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포항경주공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포항경주공항은 1970년 2월 포항비행장으로 개항하여, 대한항공이 김포 노선을 개설하며 운항을 시작했다. 1999년부터 2002년까지 여객 터미널 확장 공사를 거쳤으며, 2002년 6월에 새 터미널을 개관했다. 2014년 활주로 재포장 공사로 운항이 중단되었다가 2016년 5월 재개장했다. 2022년 7월 14일 포항경주공항으로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현재 진에어가 김포, 제주 노선을 운항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주한 미군의 시설 - 부산 저장소
    부산 저장소는 태평양 전쟁 시기 일본군 군수물자 보관 시설에서 유래하여 미군 '제55병참기지창'을 거쳐 부산 저장시설로 개편되었고, 현재 부산 동구청이 토지를 이양받아 공원 조성을 계획 중이나 토지 가격 상승 및 용도 변경 문제가 남아있다.
  • 주한 미군의 시설 - CP 탱고
    CP 탱고는 한반도 유사시 한미 연합사의 지휘소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청계산 지하에 건설된 벙커이며, 전술핵 공격에도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되었고, 한미 연합 군사 훈련 시 지휘부가 집결하며, 주한 미군 철수와 함께 대한민국 육군에 인도될 예정이다.
  • 1970년 개항한 공항 - 멜버른 공항
    멜버른 공항은 1970년 개항한 빅토리아주 툴라마린의 국제공항으로, 주요 항공사 허브 공항이자 국내외 항공편을 운항하며 확장과 시설 개선을 거듭하고 있고, 활주로 건설 계획에 따른 소음 문제가 우려되고 있다.
  • 1970년 개항한 공항 - 니우에 국제공항
    니우에 국제공항은 니우에 수도 알로피 남쪽에 위치하며, 에어뉴질랜드가 오클랜드행 국제선을 운항한다.
  • 포항시의 건축물 - 포항스틸야드
    포항스틸야드는 1990년 개장한 대한민국 최초의 축구 전용 경기장이자 K리그 포항 스틸러스의 홈 경기장으로, 지속적인 시설 개선을 통해 관람 환경을 개선해왔다.
  • 포항시의 건축물 - 포항종합운동장
    포항종합운동장은 축구와 육상 경기가 가능한 20,000명 수용 규모의 다목적 경기장이며, 과거 K리그 포항 스틸러스의 홈 구장으로 사용되었다.
포항경주공항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포항공항 20090502
포항공항 전경
IATA 코드KPO
ICAO 코드RKTH
공항 종류공용/군용
개항1970년 2월
운항 도시포항시
경주시
위치경상북도 포항시
웹사이트포항경주공항 공식 웹사이트
운영
소유국토교통부
운영한국공항공사
대한민국 해군
미합중국 해병대
활주로 정보
활주로 번호10/28
길이2,134m
표면콘크리트
통계 (2019년)
여객93,769명
항공기 운항 횟수1,162회
화물 처리량395톤
통계 (2022년)
이용 여객249,413명
운항 횟수2,514회
처리 화물¹0톤
주석출처: 한국공항공사 - 공항별 통계
주석수하물은 제외한다.

2. 역사

1970년 2월에 포항비행장으로 설립되어, 1970년 3월대한항공이 포항 - 서울 노선을 개설하였다.[4] 1992년 4월아시아나항공이 포항 - 서울 노선을 개설하였다.[4] 1999년부터 공항 확장 공사를 시행하여 2002년 6월에 새 여객 터미널을 개관하였다.[4] 아시아나항공이 운항하였던 2004년 12월에 포항 - 제주 노선이 수요 부족으로 폐지되었다가 2009년 7월 31일에 운행을 재개했다. 포항 비행장은 원래 일제강점기에 개발되었다.

