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보트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보트어는 잉그리아에서 사용되었던 핀어의 한 변종으로, 에스토니아어와 가장 가까운 친족 관계를 가지며, 19세기 러시아어의 영향으로 쇠퇴했다. 보트어는 서부, 동부, 크레빈, 쿠쿠지 방언으로 나뉘며, 현재는 하부 루가 방언만이 사용된다. 보트어는 16개의 격을 가진 교착어이며, 키릴 문자와 로마자를 혼용하여 표기한다. 1990년대 이후 보트어 강좌가 개설되고 학습 자료가 제공되는 등 보트어 부흥을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핀우그리아어파 - 에스토니아어
    에스토니아어는 우랄어족 핀우그리아어파에 속하며 에스토니아의 공용어이자 유럽 연합의 공용어 중 하나로, 독일어의 영향을 받아 어휘와 통사론에서 흔적을 찾을 수 있고, 형태론적으로 교착어에서 굴절어로 변화하는 과도기적 특징을 보이는 언어이다.
  • 핀우그리아어파 - 메앤키엘리
    메앤키엘리는 스웨덴 북부 토르네 강 계곡에서 쓰이는 핀란드어 기반의 소수 언어로, 스웨덴어의 영향을 받아 독자적으로 발전했으며, 스웨덴 소수 언어로 인정받아 보존 노력이 이어지고 있고, 핀란드어 방언인지 독립적인 언어인지에 대한 논쟁이 있다.
  • 소멸위기언어 - 하와이어
    하와이어는 하와이 제도에서 시작된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로, 한때 하와이 왕국의 공용어였으나 미국에 의한 왕국 전복 후 사용자가 줄어 소멸 위기에 처했지만, 하와이 문화 부흥 운동과 교육 활성화, 그리고 1978년 하와이주의 공용어 지정으로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현재 유네스코에 의해 소멸 위기 언어로 분류되었으나 니이하우섬에서는 여전히 사용되고 대학교에서도 교육이 진행되고 있다.
  • 소멸위기언어 - 브르타뉴어
    브르타뉴어는 브리튼 제도에서 유래한 켈트어로서 콘월어, 웨일스어와 관련이 깊으며, 프랑스어 억압으로 화자가 감소했으나 부활을 위한 노력이 진행 중인 하부 브르타뉴 서부 지역의 언어이다.
  • 러시아의 언어 - 에스토니아어
    에스토니아어는 우랄어족 핀우그리아어파에 속하며 에스토니아의 공용어이자 유럽 연합의 공용어 중 하나로, 독일어의 영향을 받아 어휘와 통사론에서 흔적을 찾을 수 있고, 형태론적으로 교착어에서 굴절어로 변화하는 과도기적 특징을 보이는 언어이다.
  • 러시아의 언어 - 독일어
    독일어는 독일, 오스트리아, 리히텐슈타인 등의 공식 언어이자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는 인도유럽어족 게르만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고지 독일어와 저지 독일어로 나뉘며 표준 독일어는 특정 방언에 기반하고, 로마자를 사용하며, 독특한 문법적 특징을 지니고, 전 세계적으로 2억 명 이상의 사용자가 있다.
보트어
언어 정보
이름보트어
고유 이름, (표준 표기 없음, 발음대로 vaďďa ceeli, maa ceeli)
다른 이름보트어, 보트어
민족보트인
사용 국가러시아
사용 지역잉그리아
사용자 수21명 (2020년)
부분적 구사 가능 인구100명 (2021년)
언어학적 분류
어족우랄어족
어파핀우그리아어파
어군남부 핀어군
방언
방언 종류크레빈어
쿠쿠지
언어 코드
ISO 639-2vot
ISO 639-3vot
Glottologvoti1245
Glottolog 명칭보트어
기타
문자라틴 문자
사용 빈도심각 (UNESCO 지정 소멸 위기 언어)
지도 정보
20세기 초 잉그리아어와 보트어 분포
20세기 초 잉그리아어와 보트어 분포
보트어는 UNESCO에 의해 심각한 위기 언어로 분류됨 (2010)
보트어는 UNESCO에 의해 심각한 위기 언어로 분류됨 (2010)

2. 역사

보트어와 인접한 잉그리아-핀어 및 이조리아 마을 지도 (1848–2007)


