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피나 바우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피나 바우슈(1940–2009)는 독일의 무용가, 안무가, 무용 감독으로, 연극적 요소를 결합한 독창적인 무용 스타일인 탄츠테아터(Tanztheater)를 창시하여 현대 무용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녀는 독일 폴크방 예술대학교에서 쿠르트 요스에게 사사받고, 뉴욕에서 활동하며 경험을 쌓았다. 1973년 부퍼탈 시립무용단의 예술 감독으로 취임하여 탄츠테아터 부퍼탈 피나 바우슈를 이끌며, '카페 뮐러', '봄의 제전' 등 연극과 춤을 융합한 파격적인 작품들을 선보였다. 바우슈는 2009년 암으로 사망했으며, 그녀의 작품은 많은 예술가들에게 영감을 주었고, 빔 벤더스의 다큐멘터리 영화 '피나'로 제작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졸링겐 출신 - 베로니카 페레스
    독일의 배우이자 영화 제작자인 베로니카 페레스는 독일 및 국제 영화와 텔레비전에 출연하며 폭넓은 연기 활동을 펼치고 있으며, 다수의 작품에서 제작에도 참여했고 그리메상, 독일 텔레비전상, 바이에른 영화상 등 여러 상을 수상했다.
  • 졸링겐 출신 - 프리드리히 알베르트 랑게
    프리드리히 알베르트 랑게는 칸트 철학을 계승하여 유물론을 비판하고 경험적 지식의 중요성을 강조했으며, 사회주의 사상을 옹호하며 독일 사회민주당에서 개혁주의 사회주의를 추구한 독일의 철학자, 사회 운동가, 저널리스트이다.
  • 대연방공로십자성현장 수훈자 - 타우파하우 투포우 4세
    타우파하우 투포우 4세는 살로테 투포우 3세의 아들로 태어나 통가의 총리를 지냈고, 1965년부터 2006년까지 통가의 국왕으로 재임하며 1970년 통가의 완전한 독립을 이끌어냈다.
  • 대연방공로십자성현장 수훈자 - 아돌프 부테난트
    아돌프 부테난트는 여성 성호르몬을 발견한 공로로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으며, 나치 정권과의 연루 논란을 겪었고 막스 플랑크 연구소 소장과 막스 플랑크 협회 회장을 역임했다.
  • 푸르 르 메리트 민사훈장 수훈자 - 찰스 다윈
    찰스 다윈은 자연 선택을 통한 진화론을 제시하여 현대 진화생물학의 기초를 세운 영국의 자연과학자이다.
  • 푸르 르 메리트 민사훈장 수훈자 - 아돌프 부테난트
    아돌프 부테난트는 여성 성호르몬을 발견한 공로로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으며, 나치 정권과의 연루 논란을 겪었고 막스 플랑크 연구소 소장과 막스 플랑크 협회 회장을 역임했다.
피나 바우슈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2009년 파리에서 열린
2009년 파리에서 열린 "비젠란트" 마지막 장면의 바우쉬
본명필리피네 바우슈
다른 이름필리피네 바우슈
출생1940년 7월 27일
출생지졸링겐, 독일
사망2009년 6월 30일
사망지부퍼탈,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 독일
직업모던 댄스 안무가, 민속 무용 안무가, 무용가
활동현대 무용 및 안무
소속탄츠테아터 부퍼탈
웹사이트피나 바우슈 공식 웹사이트
교육
교육 기관폴크방슐레
줄리어드 학교
수상
수상 내역독일 무용상 (1995년)
유럽 연극상 (1999년)
프레미엄 임페리얼 (1999년)
괴테상 (2008년)

2. 생애

피나 바우슈(본명 조세핀 바우슈)는 1940년 독일 졸링겐에서 태어났다.[39] 그녀의 집은 카페 레스토랑이었다. 1955년, 에센의 폴크방 예술대학교/Folkwang Universität der Künstede에서 쿠르트 요스/Kurt Joossde에게 사사받았다.[39] 18세에 수석 졸업 후, 국비 교환 유학생으로 뉴욕의 줄리아드 학교 댄스 코스에 유학했다.[39] 안토니 튜더의 권유로 메트로폴리탄 오페라 발레단[39]과 뉴 아메리칸 발레단 등에서 활동했다.

