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티오피아 터와흐도 정교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티오피아 터와흐도 정교회는 4세기에 기독교가 전파된 에티오피아의 기독교 종파이다. 콥트 정교회의 영향을 받아 단성론을 따르며, 자체적으로는 "Tewahedo" (하나가 됨)라고 칭한다. 에티오피아 정교회는 구약 46권, 신약 35권, 총 81권의 성경을 정경으로 사용하며, 독특한 전례와 금식, 그리고 유대교적 관습을 일부 공유한다. 1959년 콥트 정교회로부터 독립하여 자치 교회가 되었으며, 사회주의 정권 시기 박해를 겪었지만, 1991년 민주화 이후 종교의 자유를 회복했다. 현재는 총대주교를 중심으로 조직되어 있으며, 에티오피아 국내외에 여러 교구를 두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에티오피아의 기독교 - 동방교회성
동방교회성은 과거 교황 겸임 장관 시대 차관 추기경을 두었으나, 1967년부터 장관 추기경을 임명하여 운영하며, 이 문서는 1917년부터 현재까지의 역대 차관 및 장관 추기경 목록과 정보를 제공한다. - 에티오피아의 기독교 - 프루멘티우스
프루멘티우스는 4세기 악숨 왕국에 기독교를 전파하고 에티오피아 정교회의 초대 수장이 된 선교사로, 노예 생활 중 왕의 신임을 얻어 기독교를 전파했으며 에자나 왕을 개종시켜 기독교를 국교로 삼는 데 기여했다. - 오리엔트 정교회 - 칼케돈 공의회
칼케돈 공의회는 에우티케스의 단성론 논쟁 해결을 위해 451년에 소집된 제4차 전례 공의회로, 그리스도의 신성과 인성을 동시에 지닌 단일 인격이라는 칼케돈 신조를 채택하여 두 본성의 불가분리성을 천명했으나, 일부 동방 교회의 거부와 콘스탄티노폴리스 주교의 지위 상승으로 기독교 분열과 로마 교황청과의 갈등을 야기했다. - 오리엔트 정교회 - 제온 (예배식)
제온은 정교회 예배에서 포도주에 뜨거운 물을 섞는 의식으로,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형 당시 흘러나온 물과 신성을 상징하며, 슬라브와 그리스 관습에 따라 형태와 사용 방식에 차이가 있다.
에티오피아 터와흐도 정교회 | |
---|---|
기본 정보 | |
![]() | |
공식 명칭 | 에티오피아 정교회 터와흐도 교회 |
약칭 | EOTC |
주요 분류 | 동방 기독교 |
방향 | 오리엔트 정교회 |
성경 | 정교회 터와흐도 성경 |
신학 | 단성론 |
정치 체제 | 주교제 |
관할 지역 | 에티오피아 및 에티오피아 디아스포라 |
전례 | 알렉산드리아 |
언어 | 고대 교회 슬라브어, 암하라어, 오로모어, 티그리냐어, 세바트 베트 구라게어 |
본부 | 성 삼위일체 대성당, 아디스아바바, 에티오피아 |
설립자 | 에티오피아 정교회 전통에 따르면 프루멘티우스 |
설립일 | 4세기 |
설립 장소 | 악숨 왕국 |
독립 | 1959년, 콥트 정교회로부터 독립 |
분리 | 미국 망명 시노드 (1991–2018) 에리트레아 정교회 (1991) 티그라이 정교회 (2021) |
기타 명칭 | 에티오피아 정교회 |
통계 | |
신자 수 | 에티오피아 내 3600만 명 - 5100만 명 |
지도자 | |
총대주교 | 마티아스 |
2. 역사
4세기에 프루멘티우스가 악숨 왕국에서 포교한 것이 에티오피아에서 기독교의 시작으로 여겨지며, 악숨 왕국은 333년경에 기독교를 공인했다.[91] 에티오피아에서는 이시스 신앙, 탈무드 편찬 이전의 유대교, 그리고 기독교가 합쳐져 특유의 기독교가 뿌리내렸다.
430년 콥트 정교회의 통제하에 들어갔으며,[92] 451년 칼케돈 공의회에서 단성론을 배척하자 기독교 주류에서 분열하게 된다(에티오피아는 회의에 참석하지 않았고, 결정이 직접 전달된 것도 아니다).[93]
16세기 에티오피아 제국이 포르투갈의 도움을 받아 무슬림과 항쟁을 벌이면서 예수회 선교사가 찾아왔고, 황제 중에는 가톨릭으로 개종하는 사람도 있었다. 그러나 1632년 황제 세세뇨스가 퇴위하고 아들 파실라다스가 제위를 계승하면서 에티오피아 정교회를 부흥시켰다.[94]
1959년 콥트 정교회에서 분리되어 독립 교회가 되었다.[92] 에티오피아 제국 시대에는 국교였으나, 1974년 하일레 셀라시에 황제가 실각하면서 국교 지위를 잃었다. 마르크스주의 데르그 군사 정권은 1976년 테오필로스 총대주교를 체포했고, 1979년에 비밀리에 처형했다.[29]
1991년 에티오피아 인민 혁명 민주 전선(EPRDF) 정부가 집권하면서 종교의 자유가 회복되었다. 망명했던 총대주교가 복귀하고, 1993년 에리트레아 독립과 함께 에리트레아 정교회가 분리되었다.[92] 2018년에는 26년간 분열되었던 재미 에티오피아 정교회와 재통합을 이루었다. 2023년 오로미아 지역에서 새로운 시노드가 구성되면서 교회 내 분열이 발생했으나, 정부 중재로 일단락되었다.