2. 1. 설립 초기 (1970년대 ~ 1990년대)

1970년 2월에 포항비행장으로 설립되어, 1970년 3월대한항공이 포항 - 서울 노선을 개설하였다.[4] 1992년 4월에는 아시아나항공이 포항 - 서울 노선을 개설하였다.[4] 1970년대에 포항비행장은 민간 항공 운송 능력을 갖추게 되었다.[4] 1990년대에 아시아나항공이 포항공항에 취항했고, 여객 터미널이 확장되었으며, 2002년 6월에 새로운 터미널이 개장했다.[4] 1999년부터 공항 확장 공사를 시행하여 2002년 6월에 새 여객 터미널을 개관하였다. 1999년 3월 15일, 포항공항은 서울에서 포항으로 비행하던 맥도넬 더글러스 MD-83 기종의 대한항공 1533편의 목적지였다. 해당 항공기는 포항공항 착륙 중 활주로를 벗어났다. 탑승자 156명 전원이 생존했지만, 항공기는 파손되었다. 이 사고는 맥도넬 더글러스 MD-80 기종의 11번째 기체 손실 사고였다.[5]

2. 2. 확장 및 시설 개선 (1999년 ~ 2014년)

1999년부터 공항 확장 공사를 시작하여 2002년 6월에 새 여객 터미널을 개관하였다.[4] 1990년대에는 아시아나항공이 포항공항에 취항하기도 했다.[4] 2004년 12월에는 아시아나항공의 포항 - 제주 노선이 수요 부족으로 폐지되었다가 2009년 7월 31일에 운항을 재개했다.

2009년 6월, 포스코의 신제강공장 건설 중 공장 높이가 포항공항의 고도 제한에 걸리면서, 포스코국방부, 포항시는 2011년 1월 행정협의조정위원회의 조정에 따라 활주로를 동쪽으로 378m 옮기기로 합의하였다.[12] 그러나 동해면 도구리 주민들의 반대로 활주로 공사가 지연되었다.

결국 2014년 3월 활주로를 옮기지 않고 서쪽을 4m 상향하는 것으로 합의가 변경되었고, 같은 해 8월 6일 행정협의조정위원회가 변경 결정을 통지하였다.[13] 이에 따라 활주로 서쪽 900m를 경사면 끝 부분 기준으로 4m 상향하고, ILS(계기착륙장치) 설비를 설치하였으며, 사업비 중 900억 원을 포스코가 부담하였다.[14] 한편, 1999년 3월 15일에는 서울에서 포항으로 비행하던 맥도넬 더글러스 MD-83 기종의 대한항공 1533편이 포항공항 착륙 중 활주로를 벗어나는 사고가 발생했다. 탑승자 156명 전원이 생존했지만, 항공기는 파손되었다.[5]

2. 3. 민항 존폐 위기와 국제선 취항 (2004년 ~ 2016년)

1970년 2월 포항비행장으로 설립되어, 1970년 3월 대한항공이 포항 - 서울 노선을 개설하였다.[4] 1992년 4월에는 아시아나항공이 포항 - 서울 노선을 개설하였다.[4] 1999년부터 공항 확장 공사를 시행하여 2002년 6월에 새 여객 터미널을 개관하였다.[4] 2004년 12월아시아나항공이 운항하던 포항 - 제주 노선이 수요 부족으로 폐지되었다가 2009년 7월 31일에 운행을 재개했다.

2004년 동대구역KTX가 개통되어 60만 명 이상이던 이용객 수가 절반 이상 줄었고, 2010년 11월 KTX 2단계 구간의 신경주역 영업 개시로 이용객이 추가로 감소하였다. 2015년 4월 2일 KTX 포항역의 정식 운행으로 포항공항의 항공 수요가 더욱 줄어 공항 존폐 위기에 몰릴 수 있다는 예측 때문에 국제선 취항이나 지역항공사 설립이 모색되었다.[15] 2012년 5월 24일 중국남방항공다롄공항에서 1회 전세기로 운항하여 포항공항 개항 42년 만에 처음으로 국제선이 운행되었다.

