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피아트 M13/40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피아트 M13/40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이탈리아에서 개발되어 사용된 중형전차이다. 1940년 가을부터 생산되어 북아프리카와 그리스 전역에서 운용되었으며, 디젤 엔진을 탑재하고 47mm 주포를 장착했다. 그러나 얇은 장갑, 낮은 속도, 2인용 포탑 등의 기술적 문제와 훈련 부족으로 인해 연합군 전차에 비해 성능이 떨어졌다. M13/40은 M14/41, M15/42 등 파생형을 낳았으며, 자주포로도 활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피아트 기갑 차량 - 피아트 M14/41
    피아트 M14/41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이탈리아군이 사용한 중형전차로, M13/40 전차의 개선 버전이며 디젤 엔진을 탑재했지만 신뢰성 문제와 화재에 취약했고, 약 800대가 생산되어 북아프리카 전역에 투입되었으며, 노획된 차량은 연합군에 의해 사용되기도 했고, 세모벤테 da 90/53 구축전차의 기반이 되었다.
  • 피아트 기갑 차량 - 피아트 M11/39
    피아트 M11/39는 제2차 세계 대전 초 이탈리아 육군이 운용한 중형 전차로, 돌파 전차로서 개발되었으나 고정된 주포 배치와 리벳 접합식 장갑 등의 결함으로 제한적인 성능을 보이며 M13/40 전차로 대체되었다.
  • 제2차 세계 대전의 이탈리아 전차 - 피아트 M14/41
    피아트 M14/41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이탈리아군이 사용한 중형전차로, M13/40 전차의 개선 버전이며 디젤 엔진을 탑재했지만 신뢰성 문제와 화재에 취약했고, 약 800대가 생산되어 북아프리카 전역에 투입되었으며, 노획된 차량은 연합군에 의해 사용되기도 했고, 세모벤테 da 90/53 구축전차의 기반이 되었다.
  • 제2차 세계 대전의 이탈리아 전차 - 피아트 M11/39
    피아트 M11/39는 제2차 세계 대전 초 이탈리아 육군이 운용한 중형 전차로, 돌파 전차로서 개발되었으나 고정된 주포 배치와 리벳 접합식 장갑 등의 결함으로 제한적인 성능을 보이며 M13/40 전차로 대체되었다.
  • 경전차 - 피아트 M14/41
    피아트 M14/41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이탈리아군이 사용한 중형전차로, M13/40 전차의 개선 버전이며 디젤 엔진을 탑재했지만 신뢰성 문제와 화재에 취약했고, 약 800대가 생산되어 북아프리카 전역에 투입되었으며, 노획된 차량은 연합군에 의해 사용되기도 했고, 세모벤테 da 90/53 구축전차의 기반이 되었다.
  • 경전차 - 피아트 M11/39
    피아트 M11/39는 제2차 세계 대전 초 이탈리아 육군이 운용한 중형 전차로, 돌파 전차로서 개발되었으나 고정된 주포 배치와 리벳 접합식 장갑 등의 결함으로 제한적인 성능을 보이며 M13/40 전차로 대체되었다.
피아트 M13/40
기본 정보
엘 알라메인 전쟁 박물관에 있는 M13/40
엘 알라메인 전쟁 박물관에 있는 M13/40
유형중형전차
원산지이탈리아 왕국
사용 국가이탈리아 왕국
나치 독일
오스트레일리아
영국
이집트 왕국
참전제2차 세계 대전
1948년 아랍-이스라엘 전쟁
생산 정보
설계일1939년 10월 26일
제조사안살도
생산 기간1940년 7월 ~ 1941년 후반
생산 수량740대
파생형M14/41
M15/42
제원
승무원4명 (지휘관, 무전병, 포수, 운전병)
장갑
무장
주무장1 x 47 mm 47/32 대전차포 (104발)
부무장4 x 8 mm 브레다 mod. 38 기관총 (동축 1정, 대공 1정, 차체 2정) (2,808발)
기동 정보
엔진SPA 8 T M40 11,140 cc V8 디젤 엔진
현가 장치반타원형 판 스프링
속도(도로)