2. 1. 초기 기독교 전래
에티오피아 정교회는 사도행전에 나오는 에티오피아 내시가 기독교를 전파했다고 주장한다.[14] 요한 크리소스톰은 예루살렘에 있는 에티오피아인들이 사도 베드로의 설교를 이해할 수 있었다고 언급했다.[14] 마태와 바르톨로메오를 포함한 일부 사도들이 4세기 초에 현재의 에티오피아 지역에서 선교했다는 보고도 있다.[12][14]신약성경에서 신앙으로 개종한 에티오피아인에 대한 초기 기록은 내시로, 일곱 부제 중 한 명인 필립보 복음사가에게 세례를 받았다 (사도행전 8:26-27).[16] 리옹의 이레니우스는 이 내시가 고향에서 복음을 전파했다고 기록했다.[16] 카이사레아의 유세비우스와 알렉산드리아의 오리겐도 유사한 증언을 했다.[17][14]

4세기에 에자나 왕은 기독교를 악숨 왕국의 국교로 선포했으며, 프루멘티우스를 통해 사제직과 성사가 도입되었다.[91] 프루멘티우스는 에티오피아인들에게 "셀라마, 케세테 비르한" ("평화의 아버지, 빛을 드러내는 자")으로 알려졌으며, 에티오피아 최초의 수도원인 다바 셀라마를 설립했다.[18]
2. 2. 칼케돈 공의회와 단성론 논쟁
451년 칼케돈 공의회에서 단성론 교리가 단죄되었으나, 에티오피아 교회는 콥트 교회를 따라 이 교리를 지지했다.[19] 7세기, 아랍 이슬람 교도들의 정복으로 에티오피아 정교회는 이웃 기독교 교회들과의 교류가 거의 끊어졌다.에티오피아 정교회는 스스로를 "단성론"이 아닌 미아피시테라고 칭하며, 그리스도의 단일한 본성을 강조한다. 즉, 신성과 인간성이 완전하고 자연스럽게 하나로 융합되는 것이 자명하다는 믿음이다. 이는 로마 가톨릭교회와 동방 정교회가 믿는 "그리스도의 두 본성"(혼합되지 않았지만 분리되지 않은 신성과 인간의 본성, 즉 위격적 연합)과는 대조적이다.
"''Tewahedo''"(ተዋሕዶ|테와흐도gez)는 "하나가 됨" 또는 "통합됨"을 의미하는 게즈어 단어이다. 이 단어는 동방 정교회의 하나의 복합적이고 통일된 그리스도의 본성에 대한 믿음을 나타낸다.[19]
2. 3. 이집트 콥트 교회의 영향과 독립
12세기 이래로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는 '아 부나'(아랍어로 '우리 아버지'라는 뜻)로 불리는 에티오피아 주교를 임명해왔는데, 이집트인(人) 콥트 교회 수사만이 에티오피아 주교가 될 수 있었다. 에티오피아 주교는 에티오피아의 강력한 수도원 공동체의 원주민 '이트샤게'(대수도원장)와 대립했다.[19]이집트 콥트 교회의 지배를 떨쳐버리려는 시도가 때때로 있었으나 성공하지 못했다. 1929년에 이르러서야 이집트 수사를 아부나로 임명하는 동시에 4명의 에티오피아 수사를 보좌주교로 임명한다는 타협안을 받아들였다. 1950년에는 마침내 에티오피아 원주민인 바실을 아부나에 임명했고, 1959년에는 자치권을 지닌 에티오피아 총대주교구를 세웠다.[92]
2. 4. 에티오피아 제국과 국교
암하라족과 티그리냐족은 대대로 에티오피아 정교회의 주요 신봉자들이었으며, 교회의 신앙 형식들과 신조들은 암하라족의 문화에서 중요한 요소였다. 암하라족이 에티오피아 왕권을 장악한 시기에 에티오피아 정교회는 국교로 선포되었고, 황제 하일레 셀라시에 정권의 바람벽이 되어주었다.2. 5. 사회주의 정권과 박해
