핀페름어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핀페름어군은 핀란드어, 에스토니아어, 사미어 등 핀족 언어들과 페름어, 마리어 등을 포함하는 어군이다. 20세기에는 페름어파와 핀 볼가어군으로 분류되었으나, 21세기에는 이러한 분류를 거부하는 학설도 있다. 핀페름어군에 속하는 언어들은 페름어군, 핀 볼가어군, 핀 사미어군 등으로 세분화되며, 각 하위 분류에 속하는 언어들은 학자들의 연구에 따라 다르게 분류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랄어족 - 리보니아어
리보니아어는 발트해 연안의 리보니아인들이 사용했던 핀우그리아어족에 속하는 멸종된 언어로, 역사적 요인으로 쇠퇴하여 마지막 원어민 화자 사망 후 멸종되었으나, 현재 라트비아 대학교 리보니아 연구소 등을 중심으로 부활을 위한 연구와 교육이 진행 중이다. - 우랄어족 - 우랄알타이어족
우랄알타이어족은 우랄어족과 알타이어족의 유사성을 바탕으로 19세기 중반에 제시된 가설적인 어족이었으나, 알타이어족 자체의 존재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면서 현재는 주류 언어학계에서 거의 지지를 받지 못하고 있다. - 핀우그리아어파 - 에스토니아어
에스토니아어는 우랄어족 핀우그리아어파에 속하며 에스토니아의 공용어이자 유럽 연합의 공용어 중 하나로, 독일어의 영향을 받아 어휘와 통사론에서 흔적을 찾을 수 있고, 형태론적으로 교착어에서 굴절어로 변화하는 과도기적 특징을 보이는 언어이다. - 핀우그리아어파 - 메앤키엘리
메앤키엘리는 스웨덴 북부 토르네 강 계곡에서 쓰이는 핀란드어 기반의 소수 언어로, 스웨덴어의 영향을 받아 독자적으로 발전했으며, 스웨덴 소수 언어로 인정받아 보존 노력이 이어지고 있고, 핀란드어 방언인지 독립적인 언어인지에 대한 논쟁이 있다. - 토막글 틀에 과도한 변수를 사용한 문서 - 전향
전향은 종교적 개종이나 노선 변경을 의미하며, 근대 이후 정치적 이념 변화를 지칭하는 용어로 확장되어 개인의 신념 변화, 정치적 압력 등 다양한 요인으로 발생하며, 사회주의·공산주의로부터의 전향, 전향 문학, 냉전 시대 이후의 전향 현상 등을 폭넓게 논의한다. - 토막글 틀에 과도한 변수를 사용한 문서 - 포토마스크
포토마스크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인쇄 회로 기판 제조 시 웨이퍼에 회로 패턴을 전사하는 마스크로, 기술 발전을 거듭하며 융용 실리카 기판과 금속 흡수막을 사용하고 위상 천이 마스크, EUV 마스크 등의 고급 기술이 개발되어 반도체 미세화에 기여하고 있지만, 높은 제작 비용과 기술적 어려움은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핀페름어군 | |
---|---|
개요 | |
유형 | 어족 (제안됨) |
다른 이름 | 핀어족 |
사용 민족 | 핀족 |
사용 지역 | 북부 펜노스칸디아, 발트해 연안 국가, 러시아의 남서부, 남동부 및 우랄 산맥 지역 |
계통 분류 | 우랄어족 핀-우그르어족 핀-페름어족 (제안됨) |
하위 어족 | 페름어군 핀볼가어군 사미어군 마리어군 모르드바어군 |
2. 하위 분류
핀페름어군의 하위 분류는 학자들마다 이견이 존재한다. 20세기에는 페름어파와 핀-볼가어파를 주요 분기로 보는 분류가 주류를 이루었으나, 21세기에는 이러한 분류 방식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도 제기되고 있다.[7]
핀-볼가어파에는 마리어(체레미스어), 모르도바어군(에르자어, 목샤어), 메랴어, 무로마어, 메셰라어 (ru)와 핀 사미어군이 속한다. 핀 사미어군에는 다시 사미어(랩어)와 발트 핀어군(핀란드어(수오미어), 에스토니아어, 카렐리아어, 리보니아어(리브어), 베스어, 보트어)이 속한다.
2. 1. 전통적 분류
전통적으로 핀페름어군은 크게 페름어파와 핀-볼가어파로 나뉜다. 페름어파에는 코미어, 코미페르먀크어, 코미지리안어, 우드무르트어가 속한다.20세기 대부분의 학자들은 핀페름어군을 페름어파와 핀-볼가어파로 나누었으나, 21세기에 살미넨(Salminen)은 핀-페름어파와 핀-볼가어파 분류를 완전히 거부했다.[7] 핀-페름어파의 다섯 갈래를 다루는 다른 학자들의 분류는 다음과 같다.
2. 1. 1. 볼가 핀어군
볼가 핀어군에는 다음 언어들이 속한다.2. 1. 2. 핀 사미어군
핀 사미어군은 사미어(랩어)와 발트 핀어군으로 나뉜다. 발트 핀어군에는 핀란드어(수오미어), 에스토니아어, 카렐리아어, 리보니아어(리브어), 베스어, 보트어 등이 속한다.[1]2. 2. 현대적 분류
일부 학자들은 핀-페름어파와 핀-볼가어파라는 분류 자체를 부정하며, 핀페름어군을 페름어파, 마리어, 사미어, 모르도바어, 발트 핀어군 등으로 직접 분류하기도 한다.[7] 이러한 분류는 각 언어 간의 계통 관계에 대한 다양한 학설을 반영한다.
핀페름어군에는 다음과 같은 주요 언어들이 속한다.
3. 포함되는 언어
3. 1. 페름어군
3. 2. 핀-볼가어군
핀 볼가어군은 볼가 핀어군과 핀 사미어군으로 나뉜다.
3. 2. 1. 볼가 핀어군
3. 2. 2. 핀 사미어군
사미어(랩어)와 발트 핀어군으로 구성된다. 발트 핀어군에는 핀란드어(수오미어), 에스토니아어, 카렐리아어, 리보니아어(리브어), 베스어, 보트어가 속한다.
참조
[1]
서적
The Finno-Ugric republics and the Russian state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2]
웹사이트
Problems in the taxonomy of the Uralic languages in the light of modern comparative studies
http://www.helsinki.[...]
[3]
간행물
Proto-Uralic
https://www.academia[...]
Oxford University Press
2019
[4]
간행물
Finno-Ugric languages
http://www.britannic[...]
[5]
서적
The Oxford guide to the Uralic languages
Oxford University Press
2022
[6]
서적
The Uralic languages
Routledge
2023
[7]
서적
Encyclopedia of the world's endangered languages
Routlegde
[8]
서적
The Quasquicentennial of the Finno-Ugrian Society
Société Finno-Ougrienne
[9]
논문
Kantauralin murteutuminen vokaalivastaavuuksien valossa
Helsingfors universitet
2007
[10]
서적
Kielen vuosituhannet
Suomalaisen Kirjallisuuden Seura
[11]
문서
The Classification of the Uralic Languages: Lexical Evidence from Finno-Ugric
[12]
서적
Ennen, muinoin. Miten menneisyyttämme tutkitaan
Suomalaisen Kirjallisuuden Seura
[13]
서적
The Finno-Ugric republics and the Russian state
[14]
문서
Problems in the taxonomy of the Uralic languages in the light of modern comparative studies
[15]
서적
A Guide to the World's Languages: Volume I, Classification
Stanford University Press
[16]
간행물
Finno-Ugric languages
2013
[17]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