2014년 1월부터 2016년 5월까지 활주로 재포장 공사가 진행되었다.[6][7]

2. 4. 활주로 재포장 및 재개장 (2014년 ~ 2022년)

2014년 포스코국방부, 포항시와 활주로 서쪽을 4m 상향하기로 합의하고, 행정협의조정위원회의 변경 결정을 통지받았다.[13] 이에 따라 활주로 서쪽 900m를 경사면 끝 부분 기준으로 4m 상향하고, ILS(계기착륙장치) 설비를 설치하였으며, 사업비 중 900억 원을 포스코가 부담하였다.[14]

2014년 7월 1일부터 2016년 4월 25일까지 활주로 재포장 공사를 하여 운항을 중단하였다.[16] 2016년 5월 1일에 공항을 재개장하여 대한항공이 포항 ~ 서울(김포) 노선 운항을 재개하였다.[17][18]

동해선 포항역의 KTX 투입 여파와 맞물려 여러 항공사들이 포항 노선에 대해 적자 우려를 이유로 복항을 꺼렸으나, 포항시의 손실 보조를 전제로 대한항공이 2016년 5월 3일부터 포항-김포 노선을 1일 2회 운항하였다.[17][18] 그러나 포항-김포 노선은 탑승률이 저조하여 2019년 8월 1일부터 1일 1회 운항으로 줄었고, 같은 해 10월 27일에 노선이 폐지되었다.[19] 대신 9월 16일부터 포항-제주 노선이 1일 1회 운항하고 있다.[20]

2018년 2월 7일에는 에어포항이 포항공항을 허브로 신규취항하였으나, 같은 해 12월에 운항을 중단하고 2019년에 운항증명 효력을 상실하였다.

2022년 7월 14일부터 포항경주공항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21] 경주 보문단지와 경주시외버스터미널, 포항공항을 연결하는 노선 버스도 신설됐다.

2. 5. 포항경주공항으로 명칭 변경 (2022년 ~ 현재)

1970년 2월 포항비행장으로 설립되어, 1970년 3월 대한항공이 포항 - 서울 노선을 개설하였다.[4] 1992년 4월에는 아시아나항공이 포항 - 서울 노선을 개설하였다.[4] 1999년부터 공항 확장 공사를 시행하여 2002년 6월에 새 여객 터미널을 개관하였다.[4] 2014년 1월부터 2016년 5월까지 활주로 재포장 공사를 진행하였다.[6][7] 2020년 포항시와 경주시는 공항 명칭을 '''포항공항'''에서 '''포항경주공항'''으로 변경하는 안을 국토교통부에 제출했고,[8] 2022년 정부 승인을 받아 '''포항경주공항'''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9]

3. 운항 노선

포항경주공항 전경


1층 도착 로비와 2층 출발 로비


진에어는 서울(김포)[22][10], 제주[22][10] 노선을 운항한다.

3. 1. 국내선



진에어는 서울(김포)[22][10], 제주[22][10] 노선을 운항한다.

4. 시설 규모

해군에서 운영하고 있는 포항공항의 민항기 계류장에는 A320/B737급 항공기 5기가 동시에 주기할 수 있다. 길이 2133 m×폭 46 m의 활주로 1본이 설치되어 있으며, 연간 항공기 처리 능력은 10만 회이다.

5. 한국전쟁과 포항공항 (K-3)

1950년 7월 초, 포항 비행장은 USAF 작전 기지로서의 잠재력을 인정받았다. 7월 7일, 팀벌레이크 준장 제5공군 부사령관은 기지 개발을 명령했다. 제802공병항공대 A중대가 포항에 상륙하여 7월 12일, 152.4m PSP 연장 및 27대의 F-51 머스탱을 위한 경계 시설을 건설하며 비행장 개선을 시작했다.[2] 비행장은 USAF에 의해 '''K-3'''로 지정되었다.