1975년 에티오피아에서 마르크스주의를 신봉하는 군인들이 왕정을 폐지하고 사회주의 제도를 도입했다. 이로 인해 에티오피아 정교회는 해체되었고, 총대주교는 추방되었으며, 교회 소유의 많은 토지는 몰수당했다.[24] 교회는 이슬람교를 비롯한 다른 종교들과 동일한 위치로 전락했다.[24]1974년 하이레 셀라시에 황제가 물러나면서 에티오피아 정교회는 국교 지위를 잃었다. 새롭게 들어선 마르크스주의 정부는 교회 소유 재산(토지 포함)을 국유화하기 시작했다. 1976년 마르크스주의 데르그 군사 정권은 테오필로스 총대주교를 체포했고, 그는 1979년에 비밀리에 처형되었다.[29] 정부는 교회에 새로운 총대주교를 선출하도록 명령했고, 타클라 하이마노트가 즉위했다. 그러나 콥트 정교회는 에티오피아 교회의 시노드가 테오필로스를 해임하지 않았고 정부가 그의 죽음을 공개적으로 인정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타클라 하이마노트의 선출을 인정하지 않았다. 이 때문에 두 교회 간의 공식적인 관계는 중단되었지만, 서로 친교 관계는 유지했다.[29]
2. 6. 민주화 이후
1991년 에티오피아 인민 혁명 민주 전선(EPRDF) 정부가 집권하면서 종교의 자유가 회복되었다. 망명했던 총대주교가 복귀하고, 1993년 에리트레아의 독립과 함께 에리트레아 정교회가 분리 독립하였다.[92] 2018년에는 26년간 분열되었던 재미 에티오피아 정교회와 재통합을 이루었다. 그러나 2023년, 오로미아 지역에서 새로운 시노드가 구성되면서 교회 내 분열이 발생했으나, 정부의 중재로 일단락되었다.3. 특징
에티오피아 터와흐도 정교회 성직자는 성사와 전례를 집전하는 사제와 부제, 그리고 '데브테라'로 구성된다. 데브테라는 성직 임명은 받지 않았지만 교회 의식과 관련된 음악과 춤을 담당하고, 점성가, 필사자, 마술사, 점술가 역할도 겸하며 교회 교훈을 배운다.[91]
에티오피아 정교회는 하느님, 성인, 천사에 관한 기독교 개념을 선한 영과 악한 영, 하급 귀신들에 관한 비그리스도교 신앙과 융합시켰다. 구약성서에 큰 비중을 두고, 할례 의식을 보편적으로 행한다. 일부 신자들은 일요일 외에 토요일도 안식일로 지키며, 모든 교회는 계약궤를 반드시 비치하고, 오늘날까지도 엄격한 금식을 실천한다.[91]
에티오피아 정교회는 단성론을 채택한다는 주장이 있지만, 스스로는 단성론 교설을 거부하며 "단성론 교회"로 불리는 것을 원치 않는다. 칼케돈 공의회 결정을 승인하지 않아 분리되었기에, "비칼케돈파"라는 중립적 호칭이 사용된다.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 시리아 정교회, 콥트 정교회 등 다른 "비칼케돈파" 교회들과 풀 커뮤니온(완전한 상호 영성체) 관계에 있으며, 그리스 정교회 계열 정교회와의 관계도 개선되고 있다.[91]
교회 내 계급으로는 아브나(대주교), 아바(성직자), 랴코누(성직자 예비군), 야코루 타마리(학생) 등이 있다.
각 교회에는 '타보트'라 불리는 언약궤 복제품 성유물이 있으며, 교회 내 가장 신성한 것으로 여겨진다.
성당 안에서 신발을 벗고 맨발이 되는 독특한 관습이 있다. 이는 에티오피아 일반 가옥에서 신발을 벗는 관습과는 무관하며, 출애굽기 3장 5절에서 모세가 신의 명령을 받은 장면에서 유래한 것으로, 신에 대한 경외심을 나타낸다.[98]
3. 1. 신학 및 교리
에티오피아 터와흐도 정교회는 단성론(미아피시테주의) 신학을 따른다. 이는 그리스도의 신성과 인성이 하나의 본성으로 결합되었다고 믿는 것이다. 즉, 신성한 인간의 구원을 달성하기 위해 신성과 인간성이 완전하고 자연스럽게 하나로 융합되는 것이 자명하다는 믿음이다.[48] 이는 로마 가톨릭교회와 동방 정교회가 믿는 "그리스도의 두 본성"(혼합되지 않았지만 분리되지 않은 신성과 인간의 본성, 즉 위격적 연합)에 대한 믿음과는 대조적이다.에티오피아 정교회는 스스로의 기독론을 예수에 대한 "하나의 통일된 본성"을 의미하는 미아피시테라고 묘사한다.
삼위일체론을 엄격하게 고수하며,[52] 성부, 성자, 성령의 세 위격으로 연합된 하느님을 믿는다. 이 개념은 "삼위일체"를 뜻하는 게에즈어 ''səllase''(ሥላሴ)로 알려져 있다.