2. 기술

M13/40은 강철 판금을 리벳으로 고정해 제작되었으며, 1940년대 기준으로 장갑은 얇은 편이었다. 차체 전면 장갑은 30mm, 포탑 전면은 42mm, 측면은 25mm였고, 차체 하부는 6mm로 대전차지뢰 공격에 취약했다. 차체 상부 역시 15mm로 얇았다. 승무원은 전방 전투조종실에 4명이 탑승했다. 운전병, 기관총 사수 겸 무선수, 포탑부에 포수 및 차장이 탑승했으며, 포탑은 2인승이었다.

초기형 M13/40은 북아프리카 전선에서 엔진 고장이 자주 발생했는데, 이는 사막용 방진 필터가 장착되지 않은 차량이 많았기 때문이다. 또한 포탑에 환기 장치가 없어 전투 중에는 해치를 열어야 했다. 이후 엔진 출력을 145hp로 강화한 M14/41이 등장했다.

M13/40은 1941년까지는 일선에서 운용할 만한 수준이었으나, 이후 점차 성능의 우위를 잃게 되었다. M13/40 단독으로는 800대 정도가 생산되었지만, 차대는 자주포에도 사용되어 총 2,000대에 가깝게 생산되었다.

2. 1. 구동 방식

M13/40은 8개의 작은 바퀴와 리프-스프링 방식의 서스펜션을 채용했으며, 궤도는 매우 좁았다. 이 시스템은 산악 지형에서 괜찮은 기동성을 발휘할 것으로 생각되었지만, 실제 전차 작전 지역인 북아프리카 사막 지대에서는 기동성이 불만스러웠으며, 적당한 최고 속도를 내는 것도 힘들었다.[7] 변속기는 전방에, 엔진은 차체 후방에 있었고, 125hp의 디젤 엔진으로 구동되었다. M13/40에 채택된 디젤 엔진은 아직 많은 국가에서 도입되지 않은 주목할 만한 기술혁신품이었다. 디젤 엔진은 훗날 전차같은 군용 차량에 저비용, 더 긴 항속거리, 화재 위험성을 감소시켜주었다.[7] 비커스(Vickers)사에서 파생된 주행 장치는 각 측면에 소형 바퀴 8쌍이 있는 2개의 보기 트럭을 사용했으며, 판 스프링 서스펜션을 사용했다. 궤도는 기존의 골격 강철판 링크였으며 비교적 좁았다.

2. 2. 무장

M13/40의 주무장은 47/32 M35 전차포였다. 이 포는 500m 거리에서 45mm 두께의 강철판을 관통할 수 있었는데, 1940년대 전차포로는 준수한 성능이었다.[7] 고성능 폭약(high-explosive) 포탄은 상당히 효과적이었으며, 104발의 포탄을 탑재했다.[7]

기관총은 모두 4정을 갖추었다. 주포와 동축 기관총 1정, 대공 및 근접 방어용 1정, 차체 전면에 2정이 배치되었다. 포수와 차장을 위해 2개의 잠망경이 있었고, 무전기도 표준 장비였다.

3. 운용

M13/40은 1940년 가을부터 1943년까지 이탈리아 왕국의 주력 전차로 활약했다. 1940년 가을 이전에 700대 이상이 납품되었으며, 매월 60~70대씩 생산되었다.[4]

주로 1940년과 1941년 그리스 전역북아프리카 전역에서 영국군에 맞서 싸웠으나, 여러 기술적 문제와 전술적 한계로 인해 고전을 면치 못했다. 동부 전선에는 투입되지 않았다.[4]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이탈리아군은 M13/40의 화력 부족을 보완하기 위해 세모벤테 75/18 자주포를 함께 운용했다.

