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피지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피지어는 약 3500년 전 피지 제도에 정착한 최초의 사람들에 의해 전래된 언어이다. 1835년 감리교 선교사들이 문자 체계를 개발하여 라디오, 텔레비전, 서적 등에 사용되었으며 학교에서도 가르쳐지고 있다. 2013년 피지 힌디어, 영어와 함께 피지의 공식 언어가 되었으며, VOS 어순을 따르는 등 독특한 문법적 특징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피지의 언어 - 피지 힌디어
    피지 힌디어는 19세기 인도 이주민의 언어 혼합으로 형성된 인도-아리아어 방언으로, 피지 원주민어, 영어 등의 영향을 받아 독자적인 특징을 가지며, 힌두스탄어 파생 단어의 의미 변화가 두드러진다.
  • 피지의 언어 - 힌두스탄어
    힌두스탄어는 북인도에서 발생하여 페르시아어, 아랍어, 튀르크어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으며, 우르두어와 힌디어로 분화되었지만 구어체에서는 상호 이해가 가능한 언어이다.
  • VOS형 언어 - 타갈로그어
    타갈로그어는 필리핀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로, 필리핀어의 기초가 되며 해외 이민자 공동체에서도 사용되고, 라틴 알파벳 기반에 독특한 음운론 및 문법 특징, 스페인어와 영어 차용어를 포함한다.
  • VOS형 언어 - 말라가시어
    말라가시어는 마다가스카르의 주요 언어로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 속하며, VOS 어순을 따르고 동사의 형태 변화가 있으며, 아랍 문자에서 라틴 문자로 표기 방식이 변화했고, 프랑스어와 함께 공용어로 사용된다.
피지어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언어 이름피지어
사용 국가피지
민족피지인
모국어 화자339,210명 (1996년 조사)
제2언어 화자320,000명 (1991년)
사용 지역제1 언어: 바누아레부 섬, 비티레부 섬 동반부, 카다부 섬, 나야우 섬, 라켄바 섬, 오네아타 섬, 모세 섬, 코모 섬, 남카 섬, 카바라 섬, 불라가 섬, 오게아 섬, 바토아 섬 및 기타 섬
제2 언어: 피지 전역
ISO 639-1fj
ISO 639-2fij
ISO 639-3fij
글롯토로그fiji1243
링구아스피어39-BBA-a
언어 계통
어족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어파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어군오세아니아어군
하위 분류중앙태평양어군
동피지-폴리네시아어군
동피지어군
문자 체계
문자로마자
국가 및 공용어
공용어 국가피지
방언
방언피진 피지어

2. 역사

피지어는 약 3500년 전 피지 제도의 최초 정착민들에 의해 피지에 전래되었다. 수천 년 동안 피지에서는 피지어만 사용되었다. 1835년, 오스트레일리아 출신의 감리교 선교사들이 피지에서 피지어의 문자 체계를 개발하는 작업을 했다. 1840년까지 그들은 이미 문자 체계를 개발하고 피지어 여러 방언에 대한 다양한 책을 출판했다. 1970년 피지의 독립 이후, 피지어는 라디오, 텔레비전, 서적, 정기 간행물에 사용되었고 학교에서도 가르쳐지고 있다.

2005년 5월과 6월, 피지의 저명 인사들은 1997년 헌법에 의해 영어, 피지 힌디어와 함께 공용어가 된 피지어의 지위 향상을 추진했다. 하지만, 피지어는 학교에서 필수 과목은 아니었다. 교육부 장관 로 테이무무 케파와 최고 추장 평의회 의장 라투 오비니 보키니는 피지어를 학교 필수 과목으로 지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는 극우 민족주의적인 주장이었다. 언어 및 문화 연구소 소장 미시위니 케레케레타부아와 남태평양 대학교 언어학 교수 아폴로니아 타마타도 피지어의 인정이 국가 정체성의 기본 요소이며 피지의 다문화 사회를 통합하는 데 기여한다고 강조했다.

피지 노동당 지도자 마헨드라 차우드리는 피지 힌디어와 동등한 지위를 부여하는 조건으로 피지어를 국가 언어로 지정하고 학교 필수 과목으로 만들자는 주장에 동의했으며, 국가 화합 위원회의 크리슈나 빌라스도 같은 입장을 표명했다.

2013년 새로운 헌법이 채택되면서 피지어는 피지 힌디어, 영어와 함께 피지의 공식 언어가 되었다.

2. 1. 언어의 역사

피지어는 약 3500년 전 피지 제도의 최초 정착민들에 의해 피지에 전래되었다. 수천 년 동안 피지에서는 피지어만 사용되었다. 1835년, 오스트레일리아 출신의 감리교 선교사들이 피지에서 피지어의 문자 체계를 개발하는 작업을 했다. 1840년까지 그들은 이미 문자 체계를 개발하고 피지어 여러 방언에 대한 다양한 책을 출판했다. 1970년 피지의 독립 이후, 피지어는 라디오, 텔레비전, 서적, 정기 간행물에 사용되었고 학교에서도 가르쳐지고 있다.

2. 2. 국가 언어 논쟁

2005년 5월과 6월, 피지의 저명 인사들은 1997년 헌법에 의해 영어, 피지 힌디어와 함께 공용어가 된 피지어의 지위 향상을 추진했다. 하지만, 피지어는 학교에서 필수 과목은 아니었다. 교육부 장관 로 테이무무 케파와 최고 추장 평의회 의장 라투 오비니 보키니는 피지어를 학교 필수 과목으로 지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언어 및 문화 연구소 소장 미시위니 케레케레타부아와 남태평양 대학교 언어학 교수 아폴로니아 타마타도 피지어의 인정이 국가 정체성의 기본 요소이며 피지의 다문화 사회를 통합하는 데 기여한다고 강조했다.

피지 노동당 지도자 마헨드라 차우드리는 피지 힌디어와 동등한 지위를 부여하는 조건으로 피지어를 국가 언어로 지정하고 학교 필수 과목으로 만들자는 주장에 동의했으며, 국가 화합 위원회의 크리슈나 빌라스도 같은 입장을 표명했다.

2013년 새로운 헌법이 채택되면서 피지어는 피지 힌디어, 영어와 함께 피지의 공식 언어가 되었다.

3. 음운론

피지어의 자음 음소는 다음 표와 같다.

colspan="2" |순음치경음연구개음연구개음성문음
비음mnŋ
파열음무성(p)t(tʃ/ch영어)k(ʔ)
전비음화ᵐbⁿd(ⁿdʒ/nj영어)ᵑɡ
마찰음무성(f)s(x)(h)
유성βð
전동음일반r
전비음화ᶯɖʳ
접근음w영어l영어j영어



⟨dr⟩로 표기되는 자음은 전비음화 떨림음 ⁿr 또는 떨림음 파찰음 ⁿdr로 묘사되어 왔지만, 떨림음으로 끝나는 발음은 드물며, ⟨d⟩와의 주된 차이점은 치경/치조음이 아니라 후치경음 ([ɳɖ])이라는 점이다.[2]

p와 f는 다른 언어에서 차용된 외래어에만 나타난다. x와 h는 특정 지역 방언 화자에게서만 나타난다.

tʃ/ch영어와 ⁿdʒ/nj영어는 t와 ⁿd의 동위음으로 나타난다.