1962년 귀국하여,[39] 요스가 결성한 폴크방 발레에서[39] 솔리스트로 활약했다. 안무를 시작하여, 1969년에는 예술 감독으로 취임했다. 같은 해 폴크방 예술대학교/Folkwang Universität der Künstede의 교수가 되기도 했다. 같은 해 작품 『시간의 바람 속에서』가 쾰른 국제 안무가 콩쿠르에서 1위를 차지했다[39]

1973년, 부퍼탈 무용단의 예술 감독 및 안무가로 취임했다. 독일 표현주의 무용의 영향을 짙게 이어받아, 연극적 수법을 도입한 피나 특유의 무용 예술은 연극과 댄스의 융합이라고도 불리며, 그녀 자신은 "탄츠시어터"라고 불렀다[38]

1983년 페데리코 펠리니 감독의 영화 『그리고 배는 간다』에 출연했다. 1999년 사카모토 류이치 오페라 『[http://life.sitesakamoto.com/ LIFE]』에 출연했다. 2002년에는 페드로 알모도바르 감독 작품 『그녀에게』의 오프닝에서 대표작인 "카페 뮐러"를 그녀 자신이 춤을 췄다.

바우슈는 처음에는 1980년 백혈병으로 사망한 폴란드 출신의 롤프 보르지크와 결혼했는데, 그는 무대 및 의상 디자이너였다.[24] 그 해 말, 그녀는 로널드 케이를 만났고, 1981년에 아들을 낳았다.[25]

2009년6월 30일, 암 진단을 받은 지 5일 만에 68세의 나이로 사망했다.[40] 일본에서는 전 해(2008년) 4월 2일 시가현립 예술극장 비와코 홀에서 『풀 문』을 춘 것이 마지막 공연이었다.[41]

2011년 그녀의 죽음으로 제작이 중단되었던 다큐멘터리 영화 『피나: 바우쉬 춤을 넘어』가 공개되었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피나 바우슈(본명: 조세핀 바우슈)는 1940년 7월 27일 독일 졸링겐에서 태어났다.[1][2][3][4] 그녀의 부모는 객실을 갖춘 식당을 운영했으며,[5] 어린 피나는 이곳에서 매우 어린 나이부터 공연을 시작했다. 부모는 그녀의 잠재력을 알아보고 지원했다.[5]

1955년, 14세의 나이에 쿠르트 요스가 지도하는 폴크방슐레에 입학했다.[39] 1959년 졸업 후 독일 학술 교류처의 장학금을 받아 1960년 뉴욕 줄리아드 학교에서 학업을 이어갔다.[39] 앤서니 튜더, 호세 리몬, 알프레도 코르비노,[6] 폴 테일러[7] 등에게 배웠다. 안토니 튜더의 권유로 메트로폴리탄 오페라 발레단[39]과 뉴 아메리칸 발레단 등에서 활동했다.

1962년 귀국[39]하여 요스가 결성한 폴크방 발레단의 솔리스트로 활약하며 안무를 시작했고, 1969년에는 예술 감독으로 취임했다.[39] 같은 해 폴크방 예술 대학교의 교수가 되었고, 작품 『시간의 바람 속에서』가 쾰른 국제 안무가 콩쿠르에서 1위를 차지했다.[39] 1973년 부퍼탈 시립무용단의 예술감독·안무가로 취임했다.[43] 2009년 으로 사망했다.[40]

2. 2. 뉴욕에서의 활동

피나 바우슈는 국비 교환 유학생으로 뉴욕의 줄리아드 학교 댄스 코스에 유학했다.[39] 안토니 튜더의 권유로 메트로폴리탄 오페라 발레단[39]과 뉴 아메리칸 발레단 등에서 활동했다.[39][7] 1960년, 테일러가 이탈리아 스폴레토에서 ''태블릿''이라는 새로운 작품을 초연하도록 초청받았을 때, 바우슈와 함께 공연했다.[7] 바우슈는 뉴욕에서 폴 사나사르도 및 도냐 포이어 댄스 컴퍼니와 함께 공연했으며, 1961년에는 그들과 함께 두 작품을 공동 작업했다.[7] 피나는 뉴욕시에 대해 "뉴욕은 정글과 같지만 동시에 당신에게 완전한 자유를 느끼게 해줍니다. 이 2년 동안 저는 제 자신을 찾았습니다."라고 말했다.

