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인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포인트는 활판 인쇄 및 디지털 텍스트에서 글자 크기를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단위이다. 1517년 프란체스코 토르니엘로가 처음 정의했으며, 이후 여러 시스템으로 발전했다. 주요 시스템으로는 푸르니에 포인트, 디도 포인트, 아메리칸 포인트, DTP 포인트 등이 있으며 각 시스템마다 미세한 크기 차이가 있다. 한국에서는 일본의 영향을 받아 호수와 급수 단위를 사용하기도 하며, 5호 활자가 표준 글꼴 크기로 사용되는 등 특수한 상황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 단위계 - 제곱마일
제곱마일은 야드파운드법과 미국 단위계에서 사용되는 면적 단위로, 한 변이 1마일인 정사각형의 넓이이며, 2.589988110336 제곱킬로미터 또는 640 에이커에 해당한다. - 미국 단위계 - 피트
피트는 다양한 정의와 기원을 가진 길이 단위로, 국제적으로는 0.3048 미터로 정의된 국제 피트가 표준이며, 역사적으로 여러 종류가 사용되었고 현재는 특정 분야에서 널리 쓰인다. - 길이의 단위 - 보어 반지름
보어 반지름()은 물리 상수들로 정의되며, 약 5.292 × 10-11 m의 값을 가지고, 보어 모형에서 가장 안쪽 전자 궤도의 반지름으로 제시되어 원자 크기를 나타내는 척도로 사용된다. - 길이의 단위 - 피트
피트는 다양한 정의와 기원을 가진 길이 단위로, 국제적으로는 0.3048 미터로 정의된 국제 피트가 표준이며, 역사적으로 여러 종류가 사용되었고 현재는 특정 분야에서 널리 쓰인다. - 컴퓨터에 관한 - N형 반도체
N형 반도체는 전자를 주된 전하 운반체로 사용하는 반도체이다. - 컴퓨터에 관한 - CMOS
CMOS는 상보적 금속 산화막 반도체의 약자로, 저전력 소비를 특징으로 하며, P형과 N형 MOSFET을 결합하여 논리 게이트를 구현하는 디지털 회로 설계 방식 및 공정 계열이다.
| 포인트 | |
|---|---|
| 개요 | |
![]() | |
| 종류 | 타이포그래피 단위 |
| 측정 | 길이 |
| 단위 1 | 타이포그래피 단위 |
| 단위 1 값 | 피카 |
| 단위 2 | 야드파운드/미국 단위 |
| 단위 2 값 | in |
| 단위 3 | 미터 (SI) 단위 |
2. 역사적 배경
1517년 밀라노 출신의 활자 디자이너 프란체스코 토르니엘라 다 노바라는 그의 저서 ''L'Alfabeto''에서 '푸토(Punto)'라는 측정 단위를 처음 정의했는데, 이는 글자 높이의 9분의 1 또는 주요 획의 두께에 해당한다.[3][4]
포인트는 지역과 시대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되었다. 가장 오래된 푸르니에 포인트는 시세로 크기의 12분의 1을 기준으로, 디도 포인트는 1783년경 프랑스 인치(Pied de roi)의 1/72인치로 정의되었다. 푸르니에 포인트는 약 0.34882mm, 디도 포인트는 약 0.3759mm이다.
유럽 대륙에서는 주로 디도 포인트가 사용되었지만, 영국과 미국에서는 1886년까지 통일된 체계가 없었다. 미국에서는 아메리칸 포인트가 1886년 MS&J의 존슨 파이카를 기준으로 확립되었으며, 1포인트는 약 0.3514mm이다. 아메리칸 포인트는 1900년대 후반 도쿄 쓰키지 활판 제조소를 통해 일본에도 보급되었다.
