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포뮬러 원 규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포뮬러 원(F1) 규정은 기술 규정에 맞는 차량만 경기에 참가할 수 있도록 정하고 있으며, 경기 규정, 라이선스, 챔피언십, 포인트 시스템, 파크 퍼미, 레이스 절차, 페널티, 안전 장비 등 세부적인 사항들을 포함한다. F1 경기는 305km 이상(모나코 그랑프리는 260km 이상)의 거리를 주행하며, 드라이버와 팀은 FIA 슈퍼 라이선스를 소지해야 한다. 드라이버 및 컨스트럭터 챔피언십은 각 그랑프리에서의 순위에 따라 점수를 부여하여 결정되며, 깃발 신호를 통해 드라이버에게 경기 정보를 전달한다. 다양한 반칙 행위에 대한 페널티가 존재하며, 안전과 비용 절감을 목표로 규정이 지속적으로 변경되어 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포뮬러 원 - 국제 자동차 연맹
    국제자동차연맹(FIA)은 전 세계 모터스포츠를 관장하고 자동차 관련 활동을 펼치는 국제 기구로서, 포뮬러 원 월드 챔피언십을 비롯한 챔피언십을 주관하며 규정 및 안전 기준을 제정하고 자동차 모빌리티, 도로 안전 분야에서도 활동하며, 격렬한 논란과 변화를 거듭하고 있다.
  • 포뮬러 원 - F1 (영화)
    브래드 피트와 댐슨 이드리스가 각각 소니 헤이스와 조슈아 "노아" 피어스 역을 맡았으며, 케리 콘던, 토바이어스 멘지스, 하비에르 바르뎀 등도 출연하는 영화이다.
포뮬러 원 규정
개요
종류모터스포츠 규칙
관할 기관국제 자동차 연맹(FIA)
적용 대상포뮬러 원
주요 내용기술 규정, 스포츠 규정, 재정 규정
기술 규정
목적경주차의 설계, 제작, 성능에 대한 제한 및 정의
주요 규정차체 크기 및 무게 제한
엔진 사양 제한 (배기량, 연료, 흡기 방식 등)
에어로다이내믹 장치 규제 (윙, 디퓨저 등)
안전 장치 의무화 (헤일로, 콕핏 보호 장치 등)
타이어 규정 (공급 업체, 종류, 사용량 제한)
연료 규정 (연료 종류, 첨가제 제한)
에너지 회수 시스템 (ERS) 규제
특징지속적인 변화와 혁신 추구, 안전성 확보와 경쟁 균형 유지 목표
스포츠 규정
목적대회 운영, 참가 자격, 경기 방식, 벌칙 등에 대한 규정
주요 규정참가 팀 및 드라이버 자격 요건
경기 일정 및 포맷 규정 (예선, 결승)
드라이버 행동 규범 (추월, 방어, 피트 스탑 등)
플래그 규정 (황색기, 적색기 등)
벌칙 규정 (시간 페널티, 그리드 강등, 실격 등)
안전 규정 (사고 발생 시 대처, 의료 지원)
특징공정하고 안전한 경기 운영, 드라이버와 팀의 책임 강조
재정 규정
목적팀 운영 비용 상한선 설정, 재정적 지속 가능성 확보, 팀 간 경쟁력 균형 도모
주요 규정팀별 연간 지출 제한 (예: 2021년 1억 4500만 달러)
규정 위반 시 벌칙 (벌금, 포인트 삭감 등)
특징포뮬러 원의 지속 가능한 발전과 팀 간 재정적 격차 완화 추구

2. 경기 규정

F1 경기는 공정하고 안전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다양한 규칙을 포함하고 있다. F1 세계 선수권 대회의 규정은 국제 자동차 연맹(FIA)이 제정하는 "국제 모터스포츠 경기 규칙"과 F1 고유의 규칙으로 구성된다. F1 고유의 규칙은 경기 운영 절차, 포인트 배분, 벌칙 등을 규정하는 스포팅 레귤레이션과 경기 차량의 기술적 측면을 규정하는 테크니컬 레귤레이션으로 나뉜다.[43]

레이스 거리는 305km 이상(305km를 넘는 최소의 랩 수)으로 정해져 있지만, 모나코 그랑프리는 예외적으로 260km 이상이다. 규정 거리를 소화하기 전에 레이스 시작 후 2시간이 경과하면, 그 이후 1위가 컨트롤 라인을 통과한 시점에서 레이스가 종료된다. 연간 레이스 수는 8개 이상 20개 이하이며, 1월 1일 이전에 FIA에서 발표된다. 레이스 출전 대수가 12대 미만이면 레이스가 취소될 수 있다.[43]
포인트 시스템F1은 각 레이스 순위에 따라 드라이버와 컨스트럭터에게 포인트를 부여한다. 2019년부터 적용된 포인트 시스템은 다음과 같다.

드라이버가 우승자 레이스 거리의 90%를 완료함
순위점수
1위25점
2위18점
3위15점
4위12점
5위10점
6위8점
7위6점
8위4점
9위2점
10위1점
최고 랩1점 (단, 10위 안에 들어야 함)[44] (2024년 10월, FIA는 2025 시즌부터 최고 랩에 대한 점수를 삭제한다고 발표했습니다)
11위 이후점수 없음



2010년부터 2021년까지는 레이스가 계획된 거리의 75% 전에 중단될 경우 (최소 2랩 완료 후) 부여되는 점수가 절반으로 줄었다. 그러나 2021년 벨기에 그랑프리 이후, 중단된 레이스에 대한 점수 할당은 2022 시즌에 변경되었다.[25]


  • 최소 2랩을 그린 플래그 조건에서 완료하지 않으면 점수가 부여되지 않는다.
  • 2랩 이상 완료했지만, 예정된 레이스 거리의 25% 미만이면, 상위 5명에게 6–4–3–2–1 기준으로 점수가 부여된다.
  • 예정된 레이스 거리의 25%–50%가 완료되면, 상위 9명에게 13–10–8–6–5–4–3–2–1 기준으로 점수가 부여된다.
  • 예정된 레이스 거리의 50%–75%가 완료되면, 상위 10명에게 19–14–12–9–8–6–5–3–2–1 기준으로 점수가 부여된다.
  • 75% 이상의 예정된 레이스 거리가 완료되면, 전체 점수가 부여된다.[25]


최고 랩 점수는 예정된 레이스 거리의 50% 이상이 완료된 경우에만 부여된다.[26]