보트어는 잉그리아에서 알려진 여러 핀어 변종 중 하나이다. 인접한 잉그리아어와 일부 유사점을 공유하며 차용어를 얻었지만, 서쪽의 에스토니아어와도 깊은 유사성을 가지고 있어 에스토니아어가 가장 가까운 친족으로 여겨진다. 티이트-레인 비트소와 파울 알브레를 포함한 일부 언어학자들은[6] 보트어가 고대 에스토니아어의 북동부 방언에서 진화했다고 주장했다.[7] 에스토니아 언어학자 파울 아리스트에에 따르면 보트어는 서기 6세기 초부터 다른 핀어와 구별되었으며 그 이후로 독립적으로 진화했다.

19세기에는 러시아어 사용이 늘어나면서 보트어는 쇠퇴하기 시작했다. 제1차 세계 대전이 시작될 무렵에는 약 1,000명 정도의 화자가 남아 있었다. 볼셰비키 혁명 이후 레닌 정권 하에서는 지역 학교에서 보트어를 가르치고 보트어 문법책(요고페라/크라콜리에 방언)이 출판되는 등 잠시 부흥기를 겪기도 했다. 그러나 요시프 스탈린 집권 후 쇠퇴하기 시작했다. 제2차 세계 대전은 군사 공격, 나치 독일에 의한 마을 파괴, 에스토니아 클로가 강제 수용소와 핀란드로의 강제 이주, 스탈린주의적 "분산" 정책 등으로 인해 보트어에 파괴적인 영향을 미쳤다.

전쟁 이후 보트족은 주로 러시아 환경에서 자신들의 보트어 정체성을 숨기고 러시아인인 척했다. 하지만 집에서 가족 및 친척과 대화할 때는 계속해서 보트어를 사용했다. 스탈린 사후 보트족은 더 이상 학대받지 않았고, 이주했던 많은 사람들이 마을로 돌아왔다. 그러나 보트어는 "무식한 마을 사람들"의 언어라는 낙인이 찍혀 공공장소에서 사용을 피했고, 일부 지역 학교 교사들은 러시아어 사용을 방해한다는 이유로 보트어 사용을 자제시켰다. 20세기 후반에는 모국어가 러시아어이고 보트어를 이해하지만 말할 수 없는 젊은 보트족 세대가 나타났다.

3. 방언

보트어에는 크게 세 가지 방언이 알려져 있다.


  • 서부 방언: 루가강 어귀 주변 지역
  • 동부 방언: 코포리에 주변 마을
  • 크레빈어: 라트비아 바우츠카시 주변 지역


이 외에 쿠쿠지 마을에서 사용되던 언어는 보트어와 잉그리아어의 특징이 혼합되어 있어 네 번째 방언으로 간주되기도 하지만, 일부 언어학자들은 잉그리아어의 방언으로 보기도 한다.[16]

3. 1. 서부 보트어

서부 방언은 다시 중앙 방언(레닌그라드주 카틸라 마을 주변에서 사용)과 하부 루가 방언으로 나눌 수 있다.[13] 이 중 현재 사용되는 방언은 하부 루가 방언뿐이다.

1848년 보트어 사용자는 총 5,298명으로 추산되었으며, 이 중 3,453명(65%)이 서부 방언을 사용했다.[14]

3. 2. 동부 보트어

코포리에 주변 마을에서 사용되는 보트어 방언이다.[13] 1848년에는 전체 보트어 사용자의 35%인 1,695명이 동부 보트어를 사용했다.[14] 그러나 1960년 이치피노 마을에서 마지막 동부 보트어 사용자가 사망하면서 소멸되었다.[15]

3. 3. 크레빈 방언

크레빈 방언은 15세기 튜튼 기사단에 의해 라트비아 바우츠카 지역으로 끌려온 보트어 포로의 후손들이 사용했다.[14] 1810년에 12~15명의 사용자가 있었고, 크레빈어 사용자에 대한 마지막 기록은 1846년이다.

