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푸진(福晉)은 만주족의 일부다처제에서 황제를 제외한 이들의 정실부인과 측실에게 부여된 작위이다. 적복진, 측복진, 서복진 등의 종류가 있으며, 적복진은 정실부인에게, 측복진은 양첩에게, 서복진은 비첩에게 수여되었다. 조선에서는 대비, 정비, 원비, 계비 등의 작위가 푸진과 혼동되기도 한다. 푸진 출신 후비로는 효자고황후, 효열무황후, 효단문황후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만주어 낱말 - 도로이 버일러
- 만주어 낱말 - 서럼셔머 터허 암반
서럼셔머 터허 암반은 청나라 시대에 변방 지역을 총괄하기 위해 파견된 고위 관료를 지칭하는 용어로, 행정, 군사, 외교 등 다양한 분야에서 막강한 권한을 행사하며 지역의 안정과 통치를 수행했지만, 강압적인 통치와 제국주의적 침략의 도구로 이용되는 한계도 있었다. - 청나라의 종실 작위 - 도로이 버일러
- 청나라의 종실 작위 - 외명부 (중국)
외명부는 중국에서 황족 여성에게 수여되는 작위로, 시대에 따라 명칭, 대상, 품계가 다르게 적용되었다.
푸진 | |
---|---|
푸진 (后妃) | |
![]() | |
기본 정보 | |
만주어 | |fujin |
한자 | 福晉 |
한국어 | 복진 |
다른 이름 | 격격 (格格) |
성별 | 여성 |
지위 및 역할 | |
역할 | 황제의 후궁, 왕족의 배우자 |
해당 왕조 | 청나라 |
역사적 맥락 | |
기원 | 만주족 |
관련 직위 | 황후 비 첩 |
사회적 영향 | |
사회적 지위 | 높은 사회적 지위, 가족 내 영향력 행사 |
2. 종류
복진의 작위는 신분과 서열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1] 만주족은 황제를 제외하고 일부다처제였기에 여러 부인의 서열을 구별하기 위해 칭호를 달리 사용하기도 했다.
2. 1. 정실
푸진의 작위는 공식적으로 적복진(嫡福晉)과 측복진(側福晉)이 있으며, 비공식 작위인 서복진(庶福晉)도 존재한다.[1] 만주족은 황제를 제외하고 일부다처제를 따랐기 때문에, 여러 정실 부인의 서열을 구분하기 위해 칭호를 다르게 사용하기도 했다.- 적복진(嫡福晉): 정실부인에게 내리는 작위이다. 대복진, 정복진, 계복진이 모두 여기에 속한다.
대복진**(大福晉): 정실부인 가운데 가장 높은 지위를 상징한다.
정복진**(正福晉): 첫 번째 정실부인, 혹은 일찍 사망한 첫 정실부인이나 대복진을 다른 정실부인들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된 칭호로 추정된다.
계복진**(繼福晉): 대복진을 제외한 나머지 정실부인을 가리킨다.
2. 2. 측실
만주족은 황제를 제외하고 일부다처제를 따랐으며, 여러 부인의 서열을 구별하기 위해 칭호를 다르게 사용했다.[1] 복진 중 측실에 해당하는 지위는 다음과 같다.- '''측복진'''(側福晉): 양인(良人) 신분의 첩, 즉 양첩(良妾)을 의미한다. 적복진 다음가는 지위이다.
- '''서복진'''(庶福晉): 신분이 낮은 첩, 즉 비첩(婢妾)을 의미한다. 비공식적인 첩의 지위이다.[1]
- '''소복진'''(小福晉): 서복진과 유사한 개념으로 사용되었다.
- '''격격'''(格格): 본래 만주족 귀족 여성에 대한 존칭이었으나, 청나라에서는 황자의 시첩이나 친왕, 군왕, 세자[2]의 딸[3]에게 내리는 작위로 사용되었다. 복진보다는 격이 낮다. 황자의 시첩으로서 격격은 복진이나 측복진보다 낮은 지위였다.