점수는 드라이버와 컨스트럭터에게 동등하게 부여된다. 챔피언십은 시즌 종료 시 가장 많은 점수를 얻은 드라이버와 컨스트럭터에게 수여된다. 동점일 경우, 우승 횟수가 많은 드라이버, 우승 횟수가 같으면 2위 횟수가 많은 드라이버 순으로 순위를 결정한다.
파크 퍼미 (Parc fermé)각 팀은 예선 세션 중 중량 측정이 끝나면 FIA가 지정한 패독의 한 장소인 파크 퍼미로 차량을 가져가야 한다. 이곳에서 팀은 다음 날 아침까지 일상적인 유지보수 외에는 다른 작업을 할 수 없다.[1] 이를 어길 시 해당 차량은 결선에서 피트 레인에서 출발해야 한다.[1]
레이스 절차
운전자가 본 F1 출발 신호등. 모든 신호등이 동시에 켜지지는 않음


텔레비전 시청자가 본 F1 출발 신호등 (운전자를 향한 카메라)


레이스 시작 40분 전 피트 레인이 열리고, 드라이버들은 트랙을 주행하며 30분 전까지 그리드에 도착해야 한다. 10분 전에는 팀 정비사, 레이스 마샬, 드라이버를 제외한 모든 사람이 그리드를 떠나야 한다. 3분 전까지 타이어를 차량에 부착하고, 1분 전까지 엔진 시동을 걸어야 하며, 15초 전에는 모든 인원이 트랙에서 나와야 한다.

녹색등이 켜지면 포메이션 랩이 시작된다. 드라이버들은 타이어를 예열하기 위해 좌우로 흔들며 트랙을 한 바퀴 돌고, 그리드에 다시 정렬한다. 이때 기술적 문제나 사고가 발생하지 않는 한 추월은 금지된다.

레이스는 5개씩 두 줄로 배열된 총 10개의 적색등으로 시작된다.[19] 각 열의 적색등은 쌍으로 작동하며, 1초 간격으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켜진다. 이후 4~7초의 임의 간격 후 모든 등이 동시에 꺼지면 레이스가 공식적으로 시작된다.[20] 만약 출발이 중단되어야 하는 경우, 5쌍의 적색등이 모두 켜진 후 주황색등이 점멸한다.

레이스 중에는 다양한 깃발 신호가 사용된다.

깃발의미
위험 상황 종료를 의미한다. 트랙이 정리되었으므로 정상적인 경기 진행 및 추월이 가능하다.
연습 세션, 예선, 결선 경기 중단을 의미한다. 트랙 위 드라이버는 적색기 위치로 이동 후 정지하고, 경기감독관의 지시를 따른다.
border
중도 탈락 차량이나 저속 차량(앰뷸런스, 견인차 등)이 있음을 알리고 서행을 지시한다.
border
연습 세션, 예선, 결선 경기 종료를 나타낸다.
border
특정 드라이버의 행위가 정정당당하지 않음을 경고하며, 중지하지 않으면 실격될 수 있음을 알린다.
차량에 기계적 문제가 발생하여 위험할 때 피트 복귀를 지시한다.
트랙 표면이 미끄럽거나 차량 파편이 있음을 경고한다.


페널티F1에서는 레이스 스타트 위반, 피트 레인 속도 위반, 회피 가능한 사고 유발, 스포츠 정신에 어긋나는 행위, 깃발 무시 등 다양한 반칙 행위에 대해 페널티를 부과한다.[31]


  • 시간 페널티: 5초 또는 10초가 부과된다. 드라이버는 다음 피트 스톱 때 피트 박스에 정차한 후, 정비 팀은 5초 또는 10초를 기다린 후에 차량을 정비할 수 있다. 피트 레인에서 페널티를 수행하지 않은 경우, 레이스 종료 후 드라이버의 총 시간에 페널티 시간이 추가된다.[31]

  • 드라이브 스루 페널티: 드라이버가 피트 레인에 진입하여 속도 제한을 지키며 통과해야 하며, 정차는 허용되지 않는다.

  • 10초 스톱 앤 고 페널티: 드라이버가 피트 레인에 진입하여 피트 박스에서 10초 동안 정지한 후 다시 출발해야 한다. 페널티 수행 중에는 팀 정비 팀의 차량 작업이 금지된다.


드라이브 스루 및 스톱 앤 고 페널티의 경우, 드라이버는 팀으로부터 페널티를 통보받은 후 2랩 안에 피트해야 한다. 2랩 안에 피트하지 않으면 블랙 플래그가 주어진다. 단, 세이프티 카가 투입된 경우에는 세이프티 카가 복귀한 후에 페널티를 수행할 수 있다. 레이스 마지막 5랩 안에 페널티를 받은 경우, 드라이버는 피트할 필요 없이 드라이브 스루 페널티는 20초, 스톱 앤 고 페널티는 30초가 총 레이스 시간에 추가된다.

  • 블랙 플래그: 페널티 무시 또는 기술적 부정행위에 대해 부과된다. 블랙 플래그를 받은 드라이버는 레이스에서 실격되며, 해당 레이스 결과는 챔피언십에 반영되지 않는다. 위반 행위가 심각한 경우, 추가로 여러 레이스 출전 금지 처분을 받을 수 있다.

  • 그리드 페널티: 다음 레이스에 부과되며, 페널티의 심각성에 따라 출발 순서가 강등될 수 있다. 엔진 부품 할당량을 초과한 경우에도 부과된다.


가장 극단적인 처벌은 해당 연도의 드라이버 월드 챔피언십에서 제외되는 것이다.
피트와 차량 간 통신예선 랩을 제외하고는 드라이버에게 전달할 수 있는 정보에 제한이 없다.[38][39] 이전에는 팀 라디오를 통해 드라이버에게 전달할 수 있는 정보와 전달할 수 없는 정보를 규제하는 더 엄격한 규칙이 있었으나, 2016년 독일 그랑프리에서 폐지되었다.[40]

2. 1. 라이선스

F1에 참가하는 드라이버, 팀, 오피셜은 FIA 슈퍼 라이선스를 소지해야 한다.

2. 2. 챔피언십

포뮬러 1 챔피언십에 참가할 수 있는 것은 기술 규정(후술)에 적합한 차량, 즉 포뮬러 1 차량뿐이다.

레이스 거리(스타트부터 체커기가 흔들릴 때까지의 총 주행 거리)는 305km 이상(305km를 넘는 최소의 랩 수)으로 정해져 있지만, 예외적으로 모나코 그랑프리만이 260km 이상(몬테카를로 78바퀴)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규정 거리를 소화하기 전에 레이스 시작부터 2시간이 경과한 경우, 그 이후에 랩 리더(1위)가 컨트롤 라인을 통과한 시점에서 레이스 종료로 한다.