성모 마리아, 천사, 성인 공경 전통이 강하다.[48] ''K'ədusan'' ቅዱሳን (천사의 사자와 성인)의 계층은 신자들의 기도를 하느님께 전달하고 신의 뜻을 수행하므로, 에티오피아 기독교인이 어려움에 처하면 하느님뿐만 아니라 그들에게도 호소한다.[49]
3. 2. 성경
에티오피아 정교회는 81권으로 구성된 성경을 가지고 있으며, 구약성경과 신약성경 외에도 제4 바룩서(4 Baruch), 에녹서, 요벨서, 제1-3메카비안서(Meqabyan 1-3, 마카베오서는 아님)와 같이 에티오피아 성경에서만 볼 수 있는 외경도 포함되어 있다.[95][96] 이들은 구약 46권, 신약 35권으로 구성된다고 주장한다.[97]에티오피아 정교회의 구약성경 목록은 다음과 같다.
번호 | 제목 |
---|---|
1 | 창세기 |
2 | 출애굽기 |
3 | 레위기 |
4 | 민수기 |
5 | 신명기 |
6 | 여호수아 |
7 | 사사기 |
8 | 룻기 |
9 | 사무엘상, 사무엘하 |
10 | 열왕기상, 열왕기하 |
11 | 역대상 |
12 | 역대하 (므낫세의 기도 포함) |
13 | 희년서 |
14 | 에녹서 |
15 | 에스라서, 에스라하 |
16 | 토비트 |
17 | 유딧 |
18 | 에스더 (추가 부분 포함) |
19 | 1 메카비안서 |
20 | 2, 3 메카비안서 |
21 | 요세폰 |
22 | 욥기 |
23 | 시편 (시편 151편 포함) |
24 | 잠언 |
25 | 훈계 |
26 | 전도서 |
27 | 아가 |
28 | 솔로몬의 지혜 |
29 | 집회서 |
30 | 이사야 |
31 | 예레미야 (애가, 바룩서 1, 예레미야의 편지, 바룩서 4 포함) |
32 | 에스겔 |
33 | 다니엘 (추가 부분 포함, 수산나, 벨과 뱀 포함) |
34 | 호세아 |
35 | 요엘 |
36 | 아모스 |
37 | 오바댜 |
38 | 요나 |
39 | 미가 |
40 | 나훔 |
41 | 하박국 |
42 | 스바냐 |
43 | 학개 |
44 | 스가랴 |
45 | 말라기 |
에티오피아 정교회의 신약성경 목록은 다음과 같다.
번호 | 제목 |
---|---|
1 | 마태오 |
2 | 마르코 |
3 | 루카 |
4 | 요한 |
5 | 사도행전 |
6 | 로마서 |
7 | 코린토 전서 |
8 | 코린토 후서 |
9 | 갈라티아서 |
10 | 에페소서 |
11 | 필리피서 |
12 | 콜로새서 |
13 | 테살로니카 전서 |
14 | 테살로니카 후서 |
15 | 티모테오 전서 |
16 | 티모테오 후서 |
17 | 티토 |
18 | 필레몬 |
19 | 히브리서 |
20 | 야고보 |
21 | 베드로 전서 |
22 | 베드로 후서 |
23 | 요한 1서 |
24 | 요한 2서 |
25 | 요한 3서 |
26 | 유다 |
27 | 요한 묵시록 |
28 | 1 시노도스 |
29 | 2 시노도스 |
30 | 3 시노도스 |
31 | 4 시노도스 |
32 | 1 언약 |
33 | 2 언약 |
34 | 에티오피아 클레멘스 |
35 | 디다스칼리아 |
3. 3. 전례 및 예배
에티오피아 교회의 신성한 예배는 게에즈어로 거행되며, 이 언어는 최소한 9성인 (판텔레원, 게리마(아이작, 또는 예샤크), 아프체, 구바, 알레프, 예마타, 리카노스, 세마)이 도착한 이후부터 교회의 전례 언어로 사용되어 왔다.[60] 이들은 칼케돈 공의회 (451년) 이후 비잔틴 제국의 박해를 피해 도망쳐 왔다고 전해진다. 그리스어 칠십인역은 원래 게에즈어로 번역된 구약성경의 번역본이었지만, 이후 수정본에서는 히브리어, 시리아어 및 아랍어 자료를 사용한 명확한 증거가 나타난다. 현대 구어체로의 최초 번역은 19세기에 일반적으로 아부 루미 (1819년 사망)로 알려진 사람에 의해 이루어졌다. 이후, 하일레 셀라시에 황제는 그의 통치 기간(1930–1974년) 동안 게에즈 성경을 암하라어로 번역하는 것을 후원했다. 1935년에는 제2차 세계 대전 전에, 1960–1961년에는 그 이후에 각각 번역본이 출판되었다.[61] 오늘날의 설교는 대개 지역 언어로 행해진다.