2. 1. 초기 포인트 시스템
1517년, 밀라노 출신의 활자 디자이너인 프란체스코 토르니엘라 다 노바라(1589년 사망)가 그의 저서 ''L'Alfabeto''에서 '푸토(Punto)'라는 논리적인 측정 단위를 처음으로 제안했다. 이는 글자 높이의 9분의 1 또는 주요 획의 두께에 해당한다.[3][4]세바스티앙 트뤼셰(1657~1729)는 1/1728 프랑스 피트(Pied du Roi)를 1포인트로 정의했으며, 이는 약 0.187986mm에 해당한다. 이 '''트뤼셰 포인트'''는 최초의 현대적인 활자 포인트로 간주된다.
피에르 시몽 푸르니에(1712~1768)는 1737년에 11/864 프랑스 인치(약 0.345mm)를 1포인트로 하는 '''푸르니에 포인트'''를 정립했다.[10][11][26] 푸르니에는 2인치에 144개의 포인트를 표시한 기준 눈금을 인쇄했지만, 단일 포인트를 정확하게 측정하기에는 너무 대략적이었다.[11] 푸르니에 포인트는 모노타입 공사에 의해 1927년 부활했음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인기를 얻지 못했다.[26]
2. 2. 디도 포인트
'''디도 포인트'''는 1783년 프랑수아 앙브로즈 디도가 푸르니에 시스템을 개선하여 정립한 것이다.[12] 디도는 세분화(1 인치 = 12 세분화 = 72 포인트)는 변경하지 않았지만, 프랑스의 법적 길이 측정 단위인 왕실 피트를 기준으로 엄격하게 정의했다. 디도 포인트는 프랑스 피트의 정확히 1/864 또는 프랑스 인치의 1/72에 해당하며, 1799년 기준으로 mm, 즉 약 이다. 따라서 하나의 디도 포인트는 정확히 두 개의 트뤼셰 포인트이다.12개의 푸르니에 포인트는 11개의 디도 포인트로 나타났으며,[11] 이는 푸르니에 포인트가 약 임을 의미한다. 이후 자료[26]에서는 로 표기하고 있다. 디도는 새로운 크기와 이전 크기 사이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 전통적인 이름을 거부했으며, ''parisienne''은 ''corps'' 5가 되었고, ''nonpareille''는 ''corps'' 6 등이 되었다.[11] 디도 시스템은 프랑스 정부가 디도 측정법으로 인쇄를 요구했기 때문에 우위를 점했다.[13]
디도 포인트의 미터법 단위로의 변환이 비실용적이었기 때문에, 이후 근사치가 사용되었다. (변환 비율의 나눗셈은 3 × 7 × 1979의 소인수 분해를 갖는다).
1878년, 헤르만 베르톨트는 798 포인트를 30 cm, 즉 2660 포인트를 1 미터로 정의했다. 이는 포인트당 약 을 의미한다.[14][15][16][17] 더 정확한 수치인 가 때때로 주어진다.[15] 이것은 TeX에 의해 단위로 사용된다. 이는 독일[8]과 중부 및 동부 유럽에서 표준이 되었다.[18] 이 크기는 여전히 유라시아 경제 연합의 기술 규정에 언급되어 있다.[19]
2. 3. 미국식 포인트 (아메리칸 포인트)
미국 독립 전쟁 중과 그 이후, 벤저민 프랭클린은 프랑스에서 미국 특사로 활동하며 푸르니에 가문 등과 긴밀한 관계를 맺었다.[29] 프랭클린은 자신의 손자에게 인쇄술을 가르치기 위해 프랑수아 앙브루아즈 디도에게 훈련을 받도록 주선했고, 프랑스 활자 주조 장비를 미국으로 수입했다.[30][31]19세기 후반, 미국에서는 다양한 활자 주조소들이 각자의 규격을 사용하면서 혼란이 있었다.[26] 넬슨 호크스는 미국 인치를 6 파이카로, 1 파이카를 12 포인트로 나누는 것을 제안했지만, 기존 파이카와의 차이 때문에 반대에 부딪혔다.