1년 동안 개최할 수 있는 레이스 수는 8개 이상 20개 이하이다. 연간 레이스 예정표는 그 해 1월 1일 이전에 FIA에서 발표된다.

레이스 출전 대수가 12대 미만이 된 경우, 레이스를 취소할 수 있다.[43]

2. 3. 포인트 시스템

F1은 각 레이스 순위에 따라 드라이버와 컨스트럭터에게 포인트를 부여하는 시스템을 운영한다. 점수를 받으려면 레이서가 레이스를 완주할 필요는 없지만, 우승자 레이스 거리의 최소 90%를 완료해야 한다. 2003년에 개정되었고 2010년에 수정된 이 시스템은 2019년부터 다음과 같이 변경되었다.

드라이버가 우승자의 레이스 거리의 90%를 완료함
순위점수
1위25점
2위18점
3위15점
4위12점
5위10점
6위8점
7위6점
8위4점
9위2점
10위1점
최고 랩1점 (2024년 10월, FIA는 2025 시즌부터 최고 랩에 대한 점수를 삭제한다고 발표했습니다)
11위 이후점수 없음



10위 이하로 마친 드라이버는 점수를 받지 못한다. 패스티스트 랩을 기록한 드라이버가 10위 안에 들어야 추가 점수 1점을 받을 수 있다.[44]

2010년부터 2021년 챔피언십 말까지는 레이스가 계획된 거리의 75% 전에 중단될 경우 (최소 2랩 완료 후) 부여되는 점수가 절반으로 줄었다. 그러나 2021년 벨기에 그랑프리 이후, 중단된 레이스에 대한 점수 할당은 2022 시즌에 변경되었다.


  • 최소 2랩을 그린 플래그 조건에서 완료하지 않으면 점수가 부여되지 않는다.
  • 2랩 이상 완료했지만, 예정된 레이스 거리의 25% 미만이면, 상위 5명에게 6–4–3–2–1 기준으로 점수가 부여된다.
  • 예정된 레이스 거리의 25%–50%가 완료되면, 상위 9명에게 13–10–8–6–5–4–3–2–1 기준으로 점수가 부여된다.
  • 예정된 레이스 거리의 50%–75%가 완료되면, 상위 10명에게 19–14–12–9–8–6–5–3–2–1 기준으로 점수가 부여된다.
  • 75% 이상의 예정된 레이스 거리가 완료되면, 전체 점수가 부여된다.[25]


최고 랩 점수는 예정된 레이스 거리의 50% 이상이 완료된 경우에만 부여된다.[26]

점수는 드라이버와 컨스트럭터에게 동등하게 부여된다. 예를 들어, 한 팀의 드라이버가 2위를 차지하면 18점, 3위를 차지하면 15점을 받아 팀은 총 33점을 얻는다. 챔피언십은 시즌 종료 시 가장 많은 점수를 얻은 드라이버와 컨스트럭터에게 수여된다. 동점일 경우, 우승 횟수가 많은 드라이버, 우승 횟수가 같으면 2위 횟수가 많은 드라이버 순으로 순위를 결정한다.

2013년 12월 10일, 2014년부터 마지막 그랑프리에서 더블 포인트를 얻는 것이 확인되었지만,[29] 2014 시즌 이후 폐지되었다.

현재 포인트 배분은 다음과 같다.[45]

포인트 시스템
순위1위2위3위4위5위6위7위8위9위10위11위 이하FL
포인트25181512108642101


2. 4. 파크 퍼미 (Parc fermé)

각 팀은 예선 세션 중 중량 측정이 끝나면 FIA이 지정한 패독의 한 장소인 파크 퍼미로 차량을 가져가야 한다. 이곳에서 팀은 다음 날 아침까지 일상적인 유지보수 외에는 다른 작업을 할 수 없다.[1]

만약 팀이 이를 어기고 차체 수정이나 서스펜션 조정과 같은 작업을 한다면, 해당 차량은 결선에서 그리드에 서지 못하고 피트 레인에서 출발해야 한다.[1]

2. 5. 레이스 절차

레이스 시작 40분 전, 피트 레인이 열리고 드라이버들은 트랙을 주행하며 그리드를 확인한다. 드라이버는 30분 전까지 그리드에 있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피트에서 레이스를 시작해야 한다. 이 시간 동안 팀은 그리드에서 차량 작업을 할 수 있다.

10분 전에는 팀 정비사, 레이스 마샬, 드라이버를 제외한 모든 사람이 그리드를 떠나야 한다. 3분 전까지 타이어를 차량에 부착해야 하며, 1분 전까지 엔진 시동을 걸어야 한다. 15초 전에는 모든 인원이 트랙에서 나와야 한다.

녹색등이 켜지면 포메이션 랩이 시작된다. 드라이버들은 타이어를 예열하기 위해 좌우로 흔들며 트랙을 한 바퀴 돌고, 그리드에 다시 정렬한다. 이때 기술적 문제나 사고가 발생하지 않는 한 추월은 금지된다. 드라이버들은 그리드 박스에 접근하며 짧은 번아웃을 통해 후방 타이어 온도를 높이고 파편을 제거한다.

레이스는 5개씩 두 줄로 배열된 총 10개의 적색등으로 시작된다.[19] 각 열의 적색등은 쌍으로 작동하며, 1초 간격으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켜진다. 이후 4~7초의 임의 간격 후 모든 등이 동시에 꺼지면 레이스가 공식적으로 시작된다.[20]

만약 출발이 중단되어야 하는 경우, 5쌍의 적색등이 모두 켜진 후 주황색등이 점멸한다. 모든 엔진이 멈추고 5분 후 출발이 재개된다. 드라이버가 출발할 수 없음을 알리면, 해당 열의 마샬이 노란색 깃발을 흔든다. 이후 적색등과 주황색등이 꺼지고 녹색등이 켜지며 또 다른 포메이션 랩이 시작된다. (포메이션 랩에서는 추월 금지)[21]

레이스 중에는 다양한 깃발 신호가 사용된다.

깃발의미
위험 상황 종료를 의미한다. 트랙이 정리되었으므로 정상적인 경기 진행 및 추월이 가능하다.
연습 세션, 예선, 결선 경기 중단을 의미한다. 트랙 위 드라이버는 적색기 위치로 이동 후 정지하고, 경기감독관의 지시를 따른다.
중도 탈락 차량이나 저속 차량(앰뷸런스, 견인차 등)이 있음을 알리고 서행을 지시한다.
연습 세션, 예선, 결선 경기 종료를 나타낸다.
특정 드라이버의 행위가 정정당당하지 않음을 경고하며, 중지하지 않으면 실격될 수 있음을 알린다.
차량에 기계적 문제가 발생하여 위험할 때 피트 복귀를 지시한다.
트랙 표면이 미끄럽거나 차량 파편이 있음을 경고한다.