1948년 아랍-이스라엘 전쟁 당시, 이집트군이 노획한 M13/40 몇 대가 네그바 전투에 투입되기도 했다.[5]

3. 1. 북아프리카 전역

M13/40은 1940년 가을 이전에 700대 이상 생산되어 매월 60~70대가량 생산되는 비율로 북아프리카에 보내져 영국군과 싸웠다.[4] 첫 전투는 바비니 여단(Babini Brigade)에 의해 치러졌는데, 이들은 9월 공세에는 늦게 도착했지만 12월 콤파스 작전(Operation Compass)에는 참전할 준비가 되었다.[4] 데르나(Derna)에서 첫 전투가 벌어졌고, 바르디아(Bardia)에도 M13/40 13대가 배치되었다.[4] 1941년 1월 3일 ~ 4일 사이 벌어진 전투에서 오스트레일리아군은 456명, 이탈리아군은 45,000여 명의 피해를 보았다.[4]

1941년 2월 6일 ~ 7일, 바비니 여단은 이탈리아군이 리비아 해안을 따라 철수할 수 있도록 영국군 전선에 돌파구를 열기 위해 싸웠으나 실패했고, 모든 전차가 노획되었다. 여단의 마지막 6대는 영국군 진영으로 돌격했지만 2파운더 대전차포 1문에 의해 저지되었다.[2] 노획된 M13/40은 디젤 연료가 고갈될 때까지 오스트레일리아군에 의해 재활용되었다.[4]

당시 이탈리아군은 병력 130,000여 명, 10개 사단, 항공기 400여 대, 전차 500여 대(M11 72대와 M13 113대 포함), 화포 1,000여 문 및 차량 1,500여 대를 잃는 큰 피해를 입었다.

M13/40은 무게가 13톤에 불과했지만, 강력한 화포와 많은 탄약(기관총탄 3,000발과 포탄 104발)을 갖추고 있었다.[8] 그러나 엔진 신뢰성 문제, 느린 속도, 리벳 결합 방식의 장갑, 2인용 포탑, 지휘관용 큐폴라 부재 등 여러 결점을 안고 있었다.

이탈리아군은 훈련 부족과 잦은 고장으로 무전기가 사실상 없는 것과 마찬가지였고, 3개 기갑사단(아리에테, 리토리오, 켄타우로)은 1941년 봄까지 이탈리아에 있었다.

M13은 산악 지형에 최적화되었지만, 북아프리카와 다른 지형인 그리스에도 투입되었다. 1941년 4월 아리에테 기갑사단 소속 M13이 토브룩 공방전에서 영국군 마틸다 전차를 상대로 약간의 성공을 거두기도 했다.[4]

M13/40의 옆모습


비르엘고비 전투에서 이탈리아군은 포병과 보병의 지원, 영국군의 오판, 폭우로 인한 영국군 순항전차의 기동성 저하 등의 요인으로 승리했다.[4]

크루세이더 순항전차는 M13을 격파했지만, 무장과 장갑이 약했고 속도만 빨랐다.

1942년 M13은 M14/41로 교체되었다.

에르빈 롬멜의 공세에서 이탈리아군은 약 240대의 M13 및 M14를 배치했지만, 영국군의 M3 그랜트와 크루세이더III에 압도당했다. M13은 모래주머니를 부착했지만, 속도가 더욱 느려졌다.

엘 알라메인 전투 당시 이탈리아군은 230여 대의 M13을 배치했지만, M4 셔먼에 의해 가치가 위축되었다. 아리에테와 리토리오 사단은 추축군의 후퇴를 엄호했고, 첸타우로 사단은 튀니지에서 전멸했다.[4]

M13은 북아프리카 전역 마지막까지 등장했으며 이탈리아 본토에서도 운용되었다. M13은 동부 전선에는 보내지지 않았다.

중전차(mediaum tank)로 설계되었지만 M13/40은 경전차 수준의 화력과 방어력을 갖추었다. M13/40은 1941년 그리스 전역과 북아프리카 전역에서 운용되었지만, 동부 전선에서는 사용되지 않았다.[4] 이탈리아군은 M13/40 시리즈의 화력 부족을 절감하고 전차대대에 세모벤테 75/18을 같이 배치하여 운용했다.