성문 폐쇄음 ʔ는 이 문서에서 예시로 사용된 부마 피지어에는 있지만 표준어에는 없다. 대부분의 피지어 방언에서 이전의 k 음에서 유래했다.

유성-무성 마찰음 쌍의 조음 위치의 차이에 유의해야 한다. 순음 β 대 순치음 f, 그리고 치음 ð 대 치경음 s.

모음 음소는 다음과 같다.

단모음
rowspan="2" |전설모음중설모음후설모음
단모음장모음단모음장모음단모음장모음
고모음iu
중모음eo
저모음a



강세 이중모음
colspan="2" rowspan="2" |제2 성분
iu
제1
성분
eei̯eu̯
ooi̯ou̯
aai̯au̯



또한, 상승 이중모음 i̯u가 있다.

음절자음 뒤에 모음이 오는 형태(CV) 또는 모음 하나로 이루어진 형태(V)로 구성될 수 있다.

단어 강세는 모라에 기반한다. 단모음은 한 모라이고, 이중모음과 장모음은 두 모라이다. 주 강세는 음운 단어의 마지막에서 두 번째 모라에 있다. 즉, 단어의 마지막 음절이 단모음이면 마지막에서 두 번째 음절에 강세가 오고, 마지막 음절에 장모음이나 이중모음이 있으면 마지막 음절에 주 강세가 온다. 강세는 어휘적이지 않으며, 접사가 어근에 붙으면 이동할 수 있다.

예:


  • 마지막에서 두 번째 음절에 강세(마지막 음절이 단모음): sígafj (하루)
  • 마지막 음절에 강세(이중모음): cauravóufj (젊음) (강세는 이중모음 전체에 걸쳐 있다).
  • 강세 이동: cábe (차다) → cabé-ta

3. 1. 자음

피지어의 자음 음소 체계는 다음과 같다. 정서법에서 해당하는 글자가 국제음성기호와 다른 경우 각괄호 안에 병기했다.

colspan="2" |순음설정음경구개음연구개음성문음
비음mnŋ
파열음무성(p)tk(ʔ) <ˈ>
선비음ᵐb ⁿd ᵑɡ
전동음기본r
선비음ᶯɖʳ
마찰음무성(f)s(x)
유성β ð
파찰음t͡ʃ~ⁿd͡ʒ *
접근음wlj (h)



/p, f, t͡ʃ~ⁿd͡ʒ/는 주로 차용어에만 나타나고, /x~h, ʔ/는 일부 방언에서 쓰인다.

표준 피지어에서는 /t/와 /ⁿd/가 항상 파열음으로 실현되지만, 보우마 방언에서는 모음 /i/ 앞에서 각각 [t͡ʃ]와 [ⁿd͡ʒ]로 파찰음화된다.[9] 한편 차용어를 통해 들어온 파찰음 음소 /t͡ʃ~ⁿd͡ʒ/는 로 표기한다.[9] 보우마 방언에는 표준어의 /k/에 거의 대응하는 성문 파열음도 존재한다.[9] 반모음 /w/는 비원순모음 /a, i, e/ 뒤에서만, /j/는 /a/ 앞에서만 변별적이다.[9]

로 적는 음소는 선비음화된 전동음 [ⁿᵈ̠r̠] 또는 파열음 [ⁿd̠]으로 실현된다. 치경음인 /ⁿd/와는 후치경음이라는 점에서 구별된다.[10] 다른 언어의 표기와는 크게 다르다. 특히 유성음 앞에 가벼운 비음이 나타나는 것은 큰 특징이다.[5]

억양은 장음(장모음과 이중모음)이 있는 경우에는 거기에 온다. 단모음만 있는 단어의 경우에는 어말에서 두 번째에 억양이 온다. 긴 단어의 경우에는 어미 요소의 억양이 주가 된다.

3. 2. 모음

피지어의 단순모음은 5개가 있고 장단을 구별한다. 피지어 정서법에서는 따로 장모음을 표시하지 않으나, 문법서 등에서는 모음자 위에 수직선을 그어 구분한다. Dixon (1988)에서는 모음자를 두 번 적는 것으로 표기했다.[11]

단순모음
rowspan="2" |전설중설후설
고모음iu
중모음eo
저모음a



하강 이중모음
colspan="2" rowspan="2" |뒷부분
iu


eei̯eu̯
ooi̯ou̯
aai̯au̯



이중모음에는 하강 이중모음 6개와 상승 이중모음 /i̯u/가 있다.[11]

3. 3. 음소배열론

피지어의 음절 구조는 (C)V이다. 즉, 자음과 모음으로 구성된다. /uo, oe, eo, ie/ 연쇄는 나타나지 않으며, /ae/는 감탄사로만 쓰인다.[12] 이중모음을 제외한 나머지 모음 연쇄는 두 음절로 발음된다.[12]

3. 4. 운율론

피지어의 강세는 변별적이지 않은 음조 액센트이다.[13] 강세 규칙에는 모라가 관여한다. 단순모음은 1모라, 이중모음과 장모음은 2모라로 취급하며, 주 강세는 끝에서부터 두 번째 모라가 속한 음절에 오고, 부 강세는 끝에서부터 네 번째 및 여섯 번째 모라가 속한 음절에 온다. 따라서 이중모음과 장모음은 항상 강세를 받는다. 접미사가 붙으면 강세도 규칙에 맞게 이동한다. (예: rábe '발차기하다' → rabé-ta '차다')[13]

기본 억양 패턴에는 세 가지가 있다. 평서문, 명령문, 설명의문문에서는 절의 마지막 강세 음절에서 음조가 하강한다. 판정의문문은 억양으로만 구별되며, 마지막 강세 음절의 바로 앞 음절에서 음조가 급격하게 상승했다가 이후 음절에서 약간 하강한다. 문장이 끝나지 않은 경우 절의 마지막 두 모라가 평탄조 혹은 약한 상승조로 발음된다.[14]

3. 5. 통시적 변화

보우마 방언에서는 기능어 어두의 /n/이 탈락하거나 /w/로 바뀌기도 했다.[15]

4. 문자 및 발음

피지어 알파벳은 라틴 문자를 기반으로 하며 문자와 음소 간에는 거의 일대일 대응 관계가 있다.

알파벳
대문자소문자IPA기타
Aa
Bb
Cc
Ddⁿdʒi/di}} ~
Ff
Gg
Hh~
Ii
Jj~
Kk
Ll
Mm
Nnᶯɖ/nr}} ~
Pp
Qq
Rr
Ss
Tttʃi/ti}}
Vv
Ww
Yy~
Zz



1980년대에 사전을 편찬하던 학자들은 영어뿐만 아니라 다른 피지어 또는 방언에서 표준 피지어로 들어오는 단어들을 처리하기 위해 알파벳에 몇 가지 자음과 자음군을 추가했다. 가장 중요한 추가는 (예: 생강/zizafj) 및 (예: 고용하다/hayafj)이다.

음운론적 이유로 tifj와 ti/di}}는 가 아닌 , 로 발음된다(일본어 치 가나 또는 표준 브라질 포르투갈어 참조). 따라서, 의 동음이의적 발음인 에서 유래한 피지의 피지어 이름인 Vitifj가 있다.