1886년, 미국 활자 주조 협회는 필라델피아의 L. Johnson & Co. 활자 주조소의 파이카('''존슨 파이카''')를 표준으로 승인했다.[27] 이는 미국 최초이자 가장 오래된 주조소로서, 1796년 Binny & Ronaldson으로 설립되어 1892년 미국 활자 주조 회사(American Type Founders Co.)를 형성하기 위한 합병에 참여한 23개의 활자 주조소 중 가장 큰 회사였다.[32] 1 파이카는 0.166044inch, 1 포인트는 0.013837inch로 정의되었다.[27][33] 덜 정확한 정의로는 1 파이카가 0.166inch, 1 포인트가 0.01383inch와 같다고 알려져 있다.[27][33]
이것이 '''미국 포인트 시스템'''으로 알려지게 되었으며,[27][33] 1898년 영국 활자 주조소에서도 이를 받아들였다.
3. 다양한 포인트 시스템
타이포그래피에서 사용되는 '포인트'는 시대와 지역에 따라 다양한 시스템이 존재하여 그 정의가 일률적이지 않다. 초창기 포인트 시스템으로는 '''푸르니에 포인트'''(Fournier's point)가 있으며, 이후 '''디도 포인트'''(Didot's point)가 1783년경에 등장했다. 이 두 시스템은 프랑스에서 기원하여 유럽 대륙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푸르니에 포인트는 피에르 시몽 푸르니에(Pierre-Simon Fournier)가 제안했으며, 시세로(Cicéro) 크기의 1/12를 기준으로 한다. 프랑수아 앙브루아즈 디도(François-Ambroise Didot)는 푸르니에 시스템을 개선하여, 프랑스 인치 크기인 "왕의 인치"(Pied de roi)에 1포인트를 1/72인치로 정의했다. 푸르니에 포인트는 1pt ≒ 0.34882mm, 디도 포인트는 1pt ≒ 0.3759mm에 해당한다.[39][40]
유럽 대륙에서는 주로 디도 포인트 시스템이 사용되었지만, 영국과 미국에서는 통일된 포인트 시스템이 널리 보급되지 않았다. 미국에서 활자 크기가 통일된 것은 1886년에 MS&J(Mackellar, Smiths and Jordan, Letter Founder)의 존슨 파이카(Johnson pica)를 공통으로 사용하기로 결정하면서부터이다. 이를 '''아메리칸 포인트'''(American point, American printers' point)라고 한다. 존슨 파이카는 83파이카 = 35cm로 정의되며, 1pt = 1/12파이카 ≒ 0.3514mm이다. 아메리칸 포인트는 도쿄 쓰키지 활판 제조소에 의해 1900년대 후반에 소개되어 일본에서도 보급되었다.
3. 1. 주요 포인트 시스템 비교
| 이름 | 년도 | mm | 인치 | |
|---|---|---|---|---|
| 푸르니에[6] | 1737 | ≈ 0.345 | ≈ 0.0135 | |
| 미국[27] | 1886 | ≈ 0.3515 | = 0.013837 | |
| 일본[7] | 1962 | = 0.3514 | ≈ 0.013835 | |
| TeX | 1982 | = 0.35145980 | ≈ 0.013837 | = 1/72.27 |
| 포스트스크립트, CSS | 1984 | = 0.3527 | = 0.0138 | = 1/72 |
| 디도 | 1783 | ≈ 0.375972 | ≈ 0.0148 | |
| 베르톨트 | 1878 | ≈ 0.376 | ≈ 0.014801 | |
| DIN 실제,[8] TeX | 1964 | = 0.376065 | ≈ 0.014806 | |
| DIN 공칭,[8] TeX | 1984 | = 0.375 | ≈ 0.014764 | |
| 트뤼셰 | 1694 | ≈ 0.188 | ≈ 0.007401 | |
| L'Imprimerie Nationale 공칭 | 1810 | = 0.400 | ≈ 0.015748 | |
| L'Imprimerie Nationale 실제 | 1810 | = 0.39877 | ≈ 0.0157 | |
| DIN,[9] 일본, CSS | 1999 | = 0.250 | ≈ 0.009842 |
타이포그래피의 등장 이후 "포인트"에 대한 정의는 다양하게 존재해왔다. 전통적인 유럽 대륙의 포인트는 약 0.375mm로, 약 0.350mm인 영국 포인트보다 약간 더 크다.[39][40]
어도비 시스템의 포스트스크립트를 만든 존 워낙과 찰스 게시케가 주창해서 널리 알려지고 사용되게 되었기 때문에 '''포스트스크립트 포인트'''라고 부르기도 한다.