피아트 M14/41은 북아프리카에서 운용하기 위해 더 강력한 공기 정화 장치를 장착한 것이다. 세모벤테 코만도 M40(Semovente Commando M40)은 포탑을 제거하고 상부 구조물을 올려놓은 M13/40으로서, 추가 무전기와 통신기기를 탑재했다. M13/40 시리즈는 이탈리아가 전쟁 기간 중 가장 많이 생산한 전차였다. 피아트 M15/42 전차는 1943년에 엔진을 교체하고 47mm / 40구경장 전차포를 탑재한 마지막 개량형이다. 세모벤테 75/18(Semovente 75/18)은 M13/40이나 M14/41의 차체를 이용하여 개발된 자주포다.

이탈리아 M13/40 전차가 트리폴리 거리에 있는 모습, 1941년 3월


M13/40 전차가 사막을 건너 진격하고 있다, 1941년 4월

3. 2. 그리스 전역

M13은 1941년 4월, 어려운 지형인 그리스에서 전투를 치렀다. 제132 장갑 사단 '아리에테'의 M13은 토브룩 포위전에 참여했지만, 영국 마틸다 II 전차를 상대로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4] 그러나 '아리에테' 사단은 비르 엘 구비 전투에서 M13을 활용하여 영국 제22 장갑 여단의 크루세이더 전차를 상대로 더 큰 성공을 거두었다.[4]

3. 3. 기타

M13/40은 서류상으로는 13톤의 무게에, 괜찮은 성능의 화포와 많은 탄약(기관총탄 3,000발과 포탄 104발)을 갖춰 상당히 뛰어난 전차였다.[8] 그러나 엔진 신뢰성 문제, 느린 속도, 리벳 결합 방식의 얇은 장갑, 2인용 포탑과 지휘관용 큐폴라 부재 등 많은 결점을 가지고 있었다. 영국군의 순항 전차와 보병전차에 비해 전반적으로 성능이 떨어졌다.

이탈리아군은 훈련 부족과 잦은 고장으로 무전기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했고, 기갑사단 편성도 늦어졌다. M13은 산악 지형에 최적화되었지만, 북아프리카와 다른 지형인 그리스에도 투입되었다. 1941년 4월 토브룩 공방전에서 아리에테 기갑사단 소속 M13이 영국군의 마틸다 전차를 상대로 약간의 성공을 거두기도 했다. 비르엘고비 전투에서는 이탈리아군이 강력한 영국군 부대에 승리하기도 했지만, 이는 이탈리아군의 포병과 보병 지원, 영국군의 정보 부족, 폭우로 인한 영국군 전차의 기동성 제한 등 복합적인 요인 덕분이었다.

1942년 M13은 M14/41로 교체되기 시작했다. 에르빈 롬멜의 공세에서 이탈리아군은 약 240대의 M13 및 M14를 배치했지만, 영국군의 M3 그랜트와 크루세이더III에 비해 성능이 부족했다. 엘 알라메인 전투 당시 이탈리아군은 230여 대의 M13을 최전선에 배치했지만, 연합군의 공세에 큰 피해를 입었다.

M13은 북아프리카 전역 마지막까지 등장했으며 이탈리아 본토에서도 운용되었다. 그러나 동부 전선에는 투입되지 않았다. 중전차로 설계되었지만, 실제로는 경전차 수준의 화력과 방어력을 갖추었다. 이탈리아군은 M13/40 시리즈의 화력 부족을 인지하고 전차대대에 세모벤테 75/18을 함께 배치하여 운용했다.

M13/40 시리즈는 후기 개량형을 포함하여 3,000대 이상 생산되어 이탈리아가 전쟁 기간 중 가장 많이 생산한 전차가 되었다. 피아트 M15/42는 1943년에 엔진을 교체하고 47mm / 40구경장 전차포를 탑재한 마지막 개량형이다. 세모벤테 75/18은 M13/40이나 M14/41의 차체를 이용하여 개발된 자주포다.