2. 3. 부퍼탈 탄츠테아터

1973년 부퍼탈 시립무용단의 예술감독·안무가로 취임한[43] 피나 바우슈는 독립 단체로 운영되는 부퍼탈 오페라하우스 발레단의 예술 감독을 맡아, 탄츠테아터 부퍼탈 피나 바우슈(Tanztheater Wuppertal Pina Bausch)로 이름을 변경했다.[12][13] 조세핀 앤 엔디콧과[12][13] 메릴 탠커드는 탄츠테아터에서 바우슈와 수년간 함께 활동한 호주 안무가/무용가였다.[14][15]

Frühlingsopferde, 1975년 초연, 2009년 사진


그녀의 가장 유명한 무용극 작품으로는 무용수들이 테이블과 의자에 부딪히며 무대 주변을 휘청거리는 우울한 ''카페 뮐러''(1985)와[16] 무대를 흙으로 완전히 덮어야 했던 Frühlingsopferde (''봄의 제전'') (1975)가 있다.[16] 그녀는 작품에 대해 "작품이 관객에게 이해를 얻는지는 거의 중요하지 않다. 그것이 옳은 일이라고 믿기 때문에 해야 한다"고 말했다.[16]

Schauspielhaus Wuppertal 앞 포스터, 2008


남녀 간의 상호 작용은 그녀의 작품 전반에서 발견되는 주제이며,[17] 페드로 알모도바르가 감독한 영화 ''그녀에게''를 통해 더 많은 관객에게 다가갔다. 그녀의 작품은 종종 초현실적인 짧은 대화와 행동 단위로 구성되며, 반복은 중요한 구성 장치이다. 그녀는 "''반복은 반복이 아니다,'' ... 똑같은 행동이 결국 완전히 다른 것을 느끼게 한다"고 말했다.[17] 그녀의 대규모 멀티미디어 프로덕션은 종종 정교한 세트와 다양한 음악을 포함하는데, Vollmondde에서 무대의 절반은 거대한 바위 언덕으로 채워져 있으며, 음악은 포르투갈 음악부터 k.d. lang까지 다양하다.[17]

1983년, 그녀는 페데리코 펠리니의 영화 ''그리고 배는 항해한다''에서 라 프린치페사 레리미아 역할을 맡았다.[18] 탄츠테아터 부퍼탈 피나 바우슈는 1984년 올림픽 예술 축제의 개막 공연으로 로스앤젤레스에서 미국 데뷔를 했다. 2009년, 바우슈는 영화 감독 빔 벤더스와 3D 다큐멘터리 ''피나''를 공동 작업하기 시작했으며, 이 영화는 2011년 베를린 영화제에서 초연되었다.

독일 표현주의 무용의 영향을 짙게 이어받아, 연극적 수법을 도입한 피나 특유의 무용 예술은 연극과 댄스의 융합이라고도 불리며, 그녀 자신은 "탄츠시어터"라고 불렀다.[38] 2009년6월 30일, 암 진단을 받은 지 5일 만에 68세의 나이로 사망했다.[40]

2. 4. 말년과 죽음

피나 바우슈는 2009년 으로 사망했다.[26][27] 2009년 6월 30일 독일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 부퍼탈에서 암 진단을 받은 지 5일 만에, 그리고 오랫동안 계획되었던 빔 벤더스 다큐멘터리 촬영 시작 이틀 전에 68세의 나이로 사망했다.[40] 일본에서는 전 해(2008년) 4월 2일 시가현립 예술극장 비와코 홀에서 『풀 문』을 춘 것이 마지막 공연이었다.[41]

그녀의 작품은 1970년대 이후 현대 무용에 큰 영향을 미쳤다.[27] 데이비드 보위는 1987년 글래스 스파이더 투어의 일부를 바우슈를 염두에 두고 디자인했는데, "일종의 상징주의 연극과 현대 무용을 연결하고 싶어"했고 바우슈의 초기 작품을 지침으로 사용했다.[34] 플로렌스 앤 더 머신의 보컬리스트도 바우슈의 작품에 영향을 받았다.