조선인민군(KPA) 제12사단 병력이 8월 초 포항 지역으로 침투하여 비행장에 대한 게릴라 공격을 감행했다. 8월 12일까지 KPA 병력이 포항에 진입했고, 이에 따라 8월 13일 제35전투요격비행단은 일본의 쓰이키 비행장으로 철수했다. 며칠 후, 대한민국 및 미군이 KPA를 격퇴했지만, 게릴라 부대의 지속적인 존재는 기지로의 조기 복귀를 어렵게 만들었다.[2]

1950년 7월부터 8월까지 포항에 주둔한 USAF 부대는 다음과 같다.


  • 제35전투요격비행단 (1950년 7월 14일-8월 13일)[2] 예하 부대:
  • *제39전투요격비행대대 (F-51 운영, 1950년 8월 8일-13일)[2]
  • *제40전투요격비행대대 (F-51 운영, 1950년 7월 16일-8월 13일)[2]
  • 제6131공군기지전대 (후일 제6131전술지원비행단) (1950년 7월 14일)[2]


제802대대는 9월 27일 포항으로 돌아와 비행장이 비교적 손상되지 않은 것을 확인했다. 제35전투요격비행단은 10월 3일 포항으로 복귀했다. 10월 12일에는 F-51을 운용하는 제77비행대대 RAAF가 포항에 도착했다.[2]

1953년 7월, 미국 해군은 한국 전쟁의 마지막 날 핵 억지력으로 두 대의 AJ (A-2) 세비지 항공기를 K-3에 배치했다.[3]

F9F-2s 비행대 VMF-311의 1951년 포항 기지


2008년 10월, 미국 해군은 HM-14에 배속된 MH-53E 시 드래곤의 영구 분견대를 일본, 이와쿠니에서 이전했다. 이 분견대는 미국 제7함대에 전진 배치된 기뢰 대항 및 중량물 수송 자산을 제공한다. 포항경주공항은 군과 함께 사용하고 있으므로, 계류장, 활주로 및 군사 시설의 사진 또는 비디오 촬영은 엄격히 금지된다.

6. 통계

wikitable

연도운항(편수)여객 (명)화물 (톤)
1997년10,3271,124,781-
1998년9,736784,983-
1999년8,109789,973-
2000년8,456801,607-
2001년8,345774,0291,964
2002년8,128704,4671,582
2003년7,608645,4942,086
2004년7,285659,9882,410
2005년4,968464,6531,677
2006년3,591347,1801,208
2007년2,831297,702980
2008년2,998267,686805
2009년3,746304,372865
2010년3,598323,652959
2011년3,542260,050860
2012년3,312262,198886
2013년3,131239,516909
2014년1,540112,387441
2015년000
2016년91668,226216
2017년1,37398,391323
2018년1,35883,818332
2019년1,16293,769395
2020년83865,994295
2021년1,868158,927697
2022년2,514249,4131,084
2023년2,053253,7031,149
출처: 한국공항공사 운항 통계[11]



2004년 4월 경부고속철도의 개통, 2010년 11월 경부고속철도 2단계 구간의 개통, 2015년 4월 KTX 포항역 개통으로 공항 이용객 수가 급격히 감소하였다.[23] 2014년 7월 1일부터 2016년 4월 25일까지 활주로 재포장 공사로 운항이 중단되었다.[23]

6. 1. 연도별 운항 및 여객 추이

wikitable

연도운항(편수)여객 (명)화물 (톤)
1997년10,3271,124,781-
1998년9,736784,983-
1999년8,109789,973-
2000년8,456801,607-
2001년8,345774,0291,964
2002년8,128704,4671,582
2003년7,608645,4942,086
2004년7,285659,9882,410
2005년4,968464,6531,677
2006년3,591347,1801,208
2007년2,831297,702980
2008년2,998267,686805
2009년3,746304,372865
2010년3,598323,652959
2011년3,542260,050860
2012년3,312262,198886
2013년3,131239,516909
2014년1,540112,387441
2015년000
2016년91668,226216
2017년1,37398,391323
2018년1,35883,818332
2019년1,16293,769395
2020년83865,994295
2021년1,868158,927697
2022년2,514249,4131,084
2023년2,053253,7031,149
출처: 한국공항공사 운항 통계[11]