또한, 이중자음 ᶯɖ/dr}}은 후설음 를 나타내거나, 더 일반적으로 일부 사람들과 일부 방언에서 사용된다.

모음 문자 a ɛ~e i ɔ~o u/a e i o u}}는 대략적으로 IPA 값 이며 {{IPAfj로 발음된다.

=== 자음 ===

피지어의 자음 음소 체계는 다음과 같다. 정서법에서 해당하는 글자가 국제음성기호와 다른 경우 각괄호 안에 병기했다.

colspan="2" |순음설정음경구개음연구개음성문음
비음mnŋ
파열음무성(p)tk(ʔ) <ˈ>
선비음ᵐb ⁿd ᵑɡ
전동음기본r
선비음ᶯɖʳ
마찰음무성(f)s(x)
유성β ð
파찰음t͡ʃ~ⁿd͡ʒ *
접근음wlj (h)



/p, f, t͡ʃ~ⁿd͡ʒ/는 주로 차용어에만 나타나고, /x~h, ʔ/는 일부 방언에서 쓰인다.[9] 표준 피지어에서는 /t/와 /ⁿd/가 항상 파열음으로 실현되지만, 보우마 방언에서는 모음 /i/ 앞에서 각각 [t͡ʃ]와 [ⁿd͡ʒ]로 파찰음화된다.[9] 한편 차용어를 통해 들어온 파찰음 음소 /t͡ʃ~ⁿd͡ʒ/는 로 표기한다.[9] 보우마 방언에는 표준어의 /k/에 거의 대응하는 성문 파열음도 존재한다. 반모음 /w/는 비원순모음 /a, i, e/ 뒤에서만, /j/는 /a/ 앞에서만 변별적이다.[9]

로 적는 음소는 선비음화된 전동음 [ⁿᵈ̠r̠] 또는 파열음 [ⁿd̠]으로 실현된다. 치경음인 /ⁿd/와는 후치경음이라는 점에서 구별된다.[10] 다른 언어의 표기와는 크게 다르다. 특히 유성음 앞에 가벼운 비음이 나타나는 것은 큰 특징이다.[5]

억양은 장음(장모음과 이중모음)이 있는 경우에는 거기에 온다. 단모음만 있는 단어의 경우에는 어말에서 두 번째에 억양이 온다. 긴 단어의 경우에는 어미 요소의 억양이 주가 된다.

=== 모음 ===

피지어의 단순모음은 5개가 있고 장단을 구별한다. 피지어 정서법에서는 따로 장모음을 표시하지 않으나, 문법서 등에서는 모음자 위에 수직선을 그어 구분한다. Dixon (1988)에서는 모음자를 두 번 적는 것으로 표기했다. 이중모음에는 하강 이중모음 6개와 상승 이중모음 /i̯u/가 있다.[11]

단순모음
rowspan="2" |전설모음중설모음후설모음
고모음iu
중모음eo
저모음a



하강 이중모음
colspan="2" rowspan="2" |뒷부분
/i//u/


/e/ei̯eu̯
/o/oi̯ou̯
/a/ai̯au̯



단모음은 a, e, i, o, u와 같고, 장모음은 사전, 교재 이외에는 장음부호(‍⟨̄⟩)를 붙이지 않고 ā, ē, ī, ō, ū와 같이 표기한다. 이중모음에는 ai, ei, oi, au, eu, ou, iu가 있다.

4. 1. 모음

피지어의 단순모음은 5개가 있고 장단을 구별한다. 피지어 정서법에서는 따로 장모음을 표시하지 않으나, 문법서 등에서는 모음자 위에 수직선을 그어 구분한다. Dixon (1988)에서는 모음자를 두 번 적는 것으로 표기했다. 이중모음에는 하강 이중모음 6개와 상승 이중모음 /i̯u/가 있다.[11]

단순모음
rowspan="2" |전설모음중설모음후설모음
고모음iu
중모음eo
저모음a



하강 이중모음
colspan="2" rowspan="2" |뒷부분
/i//u/


/e/ei̯eu̯
/o/oi̯ou̯
/a/ai̯au̯



단모음은 a, e, i, o, u와 같고, 장모음은 사전, 교재 이외에는 장음부호(‍⟨̄⟩)를 붙이지 않고 ā, ē, ī, ō, ū와 같이 표기한다. 이중모음에는 ai, ei, oi, au, eu, ou, iu가 있다.

4. 2. 자음

피지어의 자음 음소 체계는 다음과 같다. 정서법에서 해당하는 글자가 국제음성기호와 다른 경우 각괄호 안에 병기했다.

colspan="2" |순음설정음경구개음연구개음성문음
비음mnŋ
파열음무성(p)tk(ʔ) <ˈ>
선비음ᵐb ⁿd ᵑɡ
전동음기본r
선비음ᶯɖʳ
마찰음무성(f)s(x)
유성β ð
파찰음t͡ʃ~ⁿd͡ʒ *
접근음wlj (h)



/p, f, t͡ʃ~ⁿd͡ʒ/는 주로 차용어에만 나타나고, /x~h, ʔ/는 일부 방언에서 쓰인다.[9] 표준 피지어에서는 /t/와 /ⁿd/가 항상 파열음으로 실현되지만, 보우마 방언에서는 모음 /i/ 앞에서 각각 [t͡ʃ]와 [ⁿd͡ʒ]로 파찰음화된다.[9] 한편 차용어를 통해 들어온 파찰음 음소 /t͡ʃ~ⁿd͡ʒ/는 로 표기한다.[9] 보우마 방언에는 표준어의 /k/에 거의 대응하는 성문 파열음도 존재한다. 반모음 /w/는 비원순모음 /a, i, e/ 뒤에서만, /j/는 /a/ 앞에서만 변별적이다.[9]

로 적는 음소는 선비음화된 전동음 [ⁿᵈ̠r̠] 또는 파열음 [ⁿd̠]으로 실현된다. 치경음인 /ⁿd/와는 후치경음이라는 점에서 구별된다.[10] 다른 언어의 표기와는 크게 다르다. 특히 유성음 앞에 가벼운 비음이 나타나는 것은 큰 특징이다.[5]

억양은 장음(장모음과 이중모음)이 있는 경우에는 거기에 온다. 단모음만 있는 단어의 경우에는 어말에서 두 번째에 억양이 온다. 긴 단어의 경우에는 어미 요소의 억양이 주가 된다.

5. 문법

일반적인 피지어 어순은 목주서(VOS)이다.[6] 주어가 대명사일 때는 주어-동사, 주어가 명사일 때는 동사-주어의 어순이 된다.[6]

시제는 시제를 나타내는 표지어를 동사 앞에 둔다.[6]


  • au ā rai-ci koya. (나 과거의 표지어 보다-타동사화 그를): “나는 그를 보았다.”[6]

  • au sā rai-ci koya. (나 현재의 표지어 보다-타동사화 그를): “나는 그를 본다.”[6]

  • na tau na uca. (미래의 표지어 내린다 정관사 비): “비가 내릴 것이다.”[6]


부정문은 부정의 어구 sega ni를 대명사(시제를 나타내는 표지어)와 동사 사이에 둔다.[6]

  • au ā sega ni rai-ci koya. (나 과거의 표지어 부정 보다-타동사화 그를): “나는 그를 보지 않았다.”[6]


피지어에서 부정은 특정 동사를 사용하여 표현한다. 이러한 부정 동사는 반보조 동사로 불리며, 주요 동사의 기능을 수행하면서 명사구나 보어절을 주어로 갖는다. 보어절은 관계사 nifj (사건, 비특정 단위) 또는 mefj ("해야 한다")에 의해 도입되며, 반보조 동사는 보어절 내에서 술어를 수식한다.