3. 4. 쿠쿠지 방언

쿠쿠지 방언은 쿠쿠지 마을의 전통적인 언어 변종으로 보트어의 네 번째 방언으로 종종 주장되어 왔다. 이 방언은 보트어와 인접한 잉그리아어의 특징이 혼합되어 있으며, 아르보 라아네스트를 비롯한 일부 언어학자들은 실제로 잉그리아어의 방언이라고 주장했다.[16] 이 방언의 어휘와 음운론은 대부분 잉그리아어에 기반을 두고 있지만, 주요 보트어 방언과 일부 문법적 특징을 공유하며, 이는 아마도 과거 보트어 기층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13] 특히, 보트어가 에스토니아어와 공유하는 모든 음운론적 특징(예: 모음 ''õ''의 존재)은 이 방언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다.[17] 쿠쿠지 방언은 1970년대 이후 사멸된 것으로 선언되었지만,[15] 2006년에도 세 명의 사용자가 발견되었다.[13]

4. 문자

보트어를 적는 공식적인 정서법은 없고 사람마다 제각각이다. 문자는 키릴 문자, 로마자 양쪽이 제각각 쓰인다. 보트어 로마자 표기법은 다른 우랄어족 언어 표기법과 유사하다.

1920년대에 보트어 언어학자 드미트리 츠베트코프는 수정된 키릴 문자를 사용하여 보트어 문법을 저술했다. 현재의 보트어 알파벳은 2004년 메흐메트 무슬리모프에 의해 만들어졌다.[18]

A аÄ äB bC cD d''D dnowiki>E eF fG g
H hI iJ jK kL l''L lnowiki>M mN n''N nnowiki>
O oÖ öÕ õP pR r''R rnowiki>S s''S snowiki>Š š
Z z''Z znowiki>Ž žT t''T tnowiki>U uV vÜ üTs ts



무슬리모프의 정자법의 특징은 /t͡ʃ/를 나타내기 위해 ''c''를 사용하는 것이다 (이 음소는 주로 역사적인 /k/의 구개음화에서 유래하며, 보트어 ''ceeli'' '언어', ''cülä'' '마을'과 핀란드어 ''kieli, kylä''를 비교해 보라). 일부 출판물에서는 ''tš'' 또는 ''č''를 대신 사용한다.

보트어에 대한 설명적 연구에서는 여러 다른 정자법을 찾을 수 있다. 일부는 수정된 키릴 문자를 사용하고, 다른 일부는 로마자를 사용한다. 로마자에 기반한 표기법은 /t͡ʃ/에 ''č''를 사용하는 것과 같이 밀접하게 관련된 핀어군 언어에서 사용되는 표기법과 많은 유사점을 가지고 있다. 보트어에서 장모음을 표시하는 방법은 적어도 두 가지가 있다. 장음 부호를 모음 위에 (예: ''ā'') 놓는 방법(예: 라트비아어) 또는 에스토니아어핀란드어에서처럼 모음을 두 배로 표기하는 방법(''aa'')이다. 자음 중복은 일반적으로 두 문자로 표현된다. 중앙 모음의 표현은 다양하다. 어떤 경우에는 우랄어 표기법의 기준에 따라 ''e̮''를 사용하고, 다른 경우에는 에스토니아어에서처럼 문자 ''õ''를 사용한다.

5. 음운

보트어는 10개의 모음 음소를 가지며, 이들은 모두 장모음 또는 단모음으로 나타날 수 있다. 또한 핀란드어와 매우 유사한 모음 조화 체계를 갖추고 있으며, 모음은 '전설 조화', '후설 조화', '중성'의 세 그룹으로 나뉜다.[19]

보트어의 자음 음소는 다음과 같다.



1920년대에 보트어 언어학자 드미트리 츠베트코프는 수정된 키릴 문자를 사용하여 보트어 문법을 저술했다. 현재의 보트어 알파벳은 2004년 메흐메트 무슬리모프에 의해 만들어졌다.[18]

무슬리모프의 정자법은 를 나타내기 위해 'c'를 사용하는데, 이 음소는 주로 역사적인 의 구개음화에서 유래한다. 보트어 'ceeli'(언어), 'cülä'(마을)는 핀란드어 'kieli', 'kylä'와 비교해 볼 수 있다. 일부 출판물에서는 'tš' 또는 'č'를 대신 사용하기도 한다.

보트어에 대한 설명적 연구에서는 여러 다른 정자법을 찾을 수 있다. 일부는 수정된 키릴 문자를 사용하고, 다른 일부는 로마자를 사용한다. 로마자에 기반한 표기법은 에 'č'를 사용하는 것과 같이 밀접하게 관련된 핀어군 언어에서 사용되는 표기법과 많은 유사점을 보인다.

