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칠죄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칠죄종은 기독교에서 죄의 근원으로 여겨지는 일곱 가지의 주요 악덕을 의미하며, 4세기 에바그리우스 폰티쿠스의 저술에서 처음 언급되었다. 이후 교황 그레고리오 1세, 토마스 아퀴나스 등을 거치며 목록의 변화를 겪었고, 현대 가톨릭 교회에서는 교만, 인색, 질투, 분노, 음욕, 탐욕, 나태를 칠죄종으로 정의한다. 각 죄는 특정 악마와 연결되기도 하며, 현대 사회 문제와 관련하여 새로운 칠죄종과 간디의 7가지 사회악과 같은 개념으로 확장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칠죄종 - 질투
    자신이 가진 것을 잃을까 봐 두려워하거나 타인이 더 많은 것을 가졌다고 느낄 때 발생하는 질투는 분노, 불안, 열등감 등 복합적인 감정을 포함하며 개인의 자존감, 사회문화적 배경, 관계 맥락 속에서 다양하게 해석된다.
  • 칠죄종 - 게으름
    게으름은 심리학, 경제학, 문학, 종교, 동물 행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분석되는 복합적인 현상으로, 심리적 문제, 경제적 선택, 문학적 묘사, 종교적 의미, 동물 행동 전략 등 다양한 관점을 포괄한다.
  • 죄 - 대한민국 형법 제17조
    대한민국 형법 제17조는 죄의 요소가 되는 위험 발생과 결과 사이의 인과관계에 대한 조항으로, 학계에서는 판례의 모호성과 객관성 결여를 비판하며 법 개정 논의가 제기되고 있지만 입법 여부는 불투명하다.
  • 죄 - 회개
    회개는 여러 종교에서 죄를 뉘우치고 잘못된 길에서 돌아서는 중요한 개념으로, 윤리적 자기 변화, 죄의 속죄, 신과의 관계 회복 등 다양한 목적을 강조한다.
  • 문화에 관한 목록 - 마추 픽추
    페루 안데스 산맥에 위치한 마추픽추는 15세기 잉카 제국 시대에 건설되어 80년간 사용된 후 버려진 유적으로, 1911년 하이럼 빙엄 3세에 의해 세상에 알려진 후 "잉카의 잃어버린 도시"라 불리며 세계적인 관광 명소이자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문화에 관한 목록 - 콜로세움
    콜로세움은 플라비우스 원형 경기장이라고도 불리는 고대 로마의 원형 경기장으로, 검투사 경기와 야수 사냥을 위해 플라비우스 왕조 시대에 건설되었으며, 네로 황제의 동상인 콜로서스 근처에 위치하여 현재는 로마의 대표적인 관광 명소가 되었다.
칠죄종
개요
히에로니무스 보쉬의 7대 죄악
히에로니무스 보쉬의 7대 죄악
다른 이름칠죄종, 7대 죄악, 7가지 큰 죄
기원기독교 신학
죄악 목록교만
시기
나태
분노
탐욕
탐식
색욕
상세 내용
교만 (라틴어)Superbia (수페르비아)
시기 (라틴어)Invidia (인비디아)
나태 (라틴어)Acedia (아케디아)
분노 (라틴어)Ira (이라)
탐욕 (라틴어)Avaritia (아바리티아)
탐식 (라틴어)Gula (굴라)
색욕 (라틴어)Luxuria (룩수리아)
기독교적 관점
정의인간의 악한 본성을 드러내는 일곱 가지 주요 죄악
중요성개인의 영적 성장과 구원을 방해하는 요소로 간주됨
극복 방법기독교적 가르침과 실천을 통해 극복 가능
문화적 영향
예술다양한 예술 작품의 주제로 활용됨
문학문학 작품에서 인간 본성의 어두운 면을 묘사하는 데 사용됨
대중 문화영화, 드라마, 게임 등 다양한 매체에서 주요 소재로 등장

2. 역사

잠언 6장 16절부터 19절에는 하느님이 역겨워하는 7가지가 언급되어 있다.