피지어에서 부정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반조동사는 segafj이다. segafj는 주어에 따라 "없다" 또는 "~는 아니다"로 번역되며, 수량 표현에서는 "하나도 없다"는 의미를 나타낸다. segafj는 명령문이나 mefj 절을 제외한 대부분의 상황에서 사용 가능하다.

  • segafj가 명사구를 주어로 취하면 "없다"라는 의미가 된다.
  • 예시: "e sega a kolii (i+na koro yai)" (이 마을에는 개가 없다)
  • 술어절을 부정할 때는 segafj를 사용하고, 술어는 보어절에 놓인다. 이때 segafj의 주어는 nifj이며, "~는 아니다"로 번역된다.
  • 예시: "e sega [ni lako o Jone]" (존은 가지 않는다)


피지어에서 동사를 부정하는 방법은 "[e sega nifj 동사]" 구조뿐이다. 그러나 술어구의 중심어는 다양한 품사가 될 수 있으며, 명사와 같이 다른 단어가 사용되면 부정의 구조가 달라진다.

  • segafj의 주어로서의 명사구: "e sega a kolii" (개가 없다)
  • nifj가 segafj의 주어인 경우: "e sega ni kolii" (그것은 개가 아니다)


segafj는 의문절을 도입하는 관계사 sefj와 함께 사용되어 "~인지 아닌지"라는 의미를 나타낼 수 있다.

  • 예시: "au tovele-a se kana vinaka a kaa kana yai {(se sega)}" (이 음식이 맛있는지 아닌지 시험해 보겠다)


또 다른 부정어는 uafj 또는 waauafj ("하지 마라, ~하지 않다")이다. segafj와 달리 명령문과 mefj 절에 사용되며, 서로 바꿔 사용할 수 없다. waauafj는 uafj보다 더 강한 의미를 나타낸다.

  • 예시:
  • "e aa taqo.-makini au o Jone me+u kua ni lau-.vacu" (존이 내가 맞는 것을 막았다)
  • "au saa vei-.vutuni.-takina sara me+u saa waakua ni vaka-.yaco-ra tale a caka.caka yai i+na siga.tabu" (나는 (안식일에 돼지를 사냥한 것을) 후회하여 일요일에 다시는 이런 행동을 하지 않겠다고 다짐했다.)


대명사는 술어 중심어로 작용할 때 명사구의 일부를 형성하는 경우에만 부정될 수 있다. 따라서 대명사는 일반 명사처럼 반조동사 segafj 또는 uafj ~ waauafj의 명사구 주어가 될 수 없다.

피지어에서 부정 표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수식어는 sotifj와 sarafj이다. Sotifj는 부정어 뒤에 추가되어 강도를 나타내며, sega sotifj는 "별로 ~않다"로 번역된다. sotifj는 segafj 또는 ni}} 관계사 뒤에 위치할 수 있다.

  • 예시: "au sega soti ni vuu me tautauvata {{saltillofjei Sepo" (나는 세포만큼 똑똑하지 않다)


sarafj는 segafj와 uafj ~ 피지어 문법/waaua}}와 함께 사용되어 부정적인 의미와 측면을 강조한다.

  • 예시: "ua ni lai taaoo tale i Viidawa, lao sara i Orovou!" (Viidawa에서 멈추지 말고, Orovou로 곧바로 가!)


피지어에서 형용사는 명사 뒤에 온다.[7]

: na vale levu (정관사 집 큰) "큰 집"

: na vale kau (정관사 집 나무) "나무 집"

동등한 명사는 `ni`로 연결한다.

: na dela ni vale "집의 꼭대기"

하지만, 고유명사 앞에서는 예외적으로, 일반적인 소유는 `nei`, 신체 부위, 친족은 `i`로 연결한다.[7]

: na i-vola nei Tomasi (정관사 ~의-책 Tomasi의) "토마시의 책"

: na ulu i Tomasi (정관사 머리 Tomasi의) "토마시의 머리"

{{본문fj

참고: 이 절의 예시는 부마아 방언에서 가져온 것입니다. 바우안 방언을 기반으로 하는 피지어 표준어가 아닙니다.

접두사와 접미사를 가진다.

  • vaka- 사역화 (보통 접미사 -taka(타동사화)와 함께 사용됨)

: vaka-dodonu-taka「바로잡다」 (dodonu「옳다」)

또한, 이 vaka-는 형용사화, 부사화로도 사용된다.

: vaka-Viti 「피지의, 피지식으로」

: vika-vinaka「잘」 (vinaka「좋다」)

  • ca-, ka-, ra-, ta-, lau- 우발적 수동

: ta-sova「쏟아졌다」 (sova「붓다」)

: ra-mudu, ka-musu「부러졌다」 (musu「부수다」)

이러한 선택에는 규칙성이 없다.

  • ya- 분배

: ya-dua「하나씩」(dua「1」)

  • i- 동사를 명사화하다

: i-vola「책」(vola「쓰다」)

피지어의 접미사는 타동사화 기능을 하며, 특정 동사에 붙어 의미를 변화시킨다. 어떤 동사에 어떤 접미사가 붙는지에 대한 규칙성은 없다.[7]

  • -a, -ca, -ga, -ka, -ma, -na, -ra, -ta, -va, -ya
  • -haka, -kaka, -laka, -maka, -naka, -raka, -taka, -vaka


예시:

  • cina (조명) : cina-va (비추다)
  • rere (무서운) : rere-vaka (두려워하다)


동사의 목적어가 고유명사나 인칭대명사일 때, 일부 접미사는 형태가 변한다.[7]

  • -a → -i
  • -ca, -caka → -ci, -caki 등


예시:

  • ena dau nanu-mi Viti. (그 + 미래의 표지 + 항상 + 생각하다(타) + 피지) → 그는 항상 피지를 생각하고 있다.