M13/40은 1940년과 1941년 그리스 전역북아프리카 전역에서 사용되었다.[4] 1942년부터 이탈리아군은 M13/40 시리즈의 화력 약점을 인식하고, 장갑 부대에서 전차와 함께 세모벤테 75/18 자주포를 사용했다.

1948년 아랍-이스라엘 전쟁 동안, 북아프리카에 버려진 두세 대의 M13/40이 이집트군에 편입되어 네그바 전투에서 사용되었으며, 그 중 한 대는 격파되어 이스라엘군에 의해 노획되었다. 전쟁 후 몇 년 동안, 이 전차는 네그바 키부츠에 전투 기념물로 남아 있었다.[5]

4. 문제점 및 한계

M13/40은 초기 중전차와 경전차의 전형적인 설계를 따랐지만, 1940년대 기준으로 장갑이 얇았다. 차체 전면 장갑은 30mm, 포탑 전면은 42mm, 측면은 25mm였고, 하부는 6mm로 지뢰에 취약했다. 차체 상부도 15mm로 얇았다. 승무원은 4명으로 전방 전투조종실에 배치되었고, 엔진은 후방에 있었다. 포탑은 2인승이었다.

M13/40은 8개의 작은 바퀴와 리프-스프링 방식의 서스펜션을 채용했으며, 궤도는 좁았다. 이 시스템은 산악 지형에서 좋은 기동성을 발휘할 것으로 예상되었지만, 실제 전차 작전 지역인 북아프리카 사막 지대에서는 기동성이 불만족스러웠고, 최고 속도도 느렸다. 엔진은 125마력 디젤 엔진이었는데, 이는 주목할 만한 기술 혁신이었다. 디젤 엔진은 저비용, 긴 항속거리, 화재 위험 감소 등의 장점을 제공했다.[7]

무장은 47mm 47/32 M35 전차포로, 500m 거리에서 45mm 강철판을 뚫을 수 있었다. 104발의 포탄을 탑재했으며, 고성능 폭약 포탄은 효과적이었다. 예비 탄약도 많이 탑재했다. 기관총은 4정을 갖추었고, 동축 기관총 1정과 대공 및 근접 방어용 1정, 차체 전면에 2정이 배치되었다. 포수와 차장을 위한 잠망경 2개와 무전기가 표준 장비였다.

700대 이상의 M13/40이 1940년 가을 이전에 납품되어 북아프리카로 보내졌다. 콤파스 작전에서 첫 전투를 치렀으며, 데르나와 바르디아에서 오스트레일리아군과 교전했다. 1941년 1월 3일 ~ 4일 전투에서 오스트레일리아군은 456명, 이탈리아군은 45,000여 명의 손실을 보았다. 2월 6일 ~ 7일, 바비니 여단은 영국군 전선 돌파를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전차를 모두 노획당했다. 노획된 M13/40은 오스트레일리아군이 재활용하기도 했다.

이탈리아군은 벵가지와 바르디아에서 130,000여 명의 병력, 10개 사단, 항공기 400여 대, 전차 500여 대, 화포 1,000여 문, 차량 1,500여 대를 잃었다.

M13/40은 무게 13톤에 47mm 포와 많은 탄약을 갖추었지만, 엔진 신뢰성 문제가 있었고, M13/40이 더 무거워 엔진에 부담이 컸다. 서스펜션과 궤도는 신뢰할 만했지만 속도는 느렸다. 무장은 중전차와 싸우기에 부족했고, 장갑 품질은 리벳 결합과 구조적 결함으로 만족스럽지 못했다. 포탑은 2인승이었고 지휘관용 큐폴라가 없었다. 영국 순항 전차와 보병전차에 비해 성능이 떨어졌다.

이탈리아군은 훈련 부족, 무전기 고장, 부대 편성 문제 등을 겪었다. 기갑사단은 그리스군과 싸우기 위해 알바니아로 보내지기도 했다.

M13은 산악지형에 최적화되었지만, 북아프리카와 다른 그리스에도 투입되었다. 토브룩 공방전에서 아리에테 기갑사단 소속 M13이 영국군 마틸다 전차를 상대로 약간의 성공을 거두기도 했다.