# 거만한 눈

# 거짓말하는 혀

# 무고한 피를 흘리는 손

# 간악한 계획을 꾸미는 마음

# 악한 일을 하려고 서둘러 달려가는 두 발

# 거짓말을 퍼뜨리는 거짓 증인

# 형제 사이를 이간질하는 자

현대의 가톨릭교회 교리서는 요하네스 캇시아누스와 교황 그레고리오 1세 이래 전통적으로 죄의 근원으로 간주해 온 칠죄종을 언급하고 있다. 칠죄종은 다음과 같다.[67]

한국어라틴어영어[70]
교만superbialapride영어
인색avaritialagreed영어
시기(질투)invidialaenvy영어
분노iralawrath영어
음욕luxurialalust영어
탐욕gulalagluttony영어
나태pigritia seu acediala (중세에는 acediala)sloth or acedia영어



이 칠죄종의 머릿글자를 모아 SALIGIA로 줄여 사용하기도 한다.

성공회의 헨리 에드워드 매닝 대주교는 칠죄종을 영원한 죽음으로 가는 일곱 가지 길이라고 말했다.[18] 마르틴 켐니츠는 성직자들에게 신자들에게 칠죄종을 상기시키라고 당부했다.[19]

중세 단테 알리기에리신곡 연옥편에서는 연옥산의 일곱 개의 관에서 사망자가 이 죄를 씻는다고 묘사되어 있다.

2. 1. 초기 기원



칠죄종은 4세기 이집트의 수도사 에바그리우스 폰티쿠스가 제시한 8가지 "인간 일반의 생각"에서 기원한다.[3][4] 에바그리우스가 제시한 8가지는 다음과 같다.

  • Γαστριμαργία|가스트리마르기아|폭식grc
  • Πορνεία|포르네이아|매춘, 간음grc
  • Φιλαργυρία|필라르기리아|탐욕grc
  • Λύπη|리페|슬픔, 필로칼리아에서는 타인의 행운에 대한 슬픔인 ''시기''로 번역됨grc
  • Ὀργή|오르게|분노grc
  • Ἀκηδία|아케디아|나태, 필로칼리아에서는 우울로 번역됨grc
  • Κενοδοξία|케노독시아|자랑grc
  • Ὑπερηφανία|히페레파니아|교만, 때로는 ''자기 과대평가'', ''오만'', 또는 ''과대망상''으로 번역됨grc[5]


에바그리우스의 목록은 요한 카시아누스의 저작을 통해 서방 기독교에 라틴어로 번역되었으며,[6][7] 서방 전통의 영적인 경건 또는 가톨릭 신심의 일부가 되었다.[8]

  • Gula|굴라|폭식la
  • Luxuria/Fornicatio|룩수리아/포르니카티오|색욕, 간음la
  • Avaritia|아바리티아|탐욕la
  • Tristitia|트리스티티아|슬픔/절망/낙담la
  • Ira|이라|분노la
  • Acedia|아케디아|나태la
  • Vanagloria|바나글로리아|허영la
  • Superbia|수페르비아|교만, 오만la

2. 2. 발전

4세기 이집트의 수도사 에바그리우스 폰티쿠스는 여덟 가지 "인간 일반의 생각"을 제시했는데, 이것이 칠죄종의 기원이다. 이 여덟 가지 생각은 다음과 같다.[53]

에바그리우스 폰티쿠스의 여덟 가지 생각



5세기 초(420년경-430년경), 카시아누스는 이 목록을 "여덟 가지 주요 악덕"으로 라틴어 세계에 전하면서 순서를 <1>탐식, <2>음욕, <3>금전욕(강욕), <4>분노, <5>슬픔, <6>권태, <7>허영, <8>고만으로 바꾸었다.[54]

6세기 후반, 교황 그레고리오 1세는 "고만"을 모든 악의 근원으로 보아 제외하고, "허영"은 "고만"에 포함시켰다. 또 "나태(아케디아)"를 "비탄"에 포함시키고 "질투"를 추가하여 일곱 가지 주요 악덕을 <1>허영, <2>질투, <3>분노, <4>비탄, <5>강욕, <6>배의 탐식, <7>음욕으로 정리했다.[54]

13세기 토마스 아퀴나스는 저서에서 일곱 가지 "추요악"을 제시하며 그레고리오 1세가 제외했던 "나태(아케디아)"를 다시 포함시켰다. 아퀴나스의 목록은 <1>허영(inanis gloria) <2>질투(invidia) <3>권태(acedia) <4>분노(ira) <5>강욕(avaritia) <6>탐식(gula) <7>음욕(luxuria)이다.[54]

3. 가톨릭 교회의 칠죄종

가톨릭 교회 교리서는 요하네스 캇시아누스와 교황 그레고리오 1세 이래 전통적으로 죄의 근원으로 여겨져 온 칠죄종을 언급한다.[67] 칠죄종은 다음과 같다.