2004년 4월 경부고속철도의 개통, 2010년 11월 경부고속철도 2단계 구간의 개통, 2015년 4월 KTX 포항역 개통으로 공항 이용객 수가 급격히 감소하였다.[23] 2014년 7월 1일부터 2016년 4월 25일까지 활주로 재포장 공사로 운항이 중단되었다.[23]

7. 교통

포항시 시내버스 200번이 양덕, 롯데백화점, 죽도시장, 포스코를 경유하여 구룡포까지 운행한다.

참조

[1] 웹사이트 South Korea Traffic Statistics https://www.airport.[...] KAC
[2] 서적 The United States Air Force in Korea, 1950-1953 https://media.defens[...] Air Force History & Museums Program
[3] 서적 Nuclear Weapons and Aircraft Carriers: How the Bomb Saved Naval Aviation Smithsonian Institution Press
[4] 웹사이트 Airport overview https://www.airport.[...] Pohang Gyeonjju Airport
[5] 웹사이트 South Korea Traffic Statistics https://www.airport.[...] KAC
[6] 뉴스 포항공항 활주로 포장공사로 7월부터 폐쇄 http://www.sisafocus[...] Sisa Focus News
[7] 뉴스 포항공항 2년 만에 재개장 https://go.seoul.co.[...] Seoul News
[8] 뉴스 포항시·경주시, 포항공항 명칭변경 건의...포항·경주공항으로 https://www.ajunews.[...] Ajou Economy
[9] 뉴스 포항공항, '포항경주공항'으로 명칭 변경 https://www.fnnews.c[...] Financial News
[10] 뉴스 포항~김포, 포항~제주 노선 진에어 31일 취항 https://www.yna.co.k[...] 2020-07-16
[11] 웹사이트 Air Traffic Statistics https://www.airport.[...] 2023-07-23
[12] 뉴스 고도제한 풀린 포스코 "포항 신제강공장 한달내 완공" http://www.hankyung.[...] 한국경제 2011-01-18
[13] 뉴스 공항 활주로 높이는 공사…포항에선 무슨 일이 https://news.naver.c[...] JTBC 2014-11-21
[14] 뉴스 활주로 4m 높여…포항공항 확장문제 매듭 https://news.naver.c[...] 매일신문 2014-08-26
[15] 뉴스 국제선 취항으로 포항공항 살린다 http://www.kyongbuk.[...] 경향신문 2011-06-21
[16] 뉴스 포항공항 46년 만에 새 단장…1천억 들여 활주로 포장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6-04-25
[17] 뉴스 포항~김포 하늘길 2년만에 열린다 https://news.naver.c[...] 한겨레 2016-04-20
[18] 뉴스 포항공항 민항기 제대로 뜰 수 있나 https://news.naver.c[...] 한국일보 2016-04-18
[19] 뉴스 포항∼김포 노선 3년 만에 운항 중단..탑승률 50% 안팎 https://news.v.daum.[...] 연합뉴스 2019-10-25
[20] 뉴스 대한항공, 포항-제주 노선 9월 16일부터 운항 https://news.naver.c[...] 포항CBS 2019-07-31
[21] 뉴스 오는 7월부터 포항공항, '포항경주공항'으로 이름 바꿔 http://news.bbsi.co.[...] 2022-03-19
[22] 뉴스 포항∼김포, 포항∼제주 노선 진에어 31일 취항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20-07-16
[23] 간행물 공항별 통계 https://www.airport.[...] 한국공항공사 2020-02-03
[24] 간행물 2015년 도로교량 및 터널현황 https://stat.kosis.k[...]
[25] 간행물 2015년 도로교량 및 터널현황 https://stat.kosis.k[...]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