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프라브딘스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라브딘스크는 러시아 칼리닌그라드주에 위치한 도시로, 1312년 튜튼 기사단에 의해 건설되었다. 독일어로 '평화로운 땅'을 의미하는 프리틀란트로 불리다가, 1946년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14세기에는 폴란드, 튜튼 기사단, 리투아니아 대공국 등 여러 세력의 지배를 받았으며, 1701년부터 프로이센 왕국에 속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소련에 점령되었고, 현재는 프라브딘스키 구의 행정 중심지 역할을 한다.

2. 역사

프라브딘스크는 1312년 튜튼 기사단이 프로이센 나탕기아 부족을 제압한 후 와르미아-마주리 지방 라바 강을 건너는 도강 지점에 세워졌으며, 1335년 루터 폰 브라운슈바이크 대영주 하에 도시 특권을 받았다. 이 도시는 독일어로 평화로운 땅을 의미하는 "프리틀란트"로 알려졌다.

1440년 이 도시는 반 튜튼 기사단인 프로이센 동맹에 가입했고, 카지미에시 4세 야기에우워 폴란드 국왕은 1454년 이 지역을 폴란드 왕국에 병합하는 행위에 서명했다. 이후 13년 전쟁 (1454-1466) 동안 황폐해졌다. 1466년 토룬에서 서명된 토룬의 두 번째 평화 조약에 따라 튜튼 기사단 소유 봉토로서 폴란드의 일부가 되었다. 1525년 튜튼 기사단 국가 세속화 이후 폴란드 종속 공국인 프로이센 공국의 일부가 되었다. 1618년부터 호엔촐레른 왕조의 브란덴부르크 공작이 통치했으며, 1657년 프로이센이 독립할 때까지 폴란드의 종주권을 유지했다.

1701년부터 프리틀란트는 프로이센 왕국에 속했으며, 나폴레옹 전쟁 중 1807년 6월 14일, 폴란드인과 작센인의 지원을 받은 나폴레옹의 프랑스 제1제국 군대는 인근 프리틀란트 전투에서 러시아 제국-프로이센 왕국 연합군을 상대로 승리했다. 이 도시는 프로이센 주도 독일 통일 과정에서 1871년 독일 제국의 일부가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프리틀란트는 1945년 1월 31일 독일 침공의 일환으로 붉은 군대에 의해 정복되었다. 당시 프리틀란트는 나치 독일동프로이센 주 바르텐슈타인군에 속해 있었으나, 1945년 포츠담 협정에 따라 소련으로 이관되었다. 독일인들은 도망치거나 추방되었고, 동프로이센은 소련과 폴란드 인민 공화국으로 분할되었으며, 프리틀란트는 러시아 SFSR 칼리닌그라드주에 편입되었다. 이 도시는 프리들란트라는 이름으로 프리들란스키 구의 행정 중심지가 되었다가 1946년에 프라브딘스크와 프라브딘스키 구로 이름이 변경되었다.[3]

2. 1. 초기 역사

프리틀란트 전투 (1807년), 에르네스트 메이소니에의 19세기 그림


프라브딘스크는 1312년 프로이센의 나탕기아 부족이 튜튼 기사단에 의해 제압된 후 와르미아-마주리 지방 라바 강을 건너는 도강 지점에 세워졌으며, 1335년 대영주 루터 폰 브라운슈바이크 하에 도시 특권을 받았다.[3] 이 도시는 독일어로 평화로운 땅을 의미하는 "프리틀란트"로 알려졌다.

1347년에는 리투아니아 대공국의 침입으로 심하게 파괴되었다. 1440년 이 도시는 반 튜튼 기사단인 프로이센 동맹에 가입했고, 1454년 폴란드 국왕 카지미에시 4세 야기에우워는 이 지역을 폴란드 왕국에 병합하는 행위에 서명했다.[4] 1441년에는 프로이센 동맹에 가입하여 1454년에는 독일 기사단과 싸웠다. 15세기 이 시기에 프리틀란트는 직물 등 수공업이 번성한 도시였다.

이 도시는 이후 가장 긴 폴란드-튜튼 전쟁인 13년 전쟁 (1454-1466) 동안 황폐해졌다. 전쟁 후, 1466년 토룬에서 서명된 토룬의 두 번째 평화 조약에 따라 튜튼 기사단이 소유한 봉토로서 폴란드의 일부가 되었다.[5] 1466년에는 독일 기사단에 의해 파괴되었고, 1525년 이 도시는 튜튼 기사단 국가의 세속화 이후 폴란드의 종속 공국인 프로이센 공국의 일부가 되었다.