한국어라틴어영어[70]
교만superbialapride영어
인색avaritialagreed영어
시기(질투)invidialaenvy영어
분노iralawrath영어
음욕luxurialalust영어
탐욕gulalagluttony영어
나태pigritia seu acediala (중세에는 acediala)sloth or acedia영어



각 죄종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해당 항목을 참조하면 된다.

성공회의 헨리 에드워드 매닝 대주교에 따르면, 칠죄종은 영원한 죽음으로 가는 일곱 가지 길이다.[18]

3. 1. 각 죄종의 의미

요하네스 캇시아누스와 교황 그레고리오 1세가 제시한 칠죄종은 다음과 같다.

한국어라틴어영어
교만superbialapride영어
인색avaritialagreed영어
시기(질투)invidialaenvy영어
분노iralawrath영어
음욕luxurialalust영어
탐욕gulalagluttony영어
나태pigritia seu acedialasloth or acedia영어


  • 교만: 자신을 지나치게 높게 평가하여 타인을 무시하는 태도이다.
  • 인색: 재물에 과도하게 욕심을 내어 쌓아두기만 하는 태도이다.
  • 시기: 타인의 재능이나 행복을 부러워하며 그를 끌어내리려는 악한 감정이다.
  • 분노: 통제되지 않는 격렬한 감정으로, 복수심으로 이어질 수 있다.
  • 음욕: 억제되지 않은 강렬한 성적 욕망이다.
  • 탐욕: 음식, 재물 등 물질적인 것에 대한 과도한 욕심이다.
  • 나태: 해야 할 일을 회피하고 게으름을 피우는 태도이다.


단테 알리기에리신곡 연옥편에서는 연옥산의 일곱 고리에서 죽은 자들이 이 죄를 씻는다고 묘사된다.

3. 1. 1. 오만

히에로니무스 보쉬의 "칠죄종과 최후의 심판" 중 "오만" 세부 묘사, c. 1500


오만은 거만(고대 그리스어 ὕβρις|휘브리스grc) 또는 헛됨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거의 모든 목록에서 칠죄종 중 가장 근원적이고 최악의 죄, 가장 악마적인 죄로 여겨진다.[38] 또한 다른 주요 죄의 근원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오만은 겸손의 반대이다.[39][40]

C.S. 루이스는 그의 저서 ''순전한 기독교''에서 오만을 "반(反) 하나님" 상태, 자아와 자아가 하나님과 직접적으로 대립하는 상태라고 썼다. "음란, 분노, 탐욕, 술 취함 등은 이에 비하면 단순한 가벼운 상처일 뿐이다. 루시퍼가 악하게 된 것은 오만 때문이다. 오만은 다른 모든 악으로 이어진다. 그것은 마음의 완전한 반 하나님 상태이다."[41] 오만은 하나님으로부터 영을 단절시키고, 그분의 생명과 은혜를 주는 임재로부터 멀어지게 하는 것으로 이해된다.[18]

오만해지는 데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을 수 있다. 작가 이카보드 스펜서는 "영적 오만은 최악의 오만이며, 악마의 가장 나쁜 덫이다. 마음은 특히 이 점에 대해 속이기 쉽다."[42]라고 말한다. 조나단 에드워즈 (신학자)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오만은 마음속에서 가장 사악한 독사이며, 영혼의 평화와 그리스도와의 달콤한 교제를 가장 크게 방해하는 존재임을 기억하라. 그것은 최초의 죄였으며 루시퍼의 전체 건물 기초에 가장 깊이 자리 잡고 있으며, 가장 뿌리 뽑기 어렵고 모든 정욕 중에서 가장 숨겨져 있고 은밀하며 기만적이며, 종종 종교의 한가운데로, 때로는 겸손의 가면을 쓰고, 무감각하게 스며든다."[43]

오만의 현대적 사용은 성경 잠언 "교만은 패망의 선봉이요, 거만한 마음은 넘어짐의 앞잡이라" (약칭 "교만은 패망의 선봉") 잠언 16:18에서 요약할 수 있다. "눈을 멀게 하는 오만"은 상식에 반하는 어리석은 행동을 유발한다.[44] 정치 분석에서 "거만"은 종종 수년 동안 막대한 권력을 가진 지도자들이 점점 더 비합리적으로 자기 확신에 차고 조언을 경멸하게 되어 충동적으로 행동하게 되는 것을 묘사하는 데 사용된다.[44]