비르엘고비 전투에서 이탈리아군은 영국군에 승리했는데, 이는 아리에테 기갑사단이 포병과 보병 지원을 받았고, 영국군이 기갑사단 존재를 모르고 1개 기갑여단만으로 공격했기 때문이다. 폭우로 영국군 순항전차의 기동성이 제한된 것도 요인이었다.

크루세이더 순항전차는 M13을 상대로 데뷔전을 치를 기회를 놓쳤다. 1942년 M13은 M14/41로 교체되었다.

에르빈 롬멜의 공세에서 이탈리아군은 240대 규모의 M13 및 M14를 배치했지만, 영국군의 M3 그랜트와 크루세이더III에 압도당했다. M13은 모래주머니를 부착했지만, 속도가 더욱 느려졌다.

엘 알라메인 전투에서 이탈리아군은 230여 대의 M13을 배치했지만, 연합군에 격파당했다. 첸타우로 기갑사단은 튀니지에서 전멸했다.

M13은 북아프리카 전역 마지막까지 운용되었고, 이탈리아 본토에서도 사용되었다. 러시아에는 보내지지 않았다.

M13/40은 경전차 수준의 화력과 방어력을 갖추었고, 1941년 그리스 전역과 북아프리카 전역에서 운용되었지만, 동부 전선에서는 사용되지 않았다. 이탈리아군은 M13/40 시리즈의 화력 부족을 인지하고 세모벤테 75/18을 같이 배치했다.

피아트 M14/41은 더 강력한 공기 정화 장치를 장착했다. 세모벤테 코만도 M40은 포탑을 제거하고 상부 구조물을 설치한 M13/40으로, 추가 무전기와 통신기기를 탑재했다. M13/40 시리즈는 3,000대 이상 생산되었다. 피아트 M15/42는 1943년 엔진을 교체하고 47mm / 40구경장 전차포를 탑재한 마지막 개량형이다. 세모벤테 75/18은 M13/40이나 M14/41 차체를 이용한 자주포다.

M13은 리벳으로 고정된 강철판으로 제작되었다. 전면 30mm, 포탑 전면 42mm, 측면 25mm, 하부 6mm, 상부 15mm였다. 승무원 4명은 전방 전투실에, 엔진은 후방, 변속기는 전방에 배치되었다.

주행 장치는 소형 바퀴 8쌍이 있는 2개의 보기 트럭을 사용했고, 판 스프링 서스펜션을 사용했다. 궤도는 좁았다. 이 시스템은 산악 지역에서 뛰어났지만, 사막에서는 기동성이 만족스럽지 못했다. 125hp 디젤 엔진으로 구동되었다.

주무장은 47mm 포로, 500m 거리에서 45mm 장갑을 관통할 수 있었다. 104발의 철갑탄과 고폭탄을 적재했다. 기관총은 3~4정으로, 주포와 동축 무기로 1정, 전방 볼 마운트에 2정이 장착되었다. 네 번째 기관총은 대공용으로 포탑 상단에 장착되기도 했다. 포수와 전차장을 위해 잠망경 2개가 제공되었고, 마그네티 마렐리사 RF1CA 라디오도 표준 장비였다.

1941년 4월, 이탈리아군은 약 240대의 M13 및 M14 전차를 운용했다.[4] 1942년, 연합군이 M3 리/그랜트 중형 전차와 크루세이더 Mk III을 배치하고, 보병 부대에 6파운더 (57mm) 대전차포를 배치하면서 M13의 약점이 드러났다. 방호력을 개선하기 위해 승무원들은 모래주머니나 여분의 궤도를 쌓았지만, 속도가 느려지고 유지 보수 요구 사항이 증가했다.[4] 이탈리아군은 각 전차 대대에 세모벤테 75/18 돌격포를 배치했다.