3. 청나라와 조선의 차이
후금(後金)의 국호를 청(淸)으로 바꾸고 황제로 즉위한 숭덕제 홍타이지는 기존의 복진 제도를 황제의 아내와 며느리 등 황족 여성을 봉작하는 외명부 작위로 한정했다. 황제의 후궁이 속하는 내명부는 명나라 황실의 6궁(1后5妃) 제도를 참고하여 5궁(1后4妃) 제도로 바꾸었다. 이에 따라 청나라 황제의 정실부인인 적후(嫡后)는 오직 한 명만 두어 황후(皇后)로 책봉했고, 정식 후궁 네 명은 비(妃)로 책봉하도록 했다. 하지만 이 5궁 제도는 청나라 3대 황제인 순치제 때 이르러 사실상 유명무실해졌고, 4대 황제인 강희제 때 후궁 제도가 완전히 새롭게 개편되었다.[4]
홍타이지는 아버지 누르하치를 청나라 초대 황제인 태조 천명제로 추존하면서, 아버지의 여러 아내(복진, 妻妾) 중 자신의 생모인 효자고황후만을 황후로 함께 추존했다. 나머지 복진들은 원래의 지위 그대로 두었다. 후대의 학자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몽골어에서 유래한 '복진'이라는 말을 '비(妃)'로 고쳐 쓰기도 했는데[5], 사실상 후금의 국모였던 대복진 아바하이가 순치제 때 효열무황후로 추존되기 전에 대비(大妃)라고도 불렸던 것이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6][7] 마찬가지로 정복진을 정비(正妃), 계복진을 계비(繼妃), 측복진을 측비(側妃), 서복진을 서비(庶妃)라고 부르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여러 복진 중 처음 맞이한 아내인 원배(元配)를 따로 원비(元妃)라고 역사 기록에서 불러 구별하기도 했는데, 누르하치의 첫 부인 퉁기야 씨와 홍타이지의 첫 부인 뉴호록 씨가 그 예이다. 홍타이지 말년에는 정식 작위로서의 원비(元妃)가 등장하여 혼동될 수 있으나, 시호(諡號) 유무를 통해 쉽게 구별할 수 있다.
이러한 청나라의 용어들은 조선의 용어와 비슷해 보이지만 의미가 달라 혼동하기 쉽다. 조선에서 대비(大妃)는 돌아가신 선왕의 왕비로서 살아있는 여성에게 주어지는 작위이다. 정비(正妃)는 현재 왕의 왕비를 뜻하며, 원비(元妃)는 왕의 첫 번째 정비, 계비(繼妃)는 왕이 사별한 후 새로 맞이한 정비를 의미한다.[8] 따라서 청나라에서 사용된 대비, 정비, 원비, 계비 등의 용어는 조선의 용례와는 차이가 있다.
또한, 조선에서는 여러 비빈(妃嬪)을 구별하기 위해 호(號)를 붙였던 것과 달리, 청나라의 측비(側妃)와 서비(庶妃)는 등급이 있는 비호(妃號)가 아니다. 측비는 단순히 측복진을 역사 기록에서 달리 부르는 말일 뿐이며, 서비는 서복진을 달리 부르는 말이자 순치제 때부터는 황제를 모셨으나 출신 등의 이유로 정식 후궁으로 책봉되지 못한 여성들을 통틀어 부르는 말이다. 실제로 서복진 역시 정식 작위가 아닌 호칭에 불과했다. 이는 명나라의 서비(庶妃)가 비빈(妃嬪)보다 낮은 등급의 후궁 작위를 받거나 아예 후궁으로 책봉되지 못한 여성들을 통칭했던 것과 유사하다.
