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상곡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상곡수는 잔을 물에 흘려보내 연회를 여는 풍습으로, 중국에서 시작되어 한국과 일본으로 전파되었다. 중국에서는 동진 시대 왕희지가 난정에서 곡수연을 열어 『난정서』를 남겼다. 한국에서는 신라 시대 포석정에서 유상곡수연이 열렸으나, 조선 시대에는 기록이 남아 있지 않다. 일본에서는 485년에 궁정 의식으로 처음 행해졌으며, 헤이안 시대에 궁정이나 귀족 저택에서 성행했다. 현대에는 고사를 바탕으로 복원되거나 시작된 곡수연이 일본 각지에서 개최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라 시대의 문화 - 일본의 상대문학사
일본의 상대문학사는 일본 고대 문학 시대로, 구승문학에서 기록문학으로 전환되며 고대 가요, 와카, 한시문과 함께 《고사기》, 《일본서기》, 《만엽집》 등의 주요 작품이 편찬되었고 언령 신앙, 도래인 영향, 귀족 향유, 만요가나 등의 특징을 보인다. - 나라 시대의 문화 - 운테이
운테이는 이소노카미 야카쓰구가 설립한 나라 시대의 교육 기관으로, 유불일체 사상을 바탕으로 불교 묘제 체득을 목표로 했으나 수도 이전과 설립 가문의 몰락으로 쇠퇴하여 9세기 초 소멸되었으며, 지식 보존과 전파에 기여했다. - 일본의 시 - 렌가
렌가는 여러 시인이 협력하여 짓는 일본의 연쇄시 형식으로, 창화문답가에서 기원하여 가마쿠라 시대부터 무로마치 시대에 번성했으며, 소기 등의 시인이 활약하며 전성기를 맞았으나, 에도 시대에 하이카이 렌가가 등장하고 메이지 시대에 하이쿠로 발전하면서 쇠퇴 후 현대에 전통과 현대적 시도가 공존하며 인터넷 창작 시도가 이어진다. - 일본의 시 - 칙찬집
칙찬집은 천황의 명령으로 편찬된 시가집으로, 일본에서는 와카, 한시, 렌가, 하이카이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특히 칙찬와카집은 "21대집"으로 불리고 준칙찬와카집과 칙찬 한시집, 준칙찬 렌가집도 존재하며 중국에도 칙찬집이 있다. - 한국의 시 - 시조
시조는 고려 중엽에 발생하여 조선 시대에 다양한 주제로 확장되었고, 3장 6구의 형식을 갖춘 한국의 전통적인 시가이다. - 한국의 시 - 제왕운기
《제왕운기》는 고려 후기 이승휴가 지은 역사서로, 상권은 중국, 하권은 한국 역사를 시로 읊었으며, 단군을 한민족의 시조로, 발해를 한국사로 인식하여 민족의식과 자주성을 강조했다.
유상곡수 | |
---|---|
개요 | |
유형 | 연회, 의례 |
기원 | 중국 |
관련 문화 | 일본, 한국 |
상세 정보 | |
설명 | 흐르는 물에 술잔을 띄워 시를 짓는 연회 |
유래 | 중국에서 시작됨 |
특징 | 참가자들이 시를 짓고 술을 마시며 즐김 |
일본에서의 곡수연 (Kyokusui-no-en) | |
의미 | 구부러진 물가의 연회 |
설명 | 헤이안 시대에 귀족들이 즐기던 놀이에서 유래 |
목적 | 참가자들이 시를 짓고 창의성을 발휘 |
장소 | 신사 정원 등 |
행사 | 후쿠오카의 다자이후 텐만구에서 매년 열림 |
진행 방식 | 물길을 따라 술잔을 띄우고, 시를 짓는 사람이 술잔을 들어 마심 |
한국에서의 유상곡수 | |
유적 | 포석정 |
설명 | 신라 시대의 왕궁 정원으로 추정 |
특징 | 현존하는 곡수 유적 중 동양 삼국에서 가장 오래됨 |
2. 기원 및 연혁
유상곡수(流觴曲水)는 흐르는 물에 술잔을 띄우고, 그 잔이 자기 앞에 올 때 시를 읊는 풍류 놀이이다. 주로 음력 3월 상사일(上巳日)에 액운을 쫓는 미계(禊戒) 의식과 함께 행해졌다.