피지어의 대명사 체계는 인칭, 수, 포괄성에 따라 구분된다.[3] 문법적 인칭은 1인칭(화자), 2인칭(청자), 3인칭(그 외)으로 나뉘며, 인간과 비인간, 생물과 무생물 간의 구분은 없다. 수는 단수, 이중, 소수, 복수로 나뉜다. '소수'는 가족이나 직장 집단과 같이 어떤 관계를 갖는 둘 이상의 사람들을 지칭하며, 관계가 없다면 '복수'를 사용한다.[3]

부마 피지어 대명사
인칭
단수이중소수복수
1포함주어rowspan="3" |tarufjtoufjtafj
목적어eetarufjetatoufjetafj
기수eetarufjetatoufjetafj
1배타주어aufj ~ ufjeiraufjeitoufjeimamifj
목적어aufjeiraufjeitoufjeimamifj
기수yaufjeiraufjeitoufjeimamifj
2주어ofjmudraufj ~ draufjmudoufj ~ doufjmunuufj ~ nuufj
목적어iofjemudraufjemudoufjemunuufj
기수iofjemudraufjemudoufjemunuufj
3주어efjraufjratoufjrafj
목적어eafjraufjiratoufjirafj
기수eafjraufjratoufjrafj



각 대명사는 주격, 주어, 목적어, 소유격 접미사, 소유격의 다섯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지만, 일부 인칭-수의 결합은 하나 이상의 기능에 대해 동일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주격은 명사구의 중심어로 사용될 때, 주어는 술어의 첫 번째 구성 요소로 인칭 표지를 나타낼 때 사용된다. 목적어는 타동사의 -ifj로 끝나는 형태 뒤에 오며, 소유격 접미사는 불가분의 명사에 붙는다. 소유격은 소유 구문에서 '소유된' 구성 요소의 명사구 중심어 앞에 온다.

피지어는 동사-목적어-주어 언어이며, 절에서 주어 명사구는 동사와 목적어(포함된 경우) 다음에 온다. 대명사의 사회적 사용은 주로 존경과 위계에 의해 결정된다. 예를 들어, 실제 또는 잠재적인 배우자를 지칭할 때는 2인칭 복수 친밀 대명사를 사용해야 한다.

1인칭 주어(2인칭 이상)에는 포괄형과 배제형이 있다. 1인칭 2인칭 형태 포괄 edaru 배제 keirau, 1인칭 3인칭 형태 포괄 edatou(datou) 배제 keitou, 1인칭 복수형 포괄 eda(da) 배제 keimami 이다. 3인칭 단수 주어형이 없고, 또한 인칭에 남녀의 구별이 없다. 대명사형은 무생물 명사에는 적용할 수 없다.

소유는 두 개체, 즉 "소유자"와 "소유물" 사이의 특별한 관계를 나타내는 문법 용어이다. 이 관계는 법적 소유권일 수 있지만, 피지어와 많은 다른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서처럼 종종 훨씬 광범위하여 친족 관계, 신체 부위, 무생물의 일부, 그리고 통제, 연관성, 소속과 같은 개인적인 특성과 개념을 포함한다.

피지어는 소유자와 소유물의 성격에 따라 복잡한 소유 구문 체계를 가지고 있다. 적절한 구조를 선택하는 것은 소유자가 인명이나 지명, 대명사, 또는 보통 명사(인간 또는 비인간, 생물 또는 무생물 참조)인지 여부, 그리고 소유물이 자유 명사인지 결합 명사인지 여부를 아는 것에 달려 있다.

멜라네시아어군의 특징으로, 소유물에 대한 범주화가 이루어지며,[7] 범주가 다르면 그에 따라 소유격 대명사의 형태가 바뀐다.

소유물이 음식이면 범주 II, 음료이면 III, 신체 부위나 친족이면 IV, 그 외(중립)는 I로 분류된다.


  • I ''na nona vale''「그의 집」 (''nona'' 그의 ''vale'' 집)
  • II ''na kena uvi''「그의 야뮤이모」(''mena'' 그의 ''uvi'' 야뮤이모)
  • III ''na mena tī''「그의 차」 (''kena'' 그의 ''tī'' 차)
  • IV ''na ulu-na''「그의 머리」 (''-na'' 그의 ''ulu'' 머리)


이에 따라,

  • ''na nona yaqona'' 「그의 (재배한, 팔기 위한) 카바나무)」
  • ''na mena yaqona'' 「그의 (마시기 위한) 카바)」


와 같이, 소유격 대명사의 차이로 명사를 수식할 수 있다.

진정한 소유 구문에서 소유자는 생명체 명사여야만 하며, 소유된 명사구에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소유 표시가 됩니다. 인명이나 지명이 소유자인 경우, 소유된 명사(결합 또는 자유)에 소유 접미사 -i/–ifj를 붙여 소유 구문을 만들 수 있습니다. 소유자가 대명사인 경우, 소유된 명사는 인칭, 수, 포함/배제를 지정하는 대명사 표지 중 하나로 표시되어야 합니다(표 참조). 소유자가 비생명체인 경우, 소유 입자 ni/nifj는 일반적으로 소유된 명사구와 소유 명사구 사이에 배치됩니다. 그러면 입자 ni/nifj는 공식적인 소유가 아닌 연관성을 나타내지만, 이 구문은 여전히 소유 구문으로 간주됩니다.

자유 명사는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있으며 어미가 필요하지 않다. 피지어의 대부분 명사는 이 범주에 속한다. 의존 명사는 명사를 완성하기 위해 접미사가 필요하며, 이러한 필요성을 나타내기 위해 하이픈으로 끝맺는다. 타마/Tama-fj 티나/tina-fj는 의존 명사의 예이다. 자유 명사와 의존 명사의 범주는 오스트로네시아어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양도 가능 소유와 비양도 가능 소유의 개념과 대략적으로 일치한다. 양도 가능 소유는 소유된 것이 문화적으로 소유자의 본질적인 부분으로 간주되지 않는 관계를 나타내며, 비양도 가능 소유는 소유된 것이 소유자의 내재적인 부분으로 간주되는 관계를 나타낸다.

신체 부위와 친족 관계는 비양도 가능 소유의 전형적인 예이다. 무생물은 양도 가능 소유의 전형적인 예이다.

자유 명사의 양도 가능한 성격은 소유된 명사의 다른 특성을 나타내는 분류사라고 알려진 접두사에 의해 더욱 두드러진다. 몇 가지 일반적인 예로는 소유된 명사가 마실 수 있는 것이면 메/me-fj, 먹을 수 있는 것이면 케/ke-fj (또는 에/e-fj), 소유된 명사의 지시 대상이 개인 소유물이면 웨/we-fj가 있다.

피지어 소유 대명사 접미사 표지[7]
colspan="2" |단수이중소수복수
1인칭배타적-qu-irau-itou-imami
포함적-daru-datou-da
2인칭-mu-mudrau-mudou-muni
3인칭-na-drau-dratou-dra



멜라네시아어군의 특징으로, 소유물에 대한 범주화가 이루어지며,[7] 범주가 다르면 그에 따라 소유격 대명사의 형태가 바뀐다.

소유물이 음식이면 범주 II, 음료이면 III, 신체 부위나 친족이면 IV, 그 외(중립)는 I로 분류된다.


  • I ''na nona vale''「그의 집」 (''nona'' 그의 ''vale'' 집)
  • II ''na kena uvi''「그의 야뮤이모」(''mena'' 그의 ''uvi'' 야뮤이모)
  • III ''na mena tī''「그의 차」 (''kena'' 그의 ''tī'' 차)
  • IV ''na ulu-na''「그의 머리」 (''-na'' 그의 ''ulu'' 머리)


이에 따라,

  • ''na nona yaqona'' 「그의 (재배한, 팔기 위한) 카바나무)」
  • ''na mena yaqona'' 「그의 (마시기 위한) 카바)」


와 같이, 소유격 대명사의 차이로 명사를 수식할 수 있다.

