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평화열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평화열차는 2014년 5월부터 경의선, 8월부터 경원선에서 운행을 시작한 관광 열차이다. '철마는 달리고 싶다'를 상징하는 기관차 디자인과 평화를 상징하는 디자인으로 구성되었다. 2019년 전철화 공사 및 아프리카돼지열병 확산 우려로 운행이 중단되었으며, 디젤 동차 수명 만료로 인해 폐지되었다. 경의선은 문산~임진강 구간에 셔틀 전동차가 운행하고 있으며, 경원선은 수도권 전철 1호선과 대체 버스가 운행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철도 여행 -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는 1999년부터 한국 철도 100주년을 기념하여 제작되었으며, 주요 역과 철도 관련 시설에 비치되어 철도 팬과 여행객에게 의미를 지니지만, 일부 스탬프는 비치 장소 변경 또는 날인 불가능한 경우가 있어 확인이 필요하다.
  • 철도 여행 - 바다열차
    2007년부터 2023년까지 동해안 해안 절경을 감상하며 강릉시, 동해시, 삼척시를 잇는 관광 열차였던 바다열차는 도시통근형 디젤 액압 동차를 개조한 한국철도 9501계 디젤 동차를 사용하여 특실, 가족실, 스낵바 등으로 구성되었으나, 잦은 노선 변경과 차량 노후화, 지자체의 재정 지원 부족으로 인해 운행이 중단되었다.
  • 대한민국의 철도 운행 계통 - 무궁화호
    무궁화호는 대한민국의 여객열차로, 1983년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새마을호와 통일호의 중간 등급으로 장거리, 지방 노선의 역할을 해 왔으며, 2004년 이후 지방 노선의 주력 열차가 되었으나, 현재는 노후화된 차량과 ITX-마음의 등장으로 운행 구간과 정차역에 변화가 생기고 있다.
  • 대한민국의 철도 운행 계통 - ITX-새마을
    ITX-새마을은 2014년 5월 12일부터 운행을 시작한 한국철도공사의 간선 전기 동차로, 경부선, 호남선, 전라선, 경전선, 동해선, 중앙선 등 다양한 노선에서 운행되며, 2013년에 총 23편성이 도입되었다.
  • 대한민국의 철도 차량 - 우진산전
    우진산전은 1974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철도 차량 시스템 및 전기차 부품 제조 기업으로, 도시철도 차량, 경전철, 전기버스 등의 기술 개발과 국내외 사업 참여를 통해 성장해왔으며, VVVF 장치, 아폴로 전기버스 등을 생산하고 ISO 인증을 획득하여 품질 및 환경 관리 시스템을 갖추었다.
  • 대한민국의 철도 차량 - KTX-이음
    KTX-이음은 현대로템이 제작한 대한민국 최초의 상용 고속전동차로, 동력분산식 시스템과 친환경 공조시스템을 갖춘 6량 편성의 열차이며, 현재 중앙선, 강릉선, 영동선, 중부내륙선 등에서 운행되고 우즈베키스탄에 기술 수출에도 성공했다.
평화열차
개요
플랫폼에서 대기 중인 DMZ 트레인, 또는 평화 열차.
플랫폼에서 대기 중인 DMZ 트레인, 또는 평화 열차.
이름DMZ 트레인 (평화 열차)
로마자 표기Pyeonghwa Yeolcha
일반 정보
유형관광 열차
테마 열차
상태운행 종료
국가대한민국
운영사한국철도공사
이전 운영사해당사항 없음
첫 운행서쪽: 2014년 5월 4일
동쪽: 2014년 8월 1일
마지막 운행2023년 12월 28일
노선서쪽: 5개 역
동쪽: 8개 역
기점서울역
종점도라산역
백마고지역
사용 노선경의선
경원선
기술 정보
차량한국철도공사 CDC
기타
웹사이트해당사항 없음