2. 6. 페널티

F1에서는 레이스 스타트 위반, 피트 레인 속도 위반, 회피 가능한 사고 유발, 스포츠 정신에 어긋나는 행위, 깃발 무시 등 다양한 반칙 행위에 대해 페널티를 부과한다.[31]

  • '''시간 페널티''': 가장 일반적인 페널티로, 5초 또는 10초가 부과된다. 드라이버는 다음 피트 스톱 때 피트 박스에 정차한 후, 정비 팀은 5초 또는 10초를 기다린 후에 차량을 정비할 수 있다. 만약 페널티가 적용된 상태에서 차량을 만지면 추가 페널티가 부과된다. 피트 레인에서 페널티를 수행하지 않은 경우, 레이스 종료 후 드라이버의 총 시간에 페널티 시간이 추가된다.[31]

  • '''드라이브 스루 페널티''': 드라이버가 피트 레인에 진입하여 속도 제한을 지키며 통과해야 하며, 정차는 허용되지 않는다. 스톱 앤 고 페널티보다 시간 손실이 적다.

  • '''10초 스톱 앤 고 페널티''': 드라이버가 피트 레인에 진입하여 피트 박스에서 10초 동안 정지한 후 다시 출발해야 한다. 페널티 수행 중에는 팀 정비 팀의 차량 작업이 금지된다. 실격보다 더 가혹한 페널티로, 다른 드라이버를 위험에 빠뜨리는 등의 심각한 위반 행위에 부과된다. 최근 사례로 2024 카타르 그랑프리에서 랜드 노리스가 더블 옐로 플래그 상황에서 속도를 줄이지 않아 이 페널티를 받았고, 약 35초의 시간 손실을 보았다.[32]


드라이브 스루 및 스톱 앤 고 페널티의 경우, 드라이버는 팀으로부터 페널티를 통보받은 후 2랩 안에 피트해야 한다. 2랩 안에 피트하지 않으면 블랙 플래그가 주어진다. 단, 세이프티 카가 투입된 경우에는 세이프티 카가 복귀한 후에 페널티를 수행할 수 있다. 레이스 마지막 5랩 안에 페널티를 받은 경우, 드라이버는 피트할 필요 없이 드라이브 스루 페널티는 20초, 스톱 앤 고 페널티는 30초가 총 레이스 시간에 추가된다.

  • '''블랙 플래그''': 가장 심각한 페널티 중 하나로, 페널티 무시 또는 기술적 부정행위에 대해 부과된다. 블랙 플래그를 받은 드라이버는 레이스에서 실격되며, 해당 레이스 결과는 챔피언십에 반영되지 않는다. 위반 행위가 심각한 경우, 추가로 여러 레이스 출전 금지 처분을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로맹 그로장은 2012 벨기에 그랑프리에서의 사고로 다음 레이스 출전 금지 처분을 받았다. 현대 포뮬러 원에서 실격은 대부분 레이스 후 검사에서 발견된 위반으로 인해 발생한다. 세바스티안 베텔은 연료 샘플 부족으로 2021 헝가리 그랑프리에서 실격되었고,[33] 루이스 해밀턴샤를 르클레르는 과도한 플랭크 마모로 2023 미국 그랑프리에서 실격되었다.[34]

  • '''그리드 페널티''': 다음 레이스에 부과되며, 페널티의 심각성에 따라 출발 순서가 강등될 수 있다. 엔진 부품 할당량을 초과한 경우에도 부과된다. 예를 들어, 5 그리드 페널티는 예선에서 1위를 차지한 드라이버가 6위에서 레이스를 시작하게 됨을 의미한다.[35]


가장 극단적인 처벌은 해당 연도의 드라이버 월드 챔피언십에서 제외되는 것이다. 이는 다른 드라이버의 생명을 심각하게 위험에 빠뜨리거나 챔피언십에서 부당한 이점을 얻으려고 시도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으며, 사법 법원으로 갈 수도 있다. 1997년 미하엘 슈마허자크 빌뇌브를 고의로 충돌시켜[36] 챔피언십에서 제외된 적이 있다.[37]

2. 7. 피트와 차량 간 통신

예선 랩을 제외하고는 드라이버에게 전달할 수 있는 정보에 제한이 없다.[38][39]

이전에는 드라이버가 '혼자 힘으로, 도움 없이' 차를 몰고, 피트 월로부터 '코칭'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해, 팀 라디오를 통해 드라이버에게 전달할 수 있는 정보와 전달할 수 없는 정보를 규제하는 더 엄격한 규칙이 있었다. 예를 들어, 주행 라인에 대한 정보나 트랙에서 더 빠르게 차를 조정하는 방법에 대한 정보를 드라이버에게 제공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았다. 이러한 제한은 2016년 독일 그랑프리에서 폐지되었다.[40]

3. 기술 규정

F1 세계 선수권 대회의 기술 규정은 경기 차량(포뮬러 1 카)의 각 부분의 치수, 무게, 허용 성능, 안전 기준 등을 규정한다.[1] 이는 자동차 경주의 통할 기관인 국제 자동차 연맹(FIA)이 제정한다.

F1 차량은 다음과 같은 규격을 준수해야 한다.


  • 폭: 200cm 이하
  • 높이: 95cm 이하[1]


차량은 차체 외부에 4개의 바퀴만 장착해야 하며, 앞쪽 2개 바퀴만 조향이 가능하고 뒤쪽 2개 바퀴만 구동 가능하다. 주요 섀시는 콕핏, 충격 흡수 구조, 연료 탱크를 포함하는 "서바이벌 셀"을 포함한다. 또한, 드라이버 앞뒤로 롤 구조를 포함해야 한다.[3] 서바이벌 셀은 충돌 시험을 통과해야 하며, 연료 탱크와 콕핏을 포함하는 구조물을 말한다.