생물이 아닌 소유자를 제외한 모든 소유구문의 어순은 소유 대상 명사구 + 분류사(CLF) + 소유격 조사(POSS) + 소유자 명사구이다. 무생물 소유자의 경우 어순은 소유 대상 명사구 + ni + 소유자 명사구이다.

소유 대상소유 대상
소유자묶인 명사자유 명사
인명/지명접미사 -i (예시 1)분류사 + 접미사 -i; 또는 접미사 -i (예시 2)
대명사대명사 접미사; 또는 접미사 -i (예시 3a, b)분류사 + 소유 대명사 (예시 4a, b)
사람 명사대명사 접미사 (소유자 명사구로 확장됨); 또는 접미사 -i; 또는 명사구 ni 명사구 (예시 5)분류사 + 소유 대명사 (소유자 명사구로 확장됨) (예시 6)
생물 명사명사구 ni 명사구; 또는 대명사 접미사 (소유자 명사구로 확장됨)명사구 ni 명사구; 또는 분류사 + 소유 대명사 (소유자 명사구로 확장됨)
무생물 명사명사구 ni 명사구 (예시 7, 8)명사구 ni 명사구 (예시 7, 8)



이 표에 설명된 바와 같이 소유구문의 사용에는 어느 정도 유연성이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5. 1. 어순

일반적인 피지어 어순은 목주서(VOS)이다.[6] 주어가 대명사일 때는 주어-동사, 주어가 명사일 때는 동사-주어의 어순이 된다.[6]

시제는 시제를 나타내는 표지어를 동사 앞에 둔다.[6]

  • au ā rai-ci koya. (나 과거의 표지어 보다-타동사화 그를): “나는 그를 보았다.”[6]

  • au sā rai-ci koya. (나 현재의 표지어 보다-타동사화 그를): “나는 그를 본다.”[6]

  • na tau na uca. (미래의 표지어 내린다 정관사 비): “비가 내릴 것이다.”[6]


부정문은 부정의 어구 sega ni를 대명사(시제를 나타내는 표지어)와 동사 사이에 둔다.[6]

  • au ā sega ni rai-ci koya. (나 과거의 표지어 부정 보다-타동사화 그를): “나는 그를 보지 않았다.”[6]

5. 2. 부정

피지어에서 부정은 특정 동사를 사용하여 표현한다. 이러한 부정 동사는 반보조 동사로 불리며, 주요 동사의 기능을 수행하면서 명사구나 보어절을 주어로 갖는다. 보어절은 관계사 nifj (사건, 비특정 단위) 또는 mefj ("해야 한다")에 의해 도입되며, 반보조 동사는 보어절 내에서 술어를 수식한다.

피지어에서 부정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반조동사는 segafj이다. segafj는 주어에 따라 "없다" 또는 "~는 아니다"로 번역되며, 수량 표현에서는 "하나도 없다"는 의미를 나타낸다. segafj는 명령문이나 mefj 절을 제외한 대부분의 상황에서 사용 가능하다.

  • segafj가 명사구를 주어로 취하면 "없다"라는 의미가 된다.
  • 예시: "e sega a kolii (i+na koro yai)" (이 마을에는 개가 없다)
  • 술어절을 부정할 때는 segafj를 사용하고, 술어는 보어절에 놓인다. 이때 segafj의 주어는 nifj이며, "~는 아니다"로 번역된다.
  • 예시: "e sega [ni lako o Jone]" (존은 가지 않는다)


피지어에서 동사를 부정하는 방법은 "[e sega nifj 동사]" 구조뿐이다. 그러나 술어구의 중심어는 다양한 품사가 될 수 있으며, 명사와 같이 다른 단어가 사용되면 부정의 구조가 달라진다.

  • segafj의 주어로서의 명사구: "e sega a kolii" (개가 없다)
  • nifj가 segafj의 주어인 경우: "e sega ni kolii" (그것은 개가 아니다)


segafj는 의문절을 도입하는 관계사 sefj와 함께 사용되어 "~인지 아닌지"라는 의미를 나타낼 수 있다.

  • 예시: "au tovele-a se kana vinaka a kaa kana yai {(se sega)}" (이 음식이 맛있는지 아닌지 시험해 보겠다)


또 다른 부정어는 uafj 또는 waauafj ("하지 마라, ~하지 않다")이다. segafj와 달리 명령문과 mefj 절에 사용되며, 서로 바꿔 사용할 수 없다. waauafj는 uafj보다 더 강한 의미를 나타낸다.

  • 예시:
  • "e aa taqo.-makini au o Jone me+u kua ni lau-.vacu" (존이 내가 맞는 것을 막았다)
  • "au saa vei-.vutuni.-takina sara me+u saa waakua ni vaka-.yaco-ra tale a caka.caka yai i+na siga.tabu" (나는 (안식일에 돼지를 사냥한 것을) 후회하여 일요일에 다시는 이런 행동을 하지 않겠다고 다짐했다.)


대명사는 술어 중심어로 작용할 때 명사구의 일부를 형성하는 경우에만 부정될 수 있다. 따라서 대명사는 일반 명사처럼 반조동사 segafj 또는 uafj ~ waauafj의 명사구 주어가 될 수 없다.

피지어에서 부정 표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수식어는 sotifj와 sarafj이다. Sotifj는 부정어 뒤에 추가되어 강도를 나타내며, sega sotifj는 "별로 ~않다"로 번역된다. sotifj는 segafj 또는 ni}} 관계사 뒤에 위치할 수 있다.

  • 예시: "au sega soti ni vuu me tautauvata {{saltillofjei Sepo" (나는 세포만큼 똑똑하지 않다)


sarafj는 segafj와 uafj ~ waaua}}와 함께 사용되어 부정적인 의미와 측면을 강조한다.

  • 예시: "ua ni lai taaoo tale i Viidawa, lao sara i Orovou!" (Viidawa에서 멈추지 말고, {{saltillofjOrovou로 곧바로 가!)

5. 3. 형용사구

피지어에서 형용사는 명사 뒤에 온다.[7]

: na vale levu (정관사 집 큰) "큰 집"

: na vale kau (정관사 집 나무) "나무 집"

동등한 명사는 `ni`로 연결한다.

: na dela ni vale "집의 꼭대기"

하지만, 고유명사 앞에서는 예외적으로, 일반적인 소유는 `nei`, 신체 부위, 친족은 `i`로 연결한다.[7]

: na i-vola nei Tomasi (정관사 ~의-책 Tomasi의) "토마시의 책"

: na ulu i Tomasi (정관사 머리 Tomasi의) "토마시의 머리"

5. 4. 형태론



참고: 이 절의 예시는 부마아 방언에서 가져온 것입니다. 바우안 방언을 기반으로 하는 피지어 표준어가 아닙니다.

접두사와 접미사를 가진다.

;접두사

  • vaka- 사역화 (보통 접미사 -taka(타동사화)와 함께 사용됨)

: vaka-dodonu-taka「바로잡다」 (dodonu「옳다」)

또한, 이 vaka-는 형용사화, 부사화로도 사용된다.

: vaka-Viti 「피지의, 피지식으로」

: vika-vinaka「잘」 (vinaka「좋다」)

  • ca-, ka-, ra-, ta-, lau- 우발적 수동

: ta-sova「쏟아졌다」 (sova「붓다」)

: ra-mudu, ka-musu「부러졌다」 (musu「부수다」)

이러한 선택에는 규칙성이 없다.