2. 역사

2013년 중반 이후 평화생명관광열차 운행 계획이 확정되면서 DMZ-train 운행이 논의되기 시작했다. 햇볕정책에 따라 2002년 4월에 시작되었던 도라산역 여객 서비스가 2010년에 중단된 이후, 4년 만에 재개되는 것이었다.[7][8] 도라산역은 평양에서 205km, 서울역에서 56km 떨어져 있으며, "이곳은 남쪽의 마지막 역이 아니라 북쪽으로 가는 첫 번째 역입니다"라는 표지판이 있다.[6]

2014년 8월 1일에는 경원선 서울역 - 백마고지역 구간(100km) 노선이 개통되었다.[10] 강원도 철원군에 있는 백마고지역은 현재 개방된 마지막 역이며, 이후로는 DMZ 내에 있는 월정리역(현재 폐쇄됨)과 20세기 초 서울에서 기차가 도착했지만 한국 분단 이후 중단된 원산역이 있다.[11][12]

경의선은 문산~임진강 구간에 셔틀 전동차가 운행하고 있으며 임진강~도라산 구간은 운행 중지 상태이다. 경원선은 동두천~연천 구간은 수도권 전철 1호선이, 연천~백마고지 구간은 대체버스가 운행하고 있다.

2. 1. 운행 시작과 중단

2013년 중반 이후부터 평화생명관광열차 운행 계획이 확정되어 통근형 차량 개조가 논의되기 시작하였다. 당초 2013년 10월 무렵에 운행을 시작할 예정이었으나, 차량 개조 업체 선정에 난항을 겪다가 철도 노조의 파업까지 연속으로 닥치며 운행 개시일이 지연되었다. 정식 운행 개시 전날인 2014년 5월 3일 열차 개통식을 진행할 예정이었으나, 당시 세월호 침몰 사고로 말미암은 국가적 애도 분위기로 개통식 자체만 연기되어 2014년 7월 31일에 DMZ트레인 개통식이 진행되었다.

2014년 5월 4일부터 경의선, 2014년 8월 1일부터 경원선에서 3량 디젤동차 편성으로 운행을 시작하였다. 북쪽 선두차에는 '철마는 달리고 싶다'로 상징되는 장단역의 녹슨 증기기관차를, 중간차와 남쪽 선두차에는 평화를 상징하는 빨강과 파랑 옷의 동서양 남녀노소가 손을 맞잡은 모습을 디자인하였다.[20]

2019년 4월 1일부터 소요산~연천 구간 전철화 및 선로 이설 공사 관계로 경원선 동두천~백마고지 통근열차 운행 임시 중단과 동시에 경원선 노선은 운행이 중지되었고,[21] 2019년 10월 2일부터 아프리카돼지열병 발병 확산 우려로 경의선 노선도 운행이 임시 중단되었다.[18] 2020년부터는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아프리카 돼지열병이 종결되어도 운행 중지 상태가 유지되었으며, 이후 코로나19가 종결되어 가는 현재에는 디젤 동차의 수명 만료로 인해 운행 재개 없이 폐지되었다.

3. 운행 구간 및 정차역

DMZ-train은 2014년 5월 4일 경의선에서 처음 운행을 시작했고, 2014년 8월 1일 경원선에서 운행을 시작했다.[20] 경의선은 서울역에서 도라산역까지 운행하며, 임진강의 임진강 철교를 건너 경기도 파주시 비무장 지대(DMZ) 근처에 도착한다.[3][4][5] 경원선은 서울역에서 백마고지역까지 운행한다.[10][11]

열차는 3가지 테마의 객실을 가지고 있는데, "평화", "화합", "사랑"을 주제로 꾸며져 있다. 객차 내부 천장에는 바람개비가 있고, 벽에는 전쟁, 기차, 생태를 주제로 한 DMZ 사진이 전시되어 있다.[2][9]

2019년 4월 1일부터 소요산~연천 구간 전철화 및 선로 이설 공사로 경원선 운행이 중지되었고,[21] 2019년 10월 2일부터 아프리카돼지열병 확산 우려로 경의선 운행도 임시 중단되었다.[18] 이후 코로나19 사태와 디젤 동차의 수명 만료로 인해 운행이 재개되지 않고 폐지되었다.