3. 1. 2. 인색(탐욕)

에블린 드 모건의 ''맘몬''의 숭배 (1909)


헨리 에드워드 매닝은 탐욕을 "한 사람을 이 세상의 수렁 속으로 깊이 빠뜨려, 그로 하여금 세상을 그의 신으로 삼게 한다"라고 표현했다.[18]

기독교 저작물 밖에서 탐욕은, 특히 물질적 부와 관련하여, 필요한 것보다 더 많이 얻거나 소유하려는 과도한 욕망으로 정의된다.[27] 토마스 아퀴나스는 탐욕이 오만과 마찬가지로 악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보았다.[28]

3. 1. 3. 질투

질투는 탐욕, 색욕과 같이 만족할 줄 모르는 욕망으로 특징지어진다. 이는 다른 사람의 특성이나 소유물에 대한 슬프거나 분개하는 탐욕으로 묘사될 수 있다. 이는 허영심에서 비롯되며[35], 사람을 이웃과 단절시킨다.[18]

토마스 아퀴나스에 따르면, 질투심에 의해 촉발된 투쟁은 세 단계를 거친다. 첫 번째 단계에서 질투심이 강한 사람은 다른 사람의 평판을 떨어뜨리려고 시도한다. 중간 단계에서 질투심이 강한 사람은 "다른 사람의 불행에 대한 기쁨"(다른 사람을 비방하는 데 성공한 경우) 또는 "다른 사람의 번영에 대한 슬픔"(실패한 경우)을 느낀다. 그리고 세 번째 단계는 "슬픔은 증오를 낳기" 때문에 증오이다.[36]

버트런드 러셀은 질투가 불행의 가장 강력한 원인 중 하나이며, 질투하는 사람에게 슬픔을 가져다주는 동시에 다른 사람에게 고통을 가하려는 충동을 준다고 말했다.[37]

3. 1. 4. 분노

분노는 통제되지 않는 분노, 격노, 심지어 증오의 감정으로 정의될 수 있다. 분노는 종종 복수를 추구하는 욕망으로 나타난다.[32]

가톨릭 교회 교리서에 따르면, 분노라는 중립적인 행위는 무고한 사람을 대상으로 하거나, 지나치게 강하거나 오래 지속되거나, 과도한 처벌을 원하는 경우 죄가 된다. "만약 분노가 타인을 죽이거나 심각하게 해치려는 의도적인 욕망에 이르면, 그것은 자선에 심각하게 반하며 치명적인 죄가 된다." 증오는 다른 사람이 불행이나 악을 겪기를 바라는 죄이며, 심각한 해를 바랄 때 치명적인 죄가 된다.[33]

사람들은 자신이나 자신이 아끼는 사람이 모욕을 당했다고 느낄 때, 분노를 일으키는 사건의 성격과 원인을 확신할 때, 다른 사람이 책임이 있다고 확신할 때, 그리고 여전히 상황에 영향을 미치거나 그것을 대처할 수 있다고 느낄 때 화를 낸다.[34]

헨리 에드워드 매닝은 "화난 사람은 자신에게 노예가 된다"고 생각한다.[18]

자크 드 랑주의 ''분노''

3. 1. 5. 음욕

색욕 또는 음탕함은 강렬한 갈망이다. 이는 일반적으로 강렬하거나 억제되지 않은 성적 욕망으로 여겨지며,[20] 간음(불륜 포함), 강간, 수간 등 죄악적인 성적 행위로 이어질 수 있다. 헨리 에드워드 매닝은 색욕의 부정이 사람을 "악마의 노예"로 변화시킨다고 설명한다.[18]

색욕은 일반적으로 가장 심각하지 않은 일곱 가지 대죄로 여겨진다.[21][22] 토마스 아퀴나스는 이것을 인간이 동물과 공유하는 능력의 남용으로 여기며, 육체의 죄는 정신적인 죄보다 덜 심각하다고 보았다.[23]

3. 1. 6. 탐욕(식탐)

알베르트 앙커의 ''정물: 과도함'' (1896)


탐욕(식탐)은 음식이나 물질적인 것에 대해 과도하게 탐닉하고 과소비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단어는 '삼키다'라는 뜻의 라틴어 gluttire|글루티레la에서 유래되었다.[24] 탐욕이 비난받는 이유 중 하나는 부유한 자들의 탐식이 가난한 자들을 배고프게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25]