  • ya- 분배

: ya-dua「하나씩」(dua「1」)

  • i- 동사를 명사화하다

: i-vola「책」(vola「쓰다」)

;접미사

피지어의 접미사는 타동사화 기능을 하며, 특정 동사에 붙어 의미를 변화시킨다. 어떤 동사에 어떤 접미사가 붙는지에 대한 규칙성은 없다.[7]

  • -a, -ca, -ga, -ka, -ma, -na, -ra, -ta, -va, -ya
  • -haka, -kaka, -laka, -maka, -naka, -raka, -taka, -vaka


예시:

  • cina (조명) : cina-va (비추다)
  • rere (무서운) : rere-vaka (두려워하다)


동사의 목적어가 고유명사나 인칭대명사일 때, 일부 접미사는 형태가 변한다.[7]

  • -a → -i
  • -ca, -caka → -ci, -caki 등


예시:

  • ena dau nanu-mi Viti. (그 + 미래의 표지 + 항상 + 생각하다(타) + 피지) → 그는 항상 피지를 생각하고 있다.

5. 4. 1. 접두사


  • vaka- 사역화 (보통 접미사 -taka(타동사화)와 함께 사용됨)

: vaka-dodonu-taka「바로잡다」 (dodonu「옳다」)

또한, 이 vaka-는 형용사화, 부사화로도 사용된다.

: vaka-Viti 「피지의, 피지식으로」

: vika-vinaka「잘」 (vinaka「좋다」)

  • ca-, ka-, ra-, ta-, lau- 우발적 수동

: ta-sova「쏟아졌다」 (sova「붓다」)

: ra-mudu, ka-musu「부러졌다」 (musu「부수다」)

이러한 선택에는 규칙성이 없다.

  • ya- 분배

: ya-dua「하나씩」(dua「1」)

  • i- 동사를 명사화하다

: i-vola「책」(vola「쓰다」)

5. 4. 2. 접미사

피지어의 접미사는 타동사화 기능을 하며, 특정 동사에 붙어 의미를 변화시킨다. 어떤 동사에 어떤 접미사가 붙는지에 대한 규칙성은 없다.[7]

  • -a, -ca, -ga, -ka, -ma, -na, -ra, -ta, -va, -ya
  • -haka, -kaka, -laka, -maka, -naka, -raka, -taka, -vaka


예시:

  • cina (조명) : cina-va (비추다)
  • rere (무서운) : rere-vaka (두려워하다)


동사의 목적어가 고유명사나 인칭대명사일 때, 일부 접미사는 형태가 변한다.[7]

  • -a → -i
  • -ca, -caka → -ci, -caki 등


예시:

  • ena dau nanu-mi Viti. (그 + 미래의 표지 + 항상 + 생각하다(타) + 피지) → 그는 항상 피지를 생각하고 있다.

5. 5. 인칭대명사

피지어의 대명사 체계는 인칭, 수, 포괄성에 따라 구분된다.[3] 문법적 인칭은 1인칭(화자), 2인칭(청자), 3인칭(그 외)으로 나뉘며, 인간과 비인간, 생물과 무생물 간의 구분은 없다. 수는 단수, 이중, 소수, 복수로 나뉜다. '소수'는 가족이나 직장 집단과 같이 어떤 관계를 갖는 둘 이상의 사람들을 지칭하며, 관계가 없다면 '복수'를 사용한다.[3]

부마 피지어 대명사
인칭
단수이중소수복수
1포함주어rowspan="3" |tarufjtoufjtafj
목적어eetarufjetatoufjetafj
기수eetarufjetatoufjetafj
1배타주어aufj ~ ufjeiraufjeitoufjeimamifj
목적어aufjeiraufjeitoufjeimamifj
기수yaufjeiraufjeitoufjeimamifj
2주어ofjmudraufj ~ draufjmudoufj ~ doufjmunuufj ~ nuufj
목적어iofjemudraufjemudoufjemunuufj
기수iofjemudraufjemudoufjemunuufj
3주어efjraufjratoufjrafj
목적어eafjraufjiratoufjirafj
기수eafjraufjratoufjrafj



각 대명사는 주격, 주어, 목적어, 소유격 접미사, 소유격의 다섯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지만, 일부 인칭-수의 결합은 하나 이상의 기능에 대해 동일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주격은 명사구의 중심어로 사용될 때, 주어는 술어의 첫 번째 구성 요소로 인칭 표지를 나타낼 때 사용된다. 목적어는 타동사의 -ifj로 끝나는 형태 뒤에 오며, 소유격 접미사는 불가분의 명사에 붙는다. 소유격은 소유 구문에서 '소유된' 구성 요소의 명사구 중심어 앞에 온다.

피지어는 동사-목적어-주어 언어이며, 절에서 주어 명사구는 동사와 목적어(포함된 경우) 다음에 온다. 대명사의 사회적 사용은 주로 존경과 위계에 의해 결정된다. 예를 들어, 실제 또는 잠재적인 배우자를 지칭할 때는 2인칭 복수 친밀 대명사를 사용해야 한다.

1인칭 주어(2인칭 이상)에는 포괄형과 배제형이 있다. 1인칭 2인칭 형태 포괄 edaru 배제 keirau, 1인칭 3인칭 형태 포괄 edatou(datou) 배제 keitou, 1인칭 복수형 포괄 eda(da) 배제 keimami 이다. 3인칭 단수 주어형이 없고, 또한 인칭에 남녀의 구별이 없다. 대명사형은 무생물 명사에는 적용할 수 없다.

5. 6. 소유

소유는 두 개체, 즉 "소유자"와 "소유물" 사이의 특별한 관계를 나타내는 문법 용어이다. 이 관계는 법적 소유권일 수 있지만, 피지어와 많은 다른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서처럼 종종 훨씬 광범위하여 친족 관계, 신체 부위, 무생물의 일부, 그리고 통제, 연관성, 소속과 같은 개인적인 특성과 개념을 포함한다.

피지어는 소유자와 소유물의 성격에 따라 복잡한 소유 구문 체계를 가지고 있다. 적절한 구조를 선택하는 것은 소유자가 인명이나 지명, 대명사, 또는 보통 명사(인간 또는 비인간, 생물 또는 무생물 참조)인지 여부, 그리고 소유물이 자유 명사인지 결합 명사인지 여부를 아는 것에 달려 있다.

멜라네시아어군의 특징으로, 소유물에 대한 범주화가 이루어지며,[7] 범주가 다르면 그에 따라 소유격 대명사의 형태가 바뀐다.

소유물이 음식이면 범주 II, 음료이면 III, 신체 부위나 친족이면 IV, 그 외(중립)는 I로 분류된다.

  • I ''na nona vale''「그의 집」 (''nona'' 그의 ''vale'' 집)
  • II ''na kena uvi''「그의 야뮤이모」(''mena'' 그의 ''uvi'' 야뮤이모)
  • III ''na mena tī''「그의 차」 (''kena'' 그의 ''tī'' 차)
  • IV ''na ulu-na''「그의 머리」 (''-na'' 그의 ''ulu'' 머리)


이에 따라,

  • ''na nona yaqona'' 「그의 (재배한, 팔기 위한) 카바나무)」
  • ''na mena yaqona'' 「그의 (마시기 위한) 카바)」


와 같이, 소유격 대명사의 차이로 명사를 수식할 수 있다.

