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프랑스의 베트남 정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랑스의 베트남 정복은 17세기부터 프랑스가 인도차이나 해안에 무역 거점을 설치하면서 시작되었다. 프랑스는 베트남 내전 중 응우옌 왕조를 지원했고, 1840년대에는 가톨릭 선교사 박해를 이유로 개입을 시도했으나, 1848년 프랑스 혁명 이후 나폴레옹 3세가 베트남 정복을 추진했다. 1858년 다낭 공격을 시작으로 남부 베트남을 점령하고, 1862년 사이공 조약을 통해 영토를 확보했다. 1873년 통킹 사건을 통해 북부 베트남으로 진출했으며, 청불 전쟁을 거쳐 1885년 프랑스는 베트남 보호령을 확립했다. 이후 깐브엉 운동과 같은 베트남의 저항이 있었지만, 1887년 프랑스는 프랑스령 인도차이나를 수립하여 라오스와 캄보디아까지 지배권을 확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58년 분쟁 - 세포이 항쟁
    세포이 항쟁은 1857년부터 1859년까지 영국 동인도회사에 맞서 인도 용병들이 일으킨 대규모 항쟁으로, 종교적 금기를 어기는 동물성 기름 사용 소문이 발단이 되었으나, 영국 동인도회사의 인도 지배 강화, 사회적 혼란, 세포이들의 처우 불만 등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했으며, 인도 독립운동의 중요한 전환점으로 여겨진다.
  • 1858년 분쟁 - 유타 전쟁
    유타 전쟁은 1857년부터 1858년까지 유타 준주에서 몰몬교도와 미국 연방 정부 사이에 벌어진 갈등으로, 몰몬교도들의 자치적인 신정 통치, 일부다처제에 대한 연방 정부의 불신, 마운틴 메도우 학살 사건 등이 원인이 되어 발발했으나 토머스 케인의 중재로 평화적으로 해결되었고 이후 몰몬교도와 연방 정부 간의 갈등은 지속되어 유타가 미국의 주로 편입되는 데까지 영향을 미쳤다.
  • 베트남이 참전한 전쟁 - 라오스 내전
    라오스 내전은 1945년부터 1975년까지 프랑스 식민 지배 종식 후 독립 운동 세력 등장, 공산주의 세력과 왕정 지지 세력 간 대립, 베트남 전쟁 연관, 그리고 1975년 파테트 라오 승리로 이어진 복잡한 무장 분쟁으로, 막대한 인명 피해와 환경적 재앙을 초래했다.
  • 베트남이 참전한 전쟁 - 베트남에 평화를! 시민연합
    베트남에 평화를! 시민연합은 1965년 미국군의 베트남 북부 폭격에 반대하며 결성된 일본의 시민 단체로, 반전 운동과 미일안보조약 반대 시위를 주도했으나 1974년 해산되었다.
  • 프랑스가 참전한 전쟁 - 나폴레옹 전쟁
    나폴레옹 전쟁은 1803년부터 1815년까지 나폴레옹 1세의 프랑스 제국과 유럽 열강 간의 대규모 전쟁으로, 프랑스 혁명 전쟁에서 비롯되어 프랑스의 유럽 대륙 영향력 확장을 가져왔으나 몰락했고, 유럽 정치 지형 변화, 민족주의 발흥, 군사 혁신, 빈 회의를 통한 세력 균형, 나폴레옹 법전 등의 유산을 남겼다.
  • 프랑스가 참전한 전쟁 - 프롱드의 난
    프롱드의 난은 1648년부터 1653년까지 프랑스에서 일어난 반란으로, 왕권 강화에 대한 반발과 과도한 세금 부과에 대한 불만으로 시작되어 쥘 마자랭 추기경과 귀족 세력 간의 권력 다툼으로 변질되었고, 결국 실패했으나 루이 14세의 절대주의 왕정 체제 확립에 영향을 미쳤다.
프랑스의 베트남 정복 - [전쟁]에 관한 문서
분쟁 개요
분쟁 명칭베트남 정복
사이공
1859년 2월 18일 앙투안 모렐-파티오의 사이공 점령 그림
투안안 전투
1883년 8월 20일 프랑스 해병대가 투안안 (후에) 해안에서 베트남 방어군을 습격하는 모습
날짜1858년 9월 1일 – 1885년 6월 9일 (26년 9개월 1주 1일)
장소베트남, 캄보디아, 라오스, 남중국해, 푸젠 성, 대만
결과프랑스-스페인의 승리
조약후에 조약 (1883년)
후에 조약 (1884년)
중불 조약
영향응우옌 왕조가 프랑스의 보호령이 됨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의 시작
교전 세력
교전국 1(1858–1870)
(1870–1885)
(1858–1862)
교전국 2다이남 (1858–1883)
흑기군 (1873–1885)
(1883–1885)
지휘관
프랑스 제2제국나폴레옹 3세
샤를 리고 드 주누이
프랑수아 파즈
레오나르 샤르네르
루이 아돌프 보나르
프랑스 제3공화국프랑수아 가르니에 (사망)
쥘 페리
앙리 리비에르 (사망)
아메데 쿠르베
세바스티앙 레스페
루이 브리에르 드 리
자크 뒤센
스페인이사벨 2세
카를로스 구티에레스
응우옌 왕조뜨득 황제
죽득 황제
히엡호아 황제
끼엔푹 황제
응우옌찌프엉
호앙지에우 (사망)
호앙께비엠
똔텃투옛 (추방)
청나라서태후
광서제
혁흔
좌종당
장패륜
풍자재
수원춘
흑기군류융푸