3. 1. 경의선

2014년 5월 4일부터 운행을 시작하였다.[20] 북쪽의 선두차에는 '철마는 달리고 싶다'로 상징되는 장단역의 녹슨 증기기관차를, 중간차와 남쪽의 선두차에는 평화를 상징하는 빨강과 파랑 옷의 동서양 남녀노소가 손을 맞잡은 모습을 디자인하였다.

임진강 철교


임진강역에서 승객들은 신분 확인과 인원 점검을 위해 하차해야 하는데, 도라산역이 민간인 통제 구역 내에 위치한 유일한 기차역이기 때문이다.[1]

2019년 10월 2일부터 아프리카돼지열병 발병 확산 우려로 운행이 임시 중단되었다.[18] 2020년부터는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운행 중지 상태가 유지되었으며, 이후 디젤 동차의 수명 만료로 인해 운행 재개 없이 폐지되었다. 문산~임진강 구간에는 셔틀 전동차가 운행하고 있으며, 임진강~도라산 구간은 운행 중지 상태이다.

3. 2. 경원선

2014년 8월 1일부터 3량 디젤동차 편성으로 운행을 시작하였다. 북쪽의 선두차에는 '철마는 달리고 싶다'로 상징되는 장단역의 녹슨 증기기관차를, 중간차와 남쪽의 선두차에는 평화를 상징하는 빨강과 파랑 옷의 동서양 남녀노소가 손을 맞잡은 모습을 디자인하였다.[20]

2019년 4월 1일부터 소요산~연천 구간 전철화 및 선로 이설 공사 관계로 경원선 동두천~백마고지 통근열차 운행이 임시 중단되었고,[21] 이후 코로나19 사태와 디젤 동차의 수명 만료로 인해 운행 재개 없이 폐지되었다. 경원선 동두천~연천 구간은 수도권 전철 1호선이, 연천~백마고지 구간은 대체 버스가 운행하고 있다.

2017년 7월 1일 기준 정차역은 다음과 같다.[19]

백마고지역은 한국에서 일반적인 여객 영업을 하는 역 중 최북단에 위치해 있다.

4. 열차 디자인 및 특징

2013년 중반 이후 평화생명관광열차 운행 계획이 확정되어 통근형 차량 개조가 논의되기 시작하였다. 2014년 5월 4일부터 운행을 시작하였는데, 북쪽 선두차에는 '철마는 달리고 싶다'로 상징되는 장단역의 녹슨 증기기관차를, 중간차와 남쪽 선두차에는 평화를 상징하는 빨강과 파랑 옷의 동서양 남녀노소가 손을 맞잡은 모습을 디자인하였다.[20]

이 열차는 세 가지 테마의 객실을 가지고 있었다. 객차 내부에는 천장에 바람개비가 있고 벽에는 전쟁, 기차, 생태를 주제로 한 DMZ의 사진이 전시되어 있었다.[2][9] 각 객실은 다음과 같은 테마를 가지고 있다.


  • 평화 열차: 녹슨 증기 기관차 모티프를 사용하여 한반도의 분단을 상징
  • 화합 열차: 빨간색과 파란색 인물이 손을 잡고 있는 그림
  • 사랑 열차: 전 세계의 어른과 아이들이 손을 잡고 있는 그림


DMZ Train interior


5. 운임

자유석은 2일권 50000KRW, 3일권 70000KRW이었지만, 좌석 지정권은 2일권 70000KRW, 3일권은 100000KRW이었다. 나드리 패스를 구입하면 이 열차뿐만 아니라 일반 열차인 새마을호는 물론, 무궁화호의 특실도 좌석을 지정하여 승차할 수 있었다. 단, 이 지정석이 만석일 경우에는 입석으로 지정석 차량을 이용하거나, 자유석을 이용해야 했다.[1]