3. 2. 기타 포인트 시스템
트루셰 포인트는 약 0.188mm이다. Sébastien Truchet|세바스티앙 트루셰프랑스어가 1/1728 프랑스 피트를 1포인트로 정의했다.François-Ambroise Didot|프랑수아 앙브루아즈 디도프랑스어는 트루셰의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크기의 두 배를 1포인트(디도 포인트)로 삼았다. 디도 포인트는 1/864 프랑스 피트로, 약 0.376mm이다. 그러나 분모 41559는 홀수여서 인쇄에 불편했고, 여러 변형 포인트가 나왔다.
| 포인트 종류 | 크기 | 비고 |
|---|---|---|
| 유럽 인쇄소 | 0.376065mm | 유럽 인쇄소에서 사용 |
| 베르톨트 포인트 | 0.376mm | 헤르만 베르톨트 등이 사용 |
| 얀 치홀트 포인트 | 0.37594mm | 얀 치홀트의 기준 |
프랑스 국립 인쇄소는 1포인트를 0.4mm로 채택했다.
일본과 독일 표준화 기구는 0.25mm의 미터법 활자 기준 치수를 선택했다. 일본에서는 "쿼터"라고도 하며, CSS는 2015년에 "Q" 기호를 채택했다.[24][25]
ISO 128은 도면 선 두께, ISO 9175는 펜을 지정한다. 0.35mm 두께는 거의 1피카 포인트이다.
4. 현대의 DTP 포인트
DTP 포인트(포스트스크립트 포인트)는 1/72 인치(약 0.353mm)로 정의되며,[36] 현대 디지털 인쇄 및 출판 분야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표준이다. 마이크로소프트 워드 등의 응용 프로그램에서도 일반적으로 DTP 포인트를 채택하고 있다.
4. 1. DTP 포인트의 등장 배경
어도비 시스템의 포스트스크립트를 만든 존 워녹과 찰스 게쉬키가 탁상 출판 포인트(DTP 포인트) 시스템을 주창하면서 널리 알려지고 사용되게 되었다. 이는 애플이 초기 매킨토시 데스크톱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해상도와 LaserWriter 프린터의 인쇄 해상도에 대한 표준으로 채택하였다.[36][37]1996년, W3C는 캐스케이딩 스타일 시트(CSS)에 DTP 포인트를 채택했으며, 이후 96 인치당 픽셀(pixel-per-inch) 화면이라는 일반적인 가정으로 인해 픽셀과 3:4 고정 비율(Dots per inch#Computer monitor DPI standards|fixed 3:4 ratio)로 연결되었다.
4. 2. DTP 포인트와 다른 시스템과의 호환성 문제
DTP 포인트는 아메리칸 포인트와 약간의 차이가 있어, 과거 출판물을 다시 조판할 때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아메리칸 포인트는 약 0.3514mm이고, DTP 포인트는 약 0.3528mm이다. 따라서 작은 포인트 수에서는 큰 차이가 없지만, 지면 전체로 보면 오차가 커진다.[41]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TeX는 스케일드 포인트(scaled point, sp)를 사용한다. 1sp는 1/65,536pt로 정의되며, 이를 통해 다양한 포인트 시스템을 정밀하게 다룰 수 있다. TeX에서는 TeX 포인트(1pt = 1/72.27 in. = 0.35145980...mm)와 빅 포인트(1bp = 0.35277370...mm)를 정의하여, 아메리칸 포인트와 DTP 포인트를 오차 없이 병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5. 한국의 포인트 시스템 및 특수 상황
한국에서는 일본의 영향을 받아 활자 인쇄에서 '호' 단위를, 사진 식자 기계에서는 '급'(Q) 단위(1Q = 0.25mm)를 사용했다. 자간에는 '치'라는 단위를 사용했다.