2. 배경

17세기부터 프랑스는 인도차이나에 종교적, 상업적 거점을 확보하고 있었다. 19세기 초 응우옌 왕조가 들어섰고, 프랑스는 베트남 내전에 개입하여 영향력을 확대하려 했다. 응우옌 왕조는 가톨릭을 박해했고, 이는 프랑스 개입의 구실이 되었다.

응우옌 왕조의 민망 황제(재위 1820-1841)는 보수적인 유교주의적 통치자로, 1826년에 프랑스와의 외교 관계를 단절했다. 레반코이 반란(1833) 이후 가톨릭에 대한 박해가 강화되었고, 프랑스 주교의 처형은 프랑스 개입의 명분이 되었다. 루이 필리프 1세는 소극적인 태도를 보였으나, 티에우 트리 황제(재위 1841-1847) 시기에 프랑스 주교 도미니크 르페브르가 체포되고 사형 선고를 받으면서 상황이 악화되었다. 프랑스는 장-밥티스트 세실을 보내 르페브르 주교를 석방하려 했으나, 다낭 만에서 베트남 선박 5척을 파괴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뜨득 황제(재위 1848-1883)는 고립주의 정책을 강화하고 가톨릭 박해를 재개했다. 1848년 프랑스 혁명 이후 프랑스에서는 나폴레옹 3세가 집권하여 베트남 식민지화를 추진했다. 1857년, 나폴레옹 3세는 코친차이나 위원회를 설치하여 베트남 정복을 계획했다. 이는 동남아시아에서 영국의 영향력이 커지는 것에 대한 견제 목적도 있었다. 같은 해, 뜨득이 두 명의 스페인 도미니크 수도사들을 처형하자, 프랑스와 스페인은 베트남 침공을 시작했다.

2. 1. 프랑스의 초기 개입 (17세기 ~ 1857년)

17세기부터 프랑스는 인도차이나반도 남동부 해안(코친차이나)에 종교 및 무역 거점을 설치했다. 이 지역은 응우옌 왕조의 통치를 받고 있었으며, 피에르 푸아브르(1741)와 같은 프랑스인들이 방문했다. 프랑스는 베트남 내전(1789–1802) 동안 떠이선 반란에 맞서 응우옌 아인을 지원했다. 1787년, 프랑스 왕 루이 16세는 응우옌 아인과 베르사유 조약을 체결하여 프랑스와의 동맹을 약속했지만, 조약은 비준되지 않았다. 그럼에도 수천 명의 프랑스 용병과 장교들이 응우옌 아인을 도와 떠이선을 격파하고, 1802년 응우옌 아인이 통일 베트남 왕국의 황제 자롱(재위 1802–1819)으로 즉위하면서 약 400명의 프랑스인들이 궁정 관리 및 고문으로 활동했다. 자롱은 가톨릭을 포함한 모든 종교에 관대했다.

자롱의 후계자인 민망(재위 1820–1841)은 보수적이고 고립주의적인 통치자였다. 그는 1826년 프랑스와의 외교 관계를 단절했다. 1833년 레반코이 반란 이후, 베트남 통치자는 가톨릭을 탄압하고 선교 활동을 금지했다. 이러한 가톨릭 박해와 프랑스 주교 처형은 프랑스의 개입 명분이 되었지만, 루이 필리프 1세(재위 1830–1848) 치하의 프랑스는 극동 지역 선교사 보호에 큰 관심을 두지 않았다.