에티오피아에는 많은 일체형 (바위 깎은) 교회가 있으며, 가장 유명한 곳은 랄리벨라에 있는 11개의 교회이다. 이 외에도 두 가지 주요 건축 양식이 있는데, 하나는 바실리카 양식이고 다른 하나는 토착 양식이다. 악숨의 시온의 성모 마리아 교회는 바실리카 양식의 예이지만, 초기 바실리카는 거의 모두 폐허가 되었다. 이 예들은 6세기에 사나와 아라비아 반도의 다른 지역에 바실리카를 건설한 건축가들의 영향을 보여준다. 토착 교회에는 두 가지 형태가 있다. 하나는 전통적으로 티그레이주에서 발견되는 직사각형이고, 다른 하나는 전통적으로 암하라주와 쉐와에서 발견되는 원형이다(두 양식 모두 다른 지역에서도 발견될 수 있다). 두 형태 모두에서 성소는 사각형이며 중앙에 분명하게 서 있으며, 배치는 유대교 전통을 따른다. 벽과 천장은 프레스코로 장식되어 있다. 교회 본당을 둥글거나 직사각형의 안뜰이 둘러싸고 있다. 현대 에티오피아 교회는 바실리카 양식이나 토착 양식을 통합하고 현대적인 건축 기술과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농촌 지역에서는 교회와 외부 안뜰이 종종 짚으로 덮여 있으며, 진흙으로 지은 벽이 있다. 교회 건물은 일반적으로 숲 지역으로 둘러싸여 있어, 그렇지 않은 국가의 산림이 훼손된 지역에서 생물 다양성의 저장고 역할을 한다.
성찬례는 순결하다고 느끼고 정기적으로 금식하며 일반적으로 적절하게 행동한 사람들에게만 주어진다.[49] 실제로 성찬은 주로 어린 아이들과 노인에게 제한되며, 성적으로 활동적인 연령이거나 성적인 욕망을 가진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성찬을 받지 않는다.[49][51] 성찬을 받는 신자들은 교회의 중간 링에 들어가 그렇게 할 수 있다.[49]
3. 4. 금식
에티오피아 정교회는 연중 250일의 금식일을 지키며, 이 중 180일은 평신도에게도 의무이다.[54] 금식 기간에는 육류와 유제품 섭취가 금지되며, 신자들은 비건 음식을 먹는다.[54] 40일간의 대림절 금식 기간에는 하루에 비건 식사 한 끼만 허용된다.[54]에티오피아 정교회의 주요 금식일은 다음과 같다:
금식명 | 기간 | 설명 |
---|---|---|
후다디 또는 아비예 촘 (Hudadi or Abiye Tsome, ሁዳዴ/ዓብይ ጾምgez, 대사순절) | 부활절(파시카) 전 55일[55][56] | 세 기간으로 나뉨: |
사도들의 금식 | 10~40일 | 사도들이 성령을 받은 후 지킨 금식으로, 오순절 후에 시작. |
촘 디흐네트 (Tsome Dihnet, ጾመ ድህነትgez) | 오순절 이후 부활절까지 (부활절 이후 50일 제외) 모든 수요일과 금요일[49] | 예수 그리스도를 죽이려는 음모를 가야바와 대제사장의 집 구성원들이 꾸민 것을 기념하여 수요일에 지키고,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형을 기념하여 금요일에 지킴. |
성모 승천 금식 | 16일 | |
크리스마스 전 금식 | 40일 (대림절). 헤다르 15일에 시브켓(Sibket)으로 시작하여 게나 축제와 타하사스 29일, 윤년의 경우 28일에 크리스마스 이브에 끝남. | |
니네베의 금식 | 사순절 전 셋째 주 월요일, 화요일, 수요일 | 요나의 설교를 기념. |
팀카트(주현절)의 가하드(gahad) | 주현절 전날 |
표준적인 성일 외에도 대부분의 기독교인들은 많은 성인들의 날을 지킨다. 어떤 사람은 자신의 개인 성인의 날에 작은 축제를 열 수 있다.
3. 5. 유대교 및 이슬람과의 유사성
에티오피아 정교회는 구약성서에 비중을 두며, 할례 의식을 행하고, 일요일 외에 토요일을 안식일로 지키는 등[72] 유대교의 영향을 받은 관습을 가지고 있다. 교회마다 계약궤를 두고, 금식을 엄격히 행한다.여성은 월경 중에는 교회 출입이 금지되고, 머리를 가려야 하며,[68][69] 남녀 좌석이 분리되는 등[69] 이슬람과 유사한 관습도 존재한다.
