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석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포석정은 통일 신라 시대에 왕실이나 귀족의 유흥을 위해 조성된 이궁으로, 현재는 대한민국의 사적 제1호로 지정되어 있다. 경주 남산 서쪽 기슭에 위치하며, 곡수연을 개최했던 전복 모양의 굴곡진 석조 수로가 가장 큰 특징이다. 신라 말기 경애왕이 후백제 견훤의 습격을 받아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한 장소로도 알려져 있으며, 유상곡수 연회를 행하던 곳으로도 전해진다. 현재는 경주를 방문하는 관광객들에게 신라의 역사와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명소로, 경주역사유적지구의 일부로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라의 건축물 - 국학
국학은 신라 시대 귀족 자제 교육 기관으로, 유교 경전을 중심으로 교육하여 문치주의 전환과 고려 시대 유교 확립에 기여했다. - 신라의 건축물 - 첨성대
첨성대는 신라 시대에 지어진 천문 관측소로, 362개의 화강암 벽돌로 원통형을 이루며 높이 9.4미터이고, 1년의 일수와 절기 등을 상징하며, 2016년 지진으로 보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 대한민국의 유적 - 무령왕릉
무령왕릉은 백제 무령왕과 왕비의 무덤으로, 지석을 통해 주인공이 확인되었고 2906점의 유물이 출토되어 백제 장례 문화와 사회상을 보여주며, 남조 양나라의 영향을 받은 굴식 벽돌무덤이자 백제 고유의 건축 기술과 미적 감각이 융합된 건축물이다. - 대한민국의 유적 - 풍납토성
풍납토성은 서울 송파구에 위치한 백제 초기 왕성으로 추정되는 한반도 최대 규모의 토성으로, 사적 제11호로 지정되어 백제 시대 유물과 삼한 시대 유물이 출토되었으며 복원 사업이 진행 중이다. - 삼국 시대의 문화 - 광개토대왕릉비
광개토대왕릉비는 414년에 고구려 장수왕이 아버지 광개토대왕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석으로, 고구려 역사와 광개토대왕의 업적을 기록하여 고구려사 연구에 중요한 사료로 평가받는다. - 삼국 시대의 문화 - 황조가
《황조가》는 고구려 유리왕이 지었다고 전해지는 시로, 꾀꼬리의 의지하는 모습과 대비되는 화자의 고독한 심정을 노래하며, 작자에 대한 다양한 설이 존재하지만 고대 권력자의 고독과 고뇌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포석정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위치 정보 | |
일반 정보 | |
명칭 | 포석정지 (鮑石亭址) |
로마자 표기 | Poseokjeong |
한자 표기 | 鮑石亭 |
위치 | 경상북도 경주시 배동 454-3 |
지정 번호 | 사적 제1호 |
지정 면적 | 7,445m² |
지정 일자 | 1963년 1월 21일 |
세계유산 등재 | 경주역사유적지구의 일부 |
관리 주체 | 경주시 |
역사 | |
시대 | 통일신라 |
기능 | 별궁 |
설명 | 신라 왕족의 연회 장소로 사용됨. 흐르는 물에 술잔을 띄우고 시를 읊으며 즐겼다고 전해짐. |
특징 | |
구조 | 화강암으로 만들어진 구불구불한 수로 |
의미 | 신라 귀족의 유흥 문화를 보여주는 유적 |
전해지는 이야기 | |
최후의 연회 | 경애왕이 견훤의 군대에 의해 최후를 맞이하기 직전까지 연회를 베풀었다는 설화가 전해짐. |
2. 역사적 배경
포석정은 통일 신라 시대 왕실이나 귀족이 유흥을 즐기던 이궁으로 조성되었다. 『동국통감』에는 성의 남쪽에 이궁이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다.[16] 『삼국유사』의 기록을 보면, 9세기 후반에 이미 포석정이 있었던 것으로 보이며, 신라 말기에 창건된 것으로 추정된다.[11][19]
927년 후백제의 견훤이 침입했을 때 경애왕이 연회를 즐기던 곳이 포석정이다.