1840년 말, 프랑스 선장 파빈 레베크는 투옥된 5명의 사제 석방을 요청했고, 티에우 트리(재위 1841–1847) 황제는 선교사들을 석방했다. 그러나 1845년 프랑스 주교 도미니크 르페브르가 체포되어 사형을 선고받자, 프랑수아 기조는 장-밥티스트 세실을 보내 르페브르를 석방하도록 했다. 1847년, 르페브르가 다시 체포되자 세실은 라피에르 선장과 전함 두 척을 다낭으로 보냈다. 르페브르는 곧 풀려났지만, 이 소식을 듣지 못한 라피에르는 다낭 만에서 베트남 선박 5척을 파괴했다. 이에 격분한 티에우 트리는 모든 유럽 문서를 파기하고 프랑스와의 무역 및 관계를 단절했으며, 모든 외국 선교사를 투옥하고 처형하라고 명령했다. 그는 1847년 8월에 사망했고, 그의 아들 뜨득(재위 1848–1883)이 황제가 되었다. 뜨득은 고립주의 정책을 강화하고 프랑스, 영국, 미국, 스페인 대사관을 거부했으며, 무역 금지를 강화하고 가톨릭 박해를 재개했다.

프랑스에서는 1848년 프랑스 혁명으로 루이 필리프가 실각하고, 루이 나폴레옹이 대통령이 된 후 황제가 되었다. 1857년 4월 22일, 나폴레옹 3세는 아나톨, 남작 브레니에 드 레노디에르를 의장으로 하는 코친차이나 위원회를 설치하여 뜨득의 가톨릭 박해와 1787년 미체결 조약을 구실로 베트남 정복을 계획했다. 이는 동남아시아에서 영국의 영향력 확대에 대한 견제 목적도 있었다. 같은 해, 뜨득이 두 명의 스페인 도미니크 수도사들을 처형하자, 프랑스와 스페인은 전쟁을 선포하고 베트남 침공을 시작했다.

2. 2. 나폴레옹 3세의 식민지화 정책 (1857년 ~ 1883년)

1848년 프랑스 혁명 이후, 나폴레옹 3세는 적극적인 식민지 확장 정책을 추진하였다. 그는 베트남 내 가톨릭 박해를 구실로 삼아, 1857년 4월 22일 아나톨, 남작 브레니에 드 레노디에르를 의장으로 하는 코친차이나 위원회를 설치하여 베트남 정복을 계획했다. 이는 동남아시아에서 영국의 영향력이 커지는 것에 대한 견제 목적도 있었다. 같은 해, 뜨득 황제가 두 명의 스페인 도미니크 수도사들을 처형하자, 프랑스와 스페인은 전쟁을 선포하고 베트남 침공을 시작했다.

3. 프랑스의 베트남 침공과 식민지화

1858년 프랑스-스페인 연합군은 다낭을 공격하며 침략을 시작했다. 1862년 사이공 조약으로 프랑스는 남부 베트남 3개 성을 할양받았다. 1867년 프랑스는 남서부 3개 성을 추가로 병합, 프랑스령 코친차이나를 완전히 장악했다.

1870년대 통킹(베트남 북부) 지역은 풍부한 광물 자원과 인적 자원을 보유하고 있었으나, 태평천국 운동 잔당 등 중국 반란군들의 활동으로 혼란스러웠다. 베트남 조정은 이들을 통제할 능력이 부족했고, 이들은 유영복흑기군과 같은 군대를 형성하여 베트남 관리들과 협력하기도 했다.

이러한 혼란은 프랑스의 관심을 끌었다. 프랑스 상인 장 뒤퓌는 1873년 홍강을 통해 무기를 전달하려다 베트남 관리들의 반대에 부딪혔다. 뒤퓌는 하노이에서 베트남 군에 포위되자 프랑스에 도움을 요청했고, 프랑시스 가르니에가 이끄는 프랑스 군이 하노이에 도착했다. 하노이 정부가 협상을 거부하자 가르니에는 뒤퓌와 협력하여 1873년 11월 하노이를 기습 점령했다. 그러나 가르니에는 12월 흑기군에게 살해되었다.

1874년, 프랑스와 베트남은 필라스트르 협정을 체결하여 통킹 사건을 종결했다. 이후 두 번째 사이공 조약을 통해 프랑스는 베트남을 보호국으로 인정하고, 베트남은 남부 6개 성을 프랑스 영토로 인정했다.

1880년대 프랑스는 쥘 페리 총리의 주도로 베트남 정복을 확대했다. 1882년 프랑스는 앙리 리비에르가 이끄는 군대를 보내 하노이를 점령했다. 1883년 리비에르는 제2차 꺼우저이 전투에서 흑기군에게 전사했지만, 프랑스 의회는 베트남 정복을 위한 투표를 진행했다.