이 열차는 다른 관광 열차의 패스와는 달리 당일에 한해 이용이 가능했다. 경의선 DMZ Pass는 어른의 경우 16000KRW이었고, 경원선 DMZ Pass는 23000KRW이었다. 나드리 패스와는 달리, 63빌딩, 서울 시티투어 버스, N서울타워, 그랜드 앰배서더 등 연계 혜택이 있었다.[1]

요금은 서울 - 도라산 간이 8900KRW, 서울 - 백마고지 간이 12400KRW(어린이 반액)이었다. 단, 도라산역, 백마고지역(왕복)에서 발매 시에는 민통선 출입 절차를 밟아야 하므로, 신분증 또는 외국인의 경우 여권을 제시해야 했다.[1]

6. 평가 및 의의

DMZ-train은 햇볕정책에 따라 2002년 4월에 시작된 도라산역행 여객 서비스가 2010년 중단된 이후 4년 만에 재개된 것이다.[7][8] 경의선 (서울역-도라산역)과 경원선 (서울역-백마고지역) 두 노선으로 운행되었다.

열차 내부는 평화, 화합, 사랑을 주제로 한 세 가지 테마의 객실로 구성되었으며, 천장에는 바람개비가, 벽에는 전쟁, 기차, 생태를 주제로 한 DMZ의 사진이 전시되어 있었다.[2][9]

6. 1. 긍정적 평가

한겨레의 송인걸 기자는 2014년 6월 11일 도라산역으로 가는 첫 노선이 개통된 직후 첫 달 동안 약 1만 명의 승객이 평화열차를 이용했으며, "...북한에서 이주해 온 남한 사람들에게는 고향으로 가는 길이자 추억의 길이며, 젊은이들과 가족들에게는 한반도의 분단을 경험하는 방법이며, 해외 방문객들에게는 호기심을 자극하는 여행이다."라고 평화열차의 중요성에 대해 보도했다.[3]

BBC 뉴스의 기자 스티브 에반스는 2017년 7월 평화열차를 "세계에서 가장 기묘한 기차 여행 중 하나"라고 칭하며, "이것은 정치적인 여행이며, 기차가 운행하며 더 이상 갈 수 없다는 점을 강조하기 위해 설계되었다"고 말했다.[8]

6. 2. 부정적 평가

2019년 4월 1일 소요산~연천 구간 전철화 및 선로 이설 공사로 경원선 동두천~백마고지 통근열차 운행이 임시 중단되면서 경원선 노선은 운행이 중지되었다.[21] 2019년 10월 2일 아프리카돼지열병 확산 우려로 경의선 노선도 임시 중단되었다. 2020년부터는 코로나19 사태로 아프리카돼지열병이 종결되어도 운행 중지 상태가 유지되었으며, 이후 코로나19가 종결되어 가는 현재 디젤 동차의 수명 만료로 운행 재개 없이 폐지되었다.

BBC 뉴스의 스티브 에반스 기자는 2017년 7월 이 열차를 "세계에서 가장 기묘한 기차 여행 중 하나"라고 칭하며, "이것은 정치적인 여행이며, 기차가 운행하며 더 이상 갈 수 없다는 점을 강조하기 위해 설계되었다"고 말했다.[8]

7. 기타

2013년 중반 이후 평화생명관광열차 운행 계획이 확정되어 통근형 차량 개조가 논의되기 시작하였다. 당초 2013년 10월 무렵에 운행을 시작할 예정이었으나, 차량 개조 업체 선정에 난항을 겪고 철도 노조 파업까지 겹치며 운행 개시일이 지연되었다.[20] 2014년 5월 3일 열차 개통식을 진행할 예정이었으나, 세월호 침몰 사고로 인한 국가적 애도 분위기로 연기되어 2014년 7월 31일에 DMZ트레인 개통식이 진행되었다.