2012년 6월과 7월에 런던에서 열린 문화 올림픽에서 바우슈의 작품들이 무대에 올려졌다. 이 작품들은 바우슈가 1986년부터 2009년 사이에 인도, 브라질, 팔레르모, 홍콩, 로스앤젤레스, 부다페스트, 이스탄불, 산티아고, 로마, 일본 등 10개의 세계적인 장소를 방문하고 머물도록 초청받았을 때 만들어졌다.[33]

2011년에는 그녀의 죽음으로 제작이 중단되었던 다큐멘터리 영화 『피나: 바우쉬 춤을 넘어』가 공개되었다.

3. 작품 세계

바우슈의 접근 방식은 댄스 동작의 양식화된 혼합, 두드러진 사운드 디자인, 정교한 무대 세트, 그리고 작품 개발에 도움을 주기 위해 그녀의 지휘 아래 댄서들을 참여시키는 것으로 유명했다.[27] 그녀의 작품은 유럽 및 미국의 표현주의 운동의 연장선으로 여겨지며, 많은 명백한 극적 요소들을 통합하고 종종 외상, 특히 관계에서 발생하는 외상과 관련된 주제들을 탐구했다.[8]

"무용극"(탄츠테아터)이라는 용어는 루돌프 라반의 이론에서 유래되었다. 라반은 이 문구를 무브먼트 합창단과 비교하여 사용했지만, 무용극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명시하지 않았다. 쿠르트 조스, 메리 위그만과 같은 그의 제자들이 자신들만의 무용극 이론을 더욱 발전시켰다.[9] 조스를 스승이자 멘토로 둔 바우슈의 작품은 아우스드루크탄츠의 독일 표현주의 무용 전통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그녀의 작품은 단순했으며, 고전 발레 형식을 거부했다. 일반적으로 이 춤에는 줄거리가 거의 없거나 전혀 없었고, 진행도 없었으며, 특정 지리적 장소에 대한 감각도 없었다.[10]

뉴욕에서 공부할 때, 바우슈는 마사 그레이엄, 호세 리몬, 안나 소콜로프에게서 영향을 받으려 했다. 줄리어드에서 바우슈의 스승이자 메트로폴리탄 발레 극장에서 그녀의 멘토였던 앤토니 튜더는 이러한 미국적 영향은 바우슈의 제스처와 구절 선택에서 볼 수 있다고 하였다. 예를 들어, 바우슈 작품의 특징을 정의하는 것은 '봄의 제전'에서 볼 수 있듯이 동작의 지속적인 반복이다.[9][11]

피나 바우슈 작품의 뚜렷한 특징 중 하나는 무대 디자인으로, 롤프 보르지크가 디자인했으며, 보르지크 사후에는 페터 파프스트가 이어받았다.[9] 바우슈의 무대 세트는 무대 바닥 자체를 변화시켰으며, 종종 자연의 요소를 가득 채웠다. ''봄의 제전''에서는 무대가 흙으로 덮여 있고, ''폴로몽''에서는 무대에 큰 바위가 놓여 있고 양동이에 물이 담겨 소품으로 사용되며, ''카네이션''에서는 무대가 카네이션으로 덮여 있다.[9] 무대 세트는 종종 무용수들에게 도전 과제를 제시하고, 그들의 공연의 감정적인 측면을 강화하는 장애물로 사용되었다.[9] 파프스트는 "세트는 그 자체로 인상적이어서는 안 되며, 오직 배우를 통해서만 인상적이어야 한다"고 말한다.[9] 카페 뮐러에서는 무용수들이 눈을 감고 의자와 테이블 사이를 지나가야 한다.[9] ''폴로몽''에서는 무용수들이 젖은 바닥에서 춤을 추고 바위에 올라가야 한다.[9]

피나 바우슈의 대표작은 1973년부터 그녀가 세상을 떠난 2009년까지 만들어졌다. 그녀의 작품은 개발 후반부에 제목을 선택했기 때문에 Tanzabendde(무도회)로 발표되기도 했다. 1978년부터는 전형적인 부제가 Stück von Pina Bauschde(피나 바우슈의 작품)였다.