호수제는 초호(미국식 42포인트 상당), 1호(구 1호 27.5포인트 상당·신 1호 26.25포인트 상당), 3호(구 3호 16포인트 상당·신 3호 15.75포인트 상당)의 3가지 문자 크기를 기준으로 하며, 인쇄소에서는 호수 활자 사이를 포인트 활자로 보충하여 함께 사용했다. 급수제는 미터법을 기반으로 하며, 사진 식자 기계의 자간 간격(0.25mm 간격)과 동일하다.
5. 1. 일본의 영향과 호수/급수 시스템
일본의 영향을 받아, 활자 인쇄에서는 '호' 단위를 사용했고, 사진 식자 기계에서는 '급'(Q) 단위(1Q = 0.25mm)를 사용했다. 자간에 대해서는 '치'라는 단위를 사용했다.'''호수제'''는 초호(미국식 42포인트 상당), 1호(구 1호 27.5포인트 상당·신 1호 26.25포인트 상당), 3호(구 3호 16포인트 상당·신 3호 15.75포인트 상당)의 3가지 문자 크기를 기준으로 한다. 인쇄소에서는 호수 활자 사이를 포인트 활자로 보충하여 함께 사용했다. 1960년대까지는 구 호수가 전국 공통으로 사용되었지만, 1962년에 새로운 규격(신 호수)이 일본 공업 규격으로 제정되었다. 그 후에도 구 호수를 계속 사용한 간토 지방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지방에서 신 호수로 전환되었다.
- 초호 - 2호(21포인트 상당) - 5호(10.5포인트 상당) - 7호(5.25포인트 상당)
- 1호 - 4호(구 4호 13.75포인트 상당·신 4호 13.125포인트 상당)
- 3호 - 6호(구 6호 8포인트 상당·신 6호 7.875포인트 상당) - 8호(구 8호 4포인트 상당·신 8호 3.9375포인트 상당)
'''급수제'''는 미터법을 기반으로 하며, 사진 식자 기계의 자간 간격(0.25mm 간격)과 동일하다. 일본어를 지원하는 DTP 소프트웨어는 대부분 급수를 다룰 수 있지만, 급수로 입력하면 자동으로 포인트(DTP 포인트)로 환산하여 표시하는 경우도 있다. 일본어용 TeX(pTeX)에서도 급이나 치로 문자 크기 등을 지정할 수 있다.
5. 2. 한국의 표준 글꼴 크기
日本일본어에서는 오랫동안 5호 활자(10.5포인트 상당)가 공문서 등에 주로 사용되었으며, 이를 반영하여 후대의 일본어 워드 프로세서나 워드프로세서 소프트웨어에서는 10.5포인트가 표준 글자 크기로 사용되고 있다.[3]메이지 시대부터 다이쇼 시대 초기까지 『중앙공론』 등 많은 잡지는 주요 기사를 5호 활자, 부 기사를 6호(구 6호) 활자로 나누어 조판하는 방식을 표준으로 삼았다. 다이쇼 시대 중기에는 5호와 6호의 중간에 해당하는 9포인트 활자로 통일되었고, 더 나아가 8포인트 활자가 본문 활자로도 사용되었다. 종전 직후 용지 부족에 따른 지면 제약의 영향으로, 전후에는 8포인트 활자가 표준 본문 활자가 되었다.[3]
참조
[1]
웹사이트
Point Size and the Em Square: Not What People Think
http://www.thomasphi[...]
2012-08-16
[2]
간행물
Cascading Style Sheets Level 2 Revision 2 (CSS 2.2) Specification
World Wide Web Consortium
2016-04-12
[3]
서적
The alphabet of Francesco Torniello da Novara [1517]: Followed by a comparison with the alphabet of Fra Luca Pacioli
Officina Bodoni
[4]
서적
Italian Literature Before 1900 in English Translation: An Annotated Bibliography, 1929-2008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Toronto Press
[5]
간행물
Cascading Style Sheets, level 2 CSS2 Specification
World Wide Web Consortium
2016-04-12
[6]
문서
Various sources give different sizes, namely: ≈
[7]
문서
JIS Z 8305. 活字の基準寸法. Dimensions of Printing Types.