토마스 아퀴나스와 같은 중세 교회 지도자들은 탐욕에 대해 더 넓은 관점을 가졌다.[25] 이들은 탐욕이 식사에 대한 강박적인 기대와 별미, 값비싼 음식에 대한 과도한 탐닉을 포함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아퀴나스는 다섯 가지 형태의 탐욕을 다음과 같이 열거했다:[26]

  • Laute|라우테la - 지나치게 비싸게 먹는 것
  • Studiose|스투디오세la - 지나치게 고상하게 먹는 것
  • Nimis|니미스la - 너무 많이 먹는 것
  • Praepropere|프라이프로페레la - 너무 빨리 먹는 것
  • Ardenter|아르덴테르la - 너무 열정적으로 먹는 것
  • Hüsnü Mirza|휘스뉘 미르자la - 제한 없이 먹는 것

3. 1. 7. 나태

나태는 고대부터 정신적, 영적, 병리적, 육체적 상태를 포함하는 여러 관련 개념을 지칭한다.[29] 나태는 무관심 또는 습관적인 노력 기피로 정의될 수 있다.[30] 토마스 아퀴나스는 그의 저서 ''신학대전''에서 나태를 "영적 선에 대한 슬픔"으로 정의했다.[28]

나태의 범위는 넓다.[29] 영적으로, ''아케디아''는 처음에는 종교인, 특히 수도자들에게 나타나는 고통을 의미했는데, 그들은 그들의 의무와 하느님에 대한 책임을 소홀히 했다. 정신적으로, ''아케디아''는 여러 가지 뚜렷한 구성 요소를 가지고 있는데, 그중 가장 중요한 것은 정서의 부재, 즉 자신이나 타인에 대한 어떤 감정도 없는 상태로, 지루함, 원한, 무관심, 수동적이고 둔한 정신 상태를 유발한다. 육체적으로, ''아케디아''는 기본적으로 움직임의 중단과 일에 대한 무관심과 관련이 있으며, 게으름, 나태, 무기력으로 표현된다.[29]

나태는 성령이 부여한 지혜, 이해, 훈시, 지식, 경건, 용기, 주를 경외함의 일곱 가지 은사를 활용하지 않는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무시는 영원한 생명으로 향하는 영적 진보를 늦추고, 자선의 다양한 의무를 이웃에게 소홀히 하며, 하느님을 사랑하는 사람들에 대한 적대감을 초래할 수 있다.[18]

다른 일곱 가지 대죄가 부도덕한 행위를 저지르는 죄인 것과 달리, 나태는 책임을 소홀히 하는 죄이다. 나태는 다른 어떤 주요 악덕으로부터도 발생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아들은 분노로 인해 아버지에 대한 의무를 소홀히 할 수 있다. 나태의 상태와 습관은 치명적인 죄이며, 나태의 마지막 치명적인 상태로 향하는 영혼의 습관은 특정한 상황을 제외하고는 그 자체로 치명적인 죄가 아니다.[18]

감정적으로나 인지적으로, ''아케디아''의 악은 세상, 세상 사람들, 또는 자아에 대한 어떤 감정의 부재로 표현된다. ''아케디아''는 감각적 자아가 먼저 세상으로부터, 그리고 자신으로부터 소외되는 형태로 나타난다. 이러한 상태의 가장 심오한 형태는 타인이나 자신에 대한 모든 형태의 참여나 배려로부터의 철수에서 발견되지만, 더 작지만 더 불쾌한 요소도 신학자들에 의해 언급되었다. 그레고리오 1세는 "''슬픔''에서 악의, 원한, 비겁함, [그리고] 절망이 발생한다"고 주장했다. 제프리 초서 또한 이 ''아케디아''의 속성을 다루며, 이 죄의 특징으로 절망, 졸음, 나태, 지연, 부주의, 게으름, 그리고 "짜증"으로 번역되는 ''wrawnesse''를 꼽았다. 초서에게 인간의 죄는 쇠약해지고 뒤로 물러서는 것으로, 좋은 일을 하려는 환경이 너무 고통스럽고 견디기 어렵다고 스스로에게 말하며 좋은 일을 하기를 거부하는 것이다. 초서의 관점에서 ''아케디아''는 따라서 모든 일의 원천과 동기에 대한 적이다.[31]

나태는 몸의 생계를 파괴하고, 매일의 식량을 돌보지 않으며, 마음을 늦추고, 중요한 문제에 대한 주의를 멈추게 한다. 나태는 인간을 의로운 행위에서 방해하며, 따라서 인간의 파멸의 끔찍한 원천이 된다.[31]

4. 악마와의 연계

1589년, 독일의 페터 빈스페르트는 죄와 악마의 관계를 저술하여 칠죄종을 특정 악마와 연결 지었다. 칠죄종과 악마의 연관은 크리스트교의 본질적인 부분과는 관계가 없지만, 통속적인 그리모워르에서 인용되었다.