2013 시즌까지 사용된 2.4리터 V8 엔진은 2014 시즌부터 1.6리터 터보 V6-하이브리드 엔진으로 변경되었다. 엔진의 최소 무게는 145kg이다.[11]

엔진 제한
년도2014–20252006–20132000–2005
크기1.6리터2.4리터3.0리터
엔진 유형V6 (터보-하이브리드)V8V10
레이스당 연료 제한100 – 110kg (130 – 145 L)제한 없음 (약 130 – 160kg / 190 – 230 L)제한 없음 (약 180 – 200kg / 250 – 290 L)
연료 흐름 속도10,500 RPM 이상에서 100kg/h제한 없음제한 없음
연료 분사 압력 제한500 bar제한 없음제한 없음
엔진 RPM 제한15,00018,000 – 20,500제한 없음
출력750 – 1000마력730 – 840마력770 – 1000마력



2017 시즌에는 레이스당 연료 제한이 105kg,[12] 2019 시즌에는 110kg으로 증가했다.[13]

현재 "파워 유닛"이라 불리는 엔진은 내연 기관(ICE), 터보차저(TC), 운동 에너지 회수 시스템(MGU-K), 열 에너지 회수 시스템(MGU-H), 에너지 저장 장치(ES), 제어 전자 장치(CE)의 6가지 구성 요소로 나뉜다. 2015년부터 각 드라이버는 시즌 동안 각 구성 요소의 최대 4개(20번 이상의 레이스가 예정된 경우 5개)를 사용할 수 있다.

2010 시즌부터 레이스 중 재급유는 금지되었다.

2007 시즌부터 포뮬러 원은 하나의 타이어 공급사가 전체 타이어를 공급하는 규정을 도입했다. 현재 타이어 공급사는 피렐리이며, 드라이 타이어(슬릭 타이어) 5가지 종류, 우천용 타이어 2가지 종류를 제공한다.[17][18]

타이어 종류색상
소프트빨간색
미디엄노란색
하드흰색
인터미디어트녹색
풀 웻파란색



드라이 타이어는 각 경기마다 3가지 종류(소프트, 미디엄, 하드)가 지정된다. 2019 시즌부터는 타이어 컴파운드에 관계없이 소프트, 미디엄, 하드로 명칭이 통일되었다.

Wheel영어은 마그네슘 합금으로 만들어져야 한다.

F1영어 차량에는 소화기, Halo, 에너지 흡수 패드, HANS 등의 안전 장비가 장착되어야 한다.

3. 1. 차대(Chassis)

F1 차량의 폭은 200cm를 초과할 수 없으며 높이는 95cm를 초과할 수 없다.[1] 최대 길이는 없지만, 다른 규정들이 이러한 치수에 간접적인 제한을 가하며, 차량의 거의 모든 부분에 크기 규정이 적용되므로, 다양한 차량들은 거의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경향이 있다.

차량은 차체 외부에 장착된 4개의 바퀴만을 가져야 하며, 앞쪽 2개의 바퀴만 조향 가능하고 뒤쪽 2개의 바퀴만 구동 가능해야 한다.

주요 섀시는 콕핏, 콕핏 바로 앞에 충격을 줄이도록 설계된 구조, 콕핏 바로 뒤에 있는 연료 탱크를 포함하는 "서바이벌 셀"을 포함한다. 또한 차량에는 드라이버 앞뒤로 롤 구조가 포함되어야 한다. 드라이버는 스티어링 휠을 제거하는 것 외에는 어떤 조정도 없이 콕핏에 들어가고 나올 수 있어야 한다.

서바이벌 셀은 각종 충돌 시험에 합격해야 한다. 강철 장벽에 대한 정면 충돌 시험에서는 "평균 감속은 25g를 초과해서는 안 된다"는 조건으로, 최소 3밀리초 동안 최대 60g의 감속이 허용되며, 노즈 부분을 제외하고 섀시에는 손상이 없어야 한다.[3] 동일한 섀시는 후방 충격을 견뎌야 하며, 뒷 차축 앞쪽에는 손상이 없어야 한다.[3]

연료 탱크와 콕핏을 포함하는 구조물은 '''서바이벌 셀'''이라고 불린다.

온보드 전기 및 컴퓨터 시스템은 시즌 시작 시 검사를 받은 후 사전 승인 없이 변경할 수 없다. 전자식 시동 장치와 런치 컨트롤은 금지된다. 컴퓨터에는 원격 측정 사고 데이터 보고 시스템이 포함되어야 한다.

3. 2. 엔진

2013 시즌까지 사용된 2.4리터 V8 엔진은 2014 시즌부터 1.6리터 터보 V6-하이브리드 엔진으로 변경되었다. 엔진의 최소 무게는 145kg이다.[11]

엔진 제한
년도2014–20252006–20132000–2005
크기1.6리터2.4리터3.0리터
엔진 유형V6 (터보-하이브리드)V8V10
레이스당 연료 제한100 – 110kg (130 – 145 L)제한 없음 (약 130 – 160kg / 190 – 230 L)제한 없음 (약 180 – 200kg / 250 – 290 L)
연료 흐름 속도10,500 RPM 이상에서 100kg/h제한 없음제한 없음
연료 분사 압력 제한500 bar제한 없음제한 없음
엔진 RPM 제한15,00018,000 – 20,500제한 없음
출력750 – 1000마력730 – 840마력770 – 1000마력



2017 시즌에는 레이스당 연료 제한이 105kg으로 증가했고,[12] 2019 시즌에는 다시 110kg으로 증가했다.[13] 1.6 L 터보차저 V-6 엔진은 트림 및 매핑에 따라 750~850 bhp를 생산한다. 2014년에는 ERS(에너지 회수 시스템)가 도입되어, 드라이버는 전기 모터에서 약 160 bhp의 추가 부스트를 얻어 총 1,000 bhp를 낼 수 있다.

실린더에는 연료 분사 장치를 통해 연료 (휘발유)와 공기만이 주입될 수 있으며, 가변 길이 흡기 및 배기 시스템은 금지된다. 크랭크축과 캠축은 강철 또는 주철로 만들어야 하며, 실린더 블록, 실린더 헤드피스톤에는 탄소 복합 재료를 사용할 수 없다. 엔진 시동은 별도의 시동 장치를 사용하며, 엔진에 실속 방지 장치가 장착된 경우 사고 발생 시 10초 이내에 엔진을 차단해야 한다.

현재 "파워 유닛"이라 불리는 엔진은 다음 6가지 구성 요소로 나뉜다.


  • 내연 기관(ICE)
  • 터보차저(TC)
  • 운동 에너지 회수 시스템(MGU-K): 브레이크 시 낭비되는 에너지를 수확
  • 열 에너지 회수 시스템(MGU-H): 배기 시 열 형태로 에너지를 수집
  • 에너지 저장 장치(ES): 모터 제너레이터 유닛에서 수집된 에너지를 저장하는 배터리
  • 제어 전자 장치(CE): 파워 유닛 관리 소프트웨어 포함


2015년부터 각 드라이버는 시즌 동안 각 구성 요소의 최대 4개(20번 이상의 레이스가 예정된 경우 5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를 초과할 시 페널티가 부과된다.