5. 6. 1. 소유자

진정한 소유 구문에서 소유자는 생명체 명사여야만 하며, 소유된 명사구에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소유 표시가 됩니다. 인명이나 지명이 소유자인 경우, 소유된 명사(결합 또는 자유)에 소유 접미사 -i/–ifj를 붙여 소유 구문을 만들 수 있습니다. 소유자가 대명사인 경우, 소유된 명사는 인칭, 수, 포함/배제를 지정하는 대명사 표지 중 하나로 표시되어야 합니다(표 참조). 소유자가 비생명체인 경우, 소유 입자 ni/nifj는 일반적으로 소유된 명사구와 소유 명사구 사이에 배치됩니다. 그러면 입자 ni/nifj는 공식적인 소유가 아닌 연관성을 나타내지만, 이 구문은 여전히 소유 구문으로 간주됩니다.

5. 6. 2. 소유물

자유 명사는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있으며 어미가 필요하지 않다. 피지어의 대부분 명사는 이 범주에 속한다. 의존 명사는 명사를 완성하기 위해 접미사가 필요하며, 이러한 필요성을 나타내기 위해 하이픈으로 끝맺는다. 타마/Tama-fj 티나/tina-fj는 의존 명사의 예이다. 자유 명사와 의존 명사의 범주는 오스트로네시아어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양도 가능 소유와 비양도 가능 소유의 개념과 대략적으로 일치한다. 양도 가능 소유는 소유된 것이 문화적으로 소유자의 본질적인 부분으로 간주되지 않는 관계를 나타내며, 비양도 가능 소유는 소유된 것이 소유자의 내재적인 부분으로 간주되는 관계를 나타낸다.

신체 부위와 친족 관계는 비양도 가능 소유의 전형적인 예이다. 무생물은 양도 가능 소유의 전형적인 예이다.

자유 명사의 양도 가능한 성격은 소유된 명사의 다른 특성을 나타내는 분류사라고 알려진 접두사에 의해 더욱 두드러진다. 몇 가지 일반적인 예로는 소유된 명사가 마실 수 있는 것이면 메/me-fj, 먹을 수 있는 것이면 케/ke-fj (또는 에/e-fj), 소유된 명사의 지시 대상이 개인 소유물이면 웨/we-fj가 있다.

피지어 소유 대명사 접미사 표지[7]
colspan="2" |단수이중소수복수
1인칭배타적-qu-irau-itou-imami
포함적-daru-datou-da
2인칭-mu-mudrau-mudou-muni
3인칭-na-drau-dratou-dra



멜라네시아어군의 특징으로, 소유물에 대한 범주화가 이루어지며,[7] 범주가 다르면 그에 따라 소유격 대명사의 형태가 바뀐다.

소유물이 음식이면 범주 II, 음료이면 III, 신체 부위나 친족이면 IV, 그 외(중립)는 I로 분류된다.


  • I ''na nona vale''「그의 집」 (''nona'' 그의 ''vale'' 집)
  • II ''na kena uvi''「그의 야뮤이모」(''mena'' 그의 ''uvi'' 야뮤이모)
  • III ''na mena tī''「그의 차」 (''kena'' 그의 ''tī'' 차)
  • IV ''na ulu-na''「그의 머리」 (''-na'' 그의 ''ulu'' 머리)


이에 따라,

  • ''na nona yaqona'' 「그의 (재배한, 팔기 위한) 카바나무)」
  • ''na mena yaqona'' 「그의 (마시기 위한) 카바)」


와 같이, 소유격 대명사의 차이로 명사를 수식할 수 있다.

5. 6. 3. 소유 구문

생물이 아닌 소유자를 제외한 모든 소유구문의 어순은 소유 대상 명사구 + 분류사(CLF) + 소유격 조사(POSS) + 소유자 명사구이다. 무생물 소유자의 경우 어순은 소유 대상 명사구 + ni + 소유자 명사구이다.

소유 대상소유 대상
소유자묶인 명사자유 명사
인명/지명접미사 -i (예시 1)분류사 + 접미사 -i; 또는 접미사 -i (예시 2)
대명사대명사 접미사; 또는 접미사 -i (예시 3a, b)분류사 + 소유 대명사 (예시 4a, b)
사람 명사대명사 접미사 (소유자 명사구로 확장됨); 또는 접미사 -i; 또는 명사구 ni 명사구 (예시 5)분류사 + 소유 대명사 (소유자 명사구로 확장됨) (예시 6)
생물 명사명사구 ni 명사구; 또는 대명사 접미사 (소유자 명사구로 확장됨)명사구 ni 명사구; 또는 분류사 + 소유 대명사 (소유자 명사구로 확장됨)
무생물 명사명사구 ni 명사구 (예시 7, 8)명사구 ni 명사구 (예시 7, 8)



이 표에 설명된 바와 같이 소유구문의 사용에는 어느 정도 유연성이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6. 어휘

6. 1. 인사말

}

|-

| 불라/bulafj

| hello (literally "life")

|

|-

| 이오/iofj

| yes

|

|-

| 케레케레/kerekerefj

| please

|

|-

| 모제/mocefj

| goodbye

|

|-

| 니 사 불라 [비나카]/ni sa bula [vinaka]fj

| hello (formal), welcome

|

|-

| 셍아/segafj

| no

|

|-

| 셍아 나 렝아/sega na leqafj

| no worries

|

|-

| 소타 탈레/sota talefj

| see you later

|

|-

| 바자바 티코/Vacava tiko?fj

| How are you?

|

|-

| 비나카/vinakafj

| thank you

|

|-

| 얀드라/yadrafj

| good morning

|

|}

다음은 피지어 인사말의 몇 가지 예이다.[4]

참조

[1] WALS
[2] SOWL
[3] 웹사이트 WALS Online – Feature 39A: Inclusive/Exclusive Distinction in Independent Pronouns http://wals.info/fea[...] Leipzig: Max Planck Institute for Evolutionary Anthropology. 2013-05-04
[4] 웹사이트 18 Fijian Phrases You Need To Know Before You Travel https://theculturetr[...] 2017-01-30
[5] 간행물 標準フィジー語入門 http://www.aa.tufs.a[...] 東京外国語大学
[6] 서적 言語学大辞典 第3巻 世界言語編(下-1) 三省堂 1992
[7] 서적 言語学大辞典 第3巻 世界言語編(下-1) 三省堂 1992
[8] WALS WALS – Fijian http://wals.info/lan[...]
[9] 서적 A grammar of Boumaa Fijia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8
[10] 서적 The Sounds of the World's Languages Blackwell 1996
[11] 서적 A grammar of Boumaa Fijia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8
[12] 서적 A grammar of Boumaa Fijia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8
[13] 서적 A grammar of Boumaa Fijia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8
[14] 서적 A grammar of Boumaa Fijia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8
[15] 서적 A grammar of Boumaa Fijia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피지어영어IPA
아우 도모니 이코/Au domoni iko.fjI love you.{{IPA-fj|ɔu̯ ⁿdo.mo.ni i.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