2. 1. 통일신라 시대
통일 신라 시대[9](668-935년[15], 남북국 시대)에 조성된 포석정은 왕실이나 귀족의[19] 유흥을 위한 이궁이었다[20]. 『삼국유사』에 따르면, 제49대 헌강왕(재위 875-886년) 시대에 왕이 포석정에 행차했을 때 남산의 신이 앞에 나타나 춤을 추었다고 한다. 이를 통해 9세기 후반에 포석정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며[11], 창건은 그보다 그리 오래되지 않은 신라 말기일 것으로 여겨진다[19]. 또한, 『삼국유사』에는 제51대 진성여왕(재위 887-897년) 시대에 화랑 김효종[21]이 남산의 포석정에 유산(遊山)했다는 기록이 있다[19][22].2. 2. 신라의 멸망과 포석정
927년, 경애왕(재위 924-927년)은 포석정에서 연회를 즐기던 중 후백제 견훤의 군대에 습격을 받았다.[23] 왕과 왕비는 후궁으로 도망쳤으나 사로잡혔고, 견훤은 경애왕을 자결하게 하고 왕비를 능욕하였다. 이후 견훤은 왕족 김부(경순왕, 재위 927-935년)를 왕위에 올렸다.[23][25] 이 사건은 신라의 멸망과 관련된 비극적인 사건으로 포석정을 역사에 남게 하였다.[11]3. 구조 및 유물
경주 남산 서쪽 계곡의 숲 속에 위치하며, 전체 면적은 7,432m²이다.
원래는 남산 계곡[36]으로 들어오는 입구에 거북 모양의 큰 돌이 있었고, 그곳에서 물이 나오도록 만들어졌다고 하나 지금은 남아 있지 않다. 927년 경애왕은 포석정에서 연회를 즐기다 후백제 군대에게 붙잡혔다. 견훤은 경애왕에게 자살을 강요하여, 결국 경애왕은 자살하였다.
포석정 터에는 전복 모양의 곡수 수로 유구가 남아 있으며, 곡수연을 개최했던 장소로 사용되었다. 이 유구는 현존하는 유상곡수 유구 중 가장 오래된 것이다.[31] 1915년에 일부 파손된 석재를 보수하고 복원하였다.[28]
시점의 도수부에는 지름 약 60cm의[32] 절구 모양 물받이 돌(석조[34])이 있다.[33] 계곡 물을 끌어들여 도수구에 배치된 거북이 모양 돌(거북이 석상[11])의 입에서 물이 쏟아지도록 설계되었으나, 1871-1873년경 안동으로 옮겨졌다고 전해지며 현재 소재는 불명이다.[35]
3. 1. 석조 수로
포석정의 가장 큰 특징은 전복 모양으로 굽이치는 석조 수로이다. 폭 35cm, 깊이 평균 26cm, 전체 길이 약 10m의 좁은 수로가 굽이치는 형태로, 화강암을 다듬어 만들었다. 수로 바닥에는 편평한 돌이 깔려 있으며, 시작점과 끝점의 높이 차이는 27cm이다.[32] 원래는 남산 계곡[36]에서 물을 끌어들여 거북 모양의 돌을 통해 물이 나오도록 설계되었으나, 현재 거북 모양의 돌은 남아 있지 않다. 1915년에 일부 파손된 석재를 보수하고 복원하였다.[28]타원형 곡수 수로는 장경 약 5.8m, 단경 약 4.5m, 전체 길이 약 10m이다. 곡선으로 가공한 화강암[33] 약 63개를 연결하여 만들었으며, 깊이는 평균 26cm,[11] 폭은 약 35cm이다.[11] 수로 바닥에는 편평한 돌이 깔려 있고,[33] 시작점과 끝점의 높이 차이는 27cm이다.[32]
4. 용도 및 의의
신라 시대에 유상곡수(流觴曲水)의 연회를 행하던 곳으로 알려져 왔으나, 최근에는 연회보다는 의식이 행해졌던 곳이라는 설이 더 설득력을 얻고 있다. 학자들은 후백제 견훤의 포석정 침입 사건이 이러한 의례와 관련된 것으로 추정하기도 한다.