5. 1. 모음

보트어는 10개의 모음 음소를 가지며, 이들은 모두 장모음 또는 단모음으로 나타날 수 있다. 다음은 보트어의 모음 체계이다.[19]

(IPA)
(FUT)
전설중설후설
평순원순
폐쇄
중설



/ɨ/와 /ɨː/는 외래어에서만 나타난다. 보트어의 ⟨õ⟩ /ɤ/는 에스토니아어의 ⟨õ⟩보다 조금 더 높게 발음되며, 나머지 모음 체계는 에스토니아어와 거의 같다.[19]

일부 중부 방언에서는 장모음 가 핀란드어처럼 로 이중모음화되어, ''tee'' '길'이 ''tie''로 발음되기도 한다. 보트어에는 다양한 이중모음도 존재한다.

이중 모음
auüäi
aauai
oouoi
uuaui
õõaõuõi
ööüöi
üüäüi
ääuäüäi
eeuei
iiaiu



보트어는 핀란드어와 매우 유사한 모음 조화 체계를 갖추고 있다. 모음은 '전설 조화', '후설 조화', '중성'의 세 그룹으로 나뉜다. 일반적으로 한 단어 안에 전설 조화 모음과 후설 조화 모음이 함께 나타날 수 없지만, 두 그룹 모두 중성 모음과는 결합할 수 있다. 전설 조화 모음은 ''ä e ö ü''이고, 이에 대응하는 후설 조화 모음은 ''a õ o u''이다. 핀란드어와는 달리, 보트어는 중성 모음으로 'i'만을 가진다.

보트어의 모음 조화를 나타내는 다이어그램


다만, ''o ö''의 사용에는 몇 가지 예외가 존재한다. 모음 ''o''를 포함하는 일부 접미사는 조화되지 않으며 (비강세 음절에서 ''ö''가 나타나는 것은 대개 핀란드어나 잉그리아어 차용어의 영향이다), 의성어나 차용어 역시 반드시 모음 조화 규칙을 따르지는 않는다.

5. 2. 자음



위 표는 보트어의 자음 음소들을 나타낸다. 1920년대에 보트어 언어학자 드미트리 츠베트코프는 수정된 키릴 문자를 사용하여 보트어 문법을 저술했고, 현재의 보트어 알파벳은 2004년 메흐메트 무슬리모프에 의해 만들어졌다.[18]



위 표는 또 다른 보트어의 자음 음소들을 나타낸 표이다. 몇 가지 참고사항은 다음과 같다.


  • 는 동부 보트어에서만 나타나며, 의 약한 등급 대응물이다.
  • 구개음화 자음은 드물고 일반적으로 이음이며, 앞에서 또는 그 뒤에 가 오는 자음 앞에서 자동으로 발생한다. 음소적 구개음화 자음은 주로 이전의 가 그 결과로 발생하며, 일반적으로 쌍자음으로 나타난다. 다른 환경에서는 주로 러시아어에서 차용된 외래어에서 발견된다. 일부 방언의 일부 단어에서는, 구개음화 자음이 뒤따르는 모음의 손실에 의해 음소화될 수 있다. (예: ''esimein'' > ''eśmein'')
  • 는 Kukkuzi Votic에서 로 파찰음화된다.
  • 는 과 상보적 분포를 갖는다.
  • 는 주로 러시아어, 잉그리아어 및 핀란드어 방언에서 차용된 외래어의 결과이거나, 의 이음으로 나타난다.


거의 모든 보트어 자음은 쌍자음으로 나타날 수 있다. 보트어 음성학의 중요한 두 가지 차이점은 에스토니아어 및 핀란드어와 비교했을 때, 소리 와 는 에스토니아어 및 핀란드어와 달리 실제로 완전한 마찰음이라는 점이다. 에스토니아어와 핀란드어에서는 접근음이다. 또한, 의 가능한 이음 중 하나는 이다. (예: ''ühsi''는 로 발음)

설측음 은 후설 모음에 인접할 때 연구개음화된 이음 을 갖는다.