연도제목부제번역음악비고
1973FritzdeTanzabend구스타프 말러, 볼프강 후프슈미트
1974Ich bring' dich um die EckedeSchlagerballettde내가 널 해치울게옛 슐라거 음악 이후의 댄스 음악모호한 제목
1975FrühlingsopferdeWind von West
Der zweite Frühling
Le Sacre du Printmpsde
봄의 제전스트라빈스키의 발레
1976Die sieben TodsündendeDie sieben Todsünden der Kleinbürger
Fürchtet Euch nichtde
칠죄종, 음악: 쿠르트 바일, 대본: 베르톨트 브레히트판토마임, 춤, 노래(소프라노와 남성 4중창)가 있는 발레
1978카페 뮐러de헨리 퍼셀
1978Kontakthof접촉의 안뜰1930년대의 슐라거, 외모호한 제목
1982NelkendeStück von Pina Bauschde카네이션프란츠 슈베르트, 조지 거슈윈, 소피 터커, 외1983년 뮌헨 극장 페스티벌de에서 새로운 버전
1986ViktorStück von Pina Bauschde빅토르롬바르디, 토스카나, 남부 이탈리아, 사르데냐 및 볼리비아의 민속 음악, 중세 무용 음악, 러시아 왈츠, 뉴올리언스 음악, 1930년대 무용 음악, 차이코프스키, 북스테후데, 드보르자크 및 하차투리안 등의 음악
1989Palermo Palermode팔레르모 팔레르모
2002Für die Kinder von gestern, heute und morgende과거와 현재와 미래의 아이들을 위해


  • 카페 뮐러
  • 세계 도시 시리즈
  • * 서울 - 《러프 컷》
  • 마주르카 포고
  • 봄의 제전

  • 봄의 제전』(1975년)
  • 칠죄종』(1976년)
  • 『카페 뮐러/Café Müller프랑스어』(1978년)
  • 『카네이션 (피나 바우슈)/Nelken프랑스어』(1982년)
  • 『빅토르』(1986년)
  • 『팔레르모, 팔레르모/Palermo, Palermo프랑스어』(1989년)
  • 『과거와 현재와 미래의 아이들을 위해』(2002년)

3. 1. 탄츠테아터: 연극과 무용의 융합

바우슈의 접근 방식은 댄스 동작의 양식화된 혼합, 두드러진 사운드 디자인, 정교한 무대 세트, 그리고 작품 개발에 도움을 주기 위해 그녀의 지휘 아래 댄서들을 참여시키는 것으로 유명했다.[27] 그녀의 작품은 유럽 및 미국의 표현주의 운동의 연장선으로 여겨지며, 많은 명백한 극적 요소들을 통합하고 종종 외상, 특히 관계에서 발생하는 외상과 관련된 주제들을 탐구했다.[8]

"무용극"(탄츠테아터)이라는 용어는 루돌프 라반의 이론에서 유래되었다. 라반은 이 문구를 무브먼트 합창단과 비교하여 사용했지만, 무용극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명시하지 않았다. 쿠르트 조스, 메리 위그만과 같은 그의 제자들이 자신들만의 무용극 이론을 더욱 발전시켰다.[9] 조스를 스승이자 멘토로 둔 바우슈의 작품은 아우스드루크탄츠의 독일 표현주의 무용 전통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그녀의 작품은 단순했으며, 고전 발레 형식을 거부했다. 일반적으로 이 춤에는 줄거리가 거의 없거나 전혀 없었고, 진행도 없었으며, 특정 지리적 장소에 대한 감각도 없었다.[10]