1883년 프랑스는 후에를 공격하여 아르망 협약을 체결, 베트남 중북부 지역을 할양받고 보호령으로 삼았다. 1884년 파테노트르 조약을 통해 베트남 전역에 대한 종주권을 확립했다.

이후 청불 전쟁에서 승리한 프랑스는 1885년 톈진 조약을 통해 베트남에 대한 종주권을 확고히 했으며, 프랑스령 인도차이나를 형성했다.

3. 1. 다낭 공격 (1858년)

샤를 리골 드 제누이 장군이 이끄는 14척의 군함과 3,000명의 원정군으로 구성된 프랑스-스페인 함대는 1858년 9월 1일 다낭의 베트남 진지에 대한 공격을 시작했다. 그는 다낭을 점령한 후 후에를 함락시켜 베트남을 신속하고 결정적인 전쟁에서 항복시킬 수 있다고 믿었다. 그러나 프랑스-스페인의 진격은 베트남 지휘관 응우옌 트리 프엉의 방어 전술에 의해 저지되었다. 5개월간의 격렬한 전투 후에도 프랑스-스페인군은 돌파구를 찾지 못한 채 다낭의 사람이 살지 않는 해변에 갇혀 있었다.

3. 2. 남부 베트남 점령 (1859년 ~ 1867년)

드 제누이 대령은 베트남 남부의 쌀 생산지인 사이공으로 공격 방향을 바꾸었다. 1859년 2월 17일, 프랑스군은 2,000명의 병력과 14척의 군함을 이끌고 사이공에 도착, 이틀간의 전투 끝에 사이공을 점령했다.

1861년, 프랑스군은 비엔호아, 미토, 딘뜨엉을 점령했다. 대내외적인 위기에 뜨득 황제는 결국 남부 3개 성을 프랑스에 할양하기로 결정, 1862년 6월 사이공 조약이 체결되었다. 이 조약으로 베트남은 자딘, 미토, 비엔호아 3개 성과 풀로 콘도르 섬을 프랑스에 넘겨주고, 종교의 자유를 허용했으며, 400만 페소의 전쟁 배상금을 지불해야 했다.

1862년 조약에 대해 베트남은 굴욕적인 조약으로 인식하였고, 뜨득황제는 1863년 판타인잔을 프랑스에 보내 조약 개정을 시도했지만, 나폴레옹 3세가 거부하여 실패했다.

1866년, 프랑스는 뜨득 황제를 설득하여 남은 남서부 3개 성인 빈롱, 하티엔, 쩌우독을 넘겨받았다. 1867년, 피에르-폴 드 라 그랑디에르 휘하의 프랑스군은 저항 없이 이 지역을 병합하여 프랑스령 코친차이나를 완성했다.

3. 3. 통킹 사건과 북부 베트남 진출 (1873년 ~ 1874년)

판타인잔의 필체와 프랑스어 번역은 앙리 르니에의 손글씨이다.


1862년 조약이 베트남 국민들에게 국가적 굴욕으로 여겨지자, 뜨득 황제는 1863년 3개 남서부 지방의 총독인 판타인잔이 이끄는 사절단을 프랑스로 보내 조약을 개정하려 했다. 그러나 나폴레옹 3세가 안남의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아 이 임무는 실패했다. 1863년 8월, 캄보디아의 노로돔 왕은 프랑스와 보호 조약을 체결하여 시암-베트남의 캄보디아에 대한 이중 종주권을 종식시켰다.

3. 4. 청불 전쟁과 베트남 보호령화 (1882년 ~ 1885년)

1862년 조약이 베트남 국민들에게 국가적 굴욕으로 여겨지자, 뜨득 황제는 1863년 3개 남서부 지방의 총독인 판타인잔이 이끄는 사절단을 프랑스로 보내 조약을 개정하려 했다. 그러나 나폴레옹 3세가 안남의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아 이 임무는 실패했다. 같은 해 8월, 캄보디아의 노로돔 왕은 프랑스와 보호 조약을 체결하여 시암-베트남의 캄보디아에 대한 이중 종주권을 종식시켰다.

1866년, 프랑스는 뜨득 황제를 설득하여 남은 3개 남서부 지방인 빈롱, 하티엔, 쩌우독을 넘겨받았다. 총독 판타인잔은 즉시 사임했다. 저항 없이, 1867년 피에르-폴 드 라 그랑디에르 휘하의 프랑스군은 이 지역을 쉽게 병합하여 프랑스령 코친차이나의 통제 하에 두었다.

4. 베트남의 저항과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성립

프랑스의 식민 지배에 맞서 깐브엉 운동 등의 저항 운동이 일어났으나 진압되었다. 1887년 프랑스령 인도차이나가 성립되면서 베트남은 캄보디아, 라오스와 함께 프랑스의 식민지가 되었다.