발성은 단어의 끝에서 대립적이지 않다. 대신, 일종의 연성음화가 발생한다. (예: 무성음 는 무성 자음으로 시작하는 단어 앞에 실현, 유성음 는 유성 자음(또는 모음) 앞에 실현, 일시 중지 전에는 무성 약음, 로 실현)

6. 문법

보트어는 다른 핀어군 언어와 마찬가지로 교착어이다. 단복수 구별이 있고 16개의 격을 가지고 있다. 격이라는 용어를 쓰고 있으나, 인도유럽어의 격보다는 교착어의 토씨에 가깝다. 라트비아어의 영향을 심하게 받은 리브어와 달리, 보트어는 우랄어의 특징을 많이 보존하고 있다. 러시아어의 차용어가 많이 들어왔으나, 음운이나 문법적 영향은 그리 많지 않다.

동사에는 여섯 종류의 시제, 3종의 법, 2종의 태가 있다.

7. 정서법

공식적인 정서법은 없고 사람마다 제각각이다. 문자도 키릴 문자, 로마자 양쪽이 제각각 쓰인다. 보트어 로마자 표기법은 다른 우랄어족 언어 표기법과 유사하다.

8. 교육

메흐메트 무슬리모프가 주최한 보트어 강좌가 1995년부터 1998년까지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열렸으며, 약 30명이 참석했다. 2003년부터 2004년까지 다시 열린 강좌 역시 무슬리모프가 주최했으며, 그는 보트어 독학 자료를 인터넷에 공개했다.[8] 2010년부터 2015년까지 개설된 보트어 강좌에는 약 10명이 참석했다.[9] 보트어 학습 자료가 제공되는 보트어 행사도 있다.[10][11] 2015년에는 하이니케 하인소오와 니키타 디아치코프가 쓴 "Vad'd'a sõnakopittõja"라는 보트어 학습서가 출판되었다. T.F. 프로코펜코는 보트 마을의 학교에서 어린 아이들을 위해 몇몇 수업을 조직했다.[12]

참조

[1] 웹사이트 "Итоги Всероссийской переписи населения 2020 года. Таблица 6. Население по родному языку." https://rosstat.gov.[...] 2023-01-03
[2] 논문 Best practices for spatial language data harmonization, sharing and map creation—A case study of Uralic 2022-06-08
[3] 문서 "Geographical database of the Uralic languages" https://doi.org/10.5[...] Zenodo 2021
[4] 웹사이트 Росстат — Всероссийская перепись населения 2020 https://rosstat.gov.[...] 2023-01-03
[5] 웹사이트 Vatjan kieltä puhuvat vähissä – Elämme aikaa, jolloin jälleen yhden suomensukuisen kansan kieli vaikenee https://www.forssanl[...] 2021-04-03
[6] 문서 Finnic Affinity Congressus Nonus Internationalis Fenno-Ugristarum I: Orationes plenariae & Orationes publicae 2000
[7] 문서 Eesti rahva etnilisest ajaloost. Läänemere keelte kujunemine ja vanem arenemisjärk. Artikkeli kokoelma Eesti Riiklik Kirjastus 1956
[8] 서적 Cultural and Linguistic Minorities in the Russian Federation and the European Union: Comparative Studies on Equality and Diversity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5
[9] Youtube Vadja aabitsa lugu https://www.youtube.[...]
[10] 웹사이트 Vatjalaiset http://www.inkeri.fi[...] 2016-02-28
[11] Youtube https://www.youtube.[...]
[12] 웹사이트 The Beginning of the Votic Language Revival http://www.linguapax[...] 2002
[13] 간행물 Cultural and Linguistic Minorities in the Russian Federation and the European Union Springer 2015-03-25
[14] 서적 The Uralic Languag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1998
[15] 논문 Neo-Renaissance and Revitalization of Votic – Who Cares? https://ojs.utlib.ee[...] 2011
[16] 서적 Itämerensuomalaiset: Heimokansojen historiaa ja kohtaloita Atena kustannus Oy 1995
[17] 간행물 Fibula, Fabula, Fact. The Viking Age in Finland Suomalaisen Kirjallisuuden Seura
[18] 논문 Ob oboznachenii zvukov v vodskom literaturnom yazyke http://www.kirj.ee/p[...] 2006
[19] 서적 A Grammar of the Votic Language Curz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