뉴욕에서 공부할 때, 바우슈는 마사 그레이엄, 호세 리몬, 안나 소콜로프에게서 영향을 받으려 했다. 줄리어드에서 바우슈의 스승이자 메트로폴리탄 발레 극장에서 그녀의 멘토였던 앤토니 튜더는 이러한 미국적 영향은 바우슈의 제스처와 구절 선택에서 볼 수 있다고 하였다. 예를 들어, 바우슈 작품의 특징을 정의하는 것은 '봄의 제전'에서 볼 수 있듯이 동작의 지속적인 반복이다.[9][11]

3. 2. 주요 작품 특징

피나 바우슈 작품의 뚜렷한 특징 중 하나는 무대 디자인으로, 롤프 보르지크가 디자인했으며, 보르지크 사후에는 페터 파프스트가 이어받았다.[9] 바우슈의 무대 세트는 무대 바닥 자체를 변화시켰으며, 종종 자연의 요소를 가득 채웠다. ''봄의 제전''에서는 무대가 흙으로 덮여 있고, ''폴로몽''에서는 무대에 큰 바위가 놓여 있고 양동이에 물이 담겨 소품으로 사용되며, ''카네이션''에서는 무대가 카네이션으로 덮여 있다.[9] 무대 세트는 종종 무용수들에게 도전 과제를 제시하고, 그들의 공연의 감정적인 측면을 강화하는 장애물로 사용되었다.[9] 파프스트는 "세트는 그 자체로 인상적이어서는 안 되며, 오직 배우를 통해서만 인상적이어야 한다"고 말한다.[9] 카페 뮐러에서는 무용수들이 눈을 감고 의자와 테이블 사이를 지나가야 한다.[9] ''폴로몽''에서는 무용수들이 젖은 바닥에서 춤을 추고 바위에 올라가야 한다.[9]

3. 3. 대표작

피나 바우슈의 대표작은 1973년부터 그녀가 세상을 떠난 2009년까지 만들어졌다. 그녀의 작품은 개발 후반부에 제목을 선택했기 때문에 Tanzabendde(무도회)로 발표되기도 했다. 1978년부터는 전형적인 부제가 Stück von Pina Bauschde(피나 바우슈의 작품)였다.

연도제목부제번역음악비고
1973FritzdeTanzabend구스타프 말러, 볼프강 후프슈미트
1974Ich bring' dich um die EckedeSchlagerballettde내가 널 해치울게옛 슐라거 음악 이후의 댄스 음악모호한 제목
1975FrühlingsopferdeWind von West
Der zweite Frühling
Le Sacre du Printmpsde
봄의 제전스트라빈스키의 발레
1976Die sieben TodsündendeDie sieben Todsünden der Kleinbürger
Fürchtet Euch nichtde
칠죄종, 음악: 쿠르트 바일, 대본: 베르톨트 브레히트판토마임, 춤, 노래(소프라노와 남성 4중창)가 있는 발레
1978카페 뮐러de헨리 퍼셀
1978Kontakthof접촉의 안뜰1930년대의 슐라거, 외모호한 제목
1982NelkendeStück von Pina Bauschde카네이션프란츠 슈베르트, 조지 거슈윈, 소피 터커, 외1983년 뮌헨 극장 페스티벌de에서 새로운 버전
1986ViktorStück von Pina Bauschde빅토르롬바르디, 토스카나, 남부 이탈리아, 사르데냐 및 볼리비아의 민속 음악, 중세 무용 음악, 러시아 왈츠, 뉴올리언스 음악, 1930년대 무용 음악, 차이코프스키, 북스테후데, 드보르자크 및 하차투리안 등의 음악
1989Palermo Palermode팔레르모 팔레르모
2002Für die Kinder von gestern, heute und morgende과거와 현재와 미래의 아이들을 위해



4. 한국과의 관계

5. 수상 경력

피나 바우슈는 영국 로렌스 올리비에 상과 일본 교토 상을 수상하는 등 많은 영예를 안았다. 1995년에는 독일 무용상(Deutscher Tanzpreis)을 수상했다.[39]

1999년에는 제7회 유럽 연극상을 수상했으며,[21] 그 수상 이유는 다음과 같다.