1553년의 대화재와 1656년의 스웨덴군 침입으로 큰 피해를 입어 황폐해졌다. 1618년부터 호엔촐레른 왕조의 브란덴부르크 공작이 통치했으며, 1657년 프로이센이 독립을 얻을 때까지 폴란드의 종주권을 유지했다. 1655~1660년의 제2차 북방 전쟁 과정에서 스웨덴 제국 군대에 의해 다시 피해를 입었다.

2. 2. 13년 전쟁과 폴란드-튜튼 기사단 전쟁

13년 전쟁과 폴란드-튜튼 기사단 전쟁에서 프라브딘스크는 중요한 역할을 했다. 1440년, 이 도시는 반 튜튼 기사단 세력인 프로이센 동맹에 가입했다. 프로이센 동맹의 요청에 따라, 폴란드 국왕 카지미에시 4세 야기에우워는 1454년에 이 지역을 폴란드 왕국에 병합하는 문서에 서명했다.[4]

13년 전쟁 동안 프라브딘스크는 심각하게 파괴되었다. 전쟁이 끝난 후, 1466년 토룬에서 체결된 토룬의 두 번째 평화 조약에 따라 프라브딘스크는 튜튼 기사단의 봉토로서 폴란드의 영토가 되었다.[5] 1525년, 튜튼 기사단 국가가 세속화되면서 프라브딘스크는 폴란드의 종속 공국인 프로이센 공국의 일부가 되었다.

2. 3. 스웨덴의 침입과 피해

1655년~1660년 제2차 북방 전쟁 과정에서 스웨덴 제국 군대에 의해 피해를 입었다.[3] 1466년 튜튼 기사단에 의해 파괴되었고, 1553년 대화재와 1656년 스웨덴군 침입으로 큰 피해를 입어 황폐해졌다.

2. 4. 프로이센 왕국과 독일 제국 시기

프라브딘스크는 1312년 튜튼 기사단에 의해 제압된 프로이센의 나탕기아 부족이 와르미아-마주리 지방 라바 강을 건너는 도강 지점에 세워졌으며, 1335년 대영주 루터 폰 브라운슈바이크 하에 도시 특권을 받았다.[3] 이 도시는 독일어로 평화로운 땅을 의미하는 "프리틀란트"로 알려졌다. 1440년 이 도시는 반 튜튼 기사단인 프로이센 동맹에 가입했고, 이에 따라 폴란드 국왕 카지미에시 4세 야기에우워는 1454년 이 지역을 폴란드 왕국에 병합하는 행위에 서명했다.[4] 이후 가장 긴 폴란드-튜튼 전쟁인 13년 전쟁 (1454-1466) 동안 황폐해졌다. 전쟁 후, 1466년 토룬에서 서명된 토룬의 두 번째 평화 조약에 따라 튜튼 기사단이 소유한 봉토로서 폴란드의 일부가 되었다.[5]

1525년 이 도시는 튜튼 기사단 국가의 세속화 이후 폴란드의 종속 공국인 프로이센 공국의 일부가 되었다. 1618년부터 호엔촐레른 왕조의 브란덴부르크 공작이 통치했으며, 1657년 프로이센이 독립을 얻을 때까지 폴란드의 종주권을 유지했다. 1655~1660년의 제2차 북방 전쟁 과정에서 스웨덴 제국 군대에 의해 다시 피해를 입었다.

1701년부터 프리틀란트는 프로이센 왕국에 속했으며, 나폴레옹 전쟁 중 1807년 6월 14일, 폴란드인과 작센인의 지원을 받은 나폴레옹의 프랑스 제1제국 군대는 인근 프리틀란트 전투에서 러시아 제국-프로이센 왕국 연합군을 상대로 승리했다. 이 도시는 프로이센이 주도한 독일 통일 과정에서 1871년 독일 제국의 일부가 되었다.

2. 5. 제2차 세계 대전과 소련 시기

제2차 세계 대전1945년 1월 31일, 붉은 군대가 독일 침공의 일환으로 프리틀란트를 정복했다. 당시 프리틀란트는 나치 독일동프로이센 주 바르텐슈타인군에 속해 있었으나, 1945년 포츠담 협정에 따라 소련으로 이관되었다. 독일인들은 도망치거나 추방되었고, 동프로이센은 소련과 폴란드 인민 공화국으로 분할되었다. 프리틀란트는 러시아 SFSR의 칼리닌그라드주에 편입되었으며, 프리들란트라는 이름으로 프리들란스키 구의 행정 중심지가 되었다가 1946년에 프라브딘스크와 프라브딘스키 구로 이름이 변경되었다.[3]