또한, 탈출기 3:5에 따라 교회에 들어갈 때 신발을 벗으며,[71] 정결 의식의 날을 지킨다.[80][81] 의식적으로 부정한 사람은 교회에 접근은 가능하나, 출입은 허용되지 않는다.[82] 돼지고기 등 부정한 고기는 금지되지만, 구원에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78][79]
3. 6. 데브테라
데브테라는 에티오피아 터와흐도 정교회에서 훈련받은 순회 평신도 사제(사제단 구성원은 아님)이다. 주로 서기나 성가대 역할을 하지만, 종종 민간 치료사, 부제, 축귀사와 유사한 역할을 수행하기도 한다. 민간 전승과 전설은 데브테라에게 마법사의 역할을 부여하기도 한다.[84]4. 조직
1959년 알렉산드리아의 키릴 6세 교황으로부터 자치 교회로 인정받은 이후, 에티오피아 터와흐도 정교회는 총대주교를 수장으로 하는 중앙집권적 체제를 갖추고 있다. 총대주교는 '아부나'라는 칭호를 사용하며, 공식적으로는 '에티오피아의 총대주교이자 카톨리코스, 악숨의 대주교, 성 타클라하마노트 관구의 이체게'로 불린다. 현재 에티오피아 터와흐도 정교회의 수장은 마티아스로, 2013년 2월 28일에 총대주교로 선출되었다.[90]
에티오피아 터와흐도 정교회는 에티오피아 국내외에 여러 교구를 두고 있으며, 각 교구는 대주교 또는 주교가 관할한다.
대주교와 주교[90]
관구 |
---|
아와사 (시다마) |
악숨 |
암보 |
아르시 |
아소사 |
아파르 |
발레 고베 |
월레가 |
북월로 |
남월로 (데시) |
감벨라 |
서고잠 (바르 다르) |
동고잠 (데브레 마르코스) |
북곤다르 |
남곤다르 (데브레 타보르) |
예루살렘 |
일루바보르 |
지지가 |
짐마 |
켐바타 |
메타라 |
미잔 테페리 (카파) |
네겔레-보레나 |
오가덴 (소말리주) |
오모 |
셀랄리아 |
동티그라이 |
서티그라이 |
중앙티그라이 (메켈레) |
남티그라이 |
하르툼 및 누비아 |
쉐와 (아다마) |
북 쉐와 (데브레 베르한) |
워싱턴 D.C., 및 주변 지역 |
캐나다 동부 |
캐나다 서부 |
트리니다드 및 라틴 아메리카 |
참조
[1]
웹사이트
የኢትዮጵያ ኦርቶዶክስ ተዋሕዶ ቤተ ክርስቲያን
https://www.zeorthod[...]
Ethiopian Orthodox Tewahedo Church
2021-06-20
[2]
논문
Christianity in Ethiopia
https://www.jstor.or[...]
1936
[3]
논문
Orthodox Christianity in the 21st Century
https://www.pewforum[...]
2017-11-08
[4]
논문
Ethiopia: An outlier in the Orthodox Christian world
https://www.pewresea[...]
[5]
웹사이트
Ethiopia
https://www.cia.gov/[...]
2023-11-06
[6]
웹사이트
Ethiopian Orthodox Tewahedo Church
http://www.oikoumene[...]
[7]
백과사전
Ethiopian Orthodox Tewahedo Church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2022-09-16
[8]
웹사이트
NATURE OF CHRIST
http://www.copticchu[...]
St. Mark Coptic Orthodox Church
2014-11-30
[9]
웹사이트
From His Second Book Against the Words of Theodore
http://www.tertullia[...]
The Tertullian Project
2014-11-30
[10]
서적
The Blackwell Companion to Eastern Christianity
https://books.google[...]
2009
[11]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Henoticon
http://www.newadvent[...]
Newadvent.org
2013-06-30
[12]
문서
Socrates and Sozomenus Ecclesiastical Histories
[13]
백과사전
St. Matthew
http://www.newadvent[...]
2015-12-04
[14]
간행물
Meskel and the Ethiopians
EOTC Publication Committee
2015-09
[15]
간행물
Meskel and the Ethiopians
EOTC Publication Committee
2015-09
[16]
문서
Irenaeus of Lyons, "Adversus haereses" III. 12. 8
[17]
문서
Eusebius Pamphilius, Church History
[18]
논문
Beta Samati: discovery and excavation of an Aksumite town
https://www.cambridg[...]
2019-Winter
[19]
서적
Laetentur Caeli: Bulls of Union with the Greeks, Armenians, Coptic, and Ethiopian Churches
https://play.google.[...]
Dalcassian Publishing Company
2007-01
[20]
웹사이트
Honor the Reformation's African roots
https://www.commerci[...]
2018-04-09
[21]
웹사이트
Martin Luther and Ethiopian Christianity: Historical Traces
https://divinity.uch[...]
The University of Chicago Divinity School
2022-01-28
[22]
웹사이트
Martin Luther and Ethiopian Christianity: Historical Traces
https://divinity.uch[...]