16세기 판화가 한스 부루크마이어는 칠죄종과 악마의 관계를 최초로 표현하였다. 악마들은 각각 자신의 이름이 적힌 리본을 들고 있었고, 중세에는 악마 대신 동물의 모습으로 나타내기도 했다. 예를 들어 오만은 사자공작, 질투는 , 나태는 , 탐욕은 여우, 식욕은 돼지, 색욕은 전갈 등으로 표현되었다.[59]

4. 1. 각 죄종과 연결된 악마

1589년, 독일의 페터 빈스페르트는 죄와 악마의 관계를 적은 저작을 저술했는데, 그 중 칠죄종을 특정 악마와 관련지었다. 이러한 칠죄종과 악마의 연관은 크리스트교의 본질적인 부분과 무관하지만, 통속적인 그리모워르에서 인용되었다.

칠죄종과 그에 비견하는 악마
대죄대응 악마
오만루시퍼
탐욕마몬
질투레비아탄
분노사탄
음욕아스모데우스
식욕베엘제붑
나태벨페고르



16세기 판화가 한스 부루크마이어는 칠죄종과 악마의 관계를 최초로 표현했다. 악마들은 각각 자신의 이름이 적힌 리본을 들고 있었고, 중세에는 악마 대신 동물의 모습으로 나타내기도 했다.[59]

칠죄종과 그에 비견하는 악마와 동물
대죄대응 악마동물
오만루시퍼사자, 공작[59]
식욕베엘제붑돼지[59]
질투레비아탄[59]
분노사탄
색욕아스모데우스전갈[59]
탐욕마몬여우[59]
나태벨페고르[59]


5. 현대 사회에서의 칠죄종

2008년 로마 교황청은 현대 사회의 문제점을 반영하여, 기존의 개인주의적인 칠죄종과는 다른, 사회적인 죄악을 포함하는 새로운 칠죄종을 발표했다[62]마하트마 간디 또한 1925년에 "일곱 가지 사회악"을 제시하며 현대 사회의 문제점을 지적한 바 있다[64]

5. 1. 새로운 칠죄종

2008년 로마 교황청은 기존의 7가지 대죄가 개인주의적인 측면이 있다고 보고, 새로운 7가지 대죄를 발표했다[62]

  • 유전자 조작
  • 인체 실험
  • 환경 오염
  • 사회적 불공정
  • 빈곤 유발
  • 과도한 부의 축적
  • 마약 중독


이는 배아 줄기 세포 연구 등에 대한 견제로 해석된다[63]

5. 2. 간디의 7가지 사회악

마하트마 간디1925년 10월 22일 잡지 Young India|영 인디아영어에서 "일곱 가지 사회악"(Seven Social Sins)을 다음과 같이 지적했다.[64]

  • 원칙 없는 정치 (Politics without Principle)
  • 노동 없는 부 (Wealth without Work)
  • 양심 없는 쾌락 (Pleasure without Conscience)
  • 인격 없는 학식 (Knowledge without Character)
  • 도덕 없는 상업 (Commerce without Morality)
  • 인간성 없는 과학 (Science without Humanity)
  • 헌신 없는 신앙 (Worship without Sacrifice)


"일곱 가지 사회악"은 인도 라지 가트에 있는 간디의 위령비 외벽에도 새겨져 있다.

6. 한국 사회와 칠죄종

이전의 출력 결과가 없으므로, 주어진 지시사항에 따라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따라서 아무것도 출력할 수 없습니다.