3. 3. 재급유

2010년부터 레이스 중 재급유는 금지되었으며, 모든 차량은 경기 전 한 번의 주유만 가능하다. 이로 인한 연료탱크의 용량 증가로 2010년 차량은 2009년 차량에 비해 22cm 정도 더 길어졌다.

3. 4. 타이어

2007년부터 포뮬러 원은 하나의 타이어 공급사가 전체 타이어를 공급하는 규정을 도입했다. 현재 타이어 공급사는 피렐리이며, 피렐리는 다음과 같은 타이어를 제공한다.[17][18]

  • 드라이 타이어 (슬릭 타이어): 5가지 종류 (C1, C2, C3, C4, C5)가 있으며, 각 경기마다 3가지 종류 (소프트, 미디엄, 하드)가 지정된다.
  • 2011년부터 2015년까지는 프라임 타이어(일반적으로 더 단단함)와 옵션 타이어(일반적으로 더 부드러움)의 2가지 유형으로 제공되었다.
  • 2019년부터는 타이어 컴파운드에 관계없이 소프트, 미디엄, 하드로 명칭이 통일되었다.
  • 우천용 타이어: 인터미디어트 타이어와 풀 웻 타이어 2가지 종류가 제공된다.


각 타이어는 옆면에 피렐리 로고와 색상 띠로 구분된다.

타이어 종류색상
소프트빨간색
미디엄노란색
하드흰색
인터미디어트녹색
풀 웻파란색


타이어 사용 규정


  • 사용 개수 제한: 드라이 타이어 13세트, 인터미디어트 4세트, 웻 타이어 3세트
  • 연습 주행: 드라이 타이어 3세트만 사용 가능하며, 특정 세트는 두 번째 및 세 번째 세션 전에 반납해야 한다.
  • 예선 및 결선:
  • 2014년부터 2021년까지 Q3 진출 드라이버는 Q2에서 가장 빠른 기록을 낸 타이어로 결선을 시작해야 했다. 2022년부터 이 규정은 삭제되었다.
  • 결선에서 인터미디어트 또는 웻 타이어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반드시 2가지 종류의 드라이 타이어(소프트, 미디엄, 하드 중 2가지)를 모두 사용해야 한다.
  • 우천 시: 예선 전 젖은 노면과 인터미디어트 타이어는 레이스 디렉터의 판단에 따라 사용이 가능하다. 폭우로 인해 세이프티 카 뒤에서 결선이 시작되는 경우, 웻 타이어를 장착해야 한다.

타이어 히터는 타이어 바깥쪽에만 사용할 수 있다.

3. 5. 휠

Wheel영어은 마그네슘 합금으로 만들어져야 한다.

3. 6. 안전 장비

F1영어 차량에는 다음과 같은 안전 장비가 장착되어야 한다.

  • 소화기
  • Halo
  • 에너지 흡수 패드
  • HANS

4. 규정의 역사와 변천

F1 규정은 자동차 기술 발전, 안전 문제, 비용 절감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지속적으로 변경되어 왔다.



  • *: 엔진/연료
  • ** 배기량 1,500cc
  • *: 차체
  • ** 최저 차체 중량 450kg

  • *: 레이스 운영
  • ** 깃발에 의한 신호가 시작된다.

  • *: '''포뮬러 레이싱 카''' (No.1, No.2, No.3)는 국제 스포츠 법전 부칙 J항에 편입되어 C 부문 제8 그룹이 된다.
  • *: 엔진/연료
  • ** 배기량 3,000cc NA 또는 1,500cc 과급기 부착 엔진.
  • *: 차체
  • ** 최저 차체 중량 500kg

  • *: 차체
  • ** 차재 소화기 탑재 의무화.
  • ** 차고/섀시 폭/윙의 치수 규정.

새롭게 윙이 장착되었고, 그 탈락 등으로 인한 사고가 다발했기 때문.


  • *: 엔진 및 연료
  • ** 4행정 엔진 외 ( 2행정 엔진, 가스터빈 엔진, 로터리 엔진 등) 사용 금지.
  • *: 차체
  • ** 최저 지상고는 60mm.
  • ** 사이드 폰툰에서의 실링을 위한 슬라이딩 스커트 사용 금지.
  • ** 최소 차체 무게 585kg
  • *: 레이스 운영
  • ** 드라이버 포인트가 전 경기에 유효 (84년까지, 91년부터 다시 전 경기 유효).

  • *: 콩코드 협정 발효로 국제 포뮬러 레이싱 카에서 제외되어 '''포뮬러 리브레''' (프리 포뮬러) 가 됨.
  • *: 차체
  • ** 스커트의 소재는 단일 재질이어야 하며, 높이는 60mm 이내, 두께는 5~6mm여야 함.
  • ** 리어 윙 폭 1100mm 이하.
  • ** 의 직경 자유화.

  • *: 차체
  • ** 플랫 보텀 규제. 프론트 타이어 후단에서 리어 타이어 전단까지는 평평해야 함.

그라운드 이펙트 카 배제.

  • ** 리어 윙의 위치를 리어 차축으로부터 600mm까지 (이전에는 리어 차축으로부터 800mm 이하).
  • ** 리어 윙의 높이 1000mm 이하 (이전에는 900mm 이하).
  • ** 휠은 4개까지.

전년까지 윌리엄스가 후륜을 4륜으로 한 6륜차를 개발했지만, 이 규정으로 인해 개발을 단념.

  • ** 4륜구동(4WD) 금지.
  • ** 최소 차체 무게 540kg
  • *: 레이스 운영
  • ** 레이스 중 급유 금지.

  • *: 엔진 및 연료
  • ** 과급기 장착 엔진 차량의 최대 탑재 연료를 250L에서 220L로 축소.

과급기 장착 엔진 차량의 컨스트럭터 챔피언은 1982년(페라리)부터. NA 엔진의 마지막 우승은 1983년(티렐)이었다.


  • *: 레이스 운영
  • ** 드라이버 포인트 유효 포인트제가 부활. 베스트 11경기가 유효 (1990년까지).

  • *: 엔진 및 연료
  • ** NA (3,000cc) 엔진 금지 (배기량 제한 이행으로).

이 영향으로 대량의 레이스용 엔진(코스워스 DFV)이 남게 되면서, 1985년부터 F3000이라는 카테고리가 만들어짐.