3. 행정 및 지방 자치 현황

행정 구역 틀 내에서 프라브딘스크는 프라브딘스키 구의 행정 중심지이다.[6] 행정 구역으로서 32개의 농촌 지역과 함께 구의 시 프라브딘스크로 통합되었다.[6]

지방 자치 구역 틀 내에서는 2015년 5월 5일부터 프라브딘스크 구의 시, 구의 도시형 정착지인 젤레즈노도로주니와 프라브딘스키 구의 2개 농촌 오크루크 영토가 프라브딘스키 도시 오크루크로 통합되었다.[7] 그 전에는 구의 시가 프라브딘스키 지방 자치구 내에 프라브딘스코예 도시 정착지로 통합되었다.[7]

3. 1. 행정 구역

행정 구역 틀 내에서 프라브딘스크는 프라브딘스키 구의 행정 중심지이다.[6] 행정 구역으로서, 32개의 농촌 지역과 함께 프라브딘스키 구에 '구의 시 프라브딘스크'로 통합되었다.[6]

지방 자치 구역 틀 내에서는 2015년 5월 5일부터 프라브딘스크 구의 시, 구의 도시형 정착지인 젤레즈노도로주니와 프라브딘스키 구의 2개 농촌 오크루크 영토가 프라브딘스키 도시 오크루크로 통합되었다.[7] 그 전에는 구의 시가 프라브딘스키 지방 자치구 내에 '프라브딘스코예 도시 정착지'로 통합되었다.[7]

3. 2. 지방 자치 구역

행정 구역 틀 내에서 프라브딘스크는 프라브딘스키 구의 행정 중심지이다.[6] 행정 구역으로서 32개의 농촌 지역과 함께 프라브딘스키 구에 구의 시 프라브딘스크로 통합되었다.[6]

지방 자치 구역 틀 내에서는 2015년 5월 5일부터 프라브딘스크 구의 시, 구의 도시형 정착지인 젤레즈노도로주니와 프라브딘스키 구의 2개 농촌 오크루크 영토가 프라브딘스키 도시 오크루크로 통합되었다.[7] 그 전에는 구의 시가 프라브딘스키 지방 자치구 내에 프라브딘스코예 도시 정착지로 통합되었다.[7]

4. 종교

프라브딘스크의 성 게오르기 교회


시내 중심부에 있는 후기 고딕 양식의 성 게오르기 교회는 잘 보존되어 있으며 현재 모스크바 총대주교청에서 사용하고 있다.

프라브딘스크는 일부 역사적 기록에서 로모바와 동일시되는데, 이곳은 발트 신화의 중심지라고 한다. 프라브딘스크의 리투아니아어 이름은 로모바이며, 이는 아마도 고대 프로이센어에서도 사용되었을 것이다. 그러나 로모바가 실제로 발트 이교주의와 관련이 있었는지는 논쟁의 여지가 있는데, 초기 기독교 연대기 작가들이 "로모바"와 "로마" 사이의 유사성, 그리고 발트 이교주의가 특정 지리적 중심지를 중심으로 하는 로마 이교와 유사해야 한다는 그들만의 근거 없는 추측에 혼란을 느껴 이러한 믿음이 시작되었다고 여겨진다.

5. 국제 관계

프라브딘스크는 "평화로운 땅"(Friedliches Land) 지방 자치 단체 협회의 일원으로, 다음 도시들과 협력 관계를 맺고 있다.

국가도시
체코프리들란트
체코프리들란트 나트 오스트라비치
독일프리들란트
독일프리들란트
독일프리들란트
폴란드코르판투프 (Friedland in Oberschlesien)
폴란드미에로슈프 (Friedland in Niederschlesien)


6. 주목할 만한 인물


  • 오토 사로 (1818–1888)는 프로이센 변호사이자 쾨니히스베르크의 수석 검사였다.
  • 플로리안 에센펠더 (1855–1929)는 독일과 브라질에서 피아노를 제작했다.
  • 아르툠 다닐렌코 (1990년 출생)는 러시아 프로 축구 선수이다.

참조

[1] 문서 Law #463
[2] 문서 ru-pop-ref
[3] 서적 Энциклопедия Города России Большая Российская Энциклопедия
[4] 서적 Związek Pruski i poddanie się Prus Polsce: zbiór tekstów źródłowych Instytut Zachodni
[5] 문서 Górski, pp. 96-97, 214-215
[6] 문서 Resolution #640
[7] 문서 Law #418
[8] 웹사이트 city population https://citypopulati[...] 2023-05-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