4. 1. 유상곡수연
신라 시대에 유상곡수(流觴曲水)의 연회를 행하던 곳이다. 유상곡수는 삼짇날(음력 3월 3일)에 술잔을 물에 띄워 놓고, 왕과 귀빈을 비롯한 참석자가 물길을 따라 앉아서 술잔이 돌아오기 전에 시를 짓던 놀이를 말한다. 하지만 최근에는 연회 장소보다는 의식이 행해졌던 곳이라는 설이 더 힘을 얻고 있다. 학자들은 후백제의 견훤이 포석정에 군사들을 이끌고 침입한 것이 포석정이 연회 장소로 불리게 된 것과 관련이 있다고 추측한다.[18]전복 모양의 곡수 수로 유구가 남아 있으며, 일부 파손되었으나 1915년에 최초의 석재를 옮겨 2개의 석재를 새로 보충하는 등 복원되었다.[18][28] 이것은 곡수연 (유상〈류쇼〉곡수연[12][29])을 개최했던 전복 모양의 석조 곡수 수로 (류배거[29][30]〈류하이쿄〉)의 유구이다. 유상곡수는 중국 외에 일본에서도 볼 수 있지만[12], 이 포석정 터는 현존하는 유구 중 가장 오래된 것이다.[31]
타원형 곡수 수로는 장경 약 5.8m (5.5m[32], 6.53m[18]), 단경 약 4.5m (4.76m[18]), 전체 길이 약 10m이다.[11] 곡선으로 가공한 화강암[33] 약 63개 (46개[34])를 연결하여[11], 주연을 띠 모양으로 높게 하고,[33] 깊이 평균 26cm[11] (약 20cm[18][32], 21cm-23cm[34])로, 수심 10cm가 되는 석구(돌로 만든 도랑)가 만들어져[32], 그 폭은 약 35cm (약 30cm[18][32], 31cm[34])가 된다.[11] 내연의 띠 모양 돌출부에는 좁은 홈이 새겨져[33], 전체 길이 약 22m[18][34]의 곡수 수로의 바닥에는 편평한 돌이 깔려 있다.[33] 시점과 종점의 고저차는 27cm로[32], 타원형 수로의 경사 차는 5.9cm이다.[12][18] 시점의 도수부에는 지름 약 60cm의[32] 절구 모양의 물받이돌 (석조[34])이 있다.[33] 어떤 설비에 의해 계곡의 물을 끌어들여[33], 도수구에 배치된 거북이를 본뜬 돌 (거북이 석상[11])의 입에서 물이 쏟아졌다고 하지만, 1871-1873년경에 경상북도 안동으로 옮겨졌다고 전해지며, 소재 불명이다.[35]
4. 2. 의례 장소
최근에는 포석정이 단순한 연회 장소가 아니라, 국가적인 의례가 행해졌던 신성한 장소였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학자들은 후백제 견훤의 포석정 침입 사건이 이러한 의례와 관련된 것으로 추정하기도 한다.[1]5. 현대적 의미
포석정은 신라 시대의 독특한 조경 기술과 왕실 문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유적이다.
5. 1. 문화유산
5. 2. 관광 명소
참조
[1]
서적
Samguk Yusa: Legends and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of Ancient Korea
Silk Pagoda
2006
[2]
Encyclopedia
경주 포석정지 (慶州 鮑石亭址)
https://encykorea.ak[...]
Academy of Korean Studies
2024-07-06
[3]
간행물
Korea
2008
[4]
웹사이트
Cyber Tour into Cultural Property
http://www.ocp.go.kr[...]
2009-10-30
[5]
웹사이트
Gyeongju Poseokjeong Pavilion Site (경주 포석정지) : VISITKOREA
http://www.visitkore[...]
[6]
간행물
Insight Guide Korea
2007
[7]
서적
Samguk Yusa: Legends and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of Ancient Korea
Silk Pagoda
2006
[8]
웹사이트
慶州 鮑石亭址(경주 포석정지)
http://www.koreatrip[...]
한국관광공사
2023-05-21
[9]
웹사이트
사적 제 1호 경주 포석정지(慶州 鮑石亭址)
http://www.kjsilla.r[...]
신라문화유산연구원
2023-05-21
[10]
웹사이트
鮑石亭
https://kotobank.jp/[...]
2023-05-21
[11]
문서
歴史探訪 韓国の文化遺産
2016
[12]
웹사이트
경주 포석정지(慶州 鮑石亭址)
http://www.heritage.[...]
문화재청
2023-05-21
[13]
웹사이트
慶州の歴史地域
https://www.nara.acc[...]
ユネスコ・アジア文化センター (ACCU)
2023-05-21
[14]
웹사이트
慶州歴史遺跡地区[ユネスコ世界遺産(文化遺産)](경주역사유적지구[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https://japanese.vis[...]
한국관광공사
2021-07-30
[15]
웹사이트
渤海と統一新羅
https://overseas.mof[...]
외교부
2009-10-19
[16]
문서
2021
[17]
문서
1988
[18]
웹사이트
경주포석정지(慶州鮑石亭址)
https://encykorea.ak[...]
한국학중앙연구원
2023-05-21
[19]
문서
1988
[20]
문서
1973
[21]
웹사이트
김효종(金孝宗)
https://encykorea.ak[...]
한국학중앙연구원
2023-05-07
[22]
문서
2020
[23]
문서
三国史記 4
1988
[24]
문서
1989
[25]
문서
三国史記 1
1980
[26]
문서
三国史記 1
1980
[27]
문서
1989
[28]
문서
1973
[29]
문서
2021
[30]
문서
2000
[31]
웹사이트
술잔을 띄워라 ~ 포석정
http://scent.ndsl.kr[...]
Kisti
2006-01-11
[32]
문서
1980
[33]
문서
1988
[34]
문서
2021
[35]
문서
1973
[36]
문서
신라 시대 때부터 깨끗한 물이 나오는 곳으로 알려져 있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