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레셰 도함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레셰 도함수는 두 바나흐 공간 사이의 함수에 대한 미분 개념으로, 유계 작용소를 사용하여 정의된다. 함수 f가 한 점 v에서 프레셰 미분 가능하다는 것은 특정 극한을 만족하는 유계 작용소 D_vf가 존재함을 의미하며, D_vf를 f의 프레셰 도함수라고 한다. 프레셰 미분은 가토 미분보다 강한 조건이며, 유한 차원 공간에서는 야코비 행렬로 표현된다. 프레셰 미분은 선형 연산이며 연쇄 법칙이 성립하며, 고계 도함수로 확장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위상 벡터 공간으로 일반화될 수 있으며, 불평등 연구, 노동 시장 분석, 사회 이동성 연구 등 한국 사회 현상 분석에도 응용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함수해석학 - 섭동 이론
섭동 이론은 정확히 풀리는 문제에 작은 변화가 있을 때 급수로 표현하여 근사해를 구하는 방법으로, 초기 해에 보정항을 더하는 방식으로 고전역학, 양자역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섭동 형태와 적용 차수에 따라 구분된다. - 함수해석학 - 분포 (해석학)
해석학에서 분포는 시험 함수 공간의 연속 쌍대 공간의 원소로 정의되며, 로랑 슈바르츠에 의해 정립되어 편미분 방정식의 해를 다루는 데 유용하고 미분 불가능하거나 특이점을 갖는 함수를 포함한 다양한 함수를 다루는 데 효과적인 일반적인 함수의 개념을 확장한 것이다.
프레셰 도함수 | |
---|---|
정의 | |
분야 | 함수해석학 |
설명 | 노름 공간 사이의 함수에 대한 도함수의 일반화 |
관련 개념 | |
상위 개념 | 미분 |
하위 개념 | 가토 미분 |
관련 항목 | 미분가능성 |
2. 정의
두 바나흐 공간 사이의 함수 및 에 대하여, 다음 성질을 만족시키는 유계 작용소 가 존재한다면, 를 에서 '''프레셰 미분 가능'''하다고 하고, 를 의 에서의 '''프레셰 도함수'''라고 한다.
:
즉, 함수
:
:
가 에서 극한 0을 가져야 한다.
와 를 노름 벡터 공간으로, 를 의 열린 집합이라고 할 때, 함수 는 만약 유계 선형 연산자 가 존재하여 다음을 만족하면 에서 ''프레셰 미분 가능''하다고 한다.
여기서의 극한은 두 개의 거리 공간으로 와 를 사용하고 위의 식을 에서 를 인수로 하는 함수로 사용하여, 거리 공간에서 정의된 함수의 극한의 일반적인 의미로 해석된다. 결과적으로, 영벡터 으로 수렴하는 의 영이 아닌 원소의 모든 수열 에 대해 존재해야 한다. 동등하게, 1차 전개는 란다우 표기법으로 성립한다.
이러한 연산자 가 존재한다면, 유일하므로, 로 쓰고 이를 에서의 의 ''프레셰 도함수''라고 부른다.
의 모든 점에서 프레셰 미분 가능한 함수 는 만약 함수
가 연속이면 C1이라고 한다(는 에서 로의 모든 유계 선형 연산자의 공간을 나타낸다). 이는 각 값에 대해 맵 가 연속일 것을 요구하는 것과 같지 않음에 유의해야 한다 (이는 가정된 사항이며, 유계와 연속은 동일하다).
이 도함수의 개념은 와 같은 실수에 대한 함수의 일반적인 도함수의 일반화인데, 왜냐하면 에서 로의 선형 맵은 단지 실수 곱셈이기 때문이다. 이 경우, 는 함수 이다.
2. 1. 프레셰 도함수
두 바나흐 공간 사이의 함수 및 에 대하여, 다음 성질을 만족시키는 유계 작용소 가 존재한다면, 를 에서 '''프레셰 미분 가능'''하다고 하고, 를 의 에서의 '''프레셰 도함수'''라고 한다.:
즉, 함수
:
:
가 에서 극한 0을 가져야 한다.