이 풍습은 고대 중국에서 시작된 것으로 여겨진다. 동진 시대의 명필 왕희지가 난정에서 열었던 곡수연과 그 기록인 『난정서』는 유상곡수의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11] 이후 한국과 일본 등 동아시아 여러 나라로 전파되었다.
한국에서는 신라 시대에 유상곡수연이 성행했으며, 경상북도 경주시의 포석정 유적이 대표적인 장소로 알려져 있다. 일본에서도 고대에 전래되어 나라 시대와 헤이안 시대에 궁중 행사 및 귀족들의 연회로 자리 잡았다. 각 지역에서의 구체적인 발전 양상과 유적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에서 확인할 수 있다.
2. 1. 중국
중국에서는 오래전부터 상사(上巳)에 물가에서 부정을 씻는 미계(禊戒)를 행하는 풍습이 있었다.[10] 이 풍습이 음력 3월 3일에 미계와 함께 잔을 물에 흘려보내며 연회를 여는 류상곡수(流觴曲水, 흐르는 물에 잔을 띄움) 풍습으로 이어졌다고 전해진다. 그 기원에 대해서는 고대 주공 시대에 시작되었다는 설과 진(秦)나라 소양왕 시대에 시작되었다는 설 등이 있다. 동진 영화 9년(353년) 3월 3일, '서성(書聖)'으로 불리는 왕희지가 난정에서 '곡수의 연'을 열었다. 이때 모임에서 읊어진 한시들을 모은 시집의 서문 초고가 바로 왕희지의 유명한 서예 작품인 『난정서』이다.[11]이후 유상곡수 풍습은 한동안 행해지지 않다가, 당나라 시대에 이르러 공식적인 행사가 아닌 개인적인 연회 형식으로 다시 유행하게 되었다.[12]
2. 2. 한국
곡수연(曲水宴)은 고대 한국에서도 성행하였으나, 조선 시대에는 거행되었다는 기록이 남아있지 않아 비교적 이른 시기에 중단된 것으로 여겨진다. 경상북도 경주시 남쪽에 위치한 포석정(鮑石亭)은 신라 시대에 유상곡수연(流觴曲水宴)이 열렸던 대표적인 장소로 알려져 있다. 이곳에는 전복 모양으로 조각된 돌에 물길을 낸 곡수거(曲水渠) 유적이 남아있다.
포석정은 927년 신라 제55대 경애왕이 연회를 즐기던 중 후백제 군대의 습격을 받아 최후를 맞이한 곳이기도 하다. 이 사건은 신라가 멸망으로 향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2. 3. 일본
일본에서는 겐소 천황 원년(485년) 3월에 궁정 의식으로 행해진 것이 최초의 기록으로 『일본서기』에 나타난다.[13] 그러나 이 기록 이후 몬무 천황 5년(701년)까지 약 200년간 곡수의 연에 관한 기록이 없어[14] 그 사이에 계속 행해졌는지는 불분명하다. 겐소 천황 시대는 중국에서 곡수가 성행하던 시기였으므로 일본에 풍습이 전해지는 것이 이상하지는 않다. 하지만 당시 중국에서는 위(220년-265년) 이후 특정 날짜(3일)를 사용하고 상사(上巳)를 사용하지 않았던 반면, 겐소 천황 시기 기록에는 여전히 상사를 사용하고 있다는 점[15]과 공식 기록이 나라 시대까지 건너뛴다는 점 때문에, 겐소 천황 시기 기록이 후대 편자에 의해 삽입되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16]몬무 천황 이후 곡수의 연은 역사 기록에 종종 등장하게 된다. 나라 시대에는 3월 3일에 열리는 것이 일반화되었으며, 나라 시대 후반에는 크게 유행했다. 주로 천황이 주최하는 궁정 행사로 열렸지만, 만엽집에는 중납언 오토모노 야카모치가 덴표쇼호 2년(750년) 3월 3일 자택에서 주최한 곡수 연을 읊은 노래가 실려 있어[17], 당시에는 귀족들 사이에서 사적인 놀이로도 개최되었음을 알 수 있다. 헤이제이 천황 대에는 부모가 사망한 3월에 연회를 여는 것을 꺼려 일시적으로 폐지되었으나[18][19], 사가 천황(우다 천황이라는 설도 있음[20])이 이를 다시 시작했다. 헤이안 시대에는 궁정뿐만 아니라 귀족의 저택 등에서도 널리 행해졌다.