  • ** 과급기 장착 엔진 차량의 최대 탑재 연료를 220L에서 195L로 축소.

  • *: 엔진 및 연료
  • ** NA 엔진 부활. 배기량을 3,000cc에서 3,500cc로 확대.
  • ** 과급기 장착 엔진의 과급 압력을, 팝 오프 밸브로 4bar (400kPa)로 제한.

팝 오프 밸브가 제한 압력 이하에서도 작동하는 문제가 발생하여, 혼다가 팝 오프 밸브를 제작하는 등 혼란을 수습.


  • *: 엔진 및 연료
  • ** 엔진: 과급기 장착 엔진의 과급 압력을 2.5bar (250kPa)로 제한.
  • ** 과급기 장착 엔진 탑재 차량의 최대 연료 탱크 용량을 195L에서 150L로 축소.

과급기 장착 엔진 사용 팀에게 큰 압력이 되었지만, 맥라렌은 16전 중 15승으로 압도적인 승리를 거둠.

  • *: 차체
  • ** 섀시: 최소 무게 제한이 NA 500kg, 과급기 장착 540kg으로.
  • ** 페달 위치는 앞 차축보다 뒤쪽 (풋 박스 규정).

  • *: 엔진 및 연료
  • ** 과급기 장착 엔진 금지.

4. 1. 1950년대 ~ 1990년대



  • *: 차체
  • ** 적층 고무로 제작된 연료 백 사용 의무화.
  • ** 최소 차체 중량 530kg.


  • *: '''국제 포뮬러 레이싱카'''로 명칭 변경.
  • *: 엔진·연료
  • ** 엔진 기통 수를 12기통까지 제한.
  • *: 차체
  • ** 최소 차체 중량 550kg
  • ** 헤드레스트·적색 테일 램프 도입.
  • ** 6점식 하네스 의무화.


  • *: 엔진·연료
  • ** 최대 연료 탱크 용량 250L
  • *: 차체
  • ** 최소 차체 중량 575kg
  • ** 모노코크 측면에 크래셔블 스트럭처(충격 흡수 구조) 장착 의무화.


  • *: 차체
  • ** 리어 윙 후단(리어 오버행)은 리어 차축에서 1000mm 이하로 한다.
  • *: 레이스 운영
  • ** 세이프티 월 의무화.


  • *: B 부문 제7그룹으로 개편.
  • *: 차체
  • ** 리어 타이어 폭 약 53.34cm 이하.
  • ** 콕핏 전후의 롤 바를 연결한 선에서 드라이버의 머리 부분이 나오지 않아야 함.
  • ** 리어 윙 위치를 리어 차축에서 800mm까지(이전에는 리어 차축에서 1000mm 이하).
  • ** 인덕션 포드의 높이 900mm 이하(롤 바 제외)(스페인 GP부터).


  • *: 차체
  • ** 리어 윙 높이 900mm 이하(이전에는 1000mm 이하).


  • *: 레이스 운영
  • ** FIA가 발급하는 슈퍼 라이선스를 받은 드라이버만 참전 가능.


규칙 변경의 주요 원인은 전통적으로 안전[41]과 (대부분 2000년 이후) 스포츠 비용 제한에 기인해 왔다.[42]

4. 2. 2000년대 이후

2000년대 이후 포뮬러 원 규정은 안전[41]과 비용 제한[42]을 중심으로 변화해 왔다.

4. 3. 최근의 문제점

엔진(파워 유닛) 사용 제한 규정은 오히려 비용 증가를 초래하고, 예선 의미를 퇴색시킨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42] 잦은 규정 변경은 경쟁력 격차를 줄이는 최선의 방법이 아니라는 지적도 있다.[41]