University of Chicago
2018-04-09
[23]
웹사이트
Martin Luther's fascination with Ethiopian Christianity
https://www.christia[...]
The Christian Century
2018-04-09
[24]
서적
Ethiopia and the Bible
British Academy
1988
[25]
서적
The Government of Ethiopia
Faber and Faber
1969
[26]
서적
Government of Ethiopia
[27]
서적
Government of Ethiopia
[28]
서적
Government of Ethiopia
[29]
웹사이트
"Common Declaration" of Pope Shenoudah III, Catholicos Aram I, and Patriarch Paulos
http://www.armeniano[...]
Armenian Orthodox Church
2007-07-22
[30]
뉴스
U.S. Branch Leaves Ethiopian Orthodox Church
https://www.nytimes.[...]
2016-04-29
[31]
서적
Understanding Contemporary Ethiopi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5
[32]
웹사이트
Ethiopian church appoints Abune Mathias as patriarch
https://www.bbc.co.u[...]
2013-03-03
[33]
웹사이트
Ethiopian Church officially declared reunification in the presence of PM Abiy Ahmed
https://borkena.com/[...]
2021-09-11
[34]
웹사이트
Analysis: Shock, controversy rocks Ethiopian Orthodox Church after Popes suspended for involving in "illegal appointment" threaten to split
https://addisstandar[...]
2023-01-25
[35]
웹사이트
Breakaway bishops threaten split in Ethiopia church
https://www.the-star[...]
2023-01-25
[36]
웹사이트
Ethiopian Orthodox Church Excommunicated three subversive Archbishops
https://borkena.com/[...]
2023-02-04
[37]
웹사이트
Ethiopian Church threatens to stage a nationwide peaceful demonstration
https://borkena.com/[...]
2023-02-04
[38]
웹사이트
News Analysis: As schism deepens, Orthodox Synod slams PM Abiy's remarks on ongoing crisis point by point, threaten to organize worldwide protest
https://addisstandar[...]
2023-02-04
[39]
웹사이트
Three Killed in Attacks on Ethiopian Orthodox Church, According to a Report
https://www.voanews.[...]
2023-02-04
[40]
웹사이트
Celebrities, Diplomats, and Influencers Stand United in Support of Ethiopian Orthodox Church
https://addisinsight[...]
2023-02-08
[41]
웹사이트
News: Orthodox Synod declares it faithful to wear black for the Fast of Nineveh in protest against "illegal group"
https://addisstandar[...]
2023-02-09
[42]
뉴스
Ethiopia Orthodox Church split: Social media restricted
https://www.bbc.com/[...]
BBC News
2023-02-10
[43]
웹사이트
Internet blocked in Ethiopia after church rift turns violence
https://gazettengr.c[...]
2023-02-10
[44]
웹사이트
NewsAlert: PM Abiy in meeting with Orthodox Patriarch
https://addisstandar[...]
2023-02-10
[45]
웹사이트
Ethiopia Orthodox leaders postpone protest called amid hegemony claims
https://www.africane[...]
2023-02-12
[46]
웹사이트
Ethiopian Orthodox Church reaches deal with three rogue bishops
https://www.aljazeer[...]
2023-02-16
[47]
웹사이트
Ethiopian Govt Lifts Internet Restrictions
https://allafrica.co[...]
2023-07-20
[48]
웹사이트
EOTC Doctrine
http://www.mahiberek[...]
[49]
웹사이트
Worship in the Ethiopian Orthodox Church
http://www.ethiopian[...]
2014-11-05
[50]
문서
Ethiopian Orthodox Christianity: Faith and practices
Library of Congress
1991
[51]
서적
Socialization and Social Control in Ethiopia
https://books.google[...]
Harassowitz
[52]
웹사이트
Doctrine of the Ethiopian Orthodox Church
http://www.dskmariam[...]
2009-10-30
[53]
뉴스
Ethiopia: fasting for 55 days
http://www.dw.com/en[...]
Deutsche Welle
2017-03-24
[54]
뉴스
A 40-Day Vegan Fast, Then, At Last, A January Christmas Feast
https://www.npr.org/[...]
2021-06-15
[55]
웹사이트
Tsome Nenewe (The Fast of Nineveh)
http://www.debresela[...]
Debre Selam Medhanealem Ethiopian Orthodox Tewahedo Church
2017-03-30
[56]
웹사이트
Fasting in the Ethiopian Orthodox Church
http://eotcmk.org/si[...]
Ethiopian Orthodox Tewahedo Church Sunday School Department – Mahibere Kidusan
2017-03-30
[57]
웹사이트
Great Lent - Abiy Tsom - ዐብይ ጾም First Sunday - Zewerede - ዘወረደ
https://www.keraneyo[...]