섭관 시대에는 내리(内裏, 천황의 거처)의 공식 행사로 개최되었으며, 『미도 관백기』에는 간코 4년(1007년) 후지와라노 미치나가가, 『주우기』에는 칸지 5년(1091년) 후지와라노 모로미치가 각각 곡수의 연을 주최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당시 권세를 누렸던 후지와라 씨 등은 중국을 모방하여 정원에 물길을 만들고 배를 띄우기도 했다고 전해진다.
지방에서도 곡수의 연이 행해진 흔적이 발견된다. 『덴만구 안라쿠지 창건 일기』에 따르면, 다자이후에서는 덴토쿠 2년(958년) 3월 3일에 다자이노 다이니 오노노 요시후루가 시작했다고 전해지지만, 중세 이후에는 단절되었다. 도호쿠 지방의 다가조와 히라이즈미의 모츠지에서도 곡수의 연 유적이 확인된다. 또한, 후쿠오카현 구루메시에서는 8세기 이전의 것으로 추정되는 곡수의 연 유적이 발굴되었는데, 이를 두고 지쿠시노 키미 이와이가 "천황의 명령을 따르지 않고 예의가 없었다"고 비난받은 이유 중 하나라는 견해나, 더 나아가 규슈 왕조가 존재했다는 증거로 해석하려는 주장도 있다.
3. 현대의 곡수연
현재 행해지고 있는 곡수연은 모두 과거의 기록에 근거하여 근대 이후에 복원되거나 새로 시작된 것이다.
3. 1. 일본
현재 일본에서 행해지는 곡수연은 모두 옛 기록에 근거하여 근대 이후에 복원되거나 새로 시작된 것이다.1963년 후쿠오카현의 다자이후 텐만구에서 곡수연이 부흥되었다.[21]
교토부의 가모와케 이카즈치 신사에서는 1960년, 황손 히로노미야 나루히토 친왕의 탄생을 기념하여 곡수연이 부흥되었으나 잠시 중단되었다. 이후 1994년, 나루히토 황태자의 결혼, 헤이안 시대 천도 1200년, 제41회 시키넨 센구 봉축 행사를 계기로 부활하였다.
이와테현의 모쓰지에서는 1986년 '오이즈미가이케'의 견수(물길) 유구가 복원된 것을 기념하여 곡수연을 열기 시작했다.
가고시마현의 센간엔에서는 1959년에 곡수의 정원이 발굴되었다. 이 정원은 제21대 사쓰마 번주 시마즈 요시타카가 1736년(겐분 원년)경 중국 저장성 사오싱시 란저에 있던 왕희지의 별장 난정을 본떠 조성한 것으로 여겨진다. 1992년부터 이곳에서 곡수연을 개최하고 있다.
다음은 일본 각지에서 열리는 주요 곡수연 목록이다.