참조

[1] 웹사이트 Bodywork, dimensions and cockpit https://www.formula1[...] 2017-06-20
[2] 웹사이트 2024 Formula 1 Technical Regulations https://www.fia.com/[...] 2024-06-07
[3] 서적 Noble and Hughes, p.50
[4] 서적 Noble and Hughes, p.51
[5] 웹사이트 Banned!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CVT) · RaceFans https://www.racefans[...] 2007-05-03
[6] 웹사이트 F1 Technique: Williams tested a CVT transmission back in 1993 (+video) Car News Auto123 https://www.auto123.[...] 2014-01-02
[7] 웹사이트 Formula One CVT (Part 2) https://www.highpowe[...]
[8] 웹사이트 Transmission https://www.highpowe[...]
[9] 웹사이트 Banned: Active suspension · RaceFans https://www.racefans[...] 2007-05-17
[10] 웹사이트 Banned: Four-wheel-steering · RaceFans https://www.racefans[...] 2007-03-22
[11] 웹사이트 Formula 1 engine facts https://www.mercedes[...]
[12] 웹사이트 Formula 1 raises fuel limit for 2017 https://web.archive.[...] 2019-01-16
[13] 웹사이트 Formula 1 fuel limit to rise in 2019 to promote 'full power' racing https://www.autospor[...] 2019-01-16
[14] 웹사이트 Technology Explained: F1 fuel systems https://www.racecar-[...] 2013-05-07
[15] 웹사이트 How are F1 engines so powerful? https://motorsport.t[...] 2018-05-15
[16] 웹사이트 PU106C Hybrid https://web.archive.[...] 2020-11-10
[17] 웹사이트 Tyres https://www.formula1[...] 2015-04-13
[18] 웹사이트 F1 regulations update confirms removal of Q2 tyre rule https://us.motorspor[...] 2022-02-19
[19] 문서 This describes the lights seen by the drivers, which is very different to what TV viewers see from the other side of the start line
[20] 웹사이트 2021 Formula 1 Sporting Regulations https://www.fia.com/[...] FIA 2021-07-12
[21] 웹사이트 FIA Sporting Regulations – Race start procedure http://www.formula1.[...] Formula1.com 2010-10-04
[22] 웹사이트 F1 to discuss rule changes over Belgian GP "farce" in October https://www.motorspo[...] Motorsport Network 2021-08-31
[23] 뉴스 Max Verstappen declared winner of aborted rain-hit Belgian Grand Prix https://www.bbc.co.u[...] BBC Sport 2021-08-29
[24] 웹사이트 Why one-lap Belgian Grand Prix counted for F1 points https://www.motorspo[...] Motorsport Network 2021-08-29
[25] 뉴스 F1 Commission approves changes to Sporting Regulations regarding points for shortened races https://www.formula1[...] 2022-02-14
[26] 웹사이트 2022 Formula One sporting regulations https://www.fia.com/[...] 2022-03-18
[27] 웹사이트 Why Verstappen was crowned champion despite shortened Japanese GP https://www.autospor[...] Motorsport Network 2022-10-13
[28] 웹사이트 F1 teams admit they overlooked points "loophole" after Suzuka confusion https://www.motorspo[...] Motorsport Network 2022-10-13
[29] 웹사이트 Double points for season finale among 2014 changes https://web.archive.[...] 2017-06-20
[30] 웹사이트 Flags http://www.formula1.[...] Formula1.com 2015-01-26
[31] 웹사이트 Inside F1 http://www.formula1.[...] 2017-06-20
[32] 웹사이트 For this reason, Norris was given a stop-and-go penalty by the FIA https://www.nytimes.[...] 2024-12-01
[33] 뉴스 UPDATE 3-Motor racing-Ocon races to maiden win, Vettel disqualified https://www.reuters.[...] Reuters 2021-08-01
[34] 웹사이트 Hamilton and Leclerc disqualified from United States Grand Prix for technical breach https://www.formula1[...] 2024-01-04
[35] 뉴스 Schumacher fastest for Monaco GP https://www.bbc.co.u[...] 2021-06-10
[36] 뉴스 Schumacher loses championship runner-up crown http://news.bbc.co.u[...] BBC News 1997-11-11
[37] 간행물 Villeneuve Wins F/1 Title – Too Fast in Atlanta? – The End For Emmo https://vault.si.com[...] 1997-11-03
[38] 웹사이트 Formula 1's radio restrictions to be lifted from German GP http://www.autosport[...] Autosport.com 2016-07-29
[39] 웹사이트 Haas hit with double penalty for formation lap Hungarian GP guidance https://www.autospor[...] 2020-07-19
[40] 웹사이트 2016 season changes https://www.formula1[...] Formula1.com 2016-07-11
[41] 웹사이트 A History of Safety in Formula One http://www.formula1.[...] Formula One Management 2011-07-11
[42] 웹사이트 FIA reveals radical cost-cutting measures http://www.autosport[...] Autosport 2011-07-11
[43] 문서 日本の場合は[[日本自動車連盟]] (JAF) がFIA公認団体である。
[44] 웹사이트 F1、ファステストラップポイント導入を正式決定…開幕オーストラリアGPから施行 https://formula1-dat[...] Formula1-Data 2019-03-12
[45] 뉴스 F1:2010年から新ポイントシステム導入が決定 http://f1-gate.com/f[...] F1-Gate.com 2009-12-12
[46] 문서 リファレンスプレーンと呼ばれる基準平面から計測した高さ。以下、高さ基準の計測はリファレンスプレーンから行う。
[47] 문서 当初は2003年に「予選・決勝を通しエンジン1基」と制限され、以降2004年「1レース1基」→2005年「2レース1基」→2009年「1チーム20基(実質年間1人8基)」→2014年「年間5基」……2017年「年間4基」という経緯がある。
[48] 웹사이트 2018年の年間3基のエンジン制限ルールに撤廃の動き https://f1-gate.com/[...] F1-Gate.com 2017-09-20
[49] 웹사이트 アストンマーティン、F1エンジン供給元としての参入を断念? https://f1-gate.com/[...] F1-Gate.com 2018-07-04
[50] 문서 2018年シーズンは週末前にパワーユニットの交換を行ったドライバーが複数人いた場合、フリー走行1回目(FP1)にコースインした順にペナルティが適用された。この場合、1台目が16位となり、それ以降の対象者はその後ろに並んでいく仕組みであった。
[51] 웹사이트 FIA、F1ロシアGPの予選論争を受けてエンジンペナルティの変更を検討 https://f1-gate.com/[...] F1-Gate.com 2019-01-05
[52] Youtube ハミルトンがパワーユニット規則を批判「F1は間違った方向に進んでいる」 https://carview.yaho[...]
[53] 서적 GP Car Story Vol.23 アロウズA18・ヤマハ P54-55 2018-07-03
[54] 뉴스 F1 2009年 レギュレーション http://f1-gate.com/o[...] F1-Gate.com 2009-05-02
[55] 뉴스 F1 2010年 レギュレーション http://f1-gate.com/f[...] F1-Gate.com 2010-01-15
[56] 뉴스 新規参入チームに補助金を支給 http://f1.gpupdate.n[...] GPUPDATE.NET 2009-05-01
[57] 뉴스 World Motor Sport Council http://www.fia.com/e[...] Federation Internationale de l'Automobile(FIA) 2010-06-24
[58] 뉴스 FIA、2011年の可変リアウイング導入を発表 http://f1-gate.com/f[...] F1-Gate.com 2010-06-24
[59] 뉴스 F1:2011年から107%ルールが復活 http://f1-gate.com/f[...] F1-Gate.com 2010-06-24
[60] 뉴스 F1:予選セッションでのスロー走行を制限 http://f1-gate.com/f[...] F1-Gate.com 2010-06-24
[61] 뉴스 Double diffusers banned from 2011 http://www.autosport[...] AutoSport.com 2010-01-22
[62] 뉴스 F1:2011年からのダブルディフューザー禁止に合意 http://f1-gate.com/f[...] F1 Gate.com 2010-01-23
[63] 뉴스 FIA、2011年からF1のチームオーダー禁止を撤廃 http://f1-gate.com/f[...] F1 Gate.com 2010-12-12
[64] 뉴스 2012 rule changes - revised exhaust exits - introduction http://www.formula1.[...] Formula1.com 2012-02-06
[65] 뉴스 2012 rule changes - lower nose http://www.formula1.[...] Formula1.com 2012-02-06
[66] 웹사이트 2015年F1レギュレーション https://formula1-dat[...] 2023-08-11
[67] 웹사이트 2015年 F1レギュレーション 変更点 https://f1-gate.com/[...] 2023-08-11
[68] 문서 各種[[フォーミュラカー]]や[[ツーリングカー]]によるレース([[フォーミュラ2|F2]]、[[フォーミュラ3|F3]]、[[世界ツーリングカー選手権]]、[[SUPER GT]]など)。
[69] 웹사이트 FIAが驚きの方針変更。F1コクピット保護デバイス“ハロ”を2018年に導入、“シールド”に見切り http://www.as-web.jp[...] AUTOSPORTweb 2024-09-22
[70] Youtube 「“ハロ”導入による重量の増加は大問題」F1技術ボスが悩む http://www.as-web.jp[...]
[71] 웹사이트 2019年 F1レギュレーション - 知っておくべきルール変更点のまとめ https://formula1-dat[...] 2019-07-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