3. 1. 조선왕조실록 속 복진
조선왕조실록 정조 23년(1799년) 10월 12일 기록에 복진(福晋)이라는 용어가 등장한다. 이는 당시 청나라 건륭제의 국장 행렬을 조선의 사신들이 목격하고 보고한 내용의 일부이다.사신들은 황제의 가마가 지나간 뒤 여러 수레가 뒤따랐다고 보고했는데, 그 중 네 채의 수레에는 황자들과 함께 복진 및 면아 복진(綿兒福晋)이 타고 있었다고 언급했다. 기록에 따르면 당시 사신들은 복진을 '낭랑(娘娘)'을 일컫는 말이며, 모두 선황제(건륭제)의 며느리(자부)와 손자며느리(손부)라고 이해하고 있었다.
당시 보고 내용은 다음과 같다: "신들이 길 옆에서 지영(祗迎)했더니 황제가 수레 안에서 신들을 관심 있게 쳐다보고는 또 수건으로 눈물을 닦았습니다. 가마가 지나가고 나서 6량(輛)의 수레가 잇따라 나왔습니다. 맨 앞에는 누런 비단에 검은 뚜껑의 수레가 나왔는데 거기에는 관방(管房)이 타고 있다고 하였습니다. 관방이란 비빈(妃嬪)을 일컫는 말입니다. 다음에는 꼭대기를 황금으로 장식하고 푸른 뚜껑을 한 수레가 나왔는데 거기에는 10공주(公主)가 타고 있다고 하였습니다. 그 다음에 나온 네 채의 수레에는 8아가(阿哥: 미성년의 황자. 8아가는 8황자를 뜻함) ·11아가·17아가와 '''복진(福晋)''' 및 면아 복진(綿兒福晋)이 타고 있다고 하였는데, '''복진'''이란 낭랑(娘娘)을 일컫는 말로서 모두 선황제(先皇帝)의 자부(子婦)와 손부(孫婦)라고 하였습니다."
4. 복진 출신의 후비(后妃)
후비 | 본명 및 출신 | 남편 | 주요 내용 및 지위 변화 | 비고 |
---|---|---|---|---|
효자고황후 | 엽혁나랍 맹고 / 엽혁부 격격 | 누르하치 | 측복진. 아들 홍타이지 즉위 후 황후로 추존. 청나라 첫 추존 황후. | |
효열무황후 | 오랍나랍 아파해 / 오랍부 격격 | 누르하치 | 대복진, 후금(後金) 국모. 아제격, 도르곤, 다탁 3형제 생모. 순치제 때 황후로 추존. | |
효단문황후 | 박이제길특 철철 / 커얼친부 격격 | 홍타이지 | 대복진. 홍타이지 즉위 후 중궁 청녕궁 국군복진 황후 책봉. | 효장문황후의 고모. |
효장문황후 | 박이제길특 포목포태 / 커얼친부 격격 | 홍타이지 | 측복진. 청 개국 후 차서궁(次西宮) 영복궁 측복진 장비 책봉. 아들 순치제 즉위 후 황태후, 사후 황후 추존. | 효단문황후의 질녀. 고모가 아들을 낳지 못하자 홍타이지의 첩이 됨. |
민혜공화원비 | 박이제길특 해란주 / 커얼친부 격격 | 홍타이지 | 계복진. 청 개국 후 동궁 관저궁 대복진 신비(宸妃) 책봉. 사후 원비(元妃) 추존. | 효장문황후의 친언니, 효단문황후의 질녀. 홍타이지의 총애를 받음. |
의정대귀비 | 박이제길특 나목종 / 북원 링단 칸의 대복진 | 홍타이지 | 측복진. 링단 칸 사후 부족을 이끌고 홍타이지에게 귀순. 청 개국 후 서궁 인지궁 대복진 귀비 책봉. 순치제 즉위 후 태비(太妃) 승격, 순치 9년 의정대귀비로 개칭.[9] | 이전 낭낭태후(太后)로 불림. |