4. 1. 깐브엉 운동과 민족 저항 (1885년 ~ 1895년)

깐브엉 운동(근왕 운동)은 1885년 톈진 조약 이후 시작되었다. 이 운동은 프랑스의 식민 통치 확립에 반대하기 위해 군주에게 충성을 다하는 베트남 학자, 관료와 귀족 계급을 결집시켰으며, 유교 윤리에 의해 동기 부여를 받았다. 운동의 지도자들인 섭정 응우옌반뜨엉과 톤텃투옛은 응우옌푹응으리를 함응이 황제로 옹립했다. 톤텃투옛은 1885년 7월 4일 프랑스 상위 고문관 앙리 루셀 드 쿠르시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켰다. 프랑스군은 다음 날 왕실 요새와 왕실 보물을 점령했다. 톤텃투옛은 어린 황제를 5,000명의 병사와 함께 시골로 도망가도록 강요했다. 9월, 후에에서 드 쿠르시는 함응이의 형제인 친프랑스파 동카인을 종속 황제로 옹립했다. 반프랑스 및 반가톨릭 깐브엉 반란이 통킹안남 전역에서 격렬하게 일어났고, 4만 명 이상의 가톨릭 신자, 18명의 프랑스 선교사, 40명의 베트남 목사가 살해되었으며, 9,000개의 교회가 분노한 폭도들에 의해 파괴되었다.

함응이는 1888년 11월 난민 캠프에서 프랑스군에게 체포되도록 요청한 므엉 족 추장에 의해 배신당했고 알제리로 추방되었다. 황제가 사라진 후, 만다린과 깐브엉 운동의 구성원들은 점차 프랑스에 항복했지만, 몇몇 선두 주자들은 저항을 계속했다. 데 냠(1891년 사망), 판딘풍(1896년 사망), 호앙호아탐(1913년 사망) 등이 그들이다.

4. 2.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성립 (1887년)

1887년 10월 17일, 프랑스는 안남, 통킹, 코친차이나(오늘날의 베트남을 구성)와 캄보디아 왕국을 합쳐 프랑스령 인도차이나를 수립했다. 프랑스는 라오스 왕국에 대한 베트남의 역사적 주장을 근거로, 1893년 라마 5세에게 라오스 왕국에 대한 종주권을 프랑스에 넘길 것을 요구했고, 라오스 지역은 프랑스령 라오스 보호령으로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에 편입되었다. 1907년에는 태국이 캄보디아 북부 3개 주를 프랑스에 할양했다.

5. 갤러리

통킹 원정 중의 프랑스 군인

6. 참고 문헌


  • 스테판 에클뢰프 아미렐(Stefan Eklöf Amirell). 《제국의 해적: 동남아시아의 식민화와 해상 폭력》.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 2019. ISBN 978-1-108-48421-3.
  • 브래들리 캠프 데이비스(Bradley Camp Davis). 《제국의 도적: 중-베트남 국경 지대의 불법자들과 반역자들》. 워싱턴 대학교 출판부. 2017. ISBN 978-0-295-99969-2.
  • 오스카 샤퓌(Oscar Chapuis). 《베트남의 마지막 황제들: 뜨득에서 바오다이까지》. 그린우드 출판사. 2000. ISBN 978-0-313-31170-3.
  • 크리스토퍼 E. 고샤(Christopher E. Goscha). 《베트남: 새로운 역사》. 베이직 북스. 2016. ISBN 978-0-465-09436-3.
  • 쇠렌 이바르손(Søren Ivarsson). 《라오스 만들기: 인도차이나와 시암 사이의 라오스 공간 형성, 1860-1945》. NIAS Press. 2008. ISBN 978-87-7694-023-2.
  • 찰스 키스(Charles Keith). 《가톨릭 베트남: 제국에서 국가로의 교회》. 캘리포니아 대학교 출판부. 2012. ISBN 978-0-520-27247-7.
  • 헨리 맥클리비(Henry Mcaleavy). 《베트남의 검은 깃발: 중국 개입 이야기》. 알렌 & 언윈. 1968. ISBN 978-0-04-951014-2.
  • 마크 W. 맥클라우드(Mark W. McLeod). 《프랑스 개입에 대한 베트남의 대응, 1862-1874》. 프레거. 1991. ISBN 978-0-275-93562-7.
  • 시드니 A. 스턴턴(Sidney A. Staunton). 《통킹 전쟁: 프랑스가 통킹에 있는 이유와 그들이 거기서 무엇을 하는가》. Cupples, Upham & Co. 188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