25년 전 부퍼탈 탄츠테아터의 연출을 맡은 이래 피나 바우슈는 고전 발레의 솔리스트로서의 훈련과 경험을 활용하여 연극, 춤, 음악, 시각 예술을 결합한 새로운 장르를 문자 그대로 발명했다. (중략) 이러한 그룹 작품에서 위대한 스승 피나 바우슈는 페데리코 펠리니의 선구적인 영화에서 맹인 공주였던 것을 결코 잊지 않으며, 배우들이 매우 다양한 개인적인 경험과 배경이 리듬의 움직임의 정확한 기하학과 결합된 역할과 의례적 유형을 가정하도록 강요한다. (중략) 그러나 시각적인 태피스트리의 종종 가슴 아픈 웅장함, 무리의 매혹적인 고양이 같고 피할 수 없는 방식으로 일렬로 전진하는 모습, 그리고 정기적이지만 교묘하게 어긋나는 움직임의 패턴 뒤에는, 이 평생의 자화상을 통해 위대한 예술가는 모든 관객에게 그들의 실존적 상태를 반영할 수 있는 아이러니하고 절망적인 거울을 제공한다.[22]


2008년에는 프랑크푸르트암마인 시가 그녀에게 권위 있는 괴테 상을 수여했다.[42] 1999년 고(故) 다카마쓰노미야 전하 기념 세계 문화상을 수상하였다.[39]

2009년에는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의 외국 명예 회원으로 선출되었다.[23]

6. 영향과 유산

피나 바우슈의 작품은 1970년대 이후 현대 무용에 큰 영향을 미쳤다.[27] 바우슈는 2009년 6월 30일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 부퍼탈에서 암으로 사망했다.[26][27] 그녀의 사망 이후, 많은 예술가들이 그녀에게 경의를 표하는 작품을 발표했다.

2010년, 레 발레 C 드 라 B(Les Ballets C de la B)는 바우슈의 친구이자 멘토였던 단체의 설립자 알랭 플라텔이 연출하고 기획한 "상황 밖으로 - 피나를 위해(Out of Context – for Pina)"를 공연했다.[29][30] 같은 해, 안무가 시디 라르비 셰르카위와 무용가 샨탈라 시발링가파는 바우슈를 기리는 "플레이(Play)"를 초연했다.[31][32] 바우슈는 2008년에 셰르카위와 시발링가파가 그녀의 축제 마지막 에디션을 위해 협업하도록 이끈 주요 동기였다. 2009년에는 안무가이자 실험 연극 제작자 디미트리스 파파이오안누는 아테네 그리스 국립 극장의 개조된 메인 무대를 기념하기 위해 "노웨어(Nowhere)"라는 작품을 만들었는데 이 쇼의 중심이자 가장 다작의 장면은 바우슈를 기리기 위해 헌정되었다.[28]

빔 벤더스의 다큐멘터리 영화 ''피나''는 2011년 말 미국에서 개봉되었으며, 그녀의 유작이다.

바우슈의 스타일은 데이비드 보위와 같은 연기자들에게 영향을 미쳤는데, 그는 1987년 글래스 스파이더 투어의 일부를 바우슈를 염두에 두고 디자인했다.[34] 플로렌스 앤 더 머신의 보컬리스트도 바우슈의 작품에 영향을 받았다고 알려져 있다. 아메리칸 호러 스토리: 코븐 시즌 3의 홍보 예고편에는 바우슈의 작품 블라우바르트/Blaubartde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있는 장면이 포함되었다.[35]

2012년 6월과 7월에 런던에서 열린 문화 올림픽의 하이라이트로 바우슈의 작품들이 무대에 올려졌다.[33] 이 작품들은 바우슈가 1986년부터 2009년 사이에 세계 여러 도시를 방문하고 머물면서 만들어졌다.