강혜숙비 | 박이제길특 파특마조 / 북원 태후 | 홍타이지 | 측복진. 청 개국 후 차동궁 연경궁 측복진 숙비(淑妃) 책봉. 순치 9년 강혜숙비 봉호 추가.[10] | 의정대귀비와 같이 북원 태후 출신. |
경효의황후 | 박이제길특씨 / 커얼친부 | 도르곤 | 대복진(정복진). 사후 경효충공정궁원비 추존. 도르곤 사후 황제 추존 시 함께 경효의황후로 추존되었으나, 도르곤 추존 취소 후 서인으로 강등됨. | 효장문황후와 사촌 자매. |
의순공주 | 효종의 양녀 / 조선 | 도르곤 | 계실 대복진. 도르곤의 정복진 박이제길특씨 사망 후, 순치제 승인 하에 정식 비(妃)로 맞이함.[11] | |
효경헌황후 | 오라나랍씨 | 옹정제 | 적복진. 옹정제 즉위 후 황후 책봉. | |
효성헌황후 | 뉴호록씨 / 격격 | 옹정제 | 옹친왕 시절 측복진 이씨의 시녀 출신. 옹정제 즉위 후 희비 책봉, 이후 희귀비 진봉. 아들 건륭제 즉위 후 황태후, 사후 황후 추숭. | |
효현순황후 | 부찰씨 | 건륭제 | 적복진. 옹정 5년, 보친왕 시절 건륭제의 적복진으로 선발. 건륭제 즉위 후 황후 책봉. | |
계황후 | 휘발나랍씨 | 건륭제 | 측복진. 건륭제 즉위 후 한비 책봉. 한귀비 거쳐 건륭 13년 효현순황후 사후 익년 한황귀비 진봉 및 내명부 통솔. 건륭 15년 황후 책봉. | |
효화예황후 | 뉴호록씨 | 가경제 | 측복진. 가경제 즉위 후 귀비 책봉. 가경 2년 효숙예황후 사후 계후로 지명되어 황귀비 책봉. 희탑랍씨 삼년상 후 가경 6년 황후 책봉. |
참조
[1]
서적
대청회전
[2]
문서
황실에서 세자(世子)는 친왕(親王)의 후계자에게 내리는 작위이다. 군왕(郡王)의 후계자는 명나라와 청나라에선 장자(長子)라는 작위를 내렸다.
[3]
문서
청에서는 친왕(親王)의 딸을 화석격격(和碩格格)으로, 군왕(郡王)의 딸과 세자의 딸을 다나격격(多羅格格)으로 삼았다. 후세의 사학자가 쓴 사서에는 한족의 국가인 명나라의 외명부 기준에 맞춰 군주(郡主), 현주(縣主), 군군(郡君) 등으로 수정되어 있기도 하다.
[4]
웹사이트
《清史稿.后妃傳序》
http://www.guoxue123[...]
[5]
문서
"《清史稿.后妃傳序》:“太祖初起,草創闊略,宫闈未有位號,但循國俗稱‘福晋’。福晋盖‘可敦’之轉音,史述后妃,后(後)人緣飾名之,非當時本稱也。”"
[6]
서적
중국을 뒤흔든 女人들
시그마북스
[7]
서적
중국사열전 后妃
달과소
[8]
서적
《조선왕조실록》
[9]
문서
"《清史稿. 卷二百十四 列傳》:“懿靖大贵妃,博尔济吉特氏,阿霸垓郡王额齐格诺颜女。崇德元年,封麟趾宫贵妃。四年,额齐格诺颜及其妻福晋来朝,妃率诸王、贝勒迎宴。次日,上赐宴清宁宫,福晋入见,称上外姑。顺治九年,世祖加尊封。康熙十三年,薨,圣祖侍太后临奠。子一,博穆博果尔。女一,下嫁噶尔玛索诺木。又抚蒙古女,嫁噶尔玛德参,济旺子也.\""
[10]
문서
"《清史稿. 后妃傳》:“康惠淑妃,博尔济吉特氏,阿霸垓塔布囊博第塞楚祜尔女。崇德元年,封衍庆宫淑妃。抚蒙古女,上命睿亲王多尔衮娶焉。顺治九年,加尊封,前懿靖大贵妃薨.\""
[11]
웹인용
中文百科在线
https://web.archive.[...]
2012-06-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