참조

[1] 서적 The Virtues and Vices in the Arts: A Sourcebook Cascade
[2] 웹사이트 The Seven Deadly Sins https://www.catholic[...] 2023-09-30
[3] 문서 Evagrio Pontico, ''Gli Otto Spiriti Malvagi'', trans., Felice Comello, Pratiche Editrice, Parma, 1990, p.11-12.
[4] 서적 The Greek Ascetic Corpus Oxford University Press 2006-06-22
[5] 문서 In the translation of the ''[[Philokalia]]'' by Palmer, Ware and Sherrard. https://archive.org/[...]
[6] 웹사이트 NPNF-211. Sulpitius Severus, Vincent of Lerins, John Cassian – Christian Classics Ethereal Library http://www.ccel.org/[...]
[7] 서적 The Institutes Newman Press of the Paulist Press 2000-01-03
[8] 문서 Refoule, F. (1967) "Evagrius Ponticus," In ''New Catholic Encyclopaedia,'' Vol. 5, pp. 644f, Staff of Catholic University of America, Eds., New York: McGraw-Hill.
[9] 문서 "For pride is the root of all evil, of which it is said, as Scripture bears witness; Pride is the beginning of all sin. [Ecclus. 10, 1] But seven principal vices, as its first progeny, spring doubtless from this poisonous root, namely, vain glory, envy, anger, melancholy, avarice, gluttony, lust." '''Gregory the Great, Moralia in Iob, book XXXI''' http://www.lectionar[...]
[10] 서적 Gregory the Great: Moral Reflections on the Book of Job, Volume 1 Cistercian Publications 2014-11-18
[11] 서적 The Virtues and Vices in the Arts: A Sourcebook Cascade Books, an Imprint of Wipf and Stock Publishers 2015-02-24
[12] 웹사이트 Traditional Jewish source for the "Seven Deadly Sins" - the Seforim Blog https://seforimblog.[...]
[13] 웹사이트 SUMMA THEOLOGICA: The cause of sin, in respect of one sin being the cause of another Prima Secundae Partis, Q. 84; I-II,84,3) http://www.newadvent[...] 2015-12-04
[14] 서적 An Episcopal Dictionary of the Church: A User-Friendly Reference for Episcopalians Church Publishing, Inc. 2000-01-01
[15] 웹사이트 Mighty Menacin' Midianites http://www.lutheranh[...] The Lutheran Hour 2017-03-26
[16] 웹사이트 What Would a United Methodist Jesus Do? https://ucmpage.org/[...] UCM 2017-03-26
[17] 서적 The American Lutheran, Volumes 39–40 https://books.google[...] American Lutheran Publicity Bureau
[18] 서적 Sin and Its consequences
[19] 서적 Ministry, Word, and Sacraments: An Enchiridion; The Lord's Supper; The Lord's Prayer Concordia Publishing House 2007
[20] 웹사이트 Definition of LUST http://www.merriam-w[...] 2016-05-04
[21] 문서 Dorothy L. Sayers, ''Purgatory'', Introduction, pp. 65–67 (Penguin, 1955).
[22] 서적 William Blake's Illustrations for Dante's Divine Comedy: A Study of the Engravings, Pencil Sketches and Watercolors https://books.google[...] McFarland 2014-12-31
[23] 서적 Summa Theologica, Volume 4 (Part III, First Section) https://books.google[...] Cosimo 2013-01-01
[24] 웹사이트 Latin Definition for: gluttio, gluttire, -, – (ID: 21567) – Latin Dictionary and Grammar Resources – Latdict https://latin-dictio[...] 2022-10-10
[25] 문서 Okholm, Dennis. "Rx for Gluttony". ''[[Christianity Today]]'', Vol. 44, No. 10, 11 September 2000, p.62 http://www.ctlibrary[...]
[26] 백과사전 Gluttony http://www.newadvent[...]
[27] 백과사전 greed http://www.thefreedi[...] Houghton Mifflin Harcourt 2019-02-04
[28] 서적 Summa Theologica (All Complete & Unabridged 3 Parts + Supplement & Appendix + interactive links and annotations) https://books.google[...] e-artnow 2013-08-20
[29] 서적 The Seven Deadly Sins: Society and Evil Rowman & Littlefield