경의선은 2014년 5월 4일부터, 경원선은 2014년 8월 1일부터 3량 디젤동차 편성으로 운행을 시작하였다. 북쪽 선두차에는 '철마는 달리고 싶다'로 상징되는 장단역의 녹슨 증기기관차를, 중간차와 남쪽 선두차에는 평화를 상징하는 빨강과 파랑 옷을 입은 동서양 남녀노소가 손을 맞잡은 모습을 디자인하였다.[20]

2019년 4월 1일부터 소요산~연천 구간 전철화 및 선로 이설 공사로 경원선 동두천~백마고지 통근열차 운행이 임시 중단되면서 경원선 노선은 운행이 중지되었고,[21] 2019년 10월 2일부터는 아프리카돼지열병 발병 확산 우려로 경의선 노선도 운행이 임시 중단되었다. 2020년부터는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아프리카 돼지열병이 종결되어도 운행 중지 상태가 유지되었으며, 이후 코로나19가 종결되어 가는 현재에는 디젤 동차의 수명 만료로 인해 운행 재개 없이 폐지되었다. 경원선 동두천~연천 구간은 수도권 전철 1호선이, 연천~백마고지 구간은 대체버스가 운행하고 있다. 경의선 문산~임진강 구간에는 셔틀 전동차가 운행하고 있으며, 임진강~도라산 구간은 운행 중지 상태이다.

참조

[1] 웹사이트 Train ride to the DMZ https://www.koreatim[...] The Korea Times 2015-02-24
[2] 웹사이트 http://nk.chosun.com[...] NK Chosun 2016-12-04
[3] 웹사이트 Peace Train goes to DMZ, but can't take Koreans home http://english.hani.[...] The Hankyoreh 2015-02-24
[4] 웹사이트 http://www.yonhapnew[...] Yonhap/Reuters 2015-02-25
[5] 웹사이트 Craving peace on the DMZ train http://www.koreahera[...] The Korea Herald 2015-02-24
[6] 웹사이트 (Yonhap Feature) DMZ Train takes tourists to inter-Korean border http://english.yonha[...] Yonhap 2018-04-29
[7] 웹사이트 Train to Dorasan station in DMZ resumes http://koreajoongang[...] Korea JoongAng Daily 2018-04-29
[8] 웹사이트 The Seoul train that goes to the border and back https://www.bbc.com/[...] BBC News Online 2018-04-29
[9] 웹사이트 DMZ Train takes you to the border http://www.korea.net[...] Korea.net 2015-02-24
[10] 웹사이트 Battles of White Horse Hill https://www.koreatim[...] The Korea Times 2018-04-29
[11] 웹사이트 S. Korea puts 'peace train' to Cherwon in service http://english.yonha[...] Yonhap 2015-02-24
[12] 웹사이트 Train to Cheorwon takes visitors back to the past : Visit the northernmost station in South Korea for only 1,000 won http://koreajoongang[...] Korea JoongAng Daily 2018-04-29
[13] 웹사이트 DMZ Unification Train, dreaming of running freely from Seoul to Cherwon and far beyond https://www.dmz.go.k[...]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South Korea) 2018-04-29
[14] 웹사이트 New train line to North Korea http://www.korea.net[...] Korea.net 2015-02-24
[15] 웹사이트 동두천~백마고지 경원선 열차 다음달부터 2년간 올 스톱 https://mnews.joins.[...] 2019-07-08
[16] 웹사이트 [공지] DMZ-train(용산↔도라산) 운행조정 알림 http://www.letskorai[...] 2019-10-02
[17] 뉴스 5月から都羅山駅行きのDMZ-Train 運行再開へ http://news.naver.co[...] 뉴스원 (News 1 Korea) 2014-02-18
[18] 웹사이트 공지 DMZ-train(용산↔도라산) 운행조정 알림(公知 DMA-train(龍山↔都羅山)運行調整のお知らせ) http://www.letskorai[...]
[19] 웹사이트 공지사항 - 관광전용열차 운행구간조정 안내 (お知らせ - 観光専用列車の運行区間調整についてのご案内) http://www.letskorai[...]
[20] 뉴스 5월부터 'DMZ-train' "도라산역 관광 재개" https://news.naver.c[...] 뉴스원 2014-02-18
[21] 뉴스 동두천~백마고지 경원선 열차 다음달부터 2년간 올 스톱 https://www.joongang[...] 중앙일보 2019-07-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