시기 | 장소 | 행사명 |
---|---|---|
3월 첫 번째 일요일 | 후쿠오카현 다자이후시 다자이후 텐만구 | 곡수연 |
3월 첫 번째 일요일 | 야마구치현 시모노세키시 아카마 신궁 | 헤이케 히나나가시 신사 곡수연 |
3월 상순 | 홋카이도 아사히카와시 오토코야마 주식회사 | 칠석과 곡수연 |
3월 상순 | 교토부 교토시 가미교구 기타노 텐만구 | 스간코 켄쇼 와칸로에이 봄 곡수연 |
4월 상순 | 효고현 고베시 주오구 이쿠타 신사 | 곡수연 |
4월 첫 번째 일요일 | 가고시마현 가고시마시 센간엔 | 곡수연 |
4월 두 번째 일요일 | 교토부 교토시 기타구 가모와케 이카즈치 신사 | 가모 곡수연 |
4월 세 번째 일요일 | 도야마현 도야마시 각원사 | 후추 곡수연 |
4월 1일 | 오카야마현 쓰야마시 슈라쿠엔 | 곡수연 하이쿠회 |
4월 29일 | 교토부 교토시 후시미구 조난궁 | 조난궁 곡수연・봄 |
5월 상순 | 효고현 니시노미야시 기타야마 녹화 식물원 | 니시노미야 란테이 곡수연 |
5월 첫 번째 토요일 | 구마모토현 구마모토시 기타구 다이케이 궁 | 곡수연 |
5월 네 번째 일요일 | 이와테현 히라이즈미정 모쓰지 | 곡수연 |
6월 상순 | 사이타마현 가와고에시 요쥬인 | 곡수연 |
10월 세 번째 토・일요일 | 시즈오카현 하마마츠시 하마나구 만요의 숲 공원 | 하마키타 만요 마쓰리 곡수연 |
10월 상순 | 후쿠이현 후쿠이시 이치조다니 아사쿠라 씨 유적 박물관 | 에치젠 아사쿠라 곡수연 |
11월 상순 | 교토부 교토시 가미교구 기타노 텐만구 | 스간코 켄쇼 와칸로에이 가을 곡수연 |
11월 3일 | 교토부 교토시 후시미구 조난궁 | 조난궁 곡수연・가을 |
참조
[1]
서적
Encyclopaedia of the History of Science, Technology, and Medicine in Non-Western Cultures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08-03-12
[2]
서적
A Popular Dictionary of Shinto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5-09-30
[3]
서적
Traditional Japanese Theater: An Anthology of Plays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4]
서적
A History of the Japanese People From the Earliest Times to the End of the Meiji Era
https://books.google[...]
Library of Alexandria
[5]
서적
The Future and the Past: A Translation and Study of the Gukanshō, an Interpretative History of Japan Written in 1219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6]
웹사이트
Kyokusui no En Festival
http://www.crossroad[...]
Fukuoka Prefecture Tourist Association
2017-05-10
[7]
웹사이트
Report: Kyokusui no En (曲水の庭) – a Heian Poetry Festival
http://st-annes-mcr.[...]
St Anne’s Conferences
2017-05-10
[8]
문서
御堂関白記』寛弘4年3月3日・4日条
[9]
문서
戸川、2018年、P12・26-27
[10]
서적
年中行事事典
東京堂出版
1958-05-23
[11]
서적
年中行事事典
東京堂出版
1958-05-23
[12]
문서
戸川、2018年、P13・15
[13]
문서
顕宗天皇元年3月上巳(2日)条
[14]
문서
『続日本紀』文武天皇5年3月丙子(3日)条
[15]
문서
元年に次いで2年、3年にも記載があるが、いずれも3月上巳
[16]
서적
日本書紀 上
岩波日本古典文学大系
[17]
문서
巻第19、国歌大観番号4153
[18]
웹사이트
曲水の宴
http://yuusoku.jp/gy[...]
有職文化研究所
2011-02-28
[19]
문서
戸川、2018年、P17
[20]
문서
戸川、2018年、P18-24
[21]
웹사이트
博多の豆知識 vol.166 時代を明るくしたアイデアマン、田中諭吉(福岡市)
https://www.city.fuk[...]
[22]
두피디아
곡수연
2011-11-14
[23]
문서
蘭亭集序
353
[24]
웹인용
술잔을 띄워라 ~ 포석정
https://web.archive.[...]
2006-01-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