[30] 웹사이트 the definition of sloth http://www.dictionar[...] 2016-05-03
[31] 서적 The Seven Deadly Sins: Society and Evil
[32] 서적 The Seven deadly Sins: A companion Lulu.com 2010-10-30
[33] 문서 CCC
[34] 문서 International Handbook of Anger. p. 290
[35] 서적 Summa Theologica, Volume 3 (Part II, Second Section) https://books.google[...] Cosimo, Inc. 2013-01-01
[36] 웹사이트 Summa Theologica: Treatise on The Theological Virtues (QQ[1] – 46): Question. 36 – Of Envy (four articles) http://www.sacred-te[...] Sacred-texts.com 2010-01-02
[37] 서적 The Conquest of Happiness https://archive.org/[...] H. Liverwright
[38] 서적 The Ladder of Divine Ascent, Translation by Colm Luibheid and Norman Russell
[39] 웹사이트 Humility vs Pride And Why The Difference Should Matter To You {{!}} Jeremie Kubicek https://jeremiekubic[...] 2018-03-02
[40] 서적 Values, Violence and Our Future https://books.google[...] Rodopi 2000
[41] 서적 Mere Christianity
[42] 서적 Dictionary of Burning Words of Brilliant Writers
[43] 서적 To Deborah Hatheway, Letters and Personal Writings (Works of Jonathan Edwards Online Vol. 16)
[44] 간행물 The 1920 Farrow's Bank Failure: A Case of Managerial Hubris https://www.academia[...] Durham University 2014-10-01
[45] 문서 Henry George Liddell and Robert Scott. A Greek-English Lexicon. Revised by Sir Henry Stuart Jones and Roderick McKenzie. Oxford: Clarendon Press, 1940.
[46] 간행물 From Gent to Gentil: Jed Tewksbury and the Function of Literary Allusion in A Place to Come To https://digitalcommo[...] 2002
[47] 문서 CCC
[48] 뉴스 Before Sloth Meant Laziness, It Was the Spiritual Sin of Acedia https://www.atlasobs[...] 2017-11-27
[49] 문서 Oxford English dictionary
[50] 뉴스 Two sexes 'sin in different ways' http://news.bbc.co.u[...] 2010-07-24
[51] 웹사이트 True Confessions: Men And Women Sin Differently https://www.npr.org/[...] NPR 2010-07-24
[52] 문서 『カトリック教会のカテキズム 要約(コンペンディウム)』207頁 カトリック中央協議会 ISBN 978-4877501532
[53] 문서 『中世思想原典集成3 後期ギリシャ教父・ビザンティン思想』p.38
[54] 문서 倦怠と悲しみ-トマス・アクィナスのacediaについて http://jsmp.jpn.org/[...] 松根伸治 2018-10-10
[55] 문서 『カトリック教会のカテキズム』 #1866(日本語版556 - 557頁) カトリック中央協議会 ISBN 978-4877501013
[56] 문서 #1866(『カトリック教会のカテキズム』ラテン語規範版) 로마교황청公式サイト http://www.vatican.v[...] 로마교황청
[57] 문서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_Article 8 SIN_V. The Proliferation of Sin http://www.vatican.v[...] 로마교황청公式サイト
[58] 문서 七つの大罪において、その元の言葉はいくつかの日本語に翻訳することができるが、その一例としてenvyが挙げられる。envyは「羨望、嫉妬、羨み、妬み」等と翻訳することができる。それらは心理学領域では[[嫉妬]](jealousy)と羨望(envy)という近似した、しかし異なる感情として議論されることがあるが、七つの大罪(七つの罪源)における元々の言葉はenvy(ラテン語のinvidia)一つであり、そうした議論とは無縁である点に注意が必要である。
[59] 서적 悪魔の辞典 青土社 1992-06-30
[60] 문서 傲慢はベリアルとする説がある
[61] 문서 怠惰はアスタロスとする説がある
[62] 뉴스 バチカンが新しい「7つの大罪」を発表、リサイクルしない者は地獄行きに https://gigazine.net[...] Gigazine 2008-03-11
[63] 웹사이트 Recycle or go to Hell, warns Vatican http://www.telegraph[...] 2014-10-30
[64] 웹사이트 ガンジーの言う「九つの社会的罪(Nine Social Sins)」とは? https://gigazine.net[...] 2014-02-02
[65] 문서 가톨릭교회 교리서 1856항.
[66] 문서 가톨릭교회 교리서 1866항.
[67] 문서 「가톨릭교회 교리서」#1866(한국어판 694페이지) 카톨릭 중앙 협의회
[68] 문서 '#1866 (「가톨릭교회 교리서」라틴어 규범판) 로마 교황청 공식 사이트' http://www.vatican.v[...] 로마 교황청
[69] 웹인용 GoodNews 가톨릭정보 http://maria.catholi[...] 2019-05-23
[70] 문서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_Article 8 SIN_V. The Proliferation of Sin http://www.vatican.v[...] 로마 교황청 공식 사이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