와 를 노름 벡터 공간으로, 를 의 열린 집합이라고 할때, 함수 는 만약 유계 선형 연산자 가 존재하여 다음을 만족하면 에서 ''프레셰 미분 가능''하다고 한다.
여기서의 극한은 두 개의 거리 공간으로 와 를 사용하고 위의 식을 에서 를 인수로 하는 함수로 사용하여, 거리 공간에서 정의된 함수의 극한의 일반적인 의미로 해석된다. 결과적으로, 영벡터 으로 수렴하는 의 영이 아닌 원소의 모든 수열 에 대해 존재해야 한다. 동등하게, 1차 전개는 란다우 표기법으로 성립한다.
이러한 연산자 가 존재한다면, 유일하므로, 로 쓰고 이를 에서의 의 ''프레셰 도함수''라고 부른다.
의 모든 점에서 프레셰 미분 가능한 함수 는 만약 함수
가 연속이면 C1이라고 한다(는 에서 로의 모든 유계 선형 연산자의 공간을 나타낸다). 이는 각 값에 대해 맵 가 연속일 것을 요구하는 것과 같지 않음에 유의해야 한다 (이는 가정된 사항이며, 유계와 연속은 동일하다).
이 도함수의 개념은 와 같은 실수에 대한 함수의 일반적인 도함수의 일반화인데, 왜냐하면 에서 로의 선형 맵은 단지 실수 곱셈이기 때문이다. 이 경우, 는 함수 이다.
2. 2. 가토 도함수와의 관계
함수 가 에서 프레셰 미분 가능하다면, 는 에서 가토 미분 가능하다.[1] 그러나 그 역은 일반적으로 성립하지 않는다.[1] 만약 의 에서의 프레셰 도함수가 라면, 에서의, 방향의 가토 도함수는 이다.가 에서 가토 미분 가능하다는 것은, 가 에서 모든 방향에 대해 방향 도함수를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며, 다음과 같은 함수 가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1]
:
여기서 임의의 벡터 를 선택하고, 는 와 관련된 스칼라 필드(일반적으로 는 실수)에서 가져온다.[1]
가 에서 프레셰 미분 가능하다면, 그 지점에서 가토 미분 가능하며, 는 선형 연산자 이다. 하지만, 모든 가토 미분 가능 함수가 프레셰 미분 가능한 것은 아니다. 이는 한 점에서 모든 방향 도함수의 존재가 그 점에서 전체 미분 가능성(또는 심지어 연속성)을 보장하지 않는다는 사실과 유사하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정의된 두 개의 실수 변수 , 의 실수 값 함수 를 생각해 보자.
:
이 함수는 원점 에서 연속적이고 가토 미분 가능하며, 원점에서의 도함수는 다음과 같다.
:
함수 는 선형 연산자가 아니므로, 이 함수는 프레셰 미분 가능하지 않다.
더 일반적으로, 형태의 함수는, 여기서 과 는 의 극좌표이고, 가 에서 미분 가능하고 이면, 에서 연속적이고 가토 미분 가능하지만, 가토 도함수는 선형적일 뿐이고 프레셰 도함수는 가 정현파일 때만 존재한다.
다른 상황에서, 다음과 같이 주어진 함수 는
:
에서 가토 미분 가능하며, 그 지점에서의 도함수는 모든 에 대해 인데, 이는 선형 연산자이다. 하지만, 는 에서 연속적이지 않다(곡선 을 따라 원점에 접근함으로써 알 수 있다). 따라서 는 원점에서 프레셰 미분 가능할 수 없다.
더 미묘한 예는 다음과 같다.
:
이 함수는 연속 함수이며, 에서 가토 미분 가능하고, 이 지점에서의 도함수는 인데, 이는 다시 선형적이다. 하지만, 는 프레셰 미분 가능하지 않다. 만약 프레셰 미분 가능하다면, 프레셰 도함수는 가토 도함수와 일치하며, 따라서 영 연산자 이 될 것이다. 따라서 다음 극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