[8]
문서
DIN 16507-1:1998 and its predecessors, at least since 1964, for lead typecasting defined 2660 points to measure 1000.333 mm at 20 °C, but for public communication it later introduced a rounder value.
[9]
문서
DIN 16507-2 (1984, 1999) does not specify a custom unit for electronic typography, but measures using a module.
[10]
서적
Manuel typographique
https://archive.org/[...]
[11]
서적
The practice of typography
https://archive.org/[...]
Century Co.
[12]
서적
Type & Typography
https://books.google[...]
Laurence King Publishing
[13]
문서
L. Ronner, Van leerling tot Zetter, 1913, N.V.De nieuwe Tijd, Amsterdam, pag 30.
[14]
논문
Type Systems of To-day
[15]
서적
Schrift und Schriftlichkeit / Writing and its Use
Walter de Gruyter
[16]
서적
Buchkunde
https://books.google[...]
De Gruyter
[17]
서적
Die Herstellung: Ein Handbuch für die Gestaltung, Technik und Kalkulation von Buch, Zeitschrift und Zeitung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18]
서적
GOST 3489.1-71. Printing types (Russian and Roman graphic bases). Group arrangement. Indexing. Base line. Characters per 4 picas
[19]
문서
Статья 8. Пункт 11. // [http://www.eurasiancommission.org/ru/act/texnreg/deptexreg/tr/Documents/P_797_1.pdf ТР ТС 007/2011. Требования безопасности издательской (книжной и журнальной) продукции, школьно-письменных принадлежностей.]
[20]
논문
French academicians and modern typography: designing new types in the 1690s
[21]
서적
Bulletin du bibliophile
https://books.google[...]
Promodis
2002
[22]
웹사이트
Type bodies compared
http://typefoundry.b[...]
2008-04-30
[23]
문서
JIS X 4052:2000, JIS Z 8125:2004
[24]
웹사이트
CSS Values and Units Module Level 3
https://www.w3.org/T[...]
2016-09-29
[25]
웹사이트
CSS Values and Units Module Level 3
https://www.w3.org/T[...]
2015-06-11
[26]
서적
Typographical Printing-Surfaces
https://books.google[...]
Longmann, Green, and Co.
1916
[27]
서적
The practice of typography
https://archive.org/[...]
Century Co.
[28]
서적
Newspaper Editing: A Manual for Editors, Copyreaders, and Students of Newspaper Desk Work
https://archive.org/[...]
D. Appleton and Company
1920
[29]
문서
Benjamin Franklin papers
http://hdl.library.u[...]
Kislak Center for Special Collections
[30]
문서
Updike, I, p. 257, II pp. 152-3
[31]
문서
Allen Huet, Fournier the compleat typographer, 1972, London, Frederik Muller Ltd, page 3, 4, 62, 63
[32]
웹사이트
From the Archives no. 12—The Formation of American Type Founders
https://www.paulshaw[...]
[33]
논문
The American Point System
https://babel.hathit[...]
[34]
서적
The TeXbook
Addison-Wesley
[35]
문서
Rich Hopkins, Origin of the American Point system for Printers; Type Measurement, Jill & Dale private Press, Terra Alta, West Virginia, 1976, 2e impression 1989
[36]
서적
Advances in Computer Graphics III
Springer
[37]
서적
Electronic printing and publishing: the document processing revolution
https://books.google[...]
CRC Press
[38]
웹사이트
Support different pixel densities
https://developer.an[...]
2022-06-21
[39]
문서
fr:Pierre-Simon Fournier
[40]
문서
fr:François-Ambroise Didot
[41]
간행물
日本工業規格の JIS Z 8305-1962 (JIS Z 8305:1962)「活字の基準寸法」では 2. (2) に「1ポイントは 0.351 4 mm とする」と定められている
日本規格協会
[42]
서적
The TeXboo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