제2차 엘 알라메인 전투에서 M4 셔먼이 처음 등장했으며, 약 230대의 M13이 운용되었다.[4] 아리에테와 리토리오 사단은 추축군 후퇴를 엄호했다.[4] 첸타우로 사단은 튀니지에서 전멸했다.[4] M13/40과 M14/41은 구식이 되었고, M3 리와 M4 셔먼에 무력했다. M13/40은 세모벤테와 포병 지원에 의존해야 했다.

M13/40은 경전차 수준의 성능을 보였지만, 47mm 장포신 포는 1940~41년의 영국 전차에 효과적이었다. 디젤 엔진은 장점이었고, 단순한 생산 방식은 이탈리아 산업에 적합했다.

그러나 엔진은 신뢰성이 부족했고, 서스펜션과 궤도는 낮은 속도를 냈다. 무장은 1940~41년에는 충분했지만, 연합군 전차의 장갑과 화력을 따라가지 못했다. 리벳을 사용한 제작 방식은 구식이었고, 2인용 포탑은 덜 효율적이었다. 무전기가 장착되지 않은 전차도 많았다.

이탈리아 역사가들은 이 전차의 실망스러운 성능이 훈련 부족, 경험 부족, 열악한 전술 교리, 무전기 부재, 부대 창설 문제, 장갑 구난 차량 부족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1940년 이탈리아 육군 기갑총감 페로레토 장군은 M13을 M11/39의 개량형으로 추진했다.

M11/39는 포탑기관총, 차체에 주포를 탑재해 사계가 좁았지만, M13은 주포를 회전 포탑에 탑재하고, 47mm 포로 변경, 장갑 두께 증가, 승무원 4명, 엔진 출력 125hp로 개선했다.

M13은 1940년에 '''M13/40'''으로 제식화되었다.

그러나 북아프리카 전선에서는 엔진 고장이 다발했고, 포탑에 환기 장치가 없어 전투 중 해치를 열어야 했다. 이후 엔진 출력이 145hp로 강화된 M14/41이 등장했다.

M13/40은 1941년까지는 운용 가능했지만, 이후 우위를 빼앗겼다. 800대 정도 생산되었지만, 차대는 자주포에도 사용되어 2,000대 가까이 생산되었다.

M13/40은 이탈리아군 전차 전력의 주력이었다.

M13은 호주군에 노획되어 사용되기도 했다.

5. 파생형

M13/40은 3,000대 이상 생산된 이탈리아의 주력 전차였다. 주요 파생형은 다음과 같다:

파생형설명
피아트 M14/41북아프리카 작전을 위해 더 강력한 엔진과 개선된 공기 정화 장치를 장착했다.[3]
세모벤테 75/18M13/40 또는 M14/41 차체를 기반으로 제작된 자주포이다.[4]
세모벤테 코만도 M40포탑을 제거하고 상부 구조물을 설치하여 추가 무전기와 통신 장비를 탑재한 지휘 차량이다.[4]
피아트 M15/421943년에 생산된 마지막 개량형으로, 가솔린 엔진과 47mm / 40구경장 전차포를 탑재했다. 이전 모델보다 장갑이 더 두꺼웠다.[3]



1940년 이탈리아 육군 기갑총감 페로레토 장군은 M11/39를 개량한 M13/40을 개발했다. M13/40은 회전 포탑에 주포를 탑재하고 장갑을 강화하는 등 성능이 향상되었다. 초기형은 북아프리카 전선에서 엔진 고장 문제가 있었지만, 이후 엔진 출력을 높인 M14/41이 등장했다. M13/40은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이탈리아군 전차 전력의 주력이었다.

6. 평가

M13/40은 7TP, T-26과 같이 비커스에서 파생된 다른 설계와 유사한 성능을 보인 초창기 전쟁 시기의 전형적인 경전차였다. 13톤의 무게로 중장갑의 영국 마틸다 II에는 거의 무력했지만, 1940~41년의 대부분의 적과 비슷한 수준의 장갑을 갖추었다. 47mm 장포신 포는 M13과 비슷한 장갑을 갖춘 1940~41년의 다른 많은 영국 전차, 즉 사거리가 짧고 탄도 성능이 열등한 2파운드(40mm) 포를 장착한 전차에 효과적이었다.[8] 디젤 엔진은 장점이었고, 단순한 생산 방식은 이탈리아 산업의 상황에 적합했다.