Ethiopian Orthodox Tewahedo Church Keraneyo Medhane Alem
2023-02-27
[58]
뉴스
Ten things we have learnt about Africa
http://news.bbc.co.u[...]
BBC News
2010-04-15
[59]
웹사이트
Case Study: Demonization and the Practice of Exorcism in Ethiopian Churches
http://www.lausanne.[...]
Lausanne Committee for World Evangelization
2000-08
[60]
서적
Church and State in Ethiopia, 1270-1527
Clarendon Press
1972
[61]
문서
Ethiopia and the Bible
[62]
뉴스
Biodiversity thrives in Ethiopia's church forests
https://www.nature.c[...]
Nature
2019-01-31
[63]
뉴스
The Church Forests of Ethiopia: A Mystical Geography
https://emergencemag[...]
2020-01-11
[64]
웹사이트
tabot
https://www.britishm[...]
2024-01-31
[65]
웹사이트
The Ark of Covenant
https://www.lisantew[...]
2024-02-02
[66]
웹사이트
Liturgical Worship, Part Three: Unique Features of Ethiopian Orthodox Tewahedo Church
https://eotcmk.org/e[...]
Mahibere Kidusan
2023-01-16
[67]
웹사이트
Ethiopian epiphany
https://ich.unesco.o[...]
UNESCO
2024-02-07
[68]
웹사이트
The Liturgy of the Ethiopian Orthodox Tewahedo Church
http://www.eotc.fait[...]
Ethiopian Orthodox Church
1991-00-00
[69]
서적
The Church of Ethiopia – A panorama of History and Spiritual Life
Berhanena Selam
[70]
웹사이트
Wait, I thought that was a Muslim thing?!
https://www.commonwe[...]
Commonweal
2014-02-13
[71]
웹사이트
Did you know Muslims pray in a similar way to some Christians?
https://aleteia.org/[...]
Aleteia
2017-10-16
[72]
서적
The Orthodox Church of Ethiopia: A History
I.B.Tauris
2016-11-28
[73]
웹사이트
The Sabbath: A Hallowed and Holy Day
https://suscopts.org[...]
[74]
웹사이트
The Ethiopic Didascalia: Or, the Ethiopic Version of the Apostolical Constitutions, Received in the Church of Abyssinia
https://books.google[...]
[75]
웹사이트
Apostolic Constitutions (Book VIII)
https://www.newadven[...]
[76]
서적
Church and State in Ethiopia, 1270-1527
Clarendon Press
[77]
서적
Ethiopia and the Red Sea: The Rise and Decline of the Solomonic Dynasty and Muslim European Rivalry in the Reg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10-28
[78]
웹사이트
Issue 122 – Circumcision and the Copts | the British Orthodox Church
https://britishortho[...]
[79]
웹사이트
Gizret - ግዝረት [Circumcision]
https://www.keraneyo[...]
2022-01-09
[80]
서적
Water: A Spiritual History
Bloomsbury Publishing
2012-11-02
[81]
서적
Judged by the Law of Freedom: A History of the Faith-works Controversy, and a Resolution in the Thought of St. Thomas Aquinas
University Press of America
[82]
간행물
Is the Church of Ethiopia a Judaic Church?
1999
[83]
간행물
Ethiopian Christianity: A continuum of African Early Christian polities
https://dx.doi.org/1[...]
2019-01
[84]
서적
Encyclopaedia Aethiopica: He-N
https://books.google[...]
Otto Harrassowitz Verlag
[85]
웹사이트
YARED: THE COMPOSER OF HUMNS
https://piassabooks.[...]
2022-08-23
[86]
간행물
An Ethiopian Scholar in Tridentine Rome: Täsfa Ṣeyon and the Birth of Orientalism
2021-04
[87]
웹사이트
Committees
https://ethiopiansor[...]
Debre Selam Medhanealem Ethiopian Orthodox Tewahedo Church
2023-12-07
[88]
웹사이트
Jerusalem – Heads of Churches
http://www.oikoumene[...]
World Council of Churches
[89]
웹사이트
Protest Held In Washington, DC Against Religious Attacks In Ethiopia
https://www.gettyima[...]
Getty Images
2023-04-05
[90]
웹사이트
Eparchies of the Ethiopian Church
http://hierarchy.rel[...]
[91]
서적
Africans: The History of a Continent
Cambridge University Press
[92]
서적
Religion and the Cold War: A Global Perspective
Vanderbilt University Press
[93]
서적
The Orthodox Church of Ethiopia: A History
Tauris Academic Studies
[94]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Ethiopia
Vanderbilt University Press
[95]
웹사이트
amharic holy bible ethiopian offline study version
https://itunes.apple[...]
itunes.apple.com
null
[96]
서적
The Rastafari Movement: A North American and Caribbean Perspective
Routledge
[97]
서적
ラスタファリアンズ―レゲエを生んだ思想
平凡社
1996
[98]
문서
川又
2005
[99]
문서
島崎
20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