참조

[1] 서적 Tanztheater in Deutschland https://books.google[...] Propyläen Verlag 2019-04-05
[2] 서적 "Tanzen gegen die Angst": Pina Bausch https://books.google[...] Econ & List Taschenbuch Verlag 2019-04-05
[3] 서적 Harenberg, Das Buch der 1000 Frauen: Ideen, Ideale und Errungenschaften in Biografien, Bildern und Dokumenten https://books.google[...] Meyers Lexikonverlag 2019-04-05
[4] 서적 Fifty Contemporary Choreographers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9-04-05
[5] 뉴스 Pina Bausch: Dancer and choreographer whose seminal work gave an unsettling view of the human condition https://www.independ[...] The Independent 2009-07-03
[6] 서적 Equipoise:The Life and Work of Alfredo Corvino Rosen
[7] 뉴스 Obituary: Pina Bausch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09-07-01
[8] 서적 Oxford illustrated encyclopedia https://www.worldcat[...] Oxford University Press 1985-01-01
[9] 서적 The Pina Bausch Sourcebook: The Making of Tanztheater Routledge 2012-01-01
[10] 서적 The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Dance. https://www.oxfordre[...] Oxford University Press 1998-01-01
[11] 서적 Pina Bausch Routledge 2018-06-18
[12] 웹사이트 Josephine Ann Endicott https://www.pinabaus[...] 1974-04-21
[13] 웹사이트 Pina Bausch: 'All I ever wanted to do was dance' https://www.dw.com/e[...] 2016-04-03
[14] 웹사이트 Meryl Tankard https://www.pinabaus[...]
[15] 웹사이트 Meryl Tankard https://www.library.[...] 2024-11-20
[16] 뉴스 Pina Bausch, German choreographer and dancer, dies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09-06-30
[17] 웹사이트 The Air That I Breathe http://www.verinhaot[...] 1998-01-01
[18] 웹사이트 Cast overview https://www.imdb.com[...] Internet Movie Database 1983-10-07
[19] 간행물 On Pina Bausch's Legacy: an interview with Dominique Mercy https://www.proquest[...] 2018-07-01
[20] 서적 Pina Bausch- The Biography Oberon Books 2017-01-01
[21] 웹사이트 VII Edizione https://www.premioeu[...]
[22] 웹사이트 Europe Theatre Prize - VII Edition - Reasons https://archivio.pre[...]
[23] 웹사이트 Book of Members, 1780–2010: Chapter B http://www.amacad.or[...] American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24] 웹사이트 Rolf Borzik http://www.pinabausc[...]
[25] 웹사이트 What Moves Me http://www.pinabausc[...]
[26] 뉴스 Pina Bausch dies at 68; innovative German choreographer http://www.latimes.c[...] Los Angeles Times 2009-07-01
[27] 뉴스 Pina Bausch Dies http://artsbeat.blog[...] 2009-06-30
[28] 웹사이트 BeautifulSavage.com http://beautifulsava[...]
[29] 뉴스 Distorting Everyday Actions, With Movements Awkward and Active https://www.nytimes.[...] 2010-10-20
[30] 문서 OUT OF CONTEXT – FOR PINA page on the Les Ballets C de la B website
[31] 웹사이트 Eastman | Overview https://www.east-man[...]
[32] 웹사이트 Review: Cherkaoui/Shivalingappa Play https://www.culturew[...]
[33] 뉴스 Pina Bausch dance cycle to be staged as part of 2012 Cultural Olympiad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1-03-09
[34] 뉴스 Bowie Creates a Spectacle https://www.nytimes.[...] 1987-08-02
[35] 웹사이트 American Horror Story Season 3 Spoilers http://www.ibtimes.c[...] 2013-08-28
[36] 웹사이트 Fest mit Pina – Internationales Tanzfestival 2008 – Programm https://web.archive.[...] 2008-09-25
[37] 뉴스 Kontraste prägen Pina Bauschs neues Tanzstück http://www.rheinzeit[...] Rhein-Zeitung 2009-06-13
[38] 서적 建築という対話 僕はこうして家をつくる 筑摩書房
[39] 웹사이트 ピナ・バウシュ https://www.kyotopri[...] 稲盛財団 2022-10-16
[40] 뉴스 Pina Bausch, 1940-2009 http://www.guardian.[...] guardian.co.uk 2009-06-30
[41] 웹사이트 ピナ・バウシュ:2008年日本公演 http://www.pdv.co.jp[...]
[42] 뉴스 ドイツ人振付家のピナ・バウシュ、名高いゲーテ賞を受賞 https://www.afpbb.co[...] AFPBB News 2008-08-29
[43] 웹사이트 http://www.hani.co.k[...]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