2번으로 변경및 노선변경 |
3. 2. 직행좌석버스
- 1102번: 의정부시 낙양동공영차고지 - 송산주공9단지 - 효자중학교 - 경기도청북부청사 - 신곡동e편한세상 - 신곡현대아파트 - 구.306보충대 - 솔뫼중학교 - <신평화로 경유> - 도봉산역(중) - <도봉로 경유> - 수유역(중) - <동소문로 경유> - 명륜3가(상) / 혜화역(하) - 종로2가(중) - <남대문로 경유> - 서울역버스환승센터 (2022년 5월 26일 신설)[1]
- 1205번: 의정부시 낙양동공영차고지 - 송양고등학교 - 민락엘레트19단지후문 - 고산대방노블랜드 - 고산한양수자인2.3단지 - 동의정부IC(경유) - <구리포천고속도로 경유> - <북부간선도로 경유> - 신내능마을 - 망우역, 망우지구대(중) - 상봉역 (2024년 3월 4일 신설)[2]
3. 3. 공공버스(경기도형 준공영제)
1-1한국어번: 의정부시 낙양동공영차고지 - 경기도청북부청사 - 의정부터미널 - 의정부시장 - 306보충대.탑석센트럴자이아파트 - 청학리 - 퇴계원 - 구리시립묘지 - 배탈고개 - 교문사거리 - 구리경찰서 - 강변역 (B번 승강장에 정차)1-3한국어번(출근형): 의정부시 낙양동공영차고지 - 경기도청북부청사 - 제일시장앞 - 만가대 - 수락산입구 - 청학리주공5단지 - 임송 - 퇴계원극동아파트 - 동구동주민센터 - 배탈고개 - 구리시청 - 구리경찰서 - 강변역 (B번 승강장에 정차함)(하행시 1-1한국어번 기존 경로운행, 2016-02-01 신설, 1-1한국어번차량으로 운행)
10-1한국어번: 의정부시 낙양동공영차고지 - 롯데마트 - 충의중학교 - 산들마을주공 - 청구아파트 - 만가대사거리 - <신평화로 경유> - 도봉산역 (평안운수에서 받은 노선이다. 2019년 4월 8일부터 노선 변경)
72-1한국어번: 의정부시 낙양동공영차고지 - 송산주공 - 홈플러스 의정부점 - 신곡중학교 - 장암역 - 수락산역 - 상계주공7단지, 광림교회 - 노원역 9번출구 (2005년에 선진시내버스에서 받은 노선이다.)
57-1한국어번: 홈플러스 의정부점 - 천보중학교 - 의정부우체국 - e편한세상신곡포레뷰스타아파트 - 장암역, 석림사입구 (2022년 10월 25일부로 신설노선)
1102한국어번: 의정부시 낙양동공영차고지 - 송산주공9단지 - 효자중학교 - 경기도청북부청사 - 신곡동e편한세상 - 신곡현대아파트 - 구.306보충대 - 솔뫼중학교 - <신평화로 경유> - 도봉산역(중) - <도봉로 경유> - 수유역(중) - <동소문로 경유> - 명륜3가(상) / 혜화역(하) - 종로2가(중) - <남대문로 경유> - 서울역버스환승센터 (2022년 5월 26일 신설노선)
1205한국어번: 의정부시 낙양동공영차고지 - 송양고등학교 - 민락엘레트19단지후문 - 고산대방노블랜드 - 고산한양수자인2.3단지 - 동의정부IC(경유) - <구리포천고속도로 경유> - <북부간선도로 경유> - 신내능마을 - 망우역, 망우지구대(중) - 상봉역 (2024년 3월 4일 신설노선)
10-2한국어번: 의정부시 민락동 차고지(민락2지구) - 양지마을 - 부용마을아파트 - 이마트 - 활기체육공원 - <신평화로 경유> - 도봉산역 (2015년 3월 9일 신설)
10-3한국어번: 의정부시 민락동 차고지(민락2지구) - 송양고등학교 - 부용마을아파트 - 민락중학교 - 만가대사거리 - <신평화로 경유> - 도봉산역 (2020년 1월 2일부터 평일 출퇴근 시간에만 운행으로 변경)
25-1한국어번: 의정부시 경기도교육청 북부청사 - 의정부역, 농협앞 - 가능역 - 양주역 - 덕계동 - 덕정역 - 은현면 - 남면 구암리 LCD 산업단지 - 25사단 - 범륜사 - 적성터미널 (구 125번 -> 25-2한국어번, 2024년 1월 1일부터 경기도형 준공영제 실시)
360한국어번: 의정부시 금오중학교 - 의정부공고 - 경민대학 - 송추유원지 - 장흥 - 삼하리 - 지축지구 - 은평뉴타운 - 구파발역 - 불광역 (구 36번, 이 노선은 신성운수에서 이관 받은 노선이다.)
4. 주요 차량
KD운송그룹에 인수되기 전에는 현대자동차의 버스 차종을 위주로 운용하였다.
- 자일대우 BS090 뉴 로얄미디
- 자일대우 BS106 뉴 로얄시티
- 자일대우 BS110 뉴 로얄논스텝
- 자일대우 FX116 하모니
-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 현대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프라임
참조
[1]
간행물
버스 등록 현황
https://www.gg.go.kr[...]
경기도청
2021-03-29
[2]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