그러나 이 전차는 전장에서 효과를 심각하게 저해하는 많은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엔진은 좋은 항속 거리를 제공했지만, 강력한 출력과 신뢰성은 부족했다. M13의 엔진은 M11/39와 동일했지만, 신형 전차가 더 무거워져 속도가 느려지고 동력 장치에 더 많은 부담을 주었다. 서스펜션과 궤도는 신뢰할 수 있었지만, 마틸다와 같은 보병 전차보다 크게 나아지지 않은 비교적 낮은 속도를 냈다.[7] 무장은 1940~41년에는 충분했지만, 연합군 또는 독일 전차의 증가된 장갑과 화력을 따라가지 못했다. 리벳을 사용한 제작 방식은 구식이었다. 2인용 포탑은 당시 다른 많은 전차에서 사용된 3인용 포탑보다 전투에서 덜 효율적이었다. 많은 전차에 무전기가 장착되지 않았다.

이탈리아 역사가 필리포 카펠라노와 피에르 파올로 바티스텔리는 이 전차의 전쟁 초반의 실망스러운 성능은 무장이 전혀 부적절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승무원의 거의 완전한 훈련 부족과 경험 부족, 열악한 전술 교리, 무전기의 부재, 그리고 많은 부대가 서둘러 창설되어 전장으로 보내졌다는 사실, 그리고 장갑 구난 차량의 부족으로 기인한다고 지적했다.

7. 대중 매체에서의 등장

피아트 M13/40은 영화, 애니메이션, 만화, 게임 등 다양한 대중 매체에서 등장한다.


  • 영화: 사막의 전장 엘 알라메인
  • 애니메이션/만화: 걸즈 & 판처, 사막의 토끼 -1942년 6월~11월의 싸움-
  • 게임: R.U.S.E., War Thunder, 콜 오브 듀티 2: 빅 레드 원, 토탈 탱크 시뮬레이터, 판저 프론트 Ausf.B, 벌레 전차

7. 1. 영화

사막의 전장 엘 알라메인에서 세모벤테 75/18과 함께 실차가 등장한다. 아리에테 전차 사단 소속이다.

7. 2. 애니메이션/만화



코믹 플래퍼 판에서는 안치오 고등학교가 주력 전차로 운용하고 있다.

  • '''사막의 토끼 -1942년 6월~11월의 싸움-'''


로마냐군의 주력 전차로 등장한다. 대차(代車)로서 노획한 본차를 권유받았을 때, 페어리랜드 왕국 병사로부터 그 방어력의 낮음 때문에 "푸딩은 사양이에요"라고 거절당한다.

7. 3. 게임


: 이탈리아중형전차로 등장한다.

  • War Thunder

: 이탈리아의 초기 차량으로 M13/40(I), (III)가 프리미엄 차량으로, M13/40(II)가 구매 가능하다.

  • 콜 오브 듀티 2: 빅 레드 원

: 후반에 세모벤테 da 75/18과 함께 실차(實車)가 등장한다.

  • 토탈 탱크 시뮬레이터

: 이탈리아의 중형전차 M13으로 등장한다.

  • 판저 프론트 Ausf.B

: 오스트레일리아군으로 등장한다.

  • 벌레 전차

참조

[1] 웹사이트 Italy's M13/40, M14/41 Medium Tanks http://www.wwiivehic[...] 2009-09-27
[2] 웹사이트 Carro Armato M13/40 https://www.military[...] 2021-12-09
[3] 웹사이트 Carro Armato M14/41, M13/40 https://www.ww2-weap[...] 2021-05-10
[4] 웹사이트 Carro Armato M13/40 (1940) https://tanks-encycl[...] 2021-12-09
[5] 서적 Stories of Kibbutzim Ministry of Defense Publishing 1998
[6] 웹사이트 Wizzard.com의 Carro Armato M13/40 부분 http://www.wizards.c[...]
[7] 문서
[8]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